KR20120047783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783A
KR20120047783A KR1020110108595A KR20110108595A KR20120047783A KR 20120047783 A KR20120047783 A KR 20120047783A KR 1020110108595 A KR1020110108595 A KR 1020110108595A KR 20110108595 A KR20110108595 A KR 20110108595A KR 20120047783 A KR20120047783 A KR 2012004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lamp
light
ligh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659B1 (ko
Inventor
나오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2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Elongate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12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소형화를 도모하고 기능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해결수단) 커버(3)와 램프 하우징(2)으로 구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4)와,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1)와 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쉐이드(12)를 가지며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9A)과, 제2 광원(15a, 15b, 17a, 17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조사하고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되며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제2 램프 유닛(9B, 9C)과, 커버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외면이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27a)으로서 형성되고 제1 램프 유닛과 제2 램프 유닛에 대향하는 내면에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과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각각 제어하는 제1 제어부(28A)와 제2 제어부(28B)가 설치된 복합 렌즈(26)를 설치하고, 출광면을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했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2 램프 유닛을 배치하여 기능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등기구에는 상하 좌우로 나열된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황에 따른 원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이 배치되고, 배광 패턴에서의 수평 커트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 유닛이나 확산광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 유닛에 의해, 예를 들어, 헤드 램프로서의 상이한 종류의 배광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548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191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외형이 특별히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복수의 램프 유닛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서는 차량용 등기구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 차량용 등기구는 차체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각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의 조사 방향이 상이한 경우도 있고, 또, 복수의 램프 유닛이 각각 집광 광학계나 확산 광학계라는 상이한 기능의 광학계를 구성하기 때문에, 각 램프 유닛의 배치 상태에 따라서는 기능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차량용 등기구는, 소형화를 도모하고 기능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차량용 등기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와 램프 하우징으로 구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와,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쉐이드를 가지며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과, 제2 광원을 가지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제2 램프 유닛과, 상기 커버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에 대향하는 외면이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각각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가 설치된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렌즈의 출광면이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복합 렌즈의 각 제어부에 의해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과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된 제2 램프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 차량용 등기구는, 커버와 램프 하우징으로 구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와,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쉐이드를 가지며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과, 제2 광원을 가지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제2 램프 유닛과, 상기 커버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대향하는 외면이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각각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가 설치된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렌즈의 출광면이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제2 램프 유닛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램프 유닛이 출광면의 기울기가 작은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의 원하는 배광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용 등기구의 기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이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 렌즈를 커버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의 위치에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과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램프 유닛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용 등기구의 기능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합 렌즈에 상기 다른 램프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른 램프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원하는 배광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은 차량용 등기구의 개략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램프 유닛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램프 유닛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3개의 배광 패턴(B)이 합성되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 차량용 등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등기구(1)는, 예를 들어, 적어도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기능하는 등기구이며, 차체(100)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1은 예로서, 차체(100)의 좌단부에 배치된 차량용 등기구(1)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용 등기구(1)는 대략 전방으로 개구된 오목부를 갖는 램프 하우징(2)과 램프 하우징(2)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커버(3)를 포함하고, 램프 하우징(2)과 커버(3)에 의해 등기구 외측 케이스(4)가 구성되어 있다. 등기구 외측 케이스(4)의 내부는 등실(5)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3)는 광투과부(3a)와 광투과부(3a)의 외측 둘레부로부터 램프 하우징(2)측으로 돌출된 피부착부(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피부착부(3b)의 선단부가 램프 하우징(2)에 부착되어 있다.
광투과부(3a)는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고, 또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실(5)에는 방열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 부착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6)는 커버(3)의 광투과부(3a)를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서의 전후 양단부와 하단부에서의 후단부가 각각 연결부(6a, 6a, 6a)로서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6)에는, 예를 들어, 5개의 부착부, 즉, 제1 부착부(7A), 제2 부착부(7B), 제2 부착부(7C), 제3 부착부(7D) 및 제4 부착부(7E)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착부(7A)는 측방에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부착부(7B), 제2 부착부(7C), 제3 부착부(7D) 및 제4 부착부(7E)가 제1 부착부(7A)의 외측에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다. 제1 부착부(7A)와 제2 부착부(7B)는 각각 커버(3)의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의 면이 전방을 향하고, 제2 부착부(7C)는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의 면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좌측을 향하고, 제3 부착부(7D)와 제4 부착부(7E)는 각각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의 면이 대략 좌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7A)와 제2 부착부(7B)와 제2 부착부(7C)는 전후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3 부착부(7D)는 제1 부착부(7A), 제2 부착부(7B) 및 제2 부착부(7C)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제4 부착부(7E)는 제3 부착부(7D)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6)에는 제1 부착부(7A) 내지 제4 부착부(7E)의 배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방열 핀(8, 8, …)이 설치되어 있다.
등실(5)에는 제1 램프 유닛(9A), 제2 램프 유닛(9B), 제2 램프 유닛(9C),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램프 유닛(9A), 제2 램프 유닛(9B), 제2 램프 유닛(9C),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은 각각 제1 부착부(7A), 제2 부착부(7B), 제2 부착부(7C), 제3 부착부(7D) 및 제4 부착부(7E)의 각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의 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1 램프 유닛(9A)은 제1 광원(10)과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1)와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쉐이드(12)를 가지며,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램프 유닛이다. 제1 광원(10)으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고, 제1 광원(10)은 기판(1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쉐이드(12)는 이동 가능한 가동형(可動型)의 쉐이드이며, 제1 광원(10)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이동 위치에 따라서 근거리를 조사하는 소위 로우빔의 배광 패턴(B)과 원거리를 조사하는 소위 하이빔의 배광 패턴(B)을 형성한다. 쉐이드(12)는, 예를 들어, 상면이 반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램프 유닛(9A)의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11)에서 반사되어 일부가 쉐이드(12)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조사된다. 따라서, 제1 램프 유닛(9A)은 배광 패턴에서의 커트 라인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제2 램프 유닛(9B)은 기판(14) 상에, 예를 들어, 2개의 제2 광원(15a, 15b)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램프 유닛이다.
제2 광원(15a, 15b)으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다. 한쪽의 제2 광원(15a)은,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시 등에 전방을 조사하는 헤드 램프용 광원이며, 다른쪽의 제2 광원(15b)은, 예를 들어, 야간 이외에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존재를 주지시키기 위한 소위 데이타임 러닝 램프용 광원이다. 따라서, 제2 광원(15a, 15b)은 점소등 제어가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진다.
제2 램프 유닛(9C)은 기판(16) 상에, 예를 들어, 2개의 제2 광원(17a, 17b)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램프 유닛이다. 제2 램프 유닛(9C)의 확산 범위는 제2 램프 유닛(9B)의 확산 범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2 광원(17a, 17b)으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다. 한쪽의 제2 광원(17a)은, 예를 들어 헤드 램프용 광원이고, 다른쪽의 제2 광원(17b)은, 예를 들어 데이타임 러닝 램프용 광원이다. 따라서, 제2 광원(17a, 17b)은 점소등 제어가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진다.
차량용 등기구(1)에 있어서는, 데이타임 러닝 램프용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제1 광원(15b, 17b)을 감광함으로써 차폭등(車幅燈)인 소위 클리어런스 램프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램프 유닛(9D)은 기판(18) 상에, 예를 들어, 제3 광원(19)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직사형의 램프 유닛이다. 제3 광원(19)으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다. 제3 램프 유닛(9D)은 차량의 우회전, 좌회전시 등에 점멸하는 소위 코너링 램프 또는 차량이 커브를 주행할 때 핸들의 회전각에 따라서 주행 방향을 조사하는 소위 벤딩 램프로서 기능한다.
제4 램프 유닛(9E)은 기판(20) 상에, 예를 들어, 제4 광원(21)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직사형의 램프 유닛이다. 제4 광원(21)으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다. 제4 램프 유닛(9E)은 코너링 램프 또는 벤딩 램프로서 기능한다.
부착 부재(6)는 광축 조정 기구(22)를 통해 램프 하우징(2)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광축 조정 기구(22)는 에이밍 스크류(23, 23)와 도시하지 않은 레벨링 액츄에이터를 갖고 있다.
에이밍 스크류(23, 23)는, 예를 들어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회전 조작부(24, 24)와 회전 조작부(24, 24)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축부(25, 25)를 포함하며, 축부(25, 25)의 전단부가 나선축부(25a, 25a)로서 설치되어 있다.
에이밍 스크류(23, 23)는 회전 조작부(24, 24)가 각각 램프 보디(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선축부(25a, 25a)가 각각 부착 부재(6)의 상측의 연결부(6a, 6a)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레벨링 액츄에이터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축부를 포함하며, 축부의 전단부가, 예를 들어, 부착 부재(6)의 하측의 연결부(6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차량용 등기구(1)에서, 회전 조작부(24)가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 등의 지그에 의해 조작되어 연결부(6a)에 연결된 에이밍 스크류(23)가 회전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다른 연결부(6a, 6a)를 지점으로 하여 부착 부재(6)가 틸팅되어 제1 램프 유닛(9A) 등의 광축 조정(에이밍 조정)이 행해진다.
또,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부(6a)에 연결된 축부(25)가 회전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다른 연결부(6a, 6a)를 지점으로 하여 부착 부재(6)가 틸팅되어 제1 램프 유닛(9A) 등의 광축 조정(레벨링 조정)이 행해진다.
커버(3)와 부착 부재(6) 사이에는 복합 렌즈(26)가 배치되어 있다. 복합 렌즈(26)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의 출광부(27)와 출광부(27)의 배면측에 설치된 5개의 제어부, 즉, 제1 제어부(28A), 제2 제어부(28B), 제2 제어부(28C), 제3 제어부(28D) 및 제4 제어부(28E)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출광부(27)는 커버(3)의 광투과부(3a)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의 면인 출광면(27a)이 광투과부(3a)에 대향하는 쪽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출광부(27)는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어부(28A), 제2 제어부(28B), 제2 제어부(28C), 제3 제어부(28D) 및 제4 제어부(28E)는, 각각 제1 램프 유닛(9A), 제2 램프 유닛(9B), 제2 램프 유닛(9C),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에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28A)에 의해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되고, 제2 제어부(28B)에 의해 제2 광원(15a, 15b)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되고, 제2 제어부(28C)에 의해 제2 광원(17a, 17b)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된다. 또, 제3 제어부(28D)에 의해 제3 광원(19)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되고, 제4 제어부(28E)에 의해 제4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된다.
도 2에, 제1 램프 유닛(9A)의 제1 광원(10)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A)을 나타낸다. 제1 램프 유닛(9A)은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램프 유닛이며, 핫존이라 칭해지는 영역의 배광 패턴(A)을 형성한다.
도 3에, 제2 램프 유닛(9B)의 헤드라이트용의 제2 광원(15a)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B)을 나타낸다. 제2 램프 유닛(9B)은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램프 유닛이며, 배광 패턴(A)을 포함하여 배광 패턴(A)보다 좌우 및 하측에 큰 배광 패턴(B)을 형성한다.
도 4에, 제2 램프 유닛(9C)의 헤드라이트용의 제2 광원(17a)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었을 때 형성되는 배광 패턴(C)을 나타낸다. 제2 램프 유닛(9C)은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램프 유닛이며, 배광 패턴(A)을 포함하여 배광 패턴(B)보다 좌우 및 하측에 큰 배광 패턴(C)을 형성한다.
도 5에, 배광 패턴(A)과 배광 패턴(B)과 배광 패턴(C)이 합성되었을 때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 차량용 등기구(1)에 있어서는, 복합 렌즈(26)의 출광부(27)가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출광면(27a)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외측으로 갈수록 커진다. 이 때 집광 광학계로서 구성된 제1 램프 유닛(9A)이 기울기가 큰 위치에 배치되면 광이 확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리플렉터(11) 및 쉐이드(12)를 이용하여 원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차량용 등기구(1)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9A)을 측방에서의 내측에 배치하고,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의 제2 램프 유닛(9B)을 제1 램프 유닛(9A)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9A)이 출광면(27a)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작은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리플렉터(11) 및 쉐이드(12)를 이용하여 원하는 배광 패턴(A)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용 등기구(1)의 기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차량용 등기구(1)에 있어서는,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27a)이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 렌즈(26)를 커버(3)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9B)의 측방에서의 외측의 위치에 제1 램프 유닛(9A) 및 제2 램프 유닛(9B)과는 기능이 상이한 코너링 램프 또는 벤딩 램프로서 기능하는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용 등기구(1)의 기능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렌즈(26)에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각각 제어하는 제3 제어부(28D) 및 제4 제어부(28E)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 램프 유닛(9D) 및 제4 램프 유닛(9E)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원하는 배광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8A) 내지 제4 제어부(28E)가 하나의 복합 렌즈(2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램프 유닛(9A) 내지 제4 램프 유닛(9E)이 하나의 부착 부재(6)에 부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9A) 내지 제4 램프 유닛(9E)은 각각 별개의 부착 부재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최선의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극히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1 : 차량용 등기구 2 : 램프 하우징
3 : 커버 4 : 등기구 외측 케이스
9A : 제1 램프 유닛 9B : 제2 램프 유닛
9C : 제2 램프 유닛 9D : 제3 램프 유닛
9E : 제4 램프 유닛 10 : 제1 광원
11 : 리플렉터 12 : 쉐이드
15a : 제2 광원 15b : 제2 광원
17a : 제2 광원 17b : 제2 광원
26 : 복합 렌즈 27a : 출광면
28A : 제1 제어부 28B : 제2 제어부
28C : 제2 제어부 28D : 제3 제어부
28E : 제4 제어부

Claims (3)

  1. 커버와 램프 하우징으로 구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와,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쉐이드를 가지며 집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형의 제1 램프 유닛과,
    제2 광원을 가지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확산 광학계를 구성하는 직사형(直射型)의 제2 램프 유닛과,
    상기 커버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 대향하는 외면이 곡면형으로 형성된 출광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대향하는 내면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각각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가 설치된 복합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렌즈의 출광면은 차량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측방에서의 외측의 위치에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과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램프 유닛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렌즈에 상기 다른 램프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10108595A 2010-10-28 2011-10-24 차량용 등기구 KR101315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1886 2010-10-28
JP2010241886A JP5675272B2 (ja) 2010-10-28 2010-10-28 車輌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83A true KR20120047783A (ko) 2012-05-14
KR101315659B1 KR101315659B1 (ko) 2013-10-08

Family

ID=4486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595A KR101315659B1 (ko) 2010-10-28 2011-10-24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9438B2 (ko)
EP (1) EP2447601A3 (ko)
JP (1) JP5675272B2 (ko)
KR (1) KR101315659B1 (ko)
CN (1) CN1025634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6104B2 (ja) 2012-06-08 2017-07-1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ンプ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US9194566B2 (en) * 2012-06-08 2015-11-24 Lg Innotek Co., Ltd. Lamp unit and vehicle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JP6136219B2 (ja) * 2012-12-04 2017-05-3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652482B2 (ja) * 2013-01-17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構造
JP6146040B2 (ja) * 2013-02-15 2017-06-1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CN104566098B (zh) * 2013-10-23 2017-12-19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车灯装置
EP3150905B1 (en) 2014-05-23 2018-09-19 Stanley Electric Co., Ltd. Lens body, combined lens body, and vehicular lamp fitting
FR3025865B1 (fr) * 2014-09-16 2016-12-09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un vehicule utilisant une lentille optique multisource
AT516965B1 (de) * 2015-03-25 2016-12-15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cheinwerfer
CN106468414A (zh) * 2015-08-19 2017-03-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远光灯及车辆
CN106949418B (zh) * 2016-01-06 2020-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近光灯组及具有其的车辆
WO2018003888A1 (ja) * 2016-06-29 2018-01-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16220731A1 (de) * 2016-10-21 2018-04-26 Osram Gmbh Optik, optisches System, Fahrzeugscheinwerf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optischen Systems
US10883689B2 (en) * 2016-12-22 2021-01-05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headlamp
JP6832542B2 (ja) * 2017-06-09 2021-0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
EP3502775A1 (en) * 2017-12-19 2019-06-26 DURA Operating, LLC A visual recognition system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system
CN209960392U (zh) * 2018-03-01 2020-01-17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KR102454229B1 (ko) * 2020-11-30 2022-10-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255Y2 (ja) * 1992-05-01 1998-08-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束パターン可変型4灯式前照灯
JPH06283002A (ja) * 1993-03-26 1994-10-07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6769798B2 (en) * 2002-04-11 2004-08-03 E'sam Co.,. Ltd.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JP4024628B2 (ja) * 2002-09-03 2007-12-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002159B2 (ja) * 2002-09-03 2007-10-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144411B2 (ja) * 2003-04-09 2008-09-0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002207B2 (ja) * 2003-04-21 2007-10-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115921B2 (ja) * 2003-11-04 2008-07-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286674B2 (ja) * 2004-01-14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体制御装置
JP4290607B2 (ja) * 2004-06-04 2009-07-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413764B2 (ja) * 2004-12-10 2010-02-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05012104A1 (de) * 2005-03-10 2006-09-14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Gehäuse, insbesondere Spiegelgehäuse
JP2006302713A (ja) * 2005-04-21 2006-11-0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397856B2 (ja) * 2005-06-06 2010-01-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4615417B2 (ja) * 2005-10-13 2011-0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07213877A (ja) * 2006-02-08 2007-08-2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669434B2 (ja) * 2006-04-24 2011-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813309B2 (ja) * 2006-09-26 2011-1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7540638B2 (en) 2006-11-10 2009-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FR2913095B1 (fr) * 2007-02-28 2013-07-05 Valeo Vision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JP4979565B2 (ja) * 2007-12-14 2012-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995748B2 (ja) * 2008-01-29 2012-08-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JP5280074B2 (ja) * 2008-03-14 2013-09-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JP5146214B2 (ja) * 2008-09-17 2013-02-2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524470B2 (ja) * 2008-11-12 2014-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5652996B2 (ja) 2008-11-12 2015-01-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406566B2 (ja) * 2009-03-11 2014-02-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304363B2 (ja) * 2009-03-18 2013-10-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779340B2 (ja) * 2010-01-14 2015-09-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5272B2 (ja) 2015-02-25
CN102563484A (zh) 2012-07-11
EP2447601A3 (en) 2018-04-18
EP2447601A2 (en) 2012-05-02
US9739438B2 (en) 2017-08-22
JP2012094418A (ja) 2012-05-17
CN102563484B (zh) 2015-05-13
US20120106187A1 (en) 2012-05-03
KR101315659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59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1047371B1 (ko) 차량용 전조등
EP2157363B1 (en) Optical element for vehicle lamp
JP5226985B2 (ja) 車輌用前照灯
JP5842435B2 (ja) 車両用前照灯
US20130201710A1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EP2546567B1 (en) Vehicle headlight
JP6980377B2 (ja) 車両用前照灯
US11168858B2 (en) Vehicular lamp
JP685749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3097886A (ja) 車輌用前照灯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JP2009064629A (ja) 車輌用前照灯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JP5843332B2 (ja) 車輌用灯具
JP6176936B2 (ja) 車輌用灯具
EP3061654B1 (en) Vehicular active stop and tail lamp module
JP614254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6179246A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WO2019124188A1 (ja) 車両用前照灯
JP2010282794A (ja) 車輌用灯具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WO2019069682A1 (ja) 車両用前照灯
EP3620329B1 (en) Vehicle lamp assembly
JP53235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