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514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514A
KR20120047514A KR1020100109114A KR20100109114A KR20120047514A KR 20120047514 A KR20120047514 A KR 20120047514A KR 1020100109114 A KR1020100109114 A KR 1020100109114A KR 20100109114 A KR20100109114 A KR 20100109114A KR 20120047514 A KR20120047514 A KR 2012004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obile terminal
images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833B1 (ko
Inventor
우승현
이신혜
정하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33B1/ko
Priority to US13/039,911 priority patent/US8866879B2/en
Priority to EP11001954.4A priority patent/EP2451178B1/en
Priority to CN201510197677.3A priority patent/CN104935809B/zh
Priority to CN201110086641.XA priority patent/CN102467341B/zh
Publication of KR2012004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6Image signal generato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디스플레이하고, 3차원 촬영 모드 및 2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 및 2차원 영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의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하여 카메라 관련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효과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으로부터 새로운 촬영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영상을 입력받는 제 1 카메라; 제 2 영상을 입력받는 제 2 카메라;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3차원 촬영 모드 및 2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 및 2차원 영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은,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3차원 촬영 모드 및 2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 및 2차원 영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 촬영된 영상뿐만 아니라 파노라마 영상 처리 또는 3차원 영상 처리가 수행된 새로운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안 시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카메라 촬영 키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 및 3차원 촬영 모드 간 전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좌측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우측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좌측 및 우측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 촬영 키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 촬영하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2차원 촬영 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또는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촬영 모드에서 좌측 및 우측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촬영 모드에서 좌측 또는 우측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또는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촬영 모드에서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도면.
도 17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 촬영 키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 촬영하는 도면.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카메라 촬영 키에 대하여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해당 카메라의 환경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f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ef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단말기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복수의 카메라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를 제 1 및 제 2 카메라라고 가정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카메라(도 2a_121-1, 121-2), 도 2b_121'-1, 121'-2)는, 동일한 면(도 2a_전면, 도 2b_후면)에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보면, 제 1 및 제 2 카메라(121-1, 121-2)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다고 가정하면, 제 1 카메라(121-1)는, 촬영 각도 범위에서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영상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121-2)는, 촬영 각도 범위에서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배치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동일한 면에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제 1 및 제 2 카메라는 카메라 촬영 시점에 촬영 각도 범위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다면 그것의 배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카메라(도 2a_121-1, 121-2), 도 2b_121'-1, 121'-2)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구현되는 입체 영상은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의 기준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제공되는지 여부이다.
먼저, 첫 번째 입체 영상 카테고리를 설명한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양안에 동일한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monoscopic)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로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는, 제어부(180)가 가상의 입체공간상에 하나 이상의 점, 선, 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하여 생성된 다면체를 배치하고, 그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 영상의 실질은 평면 영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stereo scopic)으로, 인간이 육안으로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사람의 두 눈은 서로 간에 이루는 거리에 의해 동일한 사물을 볼때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은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depth) 및 실제감(reality)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양안이 서로 이루는 거리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양안시차는 두 번째 카테고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안시차를 도 2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한다.
도 2c는 양안시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에서는, 육면체(210)를 눈높이보다 아래의 정면에 두고 육안으로 보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좌안으로는 육면체(210)의 윗면, 정면 및 좌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좌안 평면영상(220)이 보이게 된다. 또한, 우안으로는 육면체(210)의 윗면, 정면 및 우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우안 평면영상(230)이 보이게 된다.
만약, 실제 눈 앞의 사물이 아니더라도 좌안에는 좌안 평면영상(220)이, 우안에는 우안 평면영상(230)이 각각 도달되도록 하면 사람은 실제로 육면체(210)를 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결국, 이동 단말기에서 두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동일한 오브젝트를 일정 시차를 두고 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각각을 구분하여 양안에 도달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두 카테고리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첫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을 "2D 입체영상"이라 칭하고, 두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을 "3D 입체영상"이라 칭한다.
다음으로, 3D 입체영상의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D 입체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각각 구분되어 양안에 도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하 설명한다.
1) 시차 장벽 방식
시야 장벽(parrallax barrier) 방식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와 양안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장치를 전자적으로 구동하여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3D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시야 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조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에 스위치 액정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 액정에 구비된 광학 시차 장벽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조합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또한, 시차 장벽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광이 전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시차 장벽에 의한 광의 분리를 없애 좌우의 눈에 같은 화상이 보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는 시차 장벽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3D 입체영상을 제공하나,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둘 이상의 축 방향으로도 평행이동 할 수 있는 시차 장벽이 사용될 수 있다.
2) 렌즈 굴절 방식
렌즈 굴절 방식(lenticular)은, 디스플레이부와 양안 사이에 구비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빛의 진행방향을 렌티큘러 스크린 상의 렌즈들을 통하여 굴절시키는 방법으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3) 편광 안경 방식
편광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거나, 원평광 방식인 경우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도록 편광시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4) 액티브 셔터 방식
안경 방식의 일종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소정 주기로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을 번갈아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안경은 해당 방향의 영상이 표시될 때 반대편 방향의 셔터를 닫아 해당 방향의 영상이 해당 방향의 안구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좌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동안에는 우안의 셔터를 닫아 좌안에만 좌안용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고, 우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동안에는 좌안의 셔터를 닫아 우안에만 우안용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례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참조 번호 151을 부여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3D 입체영상 구현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3D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10).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또는 다운로드)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실행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해당하는 키 영역(예를 들어, 핫 키) 또는 버튼 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해당하는 단말기 움직임(예를 들어, 흔들기, 일정 각도 기울임 등)이 감지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한다(S320).
여기에서, 카메라 활성화는, 카메라 모듈을 켜고(ON),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서 활성화될 카메라를 기 지정한 경우, 상기 기 지정된 카메라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기 지정된 카메라가 없는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모두 활성화하거나,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 시점에 활성화 대상 카메라들(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카메라 포함)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활성화하고자 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화면상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330). 특히, 디스플레이 단계(S330)는, 터치 스크린(151)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촬영 명령 키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후술할 촬영 명령 터치 동작,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 환경 설정 터치 동작 등을 포함)을 입력받기 위한 키를 의미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카메라 영역은, 제 1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을, 제 2 카메라 영역은, 제 2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을, 공통 영역은,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공통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다.
디스플레이 단계(S33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상을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일 영역(예를 들어 화면 하단)에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카메라 촬영 명령 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 명령 키 내의 제 1 지점에서 화면 내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제 1 및 제 2 지점 각각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카메라 촬영 명령 키 내에서 영역 간 위치를 교체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키 자체의 면적 또는 카메라 촬영 키에 포함된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또는 공통 영역 각각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 동작에 상응하도록 카메라 촬영 키 자체의 면적 또는 해당 영역의 면적을 변경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선택 빈도가 높은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거나 선택 빈도가 낮은 영역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 명령 키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는, 좌측(Left) 카메라일 수 있고, 제 2 카메라는, 우측(Right) 카메라일 수 있다.
도 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상을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전체 화면의 하단에서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 제 2 카메라 영역(412), 공통 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제 1 카메라가 좌측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에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카메라 영역(412)은, 제 2 카메라가 우측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에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 제 2 카메라 영역(412), 공통 영역(413) 내에서 각각 해당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해당 카메라의 번호(제 1 카메라_1, 제 2 카메라_2, 공통_1+2), 해당 카메라의 색상(제 1 카메라_빨간색, 제 2 카메라_파란색, 공통_녹색), 해당 카메라의 명칭(제 1 카메라_Left 또는 L, 제 2 카메라_Right 또는 R, 공통_Common 또는 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식별 정보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를 보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그것의 영역을 3등분하고, 오른쪽 방향으로 제 1 영역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제 2 영역에 공통 영역(413)을 제 3 영역에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의 모양(shape)은, 타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4b(a)를 보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중앙에 공통 영역(413)을 구비하고, 공통 영역(41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방향 지시자 형태로 제 1 카메라 영역(41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 또는 도 4b(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제 1 카메라 영역(41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공통 영역(413)에서 제 1 카메라 영역(41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공통 영역(413)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b(b)를 보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공통 영역(413)이 할당된 원형 키를 구비하고, 원형 키의 반시계 방향에 대하여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원형 키의 시계 방향에 대하여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할당할 수 있다.
도 4b(b)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원형 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동작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한 카메라 동작 관련 터치 동작으로서, 원형 키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c에 의하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 제 2 카메라 영역(412) 또는 공통 영역(413) 중 어느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어느 영역의 위치를 다른 영역으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면, 이동된 영역의 위치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도 4d에 의하면,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의 제 1 및 제 2 지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이 각각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면,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은, 점차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대된 정도가 클수록 원상태로 복귀되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2차원 촬영 모드 및 3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S340).
여기에서, 2차원 촬영 모드는,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촬영 영상으로서 취급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3차원 촬영 모드는,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취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설정 단계(S34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2차원 촬영 모드 및 3차원 촬영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 모드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임의 선택된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또는 제어부(180)에 의한 촬영 모드의 선택은,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이전 선택은, 메뉴 검색을 통하여 촬영 모드 선택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이후 선택은,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작 시점에 2차원 촬영 모드 및 3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창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또는 상기한 해당 메뉴 항목의 실행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 의한 선택은, 가장 최근에 실행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를 자동 선택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활성화 시간(또는 활성화 빈도)가 높은 카메라를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설정 단계(S34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 중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현재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3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2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은,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에서 다른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명령하는 터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은, 후술할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 또는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과 상이한 터치 패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은 제 1 시간 동안 터치 유지 또는 1회 터치,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은 제 2 시간 동안 터치 유지 또는 2회 터치,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은 제 3 시간 동안 터치 유지 또는 3회 터치의 터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공통 영역은, 터치 동작 입력에 따른 피드백으로서,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 입력 시 빨간색을,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 입력 시 파란색을, 촬영 명령 터치 동작 입력 시 녹색을 띌 수 있다.
또한, 공통 영역 내에는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한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가 2차원 설정 모드인 경우 식별 정보로서 2D, 2차원, 2, 임의의 평면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가 3차원 설정 모드인 경우 식별 정보로서 3D, 3차원, 3, 임의의 입체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영역 내에서 표시될 촬영 모드별 식별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 또는 외부 서버(또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설정 단계(S340)에 관련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2차원 촬영 모드(또는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공통 영역(413)에 대한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3차원 촬영 모드(또는 2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로서, 2차원 촬영 모드 및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각각 2D 및 3D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2차원 촬영 모드(또는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환 명령 영역(501)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3차원 촬영 모드(또는 2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촬영 모드가 전환은, 메뉴 검색을 통하여 해당 메뉴 항목이 실행되는 경우 또는 해당 단말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하에서는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제 1 경우) 및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제 2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 1 경우(2차원 촬영 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51). 이때, 디스플레이 단계(S351)는, 터치 스크린(151)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5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기본 카메라로 제 1 카메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2 카메라는, 꺼지거나(OFF)(입력 영상 없음), 켜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지만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는, 좌측 카메라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기본 카메라로 지정된 제 1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서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6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a(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화면에서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의 뒤에서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일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카메라 촬영 명령 키(410)는, 제 1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진하게 또는 다른 영역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도 6a 참조),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도 6b 참조),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공통 영역(413)과 위치를 바꿔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도 6c 참조).
물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영상이 제 1 영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 1 카메라 영역(411)을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는, 우측 카메라일 수 있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 신호(이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하여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①), 제 1 영상에 대하여 단일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릭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거나(②), 단말기 1회 흔들기를 감지하는 경우(③),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는, 상기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7a에서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프리뷰 영상을 제 1 영상에서 제 2 영상을 전환하고,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2 영상의 일 영역에서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7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화면에서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의 뒤에서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을 일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2 카메라에 해당하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진하게 또는 다른 영역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도 7a 및 도 7b 참조),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 제 2 카메라 영역(412)을 공통 영역(413)과 위치를 바꿔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카메라는, 좌측 및 우측 카메라일 수 있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또는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 신호(이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하여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①),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 멀티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릭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거나(②), 단말기 2회 흔들기를 감지하는 경우(③),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 2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와 제 1 및 제 2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는 상이한 패턴의 입력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8a에서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프리뷰 영상을 제 1 영상에서 제 1 및 제 2 영상을 전환하고,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 1 영역(810)에서 제 1 영상을 제 2 영역(820)에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영상 각각의 일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임을 나타내는 각각의 지시자(601, 7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공통 영역(413)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영역(413)을 진하게 또는 다른 영역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도 8b 참조), 공통 영역(413)을 일정 크기로 확대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 중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한다(S352).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공통 촬영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한 공통 촬영 명령 신호에 따라 현재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촬영 명령 신호는,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를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하여 동시에 제 1 및 제 2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의 공통 촬영 명령에 해당하는 키 또는 키 영역(공통 영역과 별개)에 대하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및 제 2 영상의 공통 촬영 명령에 해당하는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촬영 단계(S352)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의 입력시에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었다면, 곧바로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영 단계(S352)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의 입력시에 제 1 및 제 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었다면, 프리뷰 영상을 제 1 및 제 2 영상으로 전환한 후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프리뷰 영상의 전환 후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재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2차원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S353).
수행 단계(S353)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2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하거나(이하 개별 영상 처리),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이하 파노라마 영상 처리). 여기에서, 파노라마 영상은, 제 1 및 제 2 영상에서 공통된 부분을 기준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이 연속 촬영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물론,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이 개별 영상 처리를 명령하는 것인지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명령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영상 처리 및 파노라마 영상 처리에 대하여 설정된 터치 동작 패턴이 상이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영역에서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54). 이때, 디스플레이 단계(S354)는, 터치 스크린(151)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54)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 1 영역(910)에서 상기 촬영된 제 1 영상을 제 2 영역(920)에서 상기 촬영된 제 2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9b(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 전체에서 상기 촬영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화면의 일 영역에서 서브 화면(901) 형태로 상기 촬영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9b(a)에서 제 2 영상이 표시된 서브 화면(901)이 터치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영상을 화면 전체에 제 1 영상을 서브 화면(90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9b(b)}.
이때, 제 1 및 제 2 영상 내에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601, 701)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 전체에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일 영역에서 제 1 영상이 표시된 제 1 서브 화면(902) 및 제 2 영상이 표시된 제 2 서브 화면(901)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파노라마 영상 내에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영상을 합성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903)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1 및 제 2 영상 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601, 70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 및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은, 썸네일 형태로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촬영 단계(S352)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 중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을 갖는 대기 촬영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한 대기 촬영 명령 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영상을 일정 대기 시간 경과 후 촬영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은,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의 입력 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 입력 없이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한 촬영 명령 신호 및 대기 촬영 명령 신호를 모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거리별 대기 시간은, 제어부(180)에 의해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거리 D에 대하여 대기 시간 5초가 지정될 수 있다.
대기 촬영 신호에 따른 촬영 과정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은 개별 영상 처리된다고 가정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각각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제 1 터치 드래그 동작(제 1 드래그 거리 2D) 및 오른 방향으로의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제 2 드래그 거리 D)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5초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은, 멀티 터치 드래그 동작으로서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은,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드래그 방향으로 그것의 길이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각각의 대기 시간(10초, 5초)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한 대기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b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은,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 각각의 드래그 거리 2D 및 D만큼 그것의 길이를 확대하고(a),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그것이 길이를 점차로 감소할 수 있다(b, c). 이때, 감소 거리는, 대기 촬영 수행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에 비례할 수 있다.
특히, 도 10b(b) 및 도 10c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갖고, 제 2 카메라 영역(412)은 길이 0(최초 길이 D에서 D 감소)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서는 대기 시간 5초가 남아 있으므로 촬영 대기를 유지하고, 제 2 카메라에 대하여서는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10b(c) 및 도 10d에 의하면,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서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 명령 터치 동작 입력 후 5초 경과 시점에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10초 경과 시점에 제 1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의 합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할 카메라로서 제 1 카메라가 기 지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촬영을 수행할 카메라로서,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 중 더 긴 드래그 거리에 해당하는 카메라 영역의 카메라를 지정하거나,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 중 더 빨리 또는 더 늦게 제거된 터치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카메라 영역의 카메라를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관계없이 대기 촬영을 수행할 카메라를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제 1 터치 드래그 동작(제 1 드래그 거리 D) 및 오른 방향으로의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제 2 드래그 거리 D)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의 합 2D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설정하고,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즉시 촬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은, 각각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거리 D만큼 길이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을 대기하고(대기 시간 10초),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은, 제 1 카메라에 대한 대기 촬영 수행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그것이 길이를 점차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의 길이 합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가지고,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 대기를 유지할 수 있다(대기 시간 5초). 더 나아가,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의 길이 합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지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 명령 터치 동작 입력 후 곧바로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10초 경과 시점에 제 1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드래그 거리 2D)을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터치 드래그 거리 2D만큼 길이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을 대기하고(대기 시간 10초),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제 1 카메라에 대한 대기 촬영 수행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그것이 길이를 점차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가지고,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 대기를 유지할 수 있다(대기 시간 5초). 더 나아가,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지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 명령 터치 동작 입력 후 곧바로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10초 경과 시점에 제 1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촬영 단계(S352)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카메라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영상의 개별 촬영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의 입력과 함께 드래그 거리 D(대기 시간 5초)를 갖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5초의 대기 촬영을 설정할 수 있고, 대기 시간 5초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b).
도 13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의 입력과 함께 드래그 거리 D(대기 시간 5초)를 갖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5초의 대기 촬영을 설정할 수 있고, 대기 시간 5초 경과 시점에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b).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 2 경우(3차원 촬영 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3차원 촬영 모드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모두 이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함으로, 이동 단말기(10)는, 3차원 촬영 모드인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모두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영상을 합성한 제 3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61). 이때, 디스플레이 단계(S361)는, 터치 스크린(151)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영상은,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영상을 좌안 영상으로 제 2 영상을 우안 영상으로 하여 생성된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특히, 제 3 영상이 3차원 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배리어(barrier)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36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각각의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후에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합성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단계(36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영상, 제 2 영상 및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제 3 영상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4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제 1 영상 또는 제 3 영상을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카메라는, 좌측 및 우측 카메라일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프리뷰 영상 디스플레이를 설명한다.
도 1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3 영상의 내에서 제 1 영상을 표시한 제 1 서브 영역(1402)을 제 2 영상을 표시한 제 2 서브 영역(1403)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메인 화면(1410)에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1410) 뒤에서 제 1 영상을 표시한 제 1 서브 화면(1420) 및 제 2 영상을 표시한 제 2 서브 화면(14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서브 화면(1420, 1430)은, 메인 화면(141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메인 화면(1410)과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메인 화면(1410)에 가려 해당 영상 부분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제 3 영상 내에는, 제 3 영상이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된 3차원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140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상이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공통 영역(413)이 식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c 참조).
도 15a 내지 도 15c는, 프리뷰 영상 전환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한다. 물론, 도 14a의 경우에도 하기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영상에서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3 영상에서 제 1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한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①-1),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릭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거나(①-2), 좌측 방향으로의 단말기 흔들기를 감지하는 경우(①-3)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영상에서 제 1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제 3 영상에서 제 1 영상으로 프리뷰 영상을 전환하고,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메인 화면(1420)에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1420) 뒤에서 제 3 영상을 표시한 제 1 서브 화면(1410) 및 제 2 영상을 표시한 제 2 서브 화면(14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 3 영상에서 제 2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는, 상기한 제 1 영상으로의 전환 명령 신호의 입력에 상응하여, 제 2 카메라 영역(412)에 대한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②-1),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릭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거나(②-2), 우측 방향으로의 단말기 흔들기를 감지하는 경우(②-3)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영상에서 제 2 영상으로의 프리뷰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제 3 영상에서 제 2 영상으로 프리뷰 영상을 전환하고,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메인 화면(1430)에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1430) 뒤에서 제 3 영상을 표시한 제 1 서브 화면(1410) 및 제 1 영상을 표시한 제 2 서브 화면(1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영상 각각의 일 영역에서 각각에 해당하는 지시자(601, 701, 14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 중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한다(S362).
촬영 단계(S362)에 대하여서는, 2차원 촬영 모드에서 공통 영역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의 촬영 단계(S352)에 대한 설명 부분을 참조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S363).
수행 단계(S363)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영상을 좌안 영상으로 제 2 영상을 우안 영상으로 설정하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각각 설정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64). 이때, 디스플레이 단계(S364)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64)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배리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64)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영상, 제 2 영상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영상을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64)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한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1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체 화면에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3차원 영상 내에서 제 1 영상을 표시한 제 1 영역(1402) 및 제 2 영상을 표시한 제 2 영역(14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영역(1402) 또는 제 2 영역(1403)이 터치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3차원 영상을 전체 화면의 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1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메인 화면(1610)에서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인 화면(1610) 뒤에서 제 1 영상을 표시한 제 1 서브 화면(1620) 및 제 2 영상을 표시한 제 2 서브 화면(16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영상 내에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임을 나타내는 지시자(140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촬영 단계(S362)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 중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2차원 촬영 모드에서의 순차적 촬영에 대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대기 촬영 신호에 따른 촬영 과정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 17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제 3 영상(또는 3차원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 동작이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각각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제 1 터치 드래그 동작(제 1 드래그 거리 2D) 및 오른 방향으로의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제 2 드래그 거리 D)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5초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7b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갖고, 제 2 카메라 영역(412)은 길이 0(최초 길이 D에서 D 감소)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서는 대기 시간 5초가 남아 있으므로 촬영 대기를 유지하고, 제 2 카메라에 대하여서는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7c에 의하면,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서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거리의 합에 상응하도록 제 1 및 제 2 카메라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할 카메라로서 제 1 카메라가 기 지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 각각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제 1 터치 드래그 동작(제 1 드래그 거리 D) 및 오른 방향으로의 제 2 터치 드래그 동작(제 2 드래그 거리 D)을 각각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의 합 2D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설정하고, 제 2 카메라에 대하여 즉시 촬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8b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의 길이 합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가지고,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 대기를 유지할 수 있다(대기 시간 5초). 더 나아가,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의 길이 합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지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 대하여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드래그 거리 2D)을 입력받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 10초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9b에 의하면, 대기 시간 5초(드래그 거리 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D(최초 길이 2D에서 D 감소)를 가지고,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촬영 대기를 유지할 수 있다(대기 시간 5초). 더 나아가, 대기 시간 10초(드래그 거리 2D에 상응함)의 경과 시점에, 제 1 카메라 영역(411)은 길이 0(최초 길이 2D에서 2D 감소)을 가지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에 대하여 대기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촬영 단계(S352, S362)에서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 처리 단계(S353 또는 S363)에서 처리된 파노라마 영상 또는 3차원 영상, 또는 디스플레이 단계(S354, S36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370).
저장 단계(S37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 수행되거나, 저장 명령 신호의 입력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명령 신호는, 저장 명령에 해당하는 키 또는 키 영역의 선택, 저장 명령에 해당하는 단말기 움직임의 감지 등의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상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 명령 키에 포함된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환경 설정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한 환경 설정 신호에 상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51)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환경 설정 신호는, 환경 설정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이 실행되거나, 환경 설정에 해당하는 단말기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이 입력된 영역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메라 환경 설정에 관련하여,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리뷰 영상으로서 제 1 및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 영역(411)에서 프리뷰 영상 내 임의 지점 또는 제 1 영상의 표시 영역(810) 내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①)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20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카메라 영역(412)에서 프리뷰 영상 내 임의 지점 또는 제 2 영상의 표시 영역(820) 내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②)을 입력받는 경우, 제 2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20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서 프리뷰 영상 내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③)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및 제 2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20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정 화면(2010 내지 2030)을 통하여 제 1 또는 제 2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촬영 환경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에 대하여 제 1 시간 동안의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시간에 상응하는 횟수로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연속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 1 또는 제 2 카메라 영역(411, 412)에 대하여 제 1 거리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더 입력받는 경우, 제 1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제 1 시간에 상응하는 횟수로 제 1 또는 제 2 영상을 연속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영역(413)에 대하여 제 1 시간 동안의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시간에 상응하는 횟수로 제 1 및 제 2 영상을 모두 연속 촬영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영역(413)에 대하여 제 1 거리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더 입력받는 경우, 제 1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제 1 시간에 상응하는 횟수로 제 1 및 제 2 영상을 모두 연속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51 터치 스크린
180 제어부

Claims (21)

  1. 제 1 영상을 입력받는 제 1 카메라;
    제 2 영상을 입력받는 제 2 카메라;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3차원 촬영 모드 및 2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 및 2차원 영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촬영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하여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프리뷰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3차원 찰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촬영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영역에서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3차원 영상을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배리어를 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 2 카메라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 1 카메라 영역, 상기 제 2 카메라 영역 및 상기 공통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설정 터치 동작이 입력된 영역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 촬영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3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2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공통 영역 내에서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및 제 1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카메라 영역, 제 2 카메라 영역 및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 키를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3차원 촬영 모드 및 2차원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명령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3차원 영상 처리 및 2차원 영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카메라 촬영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찰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카메라 촬영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한 3차원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개별 촬영 영상으로 처리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각각 개별 영역에서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처리로서 상기 촬영된 제 1 및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을 순차적 촬영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영역에 대하여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3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3차원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 전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2차원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KR1020100109114A 2010-11-04 2010-11-0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KR10169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114A KR101691833B1 (ko) 2010-11-04 2010-11-0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US13/039,911 US8866879B2 (en) 2010-11-04 2011-03-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EP11001954.4A EP2451178B1 (en) 2010-11-04 2011-03-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CN201510197677.3A CN104935809B (zh) 2010-11-04 2011-04-01 移动终端以及在其中控制图像拍摄的方法
CN201110086641.XA CN102467341B (zh) 2010-11-04 2011-04-01 移动终端以及在其中控制图像拍摄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114A KR101691833B1 (ko) 2010-11-04 2010-11-0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14A true KR20120047514A (ko) 2012-05-14
KR101691833B1 KR101691833B1 (ko) 2017-01-09

Family

ID=4560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114A KR101691833B1 (ko) 2010-11-04 2010-11-0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6879B2 (ko)
EP (1) EP2451178B1 (ko)
KR (1) KR101691833B1 (ko)
CN (2) CN10246734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96A (ko) * 2012-09-11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44295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6327B1 (en) 2013-03-15 2021-01-19 Spatial Cam Llc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US9736368B2 (en) * 2013-03-15 2017-08-15 Spatial Cam Llc Camera in a headframe for object tracking
US10354407B2 (en) 2013-03-15 2019-07-16 Spatial Cam Llc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s
KR101690256B1 (ko) * 2010-08-06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5451944B2 (ja) * 2011-10-07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5884421B2 (ja) * 2011-11-14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95868B2 (en) 2011-12-06 2016-07-19 Goog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window spacing mechanisms
US9538149B2 (en) * 2012-05-31 2017-01-03 Ebay Inc. On-line community network of sets
CN103713835A (zh) * 2012-09-28 2014-04-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747014B2 (en) 2013-02-05 2017-08-2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r interface element
CN104010207B (zh) * 2013-02-27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被控设备与控制设备
KR102034583B1 (ko) * 2013-02-28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0996013B (zh) * 2013-03-13 2022-07-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处理图像的方法
KR102124188B1 (ko) 2013-03-13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9930313B2 (en) * 2013-04-01 2018-03-27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hanging screen display dir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82661B1 (ko) * 2013-07-12 2020-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US9473708B1 (en) 2013-08-07 2016-10-18 Goog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n imaging system with a dual camera architecture
KR102047703B1 (ko) * 2013-08-09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137459B2 (en) * 2013-10-03 2015-09-15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generating composite image data
JP6324079B2 (ja) * 2014-01-14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865033B1 (en) 2014-01-17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based image views
US9294670B2 (en) * 2014-01-24 2016-03-22 Amazon Technologies, Inc. Lenticular image capture
US9658734B2 (en) * 2014-02-17 2017-05-23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5186020A (ja) * 2014-03-24 2015-10-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表示機器、撮影機器及び表示方法
KR102262086B1 (ko) * 2014-05-28 2021-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9363426B2 (en) 2014-05-29 2016-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camera selection based on device orientation
KR102182401B1 (ko) * 2014-06-11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06731A1 (ko) * 2014-07-09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영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182692B1 (en) 2014-08-12 2023-12-20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182173A (zh) * 2014-08-15 2014-12-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切换摄像头的方法和装置
EP3010225B1 (en) * 2014-10-14 2019-07-24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US9973743B2 (en) * 2015-03-08 2018-05-15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ynamically controlled flashlight for image capturing and related control method
KR20160131720A (ko) * 2015-05-08 2016-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101889A3 (en) 2015-06-02 2017-03-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049719B (zh) * 2015-07-03 2019-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全景拍摄方法及移动终端
KR20170014356A (ko) 2015-07-29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847672A (zh) * 2016-03-07 2016-08-10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虚拟现实头盔抓拍方法及系统
CN105791802A (zh) * 2016-03-15 2016-07-20 广东未来科技有限公司 双摄像头移动终端及其拍摄方法
US10616563B2 (en) * 2016-03-30 2020-04-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Reconfigurable multi-mode camera
JPWO2017200049A1 (ja) * 2016-05-20 2019-04-11 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設定画面
CN105959545A (zh) * 2016-05-24 2016-09-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机及控制摄像机的方法和装置
CN105979035B (zh) * 2016-06-28 2019-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ar图像处理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5929969B (zh) * 2016-06-30 2018-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界面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US10148884B2 (en) 2016-07-29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ilitating capturing a digital image
CN106412432A (zh) * 2016-09-30 2017-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KR20190097193A (ko) * 2016-12-24 2019-08-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단말
CN106846311B (zh) * 2017-01-21 2023-10-13 吴东辉 基于图像识别的定位及ar方法及系统及应用
CN106713716B (zh) * 2017-01-23 2020-03-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双摄像头的拍摄控制方法和装置
CN107105127B (zh) * 2017-04-18 2020-10-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全景照片摄制方法及装置
KR102327160B1 (ko) 2017-09-11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594925B2 (en) 2017-12-04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zoom level and image frame capture control
US10645272B2 (en) * 2017-12-04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zoom level and image frame capture control
KR20190110858A (ko) 2018-03-21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729270A (zh) * 2018-12-30 2019-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639983B (zh) * 2019-01-03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78380A (zh) * 2019-07-18 2019-09-24 成都甄识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重构的超多目相机及其复用方法
US11200740B1 (en) * 2020-09-04 2021-12-14 Amazon Technolgoies, Inc. Systems for generating image-based user interfaces
CN115209056A (zh) * 2022-08-10 2022-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06A (ja) * 1996-08-22 1998-03-06 Canon Inc 複眼カメラシステム
JP2006324599A (ja) * 2005-05-20 2006-11-30 Canon Machinery Inc ダイボンダ用撮像装置
JP2008167066A (ja) * 2006-12-27 2008-07-17 Fujifilm Corp 複眼デジタルカメラ
JP2012522415A (ja) * 2009-03-27 2012-09-20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タッチスクリーン機能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683B2 (en) * 2003-08-29 2009-11-17 Aptina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 including a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58011B1 (ko) *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JP4402025B2 (ja) 2005-08-29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及び複眼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8189100B2 (en) * 2006-07-25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with dual digital camera sens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05681B1 (ko) * 2008-09-05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JP5265417B2 (ja) 2009-03-09 2013-08-1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方法
TW201040581A (en) * 2009-05-06 2010-11-16 J Touch Corp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with stereo image display and touch functions
KR101728725B1 (ko) * 2010-10-04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06A (ja) * 1996-08-22 1998-03-06 Canon Inc 複眼カメラシステム
JP2006324599A (ja) * 2005-05-20 2006-11-30 Canon Machinery Inc ダイボンダ用撮像装置
JP2008167066A (ja) * 2006-12-27 2008-07-17 Fujifilm Corp 複眼デジタルカメラ
JP2012522415A (ja) * 2009-03-27 2012-09-20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タッチスクリーン機能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96A (ko) * 2012-09-11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44295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3216A1 (en) 2012-05-10
CN102467341B (zh) 2015-05-20
CN104935809B (zh) 2018-09-11
EP2451178A3 (en) 2012-12-19
EP2451178B1 (en) 2016-01-27
CN102467341A (zh) 2012-05-23
KR101691833B1 (ko) 2017-01-09
US8866879B2 (en) 2014-10-21
CN104935809A (zh) 2015-09-23
EP2451178A2 (en)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3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KR1016749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EP317971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KR1018737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7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64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9548A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4950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719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81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10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38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47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82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7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717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7117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