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989A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989A
KR20120045989A KR1020110015722A KR20110015722A KR20120045989A KR 20120045989 A KR20120045989 A KR 20120045989A KR 1020110015722 A KR1020110015722 A KR 1020110015722A KR 20110015722 A KR20110015722 A KR 20110015722A KR 20120045989 A KR20120045989 A KR 2012004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elevator
lock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675B1 (ko
Inventor
노준형
Original Assignee
(주)보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체스 filed Critical (주)보체스
Publication of KR2012004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켜 도어 개폐부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 및 외부 도어 중 적어도 일측을 슬라이드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 간에 연결되어 양측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동작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켜 도어 개폐부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비상 시 용이하게 수동 개방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층 건물이나 시설물 등에는 보다 편리하게 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통상의 엘리베이터는 사람이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의 전방에 내부도어가 설치되고, 이 내부도어와 함께 연동 개폐되는 외부도어가 건물이나 시설물의 실내 측과 면하는 입구 부분에 설치된다.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도어는 특별히 구분해서 기재하지 않은 경우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도어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승강식 도어와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도어가 있으며, 통상 화물용 엘리베이터에는 승강식 도어가 설치되고, 인승용의 엘리베이터에는 슬라이드식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도어몸체가 현수식으로 지지된 상태, 즉 상부가 도어행거에 결합되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행거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도어행거에 작용되는 이송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런데,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행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로프를 통해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즉, 상기 도어행거에 연결된 로프가 복수의 가이드풀리를 통해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에 상기 로프의 일측이 감겨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프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행거를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로프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도어의 주위를 따라 로프와 풀리의 배설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운행 중 고장 발생의 우려가 높으며, 설치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는 온도 변화에 따라 로프에 신축이 발생하여 작동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부에 필요 이상의 작동이 유발되어 에너지가 낭비되고 각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프를 대신하는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한 도어 개폐구조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으나,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 주변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공간에 제한이 있고, 이에 따라 다른 통상의 동력전달기구를 엘리베이터 개폐구조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도어가 닫혔을 때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이 없었고, 단순히 정지된 로프를 통한 제동력에 의해서만 닫힘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닫혀진 도어를 약간의 힘을 가해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장난이나 악의적 고의로 인해 도어가 개방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켜 도어 개폐부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비상 시에 용이하게 수동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 및 외부 도어 중 적어도 일측을 슬라이드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 간에 연결되어 양측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동작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여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상 상황 발생 시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된 비상 개방장치를 구비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는 상기 비상 개방장치에 의한 도어의 수동 개방을 방지하는 비상 개방 제한수단을 구비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도어 잠금수단은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따라 작동되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잠금 스위치,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수단, 및 상기 잠금 스위치의 신호 입력에 따라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작동수단은 잠금롤러 가이드와 잠금롤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스위치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수단은 도어 행거에 설치된 잠금부 및 로커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캠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스위치의 신호 입력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3열 이상의 다열 나선을 구비하고, 1회전당 20mm 이상의 리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너트는 윤활성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부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장난이나 고의에 의한, 또는 개폐 제어부의 고장 등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 및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비상시 수동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는 도어가 수동 개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 안전한 상황대처가 가능하면서도 평상의 엘리베이터 운행 중에는 비정상적 도어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4) 이송스크류가 3열 이상의 다열 나선을 구비하면서 1회전당 20mm 이상의 리드를 갖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에 요구되는 강도 및 내구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신속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비상 시 동력 해제를 통해 용이하게 수동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5) 슬라이딩유닛의 이송너트를 윤활성 플라스틱 소재의 것으로 구비함으로써, 이송부의 경량화를 통해 동역학적 특성 및 작동 부하를 개선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시 이송스크류와 슬라이딩유닛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경감할 수 있으며, 윤활유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여 구동부 주변의 오염 발생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장치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어 개폐장치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페장치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서 이송스크류의 상세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개폐시키되, 구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송스크류를 사용한 것으로, 기존의 엘리베이터 주변에 구비된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통상적인 이송스크류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는 강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도 1 내지 도 4에 이송스크류를 통해 도어를 개폐시키고 캠을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는 행거(37)에 부착된 도어몸체(미도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프레임(38), 이 도어프레임(38)에 장착되어 도어몸체가 닫힐 때 잠금 상태를 감지하는 잠금스위치(33), 상기 도어프레임(38)의 일측에 도어몸체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이송스크류(30),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중앙부 측에 설치되어 잠금로울러(26)와 연동하여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하는 캠뭉치(10), 일측은 상기 이송스크류(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도어몸체에 연결된 슬라이딩유닛(20), 도어몸체가 닫힐 때 잠금 신호가 발생되도록 잠금스위치(3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누름판(21), 상기 캠뭉치(10)와 연동하여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를 작동시키게 하는 잠금로울러(22)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가 상기 도어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양측을 연결하는 연동수단이 상기 슬라이딩유닛(20)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어프레임(38) 상에 잠금스위치(33), 이송스크류(30), 캠뭉치(10) 및 슬라이딩유닛(20)이 각각 상호 대칭되게 한 조로 마련된다. 이는 도어몸체가 한 조로 마련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닫히거나 열리는 구조에 적용된 것을 예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어의 구조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어프레임(38) 상에 하나의 도어몸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잠금스위치(33), 이송스크류(30), 캠뭉치(10) 및 슬라이딩유닛(20)은 하나씩만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본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스위치(33)는 도어프레임(38)의 상부에서 도어프레임(38)에 연결된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에 결합된다. 잠금스위치(33)는 스위치누름판(21)에 의해 작동되어, 즉 눌려지는 동작에 의해 잠금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스위치로 작용되므로,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를 누르면 잠금스위치(33)가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 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눌려지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잠금스위치(33)를 도어프레임(38) 측으로 더욱 근접하게 배치하고,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에 근접되었을 때 잠금 신호가 발생되도록 근접 센서를 이용한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어떠한 감지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도어몸체가 닫혔을 때 잠금 기능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만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송스크류(30)는 모터(31)의 출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몸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유닛(20)에 이송력을 가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모터(31)에 의한 동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양측 도어몸체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30)가 중앙부분을 사이로 두고 양측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양측 이송스크류는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 방향의 이송력을 가하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도 있고,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 동일 방향의 이송력을 가하도록 서로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캠뭉치(10)는 도어의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해제와이어(34a)와 연결되어 잠금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잠금로울러(26)를 밀어주는 해제캠(11), 상기 이송스크류(30)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송스크류(3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을 하면서 잠금로울러(26)를 밀어 해제되게 열림캠(12), 상기 이송스크류(30)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송스크류(3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고 이송너트(25)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끝까지 왔을 때 잠금로울러(26)의 일측과 겹침으로서 잠금 동작을 하는 잠금캠(13), 상기 해제캠(11), 열림캠(12) 및 잠금캠(13)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14), 상기 캠들(11, 12, 13)을 고정하는 캠샤프트(15), 상기 해제캠(11)의 회전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장공(16)이 구비된 캠하우징(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제캠(11)은 캠뭉치(10)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이송스크류(30)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해제와이어(34a)에 의해서만 동작을 한다. 비상시 해제와이어(34a)가 당겨지면 해제와이어(34a)와 연결된 해제캠(11)의 일측이 상기 장공(16)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이동을 하면서 해제캠(11)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한다. 이때 해제캠(11)의 돌출된 부분이 잠금로울러(26)를 눌러주어 잠금로울러(26)는 잠금캠(13)과 체결되어있던 잠금 위치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캠(13)은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할 때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유닛(20)의 진행방향과 수직이 되게 잠금로울러(26)와 상호 작용을 하여 잠금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잠금로울러(26)와 잠금캠(13)은 도어몸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도어몸체를 임의로 수동 개방하려고 할 때 잠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림캠(12)은 잠금캠(13)과 같이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할 때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며, 도어몸체가 열림의 동작을 시작할 시 잠금로울러(26)를 눌러주어 잠금로울러(26)가 잠금캠(13)과 체결되어있던 잠금의 위치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해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은 상기 이송스크류(30)에 나사 결합되어 이송스크류(30)의 회전에 따라 종방향 이동되는 이송너트(25), 이 이송너트(25)를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너트하우징(24), 상기 이송너트(25)가 너트하우징(24) 내에서 일정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7), 이 스프링(27)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지지대(28), 상기 캠뭉치(10)와 상호 작용하여 잠금의 기능을 하는 잠금로울러(26), 일측은 상기 너트하우징(24)과 연결되고 타측은 스위치누름판(21)과 연결된 잠금로울러홀더(23), 상기 잠금로울러홀더(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잠금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누름판(21), 슬라이딩유닛(20)을 도어몸체와 연결시키는 링크(36), 힌지(35) 및 행거(37)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너트(25)와 너트하우징(24) 사이에는 이송너트(25)가 너트하우징(24)에 대해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유동공간에는 스프링(27)과 스프링지지대(28)가 구비되어 열림 동작이 시작될 때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하여 캠뭉치(10)가 초기에 어느 정도 이동하더라도 잠금로울러(26)와 너트하우징(24)이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잠금로울러(26)와 잠금캠(13) 간의 잠금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도어몸체에는 도어몸체가 닫힐 때 도어몸체의 닫힘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닫힘 스위치(32)가 구비된다. 이 닫힘 스위치(32)는 도어몸체가 닫혔다는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잠금스위치(33)에 의한 잠금 신호가 발생되기 전에 도어의 닫힘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의 구조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중 일례를 예시한 것으로, 전술한 캠 방식 구조 외에 다양한 방식의 잠금 및 해제 구조를 갖는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개폐장치에는 비상시 상기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한 비상 개방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는 이 비상 개방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비상개방 제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잠금장치에 해제신호를 인가하여 해제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버튼이나 핸들과 같은 작동수단, 엘리베이터가 이동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 엘리베이터가 이동 상태일 경우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수단에 의한 해제를 제한하는 해제 제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모터의 출력축이나 이 출력축과 연결된 구동축 등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감지수단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에 구비된 수단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해제 제한수단은 비상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버튼이나 비상핸들 등과 같은 작동수단의 신호입력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켜 도어 개폐부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장난이나 고의에 의한, 또는 개폐 제어부의 고장 등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 및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시 수동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안전한 상황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는 도어가 수동 개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도어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는 잠금장치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50)및 잠금 롤러 가이드(20)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잠금 롤러(50)가 상기 잠금 롤러 가이드(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잠금 스위치 누름판(40)을 구동시켜 상기 잠금 스위치(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양쪽 이송레일(5)의 중앙부에 잠금장치(7)가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면 양쪽의 도어 행거(6)에 설치된 잠금부(60)와 로커(50)의 결합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어가 개방되어 잠금장치(7) 내의 캠 등에 의해 잠금 스위치가 잠금해제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잠금장치(7)에 내장된 솔레노이드(80)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70)가 상승되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가 폐쇄되어 잠금 스위치에 의한 잠금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솔레노이드(80)의 소자에 따라 스토퍼(70)가 하강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도 8 내지 도 11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2실시예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도어 개폐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어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는 행거(137)가 도어프레임(138)에 설치된 수평방향 가이드레일(13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행거(137)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이송스크류(13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스크류(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39)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모터(139)에 의해 양방향 회전된다. 상기 행거(137)의 상부에는 이송스크류(130)의 회전에 따라 행거(137)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유닛(12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138)에는 도어몸체의 닫힘 위치를 감지하는 잠금스위치(133)가 설치되고, 이송스크류(130)의 모터(131) 반대측 축 지지부에 도어몸체의 닫힘 시에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하는 캠뭉치(110), 도어몸체가 닫힐 때 잠금 신호가 발생되도록 잠금스위치(13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누름판(121)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스크류(130)는 강도 및 내구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에 적합한 이송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비교적 리드가 큰 다열 나선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3열 이상의 다열 나선으로서 1회전당 20mm 이상의 리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정상적 개폐 동작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비상 시 동력 해제를 통해 도어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유닛(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30)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너트는 중량 대비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30)의 소재는 마찰저항이 작고 내마모성이 높은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마찰계수가 낮고 자기윤활성이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소재의 이송너트를 사용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시 구동되는 이송스크류(130)와 슬라이딩유닛(120)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되고, 윤활유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감소시켜 구동부 주변의 오염 발생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캠뭉치 11 : 해제캠
12 : 열림캠 13 : 잠금캠
14 : 풀림방지너트 15 : 캠샤프트
16 : 장공 17 : 캠하우징
20 : 슬라이딩유닛 21 : 잠금스위치누름판
22 : 잠금스위치누름판로울러 23 : 잠금로울러홀더
24 : 너트하우징 25 : 스크류너트
26 : 잠금로울러 27 : 스프링
30 : 이송스크류 31 : 모터
32 : 닫힘스위치 33 : 잠금스위치
34a : 해제와이어 36 : 링크
37 : 행거 38 : 도어프레임

Claims (9)

  1.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 및 외부 도어 중 적어도 일측을 슬라이드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 간에 연결되어 양측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동작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여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비상 상황 발생 시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된 비상 개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는 상기 비상 개방장치에 의한 도어의 수동 개방을 방지하는 비상 개방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수단은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따라 작동되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잠금 스위치,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수단, 및 상기 잠금 스위치의 신호 입력에 따라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작동수단은 잠금롤러 가이드와 잠금롤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스위치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수단은 도어 행거에 설치된 잠금부 및 로커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캠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스위치의 신호 입력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3열 이상의 다열 나선을 구비하고, 1회전당 20mm 이상의 리드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너트는 윤활성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20110015722A 2010-10-29 2011-02-22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1436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029 2010-10-29
KR20100107029 2010-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989A true KR20120045989A (ko) 2012-05-09
KR101436675B1 KR101436675B1 (ko) 2014-09-01

Family

ID=4626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722A KR101436675B1 (ko) 2010-10-29 2011-02-22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76B1 (ko) * 2019-12-30 2021-03-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904B1 (ko) * 2021-03-24 2023-02-06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80A (ko) * 1997-03-05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0729201B1 (ko) 2006-05-24 2007-06-19 주식회사 동양슬라이드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1028333B1 (ko) * 2008-08-21 2011-04-13 주식회사 상아바이오텍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SG174623A1 (en) * 2009-04-02 2011-11-28 Voces Co Ltd Electrical door-loc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76B1 (ko) * 2019-12-30 2021-03-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675B1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3024C (en) Transit vehicle door
JP594022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US7556126B2 (en) Elevator escape arrangement
EP3636577B1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US10822201B2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US9446930B2 (en)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KR20120045989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1262148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300910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5040667B2 (ja) エレベータかご救出装置
JP503370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120039103A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CN112390118B (zh) 电梯的门装置
US20230242373A1 (en) Elevator systems with improved monitoring
CN109850731B (zh) 电梯
KR100221960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KR101665344B1 (ko) 승강기 충돌 방지장치
KR19980072380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