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380A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380A
KR19980072380A KR1019970007169A KR19970007169A KR19980072380A KR 19980072380 A KR19980072380 A KR 19980072380A KR 1019970007169 A KR1019970007169 A KR 1019970007169A KR 19970007169 A KR19970007169 A KR 19970007169A KR 19980072380 A KR19980072380 A KR 1998007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elevator
lev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0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380A/ko
Publication of KR1998007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380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카도어 잠금 장치를 구동시키므로 솔레노이드의 동작 불량시 카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카 위치 검출기에 의해 카 잠금 위치를 판단하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의 에러 등에 의해 뜻하지 않는 고장 또는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카도어 잠금 장치를 기계적 장치로 하여 카가 오픈존에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카가 오픈존에 벗어나 있을 경우에는 카도어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엘리베이터가 고장 또는 사고로 오픈존에서 벗어나 정지한 경우 기계적인 카도어 잠금 장치로 인해 엘리베이터 안의 승객이 카도어를 강제로 열수 없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가 고장난 상태로 승강로 중간층에 정지하였을 경우 카도어를 잠금으로써, 카 내의 승객이 카 도어를 강제로 열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승강로에 추락하는 일이 없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출입구 측의 도어를 강제로 열어 이용자의 부주위에 의한 승강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승장도어 잠금장치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근래들어 엘리베이터 사용자도 각종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해가 크게 증진되어 정전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을 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내에서 구조를 기다리지는 않고 스스로 탈출하려고 시도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카가 정지층(카도어 장치가 승장 도어를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구간)에 멈추지 못할 경우 승장측에서는 도어를 열지 못하지만 카측에서는 카도어를 수동으로 열수 있기 때문에 카도어를 열고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해제시켜 카와 출입구와의 좁은 틈으로 탈출을 시도하다가 승강로에 추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국 엘리베이터 규격에서는 카도어의 잠금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용 전동기(1)와, 상기 전동기(1)의 축에 설치된 풀리(2)와, 상기 풀리(2)의 회전력을 감속하도록 상기 풀리(2)와 벨트(4)로 연결된 벨트 풀리(3)와, 상기 벨트 풀리(3)의 축에 설치된 스프라켓(5)과, 상기 스프라켓(5)의 회전력을 감속하도록 상기 스프라켓(5)과 체인(7)으로 연결된 체인 풀리(6)와, 상기 체인 풀리(6)에 일단이 고정된 구동용 링크(8)와, 상기 구동용 링크(8)의 타단에 연결된 링크(9)와, 상기 링크(9)의 일단에 연결된 암(10)과, 상기 암(10)의 일단과 볼트로 체결되는 행어 플레이트(11)와,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레일(12)과,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의 하단에 고정된 카도어 패널(13)과, 상기 카도어 패널(13)에 설치되는 클러치(14)와, 도어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15)와, 상기 베이스(15)에 설치되는 캠(16)과, 승장 도어(미도시됨) 잠금 장치의 구동 롤러(17)와, 상기 베이스(15)에 설치되는 카도어 잠금 장치(18)와,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카도어 잠금 걸림쇠(19)로 구성된다.
상기 카도어 잠금 장치(18)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에 설치된 걸림쇠(19)에 걸려 있는 레버(21)와, 상기 레버(21)를 지지하는 스프링(22)과, 상기 레버(22)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미도시됨)에서 도어 열림 구동 지령이 발생하면 도어 구동용 전동기(1)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전동기(1)의 회전에 따라 풀리(2)가 회전한다.
상기 풀리(2)는 벨트 풀리(3)와 벨트(4)로 연결되어 전동기(1)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게 되고, 전동기(1)의 회전 속도를 풀리(2)와 벨트 풀리(3)가 1차 감속시킨다.
상기 벨트 풀리(3)의 축에는 스프라켓(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라켓(5)은 체인(7)으로 체인 풀리(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동기(1)의 회전속도는 스프라켓(5)과 체인 풀리(6)에 의해 2차 감속된다.
상기 체인 풀리(6)의 회전에 따라 체인 풀리(6)에 일단이 고정된 구동용 링크(8)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구동용 링크(8)의 회전은 링크(9)와 암(10)을 직선 운동 시킨다.
상기 암(10)은 일단이 행어 플레이트(1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암(10)의 직선운동은 행어 플레이트(11)를 도어 레일(12)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의 좌우 방향의 운동에 의해 행어 플레이트(11)의 하단부에 고정된 카도어 패널(13)도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카도어 패널(13)이 완전 열림 위치에 도달하면 전동기(1)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 카도어 패널(13)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부한 도 3은 카도어와 승장 도어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카도어가 열리면 카도어 패널(13)에 고정되어 되어 있는 클러치(14)도 동시에 움직이게 되고, 클러치(14)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구동 롤러(17)를 물고 움직이게 되어 승장 도어 패널(23)도 동시에 움직인다.
첨부한 도 4a 내지 4b는 상기 클러치(14)와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카가 오픈존(open zone; 카도어 동작시 클러치에 의해 승장 도어를 연동시켜 열 수 있는 구간)에 있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 준다.
이때. 클러치(14)는 캠(16)에 의해 클러치(14) 사이의 폭이 넓어져 승장 도어 잠금 장치와 서로 붙지 않도록 된다.
카도어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클러치(14)가 캠(16)을 타고 내려 가면서 클러치(14) 사이의 폭이 좁아지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구동 롤러(17)를 회전시켜 승장도어 잠금 걸림쇠(미도시됨)에 닿지 않도록 한 후 클러치(14)와 같이 움직여 승장 도어를 열게 한다.
카도어 잠금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 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정지층에 위치한 경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레버(21)를 밀어 행어 플레이트(11)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19)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카도어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엘리베이터가 정지층에 위치하지 않으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카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카도어 잠금 장치(18)를 구동시키므로 솔레노이드(20)의 동작 불량시 카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카 위치 검출기에 의해 카 잠금 위치를 판단하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의 에러 등에 의해 뜻하지 않는 고장 또는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카도어 잠금 장치를 기계적 장치로 하여 카가 오픈존에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카가 오픈존에 벗어나 있을 경우에는 카도어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엘리베이터가 고장등으로 인해 도어 오픈존에 벗어나 정지한 경우에는 카도어를 강제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
도 2a는 종래의 카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
도 2b는 종래의 카도어 잠금 장치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종래의 카도어와 승장 도어의 연동 관계를 도시한 도.
도 4a는 종래의 클러치와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b는 종래의 클러치와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
도 6a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카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b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카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c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카도어 잠금 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d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카도어 잠금 장치를 강제적으로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카도어 잠금 걸림쇠 25; 조정용 볼트
26; 복귀 스프링 27; 레버
28; 카도어 잠금 해제용 레버 29; 스토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구동용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1차 감속시키는 벨트 풀리부와, 상기 벨트 풀리부로 감속된 회전속도를 2차 감속시키는 체인 풀리부와, 상기 체인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카도어 패널과, 상기 카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클러치와, 도어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 카도어 걸림쇠가 부착되고, 오픈존에서 상기 카도어 패널을 강제적으로 열면 상기 카도어 걸림쇠에 걸리도록 플렌지가 일단에 형성된 레버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 카도어 잠금 해제용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스트로크 조정용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레버를 지지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용 전동기(1)와, 상기 전동기(1)의 축에 설치된 풀리(2)와, 상기 풀리(2)의 회전력을 감속하도록 상기 풀리(2)와 벨트(4)로 연결된 벨트 풀리(3)와, 상기 벨트 풀리(3)의 축에 설치된 스프라켓(5)과, 상기 스프라켓(5)의 회전력을 감속하도록 상기 스프라켓(5)과 체인(7)으로 연결된 체인 풀리(6)와, 상기 체인 풀리(6)에 일단이 고정된 구동용 링크(8)와, 상기 구동용 링크(8)의 타단에 연결된 링크(9)와, 상기 링크(9)의 일단에 연결된 암(10)과, 상기 암(10)의 일단과 볼트로 체결되는 행어 플레이트(11)와,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레일(12)과, 상기 행어 플레이트(11)의 하단에 고정된 카도어 패널(13)과, 상기 카도어 패널(13)에 설치되는 클러치(14)와, 도어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15)와, 상기 베이스(15)에 설치되는 캠(16)과, 승장 도어(미도시됨) 잠금 장치의 구동 롤러(17)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클러치(14)에 카도어 걸림쇠(24)가 부착되고, 오픈존에서 상기 카도어 패널(13)을 강제적으로 열면 상기 카도어 걸림쇠(24)에 걸리도록 플렌지(27a)가 일단에 형성된 레버(27)가 상기 베이스(15)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27)의 타단에 카도어 잠금 해제용 레버(28)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27)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베이스(15)에 스트로크 조정용 볼트(25)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5)에 상기 레버(27)를 지지하도록 스프링(2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구동은 종래와 동일하다.
첨부한 도 6a는 정지층에서 카도어가 닫힌 상태의 클러치(14)와 승장 도어 잠금 장치 구동 롤러(17)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14)가 캠(16)에 의해 들어올려져 클러치(14) 사이의 폭이 넓어져 있는 상태이다.
카도어가 동작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14)가 캠(16)을 타고 내려오면서 점점 좁혀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구동 롤러(17)와 물려 클러치(14) 사이의 폭이 승장 도어 잠금 장치 구동 롤러(17)의 직경과 동일하게 된다.
이때, 클러치는(14) 약간 들려있는 상태이고, 클러치(14)에 설치된 걸림쇠(24)는 레버(27)에 닿지 않은 상태이므로, 카도어는 승장도어를 연동시켜 도어를 열게 된다.
카가 오픈존을 벗어난 경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도어를 강제로 열면 클러치(14)가 캠(16)을 타고 내려오면서 점점 좁혀지게 되고 승장 도어 잠금 장치 구동 롤러(17)가 없기 때문에 클러치(14)는 스토퍼(29)에 닿을 때까지 내려오게 되고, 상기 걸림쇠(24)는 레버(27)의 플렌지(27a)와 물려 더 이상 카도어 패널(13)을 열수 없게 된다.
상기 레버(27)의 위치는 스트로크 조정용 볼트(25)에 의해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카도어의 잠금 장치가 작동된 경우 보수 요원이 밖에서 카도어 잠금 해제용 레버(28)를 밀어내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24)에서 레버(27)를 해제시켜 카도어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므로 승객을 구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고장이나 사고로 오픈존에서 벗어나 정지한 경우 기계적인 카도어 잠금 장치로 인해 엘리베이터 안의 승객이 카도어를 강제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 구동용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1차 감속시키는 벨트 풀리부와, 상기 벨트 풀리부로 감속된 회전속도를 2차 감속시키는 체인 풀리부와, 상기 체인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카도어 패널과, 상기 카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클러치와, 도어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 카도어 걸림쇠가 부착되고, 오픈존에서 상기 카도어 패널을 강제적으로 열면 상기 카도어 걸림쇠에 걸리도록 플렌지가 일단에 형성된 레버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 카도어 잠금 해제용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스트로크 조정용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레버를 지지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19970007169A 1997-03-05 1997-03-05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9980072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169A KR19980072380A (ko) 1997-03-05 1997-03-05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169A KR19980072380A (ko) 1997-03-05 1997-03-05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80A true KR19980072380A (ko) 1998-11-05

Family

ID=6598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69A KR19980072380A (ko) 1997-03-05 1997-03-05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75B1 (ko) * 2010-10-29 2014-09-01 한국산업은행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75B1 (ko) * 2010-10-29 2014-09-01 한국산업은행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759B1 (en) Door coupler and latch system for elevator car and landing doors
EP3636577B1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US6340073B1 (en) Elevator door system
EP3331803B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5693919A (en) Evacuation system for elevators
JPWO20060979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GB2112352A (en) Locking lift car doors
WO2009128155A1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US5139112A (en) Elevator car door lock
WO2005123562A1 (en) Elevator door system
CN108263937B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CA1191632A (en) Elevator system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5899302A (en) Elevator door interlock
KR19980072380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CN113544076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KR100414298B1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23195165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225950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12390118B (zh) 电梯的门装置
KR100812483B1 (ko) 엘리베이터 카 문의 인터록 장치
JPH04550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