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976B1 -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976B1
KR102228976B1 KR1020190177390A KR20190177390A KR102228976B1 KR 102228976 B1 KR102228976 B1 KR 102228976B1 KR 1020190177390 A KR1020190177390 A KR 1020190177390A KR 20190177390 A KR20190177390 A KR 20190177390A KR 102228976 B1 KR102228976 B1 KR 10222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handle
door
emergency
electric vehic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는 비상핸들 중 어느 일측을 작동시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할 경우, 타측 비상핸들과 연결된 비상핸들 캠 및 와이어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스크류가 좌우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하부에 도어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는 행거부재와, 상기 행거부재에 설치되는 잠금너트와,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너트를 회전시키는 비상핸들 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sutrucute of a cam for a door emergency handle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는 비상핸들 중 어느 일측을 작동시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할 경우, 타측 비상핸들과 연결된 비상핸들 캠 및 와이어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사람을 한꺼번에 이동시키는 대형 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 전철, 기차 등의 차량에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출입구에는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슬라이드 방식이나 회동 방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주로 도시 철도 운행에 사용되는 전철 차량의 출입문은 각 출입구에 유압 또는 전동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통상 롤러에 의해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행거에 각 도어가 거치되고, 모터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행거가 수평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에 출입문이 열릴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므로, 폐쇄 위치에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비정상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겨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해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할 때,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승객이나 승무원 등이 직접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상완해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비상완해장치는 통상 레버나 핸들과 같은 조작기구를 구비하며, 이를 손으로 작동시키면 도어 잠금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해 도어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비상완해장치는 차량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비상시 차량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도어를 수동개방할 수 있게 하는데, 종래의 스크류 방식의 도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일측의 비상완해장치를 작동할 경우, 일측의 와이어(21,22)가 당겨지게 되며, 그에 따라 양측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하여 양측의 비상핸들 캠(20)이 모두 작동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비상완해장치가 작동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21)는 당겨지게 되지만 타측은 비상완해장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서 이와 연결된 타측 와이어(22)가 당겨지지 않게 되므로 일측 와이어(21)에 의해 비상핸들 캠(20)이 회전하게 될 경우, 타측 와이어(22)는 휘어지게 되어 정상 위치에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비상상황이 완료된 후, 비상완해장치를 원위치 시킬 경우, 비상핸들 캠(20)에 설치된 스프링의 복귀작용에 의해 비상핸들 캠(20)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비상핸들 캠(20)이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어 연결된 와이어(21) 역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지만, 타측의 와이어(22)는 정상위치에서 이탈된 상태이므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어 추후에 비상상황에서 타측의 비상완해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091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비상핸들을 작동시켜 잠금상태인 전동차의 도어를 해제하게 되는데, 각 비상핸들은 각각의 비상핸들 캠과 와이어로 연결되고 각 비상핸들 캠에 의해 작동되는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을 구비하여 일측의 비상핸들의 작동으로 일측의 비상핸들 캠만이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타측 비상핸들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휘어져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스크류가 좌우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하부에 도어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는 행거부재와, 상기 행거부재에 설치되는 잠금너트와,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너트를 회전시키는 비상핸들 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상핸들 캠과 잠금너트 사이에는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이 더 구비되되,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너트에는 레버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레버와 접하도록 가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부의 사이에 전동차의 내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 및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과 각각 와이어로 연결되는 상기 비상핸들 캠 한 쌍이 구비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상핸들 캠은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 캠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캠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수용홈의 단부에는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수용홈의 단부에는 상기 절개홈을 커버하는 고정클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비상핸들을 작동시켜 잠금상태인 전동차의 도어를 해제하게 되는데, 각 비상핸들은 각각의 비상핸들 캠과 와이어로 연결되고 각 비상핸들 캠에 의해 작동되는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을 구비하여 일측의 비상핸들의 작동으로 일측의 비상핸들 캠만이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타측 비상핸들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휘어져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캠부의 후부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의 캠부의 후부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구동장치를 우선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610)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500)와 상기 이송스크류(500)에 좌우로 이동하되 하부에 도어가 설치되는 행거부재(510)와 상기 이송스크류(5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행거부재(51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롤러(5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도어가 닫히는 방항의 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롤러(540)가 삽입되는 잠금홈(620)이 형성되어 양측의 도어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540)가 잠금홈(620)에 삽입되게 되어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어 임의로 개방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500)는 상기 롤러(54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행거부재(510)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롤러(540)의 하부에 상기 잠금홈(620)이 위치히게 되어 이송스크류(500)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54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롤러(540)가 잠금홈(620)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롤러(540)가 상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송스크류(500)가 회전하게 되면 롤러(540)가 상부로 이동한 후, 레일을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540)가 잠금홈(62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도어가 개방될 수 없게 되어 전동차가 운행 중에는 임의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동차의 도어와 인접한 곳에 전동차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핸들(미도시)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는 상기 비상핸들에 의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상기 이송스크류(500)가 좌우로 관통하는 중심축(200)과 상기 중심축(200)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이송스크류(5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행거부재(510)에 설치되는 잠금너트(520)와 상기 중심축(50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잠금너트(520)를 회전시키는 비상핸들 캠(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공(205)에는 상기 이송스크류(500)가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좌우 관통되도록 통공(110)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500)가 삽입되고, 지지대(100)의 단부는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610)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스크류(500)의 중심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핸들 캠(300)은 전동차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비상핸들과 와이어(630)로 연결되어 비상핸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비상핸들 캠(300)이 회전하여 잠금너트(52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래서, 승객이나 관리자가 비상상황에서 상기 비상핸들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비상핸들 캠(300)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잠금너트(52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홈(620)에 삽입된 롤러(540)가 잠금홈(620)에서 인출되어 관리자 또는 승객이 도어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핸들 캠(300)과 잠금너트(520) 사이에는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은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는 제1회전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부(420)는 좌우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20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너트(520)의 일측에는 레버(5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는 가압바(4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바(430)는 상기 레버(530)와 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승객 또는 관리자가 비상핸들을 작동하여 비상핸들 캠(300)이 회전하게 되면, 비상핸들 캠(300)에 의해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이 회전하고, 그에 따라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에 설치되는 가압바(430)가 상기 레버(530)를 가압하여 잠금너트(5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너트(520)에 설치된 롤러(540)가 회전하여 잠금홈(620)에서 이탈되게 됨으로써,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41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420)의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비상핸들 캠(3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비상핸들 캠(300)은 전동차의 내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 및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과 각각 와이어(630)로 연결됨으로써, 비상핸들의 제어에 의해 각각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핸들 캠(300)은 상기 중심축(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전부(310)와 상기 제2회전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캠부(320)와 상기 캠부(3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의 몸체(410)를 가압하는 가압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캠부(320)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와이어(630)가 삽입되는 와이어 수용홈(3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어 수용홈(330)의 단부에는 와이어(322)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332)이 형성된다.
그래서, 승객 또는 관리자가 비상핸들을 작동시키게 되면 와이어(630)가 당겨지고, 와이어(630)의 단부가 연결된 캠부(330)의 단부를 당겨주어 비상핸들 캠(300)이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의 몸체(4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수용홈(330)의 단부 즉, 상기 캠부(320)의 단부에는 고정클립(3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클립(340)은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캠부(320)의 측부에 와이어 수용홈(3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332)을 커버하도록 고정볼트(부호 미도시)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와이어 수용홈(330)에 삽입된 와이어(630)의 단부를 상기 절개홈(332)에 삽입한 후, 상기 고정클립(340)을 볼트로 고정하여 와이어(630)를 캠부(320)와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0)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가이드홈(12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캠부(320)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35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20)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리자나 승객이 비상핸들을 작동시키게 되어 비상핸들 캠(300)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350)가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바(350)가 가이드홈(120)의 단부와 접하게 되면 더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어 비상핸들 캠(300)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비상핸들 캠(300)의 사이에는 중심 스페이서(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심 스페이서(230)는 마찰이 적은 테프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전동차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과 각각 와이어(630)로 연결되는 비상핸들 캠(300)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각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객 또는 관리자가 전동차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 중 어느 일측의 비상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한 쌍의 비상핸들 캠(300) 중 어느 일측의 비상핸들 캠(300)만이 작동하게 되고 타측의 비상핸들 캠(300)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를 사용할 경우, 비상상황에서 일측의 비상핸들 캠(300)만이 작동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됨으로써, 타측의 비상핸들 캠(300)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된 와이어(630)가 늘어져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 중 어느 하나만 작동시키더라도 한 쌍의 비상핸들 캠(20)이 모두 회전하게 됨으로써, 비상핸들 캠(20)과 연결된 와이어(21,22) 중 작동된 비상핸들과 연결된 와이어(21)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지만, 타측 와이어(22)는 휘어지게 되어 복귀시에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게 되므로 추후 사용할 때 정상 작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는 한 쌍의 비상핸들 캠(300) 중 작동된 비상핸들과 연결된 일측만 회전하게 됨으로써, 와이어(630)가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비상상황 해제 후, 와이어(630)가 복귀시에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추후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의 양측부와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이 원래의 위치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어 비상핸들이 원위치 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이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400)을 형성하는 제1회전부(420)의 양측부에는 측부 스페이서(220)가 더 구비되어 지지대(100)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며, 지지대(100)와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20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 플레이트(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 플레이트(210)는 지지대(100)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축(200)의 타측 단부는 타측 지지대(100)의 통공(110)에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중심축(200)을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는 비상핸들 중 어느 일측을 작동시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할 경우, 타측 비상핸들과 연결된 비상핸들 캠 및 와이어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통공
120 : 가이드홈 200 : 중심축
210 : 고정 플레이트 220 : 측부 스페이서
230 : 중심 스페이서 300 : 비상핸들 캠
310 : 제2회전부 320 : 캠부
330 : 와이어 수용홈 340 : 고정클립
350 : 가이드바 400 :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
410 : 몸체 420 : 제1회전부
430 : 가압바 500 : 이송스크류
510 : 행거부재 520 : 잠금너트
530 : 레버 540 : 롤러
610 : 베이스 프레임 620 : 잠금홈
630 : 와이어

Claims (8)

  1. 전동차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스크류가 좌우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하부에 도어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는 행거부재와,
    상기 행거부재에 설치되는 잠금너트와,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너트를 회전시키는 비상핸들 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상핸들 캠과 잠금너트 사이에는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이 더 구비되되, 상기 비상핸들 해제 브라켓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너트에는 레버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레버와 접하도록 가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의 사이에 전동차의 내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 및 외측에 설치되는 비상핸들과 각각 와이어로 연결되는 상기 비상핸들 캠 한 쌍이 구비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핸들 캠은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 캠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수용홈의 단부에는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홈의 단부에는 상기 절개홈을 커버하는 고정클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KR1020190177390A 2019-12-30 2019-12-30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KR10222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0A KR102228976B1 (ko) 2019-12-30 2019-12-30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0A KR102228976B1 (ko) 2019-12-30 2019-12-30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976B1 true KR102228976B1 (ko) 2021-03-17

Family

ID=7524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90A KR102228976B1 (ko) 2019-12-30 2019-12-30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9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711A (ko) * 2009-05-26 2010-12-06 (주)보체스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KR20120045989A (ko) * 2010-10-29 2012-05-09 (주)보체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120078253A (ko) * 2010-12-31 2012-07-10 (주)보체스 플러그 도어 시스템
KR20120138574A (ko) * 2011-06-15 2012-12-26 (주)보체스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101300910B1 (ko) 2011-11-14 2013-08-27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711A (ko) * 2009-05-26 2010-12-06 (주)보체스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KR20120045989A (ko) * 2010-10-29 2012-05-09 (주)보체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120078253A (ko) * 2010-12-31 2012-07-10 (주)보체스 플러그 도어 시스템
KR20120138574A (ko) * 2011-06-15 2012-12-26 (주)보체스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101300910B1 (ko) 2011-11-14 2013-08-27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20B1 (ko)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1003732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DE60128882T2 (de) Mittig schliessbare doppelt aufgehängte Türvorrichtung für Fahrzeuge
US8661733B2 (en) Electrical door-locking device
US6739092B2 (en) Transit vehicle door operator and lock
DE202017105041U1 (de) Antiklemmsteuersystem für angetriebene Fahrzeugtüren
KR101034590B1 (ko)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US8517433B2 (en) Locking device of a door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DE60117274T2 (de) Rücksitzverriegelung für fahrzeuge
DE10309821A1 (de) Kraftfahrzeug
JPS5929110Y2 (ja) ドア作動器
EP1659083A2 (de) Einrichtung zum Verbinden einer Kabinentür mit einer Schachttür und eine Einrichtung zur Notentriegelung einer Kabinentür
DE102013222955A1 (de) Doppelte Haubenverriegelungsanordnung
JP2019510148A (ja) 両開きのスライディングプラグドアシステム
EP3421700B1 (en) Door operator system, emergency release device and door isolation lock for a transit vehicle door
JP3502001B2 (ja) 非常脱出ドア装置
DE102020211781A1 (de) Elektrische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CA2580635C (en) Floor lock
KR102228976B1 (ko)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US5456504A (en)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access door on a passenger railway vehicle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JP2001140522A (ja) 駅ホームドア、及び駅ホームドアの手動解錠方法
JPH04212626A (ja) 車両ルーフ
KR101743004B1 (ko) 전동차량의 윈도우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