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803A -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803A
KR20120043803A KR1020100105019A KR20100105019A KR20120043803A KR 20120043803 A KR20120043803 A KR 20120043803A KR 1020100105019 A KR1020100105019 A KR 1020100105019A KR 20100105019 A KR20100105019 A KR 20100105019A KR 20120043803 A KR20120043803 A KR 2012004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hutter
unit
electronic compone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626B1 (ko
Inventor
황영수
송민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틱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틱 장착부와, 스틱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고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부와, 스틱 장착부에 고정된 스틱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자부품을 셔터부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셔터부는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틱 공급장치는 전자부품 공급의 구동원으로 공기압을 사용함으로써 이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속의 부품공급을 실현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틱이 장착될 수 있으므로 스틱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픽업 포인트 부위에 셔터블록을 설치하여 전자부품의 공급시에 전자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Stick feeder for surface mount device}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에서 전자부품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부품 실장기에 공급할 수 있는 스틱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surface mounting device, SMD)는 다수개의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각각의 부품 장착부가 설정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위에 고속도 및 고정밀도로 실장하는 장치이다. 이때 표면실장기로 공급되는 전자부품은 테이프 롤(tape roll)형태, 트레이(tray)형태 및 스틱(stick)형태 등으로 공급이 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부품 공급장치도 테이프 공급장치(tape feeder), 트레이 공급장치(tray feeder) 또는 스틱 공급장치(stick feeder) 등으로 분류된다.
스틱 공급장치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스틱에 공급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자부품을 하나씩 차례로 표면실장기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스틱에 저장된 전자부품은 리이드의 형상과 그 단부에 형성된 핀의 개수에 따라 분류되고, 각 전자부품의 크기와 형상에 맞는 스틱에 전자부품을 저장하여 스틱 공급장치에 장착하게 된다.
스틱 공급장치가 표면실장기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과정은 픽업되는 위치까지 전자 부품을 이송하고, 픽업이 완료되면 다음 전자부품이 픽업되는 위치까지 이송되는 과정을 되풀이 하며, 스틱 내의 전자부품이 모두 소모되면 새로운 스틱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스틱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을 픽업되는 위치까지 이송하는 부분과, 전자부품이 픽업되면 이것을 감지하는 부분과, 스틱에 저장된 전자부품이 모두 소모된 것을 감지하는 부분과, 전자부품이 소모되어 빈 스틱을 제거하고 새로운 스틱을 재장착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스틱 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종래의 방법 중 하나는 중력에 의하여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중력에 의한 이송 중에 인접한 전자부품간의 간섭으로 리이드가 손상되거나 공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999-0047801호와 같이 진동자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방법도 있는데, 진동자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진동에 의하여 주변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전자부품의 이송 시에 속도의 편차 등이 발생하여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이 픽업되는 신뢰성이 낮아지며, 이송 속도가 낮아서 표면실장기의 실장속도를 따라갈 수 없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종래의 스틱 공급장치가 가진 또 다른 문제점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부품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다는 것이다. 종래의 스틱 공급장치는 스틱의 장착 부위가 가변시킬 수 없는 전용 구조물이거나, 부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부품 가이드 구성이 복잡하여 일정한 크기나 형상의 전자부품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전자부품의 종류가 바뀌면 공급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의 공급과 셔터의 개폐를 작동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표면실장기에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을 장착할 수 있어서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른 대응 능력이 향상된 스틱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틱 장착부와, 스틱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고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부와, 스틱 장착부에 고정된 스틱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자부품을 셔터부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셔터부는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부는 셔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틱을 고정하는 스틱 지지대를 포함하고, 탄성부재에 연결된 제1링커가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제1링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링커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링커에 연결된 스틱 지지대가 스틱의 하부를 지지하여 스틱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부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틱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틱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부는 공기압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길이의 스틱을 장착할 수 있도록 스틱 장착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부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와, 공기 주입부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틱 공급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전자부품 공급의 구동원으로 공기압을 사용함으로써 이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속의 부품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2. 셔터의 개폐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셔터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장치의 내구성을 개선하였다.
3. 스틱 장착부와 셔터부를 다양한 형태의 스틱이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에 대응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틱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스틱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4. 픽업을 위해 전자부품이 대기하는 위치인 픽업 포인트 부위에 셔터블록을 설치하여 전자부품의 공급시에 전자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스틱으로부터 전자부품이 나오는 끝단이 픽업 포인트에 인접되도록 구성하여 빠른 응답 속도가 구현되고, 전자부품 이송 중에 리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에 스틱이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에서 셔터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공기 공급부와 스틱 장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부품 실장용 스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에서 연결 튜브의 연결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스틱 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이 표면실장기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틱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틱 장착부와, 스틱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고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부와, 스틱 장착부에 고정된 스틱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자부품을 셔터부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셔터부는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틱 공급장치(1000)는 공기 공급부(100), 스틱 장착부(200), 셔터부(300), 길이 조절부(400) 및 핸들부(500)로 이루어진다. 공기 공급부(100)는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 내부에 공기를 짧은 시간동안 주입하여 전자부품을 픽업 포인트까지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고, 스틱 장착부(200)는 스틱의 일단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셔터부(300)는 스틱의 다른 일단을 고정하면서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고, 길이 조절부(400)는 서로 다른 길이의 스틱이 스틱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스틱 장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핸들부(500)는 스틱 공급장치를 부품실장기에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도와주면서 장치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셔터부(300)는 크게 셔터(301)와 스틱 지지대(311)가 형성된 상부와, 센서(308)와 실린더(305)가 형성된 하부로 나누어진다. 셔터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셔터(301)는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의 픽업하는 동안 전자부품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요소이고, 스틱 지지대(311)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틱을 셔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셔터부(300)의 하부에 형성된 센서(308)는 셔터(301)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실린더(305)는 셔터(301)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셔터부의 상부는 셔터(301), 셔터 블록(302), 셔터 가이더(303), 스틱 고정판(304) 및 스틱 지지대(311)로 이루어지는데, 스틱 지지대(311)의 작동과 관련된 구성으로 탄성부재(312), 제1링커(316), 제2링커(313a, 313b), 제2링커 연결축(318a), 제2링커 회전축(318b) 및 제2링커 이동 돌기(318c)가 있다. 셔터부의 하부는 실린더(305), 제2공기압 조절부(306), 제3튜브 연결부(307), 센서(308), 감지판(309) 및 피스톤(310)으로 이루어진다. 셔터부에서 스틱 지지대가 작동하는 과정과 셔터가 개폐 작동되는 과정은 각각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에 스틱이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셔터부에 스틱이 장착되기 전의 도면이고, (b)는 스틱이 장착된 후의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스틱이 장착되기 전에는 스틱 지지대(311)가 위쪽으로 올라와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스틱 지지대(311) 하부에는 탄성부재(312)에 연결된 제1링커(316)가 연결되어 있고, 제1링커(316)에는 제2링커 연결축(318a)에 의하여 2개의 제2링커(313a, 313b)가 연결되어 있다. 제2링커(313a, 313b)는 제2링커 회전축(318b)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제2링커(313a, 313b)가 회전하면 제2링커 이동 돌기(318c)가 제2링커 이동홀(315a, 315b)을 따라 이동하며, 제2링커 이동 돌기(308c)는 스틱 지지대(31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셔터부(300)에 스틱(700)이 삽입되면 스틱 지지대(311)가 하부로 이동한다. 스틱 지지대(311)가 하부로 이동하면, 스틱 지지대(31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제2링커 이동 돌기(308c)가 하부로 내려오고, 제2링커(313a, 313b)가 제2링커 회전축(318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2링커 연결축(318a)에 연결된 제1링커(316)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링커(316)의 일단은 탄성부재(31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탄성에 의하여 스틱 지지대(311)가 스틱의 하부면에 힘을 가하면서 스틱(7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틱 지지대가 탄성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틱이 셔터부에 동시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즉, 셔터부에는 복수개의 스틱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께가 서로 다른 스틱이 동시에 셔터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틱 지지대에 복수개의 제2링커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틱 지지대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스틱과 평행하게 위치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스틱 지지대가 스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스틱 지지대가 장착된 스틱을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라면, 스틱 고정판은 스틱을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틱이 삽입부분에 한 쌍의 날개로 이루어진 스틱 고정판(304)이 설치되어 있다. 스틱 고정판의 날개는 탄성을 가지면서 중심부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틱이 장착된 후에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셔터부에서 셔터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셔터부에 스틱이 장착되고 셔터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셔터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틱(700)이 셔터부(300)에 장착되어 있고, 셔터 블록(302) 및 셔터(301)가 스틱(700)의 단부를 덮고 있다. 셔터부(300)의 하부는 실린더(305), 제2공기압 조절부(306), 제3튜브 연결부(307), 센서(308), 감지판(309) 및 피스톤(31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스톤(310)은 연결블록(321)으로 셔터(301)의 하부와 연결되어 피스톤(310)이 좌우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 셔터(301) 및 셔터 블록(302)이 개폐된다. 센서(308)는 셔터(30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센서(308)의 광송신부와 광수신부 사이로 감지판(309)이 삽입되면 센서는 셔터가 닫힌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실린더(305)의 하부에는 제2공기압 조절부(306)와 제3튜브 연결부(307)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3튜브 연결부(307)에는 압축 공기가 연결되어 실린더(305)의 내부로 공기압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고, 제2공기압 조절부(306)는 외부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조절하게 된다. 공기압의 조절은 스틱에 저장된 전자부품의 크기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하다. 셔터 블록(302)은 전자부품이 흡착노즐에 의하여 픽업되는 픽업 포인트의 상부를 덮고 있는데, 스틱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이탈되거나 불안정하게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터(301)의 하부면보다 낮게 단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픽업 포인트로 이송된 전자부품을 흡착노즐이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연다. 제3튜브 연결부(307)에 연결된 압축 공기의 조절에 의하여(압축 공기의 공급 조절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7에서 설명한다) 피스톤(310)이 실린더(305)의 내부로 들어오고, 연결블록(321)에 의하여 피스톤(310)에 연결된 셔터(301)가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셔터가 열리게 된다. 셔터(301)의 측부에는 기울기를 가지는 셔터 이동홀(317a, 317b)이 형성되어 있는데, 셔터(301)의 내측에 형성된 셔터 이동 돌기(320a, 320b)가 셔터 이동홀(317a, 317b)에 가이드되어서 셔터(301)가 열리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셔터 가이더(303)는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동시에 셔터가 위쪽으로 올라간 후에도 스틱이 여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스틱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부의 구동원으로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지만 전기로 작동되는 모터와 같이 다른 방식의 구동원이 이용될 수도 있다. 모터를 셔터부의 구동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예를 들면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이용될 수 있다.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구동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터의 하부에 랙기어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별도로 고정시켜 설치한 후 모터를 작동시키면 셔터부의 셔터를 개폐시킬 수 있다.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피니언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랙기어에 연결된 셔터가 앞뒤로 이동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고, 랙기어의 끝단에 감지판을 형성하면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전자부품의 공급과 셔터의 개폐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부를 모터로 구동시키면, 셔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구성이 생략되며, 공기압에 의하여 스틱의 전자부품을 공급하면서 모터에 의하여 셔터를 개폐시키는 방식으로 스틱 공급장치가 작동되게 된다. 다만,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셔터부를 구동시키는 것은 모터를 이용한 구동방식의 한 예가 될 뿐이고, 다른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셔터부가 개폐되도록 셔터부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의 공기 공급부와 스틱 장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틱 장착부는 노브(201), 스틱 홀더(202), 샤프트 핀(203) 및 패드(204)로 이루어진다. 스틱 홀더(202)는 스틱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고, 샤프트 핀(203)은 스틱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이며, 노브(201)는 스틱을 장착하고 샤프트 핀(203)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패드(204)는 스틱의 끝단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공기 공급부는 제1공기압 조절부(101) 및 제1튜브 연결부(102)로 이루어지는데, 제1튜브 연결부(102)에는 제2튜브 연결부(104)에서 연결된 튜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가 제공되고, 제1공기압 조절부(101)에서는 공급되는 공기압이 조절된다. 연결부재(103)는 스틱 장착부와 조절봉(401)을 연결해주고, 조절봉(401)은 고정블록(402)과 고정핀(403)을 이용하여 스틱 길이에 맞추어 스틱 장착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고정블록(402)은 스픽 공급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블록(402) 내부에 형성된 홀을 따라서 조절봉(401)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조절봉(401)에 연결될 연결부재(103)를 따라서 스틱 장착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연결부재(103)는 스틱 장착부가 셔터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서 전자부품이 공기압에 의하여 픽업 포인트로 이송될 때 경사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원활한 전자부품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6은 부품 실장용 스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틱(70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바(bar)의 형태를 가지고, 내부 공간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702)이 저장되어 있다. 스틱(700)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만큼 상부면(701)이 절단되어 있는데, 이는 픽업 포인트에서 픽업될 전자부품이 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 공급장치에서 연결 튜브의 연결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축공기 연결부(803)의 일단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기체 봄베나 에어 컴프레서가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2개의 연결튜브(800)가 분기되어 연결된다. 분기되어 연결된 연결튜브 중 하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801)를 통하여 셔터부의 실린더(305)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802)를 통하여 공기 공급부의 제2튜브 연결부(104)로 연결된다(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튜브 연결부는 별도의 연결튜브로 제1튜브 연결부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80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802)의 작동에 의하여 전자부품의 공급과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틱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의 공급에 이용되는 구동원과 셔터부의 구동원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전자부품의 공급불량 발생 가능성이 낮고, 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전자부품의 공급과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스틱 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이 표면실장기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전 단계에서 전자부품의 픽업이 완료된 후에, 스틱(700)에 저장된 전자부품(702)은 픽업 포인트까지 이송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셔터(301)는 닫힌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실린더(305)에 연결된 연결튜브(800)에는 공기압이 가해진 상태가 아니므로 피스톤(310)은 실린더(305)에서 돌출된 상태이고, 센서(308)는 감지판(309)을 인식하여 셔터(301)가 닫힌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어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서 공기 공급부로 공기가 주입되면서 스틱에 저장된 전자부품이 픽업 포인트까지 이송된다. 이때, 셔터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셔터 블록이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서 연결튜브(800)를 통하여 실린더(305)로 공기가 주입되면, 피스톤(310)이 실린더(305) 안으로 들어가면서 셔터(301)가 열린다. 셔터(301)가 열리면 스틱의 끝단에 있던 전자부품(702)이 노출되면서 흡착노즐이 전자부품(702)을 픽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감지판(309)이 센서(308)에서 이탈되면서 센서는 셔터가 열린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8의 (d)를 참조하면, 전자부품이 픽업 포인트에서 픽업된 후에는 실린더가 작동하여 다시 셔터(13)가 닫히게 되어서 (a)와 동일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8의 (a) 내지 (c)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표면실장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1000: 스틱 공급장치 100: 공기 공급부
101: 제1공기압 조절부 102: 제1튜브 연결부
103: 연결부재 104: 제2튜브 연결부
200: 스틱 장착부 201: 노브
202: 스틱 홀더 203: 샤프트 핀
204: 패드 300: 셔터부
301: 셔터 302: 셔터 블록
303: 셔터 가이더 304: 스틱 고정판
305: 실린더 306: 제2공기압 조절부
307: 제3튜브 연결부 308: 센서
309: 감지판 310: 피스톤
311: 스틱 지지대 312: 탄성부재
313a, 313b: 제2링커 315a, 315b: 제2링커 이동홀
316: 제1링커 317a, 317b: 셔터 이동홀
318a: 제2링커 연결축 318b: 제2링커 회전축
318c: 제2링커 이동 돌기 320a, 320b: 셔터 이동 돌기
400: 길이 조절부 401: 조절봉
402: 고정블록 403: 고정핀
404: 조절봉 판 500: 핸들부
700: 스틱 701: 스틱 상부판
702: 전자부품 800: 연결튜브
801: 제1솔레노이드 밸브 802: 제2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6)

  1.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자부품이 저장된 스틱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틱 장착부;
    스틱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고, 흡착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부; 및
    스틱 장착부에 고정된 스틱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자부품을 셔터부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셔터부는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터부는 셔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틱을 고정하는 스틱 지지대를 포함하고, 탄성부재에 연결된 제1링커가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제1링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링커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링커에 연결된 스틱 지지대가 스틱의 하부를 지지하여 스틱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셔터부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틱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틱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터부는 공기압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의 스틱을 장착할 수 있도록 스틱 장착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터부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와, 공기 주입부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공급장치.
KR1020100105019A 2010-10-27 2010-10-27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KR10114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19A KR101144626B1 (ko) 2010-10-27 2010-10-27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19A KR101144626B1 (ko) 2010-10-27 2010-10-27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03A true KR20120043803A (ko) 2012-05-07
KR101144626B1 KR101144626B1 (ko) 2012-05-11

Family

ID=4627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019A KR101144626B1 (ko) 2010-10-27 2010-10-27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81B1 (ko) * 2011-06-17 2013-02-05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표면실장소자의 관리를 위한 저장장치 및 표면실장소자의 관리 방법
KR101399921B1 (ko) * 2012-10-11 2014-05-29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37B1 (ko) * 2013-10-21 2015-03-06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71B1 (ko) * 2004-06-02 2006-09-29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스틱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틱피딩 방법
JP4895844B2 (ja) * 2007-02-02 2012-03-1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供給,取出し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81B1 (ko) * 2011-06-17 2013-02-05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표면실장소자의 관리를 위한 저장장치 및 표면실장소자의 관리 방법
KR101399921B1 (ko) * 2012-10-11 2014-05-29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626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424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JP4313883B2 (ja) 電気部品フィーダ
EP1521515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9327911B2 (en) Bulk feeder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EP2958413B1 (en)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mounting device
KR101144626B1 (ko) 표면실장기용 스틱 공급장치
JP4595882B2 (ja) テープフィーダ
CN105101772A (zh) 电子部件安装装置
JP2022008322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テープ剥離方法
JP5601443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その実装ヘッド装置
JP3974912B2 (ja) トレーフィーダ
WO2012014467A1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KR101499637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JP4879007B2 (ja) 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部品取出装置
JP2022136223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CN108353535B (zh) 表面安装机
KR20060048148A (ko)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
JP4783689B2 (ja) 部品実装装置
KR101399923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방법
CN216375125U (zh) 一种物料植入装置及元器件处理设备
JP5744160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その実装ヘッド装置
JP2003179385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を搭載した実装機
JP381710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630371B1 (ko) 스틱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틱피딩 방법
JPH11340687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