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713A -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 Google Patents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713A
KR20120039713A KR1020127003830A KR20127003830A KR20120039713A KR 20120039713 A KR20120039713 A KR 20120039713A KR 1020127003830 A KR1020127003830 A KR 1020127003830A KR 20127003830 A KR20127003830 A KR 20127003830A KR 20120039713 A KR20120039713 A KR 2012003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film
back layer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모또 하루따
히로까즈 마쯔다
쯔요시 이노우에
가즈히또 오꾸무라
오사무 곤도
요꼬 무라오까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의 내스크래치성 및 인자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 제1면상(12A)에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배면층(14)을 갖는다. 투명 필름(10)은,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50과,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80에서, 양쪽 마찰 계수의 차의 절대값 |μ8050|을 양쪽 마찰 계수 중 작은 쪽의 값으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미만이다.

Description

투명 필름 및 그 이용{TRANSPARENT FIL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인자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6720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 들어가 있다.
표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시트라고도 함)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상의 지지체 상에 점착제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를 통하여 피착체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피착체를 가공, 반송시 등의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 편광판은, 일단 롤 형태로 제조된 후, 이 롤로부터 권출해서 액정 셀의 형상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판이 중간 공정(예를 들어, 롤 형태의 편광판의 제조시, 상기 편광판의 사용시 등의 반송 공정)에서 반송 롤 등과 스쳐서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전형적으로는 편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 및 2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2063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14563호 공보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상기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상기 외관 검사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에 대한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에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찰과상이 존재하면, 그 흠집이 피착체의 흠집인지, 혹은 표면 보호 필름의 흠집인지,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인 채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이 된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해서 표시하려는 것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인자할 수 있는 성질(인자성)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내스크래치성과 인자성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으므로, 이들의 성능을 높은 레벨로 안정되게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렵고(즉,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인자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적합한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배면층의 마찰 계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기 쉬운 점에 착안하여, 상기 마찰 계수의 경시 변화에 대한 안정성과 내스크래치성 등 기타 특성과의 관계를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마찰 계수의 경시 변화를 소정 정도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과 인자성을 높은 레벨로 안정되게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투명 필름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갖는다. 상기 배면층의 두께는 1㎛ 이하다. 상기 투명 필름은, 온도 50℃, 상대 습도 15%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50과, 온도 80℃, 상대 습도 80%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80에서, 양쪽 마찰 계수 μ50, μ80의 차의 절대값 |μ8050|을 양쪽 마찰 계수 μ50, μ80 중 작은 쪽의 값(이하, 이것을 「min(μ50, μ80)」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으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미만(전형적으로는 0 이상 10% 미만)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Δ=|μ8050|/min(μ50, μ80)로 정의되는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를 통해서,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의 경시 변화에 대한 안정성의 정도를 파악한다. Δμ<10%(전형적으로는 0≤Δ<10%)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은, 배면층의 표면 상태의 경시 변화가 적은 것에서, 내스크래치성과 인자성을 높은 레벨로 안정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높은 내스크래치성 및 인자성을 안정되게 나타내는 투명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배면층은 두께가 작으므로, 기재층의 특성(광학 특성, 치수 안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층의 두께가 1㎛ 보다도 너무 크면, 상기 배면층이 착색하기 쉬운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투명 필름 전체의 착색이 두드러지게 되거나, 배면층의 형성에 따라 경화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축에 의해 투명 필름이 컬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예를 들어 내스크래치성)이 실현되는 범위에서 배면층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은, 상기 착색이나 컬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마찰 계수 μ50 및 μ80이 모두 0.4 이하(예를 들어, 0.2 이상 0.4 이하)이다. 상기 마찰 계수 변동률 Δμ 및 마찰 계수 μ50 및 μ80을 만족하는 투명 필름은 양호한 인자성 외에, 보다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상기 배면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배면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측정되는 박리력(배면 박리력)이 2N/1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력을 나타내는 투명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즉, 보호의 역할을 종료한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로부터 떼서 제거된다. 이때,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배면층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인장함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의 단부를 피 착체로부터 분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배면층이 적당한 박리력을 가지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박리 작업에 적합하다.
상기 배면층의 구조로서는, 강도 및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단층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층은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1 또는 2 이상의 중간층이 개재된 구성에서는, 상기 중간층과 기재층 및 배면층과의 밀착성이 부족하고, 배면층의 내스크래치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재층 상에 배면층이 직접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활제란, 수지 재료에 배합됨으로써 그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성분을 말한다. 이렇게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배면층에 의하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실현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활제의 사용은,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특히 μ50)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을 실현하는 것에도 유리하다.
상기 활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배면층의 수지 성분과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활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활제는, 배면층의 수지 성분과 결합함으로써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배면층 표면으로의 블리딩량이 경시적으로 너무 많아지거나, 반대로 배면층에서의 존재량이 경시적으로 너무 적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성 활제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을 얻기 쉽다.
그 외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에서는, 배면층을 이용해서 내스크래치성 및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층과는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구성에 비하여 투명 필름의 생산성이 좋다. 또한, 배면층과 기재층 사이에 대전 방지층을 개재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배면층과 기재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실현되기 쉽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양호한 대전 방지성과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양립시키기 쉬운 점에서,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배면층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화되어 있고, 제품으로서 실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투명 필름 또는 표면 보호 필름의 크기나 축척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인자 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점착 시트의 지지체 등 기타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는,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여, 상기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광학 부품(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광학 부품)의 가공시나 반송시에 상기 광학 부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가짐으로써 특징지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혹은 임의적인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롤 형상이어도 좋고, 낱장 형상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표면 보호 필름(1)은, 투명 필름(지지체)(10)과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 제1면(12A) 상에 직접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배면층(14)으로 이루어진다. 점착제층(20)은, 투명 필름(10) 중 배면층(14)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1)은, 이 점착제층(20)을 피착체(보호 대상,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의 표면)에 부착해서 사용된다. 사용 전(즉, 피착체로의 부착 전)의 보호 필름(1)은,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의 표면(피착체로의 부착면)이, 적어도 점착제층(20)측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혹은, 표면 보호 필름(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투명 필름(10)의 배면(배면층(14)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이 접촉해서 그 표면이 보호된 형태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의 기재층은, 각종 수지 재료를 투명한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기재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 중 1 또는 2 이상의 특성이 우수한 기재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베이스 수지(수지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수지 필름을, 상기 기재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베이스 수지의 다른 예로서,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중합체의 2종 이상의 블렌드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이어도 좋다. 상기 기재층은, 광학 특성(위상차 등)의 이방성이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투명 필름에서는, 기재층의 광학적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기재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이어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단층 구조이다.
기재층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과, 비용이나 외관 검사성 등의 균형을 고려해서, 통상은 10㎛ 내지 2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5㎛ 내지 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굴절률은, 통상은 1.43 내지 1.6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45 내지 1.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기재층은 70% 내지 99%의 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과율이 80% 내지 97%(예를 들어 85% 내지 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성분,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층의 제1면(배면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층과 배면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히드록실기(-OH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필름은, 그 기재층의 제2면(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투명 필름(지지체)과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편면(제1면)에 두께 1㎛ 이하(전형적으로는 0.02㎛ 내지 1㎛)의 배면층을 갖는다.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는 0.4 이하(예를 들어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배면층에 하중(스크래치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하중을 배면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넘겨서, 상기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배면층이 응집 파괴되거나, 배면층이 기재층으로부터 박리되어(계면 파괴) 스크래치 흠집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 계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인자성, 배면 박리력, 광선 투과율 등. 특히 인자성)과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통상은 마찰 계수를 0.1 이상(전형적으로는 0.1 이상 0.4 이하)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2 이상(전형적으로는 0.2 이상 0.3 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로서는, 예를 들어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투명 필름의 배면(즉, 배면층의 표면)을 수직 하중 40mN으로 찰과하여 구해지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상기 마찰 계수가 실현되도록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배면층에 각종 활제(레벨링제 등)를 함유시키는 방법, 가교제의 첨가나 성막 조건의 조정에 의해 배면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미만인 것에 의해 특징지을 수 있다. 이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는 투명 필름을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50과, 상기 투명 필름을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80을 사용하여, Δμ=|μ8050|/min(μ50, μ80)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다. 즉,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는 상기 양쪽 마찰 계수 μ50, μ80의 차의 절대값 |μ8050|을 양쪽 마찰 계수 μ50, μ80 중 작은 쪽의 값으로 나누어서 구해진다. Δμ<10%(전형적으로는 0≤Δ<10%)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은, 배면층의 표면 상태의 경시 변화가 적은 점에서, 내스크래치성과 인자성을 높은 레벨로 안정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Δμ가 6% 이하(전형적으로는 0≤Δ≤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Δ가 5% 이하(전형적으로는 0≤Δ≤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μ50 및 μ80 중 적어도 한쪽이 0.4 이하(전형적으로는 0.1 이상 0.4 이하, 예를 들어 0.2 이상 0.3 이하)이다. 적어도 μ80이 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μ50 및 μ80의 양쪽이 0.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Δμ가 상기 범위에 있고, 또한 상기 마찰 계수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에 의하면, 양호한 인자성과 함께, 보다 높은 내스크래치성이 안정되게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후술하는 내스크래치성 평가에서 △레벨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벨)의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배면층을 구비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전형적으로는 표면 보호 필름)가 제공될 수 있다.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에도 상기 레벨의 내스크래치성(50℃ 보존 후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투명 필름 및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고,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에도 상기 레벨의 내스크래치성(80℃ 보존 후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 인자성이란,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예를 들어, 인자 밀착성을 좋게) 인자할 수 있는 성질을 가리킨다.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서는, 보호 대상된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해서 표시하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내스크래치성 외에 인자성도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가 알코올계이며 안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성 잉크에 대하여 높은 인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자된 잉크가 마찰이나 전착(轉着)에 의해 지워지기 어려운(즉, 인자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자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인자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투명 필름의 배면층에 대해서 상기 인자성 평가를 행한 경우에, 인자 면적의 적어도 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는 정도의 인자 밀착성(50℃ 보존 후 인자 밀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투명 필름의 배면층에 대해서 상기 인자성 평가를 행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자 면적의 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는 정도의 인자 밀착성(80℃ 보존 후 인자 밀착성)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0℃ 보존 후 및 80℃ 보존 후의 경우 모두 인자 면적의 75%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는 정도의 인자 밀착성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층은, 상기 배면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측정되는 박리력(배면 박리력)이 2N/1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N/1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표면 보호 필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박리력을 갖는 것이 특히 의미가 있다. 박리력이 너무 낮으면, 상기 박리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피착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박리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마찰 계수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고,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한 후 되감을 경우에 자배면(自背面)에 점착제가 부착되는(점착제 잔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은 10N/1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7N/19㎜ 이하로 하면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 박리력이 2 내지 10N/19㎜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N/19㎜)이다.
상기 박리력은, 예를 들어 닛토덴코사제의 편면 점착 테이프, 상품명 「No.31B」를 사용하여, 23℃, 50%RH의 환경 하에서,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투명 필름의 배면층에 대해서 상기 박리력을 측정한 경우에, 상기 박리력(50℃ 보존 후 박리력)이 2 내지 10N/19㎜(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N/19㎜, 예를 들어 3 내지 5N/19㎜)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투명 필름의 배면층에 대해서 상기 박리력을 측정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박리력(80℃ 보존 후 박리력)이 2 내지 10N/19㎜(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N/19㎜, 예를 들어 3 내지 5N/19㎜)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층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광선 투과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는, 열경화형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2액 혼합형 수지 등 각종 타입의 수지일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실록산계, 폴리실라잔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아크릴-스티렌계, 불소수지계, 아크릴실리콘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아크릴-스티렌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는, 높은 탄성을 갖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실록산계, 폴리실라잔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는, 고경도의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수지계의 열경화형 수지는, 분자 구조중에 미끄러운 성분을 함유하고,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를 갖는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를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질 세그먼트란 유연한 주쇄 구조 또는 특성을 갖는 수지 성분을 말하고, 경질 세그먼트란 강직한(적어도 상기 연질 세그먼트 보다도 강직한) 주쇄 구조 또는 특성을 갖는 수지 성분을 말한다. 후술하는 샘플 A-1 내지 A-7에 있어서 배면층의 형성에 사용한 열경화형 수지는,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를 갖는 수지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수지 성분이 수계 용매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형태에 의하면, 분자량이 크고 주쇄가 긴 수지 성분이어도, 에멀젼 입자로서 수계 매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점도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성분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는데도 적합하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배면층의 형성 재료로서 에멀젼 형태의 수지(예를 들어 열경화형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및 인자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미드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등의 각종 수지의 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이 좋은 고경도의 층을 형성하기 쉬우므로, 자외선 중합성의 관능기를 1 분자 중에 2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예를 들어 3 내지 6개 정도) 갖는 다관능 단량체 및/또는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보다도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0.02㎛ 내지 1㎛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0.5㎛(예를 들어 0.05㎛ 내지 0.2㎛)이다. 배면층의 두께가 너무 크면, 상기 배면층에 기인해서 착색이나 컬 등의 외관 품위가 저하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배면층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원하는 내스크래치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 또는 표면 필름을 구성하는 층(예를 들어 배면층)의 두께는, 미리 배면층에 중금속 염색을 실시한 후에, 그 투명 필름을 단면 방향으로 절삭해서 면을 만든 샘플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등에 의해 고분해능 관찰하는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두께가 약 0.01㎛ 이상인 층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박층에 대해서는 각종 두께 검출 장치(예를 들어, 표면 조도계, 간섭 두께계, 적외 분광 측정기, 각종 X선 회절 장치 등)와,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파악되는 두께의 상관에 대해서, 검량선을 작성해서 계산함으로써, 그 대강의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TEM을 사용함으로써, 단면 방향의 층 구성(적층 구조에서의 층수 및 각 층의 두께)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층이 모두 약 0.1㎛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간섭 두께계에 의해 층 구성을 조사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배면층에는, 필요에 따라 활제(레벨링제 등), 대전 방지 성분, 가교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유동성 조정제(틱소트로피제, 증점제 등), 조막 보조제, 촉매(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에 있어서의 자외선 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일반적인 수지의 가교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등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히드록실기와 결합해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실기가 도입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기재층 상에 배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면층은, 상기 수지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액상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조성물(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해서 건조시켜,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열처리, 자외선 처리 등)를 행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5 내지 5%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고형분이 너무 높으면, 얇고 균일한 배면층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는, 유기 용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환경 부하 경감 등의 관점에서, 상기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가 수계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계 용매」란, 물 또는 물을 주성분(50체적%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를 말한다. 이러한 수계 혼합 용매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친수성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아밀알코올, 이소아밀알코올, sec-아밀알코올, tert-아밀알코올, 1-에틸1-프로판올, 2-메틸1-부탄올, n-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배면층에 활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활제로서는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 변동률 Δμ의 실현에 적합한 활제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활제로서, 반응성 활제,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형 활제, 변성 실리콘계 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기, 수산기(페놀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의미임), 에폭시기(예를 들어 글리시딜기), 알콕시기, 아크릴로일기, 실라놀기, 카르복실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관능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변성된(다시 말해, 상기 반응기가 도입된) 실리콘계 중합체, 불소 함유 중합체 등을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반응성 활제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 외에, 다른 관능기로 변성(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된 실리콘계 중합체, 불소 함유 중합체 등이어도 좋다. 상기 실리콘계 중합체의 전형예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들 수 있다. 배면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와의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활제를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의 표면에 극성기(예를 들어 히드록실기)를 도입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코로나 처리 등)가 실시된 경우에는, 상기 극성기와의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활제를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활제에 의하면,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배면층의 베이스 수지 또는 기재층 표면의 극성기와 결합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활제의 이동이 억제되므로,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도레이?다우코닝사제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상품명 「SF8421」, 「SF8413」, 동일사제 아미노기 변성 실리콘 오일, 상품명 「BY16-872」, BYK Chemie사제의 폴리에테르 변성 수산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상품명 「BYK377」, 도아고세사제의 아크릴 실리콘 빗형 그래프트 중합체인 카르복실기 함유 타입, 상품명 「US-350」, 「US-380」, 수산기 함유 타입, 상품명 「US-270」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형 활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세그먼트, 불소 함유 세그먼트 등의 저극성 세그먼트와, 배면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 또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대하여 보다 높은 친화성(상용성)을 나타내는 세그먼트(이하 「상용성 세그먼트」라고도 함)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용성 세그먼트의 종류는, 배면층 또는 기재층의 재질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용성 세그먼트가 수산기 등의 반응성 가교기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활제에 의하면, 저극성 세그먼트가 배면층의 표면에 블리딩하여(편재하여) 미끄러짐성 향상 효과를 발현하는 한편, 배면층 또는 기재층 표면과의 친화성이 높은 상용성 세그먼트가 앵커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른 활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니치유사제의 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모디파 FS710」, 동 「F200」, 동 「FS720」, 동 「F3035」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실리콘계 활제(전형적으로는 비반응성 활제)의 대표예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반복 단위(-Si(CH3)2-O-)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상기 반복 단위 중의 메틸기 중 하나를 다른 관능기로 치환한 구조인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기를 치환하는 관능기가 (a). 탄소 원자수 2 이상의 알킬기(예를 들어 장쇄 알킬기)인 것(폴리메틸알킬실록산), (b). 아릴기나 아르알킬기 등과 같이 방향환을 갖는 기인 것, (c). 폴리에스테르쇄인 것(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d). 고급 지방산인 것, (e). 폴리에테르쇄인 것(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변성 실리콘계 활제로서, 상기 (a) 내지 (c) 중 어느 하나(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또는 (c))에 해당하는 변성 실리콘계 활제를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제의 상품명 「XF42-A3161」, 동 「XF42-334」, 동 「XF42-B3629」, 동 「TSF4421」, 동 「TSF4420」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변성되지 않은 내열성이 좋은 실리콘계 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에 함유시키는 활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를 실현할 수 있는 한, 각종 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활제의 첨가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약 10질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1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7질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02 내지 7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너무 커지거나, 인자성이 부족해지기 쉽거나, 배면층의 광선 투과성이 저하 경향을 띠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활제는, 배면층의 표면에 블리딩하여 상기 표면에 미끄러짐성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활제의 적절한 사용(특히, 마찰 계수 변동률 Δμ<10%를 만족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선택 및 배합량의 설정)에 의해, 마찰 계수의 저하를 통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인자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배면층의 표면 장력을 균일화하고, 두께 불균일의 저감이나 간섭 줄무늬의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것은,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또한,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경우, 이것에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활제를 첨가하면,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 상기 활제가 도막 표면(공기와의 계면)에 블리딩하고, 이에 의해 자외선 조사시에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가 억제되어, 배면층의 최표면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은, 투명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다. 배면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물질,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도전성 물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배면층을 구비하는 투명 필름은,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피하는 물품의 가공 또는 반송 과정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각종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유기 도전성 물질(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내지 20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 내지 1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형태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분자 내에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음)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로서는, 술포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히드록실기, 머캅토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복실기, 4급 암모늄기, 황산에스테르기(-O-SO3H), 인산에스테르기(예를 들어 -O-PO(OH)2)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친수성 관능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형태의 폴리아닐린 술폰산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미쯔비시레이온사제의 상품명 「aqua-PASS」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형태의 폴리티오펜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나가세켐텍사제의 상품명 「데나트론」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도전성 중합체로서, 폴리아닐린 및 폴리티오펜이 예시된다. 폴리아닐린으로서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 표기함)이 5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티오펜으로서는 Mw가 4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중합체의 Mw는, 통상은 0.1×1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4 이상이다. 이러한 Mw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구리 및 그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ITO(산화인듐/산화주석), ATO(산화안티몬/산화주석) 등의 미립자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통상, 약 0.1㎛ 이하(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도전성 물질(무기 도전재)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무기 도전성 물질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500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0 내지 500질량부(예를 들어 100 내지 50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해서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대전 방지제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0.5 내지 5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 내지 3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제2 또는 제3급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아실로일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메토술페이트,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아실염화콜린,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디알릴아민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술폰산염,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톡시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술폰산기 함유 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알킬 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 베타인, 알킬이미다졸륨 베타인, 카르보베타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디(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지방산 글리세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디아민, 폴리에테르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투명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대신에, 또는 상기 방법 외에 기재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기재층의 제1면 및/또는 제2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 성분이 배합된(혼련 도입된) 수지 재료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해서 기재층을 구성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배면층에 함유시키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 성분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기재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약 2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20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05 내지 10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대전 방지 성분을 혼련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기재층 형성용의 수지 재료에 상기 대전 방지제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 롤, 밴버리 믹서, 가압 니더, 2축 혼련기 등을 사용해서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제1면(배면측, 즉 기재층과 배면층의 사이) 및/또는 제2면(점착제층측)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대전 방지 성분과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용 코트제를 기재층(바람직하게는, 미리 성형된 수지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배면층에 함유시키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전성 중합체 또는 대전 방지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용 코트제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범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용 코트제에는, 상기 수지 성분의 가교제로서, 메틸올화 혹은 알킬올화한 멜라민계, 요소계, 글리옥살계, 아크릴아미드계 등의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또한, 고분자형의 대전 방지 성분(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중합체)의 경우에는, 수지 성분의 사용을 생략해도 좋다.
대전 방지용 코트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도포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및 커튼 코트법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통상 약 0.01㎛ 내지 1㎛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약 0.015㎛ 내지 0.1㎛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기재층의 제1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은, 기재층과 배면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재층의 표면에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전 방지층을 기재층의 제2면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으로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한 성질(피착체 표면에 대한 박리력, 비오염성 등)을 구비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에 직접 부여해서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접법);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부여해서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접합해서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직접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시에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터에 의한 코트법 등의 점착 시트 분야에 있어서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3㎛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5㎛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배면층이 형성된 기재층(즉, 투명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기재층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배면층을 형성하는 방법 모두 채용 가능하다. 통상은, 투명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점착면(점착제층 중 피착체에 부착되는 측의 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상기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 형태(박리 라이너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기재로서는 종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과 마찬가지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박리 라이너의 기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200㎛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10㎛ 내지 1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에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지방산 아미드계 등) 또는 실리카분 등을 사용하여, 이형 또는 오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몇 가지 실험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마찰 계수
마찰 계수 측정 장치로서는, CSM Instruments SA사제의 나노스크래치 테스터를 사용하였다.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의 점착면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배면층을 상향으로 하여, 상기 측정 장치의 스테이지에 고정하였다. 그리고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원추형의 다이아몬드제 압자(선단의 곡률 반경 10㎛)를 구비한 캔틸레버 ST-150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의 정하중 모드(수직 하중 40mN±3mN)에서 각 샘플의 표면(배면층측)을 5㎜의 길이로 찰과하고, 이때의 마찰 계수의 평균값을 배면층의 마찰 계수로 하였다. 또한, 마찰 계수는 마찰력과, 샘플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하중의 비로 산출된다(즉, 마찰 계수=마찰력/하중).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에 대해서, 1매의 샘플을 거의 중앙에서 절반으로 재단하고, 그 중 한쪽을 50℃, 15%RH의 항온 항습 건조기에, 다른 쪽을 80℃, 80%RH의 항온 항습 건조기에 넣어서, 각각 3일간 보존하였다. 이 두 가지 조건에서 보존한 후의 샘플에 대해서, 상기 방법으로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50℃에서 보존한 샘플의 마찰 계수를 「μ50」, 80℃에서 보존한 샘플의 마찰 계수를 「μ80」으로 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마찰 계수 변동률
상기 1.에서 얻어진 마찰 계수 μ50, μ80을 다음 식: Δμ=|μ8050|/min(μ50, μ80);에 대입하여,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의 마찰 계수 변동률 Δμ를 산출하였다.
3. 박리력 측정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폭 70㎜,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른 것을 피착체로 하였다. 편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사제No.31B)를 폭 19㎜,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르고,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상기 피착체의 배면층 상에 0.25㎫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RH의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동 환경 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마찬가지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을 표 2에 나타냈다.
4. 내스크래치성 평가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상기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코인(10엔짜리 새것을 사용)의 테두리를 사용하여 정밀 천칭 상에서 각 샘플을 하중 300g으로 찰과하였다. 그 스크래치 자국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배면층의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가 확인된(내스크래치성이 실용화 가능 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를 ×, 약간의 찰과상이 확인되지만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은(실용화 가능한 레벨의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경우를 △, 탈락 부스러기도 찰과상도 확인되지 않은(높은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마찬가지로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5. 인자성(인자 밀착성) 평가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23℃, 50%RH의 환경 하에서 샤치하타사제 X스탬퍼를 사용해서 배면층 상에 인자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그 인자 상에서 니치반사제의 셀로판 점착 테이프(제품 번호 No.405, 폭 19㎜를 부착하고, 계속해서 박리 속도 3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였다. 육안 평가에 의해, 인자 면적의 50% 이상이 박리되었을 경우를 ×, 인자 면적의 25%를 넘고 50% 미만이 박리된 경우를 △, 인자 면적의 75%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은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80℃, 80%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 마찬가지로 인자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험예 1>
(샘플 A-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열경화형 수지(DIC사제, 상품명 「아크리딕(ACRYDIC) A-814」; 이하, 「수지 R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와, 활제로서의 알킬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제의 변성 실리콘 오일, 상품명 「XF42-A3161」; 이하, 「활제 L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3이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0.8%의 코트액(배면층 형성용 조성물) B-1을 제조하였다.
기재로서는, 편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하, 「기재 F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사용하였다. 상기 코트액 B-1에, 수지 R1의 고형분 100부당 30부의 경화제(DIC사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상품명 「DN-980」)를 배합하고, 이것을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8㎛(TEM 관찰에 의함. 이하 동일)가 되도록 도포해서 열경화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C-1을 얻었다.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이형 시트의 박리면(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상에 두께 2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제층을 투명 필름 C-1의 다른 쪽 면(배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1을 제작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PET 필름의 굴절률은 1.63이며, 광선 투과율은 89%이었다.
(샘플 A-2)
활제 L1의 사용량을 수지 R1의 고형분 100부당 5부(고형분 환산)로 한 점 이외는 코트액 B-1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고형분 농도 0.8%의 코트액 B-2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2를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2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2를 제작하였다.
(샘플 A-3)
본 예에서는, 샘플 A-1에서의 활제 L1 대신에, 실리콘 세그먼트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니치유사제의 실리콘계 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모디파 FS710」; 이하, 「활제 L2」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사용하였다. 수지 R1과 활제 L2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3이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0.4%의 코트액 B-3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3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3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3을 제작하였다.
(샘플 A-4)
본 예에서는, 샘플 A-1에서의 활제 L1 대신에, 폴리디메틸실록산에 글리시딜형 에폭시기 및 폴리에테르쇄가 도입된 구조의 반응성 실리콘(도레이?다우코닝사제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상품명 「SF8421」; 이하, 「활제 L3」이라고 표기 하기도 함)을 사용하였다. 수지 R1과 활제 L3을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3이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0.8%의 코트액 B-4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4를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4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4를 제작하였다.
(샘플 A-5)
본 예에서는, 샘플 A-1에서의 활제 L1 대신에, 불소 함유 세그먼트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니치유사제의 불소계 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모디파 F200」; 이하, 「활제 L4」이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사용하였다. 수지 R1과 활제 L4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3이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0.4%의 코트액 B-5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5를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5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5를 제작하였다.
(샘플 A-6)
본 예에서는, 샘플 A-1에서의 활제 L1 대신에,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BYK Chemie사제의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레벨링제, 상품명 「BYK-333」; 이하, 「활제 L5」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사용하였다. 수지 R1과 활제 L5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3이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0.8%의 코트액 B-6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6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6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6을 제작하였다.
(샘플 A-7)
활제 L5의 사용량을 수지 R1의 고형분 100부당 5부(고형분 환산)로 한 점 이외는 코트액 B-6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고형분 농도 0.4%의 코트액 B-7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7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7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7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샘플에 대해서, 배면층의 개략 구성 및 상술한 각종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활제를 포함하지 않는 배면층 조성에서 마찬가지로 제작한 투명 필름은 50℃, 15%RH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배면층의 마찰 계수가 0.42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미만인 샘플 A-1 내지 5에 의해, 실용화 가능한 레벨 이상의 내스크래치성과 양호한 인자 밀착성이 양립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6% 이하인 샘플 A-2 내지 5에 의하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이들 샘플은 모두 적절한 박리력을 갖고 있으며,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박리 작업에 적합한 것이었다.
한편,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이상인 샘플 A-6에서는, 50℃ 보존 후의 내스크래치성은 실용 가능 레벨이었지만, 80℃ 보존 후의 내스크래치성은 부족하였다. 또한, 80℃ 보존 후의 마찰 계수 μ80이 0.4를 초과하여 상승하였다. 마찰 계수 μ80을 0.4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활제 L5의 첨가량을 증가한 샘플 A-7에서는,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더욱 커지고, 내스크래치성은 향상했지만, 인자 밀착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보존 후의 박리력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박리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각종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재의 제조시, 반송시 등에 상기 광학 부재를 보호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편광판(편광 필름),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확산 시트, 반사 시트 등의 광학 부재에 적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1: 표면 보호 필름
10: 투명 필름
12: 기재층
14: 배면층
20: 점착제층
30: 박리 라이너

Claims (7)

  1.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갖는 투명 필름이며,
    상기 배면층의 두께가 1㎛ 이하이고,
    온도 50℃, 상대 습도 15%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50과, 온도 80℃, 상대 습도 80%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 μ80에서, 양쪽 마찰 계수의 차의 절대값 |μ8050|을 양쪽 마찰 계수 중 작은 쪽의 값으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마찰 계수 변동률 Δμ가 10% 미만인, 투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계수 μ50 및 μ80이 모두 0.4 이하인, 투명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단층 구조이며 상기 기재층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상기 배면층의 수지 성분과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활제인 투명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배면층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03830A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KR20120039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7207A JP5534728B2 (ja) 2009-07-15 2009-07-15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JP-P-2009-167207 2009-07-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42A Division KR101741975B1 (ko) 2009-07-15 2010-07-09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713A true KR20120039713A (ko) 2012-04-25

Family

ID=434493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830A KR20120039713A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KR1020177006642A KR101741975B1 (ko) 2009-07-15 2010-07-09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42A KR101741975B1 (ko) 2009-07-15 2010-07-09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1247B2 (ko)
JP (1) JP5534728B2 (ko)
KR (2) KR20120039713A (ko)
CN (1) CN102470644B (ko)
TW (1) TWI508857B (ko)
WO (1) WO2011007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865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50014866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9987B2 (ja) * 2012-04-13 2016-05-18 ユーエムジー・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潤滑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6230233B2 (ja) 2012-04-23 2017-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4036011A (ja) * 2012-08-10 2014-02-24 Sumitomo Chemical Co Ltd マスキングフィルム付き導光板原板
JP6092033B2 (ja)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203563B2 (ja) * 2013-07-31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5950467B2 (ja) * 2013-09-24 2016-07-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リクル
JP6349126B2 (ja) * 2014-03-31 2018-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透明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38449A1 (ja) * 2016-02-08 2017-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199619A1 (ko) *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JP2019020718A (ja) * 2017-07-20 2019-02-0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シート
JP2019069541A (ja) 2017-10-06 2019-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トップコート層付き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JP7066869B2 (ja) * 2018-09-28 2022-05-1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
JP7406686B2 (ja) * 2018-11-02 2023-12-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容器
CN111019553B (zh) * 2019-12-30 2022-01-28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x射线医疗设备的反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223A (ja) * 1993-07-08 1995-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微粘着高透明保護フィルム
ID23862A (id) 1998-02-20 2000-05-25 Scil Diagnotics Gmbh Sistem analisis
US6950236B2 (en) 2001-04-10 2005-09-27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TE286936T1 (de) * 2001-08-02 2005-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Optisch klare und antistatische haftklebemittel
JP2003121606A (ja) * 2001-08-07 2003-04-2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74303B2 (ja) * 2001-09-11 2013-04-03 三菱樹脂株式会社 フィルム
JP2004223714A (ja) * 2001-11-27 2004-08-12 Toyobo Co Ltd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96800B2 (ja) * 2002-05-08 2007-10-24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3334911A (ja) 2002-05-21 2003-11-2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表面保護フィルム
JP4390046B2 (ja) * 2003-12-12 2009-12-24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フィルム
EP1695818B1 (en) 2003-12-12 2015-07-22 Toyobo Co., Ltd. Heat shrink film
JP2005314563A (ja) 2004-04-28 2005-11-10 Jsr Corp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7283665A (ja) * 2006-04-18 2007-11-01 Mitsubishi Rayon Co Ltd 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を含む積層体
JP2011148943A (ja) 2010-01-25 2011-08-04 Nitto Denko Corp 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11168751A (ja) 2010-02-22 2011-09-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178879A (ja) 2010-03-01 2011-09-15 Nitto Denko Corp 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TW201134911A (en) 2010-03-03 2011-10-16 Nitto Denko Corp Protective sheet and use thereof
JP5483713B2 (ja) 2010-05-12 201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2072206A (ja) 2010-09-27 2012-04-12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865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50014866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16407A (en) 2011-05-16
KR101741975B1 (ko) 2017-05-30
US9321247B2 (en) 2016-04-26
TWI508857B (zh) 2015-11-21
WO2011007728A1 (ja) 2011-01-20
JP2011020348A (ja) 2011-02-03
CN102470644A (zh) 2012-05-23
CN102470644B (zh) 2015-07-29
KR20170031261A (ko) 2017-03-20
JP5534728B2 (ja) 2014-07-02
US20120231265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45B1 (ko)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20120039713A (ko)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JP5721448B2 (ja)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CN102582174A (zh) 防静电性能优异的离型膜及其制造方法
JP62586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CN104216032A (zh) 防眩性硬涂膜
CN104216033A (zh) 防眩性硬涂膜
CN110669423A (zh) 高硬度可挠硬涂层膜及显示器
KR102069612B1 (ko) 양면 점착 시트
JP5721805B2 (ja) 透明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90039863A (ko) 톱 코트층 구비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품
WO2019146622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583560A (zh) 一种硬化层涂布液及一种硬化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