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316A - 고주파 처치구 - Google Patents

고주파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316A
KR20120036316A KR1020117030474A KR20117030474A KR20120036316A KR 20120036316 A KR20120036316 A KR 20120036316A KR 1020117030474 A KR1020117030474 A KR 1020117030474A KR 20117030474 A KR20117030474 A KR 20117030474A KR 20120036316 A KR20120036316 A KR 2012003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operation wire
main body
wire
frequ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이시이
신에쯔 하라따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고주파 처치구(10)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50)과, 가요관(50)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도전성의 조작 와이어와,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환부를 처치하는 처치부(60)와, 가요관(50)의 기단부에 부설되어, 조작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여 처치부(60)를 조작하고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켜 처치부(60)를 회전시키는 조작부(20)를 갖는다. 조작부(20)는 처치부(6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류 코드(70)가 장착되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의 선단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24)와, 본체부(22)의 기단부측에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키는 진퇴 조작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처치구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고주파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는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체내의 병변 부위를 처치하는 기구로, 일반적으로 내시경과 함께 사용된다. 고주파 처치구는 선단에 처치부가 설치된 장척의 조작 와이어와, 조작 와이어를 손잡이측에서 견인 및 토크 회전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처치구는 고주파 전원 장치에 접속된 고주파 전류 코드를 조작부의 고주파 단자에 접속하고, 조작 와이어를 통해 처치부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환부의 차단 등의 처치를 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구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발명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루프 기구에 있어서는, 조작부(핸들 어셈블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 조작부(스풀 부재)에 고주파 전류의 인가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다. 이 루프 기구에서는, 서로 동축에 설치된 노브와 본체로 핸들 어셈블리가 구성되어 있고, 노브를 본체에 대해 축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샤프트)나 처치부(루프)가 회전 조작된다(특허 문헌 1의 도 11을 참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는, 고주파 전류의 인가 플러그가 본체부(베이스)에 설치되어, 그 기단부측에, 처치부를 회전 및 진퇴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는 베이스에 대해 진퇴 방향으로 고정된 환형상의 조작부 본체와, 조작부 본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진퇴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와 조작부 본체를 베이스에 대해 축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나 처치부가 회전 조작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3-50613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32572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는 조작 와이어를 진퇴 또는 회전시키는 조작성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의 루프 기구의 경우, 고주파 전원 코드가 진퇴 조작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작 와이어의 진퇴 조작 시에 고주파 전류 코드의 자중이 진퇴 조작부에 부하된다. 이로 인해, 진퇴 조작부의 조작이 무거워져, 즉 진퇴 조작에 많은 축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처치부의 미세한 진퇴 조작이 곤란해진다.
특허 문헌 2의 고주파 처치구의 경우, 고주파 전류의 인가 플러그가 본체부(베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퇴 조작부의 조작 시에 고주파 전류 코드의 자중이 부하되는 일이 없어, 조작 와이어의 진퇴 조작성은 양호하다. 그러나,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가, 진퇴 조작부(슬라이더)와 공용되어 본체부(베이스)의 기단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와이어의 미세한 회전 조작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 와이어의 미세한 진퇴 및 회전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과,
상기 가요관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도전성의 조작 와이어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환부를 처치하는 처치부와,
상기 가요관의 기단부에 부설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여 상기 처치부를 조작하고, 상기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켜 상기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처치부에 상기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류 코드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와, 상기 본체부의 기단부측에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키는 진퇴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본체부에, 상기 고주파 전류 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가 삽입 관통된 금속제의 도전 파이프가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조작 와이어에, 상기 도전 파이프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통 형상의 집전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의 외주에 금속제의 리드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집전부가 상기 리드 파이프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상기 축 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이완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처치부는 상기 진퇴 조작부에 의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킴으로써 서로 개폐하는 복수의 가위편을 갖고, 상기 조작 와이어가 축 방향으로 전진 방향 또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위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으로 상기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켜 상기 가위편의 개방량이 최대로 된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이완 부재의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와이어가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위편은 상기 개방량이 상기 최대 개방 상태보다도 저감된 중간 개방 상태로 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진퇴 조작부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하여 상기 진퇴 조작부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진퇴 조작부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 조작부에 대해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결합력보다도 큰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홀더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진퇴 조작부가 진퇴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회전 조작부의 기단부에, 다단의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상기 회전 조작부를 장착하는 다단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장착부에 대해 복수의 상기 단차면이 면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회전 조작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돌출 설치부가 상기 장착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된 상기 돌출 설치부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가 상기 돌출 설치부의 주위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회전 조작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기단부측으로 가압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진퇴 조작부가 축 대칭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본체부에 대해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축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환형상의 보조 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진퇴 조작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축 회전이 고정되어 상기 축 방향으로 진퇴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상기 회전 조작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주에 주회(周回) 형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나 고주파 인가부로 대표되는 각종 구성 요소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1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떤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에 따르면, 고주파 전류 코드가 본체부에 장착되어,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와,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키는 진퇴 조작부가 본체부와는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의 진퇴 조작 및 회전 조작 시에 고주파 전류 코드의 자중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특허 문헌 1의 루프 기구에 비해 조작 와이어의 미세한 진퇴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의 기단부측에서 조작 와이어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특허 문헌 2의 고주파 처치구와 비교하여, 본체부의 선단측에서 조작 와이어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본 발명의 경우, 조작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처치부로부터 회전 토크의 부여 위치까지의 길이가 단축되게 된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의 회전 조작 시에 처치부의 응답 속도가 짧아진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와이어의 미세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절한 실시 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처치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처치부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조작부의 정면 단면도이고, (b)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의 도 4의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체부에 설치된 장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부분 단면도로, (a)는 슬라이더의 후퇴 상태, (b)는 슬라이더의 최대 전진 상태, (c)는 조작 와이어의 이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완 부재를 구성하는 홀더의 이면도로, (a)는 선단측의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9의 (a)는 이완 부재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b)는 이완 부재의 장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부분 단면도로, (a)는 슬라이더의 전진 규제 상태, (b)는 슬라이더의 전진 상태, (c)는 조작 와이어의 이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10)의 사시도이다. 장척의 가요관(50)은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의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주파 처치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정면으로 대하는 측을 정면 방향으로 한다.
처음에,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50)과, 가요관(50)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도전성의 조작 와이어(30)와,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환부를 처치하는 처치부(60)와, 가요관(50)의 기단부에 부설된 조작부(20)를 갖고 있다.
조작부(20)는 조작 와이어(30)를 진퇴 조작하여 처치부(60)를 조작하고, 또한 조작 와이어(30)를 토크 회전시켜 처치부(60)를 회전시키는 기구이고, 본체부(22)와 회전 조작부(24)와 진퇴 조작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2)는 처치부(6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류 코드(7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회전 조작부(24)는 본체부(22)의 선단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 와이어(30)를 토크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그리고, 진퇴 조작부(26)는 본체부(22)의 기단부측에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 와이어(30)를 진퇴시키는 부분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주파 처치구(10)에 사용되는 처치부(60)는 조작 와이어(30)의 진퇴에 의해 구동되고, 조작 와이어(30)의 토크 회전에 의해 축 회전한다. 처치부(60)는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환부를 처치하는 디바이스이다.
처치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 기구를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는 가위형의 처치부(60)를 예시하고 있다. 그밖에, 처치부(60)로서는, 선단부가 굴곡된 나이프형이나, 링 형상의 와이어를 구비하는 스네어 등, 종래 이용되어 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위형의 처치부(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의 진퇴에 의해 링크 기구가 구동되고, 환부에 고주파를 인가하면서 이를 절개한다. 나이프형의 처치부(60)는 굴곡된 선단부를 환부에 걸어 둔 상태에서, 환부에 고주파를 인가하면서 처치부(60)를 기단부측으로 견인하고, 당해 환부를 절개한다. 스네어형의 처치부(60)는 조작 와이어(30)의 진퇴에 의해 스네어 직경이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환부에 고주파를 인가하면서 이를 묶는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와이어(30)는 금속제의 와이어 선이다. 조작 와이어(30)는 가요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요관(50)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요관(5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가요관(50)의 도전성의 내표면에는 절연성 재료를 박막 코팅하면 좋다.
또한, 가요관(50)에 사용하는 비도전성의 재료로서는,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요관(50)이 삽입 관통되는 내시경의 겸자 구멍과의 미끄럼 이동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처치부(60)는 가요관(50)의 선단 개구보다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처치부(60), 조작 와이어(30) 및 가요관(50)은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의 루멘(내강)에 삽입 관통하여 사용된다.
조작부(20)는 조작 와이어(30)를 견인 혹은 압입, 또는 토크 회전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부(20)는 크게 구별하여, 본체부(22), 회전 조작부(24) 및 진퇴 조작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2)는 중공의 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조작 와이어(30)의 기단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본체부(22)의 축선 방향과 조작 와이어(30)의 연장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없이 「축」이라고 표현한 경우에는, 조작 와이어(30)의 연장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부(22)의 선단측에는 회전 조작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24)는 조작 와이어(30)와 결합하고 있고, 도 1 및 도 2에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24)를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처치부(60)가 축 회전한다.
또한, 회전 조작부(24)는 조작부(20)의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조작부(20)의 「선단부」라고 함은, 소정의 확대를 갖는 길이 영역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서는, 회전 조작부(24)는 조작부(20)의 가장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24)는 본체부(22)의 선단측에 캡 형상으로 씌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24)는 본체부(22)의 외주에 주회 형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24)의 주위에는 조작부(20)의 축 둘레로 주회 형상으로, 파형의 널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회전 조작부(24)에 대해 조작자가 축 둘레의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24)가 본체부(22)의 외주에 주회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회전 조작부(24)의 회전 스트로크가 무제한이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1의 루프 기구에 있어서의 핸들 어셈블리와 같이 노브의 외주의 일부만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회전 각도(예를 들어, 180도)를 초과하여 처치부(60)를 연속적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특허 문헌 1의 루프 기구의 경우, 조작자가 180도를 초과하는 회전 각도에서 처치부를 회전 조작할 때에는, 회전 스트로크의 종단부에 도달한 조작자의 손가락을 일단 노브로부터 떼고, 다시 회전 스트로크의 시단부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회전 조작을 재개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노브를 연속적으로 조작할 수 없어, 처치부의 미세한 회전 조작이 곤란해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의 경우, 회전 조작부(24)의 회전 스트로크가 무제한이므로, 처치부(60)의 회전 각도에 의하지 않고, 처치부(60)를 연속적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직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를 본체부(22)의 축 본체(228)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처치부(60)는 개폐 조작된다.
도 3은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낸 영역 III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처치부(6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처치부(60)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처치부(60)는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이 제1 핀(65)을 축으로 하여 서로 개폐된다.
가요관(5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조작 와이어(30)는 처치부(60)의 기단부(66)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30)를 선단측(도 3의 각 도면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압입하면, 제2 핀(64)이 제1 핀(65)을 향해 가압되어, 링크 기구(63)는 처치부(60)를 개방시킨다.
링크 기구(63)는 제1 가위편(61)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1 링크판(611)과, 제2 가위편(62)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2 링크판(621)을 포함하는 4절 링크 기구이다.
그리고, 조작 와이어(30)를 선단측으로 압입함으로써,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은 회전하여 선단이 개방된다.
도 3의 (a)는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의 최대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조작 와이어(30)를 전진시킨 경우,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은 최대 개방 상태에서 개방 각도의 상한이 규제된다.
한편, 조작 와이어(30)를 기단부측(도 3의 각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견인하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63)의 동작에 의해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의 선단은 폐지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2)는 고주파 전류 코드(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주파 인가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고주파 인가부(226)에는 고주파 전류 코드(70)가 장착되는 전원 단자(227)가, 고주파 처치구(10)의 축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주파 전류 코드(70)는 본체부(22)에 대해, 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축 교차 방향)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서는, 고주파 인가부(226)는 본체부(22)에 고정되어 있다. 고주파 인가부(226)에 고주파 전류 코드(70)(도 2를 참조)를 접속하면, 고주파 전류 코드(70)는 그 무게에 의해 고주파 인가부(226)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처치부(60)를 회전시키는 데 있어서는, 고주파 전류 코드(70)가 회전 조작부(24)나 조작자의 손에 밀리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진퇴 조작부(26)는, 축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진퇴 조작부(26)는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대칭형을 이루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의 손의 가운데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끼움 지지할 수 있도록, 축선 둘레에 주회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진퇴 조작부(26)는 축 방향의 선단측과 기단부측에, 각각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261)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본체부(22)에 대해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 교차 방향으로 개방된 환형상의 보조 링(262)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진퇴 조작부(26)는 본체부(22)에 대해 축 회전이 고정되어 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보조 링(262)은 진퇴 조작부(26)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부이고, 진퇴 조작부(26)를 슬라이드 구동하기 위한 지지점이 되는 부분이다.
보조 링(262)은 회전부(264)를 통해 축 본체(228)에 축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보조 링(262)에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을 삽입하고, 진퇴 조작부(26)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끼움 지지하여 축 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30)의 진퇴 조작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보조 링(262)이 본체부(22)에 대해 축 회전 가능하며, 또한 진퇴 조작부(26)가 축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조작자는 고주파 처치구(10)를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의 고주파 처치구의 경우, 조작부의 파지 방향이 특정되어 있으므로, 조작자의 자세에 따라서는 회전 및 진퇴 조작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고주파 처치구는 조작부를 축 회전시킨 경우에 처치부가 회전하므로, 조작부의 핸들링 시에 처치부에 예상치못한 회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의 경우, 회전 조작부(24)를 회전 조작하지 않는 한, 조작부(20)의 핸들링 시에 처치부(60)가 회전하는 일이 없다. 또한, 진퇴 조작부(26)가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파지 가능하므로, 조작자의 자세에 따르지 않고, 처치부(60)를 회전 및 진퇴 조작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조작부(20)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조작부(20)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의 (a), (b)는 조작부(20)의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조작부(20)의 종단면이라 함은, 조작부(20)를 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말한다. 또한, 도 4의 (b)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주파 인가부(226)의 근방에 관한 도 4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체부(22)에 설치된 장착부(22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부(20)는 적어도 선단측이 축심 방향으로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와이어(30)의 기단부가 중공의 축심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조작부(20)의 내부에 있어서는, 조작 와이어(30)의 기단부의 외주에는 금속제의 리드 파이프(3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30)와 리드 파이프(34)는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즉, 조작 와이어(30)와 리드 파이프(34)는 일체로 되어 축 회전한다.
리드 파이프(34)는 금속제로 도전성을 갖고 있다. 리드 파이프(34)의 두께 및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와이어(30)의 외주에 리드 파이프(34)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와이어(30)의 비틀림 강성을 높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회전 조작부(24)는 모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부(247), 결합부(248) 및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47)는 본체부(22)의 선단에 장착되어, 조작자가 축 회전 조작을 하는 부품이다.
캡부(247)는 대략 반구 형상을 이루고, 축심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조작 와이어(30), 리드 파이프(34) 및 가요관(50)이 삽입되어 있다. 가요관(50)의 기단부는 캡부(247)에 대해 고정된다.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는 기단부가 본체부(22)에 장착되고, 선단에 캡부(247)가 장착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조작부(24)를 본체부(22)에 고정하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는 선단측이 대경으로 개방되고, 기단부측에는 소경으로 돌출된 계단 원통 형상의 돌출 설치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캡부(247)는 외주 상의 다른 복수 개소에 갈고리부(246)를 갖고 있다. 갈고리부(246)는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에 대해 결합한다. 이에 의해, 캡부(247)와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는 축 회전 방향 및 진퇴 방향의 상대 이동이 모두 규제된다.
결합부(248)는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선단측의 개구 내부에 수용되어, 캡부(247) 및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와 함께 축 회전하는 부품이다.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개구 내부에 수용된 결합부(248)는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에 대한 축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결합부(248)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481)을 갖고 있고, 단면 ㄷ자 형상(U자 형상)의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결합부(248)는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부터 장착된다.
슬릿(2481)은, 도 4의 (a)의 상방으로부터 결합부(248)의 축심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ㄷ자 형상(U자 형상)의 결합부(248)의 개구 방향은 도 4의 상방이다.
결합부(248)는 리드 파이프(34)와 결합하여 이것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동시에, 리드 파이프(34)를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리드 파이프(34)의 외주에는 결합부(248)의 내부 위치에 있어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의 조작 와이어 결합부(37)가 팽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48)의 슬릿(2481)의 슬릿 폭은, 조작 와이어 결합부(37)의 직사각형 단면에 있어서의 대향면간 거리[조작 와이어 결합부(37)의 폭]보다도 크고, 조작 와이어 결합부(37)의 직사각형 단면에 있어서의 대각 거리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슬릿(2481)에 조작 와이어 결합부(37)를 수용한 상태에서 결합부(248)를 축 회전시키면, 리드 파이프(34)가 토크 회전한다.
본체부(22)의 선단에는 선단측을 향해 개방된 통 형상의 접속 캡(230)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캡(230)의 기단부에는 내향 플랜지(231)가 형성되어 있다.
내향 플랜지(231)의 중심의 개구(232)(도 6을 참조)에는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돌출 설치부(244)가 삽입 관통된다.
본체부(22)에는 직경 방향으로 고주파 인가부(226) 및 전원 단자(227)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22)의 내부에는 전원 단자(22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급전 단자(229)가 수용되어 있다. 급전 단자(229)와 전원 단자(227)는 금속 비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본체부(22)에는 금속제의 도전 파이프(221)가 매설되어 있다. 도전 파이프(221)는 고주파 전류 코드(70)(도 2를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조작 와이어(30)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30)에는 도전 파이프(221)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통 형상의 집전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집전부(32)는 리드 파이프(34)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전 파이프(221)의 내면과 미끄럼 접촉한다.
고주파 전류 코드(70)로부터 전원 단자(227)에 공급된 고주파 전류는, 도전 파이프(221), 집전부(32), 리드 파이프(34), 그리고 조작 와이어(30)를 통해 처치부(60)에 인가된다(도 2를 참조).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있어서는, 모두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부(32)와 도전 파이프(221)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서는, 실질적으로 마찰 접합을 발생하는 일 없이 전원 단자(227)와 조작 와이어(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진퇴 조작부(26)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견인 또는 압입 조작할 때에 필요로 하는 축력을 과대로 하는 일 없이, 전원 단자(227)와 조작 와이어(30) 사이에 양호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파이프(34)의 기단부에는 조작 와이어 고정부(36)가 팽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 고정부(36)는 진퇴 조작부(26)에 대해 토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진퇴 조작부(26)를 축 본체(228)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리드 파이프(34) 및 조작 와이어(30)는 진퇴 조작된다.
축 본체(228)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진퇴 조작부(26)는 슬릿부(225)에 수용되어 축 본체(228)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와,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외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더(265)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조작 와이어 고정부(36)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매설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24)의 기단부[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에는 다단의 단차면(241, 24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2)의 선단부에는 접속 캡(230)의 내향 플랜지(231), 빠짐 방지부(224) 및 급전 단자(229)에 의해, 회전 조작부(24)를 장착하는 다단의 장착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22)에 대해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돌출 설치부(244)를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부(222)에 대해, 복수의 단차면(241, 242)은 면접촉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24)의 기단부[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에 형성된 돌출 설치부(244)는 장착부(22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한편, 돌출 설치부(244)의 주위에는 빠짐 방지부(224)가 장착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224)는 장착부(222)에 삽입 관통된 돌출 설치부(244)가 장착부(2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빠짐 방지부(224)는 단면 ㄷ자 형상(U자 형상)을 이루고, 돌출 설치부(244)의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243)와 끼워 맞추는 키 부재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24)의 돌출 설치부(244)를 본체부(22)의 개구(232)(도 6을 참조)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돌출 설치부(244)의 오목부(243)에 대해 빠짐 방지부(224)가 직경 방향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224)는 개구(232)보다 대경이고, 돌출 설치부(244)의 진퇴 방향의 이동을 완전히 억제한다. 이에 의해, 본체부(22)에 장착된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가 선단측으로 이탈하는 일이 없다.
빠짐 방지부(224)는 회전 조작부(24)[기단부 끼워 맞춤부(249)]를 본체부(22)에 대해 기단부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즉, 빠짐 방지부(224)를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오목부(243)에 장착함으로써,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의 단차면(241, 242)은 계단 형상의 장착부(222)에 대해 소정의 축력(수직 항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단부 끼워 맞춤부(249)와 본체부(22)는 소정의 정지 마찰력을 갖고, 서로 축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서는, 진퇴 조작부(26)에 의한 조작 와이어(30)의 진퇴 조작 시나, 조작부(20)의 핸들링 시에, 처치부(60)의 방향이 예상치 못하게 변화되는 일이 없다.
회전 조작부(24)를 회전 조작하여 조작 와이어(30)를 토크 회전시킨 경우, 가요관(50)과 조작 와이어(30) 사이의 마찰 손실에 의해, 회전 조작부(24)에서 조작 와이어(30)에 부여한 회전각의 일부만이 처치부(60)에 부여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조작부(24)를 회전 조작하여 처치부(60)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켰을 때, 가요관(50)의 내부에서 정지하고 있는 조작 와이어(30)에는 소정의 토크가 인가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진퇴 조작부(26)를 고주파 처치구(10)의 기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조작 와이어(30)를 견인한 경우, 조작 와이어(30)에 부하되는 텐션에 따라서 조작 와이어(30)의 회전 강성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30)를 견인하면, 가요관(50)의 내부에서 조작 와이어(30)에 회전각의 복귀가 발생하여, 처치부(60)가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서는, 회전 조작부(24)와 본체부(22)가 복수의 단차면(241, 242)에서 접촉하고,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퇴 조작부(26)를 슬라이드시켜 조작 와이어(30)를 견인해도, 회전 조작부(24)와 본체부(22)가 정지 마찰력에 의해 상대 회전하지 않으므로, 조작 와이어(30)에 회전각의 복귀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따르면, 진퇴 조작부(26)를 조작하여 환부의 절리 등의 처치를 행하는 순간에 처치부(60)가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일이 없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10)에 있어서의 조작부(2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슬라이더(265)의 후퇴 상태, 도 7의 (b)는 슬라이더(265)의 최대 전진 상태, 도 7의 (c)는 조작 와이어(30)의 이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완 부재(80)를 구성하는 홀더(82)의 이면도이다. 도 8의 (a)는 선단측의 측면도이고, 도 8의 (b)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축 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이완 부재(8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완 부재(80)가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가압력을 부여한다라고 함은, 이완 부재(80)와 조작 와이어(3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슬라이더 고정부(266) 등의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이완 부재(80)로부터 조작 와이어(30)로 간접적으로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는 진퇴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30)에 부여된 장력을 이완 부재(80)에 의해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킨 상태에서의 회전 조작부(24)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즉, 슬라이더(265)를 진퇴시켜 조작 와이어(30)를 축 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한 경우, 조작 와이어(30)가 받는 장력이 클수록, 그 비틀림 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진퇴 조작부(26)가 진퇴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조작 와이어(30)를 가압함으로써, 장력이 완화되어 조작 와이어(30)의 비틀림 강성은 자연 상태로 회복된다. 이에 의해, 회전 조작 시에 회전 조작부(24)에 부여해야 할 토크가 과대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와이어(30)의 장력이라 함은, 조작 와이어(30)의 압축력과 인장력의 양쪽을 의미한다.
고주파 처치구(10)는, 제1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와 회전 조작부(24)를 본체부(22)와 개별로 설치함으로써, 고주파 전류 코드(70)의 자중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처치부(6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도 1을 참조). 여기서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진퇴 조작 후의 조작 와이어(30)의 장력을 이완 부재(80)에 의해 완화함으로써, 처치부(60)를 회전 조작할 때에 필요한 회전 토크가 저감되어, 회전 조작부(24)의 조작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상기의 장점은, 가위형이나 스네어형으로 예시되는 바와 같은, 처치부(60)를 개방 상태로 하여 환부와 각도 맞춤을 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처치부(60)로서 가위형(도 3을 참조)을 예시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처치부(60)는 진퇴 조작부(26)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진퇴시킴으로써 서로 개폐되는 복수의 가위편[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조작 와이어(30)가 축 방향으로 전진 방향 또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완 부재(80)는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으로 압박력을 부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슬라이더(265)의 후퇴 상태에 있어서, 조작 와이어(30)는 기단부측으로 견인되어 있으므로,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은 서로 폐지된 폐쇄 상태에 있다[도 3의 (b)를 참조].
그리고, 슬라이더(265)가 전진하면, 조작 와이어(30)는 선단측으로 압입된다. 이에 의해,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은 제1 핀(65)을 중심으로 서로 축 회전하고, 선단이 개방된 개방 상태로 된다[도 3의 (a)를 참조].
또한, 가위형의 처치부(60)로서는, 도 3의 각 도면에 도시한 핀 회전식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이 서로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요관(50)의 직경 방향으로 접촉 분리하는 평행 슬라이드식 형태라도 좋다.
도 3의 (a) 및 도 7의 (b)는 조작 와이어(30)를 진퇴시켜 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의 개방량이 최대로 된 최대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치부(60)의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이완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와이어(30)가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본 실시 형태의 경우,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은 개방량(개방 폭)이 최대 개방 상태보다도 감소된 중간 개방 상태(도시하지 않음)로 된다. 또한, 처치부(60)의 중간 개방 상태라 함은, 최대 개방 상태와, 완전 폐지 상태를 제외한 다른 상태를 말한다.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완 부재(8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단면이 옆으로 쓰러진 각형 U자 형상(ㄷ자 형상)을 이루는 홀더(82)와, 가압 스프링(84)을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완 부재(80)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해도 좋고, 또는 단일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가압 스프링(84)은 나선 스프링이다. 가압 스프링(84)의 권취 직경(외경)은 본체부(22)의 슬릿부(225)의 개구 폭보다도 작다. 가압 스프링(84)은 리드 파이프(34)의 주위에 장착되어, 리드 파이프(34)의 연장 방향, 즉 조작부(20)의 축 방향(도 7의 각 도면의 좌우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신축한다.
가압 스프링(84)의 기단부(841)는 리드 파이프(34) 또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서로 비고정으로 해도 좋다.
홀더(82)는 진퇴 조작부(26)와 본체부(22)가 축 방향으로 소정 이상으로 근접한 경우에 가압 스프링(84)을 축 방향으로 압축시키고, 진퇴 조작부(26)를 본체부(2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부재이다.
홀더(82)는 조작부(20)의 선단측을 향해 장착되는 전방측[도 8의 (b)의 좌측]에 평탄한 압박면(821)을 구비하고, 후방측[도 8의 (b)의 우측]에 개구부(822)를 갖고 있다. 개구부(822)를 상하에 끼우는 한 쌍의 대략 평행한 탄성편(823)에는 상하 방향의 외측을 향해 래치 갈고리(82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래치 갈고리(824)의 개구측(후방측)의 경사 각도는 안길이측(전방측)의 경사 각도보다도 완만하다.
탄성편(823)의 개구측의 내측 단부에는 경사부(826)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을 향해 개구부(822)의 개구 폭이 확대되어 있다.
홀더(82)는 하방으로 개방된 홈부(825)를 갖고 있다. 홈부(825)의 홈 폭은 리드 파이프(34)의 외경보다도 크고, 가압 스프링(84)의 권취 직경(외경)보다도 작다.
도 9의 (a)는 이완 부재(80)[홀더(82) 및 가압 스프링(84)]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이완 부재(80)의 장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의 (a)에서, 자연 상태의 홀더(82)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래치 갈고리(824)가 몰입된 상태의 홀더(82)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각 도면에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와,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매설된 조작 와이어 고정부(36)와, 조작 와이어 고정부(36)를 기단부로 하여 선단측으로 연장하는 리드 파이프(34) 및 리드 파이프(34)에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더(265) 및 본체부(22)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리드 파이프(34)의 선단측(도 9의 좌측)으로부터 가압 스프링(84)을 장착한다. 가압 스프링(84)은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에, 홀더(82)의 압박면(821)을 선단측을 향한 상태에서, 홈부(825)에 리드 파이프(34)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2)가 리드 파이프(34)에 걸쳐서 장착된다.
계속해서, 홀더(82)의 탄성편(823)을 상하 방향으로 압박하여 래치 갈고리(824)를 압박면(821)보다도 몰입시킨 상태에서, 홀더(82)를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한 쌍의 아암부(267)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래치 갈고리(824)의 개구측(후방측)은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므로, 홀더(82)를 후방으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래치 갈고리(824)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선단부(268)에 가압되어 몰입되고, 탄성편(823)은 내측으로 휜다. 이에 의해, 래치 갈고리(824)는 한 쌍의 선단부(268) 사이를 통과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편(823)의 개구측의 내측 단부에 경사부(826)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편(823)을 휘게 한 상태에서 경사부(826)는 리드 파이프(34)에 의해 평행이 된다. 이때, 경사부(826)끼리의 사이의 개구 폭은 가압 스프링(84)의 권취 직경(외경)보다도 크고, 홀더(82)는 가압 스프링(84)의 외주를 따라서 아암부(267) 사이로 진입한다.
도 9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선단부(268)와 아암부(267) 사이에는 단차부(2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갈고리(824)가 단차부(269)를 통과하면, 탄성편(8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래치 갈고리(824)는 다시 압박면(821)보다도 돌출된다. 이에 의해, 래치 갈고리(824)와 단차부(269)의 결합에 의해, 홀더(82)가 슬라이더 고정부(266)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상에 의해, 홀더(82) 및 가압 스프링(84)은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내부에 장착된다.
도 7로 돌아가,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있어서의 이완 부재(8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홀더(82) 및 가압 스프링(84)은 조작부(20)의 슬릿부(225)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2)에는 진퇴 조작부(26)의 선단측으로부터 슬릿부(225)의 내부를 향해, 후방 돌기(223)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방 돌기(223)는 기단부측에 걸쳐서 폭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후방 돌기(223)의 기단부측의 단부면은 평탄하고, 홀더(82)의 압박면(821)과 평행하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2) 및 가압 스프링(84)은 본체부(22)와 진퇴 조작부(26)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완 부재(80)[홀더(82) 및 가압 스프링(84)]는 본체부(22)와 진퇴 조작부(26)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슬라이더(265)의 후퇴 상태에서는, 가압 스프링(84)은 자연 길이이며, 본체부(22) 및 진퇴 조작부(26)에 가압력은 부여되지 않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처치부(60)의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은 폐지되어 있다[도 3의 (b)를 참조]. 이 상태에서, 처치부(60) 및 가요관(50)을, 내시경의 겸자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다(도시하지 않음).
여기서,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복수의 겸자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겸자 구멍에는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추가하여, 파이버 스코프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의 광학계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내시경의 선단에는 원통 형상의 후드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내시경의 선단에 후드를 돌출시켜 장착함으로써, 환부와 광학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양자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처치부(60)가 내시경의 겸자 구멍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면, 후드의 내부에 있어서의 처치부(60)의 위치 및 회전 각도가 광학계에서 관찰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광학계에서 처치부(60)를 관찰하면서, 회전 조작부(24)를 토크 회전시켜 처치부(60)의 회전 각도를 환부에 적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처치부(60)의 회전 조작을 행한다.
우선, 조작자는 하나의 손가락(엄지 손가락)을 보조 링(262)(도 1을 참조)에 삽입 관통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슬라이더(265)를 끼움 지지하여,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를 가동 범위의 최전방까지 전진시킨다. 이 상태를, 진퇴 조작부(26)의 최전진 상태라고 한다.
진퇴 조작부(26)의 최전진 상태에서는, 진퇴 조작부(26)와 함께 조작 와이어(30)가 전진하고, 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은 최대 개방 상태로 된다[도 3의 (a)를 참조]. 그리고,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이 이루는 V자 형상이 광학계에서 관찰된다.
또한, 가위형의 처치부(60)의 경우, 그 폐지 상태에서는 폭 방향[도 3의 (b)의 상하 방향]과 두께 방향[도 3의 (b)의 종이면 전후 방향]의 치수가 서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광학계에 의한 육안 관찰에서는 처치부(60)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처치부(60)를 개방한 상태에서 그 회전 각도를 광학계에서 관찰하면 좋다.
이때, 홀더(82)는 후방 돌기(223)에 의해 기단부측[도 7의 (b)의 우측]으로 압박되고, 탄성편(823)은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맞대어진다. 여기서, 가압 스프링(84)의 자연 길이는 탄성편(823)보다도 길기 때문에, 홀더(82)가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압입됨으로써 가압 스프링(84)은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이에 의해, 가압 스프링(84)은 슬라이더 고정부(266) 및 리드 파이프(34)를 통해,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축 방향의 후방으로 가압력을 부여한다. 단, 조작자의 손가락이 진퇴 조작부(26)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은, 진퇴 조작부(26)는 최전진 상태에서 정지하고, 가압 스프링(84)은 압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조작자는 진퇴 조작부(26)로부터 손가락을 뗀다. 이에 의해, 가압 스프링(84)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홀더(82)와 슬라이더 고정부(266)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즉,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고정부(266)를 후퇴시킨다.
여기서, 진퇴 조작부(26)의 최전진 상태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84)이 얻는 탄성 복원력은, 조작 와이어(30), 리드 파이프(34) 및 슬라이더 고정부(266)와, 가요관(50) 및 본체부(22)의 최대 정지 마찰력의 합계보다도 크다. 따라서, 조작자가 진퇴 조작부(26)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만으로 진퇴 조작부(26)는 약간 후퇴한다.
그러면, 최전진 상태까지 압입되어 있던 조작 와이어(30)의 장력(압축력)의 적어도 일부가 해소되어, 조작 와이어(30)는 실질적으로 이완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퇴 조작부(26)가 가동 범위의 최전방 및 최후방을 제외한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조작 와이어(30)의 이완 상태라고 한다.
도 7의 (c)에 도시하는 조작 와이어(30)의 이완 상태에서는,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도 3의 (a)를 참조]은 서로 개방된 상태이므로, 처치부(60)의 방향을 광학계에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조작 와이어(30)의 이완 상태에 있어서의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의 개방 폭은, 최대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최대 개방 폭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제1 가위편(61) 및 제2 가위편(62)의 선단이 후드의 내벽면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에 따르면, 조작자가 진퇴 조작부(26)를 최전진 상태까지 전진시켰다고 해도, 그 손가락을 진퇴 조작부(26)로부터 뗌으로써 처치부(60)의 개방 폭이 자동적으로 감소하여 조작 와이어(30)가 이완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계속해서 조작자가 회전 조작부(24)를 조작할 때에 조작 와이어(30)의 장력이 해소되어 있으므로, 과대한 회전 토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회전 조작부(24)를 양호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24)의 회전 조작 시에 처치부(60)가 중간 개방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광학계에 의한 시인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후드와 처치부(60)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진퇴 조작부(26)의 가동 범위가 크고, 처치부(60)가 최대 개방 상태로 되고 또한 진퇴 조작부(26)가 전진 가능한 경우에는, 진퇴 조작부(26)의 전진 조작 시에 조작 와이어(30)에 큰 압축력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이완 부재(80)에 의해 조작 와이어(30)의 압축력을 경감 또는 해소함으로써, 회전 조작부(24)에 필요한 회전 토크를 극히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고주파 처치구(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는 이완 부재(80)가,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하여 진퇴 조작부(26)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82)와, 홀더(82)와 진퇴 조작부(26)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된 가압 부재[가압 스프링(8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는 진퇴 조작부(26)에 대해 축 방향으로 소정의 결합력보다도 큰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 홀더(82)와 조작 와이어(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진퇴 조작부(26)가 진퇴 이동한다.
홀더(82)는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 고주파 처치구(10)는 조작 와이어(30)가 삽입 관통된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홀더(82)가 끼워 맞춤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82)는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마찰적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도 10의 (a)는 홀더(82)와 리드 파이프(34)[조작 와이어(30)]가 결합한, 진퇴 조작부(26)의 전진 규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가 후퇴 위치로부터 선단측(도 10의 좌측)으로 이동을 개시한 상태에서, 홀더(82)는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정지 마찰력에 의해 걸려 있고, 가압 스프링(84)이 압축되어 간다.
홀더(82)와 조작 와이어(30)의 결합은 상기와 같이 마찰적이라도 좋고, 또는 축 방향으로의 소정의 외력에 의해 이탈 가능한 요철 끼워 맞춤이라도 좋다.
진퇴 조작부(26)가 더욱 선단측으로 이동하면, 가압 스프링(84)의 압축량이 증대해 간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84)의 탄성 복원력이, 홀더(82)와 리드 파이프(34)의 최대 정지 마찰력과 균형이 잡히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2)는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마찰적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도 10은 진퇴 조작부(26)의 전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홀더(82)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아암부(267)의 가장 후방으로 압입된 상태에서, 압박면(821)이 슬라이더 고정부(266)의 선단부(268)보다도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9를 참조).
도 10의 (b)의 상태로부터 진퇴 조작부(26)가 더욱 선단측으로 이동하고, 홀더(82)의 압박면(821)이 본체부(22)에 접촉하면, 가압 스프링(84)은 슬라이더 고정부(266)에 대해 기단부측으로의 탄성력을 가압한다[도 10의 (c)를 참조].
이에 의해, 진퇴 조작부(26)는 최전진 상태로부터 약간 기단부측으로 복귀되고, 조작 와이어(30)의 압입력의 일부가 해소되어, 조작 와이어(30)는 이완된 상태로 된다. 즉, 도 10의 (c)는 조작 와이어(30)의 이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가위편(61)과 제2 가위편(62)[도 3의 (a)를 참조]은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약간 폐쇄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부(24)의 회전 토크가 경감되는 동시에, 처치부(60)(도 1을 참조)와 후드의 광학적 또는 물리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는 만곡 또는 굴곡(이하,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만곡이라고 함)된 체강에 이것을 삽입 관통할 때에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서, 체강(또는 이것에 미리 삽입 관통된 카테터의 루멘)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 고주파 처치구(10)의 가요관(50)과 조작 와이어(30)(이하, 도 1을 참조)를 이것에 삽입해 가면, 조작 와이어(30)는 가요관(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한다. 가요관(50)에 있어서의 만곡의 내측보다도, 가요관(50)에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의 쪽이, 경로 길이가 길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가요관(50)과 조작 와이어(30)가 만곡되는 것에 따라서, 가요관(50)의 선단의 처치부(60)가 폐지 상태 그대로이고, 조작 와이어(30)는 가요관(50)에 대해 전진하고, 진퇴 조작부(26)는 선단측으로 인출되어 간다.
한편,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가 선단측으로 약간 인출되어 가압 스프링(84)이 압축되었다고 해도, 리드 파이프(34)에 마찰적으로 걸린 홀더(82)가 스토퍼로 되어 진퇴 조작부(26)의 전진을 규제한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는 만곡된 체강이나 루멘에 가요관(50) 및 조작 와이어(30)를 삽입해도, 진퇴 조작부(26)가 슬릿부(225)의 최첨단 위치까지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즉, 홀더(82)와 리드 파이프(34)의 결합력에 맞는 최대 정지 마찰력은 가요관(50) 및 조작 와이어(30)가 만곡된 경우의 진퇴 조작부(26)의 전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스프링(84)의 탄성 복원력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만곡된 체강이나 루멘에 고주파 처치구(10)를 삽입한 경우에도, 처치부(60)가 환부의 근방에 이른 시점에서, 진퇴 조작부(26)에는 이것을 더욱 전진 조작하여 처치부(60)를 개방 조작하기 위한 스트로크가 남겨져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진퇴 조작부(26)를 전진시키는 외력은 홀더(82)와 리드 파이프(34)의 결합력보다도 충분히 크다. 이로 인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 조작부(26)를 전진 조작한 경우에는, 홀더(82)는 슬라이더 고정부(266)와 함께 리드 파이프(34)에 대해 전진한다. 이에 의해, 본체부(22)에 고정된 가요관(50)에 대해 조작 와이어(30)가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처치부(60)는 개방 상태로 된다.
그리고, 진퇴 조작부(26)가 최전진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84)의 반력에 의해, 진퇴 조작부(26)가 약간 기단부측으로 복귀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는 이완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고주파 처치구(10)에 따르면, 만곡된 체강이나 루멘에 가요관(50)을 삽입한 경우에도, 진퇴 조작부(26)의 전진을 이완 부재(80)가 적절하게 규제하므로, 진퇴 조작부(26) 및 이완 부재(80)의 기능이 발휘된다.
본 출원은, 2009년 5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23077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Claims (14)

  1.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과,
    상기 가요관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도전성의 조작 와이어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환부를 처치하는 처치부와,
    상기 가요관의 기단부에 부설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여 상기 처치부를 조작하고, 상기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켜 상기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처치부에 상기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류 코드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토크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와, 상기 본체부의 기단부측에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키는 진퇴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상기 고주파 전류 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가 삽입 관통된 금속제의 도전 파이프가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조작 와이어에, 상기 도전 파이프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통 형상의 집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의 외주에 금속제의 리드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집전부가 상기 리드 파이프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상기 축 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이완 부재를 더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는 상기 진퇴 조작부에 의해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킴으로써 서로 개폐하는 복수의 가위편을 갖고,
    상기 조작 와이어가 축 방향으로 전진 방향 또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위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으로 상기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켜 상기 가위편의 개방량이 최대로 된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이완 부재의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와이어가 후퇴 방향 또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위편은 상기 개방량이 상기 최대 개방 상태보다도 저감된 중간 개방 상태로 되는, 고주파 처치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진퇴 조작부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 부재가, 상기 조작 와이어에 대해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하여 상기 진퇴 조작부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진퇴 조작부에 탄발적으로 끼움 지지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 조작부에 대해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결합력보다도 큰 하중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홀더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진퇴 조작부가 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의 기단부에, 다단의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상기 회전 조작부를 장착하는 다단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장착부에 대해 복수의 상기 단차면이 면접촉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돌출 설치부가 상기 장착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된 상기 돌출 설치부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가 상기 돌출 설치부의 주위에 장착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회전 조작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기단부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고주파 처치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조작부가 축 대칭 형상인, 고주파 처치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해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축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환형상의 보조 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진퇴 조작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축 회전이 고정되어 상기 축 방향으로 진퇴하는, 고주파 처치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주에 주회 형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KR1020117030474A 2009-05-21 2010-05-06 고주파 처치구 KR20120036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3077 2009-05-21
JP2009123077 2009-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16A true KR20120036316A (ko) 2012-04-17

Family

ID=4312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474A KR20120036316A (ko) 2009-05-21 2010-05-06 고주파 처치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46661A1 (ko)
EP (1) EP2433582A4 (ko)
JP (1) JP5500170B2 (ko)
KR (1) KR20120036316A (ko)
CN (1) CN102427770B (ko)
AU (1) AU2010250646A1 (ko)
BR (1) BRPI1012999A2 (ko)
WO (1) WO20101342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07B1 (ko) * 2012-06-26 2014-02-03 신경민 고주파 처치 장치
KR101434628B1 (ko) * 2013-01-30 2014-08-27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의료용 스네어 장치
KR20180081993A (ko) * 2017-01-09 2018-07-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 전극과 회전 코드를 구비한 단극성 전기 수술용 연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90B1 (ko) * 2011-01-25 2013-08-21 신경민 의료용 스네어
CN103565514B (zh) * 2012-08-01 2015-05-06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双控弯螺旋形电生理导管
JP6163887B2 (ja) * 2013-06-03 2017-07-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6698311B2 (ja) * 2015-10-19 2020-05-27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ー
GB2567480A (en) * 2017-10-13 2019-04-17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resector tool
GB2567469A (en) * 2017-10-13 2019-04-17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apparatus
WO2019128955A1 (zh) * 2017-12-25 2019-07-04 杭州安杰思医学科技有限公司 电手术用器械操纵装置
EP4272670A1 (en) * 2020-12-31 2023-11-08 Hangzhou Broncus Medical Co., Ltd.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and radio-frequency ablation system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KR102617009B1 (ko) * 2021-12-15 2023-12-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압증기 멸균이 가능한 내시경용 핫 바이옵시 포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5026B1 (en) 1999-08-06 2001-05-22 Scimed Life Systems, Inc.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JP4420593B2 (ja) * 2002-07-29 2010-02-24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4085148B2 (ja) * 2002-09-27 2008-05-14 有限会社エスアールジェイ 高周波スネア
JP2005198735A (ja) * 2004-01-14 2005-07-28 Pentax Corp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の操作部
JP4425224B2 (ja) * 2006-02-17 2010-03-03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ナイフ
JP4441496B2 (ja) * 2006-02-20 2010-03-31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4441509B2 (ja) * 2006-06-22 2010-03-31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8414574B2 (en) * 2006-06-01 2013-04-09 Hoya Corporation Treatment instrument having a front-end treatment member
JP5160050B2 (ja) 2006-06-07 2013-03-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4980777B2 (ja) * 2007-04-06 2012-07-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5053749B2 (ja) * 2007-08-02 2012-10-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構造
JP4959518B2 (ja) 2007-11-16 2012-06-27 株式会社Nykシステムズ 3次元cgオブジェクト干渉チェックプログラム
JP5158952B2 (ja) * 2008-04-08 2013-03-06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モノ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5167949B2 (ja) * 2008-05-23 2013-03-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07B1 (ko) * 2012-06-26 2014-02-03 신경민 고주파 처치 장치
KR101434628B1 (ko) * 2013-01-30 2014-08-27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의료용 스네어 장치
KR20180081993A (ko) * 2017-01-09 2018-07-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 전극과 회전 코드를 구비한 단극성 전기 수술용 연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3582A1 (en) 2012-03-28
JP5500170B2 (ja) 2014-05-21
EP2433582A4 (en) 2014-02-12
CN102427770A (zh) 2012-04-25
CN102427770B (zh) 2014-05-07
JPWO2010134273A1 (ja) 2012-11-08
US20120046661A1 (en) 2012-02-23
AU2010250646A1 (en) 2011-11-17
BRPI1012999A2 (pt) 2018-01-16
WO2010134273A1 (ja)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6316A (ko) 고주파 처치구
US9775633B2 (en) Medical device handl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5160050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9510824B2 (en) 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EP2123225B1 (en) Endoscope device
EP2000105B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US20170333044A1 (en) Adapter assembly for a flexible circular stapler
JP5161681B2 (ja) 内視鏡用処置具
WO2017119078A1 (ja) 組織締付具留置装置
JP6338676B2 (ja) 能動的直線復帰機構を有するカテーテル
WO2012082846A1 (en) Endoscopic suture cinch system
WO2009046490A1 (en) Control system for a grasping instrument
US10828053B2 (en) Medical device handles and related methods
CN110573094A (zh) 组织紧固器具留置系统
US20180256255A1 (en) Waveguide locks and counterbalances for waveguide conduits
US20210338046A1 (en) Endoscope treatment tool and endoscope system
US10179007B2 (en) Reinforcing slider for surgical hand tool
JP2008229373A (ja) 外科用処置具
WO2016063874A1 (ja) 採石破砕装置
US6461310B1 (en) Endoscopic bioptome with a hard stop to control biting force
US11064995B2 (en) Surgical device with trigger operated needle
JP5487343B2 (ja) 内視鏡用処置具挿通具
WO2019163086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CN109561914B (zh) 医疗装置柄部锁
CN215688371U (zh) 一种高频粘膜切开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