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283A -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283A
KR20120036283A KR1020110101790A KR20110101790A KR20120036283A KR 20120036283 A KR20120036283 A KR 20120036283A KR 1020110101790 A KR1020110101790 A KR 1020110101790A KR 20110101790 A KR20110101790 A KR 20110101790A KR 20120036283 A KR20120036283 A KR 2012003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ram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heet
backligh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971B1 (ko
Inventor
히로유끼 시모까와
마사미쯔 미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12003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의 협프레임화에 수반하여 백라이트 장치에 이용하는 몰드 프레임의 굵기가 미세하게 된다. 몰드 프레임(12)의 내측 측면에 사출 성형의 게이트를 배치한다. 그 내측 측면은 게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 오목부(50)가 형성된다. 이 사출 성형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오목부(50)에 맞추어, 몰드 프레임(12) 내에 넣는 광학 시트의 가장자리에 시트 탈락 방지의 돌기부를 형성한다. 오목부(50)를 그 돌기부의 계지에 이용함으로써, 돌기부 계지를 위한 오목부를 별도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액정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액정 패널과, 그 배면에 설치되어 액정 패널에 조명광을 부여하는 백라이트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휴대 전화 등에 이용되는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백라이트 장치는, 화면의 한 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에 의해서 면 형상으로 넓히는 구조를 갖고, 그 구조는 백라이트 장치의 형상을 얇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서는, 도광판의 배면에는 반사 시트가 배치되는 한편, 도광판의 전면과 액정 패널과의 사이에 확산 시트나 프리즘 시트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군이 배치된다. 이들 부재는 몰드 프레임을 이용하여 일체로 조립된다. 몰드 프레임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틀이다. 몰드 프레임의 배면에는 반사 시트가 접착되고, 그 몰드 프레임의 틀 내에 도광판 및 광학 시트가 수납된다.
도 8은, 몰드 프레임의 종래의 사출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에는, 몰드 프레임(2) 및 러너부(4)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는 몰드 프레임(2)의 형상을 갖는 캐비티가 형성된다. 캐비티는 용융 수지가 그 전체에 균일하게 진입하는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를 통하여 러너에 접속된다. 종래, 몰드 프레임(2)의 배면 또는 전면에 게이트를 배치하여 사출 성형이 행해지고 있다.
캐비티 및 러너에 주입된 수지가 냉각되어 굳어지면 도 8의 상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2)과 러너부(4)가 일체로 되어 있는 중간 성형품(8)이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 이 중간 성형품(8)을 게이트의 위치(게이트부(6))에서 절단하여, 도 8의 하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2)이 러너부(4)로부터 분리된다.
이 절단의 정밀도에 의해서는 게이트부(6)의 선단이 몰드 프레임(2)측에 남아서 몰드 프레임(2)의 표면에 볼록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볼록부가 그 표면에의 다른 부재의 부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미리 게이트의 근방의 그 표면을 후퇴시켜서, 그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게이트 나머지의 볼록부가 생겼다고 해도 그것이 그 오목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된다. 오목부의 개구는, 예를 들면, 게이트 절단에 이용하는 지그의 선단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1㎜ 정도의 치수를 필요로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6204호 공보
액정 표시 장치의 협프레임화에 수반하여, 몰드 프레임의 두께나 그 프레임의 굵기(틀 폭)의 축소가 요구되어 있고, 최근에는 예를 들면, 그들은 1㎜ 미만으로 될 수 있다. 게이트를 몰드 프레임의 둘레 상의 어느 곳에 배치할지는, 용융 수지가 캐비티에 동시에, 게다가 균등하게 유입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결정된다. 그 관점에서는, 게이트를 몰드 프레임의 두께나 폭이 미소한 가는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미세한 부분에, 상술한 오목부를 수반하는 게이트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백라이트 장치는 얇은 형상을 가지므로 기본적으로 그 두께 방향의 강도가 다른 방향보다 낮다. 그 때문에, 게이트의 위치를 몰드 프레임의 가는 부분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설정하면, 상술한 오목부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의 두께가 작아져, 두께 방향의 강도가 더 약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틀의 내측 측면에는 광학 시트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게이트 근방의 오목부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는 강도를 한층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몰드 프레임의 미세화를 가능하게 하여, 한층의 협프레임화가 이루어진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배면에 반사 시트가 배치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 방출면 상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 또는 프리즘 시트인 적어도 1매의 광학 시트와, 내측에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학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넣는 틀이며,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그 틀의 내측 측면에 배치하여 사출 성형되는 몰드 프레임을 갖는다.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내측 측면을 상기 게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후퇴시킴으로써 형성된 저면을 갖는 오목부로서, 상기 저면의 그 몰드 프레임의 두께 방향의 확대가 적어도 전면에 도달하고 있는 오목부를 갖고, 적어도 1매의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오목부에 끼우는 돌기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적절한 양태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두께 방향의 확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만 도달하고, 상기 배면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는 백라이트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양태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내측 측면의 후퇴 방향을 향하여 선형으로 좁아지고, 상기 전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인 백라이트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와, 그 백라이트 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 프레임의 한층 더한 미세화가 가능해지고, 한층의 협프레임화가 이루어진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개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수직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몰드 프레임의 사출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광학 시트가 틀 내에 배치된 몰드 프레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5는 몰드 프레임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
도 6은 몰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 7은 몰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8은 몰드 프레임의 종래의 사출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10)의 개략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백라이트 장치(10)는 사이드 라이트 방식이며, 직사각형의 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12)의 배면에, 반사 시트(14)가 접착된다. 반사 시트(14)가 부착된 몰드 프레임(12)의 틀 내에는, 도광판(16), 확산 시트(18), 프리즘 시트(20, 22)가 순번대로 적층된다. 몰드 프레임(12)의 전면에는, 프레임 둘레를 따라서 차광 테이프(24)가 접착된다. 또한, 몰드 프레임(12)의 짧은 변 중 한쪽은, 폭 넓게 형성되고, 이 폭이 넓은 부분(26)의 배면에는 고정 테이프(28)가 접착된다.
몰드 프레임(12)의 폭이 넓은 부분(26)의 배면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가 배열된 전자 기판(도시 생략)이 부착된다. 고정 테이프(28)는 이 전자 기판을 몰드 프레임(12)에 고정한다.
LED는 사이드 라이트 방식의 본 백라이트 장치(10)의 광원이다. 도광판(16)은 예를 들면, 아크릴로 형성되고, 폭이 넓은 부분(26)측의 측부로부터 LED광이 입사된다. 입사한 광은 도광판(16) 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여 면 형상으로 넓어진다. 도광판(16)은 그 각 곳에 전달된 광에 의해서 전면측의 표면(광 방출면)이 일정하게 발하도록 구성된다.
반사 시트(14)는, 그 시트의 가장자리에 미리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그 점착부에 의해 몰드 프레임(12)에 고정된다. 반사 시트(14)는 도광판(16)의 이면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16)으로 되돌아가, 백라이트 장치(1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확산 시트(18)는, 광을 확산하는 수지가 코팅된 필름이다. 확산 시트(18)는 도광판(16)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하고, 발광면 내에서의 광 강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프리즘 시트(20, 22)는 각각 표면에 한쪽 방향으로 신장하는 줄기 형상의 프리즘이나 렌즈가 성형된 필름이며, 확산 시트(18)로부터 전면의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그 면에 수직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집광시켜, 발광면 정면에 있어서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프리즘 시트(20, 22)는 각각 프리즘 등의 연장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집광을 행하고, 집광 방향이 다른 2매의 프리즘 시트(20, 22)를 겹침으로써 이차원적인 집광이 실현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0)의 수직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30)는, 백라이트 장치(10)의 전면에 액정 표시 패널(32)이 배치된다. 차광 테이프(24)는, 액정 표시 장치(30)에 있어서 백라이트 장치(10)와 액정 표시 패널(32)을 접착하는 점착 부재이다. 이 접착 부분으로부터 백라이트 장치(10)의 광이 누설되어 액정 표시 장치(30)의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그 점착 부재로서 차광성을 갖는 것을 이용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32)은, 투명한 한 쌍의 글래스 기판, 그 사이에 끼워진 액정, 및 그 밖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지만, 도 2에 있어서 그 구조는 생략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32)은, 화소마다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여, 백라이트 장치(10)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한 투과율을 바꿈으로써 화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몰드 프레임(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틀 내에 도광판(16) 및 광학 시트(확산 시트(18), 프리즘 시트(20, 22))의 적층체를 넣는다. 몰드 프레임(12)은, 금형을 이용하여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도 3은, 몰드 프레임(12)의 사출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금형에는 몰드 프레임(12)에 대응한 캐비티가 형성되고, 캐비티는 주입구(게이트)에서, 수지로 이루어지는 러너에 접속된다. 러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고, 그 수지가 냉각되어 굳어지면 금형이 제거(착탈)된다. 도 3의 상측은 이 금형을 제거(착탈)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캐비티에 의해 성형된 몰드 프레임(12)과, 수지가 주입된 러너로 이루어지는 러너부(40)가 일체로 된 중간 성형품(42)이 얻어진다.
이 중간 성형품(42)에 있어서, 게이트부(44)가 게이트의 위치에 대응한다. 게이트는, 용융 수지가 캐비티의 전체에 균일하게 진입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균일한 주입을 실현하기 위해 게이트는 복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게이트가 설치되고, 직사각형의 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12)에 있어서 짧은 변보다 긴 변에서 많은 수지를 요하는 것에 대응하여, 각 긴 변에 2개의 게이트가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짧은 변 중 폭이 넓은 부분(26)의 쪽이 다른 한쪽의 가늘고 짧은 변(46)보다 많은 수지 주입을 요하는 것에 대응하여, 폭이 넓은 부분(26)과 가장 가까운 게이트와의 거리는 가늘고 짧은 변(46)과 가장 가까운 게이트와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달리, 이들의 게이트는 몰드 프레임(12)의 틀의 내측 측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러너는, 몰드 프레임(12)의 짧은 변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양단을 2개의 긴 변 상의 대향하는 2개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부분(48a, 48b)과, 이들 부분(48a, 48b)의 중앙 부분에 양단이 접속되고, 긴 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48c)에서 "H"형으로 구성된다. 용융 수지는 부분(48c)의 중앙으로부터 주입되고, 부분(48c)으로부터 부분(48a, 48b)에 각각 유입하고, 또한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에 주입된다.
중간 성형품(42)은 게이트부(44)에서 절단되고, 이에 의해 도 3의 하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12)이 러너부(40)로부터 분리된다. 몰드 프레임(12)은, 게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내측 측면을 후퇴하여 형성되는 오목부(50)를 갖는다. 이 오목부(50)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몰드 프레임(12)에 게이트 흔적으로서 생길 수 있는 볼록부에의 대책으로 하여 형성된다.
오목부(50)는, 몰드 프레임(12)의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전면측에 개방되어 있다. 즉, 몰드 프레임(12)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50)와 몰드 프레임(12)의 전면(상면)과의 사이에는 벽은 형성되지 않고, 오목부(50)의 저면을 이루는 후퇴한 내측 측면은 몰드 프레임(12)의 상면에 도달한다. 따라서, 몰드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오목부(50)가 나타난다.
도 4는, 광학 시트(52)가 틀 내에 배치된 몰드 프레임(12)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몰드 프레임(12)의 상면에 나타나는 오목부(50)를 알기 쉽게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12) 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52)(확산 시트(18), 프리즘 시트(20, 22))는, 오목부(50)에 끼우는 돌기부(54)를 갖는다. 오목부(50)가 전면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광학 시트(52)를 몰드 프레임(12) 내에 두면, 돌기부(54)는 오목부(50)에 들어간다.
백라이트 장치(10)에 있어서 광학 시트(52)는 몰드 프레임(12) 내에 기본적으로 놓여져 있는 것뿐이며, 접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백라이트 장치(10)는, 전면에 액정 표시 패널(32)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학 시트(52)가 반송 중의 진동 등에 의해서 몰드 프레임(12)으로부터 돌출되어 탈락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오목부(50)에 들어간 돌기부(54)는, 그 돌기부(54)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 광학 시트(52)의 탈락을 일으키기 어렵게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20, 22)는 휘어져 그 단부가 부유하는 경우가 있지만, 돌기부(54)를 형성함으로써 단부를 몰드 프레임(12)으로부터 부유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12)과 광학 시트(52)와의 사이에는, 각 부재의 열수축의 상위나 가공 정밀도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미소한 간극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돌기부(5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50)의 위치에 형성해도 되고, 일부의 오목부(50)의 위치에만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20, 22)의 휘어짐이 특정한 대각선 방향에 있어서 생기는 경우에는, 그 대각선 상의 2개의 각에 가까운 오목부(50)의 위치에만 돌기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54)는 모든 광학 시트(52)에 대하여 형성해도 되고, 일부의 시트에만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52)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프리즘 시트(22)에만 돌기부(54)를 형성하여, 그 아래의 확산 시트(18) 및 프리즘 시트(20)의 탈락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오목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수반하여 형성되고, 그 위치는 용융 수지가 적절히 주입되도록 설계된다. 백라이트 장치(10)에서는 그 오목부(50)를 돌기부(54)를 수용하기 위해 활용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54)를 끼우기 위한 오목부를 별도, 몰드 프레임(12)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오목부에서 몰드 프레임(12)이 가늘어지는 것에 의한 백라이트 장치(10)의 강도 저하를 적게 하면서, 돌기부(54)를 형성하여 광학 시트(52)의 탈락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몰드 프레임(12)의 오목부(50)가 형성된 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오목부(50)는, 몰드 프레임(12)의 두께 방향 중 전면측에만 개방하고, 배면측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오목부(50)에서의 몰드 프레임(12)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오목부(50)는 몰드 프레임(12)의 내측 전면의 각을 L자형으로 절결한 형상을 이룬다. 또한, 도 2의 백라이트 장치(10)의 단면은, 도 4에서는 예를 들면, Ⅱ-Ⅱ선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12)의 두께 방향의 일부를 오목부(50)로 하지 않고 원래의 폭 상태로 남김으로써, 몰드 프레임(12)의 강도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6은 몰드 프레임(12)의 오목부(50)가 형성된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오목부(50)는, 몰드 프레임(12)의 두께 방향의 배면측에도 개방되어 있다. 즉, 오목부(50)의 저면은 몰드 프레임(12)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오목부(50)는 도 5의 오목부(50)보다도 몰드 프레임(12)의 폭 방향의 강도는 저하한다. 그러나, 마찬가지의 크기의 오목부를 몰드 프레임(12)의 전면이나 배면에 설치하는 것이, 백라이트 장치(10)의 짧은 변 방향이나 긴 변 방향에 비해 약한 두께 방향의 강도를 더 저하시키는 것에 비교하면, 도 6의 오목부(50)가 백라이트 장치(10)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여기까지 도면에 예시한 오목부(50)는 전면에서 보면 기본적으로는 사각형이었다. 즉, 오목부(50)의 저면과 오목부(50) 양측의 몰드 프레임(12)의 내측 측면과는 각각에 대하여 수직이며, 몰드 프레임(12)의 긴 변 방향에 관한 오목부(50)의 폭 치수와 저면 치수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폭 치수와 저면 치수는 서로 달라도 된다.
도 7은 몰드 프레임(12)의 오목부(50)가 형성된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오목부(50)는, 내측 측면의 후퇴 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선형 테이퍼를 갖고, 전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이다. 즉, 폭 치수보다 저면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순 테이퍼의 오목부(50)는 사출 성형으로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시트(52)의 돌기부(54)는 그 오목부(50)에 적합한 테이퍼를 붙일 수 있다. 이 광학 시트(52)의 형상에서는, 돌기부(54)의 근원의 굴곡(들어가는 코너) 부분이 둔각으로 되어, 광학 시트(52)가 그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열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그 파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그 부분을 원호 등의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몰드 프레임(12)의 내측 측면에 게이트를 설치하면, 오목부(50)가 백라이트 장치(10)의 외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백라이트 장치(10)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장치(10)나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30)를 부품으로서 다른 장치에 내장하는 경우에, 몰드 프레임(12)의 외측 측면을 접착 스페이스로서 이용하거나, 조립을 위한 구조를 몰드 프레임(12)의 외측 측면에 별도 형성할 때의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12)의 내측 측면에 게이트를 배치한 것 외에, 러너를 측방으로부터 게이트에 접속하고, 또한 그 게이트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오목부(50)를 전면측으로 개방한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중간 성형품(42)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할 때에, 게이트 절단에 이용하는 지그의 날끝을 전면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삽입하여 게이트의 근원(몰드 프레임(12)측의 단부)에 부여할 수 있다. 이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하는 날끝의 삽입 방향은 각 오목부(50)에서 공통이며, 각 오목부(50)에서의 절단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휴대 전화 등의 소형의 장치의 부품으로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10), 액정 표시 장치(30)를 이용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소형의 장치에서는, 몰드 프레임(12)의 두께나 틀 폭은 1㎜ 정도, 혹은 그 이하로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틀 폭이 가는 몰드 프레임(12)에서는 오목부(50)의 깊이는 당연하지만 틀 폭 미만의 얕은 것으로 되지만,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는 가능한 한 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50)의 폭 치수(또는 저면 치수)는, 절단 지그의 날끝이 들어가는 크기일 필요가 있지만, 그 지그의 날끝을 미세하게 하여, 그 폭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강도상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폭 치수는 1㎜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백라이트 장치
12 : 몰드 프레임
14 : 반사 시트
16 : 도광판
18 : 확산 시트
20, 22 : 프리즘 시트
24 : 차광 테이프
28 : 고정 테이프
30 : 액정 표시 장치
32 : 액정 표시 패널
40 : 러너부
42 : 중간 성형품
44 : 게이트부
50 : 오목부
52 : 광학 시트
54 : 돌기부

Claims (4)

  1.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장치로서,
    배면에 반사 시트가 배치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 방출면 상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 또는 프리즘 시트인 적어도 1매의 광학 시트와,
    내측에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학 시트를 포함한 적층체를 넣는 틀로서,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그 틀의 내측 측면에 배치하여 사출 성형되는 몰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내측 측면이 상기 게이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후퇴시킴으로써 형성된 저면을 갖는 오목부로서, 상기 저면의 그 몰드 프레임의 두께 방향의 확대가 적어도 전면에 도달하고 있는 오목부를 갖고,
    적어도 1매의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오목부에 끼우는 돌기부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두께 방향의 확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만 도달하고, 상기 배면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내측 측면의 후퇴 방향을 향하여 선형으로 좁아지고, 상기 전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장치와,
    상기 백라이트 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
    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10101790A 2010-10-07 2011-10-06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9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7330A JP5211131B2 (ja) 2010-10-07 2010-10-07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JP-P-2010-227330 2010-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283A true KR20120036283A (ko) 2012-04-17
KR101290971B1 KR101290971B1 (ko) 2013-07-30

Family

ID=4592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90A KR101290971B1 (ko) 2010-10-07 2011-10-06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86890A1 (ko)
JP (1) JP5211131B2 (ko)
KR (1) KR101290971B1 (ko)
CN (2) CN102444842B (ko)
TW (1) TWI4740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1131B2 (ja) * 2010-10-07 2013-06-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30107168A1 (en) * 2011-11-01 2013-05-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P2713200B1 (en) * 2012-09-26 2015-10-28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09314B (zh) * 2013-10-23 2015-11-21 Coretronic Corp 顯示裝置
JP2015090823A (ja) * 2013-11-07 2015-05-1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50141237A (ko) 2014-06-09 2015-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164261B1 (ko) * 2014-08-08 2020-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4614898B (zh) * 2015-02-12 2018-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394030B1 (ko) * 2015-03-31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CN107403856B (zh) * 2016-05-19 2019-10-2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led及其制造方法以及采用该led的电子设备
US10824010B2 (en) 2018-03-05 2020-11-03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CN108303827A (zh) * 2018-03-05 2018-07-20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12578590B (zh) 2019-09-29 2022-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448B2 (ja) * 1996-07-03 2003-06-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樹脂封止金型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86489A (ja) * 1997-09-16 1999-03-30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108298A (en) * 1997-04-15 2000-08-22 Tdk Corporation Disc cartridge
KR100739527B1 (ko) * 2000-10-13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TWM268608U (en) * 2004-12-10 2005-06-21 Innolux Display Corp Back light module
JP5061277B2 (ja) * 2005-11-21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4872676B2 (ja) 2006-06-02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626747B2 (en) * 2006-06-02 2009-12-01 Panason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80011983A (ko) * 2006-08-02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3504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8293902A (ja) * 2007-05-28 2008-12-04 Funai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8305576A (ja) * 2007-06-05 2008-12-1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9163964A (ja) * 2007-12-29 2009-07-23 Citizen Finetech Miyota Co Ltd 照明装置
JP2009181068A (ja) * 2008-01-31 2009-08-13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90100117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515462B1 (ko) * 2008-11-13 2015-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5211131B2 (ja) * 2010-10-07 2013-06-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4084B (zh) 2015-02-21
CN102444842B (zh) 2015-03-18
US20120086890A1 (en) 2012-04-12
JP2012084253A (ja) 2012-04-26
CN102444842A (zh) 2012-05-09
CN202691755U (zh) 2013-01-23
TW201219928A (en) 2012-05-16
KR101290971B1 (ko) 2013-07-30
JP5211131B2 (ja)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971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4993096B2 (ja) 面状照明装置及びその透明樹脂基板と、透明樹脂基板の射出成形方法
US20130208208A1 (en) Fixed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of
US200801701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2010276808A (ja) 液晶表示装置
US10802205B2 (en) Backlight modu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3202798U (zh) 面状照明装置
US20150369992A1 (en)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US7604387B2 (en) Backlight module
US20170108633A1 (en) Light guide plate, back plate, edge-lit typ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50066846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US20140192554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therewith
US11156765B2 (en) Back plate having connecting and supporting portions for a display
JP2014077900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49469B2 (e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for light guide plat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plate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71277A (ko) 가이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9069714A (ja) 液晶表示装置
JP529464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薄肉導光板を成形する射出成形金型
KR102296755B1 (ko) 도광판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장치
JP2005103825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7077205B2 (ja) 面状照明装置
JP2005242249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US20200379289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module
TWI418861B (zh) 導光板及使用其之背光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