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091A - 액체 휘산구 - Google Patents

액체 휘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091A
KR20120035091A KR1020100125508A KR20100125508A KR20120035091A KR 20120035091 A KR20120035091 A KR 20120035091A KR 1020100125508 A KR1020100125508 A KR 1020100125508A KR 20100125508 A KR20100125508 A KR 20100125508A KR 20120035091 A KR20120035091 A KR 2012003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ization
liquid
immersion
container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325B1 (ko
Inventor
모토노리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65Vaporiz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88Aroma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콤팩트한 형상이며, 또한 유저가 휘산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액체 휘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4),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2), 휘산체(2)를 용기 본체(4)에 장착하기 위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 및 용기 본체(4)를 덮는 커버(6)를 구비하고,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에 액체 휘산구(1)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21)를 접어서 수용하는 휘산체 수납 공간(33)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액체 휘산구{LIQUID DIFFUSION DEVICE}
본 발명은 액체 휘산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액체 휘산구의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吸上)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액체 휘산구에 있어서 콤팩트한 형상이며, 또한 유저가 휘산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액체 휘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향제나 소취제 등의 확산성 액체(이하, 간단히 「액체」라고 함)를 휘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체 휘산구로서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 휘산체를 용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 및 용기 본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참조).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7-137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483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10282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액체 휘산구는 액체 휘산구의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된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것과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어 유저가 휘산체를 액체에 침지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것이 있다.
이 중, 전자의 액체에 침지된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것은 보관중에 액체 휘산구의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체를 통하여 증산되거나 휘산체에 막힘이 발생하기 쉬워 장기간의 보존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것은 장기간의 보존에 적합한 반면, 휘산체의 부피가 커지고 포장이나 유통의 비용이 증대함과 아울러 사용시에 유저가 휘산체를 액체에 침지시키는데 수고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액체 휘산구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액체 휘산구의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액체 휘산구에 있어서 콤팩트한 형상이며, 또한 유저가 휘산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액체 휘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된 사용이 완료된 용기 본체 및 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자원의 재사용에 기여할 수 있는 액체 휘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는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 이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 이 휘산체를 용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 및 용기 본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액체 휘산구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는 휘산체 수납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용기 본체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용기 본체로의 제 1 부착부, 및 이 제 1 부착부에 착탈가능한 제 2 부착부를 구비한 휘산체 장착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 장착부를 상기 제 2 부착부, 및 이 제 2 부착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개구가능하게 설치되어 휘산체의 침지부와 일체의 휘산체의 휘산부를 유지하는 뚜껑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착부를 수평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여 이 구획벽 위에 휘산체의 침지부와 휘산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접하도록 제 2 휘산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구획벽 아래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제 1 부착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에 의하면,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는 휘산체 수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액체 휘산구의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액체 휘산구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유저가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 수납 공간에 접어서 수용되어 있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함으로써 액체 휘산구를 용이하게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봉지에 들어있는 리필용 액체를 합하여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판매함으로써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된 사용이 완료된 용기 본체 및 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자원의 재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용기 본체로의 제 1 부착부, 및 이 제 1 부착부에 착탈가능한 제 2 부착부를 구비한 휘산체 장착부로 구성함으로써 유저가 액체 휘산구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 장착부를 상기 제 2 부착부, 및 이 제 2 부착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개구가능하게 설치되어 휘산체의 침지부와 일체의 휘산체의 휘산부를 유지하는 뚜껑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착부를 수평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여 이 구획벽 위에 휘산체의 침지부와 휘산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접하도록 제 2 휘산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구획벽 아래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휘산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휘산체에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봉지에 들어있는 리필용 액체를 합하여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를 판매함으로써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제 1 부착부를 통하여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를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된 사용이 완료된 용기 본체, 제 1 부착부 및 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자원의 재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노치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액체 휘산구의 휘산체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침지부를 접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액체 휘산구의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b)의 X-X 단면도, (d)는 (c)의 Y-Y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액체 휘산구의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에 휘산체를 수용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a)는 침지부를 구획벽의 구멍부에 삽입한 상태를, (b)는 (a)를 평면으로 본 상태를, (c)는 휘산체를 휘산체 수납 공간에 수용한 상태를, (d)는 침지부를 접어서 침지부 수납 공간에 수용한 상태를, (e)는 (d)를 평면으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동 액체 휘산구를 사용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노치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액체 휘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노치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액체 휘산구에 사용되는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 장착부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Z-Z 단면도, (d)는 힌지부의 확대도, (e)는 뚜껑부를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 도 5에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액체 휘산구(1)는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4),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2), 휘산체(2)를 용기 본체(4)에 장착하기 위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 및 용기 본체(4)를 덮는 커버(6)를 구비한 액체 휘산구에 있어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에 액체 휘산구(1)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21)를 접어서 수용하는 휘산체 수납 공간(33)을 형성하도록 한 휘산체(2)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액체 휘산구이다.
휘산체(2)는 대략 정사각형의 휘산부(20), 휘산부(20)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21), 및 침지부(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부(22)로 이루어지는 일체 구조로 되어 있다.
침지부(21)의 길이는 펼쳤을 때에 적어도 용기 본체(4)의 저면 근방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고, 접었을 때에 2번 접은 정도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에 형성된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휘산체(2)의 구성 재료는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통하여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를 모세관 현상으로 흡상하여 휘산부(20)에 있어서 흡상된 액체를 휘산시킬 수 있는 공지의 재료, 예를 들면 부직포, 여과지, 섬유속, 연속 기포 발포체 등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은 용기 본체(4)의 구부(口部)(40)에 부착됨과 아울러 휘산부(20)를 유지하고 침지부(21)를 접은 상태로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4)의 구부(4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B), 및 휘산체(2)를 유지, 수용하는 휘산체 장착부(3A)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부착부(3B)는 용기 본체(4)의 구부(40)의 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30)을 내주면에 형성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부착할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을 형성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휘산체 장착부(3A)는 부착부(3B)의 상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구획벽(31)에 의해 수평으로 구획되어 구획된 상부의 개방된 공간을 휘산부 배치 공간(32)으로 하고 하부의 공간을 휘산체 수납 공간(33)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구획벽(31)에는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가 통과가능한 개구 폭의 구멍부(31a)를 형성한다.
구멍부(31a)의 형성 개소는, 도 3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휘산부(20)를 배치하였을 때에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가 위치하는 개소[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정사각형이 되는 구획벽(31)의 어느 한변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또한, 휘산체 장착부(3A)의 휘산부 배치 공간(32)의 개방된 상면에는 각 변에 클로부(34)를 형성하고, 휘산부 배치 공간(32)의 개방된 상면측으로부터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변형시키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배치된 휘산체(2)의 휘산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구획벽(31)에는 구멍부(31a) 이외에 휘산부(20)에 흡상된 액체가 과잉된 경우에 휘산부(20)로부터 누출되는 액체를 용기 본체(4) 내로 리턴하기 위한 개구부(31b)를 형성한다.
개구부(31b)는 휘산부(20)로부터 누출된 액체가 용기 본체(4)로 리턴되도록 형성하면 그 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모서리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4개소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구획벽(31)의 상면에 휘산부 배치 공간(32)측을 향하여 돌출된 바늘 형상의 돌기부(31c)를 형성하여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배치된 휘산부(20)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돌기부(31c)의 배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소 배치한 예를 개시한다.
용기 본체(4)는 합성 수지 또는 유리제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구부(40)에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이 부착된 구조이면 특별히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부(40)의 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1)에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부착부(3B)에 형성된 암나사부(30)를 나사결합하여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4)의 구부(40)는 판매시에 시일재나 내측 뚜껑 등으로 이루러진 봉함재(5)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여 유저가 사용시에 봉함재(5)를 분리하고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수용되어 있는 휘산체(2)의 접혀진 침지부(21)를 펼쳐서 용기 본체(4)의 액체에 침지시키면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용기 본체(4)에 부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장기간의 보존에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송시 등에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4)에 부착되는 커버(6)는 용기 본체(4)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42)에 감합되는 주상(周上) 돌기부(6a)를 내주면에 형성하여 액체 휘산구(1)의 사용시에 있어서 휘산체(2)의 휘산부(20)로부터 휘산되는 액체의 성분이 실내로 방출되도록 표면에 확산구(6b)를 개구하도록 하고 있다.
커버(6)는 액체 휘산구(1)의 사용시에 있어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 되므로 의장상 좋게 보이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한다.
이어서, 휘산체(2)를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에 부착하는 순서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휘산부(20)로부터 펼친 상태로 하여 구멍부(31a)의 상부의 클로부(34)를 피하면서 구획벽(31)에 개구된 구멍부(31a)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침지부(21) 및 접속부(22)가 구멍부(31a)를 통과하고 휘산부(20)가 휘산체 장착부(3A)의 휘산부 배치 공간(32)의 개방된 상면의 각 변에 형성된 클로부(34)를 지남으로써,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부(20)가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배치되어 돌기부(31c)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4(d) 및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31a)로부터 하방으로 드리워진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접고, 접은 상태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수용한다.
이 액체 휘산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4)의 구부(40)를 봉함재(5)에 의해 밀봉하고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배치함과 아울러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접은 상태로 수용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암나사부(30)를 용기 본체(4)의 구부(40)의 수나사부(41)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부착하고 용기 본체(4)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42)에 감합되는 주상 돌기부(6a)를 내주면에 형성한 커버(6)를 부착한 상태로 유통시킨다.
이때, 용기 본체(4)의 구부(40)는 봉함재(5)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암나사부(30) 및 수나사부(41)의 나사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유저가 커버(6)를 용기 본체(4)로부터 분리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4)의 구부(40)로부터 분리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휘산체 수납 공간(33)으로부터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인출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4)의 구부(40)를 봉함하는 봉함재(5)를 분리한다.
그 후, 휘산체(2)의 접혀진 침지부(21)를 펼쳐서 용기 본체(4)의 액체에 침지시키면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용기 본체(4)에 부착하고 용기 본체(4)에 커버(6)를 부착하여 사용에 제공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 액체 휘산구(1)는 예를 들면, 봉지에 들어있는 리필용 액체를 합하여 휘산체의 침지부 및 접속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과 동일한 형상의 것(도시 생략)]을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용기 본체(4)에 부착함으로써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된 사용이 완료된 용기 본체(4) 및 커버(6)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자원의 재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 ~ 도 8에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액체 휘산구(1)는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용기 본체로의 제 1 부착부(3B1), 및 제 1 부착부(3B1)에 착탈가능한 제 2 부착부(3B2)를 구비한 휘산체 장착부(3A)로 구성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휘산체 장착부(3A)를 제 2 부착부(3B2), 및 제 2 부착부(3B2)에 힌지부(H)를 통하여 개구가능하게 설치되고 휘산체(2)의 침지부(21)와 접속부(22)를 통하여 일체 구조로 된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유지하는 뚜껑부(7)로 구성하고, 제 2 부착부(3B2)를 수평으로 구획하는 구획벽(31)을 형성하여 구획벽(31) 위에 휘산체(2)의 침지부(21)와 휘산부(20)를 접속하는 접속부(22)에 접하도록 제 2 휘산체(23)를 배치함과 아울러, 구획벽(31) 아래에 액체 휘산구(1)의 사용시에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접어서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휘산체(2)는 대략 정사각형의 휘산부(20) 및 제 2 휘산체(23), 휘산부(20)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21), 및 침지부(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부(22)로 이루어지는 일체 구조로 되어 있다.
휘산체(2)의 구성 재료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재료, 예를 들면, 부직포, 여과지, 섬유속, 연속 기포 발포체 등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부착부(3B1)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4)의 구부(40)의 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0)를 내주면에 형성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부착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을 형성한 원통 형상으로 하여 상부에 휘산체 장착부(3A)를 부착하기 위한 맞물림부(37a)를 외면에 형성한 직사각형의 외주 프레임(37)을 구비한다.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로 하여 내부를 구획벽(31)에 의해 제 2 휘산체(23)의 휘산부 배치 공간(32) 및 휘산체 수납 공간(33)으로 구획한다.
이 구획벽(31)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휘산부(20) 및 제 2 휘산체(23)로부터 누출된 액체를 용기 본체(4) 내로 리턴하기 위한 개구부(31b)를 형성함과 아울러, 침지부(21)에 일부를 접촉시켜서 휘산부 배치 공간(32)에 수용하는 제 2 휘산체(23)를 걸도록 하여 고정하는 클로부(32A)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제 2 휘산체(23)는 개구부(31b)을 덮고 침지부(21)가 삽입통과되는 구멍부(31a)를 덮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휘산체(2)의 침지부(21)와 휘산부(20)를 접속하는 접속부(22)에 한변이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통하여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를 모세관 현상으로 흡상하여 제 2 휘산체(23) 및 휘산부(20)에 있어서 흡상된 액체를 휘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획벽(31)과 함께 휘산체 수납 공간(33)을 형성하는 하부 외주 프레임(35)은 제 1 부착부(3B1)의 외주 프레임(37)에 형성된 맞물림부(37a)와 맞물리는 돌기부(35a)를 형성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압입됨으로써 돌기부(35a)에 맞물림부(37a)가 맞물려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가 제 1 부착부(3B1)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구획벽(31)과 함께 휘산부 배치 공간(32)을 형성하는 상부 외주 프레임(36)은 한변을 뚜껑부(7)와의 연결부(36a)로 하여 뚜껑부(7)의 연결부(7a)와 연결하고, 양 연결부(36a, 7a)가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뚜껑부(7)가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연결부(36a) 및 뚜껑부(7)의 연결부(7a)는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휘산체 장착부(3A)에 뚜껑부(7)가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체 장착부(3A)와 뚜껑부(7)를 일체로 성형하고 양 연결부(36a, 7a)끼리의 접합부가 얇은 힌지부(H)가 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산체 장착부(3A)의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상면 가장자리부와 뚜껑부(7)의 이면부가 동일 평면 위로 되도록 성형되고, 얇은 힌지부(H)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상면 가장자리부와 뚜껑부(7)의 이면부가 동일 평면 위에, 외력을 가하면 힌지부(H)를 기준선으로 하여 용이하게 180° 접혀져서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상면 가장자리부와 뚜껑부(7)의 이면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외주 프레임(36)은 연결부(36a)를 형성한 변의 맞변에 노치부(36b)를 형성하고, 뚜껑부(7)의 연결부(7a)의 맞변에 형성한 맞물림 부재(70)가 노치부(36b)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부(7)가 휘산체 장착부(3A)의 개방된 상면[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상부 외주 프레임(36)]을 덮었을 때에 노치부(36b)에 맞물림 부재(70)가 맞물려 뚜껑부(7)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H)의 근방의 휘산체 장착부(3A)에 감합 오목부(38)를, 힌지부(H)의 근방의 뚜껑부(7)에 감합 볼록부(73)를 형성하여 감합 오목부(38)에 감합 볼록부(73)가 감합됨으로써 뚜껑부(7)의 휘산체 장착부(3A)로의 고정[뚜껑부(7)의 개구 각도의 조절 기구의 기능을 포함한다.]을 보다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H)를 축 구멍과 추축으로 구성하여 뚜껑부(7)의 요동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는 뚜껑부(7)의 개구 각도의 조절 기구(도시 생략)를 설치할 수도 있다.
뚜껑부(7)는 직사각형의 상부 외주 프레임(36)을 덮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유지하는 L자 형상의 클로부(71)를 연결부(7a)를 형성하는 변 이외의 3변에 형성한다.
또한, 뚜껑부(7)는 휘산체(2)의 침지부(21)를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함으로써 뚜껑부(7)에 의해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의 개방된 상면을 덮은 상태에서도 침지부(21)로 흡상한 방향제의 향기나 소취재의 소취 성분을 주변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72)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뚜껑부(7)에는 뚜껑부(7)로 휘산체 장착부(3A)의 개방된 상면을 덮었을 때에 뚜껑부(7)가 상부 외주 프레임(36)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스토퍼(74)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액체 휘산구(1)는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뚜껑부(7)의 클로부(71)에 의해 유지하고,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의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수용함과 아울러 제 2 휘산체(23)를 구획벽(31) 위에 휘산체(2)의 침지부(21)와 휘산부(20)를 접속하는 접속부(22)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뚜껑부(7)의 맞물림 부재(70)를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노치부(36b)에 맞물리게 해서 뚜껑부(7)로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산부(20)와 제 2 휘산체(23)는 접한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이 액체 휘산구(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4)의 구부(40)를 봉함재(5)에 의해 밀봉하고 휘산체(2)의 휘산부(20)를 뚜껑부(7)에 유지함과 아울러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휘산체 수납 공간(33)에 접은 상태로 수용하고, 또한 제 2 휘산체(23)를 구획벽(31) 위에 배치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제 1 부착부(3B1)의 암나사부(30)를 용기 본체(4)의 구부(40)의 수나사부(41)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부착하고 용기 본체(4)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42)에 감합되는 주상 돌기부(6a)를 내주면에 형성한 커버(6)를 부착한 상태로 유통시킨다.
이때, 용기 본체(4)의 구부(40)는 봉함재(5)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암나사부(30) 및 수나사부(41)의 나사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유저가 커버(6)를 용기 본체(4)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4)의 구부(40)로부터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을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휘산체 장착부(3A)의 제 2 부착부(3B2)의 휘산체 수납 공간(33)으로부터 휘산체(2)의 침지부(21) 및 접속부(22)를 인출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4)의 구부(40)를 봉함하는 봉함재(5)를 분리한다.
그 후,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제 1 부착부(3B1)를 용기 본체(4)에 고정하고, 그 다음에 휘산체(2)의 접혀진 침지부(21)를 펼쳐서 용기 본체(4)의 액체에 침지시키면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3)의 제 2 부착부(3B2)를 제 1 부착부(3B1)를 통하여 용기 본체(4)에 부착하고 용기 본체(4)에 커버(6)를 부착하여 사용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방향제의 향기나 소취재의 소취 성분을 통상보다 많이 주변에 확산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7)의 맞물림 부재(70)에 의한 상부 외주 프레임(36)의 노치부(36b)로의 맞물림 및 감합 볼록부(73)에 의한 감합 오목부(38)로의 감합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커버(6)의 내면과 뚜껑부(7)의 가장자리부가 접촉될 때까지 요동되고, 휘산부(20)는 뚜껑부(7)의 요동에 따라 요동되어 침지부(21)로 흡상한 방향제의 향기나 소취재의 소취 성분을 휘산부(20)의 양면을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에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부(7)가 요동됨으로써 제 2 휘산체(23)의 상면이 노출되게 되고 침지부(21)로 흡상한 방향제의 향기나 소취재의 소취 성분을 제 2 휘산체(23)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에 확산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액체 휘산구(1)는 예를 들면, 봉지에 들어있는 리필용 액체를 합하여 휘산체의 침지부 및 접속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휘산체 장착부(4A)와 동일한 형상의 것(도시 생략)]를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의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제 1 부착부(3B1)를 통하여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를 용기 본체(4)에 부착함으로써 용기 본체(4)에 저류된 액체가 휘산된 사용이 완료된 용기 본체(4), 제 1 부착부(3B1) 및 커버(6)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자원의 재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에 대해서 복수개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휘산구는 콤팩트한 형상이며, 또한 유저가 휘산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휘산체가 액체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방식의 액체 휘산구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용 대상도 방향제 이외에 소취재 등의 확산성 액체를 휘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체 휘산구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액체 휘산구 2: 휘산체
20: 휘산부 21: 침지부
22: 접속부 23: 제 2 휘산체
3: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 3A: 휘산체 장착부
3B: 부착부 3B1: 제 1 부착부
3B2: 제 2 부착부 31: 구획벽
31a: 구멍부 32: 휘산부 배치 공간
33: 휘산체 수납 공간 4: 용기 본체
40: 구부 5: 봉함재
6: 커버 7: 뚜껑부
H: 힌지부

Claims (5)

  1.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 이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를 흡상하여 휘산시키는 휘산체, 이 휘산체를 용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 및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액체 휘산구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상기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는 휘산체 수납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휘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휘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을 상기 용기 본체로의 제 1 부착부, 및 이 제 1 부착부에 착탈가능한 제 2 부착부를 구비한 휘산체 장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휘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 장착용 내측 뚜껑의 상기 휘산체 장착부를 상기 제 2 부착부, 및 상기 제 2 부착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개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와 일체의 휘산체의 휘산부를 유지하는 뚜껑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착부를 수평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여 이 구획벽 위에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와 상기 휘산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접하도록 제 2 휘산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구획벽 아래에 액체 휘산구의 사용시에 상기 용기 본체에 저류된 액체에 침지되는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휘산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를 접어서 수용한 교환용 휘산체 장착부의 상기 휘산체의 침지부를 펼쳐서 상기 제 1 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휘산구.
KR1020100125508A 2010-10-04 2010-12-09 액체 휘산구 KR101673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5121 2010-10-04
JP2010225121A JP5675252B2 (ja) 2010-10-04 2010-10-04 液体揮散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91A true KR20120035091A (ko) 2012-04-13
KR101673325B1 KR101673325B1 (ko) 2016-11-07

Family

ID=4613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508A KR101673325B1 (ko) 2010-10-04 2010-12-09 액체 휘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75252B2 (ko)
KR (1) KR101673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665S1 (en) 2014-08-28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8989B2 (ja) * 2011-12-16 2016-05-18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装置
JP6138562B2 (ja) * 2013-04-16 2017-05-31 ライオンケミカル株式会社 液体揮散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0738U (ja) * 1983-02-23 1984-09-01 巴東照明株式会社 消臭液剤用容器
JPH0713718A (ja) 1993-06-28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データ出力送信装置
JPH09248330A (ja) 1996-03-15 1997-09-22 Car Mate Mfg Co Ltd 液体の揮散装置
JP2003102825A (ja) 2001-09-29 2003-04-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薬剤揮散装置
JP2005085581A (ja) * 2003-09-08 2005-03-31 Sony Corp 電界放出表示装置
JP2007105447A (ja) * 2005-09-16 2007-04-26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芳香消臭器及び芳香消臭器用吸上揮散部材
JP4066245B2 (ja) * 2002-09-30 2008-03-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揮散液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77A (ja) * 2001-12-27 2003-07-08 Fumakilla Ltd 薬液定量供給型揮散装置
JP4859021B2 (ja) * 2005-09-20 2012-01-18 株式会社ミクニ 自然蒸発式加湿器、その加湿エレメント及びその加湿器用ケー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0738U (ja) * 1983-02-23 1984-09-01 巴東照明株式会社 消臭液剤用容器
JPH0713718A (ja) 1993-06-28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データ出力送信装置
JPH09248330A (ja) 1996-03-15 1997-09-22 Car Mate Mfg Co Ltd 液体の揮散装置
JP2003102825A (ja) 2001-09-29 2003-04-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薬剤揮散装置
JP4066245B2 (ja) * 2002-09-30 2008-03-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揮散液用容器
JP2005085581A (ja) * 2003-09-08 2005-03-31 Sony Corp 電界放出表示装置
JP2007105447A (ja) * 2005-09-16 2007-04-26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芳香消臭器及び芳香消臭器用吸上揮散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665S1 (en) 2014-08-28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25B1 (ko) 2016-11-07
JP2012075748A (ja) 2012-04-19
JP5675252B2 (ja)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6175A (en) Liquid-pumping bag-in-box conatiner
JPH05505165A (ja) 蒸気放出装置
EA029811B1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JP6843960B2 (ja) 保管ケース
JP2007020651A (ja) 化粧料容器
KR20120035091A (ko) 액체 휘산구
JP2019093669A (ja) 液体補充容器及び液体補充システム
DK2594857T3 (en) Luftentfeuchter
JP2015531623A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
JP2010253054A (ja) 芳香剤容器
JP2000166804A (ja)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JP2605873Y2 (ja) 揮発装置
JP5930673B2 (ja) 薬液揮散器
JP5930672B2 (ja) 薬液揮散器
WO2023234122A1 (ja) 薬剤揮散器及びホルダー
JP6179861B2 (ja) 芳香剤用容器
JP2017058091A (ja) 加湿器
JP2016049988A (ja) 揮散容器
JP2001163357A (ja) 液体抽出容器収納具
JP2002087477A (ja) 中栓及び該中栓を使用した芳香剤容器
JPH0337069A (ja) 芳香、消臭剤容器用蓋部材
JP3159808U (ja) 携帯容器
JPH0121014Y2 (ko)
JP3191400U (ja) 液体揮散具
JP3060307B1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