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952A -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952A
KR20120032952A KR1020100094528A KR20100094528A KR20120032952A KR 20120032952 A KR20120032952 A KR 20120032952A KR 1020100094528 A KR1020100094528 A KR 1020100094528A KR 20100094528 A KR20100094528 A KR 20100094528A KR 20120032952 A KR20120032952 A KR 2012003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table
roller
cutting
cylinder chamber
roll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051B1 (ko
Inventor
문상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9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0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feeding rollers in rolling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내부에 실린더실을 형성하고, 그 실린더실에 피스톤을 장착하여, 실린더실에 공압을 걸어 피스톤을 승강시킴으로써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를 승강시켜, 롤러의 승강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ROLLER ELEVATING DEVICE IN SAW TILTING TABLE FOR A ROLLED STEEL}
본 발명은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의 승강(UP-DOWN)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철을 강판이나 선제로 만드는 공정으로서,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라브, 블룸, 빌릿 등이 회전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인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얇게 성형되는 공정을 일컫는다.
압연에는 고온으로 하는 열간압연과 저온에서 실시하는 냉간압연이 있다.
열간압연은 압연동력이 작아도 되고, 큰 변형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조품과 같은 성질을 압연재에 줄 수가 있다.
반면에 냉간압연은 아주 얇은 것도 만들 수 있고, 치수의 정밀도도 좋을 뿐 아니라 표면도 깨끗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재의 절단공정에서 롤러의 승강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는 상면에 다수개의 제1홈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1홈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1기공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접하게 상기 제1홈 위에 입설되어 제1실린더실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제1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헤드부재들;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1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실린더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실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피스톤들; 및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들에 설치되어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와 접하며, 상기 제1수직부들이 돌출되면 상기 롤러를 밀어올려 상기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키는 제1밀판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는 내부에 제2실린더실을 갖으며, 상부에는 제2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2실린더실로 유입하기 위한 제2기공이 형성된 몸체;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린더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실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제2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와 접하며, 상기 제2수직부가 돌출되면 상기 롤러를 밀어올려 상기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키는 제2밀판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롤러의 승강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가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아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가 신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가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아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가 신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1) 아래에 위치하여 공압을 걸어 롤러(1)가 테이블 위로 출몰하도록 승강시키며, 바닥판(110), 헤드부재들(120), 제1피스톤들(130) 및 제1밀판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바닥판(110)은 상면에 다수개의 제1홈(111)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제1홈(111)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1기공(113)이 형성된다.
제1홈(111)은 바닥판(110)으로부터 제1피스톤들(130)이 공압이 걸릴 수 있도록 틈을 형성한다.
도면과 같이, 제1기공(113)은 1개의 입구로부터 각 제1홈(111)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공(113)은 예컨대, 컴프레서 등과 호스나 관을 통해서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유입한다.
헤드부재들(120)은 하면만을 개구한 통체를 이루어 그 개구된 하면이 바닥판(110)과 접하게 제1홈(111) 위에 입설됨으로써 내부에 제1실린더실(121)을 형성한다.
이러한 헤드부재들(120)의 상면에는 제1실린더실(121)의 내외부를 연락하기 위한 제1구멍(123)이 형성된다.
제1피스톤들(130)은 제1수평부(131)와 제1수평부(131)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1수직부(132)로 이루어져 ㅗ자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1피스톤들(130)은 제1수직부(132)의 단부가 제1구멍(123)으로부터 돌출되게 헤드부재들(120)의 제1실린더실(121)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1기공(113)을 통해 제1홈(111)에 압축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제1실린더실(121)에 공기가 유입되면, 공압이 걸려 제1수평부(131)가 상승함으로 인해 제1수직부(132)가 제1구멍(132)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된다.
제1밀판부재(140)는 제1구멍(123)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부(132)의 단부들에 설치되어 롤러(1)와 접한다.
제1밀판부재(140)는 제1수직부(132)의 단부들 사이, 및 외각을 이루는 제1수직부(132)의 단부들에 각각 설치되어 롤러(1)와 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밀판부재(140)는 하나의 판재에 제1수평부(131)의 단부들을 관통하는 구멍들을 형성하고 그 구멍들에 제1수평부(131)의 단부들을 끼워 설치될 수 있다.
제1수직부(132)는 상부에 제1밀판부재(140)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턱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제1밀판부재(140)는 공압이 걸려 제1수직부들(132)이 제1구멍(123)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되면 롤러(1)를 밀어올려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킴으로써 압연재가 틸팅테이블 위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압연재가 틸팅테이블 위로 이송이 완료되면, 공기의 압송이 차단됨으로써 공압이 제거되고, 제1피스톤들(130)의 자중 및 제1피스톤들(130)에 걸리는 롤러(1)와 압연재의 하중에 의해 제1피스톤들(130)이 하강하는데, 제1피스톤들(130)이 하강할 수 있도록 제1실린더실(121)의 공기는 소결소음기를 장착한 배기구(125)로 배출된다.
배기구(125)는 제1실린더실(121)이 외부와 연락하도록 헤드부재(120)에 형성되어 제1피스톤들(130)이 자중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제1실린더실(121)의 공기를 배출한다.
소결소음기는 배기구(125)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대기 중에 분출될 때에 발생하는 공기 파열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1피스톤들(130)이 하강하면, 롤러(1)도 하강하여 틸팅테이블 안으로 들어가고, 이에 틸팅테이블은 평면을 유지함으로써 압연재가 가압판(3)에 눌려 원활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롤러(1)의 승강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가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제1구멍(123)의 내벽면과, 제1피스톤(130)의 제1수평부(131)에는 제1웨어링부재(wear-ring)(171,173)가 설치된다.
제1웨어링부재(171,173)는 제1피스톤(130)의 작동을 정밀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웨어링부재(171,173)는 제1구멍(123)의 내벽과 제1수직부(132), 및 제1실린더실(121)의 내벽과 제1수평부(131)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를 차단한다.
또한, 헤드부재(120)에서 제1구멍(123)의 둘레에는 제1경사돌기(175a)가 제1피스톤(130)의 제1수직부(132)와 접하는 제1먼지차단실부재(175)가 설치된다.
제1먼지차단실부재(175)는 제1구멍(123)과 제1피스톤(130) 사이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헤드부재(120)와 제1밀판부재(140)와의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1주름튜브부재(181)가 설치된다.
제1주름튜브부재(181)는 헤드부재(120)와 제1밀판부재(140) 사이의 틈을 막아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물체들이 끼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제1피스톤(130)의 제1수평부(131)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패킹부재(183)가 설치된다. 제1패킹부재(183)로는 U패킹을 사용함이 좋다.
또한, 헤드부재(120)의 사방에 받침판(110)으로부터 제1원통체(191)를 입설하고 그 제1원통체(191)에 제1밀판부재(140)에 고정되는 제1가이드로드(193)를 삽입하여 제1밀판부재(140)의 승강을 가이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는 실린더실을 1개만 갖는 구조로서, 전체 구조가 제1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와 유사하다. 이에,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롤러 승강장치는 몸체(210), 제2피스톤(220) 및 제2밀판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몸체(210)는 내부에 제2실린더실(211)을 갖으며, 상부에는 제2실린더실(211)의 내외부를 연락하는 제2구멍(21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제2실린더실(211)로 유입하기 위한 제2기공(215)이 형성된다.
제2실린더실(211)의 바닥에는 제2피스톤(220)의 제2수평부(221)로부터 틈을 형성하기 위한 제2홈(217)이 형성된다.
제2피스톤(220)은 제2수평부(221)와 제2수평부(221)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2수직부(223)로 이루어져 ㅗ자 형태를 갖으며, 제2수직부(223)의 단부가 제2구멍(213)으로부터 돌출되게 몸체(210)의 제2실린더실(211)에 설치되어, 제2기공(215)을 통해 제2실린더실(211)에 공기가 유입되면 제2수평부(221)가 상승함으로써 제2수직부(223)가 제2구멍(213)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된다.
제2밀판부재(230)는 제2구멍(213)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피스톤(220)의 제2수직부(223) 단부에 설치되어 롤러(1)와 접하며, 제2피스톤(220)의 제2수직부(223)가 제2구멍(213)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되면 롤러(1)를 밀어올려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킨다.
이 때문에, 압연재가 틸팅테이블 위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압연재가 틸팅테이블 위로 이송이 완료되면, 공기의 압송이 차단됨으로써 공압이 제거되고, 이로 인해 제2피스톤들(220)이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며, 제2실린더실(211)의 공기는 소결소음기를 장착한 배기구(24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롤러(1)의 승강시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제품 이송간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방지되고, 제품 절단시 직각도가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제2구멍(213)의 내벽면과, 제2피스톤(220)의 제2수평부(221)에는 제2웨어링부재(wear-ring)(271,273)가 설치된다.
또한, 제2구멍(213)의 둘레에는 제2경사돌기(275a)가 제2피스톤(220)의 제2수직부(223)와 접하는 제2먼지차단실부재(275)가 설치된다.
또한, 몸체(210)와 제2밀판부재(230)와의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2주름튜브부재(281)가 설치된다.
또한, 제2피스톤(220)의 제2수평부(221)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패킹부재(283)가 설치된다.
또한, 참조부호 291 과 293은 제2밀판부재(240)의 승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원통체 및 제2가이드로드를 나타낸 것이다.
1:롤러 3:가압판
110:바닥판 111:제1홈
113:제1기공 120:헤드부재
121:제1실린더 123:제1구멍
125:배기구 130:제1피스톤
131:제1수평부 132:제1수직부
140:제1밀판부재 171,173:제1웨어링부재
175:제1먼지차단실부재 181:제1주름튜브부재
183:제1패킹부재 191:원통체
193:가이드로드 210:몸체
211:제2실린더실 213:제2구멍
215:제2기공 217:제2홈
220:제2피스톤 221:제1수평부
223:제2수직부 230:제2밀판부재
241:배기구 271,273:제2웨어링부재
275:제2먼지차단실부재 281:제2주름튜브부재
283:제2패킹부재 291:제2원통체
293:제2가이드로드

Claims (11)

  1. 상면에 다수개의 제1홈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1홈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1기공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접하게 상기 제1홈 위에 입설되어 제1실린더실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제1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헤드부재들;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1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실린더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실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피스톤들; 및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들에 설치되어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와 접하며, 상기 제1수직부들이 돌출되면 상기 롤러를 밀어올려 상기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키는 제1밀판부재;를 포함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내벽면과, 상기 제1피스톤의 제1수평부에는 제1웨어링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에서 제1구멍의 둘레에는 제1경사돌기가 상기 제1피스톤의 제1수직부와 접하는 제1먼지차단실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와 제1밀판부재와의 사이에는 제1주름튜브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의 제1수평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6. 내부에 제2실린더실을 갖으며, 상부에는 제2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2실린더실로 유입하기 위한 제2기공이 형성된 몸체;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린더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실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제2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와 접하며, 상기 제2수직부가 돌출되면 상기 롤러를 밀어올려 상기 틸팅테이블 위로 돌출시키는 제2밀판부재;를 포함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2구멍의 내벽면과, 상기 제2피스톤의 제2수평부에는 제2웨어링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제2구멍의 둘레에는 제2경사돌기가 상기 제2피스톤의 제2수직부와 접하는 제2먼지차단실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제2밀판부재와의 사이에는 제2주름튜브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실의 바닥에는 상기 제2피스톤의 제2수평부로부터 틈을 형성하기 위한 제2홈이 더 형성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의 제2수평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KR20100094528A 2010-09-29 2010-09-29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KR10116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528A KR101167051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528A KR101167051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52A true KR20120032952A (ko) 2012-04-06
KR101167051B1 KR101167051B1 (ko) 2012-07-27

Family

ID=4613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4528A KR101167051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695A (zh) * 2013-09-22 2014-01-01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723A (ja) 2001-03-09 2002-09-17 Daiwa Steel Corp ローラテーブルユニット、連続圧延用ローラテーブルおよび金属材の連続圧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695A (zh) * 2013-09-22 2014-01-01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051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174B1 (ko) 유압 조절식 마그네틱 클램핑 장치
KR101167051B1 (ko) 압연재 절단용 틸팅테이블의 롤러 승강장치
KR101477104B1 (ko) 압연 코일용 권취 장치
CN105486462B (zh) 一种用于板式换热器板管合件检漏装置的使用方法
CN211205680U (zh) 一种密闭阀门用气密性检测装置
CN201587030U (zh) 制砖机的夹坯装置
CN112454520A (zh) 一种纸管自动打孔挂钩装置
CN206297779U (zh) 一种抽真空密封装置
KR102124336B1 (ko) 절단설 제거 장치 및 방법
CN209818842U (zh) 一种消声、排气一体阀
CN213793551U (zh) 一种升降托辊装置
US1018676A (en) Press.
CN213864497U (zh) 一种钢管的下料装置
CN218646540U (zh) 一种乳胶手套气密性检查用感应式气嘴
CN214744235U (zh) 一种耐高温高压的多功能垫块
CN207212831U (zh) 一种大缸径多级举升液压缸装夹定位装置
CN101890684A (zh) 张紧气缸
CN206703233U (zh) 一种用于发泡混凝土荷重静压发泡的装置
CN112857691A (zh) 一种中冷器芯组气密性试验装置
CN221037892U (zh) 一种管段气压检测装置
CN218916677U (zh) 一种底部平整的金属铸件测漏装置
CN216065358U (zh) 一种大型刮板输送机用刮板锻造模具
KR20030039277A (ko) 코일 받침장치
CN215032347U (zh) 一种轧机导尺用推拉装置
CN215036848U (zh) 一种用于新型空心砖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