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608A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2608A KR20120032608A KR1020100094025A KR20100094025A KR20120032608A KR 20120032608 A KR20120032608 A KR 20120032608A KR 1020100094025 A KR1020100094025 A KR 1020100094025A KR 20100094025 A KR20100094025 A KR 20100094025A KR 20120032608 A KR20120032608 A KR 20120032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insulation
- sound
- sound insulating
- thickness
- noi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BFMKFCLXZSUVPI-UHFFFAOYSA-N ethyl but-3-e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 BFMKFCLXZSUVP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0497 Foam Cell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9589 hard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1854 Secondary transmi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5 standard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용도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된 기재와, 상기 재질의 기재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인 제 1 차음부, 상기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제 2 차음부, 상기 기재의 하부에 구비된 원추형 돌출부인 제 3 차음부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일차 방지 및 전달소음이 외부로 미확산되어 차음기재로 용이하게 흡음되는 용도의, 밀도 10 내지 3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인 차음부재 1과;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에서 차음기재를 들뜬 구조로 형성, 차음기재에 전달된 소음의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41)으로 직접 전달이 방지되는 용도의, 밀도 20 내지 100 ㎏/㎥의 직물시트인 차음부재 2;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고,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된 기재와, 상기 재질의 기재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인 제 1 차음부, 상기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제 2 차음부, 상기 기재의 하부에 구비된 원추형 돌출부인 제 3 차음부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일차 방지 및 전달소음이 외부로 미확산되어 차음기재로 용이하게 흡음되는 용도의, 밀도 10 내지 3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인 차음부재 1과;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에서 차음기재를 들뜬 구조로 형성, 차음기재에 전달된 소음의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41)으로 직접 전달이 방지되는 용도의, 밀도 20 내지 100 ㎏/㎥의 직물시트인 차음부재 2;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고,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용도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된 기재와, 상기 재질의 기재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인 제 1 차음부, 상기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제 2 차음부, 상기 기재의 하부에 구비된 원추형 돌출부인 제 3 차음부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기재 및;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일차 방지 및 전달소음이 외부로 미확산되어 차음기재로 용이하게 흡음되는 용도의, 밀도 10 내지 3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인 차음부재 1과;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에서 차음기재를 들뜬 구조로 형성, 차음기재에 전달된 소음의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41)으로 직접 전달이 방지되는 용도의, 밀도 20 내지 100 ㎏/㎥의 직물시트인 차음부재 2;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고, 차음기재의 상,하부층의 경도 차이로 인한 동탄성 계수가 향상되어 전달 소음의 흡수효과가 극대화되며,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되고, 차음재의 칫수안정성물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 차음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11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공동주택의 건물바닥면(40)의 구조는 바닥 슬래브층(41), 기포 콘크리트층(42), 마감몰탈층(43), 온돌용파이프(60), 바닥장식재(70)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벽면(50)은 콘크리트 벽면(51)으로 구성되어,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보행 및 진동에 의한 중량음 소음이나, 사람의 말소리나 외부의 전달 소리에 의한 경량음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과 기포 콘크리트층(42)의 사이에 차음재(100,200)가 설치되고, 건물벽면의 콘크리트 벽면(51)에 절연재
(52)가 부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차음재(100,200)는 스치로폼(EPS)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고무 재질의 기재(201)와, 상기 기재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되는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202)가 구비된 차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차음재는 스치로폼(EPS) 차음재(100)의 경우 손실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보온 및 단열효과에서는 우수하나, 경량음이나 중량음 소음이 상기 기재의 재질로 인한 차음 효과가 적어,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 됨으로서 차음재로서의 기능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더구나, 상기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202)가 구비된 차음재의구성에 의하여, 상부층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202)에 전달되어 적층부의 외형이 변형 됨에 의한 차음재의 파손과 하중이 미지지되어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고무 재질의 기재(201)와, 상기 기재(201)의 하부에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
(202)가 구비되어 바닥 슬래브층(41)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최소화 시켜 소음을 방지하는 구성의 차음재(200)가 있으나, 이 또한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만족할 만한 소음방지 효과를 가져 오지는 못하는 문제점과,
상기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202)가 구비된 차음재의 구성에 의하여, 상부층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반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적층부
(202)에 전달되어 적층부의 외형이 변형 됨에 의한 차음재의 파손과, 하중이 미지지되어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차음재(100,200)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건물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차음재(100,200)를 설치 후,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 콘크리트층(42)을 형성하고, 상부에 온돌용파이프(60)를 설치 및 마감몰탈층(43)으로 마감처리를 한 후, 바닥장식재(70)가 시공 되는 설치방법으로 인하여,
상기 차음재(100,200)를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 및 차음재(100,
200)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층(42)을 매설시에 상기 차음재가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서 유동 되거나, 또는 시공지점에서 외부로 부분 이탈이 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며, 제품 불량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 후, 실제 사용시에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부층으로 전달되어 차음재로서의 소음방지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 전달이 방지 되는 구성의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에 의하여,
특히, 건물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어 우수한 차음 효과 및;
차음기재의 상,하부층의 경도 차이로 인한 동탄성 계수가 향상되어, 전달 소음의 흡수 극대화와;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되고, 차음재의 칫수안정성 물성이 향상되며;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우수한 차음효과와,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에 의하여,
특히, 건물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어 우수한 차음 효과 및;
차음기재의 상,하부층의 경도 차이로 인한 동탄성 계수가 향상되어, 전달 소음 흡수가 극대화되는 효과와;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되는 효과와;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되는 효과와;
칫수안정성 물성이 향상되어 차음재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우수한 차음효과와,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음재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음재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는;
1)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PE) 수지 재질로 구성된 기재(10)와, 기재(10)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제 1 차음부(11)와, 상기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11)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원추형 돌출부(121)인 제 2 차음부(12)와, 기재(10)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제 3 차음부(13)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재의 상,하부층(14,15)의 경도가 상이한 구성의 차음기재(100)와;
2)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재질의 밀도 10 내지 30㎏/㎥인 차음부재 1(200)과;
3)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20 내지 60㎏/㎥의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에 다수개의 공간부(31)가 구비된 차음부재 2(300)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또는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음기재(100)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된 두께 6 내지 10㎜의 기재(10)와, 상기 재질의 기재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돌출두께 2 내지 5㎜의 제 1 차음부(11)와,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원추형 돌출부(121)인 돌출두께 1.0 내지 4.0㎜로 구성된 제 2 차음부(12)와, 기재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돌출두께 3 내지 10㎜의 제 3 차음부(13)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재(10)의 상부층(14)이 발포제가 과량으로 투입, 고발포 배율로 발포된 경도 22 내지 27의 저경도부로 구성 및 기재의 하부층(15)이 발포제가 소량으로 투입, 저발포 배율로 발포한 경도 35 내지 40의 고경도부로, 기재(10)의 상, 하부층(14,15)의 경도가 각기 상이하게 구성된, 전체 두께 10 내지 25㎜의 차음기재(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차음기재(100)에 의하여,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또는 중량음이 차음부재 1(200)인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흡음되어, 차음기재(100)에 전달시에, 기재의 상부층(14)인 경도 22 내지 27의 저경도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기재(10)의 내부로 흡음되는 구성과;
특히, 기재(10)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돌출두께 2 내지 5㎜의 제 1 차음부(11)와,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원추형 돌출부(121)인 돌출두께 1.0 내지 4.0㎜로 구성된 제 2 차음부(12)의 구성에 의하여,
차음부재 1(200)에 흡음된 경량음 또는 중량음이 1차적으로 돌출두께에 의한 돌출높이가 높은 제 1 차음부(11)로 직접 흡음되며, 2차적으로 제 1 차음부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로 돌출높이가 더욱 낮은 제 2 차음부(12)로 흡음되는 구성의, 전달소음이 1,2차로 분산되어 기재(10)의 내부로 흡음되는 기술구성에 의하여, 기재(10)의 하부로 전달되는 전달소음이 1차 방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재(10)의 하부로 전달된 전달소음이 하부층(15)인 경도 35 내지 40의 고경도부에 의하여 차음되어 전달소음이 2차 방지되며,
기재(10)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돌출두께 3 내지 10㎜의 제 3 차음부(13)가 상기 제 2 차음부(12)의 하부에 구비 및, 상기 제 1 차음부(11)의 하부는 공간부로 구성, 상기 제 1 차음부(11)가 차음부재 2(200)의 상부면에서 들뜬구조로 구성 됨으로서, 상기 제 1 차음부(11)로 직접 흡음되어 상부층(14)의 고경도부에 의하여 전달소음이 1차 방지된 소음이 본 발명 차음기재(100)의 하부에 설치된 제 2 차음부(300)로 직접적으로 미전달되어 전달소음이 3차 방지되며,
상기 구성의 1,2,3차로 전달소음이 방지된 소음과, 상기 제 2 차음부(300)로 분산 흡음되어 기재 하부층(15)의 고경도부에 의하여 전달소음이 방지된 소음이 제 3차음부(13)에 의하여 차음되어 전달소음이 4차 방지되는 구성의 차음기재(1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의 상,하부에 구비된 제 1,2,3 차음부(11,12,13)가 원추형 돌출부(111,121,131)로 구성되어,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구성의 차음기재(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의 하부층(15)이 경도 35 내지 40의 고경도부로 구성되어,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더욱 지지되는 차음기재(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음부재 1(200)은;
밀도 10 내지 30㎏/㎥, 두께 7.0 내지 2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음기재(100)의 상부에 적층, 사용되는 구성으로,
공동주택의 상부층에서 전달된 소음이 발포셀 구성의 몸체(20)와,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되어,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 평활면이 용이하게 접촉 및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몸체(20)로 전달되는 소음이 발포셀 구성의 몸체(20)에 의하여 외부로 미확산, 몸체(20)의 내부와 차음기재(100)로 용이하게 흡음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음부재 2(300)는;
가교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수지 재질의 두께 3 내지 1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20 내지 60㎏/㎥의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공간부(31)로 구성된 직물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기재(30)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에서 차음기재(100)가 차음부재 2(300)에 의하여 들뜬 구조로 형성되어, 차음기재(100)에 전달된 소음의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으로 직접 전달이 방지되어 전달소음이 5차 방지되는 구성과,
바닥 슬래브층의 상부 또는 차음기재(100)의 하부에 접착제로 접합 또는 바닥 슬래브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공간부(31)가 밀폐 됨으로서, 상기 밀폐된 공간부(31)의 내부에서 차음기재(100)에서 전달된 전달소음이 와류되어, 바닥 슬래브층으로의 전달 소음이 더욱 최소화되는 구성과,
상기 직물기재(30)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에 설치 완료된 상기 차음기재(100)의 칫수안정성 물성이 강화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는;
제 1,2,3 차음부(11,12,13)와 기재 하부층(15)이 고경도부로 구성 됨에 의하여 건물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이 1 내지 4차로 전달소음이 방지되는 차음기재(100)의 기술구성과,
몸체(20)의 내부와 차음기재(100)로 용이하게 전달 소음이 흡음되는 차음부재 1(200) 및, 차음기재(100)의 하부로 용이하게 전달 소음이 흡음되는 기재 상부층(14)이 저경도부로 구성된 차음기재(100)의 기술구성과,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에서 차음기재(100)가 들뜬 구조로 형성되어, 차음기재(100)에 전달된 소음의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으로 직접 전달이 방지되고, 전달소음이 5차로 방지되는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의 공간부(31)가 밀폐, 전달소음이 와류되어 전달소음이 더욱 최소화 되는 공간부(31)가 구비된 차음부재 2(300)의 구성으로, 건물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 소음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고, 차음재를 건물 바닥면에 설치시에 차음재의 칫수안정성 물성이 향상되는 기술구성과;
차음기재(100)의 상,하부층(14,15)의 경도 차이로 인한 동탄성 계수가 향상되어, 전달 소음의 흡수가 극대화되는 기술구성과;
제 1,2,3 차음부(11,12,13)가 원추형 돌출부(111,121,131)로 구성되어, 건물의 상부층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태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차음부재 1(200)이,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3)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부재 1(200)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상기 차음기재(100)가, 기재(1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2 차음부(11,12)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면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 및 기재 하부에 제 3 차음부(13)가 구비된 차음기재로 구성되어;
상기 차음부재 1의 적층부(23)가 차음기재(100)의 상부에 적층시에, 다수개의 요홈부(22)인 공간부가 구비되어 상기 차음부재 1(200)의 몸체(20)를 차음기재(100)의 상부에서 들뜬 구조로 형성하여, 건물 상부층에서 몸체(20) 내부로 흡음된 전달소음이 차음기재(1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전달소음이 차음부재 1(200)의 적층부(23)를 거쳐 차음기재(100)로 전달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차음부재 2(300)가 배제된 구성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과, 본 발명 구성의 차음기재(100)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되거나;
또는, 몸체(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3)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부재 1(200)과, 기재(10)의 상부면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된 차음기재(100)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발포 폴리스타이렌 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과, 본 발명 차음기재의 제 1,2 차음부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 표면이 평활면(16)으로 구성된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2(300)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차음부재 2(300)가 배제된 구성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과, 차음기재의 제 1,2 차음부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면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된 차음기재(100)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 된바와 같이;
발포 폴리스타이렌 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몸체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3)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부재 1(200)과, 본 발명 구성의 차음기재(100), 차음부재 2(300)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음기재(100)의 제 1,2 차음부(11,12)의 외부면에 그물망 배열의 보강돌기인 리브(RIB)가 구비된 차음기재(100)로 구성되어,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더욱 지지되는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차음부재 2(300)가 발포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고무, 발포 염화비닐수지 수지,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재질의 두께 3 내지 1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30 내지 100㎏/㎥의 직물기재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공간부가 구비된 직물시트 구성의 차음부재 2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각 재질별 밀도: 발포 에틸비닐아세테이트 35 내지 80, 고무 80 내지 100, 발포 염화비닐수지 30 내지 60, 발포 폴리우레탄 50 내지 90)
상기 원추형 돌출부(111,121,131)형상으로 구성된 제 1,2,3 차음부(11,12,
13)가, 사다리꼴형 또는 반원형, 타원형, 사각 내지 8각형 형상의 다양한 형상의 제 1,2,3 차음부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다른 실시상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는 다음과 같은 S1 내지 S4 단계의 설치방법으로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S1 단계; 차음부재 2의 건물바닥면 설치단계
가교 폴리에틸렌(PE)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발포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고무, 발포 염화비닐수지(PVC), 발포 폴리우레탄(PU) 재질의 두께 3 내지 1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20 내지 100㎏/㎥의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31)로 구성된 차음부재 2(300)를 접착제가 도포된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 접합되어 차음부재 2(300)가 건물바닥면(40)에 고정 설치된다.
S2 단계; 차음기재의 적층 설치 단계
EVA 또는 PE재질의 두께 6 내지 10㎜의 기재(10)와 기재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돌출두께 2 내지 5㎜의 제 1 차음부(11)와,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원추형 돌출부(121)인 돌출두께 1.0 내지 4.0㎜로 구성된 제 2 차음부(12)와, 기재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돌출두께 3 내지 10㎜의 제 3 차음부(13)가 구비된 전체 두께 10 내지 25㎜의 차음기재(100)가, 상기 차음부재 2(300)의 상부에 적층, 설치된다.
S3 단계; 차음기재의 상부에 차음부재 1 설치 단계
상기 차음기재(100)의 상부에, 밀도 10 내지 30㎏/㎥, 두께 7.0 내지 2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이 적층된다.
S4 단계; 건물 바닥면의 설치완료 단계
차음부재 1(200)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 콘크리트층(42)을 형성하고, 상기 기포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난방배관인 온돌파이프(60)를 설치, 마감몰탈을 타설 마감몰탈층(43)을 형성 및 상기 마감몰탈층(43)의 상부에 바닥장식재(70)가 설치되어,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0)가 설치된 건물바닥면(4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S1 내지 S4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으로,
본 발명 구성의 제 1,2,3 차음부(11,12,13)가 구비된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1,2(200,300)에 의하여 상부 건물 바닥면에서 전달된 전달소음이 수차례에 거쳐 하부층으로의 전달이 방지되는 설치방법과;
상기 차음부재 2(300)에 의하여, 건물바닥면의 바닥 슬래브층(41)에서 차음부재 2(300)의 상부에 설치된 차음기재(100)가 들뜨는 구조로 설치되어, 전달소음이 바닥 슬래브층(41)에 직접 전달되지 않음으로서, 전달소음이 더욱 하부층으로의 전달이 방지되는 설치방법과;
직물기재(30)와 공간부(31)로 구성된 차음부재 2(300)가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음부재 2(300)의 상부에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1(200)이 설치된 설치방법으로,
상기 차음부재 2(300)에 의하여, 상부에 적층된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1(200)이 유동 또는 외부로 이탈 되지 않는 구성으로,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1(200)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 설치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본 발명 구성의 S3 단계의 차음부재 1(200)이,
밀도 10 내지 30㎏/㎥, 두께 7.0 내지 2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재질인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몸체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4)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부재 1(200)이 설치되는 설치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제품구성도 도 2 참조)
상기 본 발명 구성의 S1 단계가 배제된, S2 내지 S4 단계로 구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제품구성도 도 3, 도 4 참조)
상기 본 발명 구성의 S2 단계의 차음기재(100)가, 제 1,2 차음부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면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된 전체두께 8 내지 20㎜의 차음기재(100)가 설치되는 설치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제품구성도 도 5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은;
상기 도 1 및 도 9에 언급된 S1 내지 S4 단계의 설치방법으로 설치된, EVA 수지 재질의 두께 7.0㎜ 기재 상부에, 다수개의 두께 3.0㎜의 제 1 차음부, 두께 2.0㎜의 제 2차음부와, 기재 하부에 두께 8.0㎜의 제 3차음부가 구비된 두께 18㎜의 차음기재 및, 기재의 상부층이 경도 25의 저경도층과, 기재의 하부층이 경도 37의 고경도층으로 구성된 두께 18㎜의 차음기재와;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밀도 20㎏/㎥, 두께 14㎜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EPS)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형태의 평활면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이 적층되고,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가교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밀도 35㎏/㎥, 두께 3.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직물기재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차음부재 2가 설치된 전체두께 35㎜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로서,
상기 차음부재 2가 바닥 슬래브층의 상부에 접합 및 차음부재 2의 상부에 차음기재와 차음기재 1이 적층 및 기포 콘크리트층, 온돌배관,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가 설치된 구성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이고;
실시예 2는;
밀도 20㎏/㎥, 두께 14㎜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재질인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와 적층부가 구비된 구성의 차음부재 1과;
기재 상부에 제 1,2 차음부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 상부면이 평활면으로 구성된 두께 15㎜의 차음기재와; 가교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밀도 35㎏/㎥, 두께 3.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직물기재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차음부재 2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 구성의, 전체 두께 32㎜의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이며;(제품구성도 도 2 참조)
비교예 1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반원 형상의 적층부로 구성된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두께 25㎜의 차음재를 구입, 상기 차음재의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 온돌배관,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가 설치된 구성의 차음재이고;
비교예 2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반원 형상의 적층부로 구성된 스치로폼 재질의 두께 25㎜의 차음재를 구입하여, 상기 차음재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층, 온돌배관,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가 설치된 구성의 차음재로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일반 물성인 동탄성계수 결과치를 표 1에 나타 내었으며, 차음성 기준치를 표 2에 기재 및 차음성 결과치를 표 3에 나타 내었다.
시험항목 |
단위 |
기준 |
시험방법 |
시험 결과 |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
동탄성계수 | Mn/㎤ | 40 이하 | KSF 2868 | 2.5 | 3.5 | 8 | 20 |
칫수안정성 | % | ±5 이하 | KSM 4898 | 2.0 | 2.5 | 3.0 | 5.5 |
하중지지력 | - | 변형여부 | 외관 판단 | 미변형/우수 | 미변형/우수 | 찢어짐/ 불량 |
파손/ 불량 |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과 실시예 2, 비교예 1의 시중 유통분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차음재가 동탄성계수 항목의 기준치를 만족하여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비교예 2의 스치로폼 재질의 차음재는 칫수안정성 물성항목이 기준치에 미달되어 사용에 문제점이 있는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1의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차음재는, 차음재 상부에 설치된 건물의 바닥면인 기포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층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하여 차음재가 찢어짐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어, 하중지지력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비교예 2의 스치로폼 재질의 차음재 역시, 차음재 상부에 설치된 건물의 바닥면인 기포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 바닥장식재층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하여 차음재가 심하게 파손 됨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어, 하중지지력에서 현저하게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또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 1,2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동탄성 계수와 칫수안정성, 하중지지력 물성 항목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실시예 1,2가 건물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에 차음부재 2가 접합 및 차음부재 2의 상부에 차음기재와 차음부재 1이 적층, 설치 됨으로 인하여, 차음기재와 차음부재 1이 바닥 슬래브층의 상부에서 미유동되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 되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비교예 1,2는 차음재가 건물 바닥면인 바닥 슬래브층에 직접 적층 됨으로 인하여 차음재가 바닥 슬래브층의 상부에서 유동 및 시공지점에서 외부로 부분 이탈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판정급수 | 차음성능(dB) | |
경량음 | 중량음 | |
1 급 | 43 이하 | 40 이하 |
2 급 | 44 내지 48 | 41 내지 43 |
3 급 | 49 내지 53 | 44 내지 47 |
4 급 | 54 내지 58 | 48 내지 50 |
시험방법 (KSF 2810) | 시험 결과 |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
차음성 |
경량음 | 38 / 1급 | 41 / 1급 | 54 / 4급 | 55 / 4급 |
중량음 | 37 / 1급 | 39 / 1급 | 50 / 4급 | 52 /불합격 |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차음재의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능이 비교예 1,2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1,2의 차음재의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능은 1급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비교예 1의 시중 유통분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차음기재로만 구성된 차음재는, 경량음 4급, 중량음 4급으로 차음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명 되었고,
비교예 2의 스치로폼 재질의 차음기재로만 구성된 차음재는, 경량음과 중량음의 차음성 결과가 4급과 등급외로 불합격 판정되어 차음재로서의 차음성능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100 : 차음기재
10 : 기재
11,12,13 : 제 1,2,3 차음부 14, 15 : 상,하부층
111,121,131 : 원추형 16 : 평활면
200 : 차음부재 1
20 : 몸체 21 : 평활면
22: 요홈부 23 : 적층부
300: 차음부재 2
30 : 직물기재
31 : 공간부
40 건물바닥면
41 : 바닥 슬래브층 42 : 기포 콘크리트층
43 : 마감몰탈층
50 건물벽면
51 : 벽면 52 : 절연재
60 : 온돌파이프
70 : 바닥장식재
80 : 접합테이프(OPP TAPE)
100 스치로폼 차음재
200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차음재
201 : 기재 202 : 적층부
1000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100 : 차음기재
10 : 기재
11,12,13 : 제 1,2,3 차음부 14, 15 : 상,하부층
111,121,131 : 원추형 16 : 평활면
200 : 차음부재 1
20 : 몸체 21 : 평활면
22: 요홈부 23 : 적층부
300: 차음부재 2
30 : 직물기재
31 : 공간부
40 건물바닥면
41 : 바닥 슬래브층 42 : 기포 콘크리트층
43 : 마감몰탈층
50 건물벽면
51 : 벽면 52 : 절연재
60 : 온돌파이프
70 : 바닥장식재
80 : 접합테이프(OPP TAPE)
100 스치로폼 차음재
200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차음재
201 : 기재 202 : 적층부
Claims (10)
-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층간 소음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가;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재질로 구성된 기재(10)와,
기재(10)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제 1 차음부(11)와, 상기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11)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로 구성된 원추형 돌출부(121)인 제 2 차음부(12)와, 기재(10)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제 3 차음부(13)가 각기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재의 상,하부층(14,15)의 경도가 상이한 구성의 차음기재(100)와;
상기 차음기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수지 재질의 밀도 10 내지 30㎏/㎥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과;
상기 차음기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20 내지 60㎏/㎥의 직물기재(30)와,상기 직물기재에 다수개의 공간부(31)가 구비된 차음부재 2(30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기재(100)가;
두께 6 내지 10㎜의 기재(10)와, 돌출두께 2 내지 5㎜의 제 1 차음부(11)와, 돌출두께 1.0 내지 4.0㎜의 제 2 차음부(12)와, 돌출두께 3 내지 10㎜의 제 3 차음부(13)로 구성되어 있고,
기재(10)의 상부층(14)의 경도가 하부층에 비하여 경도가 낮은 저경도부로 구성 및 상기 기재의 하부층(15)의 경도가 상부층에 비하여 경도가 높은 고경도부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기재(100)가;
기재(1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2 차음부(11,12)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면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 및 기재(10)의 하부에 제 3 차음부(13)가 구비된 차음기재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 1(200)이;
두께 7.0 내지 20㎜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3)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가;
차음부재 2가 배제된 구성의, 차음기재(100)와 차음부재 1(200)로 구성되어, 차음기재(100)의 상부에 차음부재 1(200)이 적층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 2(300)가;
발포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고무, 발포 염화비닐수지 수지,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재질의 두께 3 내지 1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30 내지 100㎏/㎥의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공간부(31)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기재(100)의 제 1,2,3 차음부(11,12,13)가 사다리꼴형 또는 반원형, 타원형, 사각 내지 8각형 형상으로 구성 또는 상기 제 1,2 차음부(11,12)의 외부면에 그물망 배열의 보강돌기인 리브(RIB)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
-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층간 소음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4 단계의 설치방법으로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1000)의 설치방법
S1 단계; 차음부재 2의 건물바닥면 설치단계
가교 폴리에틸렌(PE)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발포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고무, 발포 염화비닐수지(PVC), 발포 폴리우레탄(PU) 재질의 두께 3 내지 10㎜의 합성섬유사로 구성된 밀도 20 내지 100㎏/㎥의 직물기재(30)와, 상기 직물기재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31)로 구성된 차음부재 2(300)를 접착제가 도포된 바닥 슬래브층(41)의 상부에 적층, 접합되어 차음부재 2(300)가 건물바닥면(40)에 고정 설치된다.
S2 단계; 차음기재의 적층 설치 단계
EVA 또는 PE재질의 두께 6 내지 10㎜의 기재(10)와 기재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11)인 돌출두께 2 내지 5㎜의 제 1 차음부(11)와, 제 1 차음부의 양측면에 제 1 차음부의 두께에 비하여 0.5 내지 1.0㎜의 낮은 두께의 원추형 돌출부(121)인 돌출두께 1.0 내지 4.0㎜로 구성된 제 2 차음부(12)와, 기재의 하부에 원추형 돌출부(131)인 돌출두께 3 내지 10㎜의 제 3 차음부(13)가 구비된 전체 두께 10 내지 25㎜의 차음기재(100)가, 상기 차음부재 2(300)의 상부에 적층, 설치된다.
S3 단계; 차음기재의 상부에 차음부재 1 설치 단계
상기 차음기재(100)의 상부에, 밀도 10 내지 30㎏/㎥, 두께 7.0 내지 2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면이 평활한 평활면(21)으로 구성된 차음부재 1(200)이 적층된다.
S4 단계; 건물 바닥면의 설치완료 단계
차음부재 1(200)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 콘크리트층(42)을 형성하고, 상기 기포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난방배관인 온돌파이프(60)를 설치, 마감몰탈을 타설 마감몰탈층(43)을 형성 및 상기 마감몰탈층(43)의 상부에 바닥장식재(70)가 설치되어,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10000)가 설치된 건물바닥면(40)의 설치가 완료된다.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차음기재(100)가 제 1,2 차음부가 배제된 구성의, 기재(10)의 상부 표면이 평활한 평활면(16)으로 구성된 전체두께 8 내지 20㎜의 차음기재(100)가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차음부재 1(200)이 밀도 10 내지 30㎏/㎥, 두께 7.0 내지 20㎜의 발포 폴리스타이렌(EPS) 수지 재질의 발포셀로 구성된 몸체
(20)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홈부(22)와 적층부(24)가 구비된 차음부재 1(200)이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차음재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025A KR101238751B1 (ko) | 2010-09-29 | 2010-09-29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025A KR101238751B1 (ko) | 2010-09-29 | 2010-09-29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608A true KR20120032608A (ko) | 2012-04-06 |
KR101238751B1 KR101238751B1 (ko) | 2013-03-04 |
Family
ID=4613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4025A KR101238751B1 (ko) | 2010-09-29 | 2010-09-29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875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426B1 (ko) * | 2015-01-29 | 2015-04-10 | 이영준 | 층간소음 저감용 난방호스 패널 |
KR20180046123A (ko) * | 2016-10-27 | 2018-05-08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플로어 양면 매트 |
KR20180046108A (ko) * | 2016-10-27 | 2018-05-08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2830B1 (ko) * | 2014-03-17 | 2014-11-21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2023B1 (ko) * | 2008-01-31 | 2010-06-08 | 곽학순 | 완충 보드 |
KR20090087772A (ko) * | 2008-02-13 | 2009-08-18 | 주식회사 삼양수지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KR101089696B1 (ko) * | 2009-01-29 | 2011-12-07 | (주)현광 | 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
-
2010
- 2010-09-29 KR KR1020100094025A patent/KR101238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426B1 (ko) * | 2015-01-29 | 2015-04-10 | 이영준 | 층간소음 저감용 난방호스 패널 |
KR20180046123A (ko) * | 2016-10-27 | 2018-05-08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플로어 양면 매트 |
KR20180046108A (ko) * | 2016-10-27 | 2018-05-08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 |
KR101875605B1 (ko) * | 2016-10-27 | 2018-07-06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 |
KR101879241B1 (ko) * | 2016-10-27 | 2018-07-17 | 주식회사 가람매트 | 플로어 양면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플로어 양면 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8751B1 (ko) | 2013-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5259A (en) |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 |
KR100758336B1 (ko) |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38751B1 (ko)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0922009B1 (ko) |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100918595B1 (ko) |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87212B1 (ko) |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 |
KR101133056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
KR101487374B1 (ko) | 층간소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1437337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428590B1 (ko) |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0701858B1 (ko) |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 |
KR100721850B1 (ko) |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 |
KR102403744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92508B1 (ko) |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 |
KR102295294B1 (ko) |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 |
KR102137373B1 (ko) |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감쇄 구조물을 포함하는 난방패널 | |
KR20100005135U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재 | |
KR101207288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2220518B1 (ko) |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33475B1 (ko) | 다중구조의 차음부가 구비된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200379075Y1 (ko) | 소음방지재 | |
KR100543103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050091857A (ko) | 바닥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및 그 바닥 구조 | |
KR102211578B1 (ko) |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시킨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