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508B1 -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508B1
KR101892508B1 KR1020160133552A KR20160133552A KR101892508B1 KR 101892508 B1 KR101892508 B1 KR 101892508B1 KR 1020160133552 A KR1020160133552 A KR 1020160133552A KR 20160133552 A KR20160133552 A KR 20160133552A KR 101892508 B1 KR101892508 B1 KR 10189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impact sound
range
composit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419A (ko
Inventor
박래관
Original Assignee
박래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관 filed Critical 박래관
Priority to KR102016013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5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원은 특정규격의 차음소재를 일체로 묶은 적층패널 형태로 제공하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43±3(dB) 범위로 1, 2등급을 제공하며, 결합체의 잔류변형량이 1.5±0.5 ㎜ 범위를 충족시키는 적층패널 형태의 바닥충격음 저감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 출원기술은 슬래브와 마감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일정범위의 두께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에 관련한 기술로서, 두께 0.8~2.0㎜ 범위의 P.P(폴리프로필렌)시트의 양 측면에 0.5~5.0㎜ 범위의 발수기능을 갖는 화이버(Fiver)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를 얻는 제1단계 공정과상기 복합시트판재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를 얻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가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총 두께가 30~60㎜ 두께로 결합체를 이루어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역 A특성 가중 바닥충격음 레벨기준으로 43±3(dB) 범위를 만족시키고, 결합체의 잔류변형량이 1.5±0.5 ㎜ 범위로 충족하도록 적용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A floo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process forimpact-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독 또는 공동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대한 차단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 사이에 30~60㎜ 두께로 설치되어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적층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건출물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적층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3개 이상의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겸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토지이용의 효율성 증대 및 주택 공급의 용이성 등에 의해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공동주택은 다수의 세대들이 수직적인 배치구조를 갖는 특성상 이웃하는 세대들 간의 층간소음으로 인해 많은 다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층간소음을 저감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로 등록특허 10-0624357호에서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를 띄움 바닥 구조를 이루는 구조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원료를 압출성형하여 상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충격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갖기 위해 중간부에 제1 공기층이 형성된 중심보드부재와 상기 중심보드부재의 상,하면에 결착되어 상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충격음을 1차 흡수하여 소멸하는 합성 섬유보드 및 합성섬유보드와 슬라브층 간의 사이를 이격시켜 제2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하부 합성섬유보드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어서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재 및 다수의 뜬 바닥구조를 이루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기술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공동주택 주민들 사이에 지속적으로 층간 소음 문제로 인한 분쟁이 속출하자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을 시공할 때 바닥충격음의 최저기준을 두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3항을 마련하였는바, 2013.6.17.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공동주택 층간바닥은 콘크리트슬라브 두께를 210㎜ 이상으로 하며 라멘구조는 150㎜ 이상으로 하고, 바닥충격음에 대한 평가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서 동시에 규정으로 채택하고 있는 역A특성곡선을 이용한 단일수치 평가량으로 성능기준을 표 1과 같이 제시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33호에 규정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을 표 2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구 분 바닥충격음
레벨(dB)
비 고
경량충격음 58 교통부장관은 바닥충격음을 충족하는 표준바닥구조 및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등급을 각각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중량충격음 50
* 경량충격음은 Ln,Aw(역A특성 가중 규준화 바닥충격음 레벨로 평가.
* 중량량충격음은 Li,Fmax,Aw(역A특성 가중 바닥 충격음 레벨로 평가.
구 분 등 급 바닥충격음레벨(dB)

경량충격음
1 급 43 이하
2 급 43~48
3 급 48~53
4 급 53~58

중량충격음
1 급 40 이하
2 급 40~43
3 급 43~47
4 급 47~50
상기와 같은 국토교통부고시 이후 상기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층간소음 저감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공개특허 2016년 0045237호 기술에서는 표면층으로 탄성 PLA층을 구비하는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하부보강재를 적층시켜 사용자에게 무독성, 친환경의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의 소리 및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구조로 아래로부터 쿠션층, 인쇄층, 탄성 PLA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쿠션바닥재 및 쿠션바닥재 하부에 하부보강재가 추가로 적층되는 구조의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PLA층은 아크릴계 탄성수지와 폴리유산의 혼합비가 100 : 1 - 1 : 100 인 복합수지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16년 0113000호 기술에서는 폴리에스터 섬유층과 폴리에스터 섬유층의 상부면에 접합되는 제1 보강층, 폴리에스터 섬유층의 하부면에 접합되는 제2 보강층, 및 제2 보강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포 스트립 고무층을 포함하고, 발포 스트립 고무층은 스트립 형태의 발포 고무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된 형태의 층간 차음재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기술은 상기 표 1에 제시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나 탄성큐션층을 이루는 탄성 PLA층이나 발포스트립 고무층을 갖는 구조로 적용되어 제조원가를 높이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주택건설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 또한 원자재의 고가로 제품코스트가 높아져서 건설회사에서 채택하여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므로 저비용구조이면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 기준을 1,2 등급 기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원은 건축물 특히 공동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기준을 1,2 등급 기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기술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특정규격의 차음소재를 일체로 묶은 적층패널 형태로 제공하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이 43±3(dB) 범위로 1, 2등급을 제공하며, 결합체의 잔류변형량이 3.0 ㎜ 미만 범위를 충족시키는 적층패널 형태로 저비용구조의 바닥충격음 저감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적층패널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적층패널은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일정범위의 두께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로서,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 측면에 0.5~1.5㎜ 범위의 섬유화이버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본원의 실시형태에서 이를 P.P Sheet로 표현함)얻는 제1단계 공정을 통하여 2.0~4.0㎜ 범위의 P.P Sheet를 얻어서 바닥충격음을 저감소재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1단계 공정을 거친 복합시트판재(P.P Sheet)를 상판 및 하판 각각에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 사이에 복합시트판재(P.P Sheet)를 넣고 일정범위의 열을 가하며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P.P 요철판재)를 얻어서 바닥충격음을 저감소재로 이용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P.P Sheet)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P.P 요철판재)는 필수구성으로 적용되고, 상기 필수구성에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총 두께가 30~60㎜ 두께로 결합체를 이루어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공통주택의 층간 슬라브의 시공은 건식과 습식과 반건식으로 구분되어 적용되는데, 본원의 적층소재를 이루는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층간 슬라브의 시공기준에 따라 습식으로 적용될 때는 30±5 ㎜ 두께로 제공되어 적용되고, 반건습식 조건에서 적용될 때는 40±5 ㎜ 두께로 제공되어 적용되거나 건식조건에서 적용될 때는 55±5 ㎜ 두께로 제공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 제조방법으로,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 측면에 0.5~1.5㎜ 범위의 섬유화이버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인 P.P Sheet를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복합시트판재(P.P Sheet)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인 P.P 요철판재를 얻는 제2단계 공정을 기본 바탕기술로 하여, 종래 층간소음 저감 기술에 사용되어 온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총 두께가 30~60㎜ 두께로 결합체를 이루도록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가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의 결합체가 가로*세로*두께로 표현하여 보면 가로가 (1800~900)±50 ㎜ 세로가 900±50 ㎜ 두께가 45±20 ㎜ 규격을 충족하는 결합구조의 중간완성품으로 제공되어 적용됨으로 조립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 양쪽에서 역 A특성 가중 바닥충격음 레벨기준으로 43±3(dB) 범위를 충족시키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을 얻는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은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의 시공방법으로서,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 측면에 0.5~1.5㎜ 범위의 섬유화이버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인 P.P Sheet를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복합시트판재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인 P.P 요철판재를 얻는 제2단계 공정을 거쳐서,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인 P.P Sheet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인 P.P 요철판재에 기존의 층간소음 저감재로 사용되는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본원의 1단계에서 얻은 2.5㎜ 두께의 P.P Sheet + 9.5㎜ 두께의 EPS단열판재 + 본원의 2단계에서 얻은 굴곡높이 8.0㎜ 두께의 P.P 요철판재 + 1단계에서 얻은 2.5㎜ 두께의 P.P Sheet + 5.0㎜ 두께의 폴리우레탄발포폼 + 5.0㎜ 두께의 EVA판재를 적층된 결합구조로 총 두께 32.5㎜ 두께의 중간완성품으로 현장으로 운반되고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현장에 배열 및 설치되고 그 상부로 기포콘크리트층이 타설되며 기포콘크리트층 상부로 난방배관이 깔리고 마감몰탈이 포설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 시공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위 묶음 형태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적층패널은 적층패널 간의 이음부가 잘 맞도록 배열되고 이음부에는 폭 50㎜ 이상의 방수테이프로 고정하여 그 상부로 얹혀지는 기포콘크리트층이 타설될 때 기포콘크리트액이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 등의 방수포가 깔리거나 섬유부직포 30~300 g/㎡ 규격의 방수포가 깔리고 기포콘크리트층이 타설되고 기포콘크리트층 상부로 난방배관이 깔리며 마감몰탈이 포설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구성이 적용된 샘플제품을 만들고, 샘플제품의 경량바닥충격음과 중량바닥충격음, 잔류변형량 등 발명자가 기대하는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실험을 의뢰하였으며, 2016년 6월 27일자 통보된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의 시험결과에서경량바닥충격음은 42dB로 1등급의 결과를 나타내고, 중량바닥충격음도 42dB로 2등급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2016년 5월 24일자 통보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실험결과에서는 열 저항이 0.83(㎡.K)/W. 동탄성계수 20.2 MN/㎡, 잔류변형량 1.3㎜로 발명자가 기대하는 최상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저비용 구조로 충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도 1 : 종래의 층간소음방지기술의 적용 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제공되는 적층패널의 적용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사용되는 적층패널의 원료로 이용되는 P.P Sheet를 얻기 위한 일적용 제조예시도.
도 4 : 본원에서 사용되는 P.P 요철판재의 일적용 예시도.
도 5 : 본원의 적층패널이 적용된 결과에 대한 층간소음 방지 시험성적서.
도 6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통보받은 시험성적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특히 공동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대한 차단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 동일/유사한 목적을 갖고 본원 발명자에 의해 선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특허 10-1479167호에 개시된 층간소음 방지기술의 적층구조를 도 1에 제시하여 본원 출원기술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등록특허 10-1479167호의 기술구성이 현장에 적용되어 시공이 완성된 후의 건축물 바닥면 적층패널(2)의 일 적용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브(100)의 바닥면에 V홈 컷팅홈(11)이 형성되고 그 상부 면으로 적층구조를 이룬 하나의 적층패널(2)이 깔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적층패널(2)은 바닥면으로 폴리스틸렌 단열재(30)가 있고 그 상부에 폴리우레탄발포폼(20)이 적층되고 폴리우레탄발포폼(20)상부로는 파형을 이룬 아연도 강판(10)이 적재되고 아연도 강판 상부로는 폴리스틸렌 단열재(30)가 적층되고 폴리스틸렌 단열재(30) 상부로는 폴리우레탄발포폼(20)이 적재되며 그 상부로 다시 폴리스틸렌 단열재(30)가 적층된 구조의 적층패널(2)가 깔리고 그 상부로 비닐방수포(31)가 덮여지고 비닐방수포 상부로 기포콘크리트층(40)이 일정 높이로 타설된 후 그 상부로는 마감몰탈층(50)이 채워지며 온열배관(1)이 배열되며 마감몰탈층(50)이 깔리고 그 상부로 바닥재(60)가 깔리는 구성으로 현장에 적용되는 일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술이 현장에 적용될 때 건물구조체의 일측 벽부에 예를 들면 5~10㎜ 직경을 갖는 에어벤트 배관(32)을 벽체(110)에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상,하부 구조 사이에서 층간소음을 야기하는 발생음이 단위 적층패널(2)를 이루는 아연도 강판(10)의 통공이나 폴리우레탄발포폼(20)의 스폰지 등에 흡수된 후 남은 잔음이 파이프 배관(32)을 통하여 측벽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는 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기술사상이 일 실시양태로 적용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3)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습식공법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할 경우 적층패널(3)의 적층구조는 상부로부터 2.5㎜ 두께의 P.P 복합 Sheet(70) + 9.5㎜ 두께의 EPS단열판재(30) + 굴곡부(높이) 8.0㎜ 두께의 P.P 복합 요철판재(80) + 2.5㎜ 두께의 P.P 복합 Sheet(70) + 5.0㎜ 두께의 폴리우레탄발포폼(20) + 5.0㎜ 두께의 EVA판재(90)이 적층되어 총 두께 32.5㎜ 두께를 갖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3)로 중간완성품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도 1에서의 적층패널(2) 대신에 본원의 적층패널(3)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바닥충격음 적층패널(3)을 이루는 저감소재(1)인 P.P 복합 Sheet(70)를 얻기 위한 제조 실시양태를 간략 도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때 바닥충격음 저감소재(1)인 P.P 복합 Sheet(70)를 얻기 위한 제조실시형태로 폴리프로필렌(P.P) 시트(4)를 중심에 위치시키고 발수기능을 갖는 섬유파이버(5,5')가 양측에서 P.P 시트(4)를 감싸 3층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P.P 복합 Sheet(70)로 제공되는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면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P.P) 시트(4)가 회전롤에 감겨져 텐션롤(11)에 의해 적절한 강도를 받으며 유입되고 폴리프로필렌(P.P) 시트(4)의 양쪽면에서 발수기능을 갖는 0.5~1.5㎜ 범위의 섬유파이버(5,5')에 폴리졸 성분의 접착제(6)가 도포되면서 압압롤러(12,13) 사이로 보내지며 압착되어 섬유파이버(5)+폴리프로필렌(P.P) 시트(4)+섬유파이버(5')가 접착된 형태로 P.P 복합 Sheet(70)로 제공되어 롤에 감겨진 형태로 겹쳐지며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에서 바닥충격음 저감소재(2)로 적용되는 P.P 복합 요철판재(8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나의 단위 P.P 복합 요철판재(80)로 가로 900㎜ * 세로 600㎜ * 높이 8㎜의 규격품으로 제공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도 3의 공정을 통하여 얻은 P.P 복합 Sheet(70)와 도 4에서 제시되는 P.P 복합 요철판재(80)를 이용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적층패널(3)과 도 1의 형태로 본원 발명자의 선등록 특허물품에서 제공되는 층간소음 저감용 적층패널(2)과의 재료구성 차이에 따른 동탄성계수, 고유진동수, 손실계수, 경량충격음 제거효과 및 경량충격음 제거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재료구성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3에 제시하였다.
구 분 A(선 발명품인
아연도강판 이용)
B(본원의 PP씨트 및
PP요철판 이용).



적층재료구성

EPS 9.5 ㎜ P.P sheet 2.5 ㎜
PU foam 5.0 ㎜ EPS 9.5 ㎜
아연도 굴곡강판 8.0 ㎜ P.P요철판 8.0 ㎜
PU foam 5.0 ㎜ P.P sheet 2.5 ㎜
EVA 5.0 ㎜ PU foam 5.0 ㎜
EVA 5.0 ㎜
적층체 두께 32.5 ㎜ 32.5 ㎜
동탄성계수 38 46
고유진동수 11.0 16.71
손실계수 0.184 0.1
경량충격음(dB) 43 42
중량충격음(dB) 41 42
본원 발명자는 자체 실험을 통하여 표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발명자가 원하는 물성을 충족시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P.P 복합씨트(70) 및 P.P. 복합 요철판(80)을 이용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적층패널(3)로 상부로부터 2.5㎜ 두께의 P.P 복합 Sheet + 9.5㎜ 두께의 EPS단열판재 + 굴곡부(높이) 8.0㎜ 두께의 P.P 복합 요철판재 + 2.5㎜ 두께의 P.P 복합 Sheet + 5.0㎜ 두께의 폴리우레탄발포폼 + 5.0㎜ 두께의 EVA판재가 적층되어 총 두께 32.5㎜ 두께를 갖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3)을 만들어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 2016년 5월 19일자로 층간소음 방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뢰를 하였으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으로부터 통보된 실험결과로 경량충격음(Tapping machine) 실험결과 42dB, 중량충격음(Impact ball) 실험결과 42dB의 실험결과를 통보받았으며, 이를 도면 5로 첨부하였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와 동일한 총 두께 32.5㎜ 두께를 갖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3)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보내서 건설교통부에서 정하는 층간소음저감재의 제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뢰를 하였으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으로부터 2016년 5월 24일자 통보된 실험결과에서는 동탄성계수 20.2 MN/㎡, 손실계수 0.2, 가열 후 동탄성계수 22.9 MN/㎡, 가열 후 손실계수 0.2, 밀도 154 Kg/㎥, 잔류변형 1.3 ㎜ 등으로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시험결과를 통보받았으며 이를 도면 6으로 첨부하였다.
기타 본원에서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3)의 구성부품으로 사용되는 원재료의 품질기준을 설명하여 보면, 본원에서 사용되는 제1원료인 폴리프로필렌 시트(P.P sheet)는 충격강도 16.3 MPa, 압착밀도 1.0 이상을 확보하는 양질의 원료로 제조원(한양소재)에서 공급하는 P.P sheet가 원료로 사용되고 폴리프로필렌 시트(P.P sheet)에 발수성 및 내한성을 부여하며 흡음효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0.5~1.5㎜ 범위의 섬유화이버는 스판보드 부직포 30g/㎡ 이상, 300g/㎡ 미만을 확보하는 원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단위 적층패널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발포폼은 탄성계수가 15% 이상을 확보하고, 인장강도가 2 kg/㎠ 이상을 확보하며 신장율 40% 이상을 확보하는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스틸렌 단열재는 밀도가 20 Kg/㎥ 이상, 압축강도가 8 N/㎠ 이상, 굴곡파괴가 20 이상을 확보하는 제품이 사용되며, EVA 제품은 KSM6518 기준으로 경도 38이상을 만족하는 제품이 사용될 때 제1~2 등급의 최상의 차음효과를 나타내는 충간소음 방지재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 본원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중간재료의 품질기준 및 검사기준을 모두 상술하였는바 이는 본원의 기술이 구현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제시한 것으로 본원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1 : 방바닥 구조에서의 가온용 배관 2 : 종래기술의 적층판넬
3 : 종래기술의 적층판넬 4 : PP sheet
5 : 발수성 섬유파이버 6 : 접착재
10: 아연도 강판 11 : V자 컷팅홈
20 : 폴리우레탄발포폼 30 : 폴리스틸렌 단열재
32 : 에어벤트 배관 40 : 기포콘크리트층
50 : 마감몰탈층 60 : 바닥재
70 : P.P 복합시트 80 : P.P 복합 요철판
90 : EVA 판재 100 : 콘크리트 슬라브
110 : 벽체

Claims (4)

  1.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일정범위의 두께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에 있어서,
    두께 0.8~2.0㎜ 범위의 P.P(폴리프로필렌)시트의 양 측면에 0.5~5.0㎜ 범위의 발수기능을 갖는 화이버(Fiber)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를 얻는 제1단계;
    상기 복합시트판재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를 얻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가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총 두께가 30~60㎜ 두께로 결합체를 이루어서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역 A특성 가중 바닥충격음 레벨기준으로 43±3(dB) 범위를 만족시키고, 결합체의 잔류변형량이 1.5±0.5 ㎜ 범위에 충족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
  2.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 측면에 0.5~5.0㎜ 범위의 섬유화이버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를 얻는 제1단계;
    상기 복합시트판재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를 얻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가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를 이루어서 총 두께가 30~60㎜ 두께로 결합체를 이루어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 양쪽에서 역 A특성 가중 바닥충격음 레벨기준으로 43±3(dB) 범위를 충족시키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의 제조방법.
  3. 건축물의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마감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저감용 적층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두께 0.8~2.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 측면에 0.5~5.0㎜ 범위의 섬유화이버가 부착된 복합시트판재를 얻는 제1단계;
    상기 복합시트판재를 음양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넣고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음양각이 형성된 복합굴곡판재를 얻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복합시트판재와 제2단계에서 얻은 복합굴곡판재가 EPS단열판재나 EVA판재나 폴리우레탄발포폼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와 적층구조가 가로*세로*두께가 (1800~900)±50 ㎜ * 900±50 ㎜ * 45±20 ㎜ 규격을 충족하는 결합구조의 중간완성품으로 조립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공정을 통하여 제공된 중간완성품이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현장에 배열 및 설치되고 그 상부로 기포콘크리트층이 타설되며 기포콘크리트층 상부로 난방배관이 깔리고 마감몰탈이 포설되며 시공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적층패널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간완성품 상부로 섬유부직포 30~300 g/㎡ 규격의 방수포가 깔리고 방수포 상부로 기포콘크리트층이 타설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적층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60133552A 2016-10-14 2016-10-14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89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52A KR101892508B1 (ko) 2016-10-14 2016-10-14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52A KR101892508B1 (ko) 2016-10-14 2016-10-14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9A KR20180041419A (ko) 2018-04-24
KR101892508B1 true KR101892508B1 (ko) 2018-10-04

Family

ID=6208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552A KR101892508B1 (ko) 2016-10-14 2016-10-14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292A (zh) * 2018-10-30 2019-04-02 常州浩瀚万康纳米材料有限公司 一种改善楼板撞击声隔音减振垫及其制备方法
KR102343104B1 (ko) * 2021-03-05 2021-12-28 주식회사 예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고강도 모르타르 패널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8655A (ko) * 2008-06-11 2009-12-16 김진권 2중 비닐패드를 갖는 내방음성 차음재
KR200470795Y1 (ko) * 2008-12-17 2014-01-09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재
ITGE20130064A1 (it) * 2013-07-04 2015-01-05 Renolit Se Pannello multistrato composi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9A (ko)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72B2 (en) Lightweight panel construction
US20230407646A1 (en) Laminated Foam Composite Backer Board for Wet Space Construction
EP2079865B1 (en)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sheathing board and wall and/or ceiling system
KR100758336B1 (ko)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00282539A1 (en) Composite material multilayered membrane with sound insulating and sound absorbing to mitigate impact noise
KR101892508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0987212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KR100922009B1 (ko)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238751B1 (ko)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542531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87374B1 (ko) 층간소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JP5312963B2 (ja) 床材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419652Y1 (ko)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568964B1 (ko) 소음방지용 바닥재
TWM635777U (zh) 隔音墊多層次結構
KR200476687Y1 (ko)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US20080075945A1 (en)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boards and structural systems
KR102535739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JPH04209254A (ja) 木質系防音床構造
KR100554496B1 (ko) 온돌 난방식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방지재
US20190360205A1 (en) Non-moisture absorbing facers for insulation products
US20220098880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