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87Y1 -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 Google Patents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87Y1
KR200476687Y1 KR2020130008291U KR20130008291U KR200476687Y1 KR 200476687 Y1 KR200476687 Y1 KR 200476687Y1 KR 2020130008291 U KR2020130008291 U KR 2020130008291U KR 20130008291 U KR20130008291 U KR 20130008291U KR 200476687 Y1 KR200476687 Y1 KR 200476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king
flocking film
film
building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동학
Original Assignee
육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동학 filed Critical 육동학
Priority to KR2020130008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 외층을 구성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바닥몸체(50)와, 상기 판상의 바닥몸체(50)의 저면에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로킹(flocking)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바닥재의 저면 또는 측면에 직물에 의한 플로킹막(60)이 형성되어, 플로킹막(60)이 방음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층간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는 건물에 시공된 층간구조물과는 별개물로 구성되어, 기시공된 건물에도 설치하여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Floorings having flocking layer}
본 고안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등의 내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재 저면에 플로킹막이 형성되어 방음기능이 향상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닥과 벽체를 공유하는 공동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 건물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으로 인하여, 입주자 간에 심한 스트레스 및 분쟁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 건물들이 고층화되면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슬라브를 경량제로 사용하거나 바닥 두께를 얇게 시공하고 있어, 건물의 직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하층부로 쉽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건축물의 직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은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경량 충격음은 주로 물건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소음을 말하고 중량 충격음은 주로 사람이 뛸 때 발생하는 소음을 말하는데, 이러한 충격음은 윗 층의 바닥구조물에 가해진 충격이 슬라브에 진동으로 전달된 다음 아래층에 소음으로 방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물의 직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직 하층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판지나 목재마루판 등과 같은 마감재가 상부면에 시공되는 마감 몰탈과 콘크리트구조물로 타설되는 슬라브 사이에 고무재와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층간 방진재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등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사업승인 대상인 2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 30가구 이상의 도시형생활주택, 300가구 이상의 주상복합빌딩은 바닥 슬라브 두께를 210㎜(기둥식은 180㎜) 이상으로 하고 동시에 경량충격음(구슬과 같은 딱딱한 물체가 떨어졌을 때 나는 소음)은 58㏈, 중량충격음(소파와 같은 무게운 물체를 움직일 때 나는 소음)은 50㏈ 이하로 설계ㆍ시공해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층간 방진재 등을 통해 층간 방음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상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기 전에 시공된 건물의 경우에는 층간 소음이 더욱 쉽게 전달되고, 시공 후에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구조물을 재시공하기 어려우므로 층간소음 문제가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외면을 구성하는 바닥재에 플로킹막을 형성하여, 바닥재 자체에 의하여 방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 외층을 구성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판상의 바닥몸체와, 상기 판상의 바닥몸체의 저면에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로킹(flocking)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로킹막은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바닥재의 저면에는 상기 플로킹막 사이에 다수의 흡음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킹막은 다수개의 단위플로킹이 밀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플로킹 사이에는 흡음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킹막은 정육각형상의 단위플로킹에 의해 벌집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바닥재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적층되는 디자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로킹막은 상기 바닥부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인접한 바닥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바닥재의 저면 또는 측면에 직물에 의한 플로킹막이 형성되어, 플로킹막이 방음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층간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는 건물에 시공된 층간구조물과는 별개물로 구성되어, 기시공된 건물에도 설치하여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직물로 구성되는 플로킹막에 의해 단열이 이루어져, 바닥재에 의한 보온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다가구 주택의 층간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건물 바닥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사이가 연결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다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의 플로킹막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의 플로킹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건물 바닥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사이가 연결되는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플로팅막이 구비된 바닥재(이하 '바닥재'라 한다)는 건물의 마루 등과 같은 바닥 표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건물의 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건물의 층간을 형성하는 구조는 난방구조에 따라 건식바닥구조와 습식바닥구조로 나뉠 수 있고, 도 1에는 습식바닥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습식바닥구조는 도 1에서 보듯이, 건물의 층간 구획을 위해 구비되는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층간으로 열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20)의 상부에는 기포콘크리트(30)가 적층되고, 기포콘크리트(30) 상부에는 다시 모르타르(40)가 적층된다. 상기 모르타르(40)에는 온수파이프(P)가 내장되어 보일러를 통과하여 가열된 온수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 모르타르(40)의 상부에는 바닥재가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바닥재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그 외측에는 결합부(55,57)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5,57)는 다시 측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55)와 길이방향 전후단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57)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바닥재 사이의 결합은 접착식시공(Glue Installation) 또는 현가식 시공(Float Installation)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형식의 현가식시공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재는 판상의 바닥몸체(50)와, 상기 바닥몸체(50) 외면에 형성되는 플로킹(flocking)막(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킹막(60)은 직물을 이용하여 모체인 바닥몸체(50)의 외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로킹막(60)의 형성은 바닥몸체(5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짧은 섬유(플록)을 접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로킹막(60)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 먼저 모재인 바닥몸체(50)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b) 필요한 경우 플로킹막(60)을 형성하지 않을 부분을 가리는 마스킹단계,
(c) 바닥몸체(5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d) 접착제가 도포된 바닥몸체(50)를 전기장 내에서 대전시켜 섬유(플록) 분말이 블록몸체 외면에 붙어 플로킹막(60)을 형성하는 식모단계,
(e) 바닥몸체(50)를 건조하고 마스킹을 제거하며 접착되지 않은 섬유(플록)을 제거하는 정리단계를 거쳐 플로킹막(6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라텍스, 폴리초산비밀, 폴리아크랄산에스테르수지 등일 수 있으며, 섬유(플록)는 나일로, 인견(Viscose rayon),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몸체(50)는 다양한 소재,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계열 소재 또는 목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목재의 경우는 천연목재, 강화마루(Laminate Flooring), 합판마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몸체(50)는 강화마루로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조는 도 4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바닥몸체(50)는 바닥부(50c)와, 상기 바닥부(50c)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부(50a),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50a) 상부에 적층되는 디자인부(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50a)는 고밀도 섬유판(HDF,High Density Fiberboard)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50c)는 후면처리(라미네이팅)가 되어 바닥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자인부(50b)는 목재패턴 등의 형상으로 표면을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디자인부(50b)의 외면은 다시 코팅부(50c)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바닥몸체(50)가 상기한 구조일 경우에 상기 플로킹막(60)은 상기 바닥부(50c)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바닥재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50c) 저면에 플로킹막(60)이 형성되어 방음 및 단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플로킹막(60)은 상기 바닥재의 저면 뿐 아니라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킹막(60)이 상기 바닥재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측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도 5에는 바닥의 최외측을 구성하는 바닥재의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의 플로킹막(60)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플로킹막(60)은 상기 바닥재 저면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킹막(60) 사이에 다수의 흡음공간(5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공간(59)은 상기 바닥재의 저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모르타르(40) 층 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흡음공간(59)은 상기 바닥재로부터 충격이나 소음이 전달될 경우에 상기 흡음공간(59)의 내부 공간을 통해 충격이나 진동이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흡음공간(59)은 상기 플로킹막(60)의 중간중간에 간헐적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플로킹막(60)이 다수개의 단위플로킹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플로킹 사이에 흡음공간(5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플로킹막(60)은 정육각형상의 단위플로킹에 의해 벌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재 저면에서 플로킹막(60)이 차지하는 면적비가 충분히 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습식바닥구조에 적용되는 바닥재를 예로 들었으나, 본 실시예는 건식바닥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반드시 목재구조 뿐 아니라 폴리염화비닐(PVC) 계열 소재의 바닥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현가식 시공(Float Installation)이 아닌 접착식시공(Glue Installation)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바닥재의 저면 일부에는 플로킹막(60)이 생략되고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다수층으로 구성되는 강화마루 뿐 아니라, 단층구조의 바닥재나 온돌마루 등 다양한 바닥재에 본 고안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10: 콘크리트 슬라브 20: 단열부재
30: 기포콘크리트 40: 모르타르
50: 바닥몸체 60: 플로킹막

Claims (7)

  1. 건물의 바닥 외층을 구성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판상의 바닥몸체와,
    상기 판상의 바닥몸체의 저면에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로킹(flocking)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로킹막은 다수개의 단위플로킹이 밀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플로킹 사이에는 흡음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플로킹막은 정육각형상의 단위플로킹에 의해 벌집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킹막은 상기 바닥몸체의 저면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부에 적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적층되는 디자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로킹막은 상기 바닥부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인접한 바닥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KR2020130008291U 2013-10-08 2013-10-08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KR200476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91U KR200476687Y1 (ko) 2013-10-08 2013-10-08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91U KR200476687Y1 (ko) 2013-10-08 2013-10-08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87Y1 true KR200476687Y1 (ko) 2015-03-20

Family

ID=5305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91U KR200476687Y1 (ko) 2013-10-08 2013-10-08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267B1 (ko) * 2016-05-04 2016-09-23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바닥 소음방지구조
KR20180021446A (ko) 2016-08-22 2018-03-0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루스 레이 타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540A (ja) * 1997-03-24 1998-10-06 Dantani Plywood Co Ltd 建築用板材
US5941047A (en) * 1994-12-13 1999-08-24 Johansson; Dan Floor-laying
JP2001504180A (ja) * 1996-11-08 2001-03-27 アーベー ゴルバビア 床仕上げ材の隣接ピースを接合する構造
KR200405592Y1 (ko) * 2005-05-25 2006-01-10 박기호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바닥 마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047A (en) * 1994-12-13 1999-08-24 Johansson; Dan Floor-laying
JP2001504180A (ja) * 1996-11-08 2001-03-27 アーベー ゴルバビア 床仕上げ材の隣接ピースを接合する構造
JPH10266540A (ja) * 1997-03-24 1998-10-06 Dantani Plywood Co Ltd 建築用板材
KR200405592Y1 (ko) * 2005-05-25 2006-01-10 박기호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바닥 마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267B1 (ko) * 2016-05-04 2016-09-23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바닥 소음방지구조
KR20180021446A (ko) 2016-08-22 2018-03-0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루스 레이 타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36B1 (ko)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25011A1 (en) Acoustic partition for removable panel finishing system
KR101698572B1 (ko) 층간소음방지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시공방법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200476687Y1 (ko)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JP2004143927A (ja)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ド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80107601A (ko) 황토를 이용한 온돌바닥시공방법 및 구조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2508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이용방법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20160017335A (ko) 층간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된 층간소음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체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100669818B1 (ko) 건축용 온돌 난방 슬라브 구조
KR101827852B1 (ko) 반건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100756414B1 (ko) 건축물의 층간 매트
KR200361919Y1 (ko) 건축용 온돌 난방 슬라브 구조
JPH08156173A (ja) 建材用パネル
KR102580462B1 (ko) 항아리형, 원통형 및 요철형 흡음부를 구비한 음파 완충 단열재와 진동 차단 기능을 갖는 댐퍼가 적층된 다층 층간 차음재, 그 제조방법, 건물의 바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16871B1 (ko) 석고보드용 하부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020063083A (ko) 슬라브 상부의 마감바닥 시공방법
TWI762330B (zh) 多層吸音減震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