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961A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9961A KR20220149961A KR1020210057033A KR20210057033A KR20220149961A KR 20220149961 A KR20220149961 A KR 20220149961A KR 1020210057033 A KR1020210057033 A KR 1020210057033A KR 20210057033 A KR20210057033 A KR 20210057033A KR 20220149961 A KR20220149961 A KR 202201499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floors
- sound insulation
- noise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ACLQRRMGMJLJV-UHFFFAOYSA-N Chloroprene Chemical compound ClC(=C)C=C YACLQRRMGMJL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8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8 T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또는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 마감 모르타르층과 콘크리트 슬래브층 사이에 배치되며,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리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또는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 마감 모르타르층과 콘크리트 슬래브층 사이에 배치되며,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공되고 있는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은 콘크리트 위에 발포 스티로폼 또는 발포 플라스틱을 깔고 그 위에 기포층으로서 방수 모르타르 및 온돌용 동파이프를 깔고 마감 모르타르와 원목 등의 마감재로 마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위층 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질 때,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층, 천장 또는 벽체를 통해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충격음은 크게 그릇,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책상의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 되는 경량 충격음과 성인의 보행, 어린아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의 고에너지를 가지는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아래층과 위층을 구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은 상층과 하층의 공기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차음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으나, 밀도가 강한 콘크리트 구조에 충격이나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음파가 상쇄되지 않고 바닥층이나 벽을 따라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는 특성으로 가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층간 소음 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 데시벨(dB) 이하, 중량 충격음은 50데시벨(dB) 이하이여야 하고, 각각 4개의 등급으로 분류되어 건축물 분양 시 고시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에,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물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조물들은 콘트리트 슬래브층을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난방용 배관과 마감용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마감재층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물들은 다층으로 건축되는 공동주택에서의 시공이 어려우며,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차음 효과가 뛰어나지 않다는 등의 단점을 가진다.
이에, 유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시공이 간편한 층간 소음방지용 차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층간 바닥구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물의 콘트리트 슬래브층과 마감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며, 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로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합성수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르타르층; 및 상기 방수층과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는 메쉬층;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수지 탄성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 : 9 내지 9 : 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또는 빌라 등의 층간 바닥구조 마감 모르타르층과 콘크리트 슬래브층 사이에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를 배치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건축되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및 빌라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 충격 및 소음이 벽체를 통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는,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자재 구성으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우수한 차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건축 자재로서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건축 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건물의 콘트리트 슬래브층과 마감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며, 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100)로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합성수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차음층(101);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층(102);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르타르층(104); 및 상기 방수층과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는 메쉬층(103);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100)는,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건축되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및 빌라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 충격 및 소음이 벽체를 통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100)는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자재 구성으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우수한 차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건축 자재로서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건축 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합성수지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차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합성수지 탄성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약 1 : 9 내지 약 9 : 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피비는 제조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의 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서술한 부피비 미만 또는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차음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액체 불투과성 합성수지 필름 또는 합성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체 불투과성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인열 강도가 약 120 Kg/cm2 내지 약 190 Kg/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인열 강도가 120 Kg/cm2 미만일 경우 시공 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며, 약 190 Kg/cm2를 초과할 경우, 충격 완충 특성 및 차음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성 합성수지 필름은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PE) 발포폼, 무발포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필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의 투습도는 약 12 g/m2·day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방수층의 투습도가 약 12 g/m2·day를 초과할 경우 시공 후 습기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방수층의 투습도는 약 12 g/m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쉬층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차된 격자망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질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합성고무로는 네오프렌, 우레탄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층은 마감 모르타르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져 상기 차음재를 보호하면서도, 소음의 진폭을 감소시켜 바닥 충격음, 즉 중량 충격음 및 경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층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량 기포 콘트리트는 단열 성능 및 진동 흡수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 경량 기포 콘트리트를 모르타르층으로 포함함으로써 표면 처리를 함과 동시에 단열 및 차음 효과를 나타내어 시공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는, 전술한 차음층, 방수층, 메쉬층, 및 모르타르층 외에 추가로, 치수 안정층, 단열재층 및 강화보드층과 같은 기능성층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각의 기능성층의 구체적인 종류, 적층 구조 및 형성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방법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101 : 차음층
102 : 방수층
103 : 메쉬층
104 : 모르타르층
101 : 차음층
102 : 방수층
103 : 메쉬층
104 : 모르타르층
Claims (3)
- 건물의 콘트리트 슬래브층과 마감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며, 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로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합성수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르타르층; 및
상기 방수층과 모르타르층 사이에 형성되는 메쉬층;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탄성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 : 9 내지 9 : 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033A KR20220149961A (ko) | 2021-05-03 | 2021-05-03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033A KR20220149961A (ko) | 2021-05-03 | 2021-05-03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9961A true KR20220149961A (ko) | 2022-11-10 |
Family
ID=8404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033A KR20220149961A (ko) | 2021-05-03 | 2021-05-03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996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5179A (ko) | 2008-07-06 | 2010-01-14 | 오은영 | 작업용 내열장갑 |
-
2021
- 2021-05-03 KR KR1020210057033A patent/KR2022014996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5179A (ko) | 2008-07-06 | 2010-01-14 | 오은영 | 작업용 내열장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6630B1 (en) | Composite tangled filament mat with overlying liquid moisture barrier for cushioning and venting of vapor, and for protection of underlying subfloor | |
KR101116238B1 (ko) |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 |
KR100763434B1 (ko) |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 |
KR101681826B1 (ko) | 층간 소음완충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101494809B1 (ko) | 층간소음 방지용 조립식 매트 | |
KR100922009B1 (ko) |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2221119B1 (ko) |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 |
KR101929628B1 (ko) | 층간소음 차음재 | |
KR101819793B1 (ko) | 황토 재질의 층간 차음재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및 시공방법 | |
KR101238751B1 (ko) |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20220149961A (ko) | 층간 소음방지 차음재 | |
KR100763410B1 (ko) |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 |
KR100750890B1 (ko) |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200425219Y1 (ko) |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 |
KR102220518B1 (ko) |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070306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100005135U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재 | |
KR20090016266A (ko) | 팽창질석을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 |
KR20100115930A (ko) |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0328912Y1 (ko) |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 |
KR200398590Y1 (ko) | 차음용부재 | |
KR100519081B1 (ko) | 천장용 차음판넬 | |
KR102383131B1 (ko) |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 |
KR100697352B1 (ko) | 층간 소음 저감 구조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