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30A -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30A
KR20120032430A KR1020110096680A KR20110096680A KR20120032430A KR 20120032430 A KR20120032430 A KR 20120032430A KR 1020110096680 A KR1020110096680 A KR 1020110096680A KR 20110096680 A KR20110096680 A KR 20110096680A KR 20120032430 A KR20120032430 A KR 2012003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lamp
attachm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테루 하야시
카츠아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종래의 광원 유닛에서는 대형화한다는 과제와, 방열상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안길이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8)로부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LIGHT SOURCE UNIT OF SEMICONDUCTOR TYPE LIGHT SOURCE OF LIGHT DEVICE FOR VEHICLES AND LIGHT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반도체형 광원을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광원 유닛은 종래부터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하 종래의 광원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광원 유닛은 LED와 저항 및 다이오드와 도체를 상부 콘택트부 및 하부 콘택트부에서 기계적으로 부착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이들을 소켓 케이싱 내에 장착하고, 소켓 케이싱에 부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종래의 광원 유닛은 소켓 케이싱의 부착부에 의해 차량용 등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광원 유닛은 LED와 저항 및 다이오드와 도체를 상부 콘택트부 및 하부 콘택트부에서 기계적으로 부착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이들을 소켓 케이싱 내에 장착하는 것이므로,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광원 유닛은 LED 및 저항 및 다이오드 및 도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LED 및 저항 및 다이오드 및 도체에 있어서의 방열상에 과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31076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광원 유닛에서는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LED 및 저항 및 다이오드 및 도체에 있어서의 방열상에 과제가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광원부와, 광원부가 부착되어 있는 소켓부를 구비하고, 광원부가, 부착면 및 맞닿음면을 가지는 부착 부재와, 반도체형 광원의 발광칩과, 발광칩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 소자와, 제어 소자를 통하여 발광칩에 급전하는 배선 소자를 구비하고,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가 부착 부재의 부착면에 부착되어 있고, 소켓부가, 절연 부재와, 부착 부재의 맞닿음면이 맞닿아 있는 맞닿음면을 가지고 또한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방열 부재와, 광원부에 급전하는 복수개의 급전 부재를 구비하고, 방열 부재와 급전 부재가 절연 부재에 서로 절연 상태에서 편입되어 있고, 소켓부에는 전원측의 커넥터가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단속적으로 부착되는 커넥터부가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향되어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부가 절연 부재의 일부 및 급전 부재의 일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방열 부재 중 적어도 커넥터부와 반대측의 부분이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이 부착 부재의 부착면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며,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급전 부재가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커넥터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커넥터부가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방열 부재 중 적어도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핀(fin) 형상을 이루고, 방열 부재의 핀 형상의 방향이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복수개의 급전 부재 중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일단부가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커넥터부 중,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차량용 등구와 반대측의 면 이외의 면에는 전원측의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등실을 구획하는 램프 하우징 및 램프 렌즈와, 등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를 부착 부재의 부착면에 부착하여 광원부를 구성하고, 한편, 방열 부재와 급전 부재를 절연 부재에 서로 절연 상태에서 편입시켜 소켓부를 구성하고, 부착 부재의 맞닿음면과 방열 부재의 맞닿음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광원부를 소켓부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발광칩과 제어 소자와 배선 소자와 부착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광원부와, 방열 부재와 급전 부재와 절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소켓부를 일체로 편입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LED와 저항 및 다이오드와 도체를 상부 콘택트부 및 하부 콘택트부에서 기계적으로 부착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이들을 소켓 케이싱 내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광원 유닛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므로,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 혹은 대략 일직선인 광원 유닛에 비해,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선 방향(광원 유닛의 중심선 방향, 광원 유닛의 광축 방향, 광원 유닛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안길이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광원부의 부착 부재의 맞닿음면과 소켓부의 방열 부재의 맞닿음면이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이 부착 부재를 통하여 방열 부재에 전달되어 이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방사(발산, 확산, 열방사, 열발산, 열확산)된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에 있어서의 방열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므로,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 혹은 대략 일직선인 광원 유닛에 비해, 방열 부재가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면(부분)을 넓게(많게) 할 수 있다. 즉, 방열 부재의 공기와 접하는 면(부분)을 넓게(많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칩에 공급하는 전류를 올릴(높일, 많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발광칩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광속(광도, 휘도, 조도, 광량)을 높게(많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급전 부재가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커넥터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급전 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절연 부재의 일부를 커넥터부측에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방열 부재가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면(부분)을 더욱 넓게(많게) 할 수 있으므로,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커넥터부가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급전 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절연 부재의 일부가 하측에 위치하고, 한편,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방열 부재가 상측에 위치한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공기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발광칩 및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방열 부재의 핀 형상의 방향이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므로, 열이 방열 부재의 핀 형상을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방사되어,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등구는 일반적으로 램프 하우징과 차량의 바디와의 부착의 관계상, 램프 하우징 혹은 바디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리브나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가 리브나 간극을 따라 흐른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최적이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복수개의 급전 부재 중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일단부가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급전 부재 중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일단부가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에 비해,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선 방향(광원 유닛의 중심선 방향, 광원 유닛의 광축 방향, 광원 유닛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 즉, 안길이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은, 커넥터부 중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차량용 등구와 반대측의 면 이외의 면에, 전원측의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부 중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차량용 등구와 반대측의 면에, 전원측의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에 비해, 광원부 및 소켓부의 중심선 방향(광원 유닛의 중심선 방향, 광원 유닛의 광축 방향, 광원 유닛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 즉, 안길이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등구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광원 유닛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광원 유닛의 광원부와, 소켓부의 절연 부재 및 방열 부재 및 급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광원부의 부착 부재(기판)의 부착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광원 유닛의 반도체형 광원의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전기회로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광원 유닛을 차량용 등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수직 단면도),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광원부의 부착 부재(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광원 유닛의 반도체형 광원의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전기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의 실시예 중 두가지 예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실시예 중 두가지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도 3 내지 도 5 중에 있어서는, 제어 소자 및 배선 소자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3(A)는 본 발명의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이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 혹은 대략 일직선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의 실시예 1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구성의 설명)
이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및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부호 100은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이다.
(차량용 등구(100)의 설명)
상기 차량용 등구(100)는 이 예에서는 1등식의 테일?스톱 램프이다. 즉, 상기 차량용 등구(100)는 1등(1개의 램프, 1개의 등구)이며 제1 램프 기능으로서의 테일 램프 기능과 제2 램프 기능으로서의 스톱 램프 기능을 병용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등구(100)는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후부의 좌우에 각각 장비된다. 상기 차량용 등구(100)는 도시하지 않는 다른 램프 기능(예를 들면, 백업 램프 기능, 턴 시그널 램프 기능)과 조합되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차량용 등구(1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01) 및 램프 렌즈(102) 및 리플렉터(103)와, 반도체형 광원을 광원으로 하는 광원 유닛, 즉,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1)과,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반도체형 광원의 구동 회로(도 7 참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광불투과성의 부재(예를 들면, 수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101)은 일방이 개구하고, 타방이 폐색되어 있는 중공 형상을 이룬다.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폐색부에는 투공(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102)는 예를 들면 광투과성의 부재(예를 들면, 투명 수지 부재나 유리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102)는 일방이 개구하고, 타방이 폐색되어 있는 중공 형상을 이룬다. 상기 램프 렌즈(102)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수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101) 및 상기 램프 렌즈(102)에 의해, 등실(105)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103)는 상기 광원 유닛(1)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배광 제어하는 배광 제어 부재로서, 촛점(F)을 가진다. 상기 리플렉터(103)는 상기 등실(105)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101) 등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103)는 예를 들면, 광불투과성의 부재(예를 들면, 수지 부재나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103)는 일방이 개구하고, 타방이 폐색되어 있는 중공 형상을 이룬다. 상기 리플렉터(103)의 폐색부에는 투공(106)이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103)의 내면에는 반사면(1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103)는 상기 램프 하우징(101)과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램프 하우징과 일체의 리플렉터의 경우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램프 하우징의 일부에 반사면을 설치하여 리플렉터 기능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은 원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투공(104)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와 복수개의 스토퍼부(도시하지 않음)가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1)의 설명)
상기 광원 유닛(1)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10)와, 소켓부(11)와, 광학 부품으로서의 커버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소켓부(11)의 일단부(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광원부(10)는 상기 커버부(12)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상기 광원 유닛(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장비되어 있다. 즉, 상기 소켓부(11)가 상기 램프 하우징(101)에 패킹(O링)(108)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커버부(12)가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 및 상기 리플렉터(103)의 상기 투공(106)을 거쳐 상기 등실(105) 내이며, 상기 리플렉터(103)의 상기 반사면(107)측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부(10)의 설명)
상기 광원부(1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로서의 기판(3)과, 상기 반도체형 광원으로서의 복수개 이 예에서는 5개의 발광칩(40, 41, 42, 43, 44)과, 제어 소자로서의 저항(RS, RT, RP) 및 다이오드(DS, DT)와, 배선 소자로서의 도체(패턴, 도체 패턴)(51, 52, 53, 54, 55, 56, 57)를 구비하는 것이다.
(기판(3)의 설명)
상기 기판(3)은 도 1,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팔각형의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기판(3)의 3변(우변, 좌변, 하변)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소켓부(11)의 급전 부재(91, 92, 93)가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31, 32, 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3)의 일면(정면)에는 실장면으로서의 평면의 부착면(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3)의 타면(배면)에는 고정면으로서의 평면의 맞닿음면(3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통과구멍(31~33)은 절결이어도 된다. 또, 상기 기판(3)의 상기 부착면(34)에 고반사 도료나 고반사 증착 등의 고반사면(30)을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3)이 고반사 부재의 세라믹제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고반사면(30)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또는 상기 고반사면(30)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기판(3) 상기 부착면(34)에는 상기 5개의 발광칩(40~44) 및 상기 저항(RS, RT, RP) 및 상기 다이오드(DS, DT) 및 상기 도체(51~57)가 부착되어 있다(즉, 실장, 인쇄, 소성, 증착, 땜납, 레이저 용접, 코킹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3)은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소켓부(11)의 방열 부재(8)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로서는 상기 소켓부(11)의 급전 부재(91, 92, 93), 또는 접속 부재(일본 특허 출원 2010-124621 참조), 또는 와셔 및 플레이트(일본 특허 출원 2010-160133 참조) 등을 사용한다.
(발광칩(40~44)의 설명)
상기 반도체형 광원은 LED, EL(유기 EL) 등의 자발광 반도체형 광원(이 실시예 1에서는 LED)으로서,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반도체형 광원은 제1 램프 기능으로서의 테일 램프 기능(이하, 간단히 「제1 램프 기능」이라고 함)의 1개의 발광칩(40)과, 제2 램프 기능으로서의 스톱 램프 기능(이하, 간단히 「제2 램프 기능」이라고 함)의 4개의 발광칩(41, 42, 43, 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 및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은 플립 칩 타입의 베어 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은 플립 칩 타입의 베어 칩 이외에 와이어 본딩 타입의 베어 칩, 또는 반사 타입의 베어 칩이어도 된다.
상기 발광칩(40~44)은 도 1, 도 5 내지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미소한 직사각형(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상의 반도체칩(광원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칩(40~44)의 일면(배면)의 대각선상의 2개의 코너부에는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칩(40~44)의 일면을 상기 기판(3)의 상기 부착면(34)에 실장하고, 상기 발광칩(40~44)의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3)의 상기 도체(51~57)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은 상기 기판(3)에 실장되어 있는 면 이외의 정면 및 측면으로부터 광을 방사한다.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계의 상기 리플렉터(103)의 촛점(F), 및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O) 근방에 좌우 방향으로 1열로, 광원 밸브(전구)의 필라멘트 혹은 방전 전구(HID 램프)의 아크 방전에 의한 발광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O)은 상기 광원부(10)의 중심(O), 상기 소켓부(11)의 중심(O), 상기 기판(3)의 중심(O), 후기 방열 부재(8)의 중심(O), 상기 광원 유닛(1)의 부착 회전 중심(O),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선(O-O), 상기 광원 유닛(1)의 광축(O-O)이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은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우측의 2개의 발광칩(41, 42)과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좌측의 2개의 발광칩(43, 44) 사이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에는 소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에는 대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은 순방향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RS, RT, RP)의 설명)
상기 저항(RS, RT, RP)은 예를 들면 박막 저항 혹은 후막 저항 혹은 SMD 타입의 저항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RS, RT)은 소정의 구동 전류의 값을 얻기 위한 조정용의 저항이다. 즉, 상기 발광칩(40~44)의 Vf(순방향 전압 특성)의 불균일에 의해, 상기 발광칩(40~44)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값이 변화되어 상기 발광칩(40~44)의 밝기(광속, 휘도, 광도, 조도)에 있어서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저항(RS, RT)의 값을 조정하여(트리밍하여) 상기 발광칩(40~44)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값을 소정값으로 대략 일정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발광칩(40~44)의 밝기(광속, 휘도, 광도, 조도)의 불균일을 조정(흡수)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상기 발광칩(40~44)의 밝기(광속, 휘도, 광도, 조도)를 모니터하면서 상기 발광칩(40~44)의 밝기(광속, 휘도, 광도, 조도)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저항(RS, RT)의 값을 트리밍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트리밍은 예를 들면 레이저로 상기 저항(RS, RT)의 일부를 절결하거나 또는 전부를 절결하여 (오픈) 저항값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오픈 및 트리밍에 의해 저항값은 증가한다.
상기 저항(RP)은 스톱 램프의 광원인 상기 제2 기능의 4개의 상기 발광칩(41~44)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풀다운 저항이다. 상기 저항(RP)은 스톱 램프 기능의 상기 다이오드(DS)의 후단(캐소드측)과, 그라운드측의 상기 급전 부재(93)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저항(RT)과,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저항(RS)과, 상기 스톱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S)의 후단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저항(RP)은 각각 1개, 3개, 2개 배치되어 있지만, 저항의 용량 및 조정하는 저항의 가변폭에 따라 배치하는 개수를 바꾸는 경우가 있다. 즉, 상기 저항(RS, RT, RP)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대전류 공급의 스톱 램프 기능의 발열 용량이 큰 상기 저항(RS)은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도 8 참조)에, 5개의 상기 발광칩(40~44)보다 상위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열이 상승하는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저항(RS)에 있어서 발생한 열을 5개의 상기 발광칩(40~44)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방으로 보낼 수 있다.
(다이오드(DS, DT)의 설명)
상기 다이오드(DS, DT)는 예를 들면 베어 칩 다이오드 혹은 SMD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과 상기 저항(RT)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DT)와,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과 상기 저항(RS)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DS)는 역접 방지 기능 및 역방향으로부터의 펄스 노이즈 보호 기능의 다이오드이다.
(도체(51~57)의 설명)
상기 도체(51~57)는 예를 들면 도전성 부재의 박막 배선 혹은 후막 배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배선 소자로서의 상기 도체(51~57)는 제어 소자로서의 상기 저항(RS, RT, RP) 및 상기 다이오드(DS, DT)를 통하여 상기 발광칩(40~44)에 급전하는 것이다.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의 레이아웃의 설명 및 구동 회로의 설명)
상기 5개의 발광칩(40~44) 및 상기 저항(RS, RT, RP) 및 상기 다이오드(DS, DT) 및 상기 도체(51~57)는 도 6의 레이아웃도 및 도 7의 전기회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접속되어 있다.
제1 도체(51)에는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발광칩(40)과 저항(RT)과 다이오드(DT)가 직렬로 배치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체(52)에는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발광칩(40)과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4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3 도체(53)에는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41)과 저항(RS)과 다이오드(DS)가 직렬로 배치 접속되어 있다. 제4 도체(54)에는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42)이 접속되어 있다. 제5 도체(55)에는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43)이 접속되어 있다. 제6 도체(56)에는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44)이 접속되어 있다. 제7 도체(57)에는 상기 저항(RP)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7 도체(57)는 상기 제3 도체(53)의 상기 다이오드(DS)의 후단(캐소드)측과, 상기 제2 도체(52)에 접속되어 있다.
(소켓부(11)의 설명)
상기 소켓부(11)는 도 1 내지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7)와, 방열 부재(8)와, 3개의 급전 부재(91, 92, 93)를 구비하는 것이다. 열전도성과 도전성을 가지는 상기 방열 부재(8)와, 도전성을 가지는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절연성을 가지는 상기 절연 부재(7) 중에 서로 절연 상태로 일체로 편입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11)는 상기 절연 부재(7)와, 상기 방열 부재(8)와, 상기 급전 부재(91~93)의 일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 부재(7)와 상기 방열 부재(8)와 상기 급전 부재(91~93)를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또는, 상기 절연 부재(7)와 상기 급전 부재(91~93)를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절연 부재(7) 및 상기 급전 부재(91~93)가 상기 방열 부재(8)를 일체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는, 상기 절연 부재(7)에 상기 급전 부재(91~93)를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절연 부재(7) 및 상기 급전 부재(91~93)가 상기 방열 부재(8)를 일체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절연 부재(7)의 설명)
상기 절연 부재(7)는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 부재(7)는 외경이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절연 부재(7)의 일단부(전단부)에는 플랜지부(7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부재(7)의 일단부(전단부)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상기 부착부(70)가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오목부와 대응시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70)는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소켓부(11)의 상기 커버(12)측의 일부 및 상기 부착부(70)를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 및 상기 오목부 중에 삽입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11)를 중심선(O-O) 둘레에 회전시켜, 상기 부착부(70)를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스토퍼부에 댄다. 이 시점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70)와 상기 플랜지부(71)가 상기 패킹(108)을 사이에 두고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의 가장자리부를 상하로부터 끼운다(도 8 참조).
이 결과,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소켓부(1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등구(100)의 상기 램프 하우징(101)에 상기 패킹(108)을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시점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11) 중 상기 램프 하우징(10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도 8 중의 상기 램프 하우징(101)보다 후측의 부분)이 상기 소켓부(11) 중 상기 등실(105) 내에 수납되어 있는 부분(도 8 중의 상기 램프 하우징(101)보다 전측의 부분)보다 크다.
상기 소켓부(11)의 상기 부착부(70)에 의해,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유닛(1)은 차량용 등구(100)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고정적으로 부착해도 된다.
(커넥터부(13)의 설명)
상기 소켓부(11)에는 광원측의 커넥터부(1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13)는 전원측의 커넥터(14)가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단속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13)는 상기 절연 부재(7)의 일부 및 상기 급전 부재(91, 92, 93)의 일단부(후단부)의 수 터미널(910, 920, 9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13)는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O)(상기 광원부(10)의 중심(O) 및 상기 소켓부(11)의 중심(O))에 대하여 편향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커넥터부(1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70)에 의해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O)(상기 광원부(10)의 중심(O) 및 상기 소켓부(11)의 중심(O))에 대하여 하측으로 편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커넥터부(13)는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광원 유닛(1)의 중심(O)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커넥터부(13) 중,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70)에 의해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차량용 등구(100)와 반대측의 면(후면) 이외의 면에는 볼록부 형상의 로크부(7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크부(73)는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14)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것이다. 상기 로크부(73)는 도 1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13)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해도 되고, 또는 도 1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13)의 전면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부(13)의 좌우 양측면 및 전면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커넥터부(13)의 하면에는 개구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74)는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암 터미널(암형 단자)(141, 142, 143)이 상기 커넥터부(13)의 상기 급전 부재(91, 92, 93)의 일단부의 수 터미널(수형 단자)(910, 920, 9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광원 유닛(1)의 부착 방향(O-O)과 전원측의 커넥터(14)의 부착 방향(D)의 설명)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하는 방향(O-O)은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소켓부(11)의 상기 커버(12)측의 일부 및 상기 부착부(70)를 상기 차량용 등구(100)의 상기 램프 하우징(101)의 상기 투공(104) 및 상기 오목부 중에 삽입하는 방향(O-O)이다.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은 상기 기판(3)의 상기 부착면(34)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다.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4)를 상기 커넥터부(13)에 부착하는 방향(D)은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암 터미널(141~143)을 상기 커넥터부(13)의 하면의 개구부(74)에 삽입하는 방향(D)이다.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4)의 상기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은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다. 즉, 상기 광원 유닛(1)의 부착 방향(O-O)과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14)의 부착 방향(D)은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방열 부재(8)의 설명)
상기 방열 부재(8)는 상기 광원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방열 부재(8)는 예를 들면 열전도성(도전성도 가짐)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 부재(8)는 일단부(전단부)가 평판 형상을 이루고, 중간부로부터 타단부(후단부)에 걸쳐서 핀 형상을 이룬다. 상기 방열 부재(8)의 일단부의 전면에는 맞닿음면(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 부재(8)의 맞닿음면(80)에는 상기 기판(3)의 상기 맞닿음면(35)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열전도성 매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발광칩(40~44)은 상기 기판(3)을 통하여 상기 방열 부재(8)의 중심(O) 근방에 좌우 방향으로 1열로 위치한다.
상기 열전도성 매체는 예를 들면 열전도성 접착제이며, 재질로서 에폭시계 수지 접착제, 실리콘계 수지 접착제,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등으로 이루어지고, 형태로서 액상 형태, 유동상 형태, 테이프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매체는 열전도성 접착제 이외에 열전도성 그리스여도 된다.
상기 방열 부재(8)의 3변(우변, 좌변, 하변)의 대략 중앙에는 절결(81, 82, 83)이 상기 기판(3)의 상기 삽입통과구멍(31~33)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 부재(8)의 절결(81~83) 및 상기 기판(3)의 상기 삽입통과구멍(31~33)에는 상기 3개의 급전 부재(91~9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 부재(8)와 상기 급전 부재(91~93) 사이에는 상기 절연 부재(7)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방열 부재(8)는 상기 절연 부재(7)에 밀착하고 있다.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상기 절연 부재(7)에 밀착하고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열 부재(8) 중 적어도 상기 커넥터부(13)와 반대측의 부분 즉 상측 부분이며 타단부(후단부)는 상기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기 방열 부재(8) 중 적어도 상기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 즉 상측 부분이며 타단부(후단부)는 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방열 부재(8)의 핀 형상의 방향은 상기 광원 유닛(1)을 상기 부착부(70)에 의해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공기가 흐르는 방향 즉 상하 방향(수직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한다.
(급전 부재(91~93)의 설명)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상기 광원부(10)에 급전하는 것이다.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예를 들면 도전성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상기 방열 부재(8)의 절결(81~83)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급전 부재(91~93)는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수직으로 혹은 대략 수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급전 부재(91) 및 상기 제2 급전 부재(92)는 중간부에 있어서 내측에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고, 또한 하측에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하측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는 상기 급전 부재(91~93)의 일단부(후단부)는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소켓부(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넥터부(13)의 상기 개구부(74) 중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부(13)의 상기 수 터미널(수형 단자)(910~930)을 구성한다.
전측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는 상기 급전 부재(91, 92, 93)의 타단부(전단부)는 상기 기판(3)의 상기 삽입통과구멍(31, 32, 33)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접속부(911, 921, 931)를 구성한다. 상기 급전 부재(91~93)의 접속부(911~93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체(51, 52, 53)에 직접 혹은 상기 고정 부재의 접속 부재 또는 플레이트를 통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광원부(10)는 원통 형상의 상기 소켓부(11)의 일단부(전단 개구부)에 부착된다.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의 그라운드와,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의 그라운드는 공통의 그라운드이다. 상기 공통의 그라운드는 상기 그라운드측의 급전 부재(9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통의 그라운드로서의 상기 그라운드측의 급전 부재(92)는 상기 기판(3) 중,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 및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의 하측에 위치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전 부재(91~93)는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소켓부(11)의 중심(O)(도 1, 도 2 중의 중심(O)을 통과하는 2점쇄선의 수평선)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부(13)측 즉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상기 급전 부재(91~93) 중 상기 커넥터부(13)를 구성하는 일단부의 수 터미널(910~930)은 상기 커넥터부(13)의 상기 개구부(74) 중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1)의 상기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 및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4)의 상기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으로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부(13) 및 커넥터(14)의 설명)
상기 커넥터(14)에는 상기 커넥터부(13)의 상기 수 터미널(910~930)에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상기 암 터미널(암형 단자)(141, 142, 1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4)를 상기 커넥터부(13)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141~143)이 상기 수 터미널(910~9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상기 커넥터(14)를 상기 커넥터부(13)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141~143)과 상기 수 터미널(910~930)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된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4)의 상기 제1 암 터미널(141) 및 상기 제2 암 터미널(142)은 하니스(144, 145) 및 스위치(SW)를 통하여 전원(직류 전원의 배터리)(1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4)의 상기 제3 암 터미널(143)은 하니스(146)를 통하여 어스되어 있다(그라운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13) 및 상기 커넥터(14)는 3핀(pin)(상기 3개의 급전 부재(91~93), 상기 3개의 수 터미널(910~930), 상기 3개의 암 터미널(141~143) 타입의 커넥터부 및 커넥터이다.
(스위치의 설명)
상기 스위치(SW)는 가동접점(150)과, 제1 고정접점(151)과, 제2 고정접점(152)과, 제3 고정접점(153)과, 공통 고정접점(154)으로 이루어지는 3위치 전환 스위치이다.
상기 가동접점(150)이 제1 고정접점(151)의 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도 7 중의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구동 전류)가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T)와 저항(RT)을 거쳐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은 상기 제1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T)와 저항(RT)을 거쳐 구동 전류가 공급되고 있다.
상기 가동접점(150)이 제2 고정접점(152)의 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도 7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구동 전류)가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S)와 저항(RS)을 거쳐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은 상기 제2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S)와 저항(RS)을 거쳐 구동 전류가 공급되고 있다.
상기 가동접점(150)이 제3 고정접점(153)의 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도 7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커버부(12)의 설명)
상기 커버부(12)는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2)에는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으로부터의 광을 광학 제어하여 사출하는 프리즘 등의 광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2)는 광학 부품이다.
상기 커버부(1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를 커버하도록, 원통 형상의 상기 소켓부(11)의 일단부(일단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밀봉 부재(180)와 함께,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을 외부로부터의 영향, 예를 들면, 다른 것이 접촉하거나, 먼지가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5개의 발광칩(40~44)을 외란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또,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5개의 발광칩(40~44) 이외에 상기 제어 소자로서의 상기 저항(RS, RT, RP), 상기 다이오드(DS, DT) 및 상기 배선 소자로서의 상기 도체(51~57)도 외란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2)에는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작용의 설명)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1) 및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구(100)(이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라고 함)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SW)의 가동접점(150)을 제1 고정접점(151)으로 전환한다. 그러면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구동 전류)는 제1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T)와 저항(RT)을 거쳐,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에 공급된다. 이 결과,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이 발광한다.
이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광원 유닛(1)의 밀봉 부재 및 커버부(12)를 투과하여 배광 제어된다. 또한, 발광칩(40)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일부는 기판(3)의 고반사면에서 커버부(12)측으로 반사된다. 배광 제어된 광은 차량용 등구(100)의 램프 렌즈(102)를 투과하여 다시 배광 제어되어 외부로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등구(100)는 제1 램프 기능으로서의 테일 램프 기능의 배광을 외부에 조사한다.
다음에, 스위치(SW)의 가동접점(150)을 제2 고정접점(152)으로 전환한다. 그러면,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구동 전류)는 제2 램프 기능의 다이오드(DS)와 저항(RS)을 거쳐,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에 공급된다. 이 결과,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이 발광한다.
이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광원 유닛(1)의 밀봉 부재 및 커버부(12)를 투과하여 배광 제어된다. 또한, 발광칩(41~44)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일부는 기판(3)의 고반사면에서 커버부(12)측으로 반사된다. 배광 제어된 광은 차량용 등구(100)의 램프 렌즈(102)를 투과하여 다시 배광 제어되어 외부로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등구(100)는 제2 램프 기능으로서의 스톱 램프 기능의 배광을 외부로 조사한다. 이 스톱 램프 기능의 배광은 상기한 테일 램프 기능의 배광에 비해 밝다(광속, 휘도, 광도, 조도가 크다).
그 다음에, 스위치(SW)의 가동접점(150)을 제3 고정접점(153)으로 전환한다. 그러면, 전류(구동 전류)가 차단된다. 이 결과, 1개의 발광칩(40) 혹은 4개의 발광칩(41~44)은 소광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등구(100)는 소등한다.
그리고, 광원부(10)의 발광칩(40~44) 및 저항(RT, RS, RP) 및 다이오드(DT, DS) 및 도체(51~57)에 있어서 발생한 열은 기판(3) 및 열전도성 매체를 통하여 방열 부재(8)에 전달되고, 이 방열 부재(8)로부터 외부로 방사된다. 또,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 중 적어도 1개가 단선하면, 차량측의 시스템이 풀다운 저항(RP)의 상태 변화에 의해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 중 적어도 1개의 단선을 검출할 수 있다.
(효과의 설명)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발광칩(40~44) 및 제어 소자로서의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및 배선 소자로서의 도체(51~57)를 부착 부재로서의 기판(3)의 부착면(34)에 부착하여 광원부(10)를 구성하고, 한편, 방열 부재(8)와 급전 부재(91~93)를 절연 부재(7)에 서로 절연 상태에서 편입시켜 소켓부(11)를 구성하고, 기판(3)의 맞닿음면(35)과 방열 부재(8)의 맞닿음면(80)을 서로 맞닿게 하여, 광원부(10)를 소켓부(11)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발광칩(40~44)과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와 도체(51~57)와 기판(3)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원부(10)와, 방열 부재(8)와 급전 부재(91~93)와 절연 부재(7)로 구성되어 있는 소켓부(11)를 일체로 편입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LED와 저항 및 다이오드와 도체를 상부 콘택트부 및 하부 콘택트부에서 기계적으로 부착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이들을 소켓 케이싱내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광원 유닛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므로,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일직선 혹은 대략 일직선인 광원 유닛(1A)(도 3(B) 참조)에 비해, 광원부(10) 및 소켓부(11)의 중심선(O-O) 방향(광원 유닛(1)의 중심선(O-O) 방향, 광원 유닛(1)의 광축(O-O) 방향, 광원 유닛(1)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를,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의 치수만큼 작게 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안길이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도 3(A)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급전 부재(91~93)의 일단부의 수 터미널(910~930)과 급전 부재(91~93)의 타단부의 접속부(911~931)가 중간부에 있어서 부착 방향(D)과 중심선(O-O) 방향으로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B)의 광원 유닛(1A)은 급전 부재(91~93)의 일단부의 수 터미널(910~930)과 급전 부재(91~93)의 타단부의 접속부(911~931)가 중심선(O-O)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이 결과, 도 3(A)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도 3(B)의 광원 유닛(1A)에 비해, 광원 유닛(1, 1A)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광원부(10)의 기판(3)의 맞닿음면(35)과 소켓부(11)의 방열 부재(8)의 맞닿음면(80)이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이 기판(3)을 통하여 방열 부재(8)에 전달되어 이 방열 부재(8)로부터 외부로 방사(발산, 확산, 열방사, 열발산, 열확산)된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 있어서의 방열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므로,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에 대하여 일직선 혹은 대략 일직선인 광원 유닛(1A)(도 3(B) 참조)에 비해, 방열 부재(8)가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는 면(부분)을 도 2, 도 3(A)의 B 및 도 3(B)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C 만큼 넓게(많게) 할 수 있다. 즉, 방열 부재(8)의 공기와 접하는 면(부분)을 넓게(많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8)로부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칩(40~44)에 공급하는 전류를 올릴(높일, 많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동일 용량의 발광칩에 비해, 발광칩(40~44)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광속(광도, 휘도, 조도, 광량)을 높게(많게) 할 수 있다.
즉, 도 3(A)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급전 부재(91~93)의 수 터미널(910~930)이 중심선(O-O) 방향에 대하여 부착 방향(D)으로 직각으로 혹은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B)의 광원 유닛(1A)은 급전 부재(91~93)의 수 터미널(910~930)이 중심선(O-O)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이 결과, 도 3(A)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도 3(B)의 광원 유닛(1A)에 비해, 급전 부재(91~93)의 수 터미널(910~930)을 둘러싸는 절연 부재(7)의 커넥터부(13)에 의해 덮이는 방열 부재(8)의 면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방열 부재(8)가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는 면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급전 부재(91~93)가 광원부(10) 및 소켓부(11)의 중심(O)에 대하여 커넥터부(13)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급전 부재(91~93)의 수 터미널(910~930)과 함께 커넥터부(13)를 구성하는 절연 부재(7)의 일부를 커넥터부(13)측에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방열 부재(8)가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는 면(부분)(B)을 더욱 넓게(많게) 할 수 있으므로,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8)로부터 외부로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커넥터부(13)가 광원 유닛(1)을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광원부(10) 및 소켓부(11)의 중심(O)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급전 부재(91~93)의 수 터미널(910~930)과 함께 커넥터부(13)를 구성하는 절연 부재(7)의 일부가 하측에 위치하고, 한편, 절연 부재(7)로부터 노출되는 방열 부재(8)가 상측에 위치한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공기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광원 유닛(1)을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방열 부재(8)의 핀 형상의 방향이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므로, 열이 방열 부재(8)의 핀 형상을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방사되어,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등구(100)는 일반적으로 램프 하우징(101)과 차량의 바디와의 부착의 관계상, 램프 하우징(101) 혹은 바디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리브나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가 리브나 간극을 따라 흐른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최적이다.
특히,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광원 유닛(1)을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방열 부재(8)의 핀 형상의 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므로, 공기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발광칩(40~44), 저항(RS, RT, RP), 다이오드(DS, DT), 도체(51~5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 부재로부터 외부로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3개의 급전 부재(91~93) 중 커넥터부(13)를 구성하는 수 터미널(910~930)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 및 전원측의 커넥터(14)의 커넥터부(13)에 대한 부착 방향(D)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 즉,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3개의 급전 부재(91~93) 중 커넥터부(13)를 구성하는 수 터미널(910~930)이 광원 유닛(1)의 차량용 등구(100)에 대한 부착 방향(O-O)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1A)(도 3(B) 참조)에 비해, 광원부(10) 및 소켓부(11)의 중심선(O-O) 방향(광원 유닛(1)의 중심선(O-O) 방향(광축(O-O) 방향), 광원 유닛(1)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 즉, 안길이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커넥터부(13) 중 광원 유닛(1)을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차량용 등구(100)와 반대측의 면(후면) 이외의 면(좌우 양측면, 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면)에, 전원측의 커넥터(14)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7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부(13) 중 광원 유닛(1)을 차량용 등구(100)에 부착했을 때에 차량용 등구(100)와 반대측의 면(광면)에, 전원측의 커넥터(14)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73)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비해, 광원부(10) 및 소켓부(11)의 중심선(O-O) 방향(광원 유닛(1)의 중심선(O-O)방향(광축(O-O) 방향), 광원 유닛(1)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 즉, 안길이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의 실시예 2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도면 중,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 1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1등식의 테일?스톱 램프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 1의 광원 유닛(1) 및 차량용 등구(100)는 1등(1개의 램프, 1개의 등구)이며 제1 램프 기능으로서의 테일 램프 기능과 제2 램프 기능으로서의 스톱 램프 기능을 병용하는 것이다. 즉, 복기능(다기능) 램프이다. 이것에 대하여, 이 실시예 2의 광원 유닛 및 차량용 등구는 단기능(1기능) 램프이다. 즉, 이 실시예 2의 광원 유닛 및 차량용 등구는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스톱 램프, 테일 램프, 헤드 램프의 로우 빔 램프(엇갈림용 헤드 램프), 헤드 램프의 하이 빔 램프(주행용 헤드 램프), 포그 램프, 클리어런스 램프, 코너링 램프, 데이타임 러닝 램프 등이다.
도 9의 레이아웃도 및 도 10의 전기회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도 6의 레이아웃도 및 도 7의 전기회로도 중에 있어서의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 제1 도체(51), 저항(RT), 다이오드(DT), 제1 급전 부재(91)를 생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레이아웃도 및 도 10의 전기회로도에 있어서, 그라운드로서 사용하고 있는 제3 급전 부재(93) 대신에, 상기한 도 6의 레이아웃도 및 도 7의 전기회로도 중에 있어서의 제1 급전 부재(91)를 그라운드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한 도 6의 레이아웃도 및 도 7의 전기회로도 중에 있어서의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 제3 도체(51)~제6 도체(56), 저항(RS), 다이오드(DS), 제2 급전 부재(92)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라운드로서 사용하고 있는 제3 급전 부재(93) 대신에 제2 급전 부재(92)를 그라운드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 제1 도체(51), 저항(RT), 다이오드(DT), 또는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 제3 도체(51)~제6 도체(56), 저항(RS), 다이오드(DS)를 생략하고, 제1 램프 기능의 제1 급전 부재(91) 또는 제2 램프 기능의 제2 급전 부재(92)를 그대로 남겨 두어도 된다. 또는, 제1 램프 기능의 제1 급전 부재(91)만 또는 제2 램프 기능의 제2 급전 부재(92)만을 생략하고, 제1 램프 기능의 1개의 발광칩(40), 제1 도체(51), 저항(RT), 다이오드(DT), 또는 제2 램프 기능의 4개의 발광칩(41~44), 제3 도체(51)~제6 도체(56), 저항(RS), 다이오드(DS)를 그대로 남겨 두어도 된다.
(실시예 1, 2 이외의 예의 설명)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제1 램프 기능의 발광칩으로서 1개의 발광칩(40)을,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으로서 4개의 발광칩(41~44)을 각각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램프 기능의 발광칩으로서 2개 이상의 발광칩을 사용해도 되고, 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으로서 1개, 2개, 3개, 5개 이상의 발광칩을 사용해도 된다. 테일 램프 기능의 제1 램프 기능으로서 사용하는 발광칩의 개수나 레이아웃, 및 스톱 램프 기능의 제2 램프 기능으로서 사용하는 발광칩의 개수나 레이아웃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게다가, 단기능 램프에 사용하는 발광칩의 개수나 레이아웃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 상기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4개의 발광칩(41~44)(혹은 1개의 발광칩(40))을 1개의 램프 기능을 가지는 램프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1개의 램프 기능을 가지는 램프에 사용하는 발광칩의 개수나 레이아웃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테일?스톱 램프의 2개의 램프 기능을 가지는 램프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테일?스톱 램프 이외의 콤비네이션 램프 즉 2개의 램프 기능을 가지는 램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타임 러닝 램프와 로우 빔 램프(엇갈림용 헤드 램프)와의 콤비네이션 램프 등이 있다. 즉, 소전류가 공급되어 발광량이 작은 발광칩과 대전류가 공급되어 발광량이 큰 발광칩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유닛이, 마치, 발광량이 작은 서브 필라멘트와 발광량이 큰 메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더블 필라멘트의 광원 유닛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기판(3)의 부착면(34)에 밀봉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판(3)의 부착면(34)에 5개의 발광칩(40~44) 혹은 4개의 발광칩(41~44)을 둘러싸는 제방 부재를 설치하고, 이 제방 부재 중에 밀봉 부재를 설치한 것(일본 특허 출원 2010-172591 참조)이어도 된다. 또, 이 제방 부재에 광학 부재를 설치한 것(일본 특허 출원 2010-172592 참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기판(3)이 1장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판을 2분할한 것(일본 특허 출원 2010-186526 참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커버부(12), 램프 렌즈(102)에 의해 배광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부(12), 램프 렌즈(10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해, 또는 반사면이나 렌즈 등에 의해, 배광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로서의 기판(3)의 부착면(34)에, 발광칩(40~44), 배선 소자의 도체(51~57), 저항(RT, RS, RP), 다이오드(DT, DS)를 실장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판(3)을 사용하지 않고, 방열 부재(8)의 부착면(맞닿음면(80))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발광칩(40~44), 배선 소자의 도체(51~57), 저항(RT~RS, RP), 다이오드(DT, DS)를 실장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방열 부재(8)가 부착 부재가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커넥터(14)로서 커넥터부(13)에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단속 가능하게 부착되는 3핀(pin) 타입 혹은 2핀(pin) 타입의 표준품(규격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넥터로서 커넥터부(13)의 구조에 맞춘 특주품(규격 외)이어도 된다.
1…광원 유닛 10…광원부
11…소켓부 12…커버부(광학 부품)
13…커넥터부 14…커넥터
141, 142, 143…암 터미널 144, 145, 146…하니스
15…전원 150…가동접점
151…제1 고정접점 152…제2 고정접점
153…제3 고정접점 154…공통 고정접점
100…차량용 등구 101…램프 하우징
102…램프 렌즈 103…리플렉터
104…투공 105…등실
106…투공 107…반사면
108…패킹 3…기판
30…고반사면 31, 32, 33…삽입통과구멍
34…부착면(실장면) 35…맞닿음면(고정면)
40…제1 램프 기능의 발광칩 41, 42, 43, 44…제2 램프 기능의 발광칩
51, 52, 53, 54, 55, 56, 57…도체(배선 소자)
7…절연 부재 70…부착부
71…플랜지부 73…로크부
74…개구부 8…방열 부재
80…맞닿음면(고정면) 81, 82, 83…절결
91, 92, 93…급전 부재 910, 920, 930…수 터미널
911, 921, 931…접속부 F…촛점
O…중심
O-O…중심선, 광원 유닛의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
RS, RT, RP…저항(제어 소자) DS, DT…다이오드(제어 소자)
SW…스위치 A…안길이 치수를 작게 한 몫
B…방열 부재가 절연 부재로부터 크게 노출되는 부분
C…방열 부재가 절연 부재로부터 작게 노출되는 부분
D…전원측의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

Claims (7)

  1.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에 있어서,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가 부착되어 있는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부착면 및 맞닿음면을 가지는 부착 부재와, 반도체형 광원의 발광칩과, 상기 발광칩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 소자와, 상기 제어 소자를 통하여 상기 발광칩에 급전하는 배선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칩 및 상기 제어 소자 및 상기 배선 소자는 상기 부착 부재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는 절연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의 상기 맞닿음면이 맞닿아 있는 맞닿음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방열 부재와, 상기 광원부에 급전하는 복수개의 급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와 상기 급전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에 서로 절연 상태에서 편입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에는 전원측의 커넥터가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단속적으로 부착되는 커넥터부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향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절연 부재의 일부 및 상기 급전 부재의 일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커넥터부와 반대측의 부분은 상기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은 상기 부착 부재의 상기 부착면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이며,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부에 대한 부착 방향은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부재는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부착부에 의해 상기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소켓부의 중심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절연 부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핀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방열 부재의 핀 형상의 방향은 상기 부착부에 의해 상기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급전 부재 중 상기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일단부는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차량용 등구에 대한 부착 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대략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 중, 상기 부착부에 의해 상기 차량용 등구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차량용 등구와 반대측의 면 이외의 면에는 상기 전원측의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7. 반도체형 광원을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에 있어서,
    등실을 구획하는 램프 하우징 및 램프 렌즈와,
    상기 등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KR1020110096680A 2010-09-28 2011-09-26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 KR20120032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6903A JP2012074186A (ja) 2010-09-28 2010-09-28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JP-P-2010-216903 2010-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30A true KR20120032430A (ko) 2012-04-05

Family

ID=4467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80A KR20120032430A (ko) 2010-09-28 2011-09-26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75880A1 (ko)
EP (1) EP2434206A2 (ko)
JP (1) JP2012074186A (ko)
KR (1) KR20120032430A (ko)
CN (1) CN102563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5551A (zh) * 2014-09-11 2015-04-01 明华电子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新型外接调压插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1269B2 (ja) * 2012-05-29 2017-08-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KR102172743B1 (ko) 2012-05-29 2020-11-02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등기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기구
CN102829445A (zh) * 2012-09-04 2012-12-19 苏州金科信汇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平衡机制的集成式led及其制造工艺
JP6464697B2 (ja) 2014-11-27 2019-02-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灯具
US10337717B2 (en) * 2015-03-31 2019-07-02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sourc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vehicle lamp
JP6473032B2 (ja) * 2015-04-03 2019-02-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6560652B (zh) * 2015-10-02 2020-09-04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车辆用灯具
JP2017098089A (ja) 2015-11-25 2017-06-0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JP6344876B1 (ja) * 2017-09-19 2018-06-20 株式会社日本コーティング Led前照灯
JP7049120B2 (ja) * 2018-01-19 2022-04-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並びに灯具ユニット製造方法
JP2020004688A (ja) * 2018-07-02 2020-0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並びに灯具ユニット製造方法
JP2022084167A (ja) * 2020-11-26 2022-06-0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573A (en) * 1957-12-27 1960-12-06 Licentia Gmbh Portable flashlight casing
US6773138B2 (en) * 2002-04-09 2004-08-10 Osram Sylvania Inc. Snap together automotive led lamp assembly
JP2004031076A (ja) 2002-06-25 2004-01-29 Ichikoh Ind Ltd 車両灯具用ledの給電構造
US7059748B2 (en) * 2004-05-03 2006-06-13 Osram Sylvania Inc. LED bulb
JP2006147330A (ja) * 2004-11-19 2006-06-08 Alps Electric Co Ltd ランプモジュール及びランプユニット
DE102004062989A1 (de) * 2004-12-22 2006-07-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einrichtung mit mindestens einer Leuchtdiode und Fahrzeugscheinwerfer
US7758223B2 (en) * 2005-04-08 2010-07-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amp having outer shell to radiate heat of light source
EP2027410B1 (en) * 2006-05-23 2014-12-3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utomotive lamp module and lighting unit with led lighting element
JP2010073620A (ja) * 2008-09-22 2010-04-02 Sakae Riken Kogyo Co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10124621A (ja) 2008-11-20 2010-06-03 Mitsuba Corp 減速機構付モータ
TWI386659B (zh) 2009-01-09 2013-02-21 King Yuan Electronics Co Ltd 測試站自動對位方法與裝置
JP2010172591A (ja) 2009-01-30 2010-08-12 Showa Denko Kk 陳列装置および陳列システム
JP2010172592A (ja) 2009-01-30 2010-08-12 M Syst Giken:Kk パターフェイス及びゴルフパター
JP5298916B2 (ja) 2009-02-13 2013-09-25 旭硝子株式会社 選択光学素子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8215820B2 (en) * 2009-05-14 2012-07-10 Mary Elle Fashions LED night-light
JP5348410B2 (ja) * 2009-06-30 2013-11-2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7963686B2 (en) * 2009-07-15 2011-06-21 Wen-Sung Hu Thermal dispersing structure for LED or SMD LED lights
TW201109578A (en) * 2009-09-09 2011-03-16 Elements Performance Materials Ltd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5551A (zh) * 2014-09-11 2015-04-01 明华电子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新型外接调压插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4206A2 (en) 2012-03-28
US20120075880A1 (en) 2012-03-29
CN102563481A (zh) 2012-07-11
JP2012074186A (ja)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430A (ko) 차량용 등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구
JP5779329B2 (ja) 車両用灯具
KR101837758B1 (ko) 차량용 등기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기구
JP5621489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5454171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駆動回路、車両用灯具
KR20120006448A (ko) 차량용 등기구의 반도체형 광원의 광원 유닛, 차량용 등기구
JP2011171277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2015060753A (ja) Ledモジュ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用灯具
JP2012043750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4566061B2 (ja) 灯具
JP2011146483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6713904B2 (ja) 車両用灯具用光源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灯具
JP5407025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2013077463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5776396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2020187837A (ja)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JP6205745B2 (ja) 車両用灯具
JP5407026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7319591B2 (ja)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JP7081264B2 (ja) 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2012084280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5412618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7491251B2 (ja) 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US20230258308A1 (en) Light source unit for vehicle lamp, vehicle lamp
JP2012084279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