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192A -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192A
KR20120032192A KR1020100093698A KR20100093698A KR20120032192A KR 20120032192 A KR20120032192 A KR 20120032192A KR 1020100093698 A KR1020100093698 A KR 1020100093698A KR 20100093698 A KR20100093698 A KR 20100093698A KR 20120032192 A KR20120032192 A KR 2012003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goods
received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704B1 (ko
Inventor
배대호
이재신
Original Assignee
(주)아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9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7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은 태그(tag) 장치들,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 관리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태그 장치들은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각각 부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휴대 되고,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무선 통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 또는 물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되는 태그 장치,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 및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간의 무선 통신에 의해,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가 전산화되어 관리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물품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Goods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goods entry and exi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생산 및 판매 업체는 대량으로 생산된 물품 또는 원자재를 창고에 보관하고, 필요할 때마다 창고에 보관된 물품 또는 원자재를 꺼내어 판매하거나 또는 사용한다.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품의 도난 또는 분실 사고를 방지하고, 물품의 재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물품 생산 및 판매 업체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시마다 수작업으로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의 수량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은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기록 과정에서 물품 수량이 잘못 기재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관리하면, 관리자가 원자재의 정확한 수량을 파악하지 못하여 재고가 있어도 해당 원자재를 또다시 구입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수작업에 의해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관리하면, 관리자는 해당 물품 또는 원자재가 어떤 창고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해당 물품 또는 원자재의 위치를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품 또는 물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되는 태그 장치,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 및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품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품 또는 물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되는 태그 장치,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 및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품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은, 태그(tag) 장치들,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 관리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태그 장치들은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각각 부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는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이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휴대 되고,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무선 통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한다.
관리자 단말기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의 입고 및 출고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관리자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가 입력된다.
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한다.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요청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이 보관된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에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출입구에 접근한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부착된 태그 장치들 중에서,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에 응답하여,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각적인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하고,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한 상기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물품 또는 물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되는 태그 장치,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 및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품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그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구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만이 도시되고,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의 도시가 생략된다.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은 태그(tag) 장치들(T1?TJ)(J는 자연수),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K는 자연수),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 관리 서버(110), 및 관리자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태그 장치들(T1?TJ)은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각각 부착된다.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는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이 보관된 창고(H1?HK 중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에 주변에 설치된다. 도 1에는 복수의 출입구 장치(G1?GK)가 복수의 창고(H1?HK)의 출입구에 설치된 것이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작업자(W1?WQ 중 적어도 하나)(Q는 자연수)에 의해 휴대 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REQW)에 기초하여, 작업자(W1?WQ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할 작업 목록(WLIST)을 표시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해, 태그 장치들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응답 정보(RSP)를 수신할 때, 태그 호출 정보(TCALL)의 송신 동작을 정지한다.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RSP)를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또,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에 응답하여, 작업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보를 발생한다.
선택적으로,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 대신에 태그 장치들(T1?TJ)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해,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태그 장치들(T1?TJ)로부터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수신할 때, 태그 장치들(T1?TJ) 중에서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관리자 단말기(120)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의 입고 및 출고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관리자 단말기(120)에는 관리자에 의해 작업 요청 정보(REQW)가 입력된다.
관리자 단말기(120)에는 사용자 입력 장치(121)와 외부 입력 장치(122)가 각각 연결된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PC(personal comput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121)는 마우스나 키보드에 해당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121)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작업자의 이름,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및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20)에 출력한다.
외부 입력 장치(122)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bar code)를 읽고, 그 바코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20)에 출력하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외부 입력 장치(122)로부터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 목록을 표시한다. 그 결과,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20)에 표시된 부품 목록을 확인하고, 각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 수량을 사용자 입력 장치(121)에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사용자 입력 장치(121)로부터 수신되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른 입고 또는 출고 수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생성한다.
관리 서버(110)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한다. 관리 서버(110)와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간의 유선 통신으로서, 예를 들어, RS485 통신 기술, RS232 통신 기술, 이더넷(ethernet) 통신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110)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관리자 단말기(120)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110)에는 물품(또는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작업을 담당하는 작업자의 이름,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들과,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와,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 또는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부착된 태그 장치들(T1?TJ)의 식별 정보들이 저장된다.
관리 서버(110)는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 작업자의 이름,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및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110)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ENDW)에 기초하여,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과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그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태그 장치들(T1?TJ)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도 2에서는 태그 장치(T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태그 장치(T1)는 무선 통신 장치(131), 표시부(132), 입력부(133), 제어부(134), 전원부(135), 및 배터리(136)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31)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부(134)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장치(131)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제어부(134)에 출력한다. 또, 무선 통신 장치(131)는 제어부(134)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RSP) 또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31)는 제어부(134)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송신한다.
표시부(132)는 경보 제어 신호(ARCTL)에 기초하여, 작업자에게 태그 장치(T1)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한다. 표시부(132)는 예를 들어, LED(light-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gital)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32)가 LED로 구현된 경우, LED가 깜박거림으로써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입력부(133)는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INS1, 또는 INS2)를 제어부(134)에 출력한다.
제어부(134)는 입력 신호(INS1)에 응답하여 작업 완료 정보(ENDW)를 무선 통신 장치(131)에 출력한다. 제어부(134)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RSP)를 무선 통신 장치(131)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34)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에 응답하여 경보 제어 신호(ARCTL)를 표시부(132)에 출력한다. 제어부(134)는 메모리(137)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37)에는 태그 장치(T1)의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34)는 태그 장치(T1)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해,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31)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입력부(133)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INS2)에 응답하여, 경보 정지 신호(STPAR)를 표시부(132)에 출력한다. 표시부(132)는 경보 정지 신호(STPAR)에 응답하여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한다.
전원부(135)는 배터리(136)의 전원(PB)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PO1)을 생성하고, 동작 전원(PO1)을 무선 통신 장치(131), 표시부(132), 입력부(133), 및 제어부(134)에 각각 공급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구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출입구 장치들(G1?GK)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도 3에서는 출입구 장치(G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출입구 장치(G1)는 무선 통신 장치(141), 유선 통신 장치(142), 제어부(143), 및 전원부(14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41)는 제어부(143)와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41)는 제어부(143)와 관리 서버(110)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41)는 제어부(143)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41)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제어부(143)에 출력한다. 또, 무선 통신 장치(141)는 제어부(143)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유선 통신 장치(142)는 제어부(143)와 관리 서버(110)간의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제어부(143)는 메모리(145)를 포함한다. 제어부(143)는 유선 통신 장치(142) 또는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메모리(145)에 저장한다. 제어부(143)는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가 출입구 장치(G1)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무선 통신 장치(141)에 주기적으로 출력한다.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는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보고 정보(GTRPT)를 출입구 장치(G1)에 송신한다.
제어부(143)는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작업 요청 대상에 해당하는지(즉, 작업을 실행할 작업자의 이동형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43)는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작업 요청 대상에 해당할 때, 메모리(145)에 저장된 작업 요청 정보(REQW)를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제어부(143)는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유선 통신 장치(142) 또는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관리 서버(110)에 송신한다.
제어부(143)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수신할 때마다 작업 완료 정보(ENDW)를 관리 서버(110)에 송신할 수도 있고, 누적하여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1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누적하여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110)에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143)는 무선 통신 장치(141)를 통하여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수신할 때마다, 작업 완료 정보(ENDW)를 메모리(145)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43)는 작업 완료 정보(ENDW)에 대응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메모리(145)에서 삭제한다. 예를 들어, A 부품 10개의 출고를 요청하기 위한 작업 요청 정보(REQW1)가 메모리(145)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143)는 A 부품 10개의 출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작업 완료 정보(ENDW1)를 수신할 때, 작업 요청 정보(REQW1)를 메모리(145)에서 삭제한다.
전원부(144)는 외부 입력 전원(PE)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PO2)을 생성한다. 전원부(144)는 동작 전원(PO2)을 무선 통신 장치(141), 유선 통신 장치(142), 및 제어부(143)에 각각 공급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장치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형 장치들(M1?MN)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도 4에서는 이동형 장치(M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동형 장치(M1)는 무선 통신 장치(151), 표시부(152), 제어부(153), 전원부(154), 및 배터리(155)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51)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부(153)간, 또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부(153)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장치(151)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접근 확인 정보(ACFRM) 또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 장치(151)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RSP) 또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또, 무선 통신 장치(151)는 제어부(153)로부터 수신되는 출입 보고 정보(GTRPT) 또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51)는 제어부(153)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표시부(152)는 제어부(153)로부터 수신되는 표시 데이터(DSPDAT)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의 내용을 표시한다.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메모리(156)에 저장한다. 제어부(153)는 표시부(15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수신할 때,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보고 정보(GTRPT)를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그 결과,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는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M1?M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어떤 이동형 장치가 창고를 출입하는지를 체크 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메모리(156)에 저장한다. 제어부(153)는 작업 요청 정보(REQW)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DSPDAT)를 표시부(152)에 출력한다.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태그 장치들(T1?TJ)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이동형 장치(M1?MN 중 하나)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제어부(153)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수신할 때, 작업 목록에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53)는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으면,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응답 정보(RSP)를 수신할 때까지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이동형 장치(M1)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수신할 때 태그 장치들(T1?TJ)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태그 장치들(T1?TJ)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송신한다.
제어부(153)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수신할 때, 작업 목록에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53)는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으면, 태그 장치들(T1?TJ)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호출 정보(MCALL)에 응답하여,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또, 제어부(153)는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없으면 태그 장치들(T1?TJ)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호출 정보(MCALL)에 응답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53)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RSP)에 응답하여 태그 호출 정보(TCALL)의 송신 동작을 정지한다. 제어부(153)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메모리(156)에 저장한다. 이 후, 제어부(153)는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수신할 때, 메모리(156)에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장치(151)를 통하여 출입구 장치(G1?G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전원부(154)는 배터리 전원(PB)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PO3)을 생성하고, 동작 전원(PO3)을 무선 통신 장치(151), 표시부(152), 및 제어부(153)에 각각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10)에 미리 저장된 물품들 또는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출고 또는 입고될 물품 또는 부품의 수량을 입력한다. 이때, 관리자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출고 또는 입고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또, 관리자는 외부 입력 장치(122)(예를 들어,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의 바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120)가 해당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도록 한 후, 각 부품의 출고 또는 입고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120)는 물품 또는 부품의 출고 또는 입고 수량, 작업자의 이름, 해당 물품 또는 부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생성한다. 이 후, 관리자 단말기(120)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관리 서버(110)에 송신한다(도 6의 S101 참고).
관리 서버(110)는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출입구 장치(예를 들어, G1)에 송신한다(단계 1101)(도 6의 S102 참고).
출입구 장치(G1)는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제어부(143)의 메모리(145)에 저장한다(단계 1102). 출입구 장치(G1)(즉, 출입구 장치(G1)의 제어부(143))는 창고(H1)의 출입구 근처에 작업자(예를 들어, W1)의 이동형 장치(예를 들어, M1)(즉, 이동형 장치(M1)의 제어부(153))가 접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단계 1103)(도 6의 S103 참고).
각 창고에 대한 물품이나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담당하는 작업자로서, 물품이나 부품의 수량에 따라 각 창고별로 한 명 또는 여러 명이 배정될 수 있다.
출입구 장치(G1)는 출입 보고 정보(GTRPT)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04). 출입구 장치(G1)는 출입 보고 정보(GTRPT)가 수신되지 않을 때, 단계 1103의 동작을 반복한다.
출입구 장치(G1)는 출입 보고 정보(GTRPT)를 수신할 때(도 6의 S104 참고),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의 식별 정보가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예를 들어, M1)의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6의 S105 참고),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가 출입구 근처에 접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05).
출입구 근처에 접근한 이동형 장치가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가 아닐 때(즉,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의 식별 정보가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의 식별 정보에 일치하지 않을 때), 출입구 장치(G1)는 단계 1103 및 단계 1104의 동작을 반복한다.
출입 보고 정보(GTRPT)에 포함된 이동형 장치의 식별 정보가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의 식별 정보에 일치할 때, 출입구 장치(G1)는 출입구 근처에 접근한 이동형 장치가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인 것으로 인식한다.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M1)가 출입구에 접근할 때, 출입구 장치(G1)는 메모리(145)에 저장된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이동형 장치(M1)에 송신한다(단계 1106)(도 6의 S106 참고).
이동형 장치(M1)는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REQW)를 제어부(153)의 메모리(156)에 저장한다. 또, 이동형 장치(M1)는 작업 요청 정보(REQW)에 기초하여 작업자(W1)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부(152)에 표시한다(단계 1107)(도 6의 S107). 그 결과, 작업자(W1)는 이동형 장치(M1)에 표시된 작업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 작업의 실행을 위해 창고(H1) 내에 들어가 출고될 물품이나 부품의 위치를 찾는다.
이동형 장치(M1)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태그 장치(예를 들어, T1)로부터 응답 정보(RSP)를 수신할 때까지, 해당 태그 장치(T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한다(단계 1108)(도 6의 S108 참고).
태그 장치(T1)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수신하면, 태그 호출 정보(TCALL)에 응답하여 표시부(132)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한다(단계 1109)(도 6의 S109 참고).
또, 태그 장치(T1)는 태그 호출 정보(TCALL)에 응답하여, 응답 정보(RSP)를 이동형 장치(M1)에 송신한다(단계 1110)(도 6의 S110 참고).
이동형 장치(M1)는 태그 장치(T1)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RSP)에 응답하여 태그 호출 정보(TCALL)의 송신 동작을 정지한다(단계 1111)(도 6의 S111).
태그 장치(T1)(즉, 태그 장치(T1)의 제어부(134))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부(133)에 포함된 정지 버튼(미도시)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12). 정지 버튼이 입력될 때(도 6의 S112 참고), 태그 장치(T1)는 경보 발생 동작을 정지한다(단계 1113)(도 6의 S113 참고).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지 버튼이 입력될 때 입력부(133)는 입력 신호(INS2)를 제어부(134)에 출력한다. 제어부(134)는 입력부(133)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INS2)에 응답하여, 경보 정지 신호(STPAR)를 표시부(132)에 출력한다. 표시부(132)는 경보 정지 신호(STPAR)에 응답하여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한다.
이 후, 태그 장치(T1)는 입력부(133)에 포함된 완료 버튼(미도시)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14). 완료 버튼이 입력될 때(도 6의 S114), 태그 장치(T1)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이동형 장치(M1)에 송신한다(단계 1115)(도 6의 S115 참고).
이동형 장치(M1)는 태그 장치(T1)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완료 정보(ENDW)를 메모리(156)에 저장한다. 이동형 장치(M1)는 작업 목록에서 작업자(W1)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16).
작업자(W1)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을 때, 단계 1108 내지 단계 1116(도 6의 S108 내지 S115에 대응)이 반복된다.
한편, 작업자(W1)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지 않을 때, 이동형 장치(M1)는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ACFRM)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17).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수신되는 접근 확인 정보(ACFRM)(도 6의 S116 참고)에 응답하여, 이동형 장치(M1)는 출입 보고 정보(GTRPT)를 출입구 장치(G1)에 송신한다(단계 1118).
또,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ACFRM)를 수신할 때, 이동형 장치(M1)는 메모리(156)에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출입구 장치(G1)에 송신한다(단계 1119)(도 6의 S117 참고). 출입구 장치(G1)는 이동형 장치(M1)로부터 수신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관리 서버(110)에 송신한다(단계 1120)(도 6의 S118 참고). 관리 서버(110)는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수신한 작업 완료 정보(ENDW)를 관리자 단말기(120)에 송신한다(도 6의 S119 참고). 그 결과, 관리자 단말기(120)가 작업 완료 정보(ENDW)에 기초하여, 해당 물품이나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표시한다. 한편, 관리 서버(110)는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ENDW)에 기초하여,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이나,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이 후, 이동형 장치(M1)는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추가의 작업 요청 정보(REQW')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21). 출입구 장치(G1)로부터 추가의 작업 요청 정보(REQW')가 수신될 때, 단계 1107 내지 단계 1121이 반복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출입구 장치(예를 들어, G1)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작업자(예를 들어, W1)가 실행할 작업 내용을 작업자(W1)의 이동형 장치(예를 들어, M1)에 송신하므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은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이나 부품의 수량이나 위치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관리하므로, 관리자가 물품이나 부품의 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태그 장치(예를 들어, T1)가 작업자(예를 들어, W1)의 이동형 장치(예를 들어, M1)의 접근 시, 이동형 장치(M1)와의 통신 결과에 따라,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므로, 작업자(W1)가 손쉽게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출고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1201 내지 단계 1207의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술한 단계 1101 내지 단계 1107의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과정(S201 내지 S207)은 도 6에 도시된 과정(S101 내지 S107)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된다.
태그 장치들(T1?TJ)은 이동형 장치(예를 들어, M1)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장치 호출 정보(MCALL)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동형 장치(M1)는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 호출 정보(MCALL)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208). 태그 장치(T1?TJ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 호출 정보(MCALL)가 수신될 때(도 8의 S208 참고), 이동형 장치(M1)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태그 장치(예를 들어, T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TCALL)를 자신의 통신 가능영역 내에 있는 태그 장치들((T1?TJ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단계 1209)(도 8의 S209 참고).
단계 1210 내지 단계 1222의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술한 단계 1109 내지 단계 1121의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과정(S210 내지 S220)은 도 6에 도시된 과정(S110 내지 S119)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된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10: 관리 서버
120: 관리자 단말기 121: 사용자 입력 장치
122: 외부 입력 장치 T1?TJ: 태그 장치
G1?GK: 출입구 장치 M1?MN: 이동형 장치
131, 141, 151: 무선 통신 장치 132, 152: 표시부
133: 입력부 134, 143, 153: 제어부
135, 144, 154: 전원부 136, 155: 배터리
137, 145, 156: 메모리

Claims (22)

  1.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각각 부착되는 태그(tag) 장치들;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이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
    작업자에 의해 휴대 되고,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
    물품들이나 부품들의 입고 및 출고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관리자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가 입력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가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태그 호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고, 작업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보를 발생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장치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가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해, 장치 호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상기 태그 장치들로부터 상기 장치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태그 호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고, 작업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보를 발생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장치는,
    경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자에게 태그 장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표시부;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업 완료 정보를 출력하고,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와 상기 제어부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응답 정보 또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배터리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표시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장치는,
    경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자에게 태그 장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표시부;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업 완료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장치 호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하고,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와 상기 제어부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장치 호출 정보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응답 정보 또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배터리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표시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추가의 입력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추가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정지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경보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접근 확인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관리 서버간의 유선 통신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 장치;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간, 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관리 서버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접근 확인 정보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외부 입력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제어부, 상기 유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상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보고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보고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작업 요청 대상에 해당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작업 완료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유선 통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상기 제어부간, 또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제어부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배터리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표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보고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 호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상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작업 목록에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으면,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장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와 상기 제어부간, 또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제어부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배터리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표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보고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 호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작업 대상 물품(또는 부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 호출 정보의 송신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로부터 상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완료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작업 목록에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으면, 상기 태그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치 호출 정보에 응답하여, 다음의 작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기 태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고, 해당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없으면 상기 태그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치 호출 정보에 응답하지 않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물품(또는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작업을 담당하는 작업자의 이름,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들과, 작업자가 휴대하는 이동형 장치의 식별 정보와,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 또는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부착된 태그 장치들의 식별 정보들이 저장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사용자 입력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이름, 상기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상기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및 상기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이름, 상기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수량, 상기 입고 및 출고 물품(또는 부품)의 명칭, 및 상기 입고 물품들(또는 부품들)의 보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bar code)를 읽고, 그 바코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른 입고 또는 출고 수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17.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요청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이 보관된 창고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구 장치에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출입구에 접근한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실행할 작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물품들이나 부품들, 또는 물품들이나 부품들이 담긴 상자들에 부착된 태그 장치들 중에서,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에 응답하여,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각적인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하고,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한 상기 이동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목록에 작업자가 실행할 다음의 작업이 남아있을 때마다, 상기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가 반복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이 후,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접근 확인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로부터 출입 보고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출입구 장치에 의해, 대상 작업자의 이동형 장치가 출입구에 접근하였음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이 후,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해당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이동형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이 후,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상기 출입구 장치로부터 상기 접근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출입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이 후, 상기 태그 장치들에 의해,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장치 호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형 장치에 의해, 상기 장치 호출 정보에 응답하여,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 또는 작업 대상 물품이나 부품이 담긴 상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호출 정보를 해당 태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방법.
KR1020100093698A 2010-09-28 2010-09-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4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98A KR101147704B1 (ko) 2010-09-28 2010-09-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98A KR101147704B1 (ko) 2010-09-28 2010-09-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92A true KR20120032192A (ko) 2012-04-05
KR101147704B1 KR101147704B1 (ko) 2012-05-23

Family

ID=4613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98A KR101147704B1 (ko) 2010-09-28 2010-09-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7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360B1 (ko) * 2013-09-30 2015-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 관리 및 오더 피킹을 위한 사물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5536A (ko) * 2014-11-11 2017-07-24 엑스 디벨롭먼트 엘엘씨 로봇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 내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선단의 지도의 동적 유지
KR20170142163A (ko) * 2015-04-30 2017-12-27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평면 보관 설비
KR101872373B1 (ko) * 2017-02-28 2018-06-28 다우엔텍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물류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436A (ja) * 2000-10-04 2002-04-10 Honda Motor Co Ltd 作業支援装置
JP2009215007A (ja) * 2008-03-11 2009-09-24 Hitachi Ltd 倉庫作業支援システム
KR101024608B1 (ko) * 2008-05-14 2011-03-24 (주) 유니콤티디 전자태그를 이용한 경보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360B1 (ko) * 2013-09-30 2015-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 관리 및 오더 피킹을 위한 사물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5536A (ko) * 2014-11-11 2017-07-24 엑스 디벨롭먼트 엘엘씨 로봇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 내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선단의 지도의 동적 유지
KR20170142163A (ko) * 2015-04-30 2017-12-27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평면 보관 설비
KR101872373B1 (ko) * 2017-02-28 2018-06-28 다우엔텍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물류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704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1790A (zh) 基于射频技术的工器具智能管理系统
WO2018135040A1 (ja) 物流管理装置、物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4770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7176A (ko) IoT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JP2009075941A (ja) 工程管理方法、工程管理システムおよび工程管理装置
KR20090001710A (ko)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TW201706922A (zh) 配送管理系統及配送管理方法
WO2015137071A1 (ja) 作業工程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個別制御器並びにアクセス制限方法
KR20220091257A (ko) 선반 탈부착형 재고관리장치를 이용한 재고관리방법 및 재고관리시스템
JP2010238088A (ja) 資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資産管理装置
JP2005350222A (ja) 製品保管システム
JP6480200B2 (ja) 無線表示システム
US10535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ocking locations of products having more than one stocking location on a sales floor
KR101481742B1 (ko) 모바일을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JP2004196553A (ja) 物体移動管理方法、庫内物流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7021398A (ja) ストッ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75221B2 (ja) 物体の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10546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JP2017126872A (ja) 無線表示システム
JP2013003923A (ja) 持込管理システム
KR101506496B1 (ko) 무선ic태그를 이용한 재고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9203024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WO2004029740A1 (en) Real time total asset visibility system
JP4911989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10277A (ko)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