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163A - 평면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평면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163A
KR20170142163A KR1020177026867A KR20177026867A KR20170142163A KR 20170142163 A KR20170142163 A KR 20170142163A KR 1020177026867 A KR1020177026867 A KR 1020177026867A KR 20177026867 A KR20177026867 A KR 20177026867A KR 20170142163 A KR20170142163 A KR 2017014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rea
article
plane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368B1 (ko
Inventor
쥰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7014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14Stack holders o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평면 보관 설비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임의의 위치와 입고용 컨베이어(12) 및 출고용 컨베이어(13) 사이에서 보관품(Cab, Ccd)을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입출고 장치(2)를 구비한 것으로, 보관품 재치용 평면(1)에는 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을 소 에리어(SAa1~SAb4)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통로 영역(PAa1~PAb3)이 설정되고, 당해 통로 영역은 적어도 일단이 당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되고, 소 에리어(SAa1~SAb4) 내의 보관품(Cab, Ccd)의 수작업에 의한 반출 작업을 당해 소 에리어(SAa1~SAb4)를 형성하는 상기 통로 영역(PAa1~PAb3) 내로부터 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평면 보관 설비
본 발명은 보관품 재치용(載置用) 평면, 입출고용 컨베이어, 및 상기 입출고용 컨베이어와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 상의 임의의 위치 사이에서 보관품을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입출고 장치를 구비한 평면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평면 보관 설비는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관품의 형상 등에 맞추어 상기 입출고 장치가 구성됨으로써, 당해 입출고 장치를 취급할 수 있는 범위 내이면, 각종 평면 사이즈의 입고 대상 보관품 예를 들면 수작업으로의 운반이 가능한 평면 사이즈의 플라스틱제 컨테이너를 보관품 재치용 평면 내의 임의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입출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종류의 평면 보관 설비에서는 입출고 작업이 상기 입출고 장치의 자동 운전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관 효율을 첫번째로 생각하여 상기 입출고 장치에 의한 입출고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보관품을 채워 입고하도록 상기 입출고 장치가 자동 운전되는 것이다.
일본 특개 평7-17276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입출고 장치가 고장이나 보수 점검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은 기계 설비인 이상 당연히 생각되는 바이지만, 입출고 장치가 정상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출고 작업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은 출고 대상의 보관품을 필요로 하는 작업측에는 엄청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취급되는 보관품이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의 운반이 가능한 평면 사이즈의 플라스틱제 컨테이너인 경우, 긴급 출고를 필요로 하는 보관품을 수작업으로 출고하는 것이 생각되는데, 이러한 종류의 평면 보관 설비에서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이 매우 넓은 경우가 보통이며, 만일, 이 넓은 보관품 재치용 평면을 횡단하도록 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부터 또는 상기 통로로부터 수미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 작업자는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의 앞에 있는 많은 보관품을 수작업으로 제거하여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에 근접하기 위한 통로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그 작업에는 엄청난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평면 보관 설비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보관 설비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입고용 컨베이어(12), 출고용 컨베이어(13), 및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임의의 위치와 상기 입고용 컨베이어(12) 및 출고용 컨베이어(13) 사이에서 보관품(C)을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입출고 장치(2)를 구비한 평면 보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1)에는 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을 소 에리어(SAa1~SAb4)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통로 영역(PAa1~PAb3)이 설정되고, 당해 통로 영역(PAa1~PAb3)은 적어도 일단이 당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되어, 상기 소 에리어(SAa1~SAb4) 내의 보관품(C)의 수작업에 의한 반출 작업을 당해 소 에리어(SAa1~SAb4)를 형성하는 상기 통로 영역(PAa1~PAb3) 내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이 매우 넓어도, 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 상에 재치 보관된 보관품의 수작업에 의한 긴급 출고가 필요하게 된 경우, 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되어 있는 통로 영역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당해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 근처까지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들어가, 당해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을 수작업으로 집어들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 들고나갈 수 있다. 즉, 긴급 출고가 필요하게 된 보관품의 수작업에 의한 출고 작업을 매우 능률좋고 또한 안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긴급 출고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는 경우, 상기 통로 영역의 내측의 소 에리어의 어느 장소에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이 있어도, 그 통로 영역 내 또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부터 직접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을 취출할 수 있을 정도로 통로 영역의 내측의 소 에리어의 넓이와 평면 형상을 설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과 통로 영역 또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와의 사이의 방해가 되는 보관품의 제거가 필요하게 될 정도의 소 에리어라고 해도, 통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긴급 출고 대상 보관품의 수작업에 의한 취출 작업에 필요한 수고와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게 통로 영역을 설정하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이 커도 그 보관 효율이 대폭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각 소 에리어의 전부에 보관품이 입고된 가득 찬(滿杯) 상태일 때는, 상기 통로 영역의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된 해방단으로부터 가장 먼 가장 안쪽부(最奧部)로부터 당해 통로 영역 내에 보관품의 입고를 행하도록 상기 입출고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출고의 기회가 적기 때문에 엄청난 보관품 재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 것 같은 경우에도 통로 영역을 일시적으로 보관품의 보관에 활용하여 보관 설비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은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별로 복수의 보관 영역으로 나누어두고, 각 보관 영역 내에 상기 통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소 에리어를 설정하여, 입고되는 보관품은 당해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에 적합한 보관 영역 내에서 선택된 소 에리어 내에 입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면 사이즈가 다양하게 상이한 보관품을 입고하는 경우, 당해 입고 대상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에 맞추어 복수의 보관 영역으로부터 1개의 적합한 보관 영역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보관 영역 내에 입고하는 것만으로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전체의 보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보관 설비 전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입출고 장치의 보관품 파지 수단과 보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당해 보관품 파지 수단이 보관품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도 3D는 각각 평면 사이즈가 상이한 4종류의 보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E 및 도 3F는 상기 4종류의 보관품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눌 때의 그룹별 보관품의 최대 평면 사이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정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직사각형 형상의 보관품 재치용 평면, 2는 입출고 장치이다. 3은 Y방향 횡동체(橫動體)로서, X방향(좌우 방향)과 평행한 2개의 가이드 레일(3a, 3b)을 구비하고 있다. 4a, 4b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X방향의 양 외측에서 Y방향과 평행하게 걸쳐서 설치된 한 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로서, Y방향 횡동체(3)의 X방향의 양단부를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일정 높이 상방에서 Y방향(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한다. 입출고 장치(2)는 Y방향 횡동체(3)의 2개의 가이드 레일(3a, 3b)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대차(5)와, 이 대차(5)에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보관품 파지 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관품 파지 수단(6)은 취급하는 보관품에 적합하게 구성된 각종의 것이 생각되는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관품 파지 수단(6)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서로 접근 이간(接近離間) 이동이 자유로운 X방향 한 쌍의 파지 유닛(7A, 7B)을 구비하고 있다. 양 파지 유닛(7A, 7B)은 Y방향 횡동체(3)의 2개의 가이드 레일(3a, 3b) 사이를 승강하도록 대차(5)에 서로 동기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것으로, 각각 Y방향 한 쌍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와, 파지용 기둥형상체(8a, 8b) 사이의 중앙 위치 및 파지용 기둥형상체(9a, 9b) 사이의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 매달아올림 기구(10, 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취급하는 보관품(C)은 평면 형상이 Y방향의 폭(W)과 X방향의 길이(L)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제 반송용 컨테이너로서, 그 외측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보강용 장출 리브(Cx)를 구비하고 있다.
각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는 보관품(C)의 네 모서리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 가능한 횡단면 L자형의 기둥형상체이며, 매달아올림 기구(10, 11)는 보관품(C)의 Y방향과 평행한 양측변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보강용 장출 리브(Cx)에 걸고 빼기가 자유로운 걸어맞춤 기구(10a, 11a)가 승강 기둥형상체(10b, 11b)의 적어도 하단부 내측에 설치된 것이다. 걸어맞춤 기구(10a, 11a)는 Y방향과 평행한 수직 직사각형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X방향과 평행한 핀을 구비하고, 각 핀은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보관 설비에 의하면, Y방향 횡동체(3)의 Y방향의 횡동과, 이 Y방향 횡동체(3) 상에서의 대차(5)의 X방향의 이동에 의해, 보관품 파지 수단(6)을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임의의 위치(후술하는 입고용 반송 종단부와 출고용 반송 시단부를 포함함)의 상방 일정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 보관품 파지 수단(6)은 파지 작용 해제 상태와 파지 작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보관품 파지 수단(6)의 파지 작용 해제 상태에서는 파지 유닛(7A, 7B)이 X방향으로 서로 이간한 X방향 후퇴 한계 위치에 있음과 아울러,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가 매달아올림 기구(10, 11)에 대하여 Y방향으로 서로 이간한 Y방향 후퇴 한계 위치에 있다. 보관품 파지 수단(6)의 파지 작용 상태에서는 파지 유닛(7A, 7B)이 보관품(C)의 X방향 길이(L)에 대응하는 간격까지 X방향으로 서로 접근 이동함과 동시에, 각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가 보관품(C)의 Y방향 폭(W)에 대응하는 간격까지 매달아올림 기구(10, 11)에 대하여 Y방향으로 서로 접근 이동하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가 보관품(C)의 네 모서리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당해 보관품(C)을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한 쌍의 매달아올림 기구(10, 11)의 각 걸어맞춤 기구(10a, 11a)가 보관품(C)의 Y방향과 평행한 외측면의 보강용장출 리브(Cx)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걸어맞춤 기구(10a, 11a)가 보관품(C)의 보강용 장출 리브(Cx)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각 걸어맞춤 기구(10a, 11a)의 적어도 동일 높이의 2개의 돌출 자세의 핀이 보관품(C)의 보강용 장출 리브(Cx)의 하측에 들어가, 당해 보강용 장출(張出) 리브(Cx)에 충돌하는 핀은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후퇴한 상태가 된다.
보관품 파지 수단(6)에 의해 보관품(C)을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임의의 2개의 위치(후술하는 입고용 반송 종단부와 출고용 반송 시단부를 포함함) 사이에서 반송할 때는, 보관품 파지 수단(6)을 Y방향 횡동체(3)의 Y방향의 횡동과, 이 Y방향 횡동체(3) 상에서의 대차(5)의 X방향의 이동에 의해, 입출고 대상의 보관품(C)의 직상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파지 작용 해제 상태에 있는 보관품 파지 수단(6)의 파지 유닛(7A, 7B)을 대차(5)에 대하여 입출고 대상의 보관품(C)의 높이까지 하강시킨 후, 보관품 파지 수단(6)을 상기 파지 작용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결과,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가 보관품(C)의 네 모서리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당해 보관품(C)을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한 쌍의 매달아올림 기구(10, 11)의 각 걸어맞춤 기구(10a, 11a)가 보관품(C)의 보강용 장출 리브(Cx)에 걸어맞춰지게 되므로, 이어서 이 파지 작용 상태에 있는 보관품 파지 수단(6)을 대차(5)에 대하여 상승 한계 높이 또는 보관품(C)의 수평 반송에 지장이 없는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입출고 대상의 보관품(C)을 소정 높이까지 매달아올렸다면, 이어서 보관품 파지 수단(6)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보관품(C)을 Y방향 횡동체(3)의 Y방향의 횡동과, 이 Y방향 횡동체(3) 상에서의 대차(5)의 X방향의 이동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내림 위치까지 수평 반송시킨다. 이 Y방향 횡동체(3)의 횡동과 대차(5)의 이동은 입출고 대상의 보관품(C)을 소정 높이까지 매달아올리는 과정에서 동시에 행하게 해도 된다. 이 후, 보관품(C)을 파지하고 있는 보관품 파지 수단(6)을 대차(5)에 대하여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키고, 계속해서 파지 작용 상태의 보관품 파지 수단(6)을 상기 파지 작용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이 보관품 파지 수단(6)으로부터 보관품(C)을 개방하여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내릴 수 있다. 이 후는 파지 작용 해제 상태의 보관품 파지 수단(6)을 대차(5)에 대하여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일련의 보관품 매달아올림 반송이 완료된다.
또한, 보관품(C)이 단쌓기 가능한 것일 때는 단쌓기 상태의 복수의 보관품(C)을 그 최하단의 보관품(C)에 대한 보관품 파지 수단(6)의 파지 작용에 의해 합쳐서 매달아올려 반송할 수 있다. 이 때, 최하단의 보관품(C)만이 보관품 파지 수단(6)의 매달아올림 기구(10, 11)에 의해 매달려올라가는데, 당해 최하단의 보관품(C)을 포함하여 단쌓기 상태의 모든 보관품(C)은 4개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에 의해 네 모서리가 위치 결정되므로 단쌓기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물론, 수많게 단쌓기된 보관품을 취급할 수 있도록, 매달아올림 기구(10, 11)에는 그 승강 기둥형상체(10b, 11b)에 상하 복수단에 걸어맞춤 기구(10a, 11a)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보관품 파지 수단(6)의 운용에 의해, 단쌓기 상태의 복수의 보관품(C) 중의 특정의 보관품(C)만을 반출하는 것이나,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품(C) 상에 새롭게 별개의 보관품(C)을 단쌓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보관 설비에 있어서 취급하는 보관품(C)으로서 예를 들면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사이즈가 상이한 4종류의 보관품(Ca~Cd)이 있다고 하면, 평면 사이즈가 350mm×420mm의 범위에 들어가는 보관품(Ca, Cb)은 A그룹, 평면 사이즈가 350mm×420mm의 범위를 넘고 550mm×650mm의 범위에 들어가는 보관품(Cc, Cd)은 B그룹과 같이 평면 사이즈별로 그룹으로 나누어둔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의 것으로, 입고용 컨베이어(12)와 출고용 컨베이어(13)가 병설된다. 이들 입고용 컨베이어(12)와 출고용 컨베이어(13)는 그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와 출고용 반송 시단부(13a)가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측변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입고용 컨베이어(12)와 출고용 컨베이어(13)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서로 평행한 2측변으로 양분되어 있다. 또, 보관품 재치용 평면(1)에는 이것을 횡단하는 통로 영역 등 보관품의 재치면으로서 이용할 수 없는 이용 불가 영역(14)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이용 불가 영역(14) 등이 존재할 때는 이 이용 불가 영역(14)을 제외한 영역이 A그룹 보관품(Cab)을 보관하는 보관 영역(A)과 B그룹 보관품(Ccd)을 보관하는 보관 영역(B)으로 나뉘어 있다. 이 보관 영역(A, B)의 면적비는 A그룹 보관품(Cab)과 B그룹 보관품(Ccd)의 취급량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도시예에서는 보관 영역(A, B)은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를 경계로 하여 나뉘어 있다.
보관 영역(A)에는 평면 사이즈가 350mm×420mm의 보관품 재치면이 일정 방향으로 바둑판 형상으로 정렬 설정되고, 보관 영역(B)에는 평면 사이즈가 550mm×650mm의 보관품 재치면이 일정 방향으로 바둑판 형상으로 정렬 설정되는데, 각 보관품 재치면 사이에는 보관품 파지 수단(6)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 및 매달아올림 기구(10, 11)가 당해 보관품 재치면 상의 보관품에 대한 파지 작용과 파지 해제 작용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을만한 폭의 여유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이들 보관 영역(A, B) 내의 모든 보관품 재치면에는 그 중심에 보관품 재치점(Cp)이 설정되어 있다. 입출고 장치(2)의 제어 프로그램 상에는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와 출고용 반송 시단부(13a)에 있어서의 보관품 재치점을 포함하여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모든 보관품 재치점(Cp)에 대하여 절대번지(예를 들면 X-Y 좌표값)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입출고 장치(2) 상의 입출고 기준점은 보관품 파지 수단(6)이 파지하는 보관품(C)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중심점, 바꾸어 말하면 4개의 파지용 기둥형상체(8a~9b)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평면의 중심점으로 되어 있고, 입출고 작업시에 있어서의 보관품(C)의 파지 작용과 파지 해제 작용은 입출고 장치(2)의 입출고 기준점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1) 상의 보관품 재치점(Cp)과 평면시에 있어서 합치하는 상태에서 행해진다.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는 착탈이 자유로운 펜스(15)에 의해 둘러싸이고, 보관품 재치용 평면(1) 내의 보관 영역(A, B)은 각각이 복수의 보관품 재치점(Cp)을 포함하는 소 에리어(SAa1~SAa5 및 SAb1~SAb4)로 분할되어 있다. 각 소 에리어(SAa1~SAb4)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의 펜스(15),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 및 통로 영역(PAa1~PAa4, PAb1~PAb3)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상의 것이다. 각 통로 영역(PAa1~PAb3)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직렬하는 복수의 보관품 재치면(보관품 재치점(Cp))을 점유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설정된 것으로,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의 펜스(15)와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와의 사이나, 다른 통로 영역(PAa3, PAb2)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와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의 펜스(15)와의 사이 등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를 경유하여, 또는 펜스(15)를 떼어낸 상태에서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 외측으로부터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이 더욱 넓을 때는 통로 영역(PAa1~PAb3) 중 서로 병렬하는 2개의 통로 영역끼리를 연결하도록 통로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일단이 소 에리어(SAa1~SAb4)에 의해 닫힌 통로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각 소 에리어(SAa1~SAb4)는 2개의 보관품 재치면이 알맞게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하고 있는데,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가 작은 경우 등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수의 보관품 재치면이 알맞게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넓히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내는 각 통로 영역(PAa1~PAb3)은 1개의 보관품 재치면이 알맞게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하고 있는데,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가 작은 경우 등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의 보관품 재치면이 알맞게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넓히는 것도 가능하다.
입출고 장치(2)를 자동 운전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입고해야 할 보관품(Cab, Ccd)의 보관처의 보관품 재치점(Cp)으로서 통로 영역(PA) 내의 보관품 재치점(Cp)을 생략하고 소 에리어(SAa1~SAb4) 내의 보관품 재치점(Cp)만을 선택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보관 영역(A)에 보관해야 할 A그룹 보관품(Cab)이 입고용 컨베이어(12)의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에 보내지면, 보관 영역(A) 내의 소 에리어(SAa1~SAa5)로부터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을 검색하고, 이 검색한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 상의 A그룹 보관품(Cab)을 입고하도록, 앞서 설명한 요령으로 입출고 장치(2)를 자동 운전하게 된다. 또 보관 영역(B)에 보관해야 할 B그룹 보관품(Ccd)이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에 보내졌을 때는 보관 영역(B) 내의 소 에리어(SAb1~SAb4)로부터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을 검색하고, 이 검색한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입고용 반송 종단부(12a) 상의 B그룹 보관품(Ccd)을 입고하도록, 앞서 설명한 요령으로 입출고 장치(2)를 자동 운전하게 된다.
또한, 입고 대상의 보관품(Cab/Ccd)의 입고처로서의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을 검색시키는 경우,
1) 보관 영역(A) 내의 소 에리어(SAa1~SAa5) 또는 보관 영역(B) 내의 소 에리어(SAb1~SAb4)는 무관계로, 단순히 설정된 입고 기준 포인트 예를 들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중앙부 영역 내에 설정된 입고 기준 포인트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거나 가장 먼 위치에 있는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을 선택시킨다.
2) 모든 소 에리어(SAa1~SAb4)의 1개의 모서리에 입고 기준점을 설정해둠과 아울러, 보관 영역(A) 내의 소 에리어(SAa1~SAa5) 및 보관 영역(B) 내의 소 에리어(SAb1~SAb4)에 입고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해두고, 입고 시점에서의 우선 순위 1번의 소 에리어 내의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 중 입고 기준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거나 가장 먼 위치에 있는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을 선택시킨다.
2a) 상기한 소 에리어(SAb1~SAb4)에 대한 입고시의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가 상위의 소 에리어 내에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이 없어졌을 때, 우선 순위가 하위의 소 에리어에 대한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의 검색이 실행되도록, 우선 순위의 순번으로 각 소 에리어가 가득 찬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2b) 상기한 소 에리어(SAb1~SAb4)에 대한 입고시의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의 순번으로 각 소 에리어에 보관품이 1단위(1개의 보관품 또는 단쌓기된 보관품)씩 입고되도록 설정된다.
등의 설정 방법이 생각된다.
한편, 입고 작업과는 별개로 출고 작업, 즉, 그 출고 대상 보관품이 입출고 장치(2)에 의해 출고용 컨베이어(13)의 출고용 반송 시단부(13a) 상까지 매달아올려 반송되는 출고 작업도 수시로 행해지므로, 입고 작업의 개시시에, 앞서 우선 입고된 영역 내에도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이 존재하는 것은 보통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때는 출고된 자리인 빈 상태의 보관품 재치점(Cp)도 포함시켜 입고처의 보관품 재치점(Cp)이 검색되고, 이 검색된 출고된 자리인 보관품 재치점(Cp)에 보관품(Cab, Ccd)이 입고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보관 설비는 통상 입출고 장치(2)의 자동 운전에 의해 보관품 입출고 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인데, 입출고 장치(2)가 고장이나 정기적인 보수 점검 등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 있을 때에 긴급하게 출고 작업의 필요가 생긴 경우, 작업자가 보관품 재치용 평면(1) 내에 들어가 수작업으로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Cab 또는 Ccd)을 취출하게 된다. 이 수작업에 의한 긴급 출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Cab 또는 Ccd)의 보관 장소는 보관 상황 기록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보관 영역(A 또는 B)의 소 에리어(SAa1~SAb4) 중 어느 소 에리어 내의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Cab 또는 Ccd)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그 목적으로 하는 소 에리어에 인접한 통로 영역(PAa1~PAb3)의 하나 또는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에 들어가, 당해 통로 영역(PAa1~PAb3)의 하나 또는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소 에리어 내의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재치되어 있는 보관품(Cab 또는 Ccd)을 취출하고, 상기 통로 영역(PAa1~PAb3)의 하나 또는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를 이용하여 보관품 재치용 평면(1) 밖으로 들고나갈 수 있다.
또한, 통로 영역(PAa1~PAb3)의 하나 또는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에 대한 출입시에는 펜스(15)의 일부를 떼어내게 된다. 또,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Cab 또는 Ccd)이 펜스(15)의 내측에 인접해 있는 것 같은 경우는 그 보관품(Cab 또는 Ccd)에 인접해 있는 펜스(15)의 일부를 떼어내어,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 외측으로부터 직접 긴급 출고 대상의 보관품(Cab 또는 Ccd)을 취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선택한 통로 영역(PAa1~PAb3)의 하나 또는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의 출입구가 펜스(15)로 닫혀있을 때는 그 펜스(15)의 일부를 떼어내는 것은 당연하다.
입출고 장치(2)의 자동 운전에 의해 보관품의 입출고 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출고 총 수보다 입고 총 수가 많으면, 언젠가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관 영역(A) 내의 모든 소 에리어(SAa1~SAa5) 또는 보관 영역(B) 내의 모든 소 에리어(SAb1~SAb4)가 보관품(Cab 또는 Ccd)에 의해 가득 찰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때는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관품(Cab)은 보관 영역(A) 내의 통로 영역(PAa1~PAa4) 내의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입고하고, 보관품(Ccd)은 보관 영역(B) 내의 통로 영역(PAb1~PAb3) 내의 보관품 재치점(Cp) 상에 입고하여 빈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통로 영역(PAa1~PAb3)의 이용 불가 영역(14)으로서의 통로나 펜스(15)측으로 해방된 출입구측으로부터가 아니라, 당해 출입구로부터 가장 먼 안쪽단부로부터 보관품을 채우도록 입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에 나타낸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별 보관 영역을 설정하여, 입고 대상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에 따라 입고처 보관 영역을 나누는 입고 방법은 필요에 따라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보관품 재치용 평면에 병설되는 입고용 컨베이어와 출고용 컨베이어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입출고 겸용의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통로 등의 이용 불가 영역(14)의 존재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 착탈이 자유로운 펜스(15)를 떼어냄으로써, 주위의 임의의 장소로부터 보관품 재치용 평면(1) 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보관 설비를 예시했는데, 보관품 재치용 평면(1)의 주위에 펜스(15)를 대신하는 건물의 벽 등의 고정 위벽(圍壁)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고정 위벽의 내측을 따라 통로 영역을 설정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측의 통로 영역만으로부터 소 에리어의 모든 보관품을 수작업으로 취출할 수 있을 정도로 소 에리어의 폭을 좁히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평면 보관 설비는 평면 상에 재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상자형의 수송용 컨테이너, 특히 수작업으로 반송할 수 있는 것 같은 비교적 소형이며 경량인 보관품의 보관 설비로서 활용할 수 있다.
1…보관품 재치용 평면
2…입출고 장치
3…Y방향 횡동체
3a~4b…가이드 레일
5…대차
6…보관품 파지 수단
7A, 7B…파지 유닛
8a~9b…파지용 기둥형상체
10, 11…매달아올림 기구
10a, 11a…걸어맞춤 기구
10b, 11b…승강 기둥형상체
12…입고용 컨베이어
12a…입고용 반송 종단부
13…출고용 컨베이어
13a…출고용 반송 시단부
14…통로 등의 이용 불가 영역
15…착탈이 자유로운 펜스
A, B…보관 영역
C…보관품
Cx…보강용 장출 리브
Ca~Cd…평면 사이즈가 상이한 보관품
Cab…A그룹 보관품
Ccd…B그룹 보관품
Cp…보관품 재치점
PAa1~PAb3…통로 영역
SAa1~SAb4…소 에리어

Claims (4)

  1. 보관품 재치용 평면, 입고용 컨베이어, 출고용 컨베이어, 및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 상의 임의의 위치와 상기 입고용 컨베이어 및 출고용 컨베이어 사이에서 보관품을 매달아올려 반송하는 입출고 장치를 구비한 평면 보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에는 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을 소 에리어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통로 영역이 설정되고, 당해 통로 영역은 적어도 일단이 당해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되고, 상기 소 에리어 내의 보관품의 수작업에 의한 반출 작업을 당해 소 에리어를 형성하는 상기 통로 영역 내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평면 보관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 에리어는 상기 통로 영역 또는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부터 당해 소 에리어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 당해 소 에리어 내의 보관품의 수작업에 의한 반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넓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보관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 에리어의 전부에 보관품이 입고된 가득 찬 상태일 때는, 상기 통로 영역의 보관품 재치용 평면의 주위 외측으로 해방된 해방단으로부터 가장 먼 가장 안쪽부로부터 당해 통로 영역 내에 보관품의 입고를 행하도록 상기 입출고 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보관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품 재치용 평면은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별로 복수의 보관 영역으로 나뉘고, 각 보관 영역 내에 상기 통로 영역에 의해 소 에리어가 설정되어, 입고되는 보관품은 당해 보관품의 평면 사이즈에 적합한 보관 영역 내에서 선택된 소 에리어 내에 입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보관 설비.
KR1020177026867A 2015-04-30 2016-01-12 평면 보관 설비 KR102306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2814A JP6268610B2 (ja) 2015-04-30 2015-04-30 平面保管設備
JPJP-P-2015-092814 2015-04-30
PCT/JP2016/050698 WO2016174881A1 (ja) 2015-04-30 2016-01-12 平面保管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163A true KR20170142163A (ko) 2017-12-27
KR102306368B1 KR102306368B1 (ko) 2021-09-29

Family

ID=5719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867A KR102306368B1 (ko) 2015-04-30 2016-01-12 평면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14585B2 (ko)
EP (1) EP3257791B1 (ko)
JP (1) JP6268610B2 (ko)
KR (1) KR102306368B1 (ko)
CN (1) CN107531417B (ko)
BR (1) BR112017023433B1 (ko)
CA (1) CA2979172C (ko)
RU (1) RU2706127C2 (ko)
TW (1) TWI649244B (ko)
WO (1) WO2016174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2509A (zh) * 2015-04-15 2022-03-11 奥卡多创新有限公司 物品处理系统与方法
JP6455681B2 (ja) 2016-01-12 2019-01-23 株式会社ダイフク 段積みコンテナの異常検出装置
US20220332500A1 (en) * 2019-09-18 2022-10-20 Murata Machinery, Ltd. Transport system and sto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62A (ja) 1993-12-22 1995-07-11 Toyota Motor Corp コイル配置方法
KR20120032192A (ko) * 2010-09-28 2012-04-05 (주)아트시스템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142107A1 (ja) * 2013-03-15 2014-09-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513A (en) * 1938-07-28 1939-07-11 Roy W Smith Cold storage locker room
NL8001352A (nl) * 1980-03-06 1981-10-01 Elten Tech Ontwickel Bv Opslaginrichting voor produkten met behulp van steunorganen.
JPH01122806A (ja) * 1987-11-02 1989-05-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倉庫
JP3879950B2 (ja) * 1997-07-04 2007-02-14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ダンパーの釣合装置
US6062400A (en) * 1997-08-08 2000-05-16 St. Onge, Ruff And Associates, Inc. Split beam ergonomic pick rack
JP3484104B2 (ja) * 1998-12-25 2004-01-06 平田機工株式会社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の管理方法
CN102092552B (zh) * 2011-01-26 2012-08-22 山东兰剑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密集型物流仓库的仓储方法及设备
CN203938072U (zh) * 2014-06-26 2014-11-12 国家电网公司 立体仓库
EP3192751B1 (en) * 2014-09-10 2021-06-16 Murata Machinery, Ltd. Temporary storage system, conveyance system using same, and temporary storage method
US10442621B2 (en) * 2014-10-20 2019-10-15 Nelson Mandela Metropolitan University Warehouse system and transfe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62A (ja) 1993-12-22 1995-07-11 Toyota Motor Corp コイル配置方法
KR20120032192A (ko) * 2010-09-28 2012-04-05 (주)아트시스템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142107A1 (ja) * 2013-03-15 2014-09-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5235A3 (ko) 2019-05-28
TWI649244B (zh) 2019-02-01
EP3257791A4 (en) 2018-11-21
CN107531417A (zh) 2018-01-02
US20170355525A1 (en) 2017-12-14
BR112017023433A2 (pt) 2018-07-31
CA2979172A1 (en) 2016-11-03
RU2706127C2 (ru) 2019-11-14
CA2979172C (en) 2021-11-09
TW201637969A (zh) 2016-11-01
EP3257791B1 (en) 2020-12-30
US10414585B2 (en) 2019-09-17
EP3257791A1 (en) 2017-12-20
BR112017023433B1 (pt) 2022-08-09
CN107531417B (zh) 2019-11-01
JP6268610B2 (ja) 2018-01-31
WO2016174881A1 (ja) 2016-11-03
JP2016210526A (ja) 2016-12-15
KR102306368B1 (ko) 2021-09-29
RU2017135235A (ru)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3926B2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3484104B2 (ja)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の管理方法
EP1984281B1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kommissionieren oder konsolidieren von artikeln
KR102538516B1 (ko) 물품을 피킹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78345A1 (en) Automated order-picking station for the manual picking of articles from storage containers into an order container
US8342792B2 (en) Article separation directly 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US1118032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tacking packages in layers on a support
KR20170142163A (ko) 평면 보관 설비
JP2023531658A (ja) 倉庫設備の運用方法
JP5930406B2 (ja) ピッキング設備
CA2944671C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JP6694126B2 (ja) 立体自動倉庫
JP6296247B2 (ja) 平面保管設備
JP6296246B2 (ja) 平面保管設備
JPH0157003B2 (ko)
JP7234470B2 (ja) 立体自動倉庫
JP5776936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積付け方法
JP2023157704A (ja) 搬送システム
JP5660393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積付け方法
JPH1159823A (ja) 物の保管方法および保管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