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347A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0347A KR20120030347A KR1020117026661A KR20117026661A KR20120030347A KR 20120030347 A KR20120030347 A KR 20120030347A KR 1020117026661 A KR1020117026661 A KR 1020117026661A KR 20117026661 A KR20117026661 A KR 20117026661A KR 20120030347 A KR20120030347 A KR 201200303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e
- dimonium pigment
- hollow body
- dimonium
- pig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3/00—Quinone imides
- C09B53/02—Indamines; Indophen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4—Dispersions of dy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4—Dispersions of dyes
- C09B67/0085—Non common dispersing agents
- C09B67/0086—Non common dispersing agents anionic dispers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2)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2)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2)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2)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2)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2)의 내면의 재질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방법으로 측정된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이모늄 색소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이모늄 색소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색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디이모늄 색소를 사용하여, 근적외선 흡수재료가 제조된다. 근적외선의 흡수능이 높고, 가시영역의 투명성이 높은 근적외선 흡수재료는, 많은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 근적외선 흡수재료는, 박형 디스플레이나 CCD 카메라 등에 사용된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박형 디스플레이는, 파장이 800 nm~1100 nm인 근적외선을 발생시킨다. 이 근적외선은, 가전용 리모콘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CCD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광반도체소자도 근적외선영역의 감도가 높기 때문에, 근적외선의 제거가 필요하다.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는, 종래, 시아닌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스쿠아릴륨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금속 디티올 착체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디이모늄계 색소 또는 무기 산화물 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디이모늄계 색소는 근적외선의 흡수능이 높고, 가시광영역에서의 투명성이 높은 것으로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PDP는, 패널 내부에 봉입(封入)된 비활성 기체, 특히 네온을 주체로 한 가스 중에서 방전을 발생시켜, 그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에 의해, 패널 내부의 셀에 마련된 R, G, B의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이 발광과정에서 PDP의 작동에 불필요한 전자파도 동시에 방출된다. 이 전자파도 차폐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반사광을 억제하기 위해 반사 방지 필름, 번쩍거림 방지 필름(안티글레어 필름)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는, 근적외선 흡수 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 및 반사 방지 필름을, 지지체인 유리나 충격 흡수재 위에 적층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는, PDP의 전면측(前面側)에 재치(載置)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는, 접착제나 점착제를 사용하여, 지지체인 유리나 충격 흡수재 위에 직접 첩합(貼合)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들어, 광학 필터의 박층화나, 광학 필터의 제조공정의 간략화를 목적으로, 점착제에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함유시켜서 근적외선 흡수 필름과 점착제층을 일체화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보존중 또는 수송중에 변질될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의 상태는, 보존중 또는 수송중에 변질될 수 있다. 이 변질의 전형예는, 석출이다. 디이모늄 색소가 석출된 경우, 당연히,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근적외선 흡수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디이모늄 색소의 상태(분산상태 등)에 따라,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석출 등)이 특히 일어나기 쉬운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이들의 변질 등이, 특정의 이송방법 또는 보존방법에 의해 억제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적외선 흡수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이송방법 및 보존방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 된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해도(Y)는 0.01 질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금속이 수지 또는 유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수지(B)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B)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가, 후술되는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이모늄 양이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0.5 질량% 이상이다. 이 배합비율 Rp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고형분의 합계질량에 대한, 디이모늄 색소의 질량의 비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1)를 혼합하여,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1)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얻는 공정과, 수지(B)와 용제(D2)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P)을 얻는 공정과,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가 40℃ 이하이다. 특히,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게 된 경우, 보존중 또는 이송중의 온도가 고온이더라도,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劣化)가 억제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관점에서 보면, 배합비율 Rp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관리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이 소정값은, 0.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디이모늄 색소와, 그의 디이모늄 색소에 대한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용제(D)가 혼합된 액체(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를 포함한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가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수송용 곤포(梱包體)의 제조방법이다. 이 방법은, 개구부를 갖는 수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송용 중공체 내에 넣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수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포함한다.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이다.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해도(Y)가 0.01 질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체(A)는,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보존 또는 이송에 제공되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이 제조방법은,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1)를 혼합하여,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1)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얻는 공정과, 수지(B)와 용제(D2)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P)을 얻는 공정과,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분산체(A)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및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의 혼합비율이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소정값은 0.5 질량%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중 또는 보존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성능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이송용 중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수송용 중공체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수송용 곤포체(梱包體)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이송용 중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중공체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곤포체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이송용 중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중공체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곤포체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4…본체
6…밀봉부재(뚜껑)
10…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12…밀봉부재(뚜껑)
14…외면
16…내면
18…본체
20…내층
22…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24…밀봉부재(뚜껑)
26…외면
27…내면
28…본체
29…내층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이송용 중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중공체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곤포체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이송용 중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중공체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수송용 곤포체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4…본체
6…밀봉부재(뚜껑)
10…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12…밀봉부재(뚜껑)
14…외면
16…내면
18…본체
20…내층
22…용기(보존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 수송용 중공체)
24…밀봉부재(뚜껑)
26…외면
27…내면
28…본체
29…내층
이하, 적절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토대로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1. 디이모늄 색소
본 발명에서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석출 등)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가 억제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이모늄 색소는, 예를 들면, 용제(D)를 포함하는 액체 중에 분산시킨 분산체(A)로 되어 사용된다. 이 분산체(A)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분산체(A)는,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 중에 분산시킨 분산액이다. 분산체(A)는, 용제(D) 외에, 수지나 분산제 등의 타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체(A)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 중에 분산되어 있어도 되고, 수지 등의 용제(D) 이외의 성분 중에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분산체(A)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체(A)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다. 즉, 분산체(A)는, 디이모늄 색소를 분산시킨 분산체이다. 분산이 가능해지도록, 디이모늄 색소 및 용제(D)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디이모늄 색소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 분산되어 있다. 디이모늄 색소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이모늄 양이온을 갖는 디이모늄 색소가 예시된다.
단, 화학식 1 중, R1~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는, 디이모늄 양이온 1개에 대해, 2개의 음이온이 결합하는 형태이다. 디이모늄 양이온과, 상기 바람직한 디이모늄 음이온의 염이, 디이모늄 색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색소는, 후술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청액의 λmax에서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다. 이 흡광도(X)의 측정방법은, 후술된다. 이러한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 중에 있어서 분산되기 쉽다. 이 분산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흡광도(X)는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제(D)가 톨루엔 또는 초산에틸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흡광도(X)가 0.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제(D)가 톨루엔 및 초산에틸 중 어느 것이더라도, 흡광도(X)가 0.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광도(X)가 0.5 이하인 경우,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쉬운 반면,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일어나기 쉽다. 흡광도(X)가 0.5 이하인 경우,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석출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근적외선 흡수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에서는,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억제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색소는, 하기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이모늄 양이온과, 디이모늄 음이온 Z-로 된다.
[화학식 1S]
단, 화학식 1S 중에 있어서, R1~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S 중에 있어서, Z-는 디이모늄 음이온을 나타낸다.
R1~R8이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인 경우,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R1~R8의 각각에 대해서, 1 이상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상 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R1~R8을 구성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R1~R8은, 탄소수가 3~5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R8은,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n-아밀기 또는 이소아밀기이고, n-부틸기, 이소부틸기 또는 이소아밀기가 더욱 바람직하며, 이소부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R1~R8의 알킬기에 결합할 수 있는 치환기로서는,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메톡시기, 메톡시에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메톡시프로폭시기, 메톡시부톡시기, 에톡시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2~8의 알콕시알콕시기; 메톡시메톡시메톡시기, 메톡시메톡시에톡시기, 메톡시에톡시에톡시기, 에톡시에톡시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3~15의 알콕시알콕시알콕시기; 알릴옥시기; 페녹시기, 톨릴옥시기, 크실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 등의 탄소수 6~12의 아릴옥시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기, n-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의 탄소수 2~7의 알콕시카르보닐기; 메틸카르보닐옥시기, 에틸카르보닐옥시기, 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n-부틸카르보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2~7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메톡시카르보닐옥시기, 에톡시카르보닐옥시기, n-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 n-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2~7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이 있다.
디이모늄 음이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음이온은,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 이온,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이온, 과염소산 이온, 헥사플루오로인산 이온,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이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이온, 톨루엔설폰산 이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 이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붕산 이온,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메티드 이온 등이다. 보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음이온으로서,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 이온[SbF6 -]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메티드 이온[(CF3SO2)3C-]을 들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의 구체적인 제품으로서, 일본 카리트사 제조의 상품명「CIR-1085」, 일본 카리트사 제조의 상품명「CIR-1085F」, 일본 가야쿠사 제조의 상품명「KAYASORB IRG-022」, 일본 가야쿠사 제조의 상품명「KAYASORB IRG-023」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KAYASORB IRG-022」 및 「KAYASORB IRG-023」은, 각각 간단히 「IRG-022」 및 「IRG-023」으로도 칭해진다.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 중에 분산되기 쉬운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이모늄 색소는, 분쇄 등에 의해 미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세화의 방식으로서는, 습식 및 건식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습식의 미세화 수법으로서는, 비드 밀이나 볼 밀 외에, 액류(液流)에 의한 미세화, 또는 레이저나 초음파를 사용한 미세화가 채용될 수 있다. 건식의 미세화 수법으로서는, 볼 밀, 아트라이터 외에, 롤 밀이나 기류에 의한 미세화가 채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니아 비드, 유리 비드 등의 입자를 사용하여 디이모늄 색소를 분쇄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르코니아 입자를 사용한 분쇄방법으로서, 디이모늄 색소와, 이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가 5 질량% 미만인 용제(D)와, 지르코니아 비드를 혼합한 액체를 제작하여, 이 액체를 용기 내에서 진탕한 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분리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2. 용제(D)
바람직하게는, 디이모늄 색소는, 용제(D)에 분산시켜서 사용된다. 디이모늄 색소를 분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용제(D)로서는, 사용되는 디이모늄 색소에 대한 빈용매(貧溶媒)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 용해도(Y)의 측정방법은, 후술된다.
구체적인 용제(D)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이 바람직하고, 톨루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 있어서의 용제(D1)는, 용제(D)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원에 있어서의 용제(D2)는, 용제(D)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용제(D1)와 용제(D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3. 분산체(A)
분산체(A)는, 상기 용제(D)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는 액체이다. 분산체(A)는, 디이모늄 색소와 분산매를 혼합해서 된다. 분산매로서, 용제(D) 외에, 수지가 예시된다. 분산매는, 용제(D)와 다른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분산매는, 용제(D)를 포함한다. 분산체(A)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실질적으로 용제(D)에 용해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분산이란, 0.001 ㎛ 이상 10 ㎛ 이하(10-9 m~10-5 m) 정도의 입자가, 분산매(조성물) 중에 부유 또는 현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분산체(A)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함유 비율 Ra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비율 Rp를 높게 하는 관점, 및 비드 밀 등을 사용한 분산의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 비율 Ra는, 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취급 점도의 관점에서, 상기 함유 비율 Ra는,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상기 함유 비율 Ra는, 분산체(A)의 질량에 대한, 디이모늄 색소의 질량의 비율이다.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방법으로서, 비드 밀을 사용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분산체(A)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일례는, 지르코니아 입자를 사용한 상기 방법이다. 구체적인 비드 밀(분산장치)로서, 미쯔이 고잔사 제조의 상품명「MSC-Mill」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C)는, 상기 분산체(A)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액체(C)는, 입자상의 디이모늄 색소와, 그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용제(D)를 혼합하여 얻어진다. 액체(C)에는, 용제(D) 및 디이모늄 색소 이외의 성분(제3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용제(D)의 용해도(Y)가 작게 됨으로써,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용해도(Y)는, 2.0 질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며, 0.1 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0.01 질량%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용해도(Y)의 측정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용제(D)와는 별도로, 희석용매(E)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분산체(A), 상기 액체(C) 또는 수지(B)에는, 그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이모늄 색소 분산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분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 분산제로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나 고분자계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이모늄 색소 분산체(상기 분산체(A))의 분산성, 분산 후의 분산체(A)의 안정성, 및 근적외선 흡수능의 저하 억제의 관점에서, 음이온계 분산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음이온계 분산제로서, 우레탄계 분산제, 폴리에틸렌이민계 분산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옥시에틸렌디에스테르계 분산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계 분산제 및 지방족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가 예시된다. 이 음이온계 분산제의 구체예로서, 빅케미?재팬사 제조의 상품명 「Disperbyk102」, 「Disperbyk106」, 「Disperbyk110」 및 「Disperbyk111」, 및 하리마 화성사 제조의 상품명 「HD-01」, 「HD-02」 및 「HD-03」을 들 수 있다.
분산제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지 않는다.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분산제의 함유 비율은, 디이모늄 색소 100 질량부에 대해, 0.3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 후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분산제의 함유 비율은, 근적외선 흡수 색소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는(분산상태에 있는) 경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쉬운 반면,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석출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근적외선 흡수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에서는,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억제될 수 있다.
4. 수지(B)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는, 수지(B)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B)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수지(B)는,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가 된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인 수지(B)는, 점착성을 가지고 있다. 이 점착성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과 피착체의 직접적인 접착을 가능하게 한다. 접착제를 개재시키지 않고,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과 피착체가 접착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인 수지를 점착제 수지라고도 한다.
수지(B) 중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변질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특히, 점착제 수지 중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변질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 변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4-1. 유리 전이 온도
피착체로의 점착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수지(B)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0℃보다도 높은 경우, 점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손실정접(tanδ)의 극대치 온도를 구함으로써도 얻어지나, 본원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는, 하기의 Fox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계산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수지(B)의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Fox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계산 유리 전이 온도 Tg가 소정의 값을 만족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Tg+273)=Σ[Wi/(Tgi+273)] : Fox의 식
Tg(℃) : 계산 유리 전이 온도
Wi :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
Tgi(℃) : 각 단량체 성분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4-2. 산가
수지(B)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 향상, 피착체와의 점착력 향상 및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공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는 디이모늄 색소를 열화시키기 때문에, 수지(B)의 산가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 이상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70 이하이다. 「산가」란, 점착제 수지 1 g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량을 말한다.
4-3. 계산 용해성 파라미터
수지(B)의 계산 용해성 파라미터가 높은 경우에는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용해성 파라미터는 9.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산 용해성 파라미터는,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1974년, Vol.14, No.2)의 147 페이지~154 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계산되는 값이다. 이하에 그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단독 중합체의 용해성 파라미터(δ)는, 그 중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 단위의 증발 에너지(△ei) 및 몰 체적(△vi)을 토대로, 하기 식의 계산법에 의해 산출된다.
△ei: i 성분의 원자 또는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
△vi: i 성분의 원자 또는 원자단의 몰 체적
공중합체의 용해성 파라미터는, 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 단량체의 증발 에너지에 몰 분율을 곱하여 합산한 것(Σ△Ei)을, 각 구성 단량체의 몰 체적에 몰 분율을 곱하여 합산한 것(Σ△Vi)으로 나눠, 1/2승을 취함으로써 산출된다.
4-4. 공중합체 조성
점착제 수지(B)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점착제 수지(B)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른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점착제 수지(B)는, 지환식, 다환성 지환식, 방향환식 또는 다환성 방향환식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5~40 질량% 공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이들 지환식, 다환성 지환식, 방향환식, 다환성 방향환식의 알킬기 부분과 디이모늄 색소가 스타킹 구조를 취함으로써, 내열성과 내습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B)가, 하기 단량체(p1)~(p3)를 공중합해서 되는 수지이다.
(p1) 탄소수가 1 이상 12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p2) 관능기 함유 모노머
(p3) 기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단량체의 바람직한 비율은, (p1)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60 질량% 이상 99.9 질량% 이하이고, (p2)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가 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며, (p3)의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2)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p1)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형 및 지환식의 알킬기이다.
상기 (p1)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2)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서,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카르복실기는 가교점이 된다. 따라서,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배합량으로, 점착성의 조정이 가능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예로서,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수산기는, 가교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는, 점착물성의 조정에 기여한다. 상기 (p2)가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인 경우, 이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비율은, 모노머 전량에 대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p3)의, 기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p3)의 예로서,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스티렌 등으로 대표되는 스티렌계 단량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이소부틸비닐에테르 등으로 대표되는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푸마르산; 푸마르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푸마르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말레산; 말레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말레산의 디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 이타콘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초산비닐; 비닐케톤; 비닐피리딘; 비닐카르바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옥사졸리닐기, 피롤리도닐기, 플루오로알킬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중합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한 점착제 수지(B)는, 하기 (m1)~(m4)를 공중합해서 되는 수지이다.
(m1) 지환식, 다환성 지환식, 방향환식 또는 다환성 방향환식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m2)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 이 알킬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이고, 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이상 10 이하이다.
(m3) 관능기 함유 모노머
(m4) 기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공중합체의 수지(B)에 있어서, 단량체의 바람직한 비율은, (m1)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m2)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6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며, (m3)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가 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m4)의 기타 단량체가 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m1)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m2)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m3)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서,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카르복실기는 가교점이 된다. 따라서,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배합량으로, 점착성의 조성이 가능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예로서,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수산기는, 가교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는, 점착 물성의 조정에 기여한다. 상기 (m3)가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인 경우, 이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비율은, 모노머 전량에 대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m4)의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스티렌 등으로 대표되는 스티렌계 단량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이소부틸비닐에테르 등으로 대표되는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푸마르산; 푸마르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푸마르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말레산; 말레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말레산의 디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 이타콘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초산비닐; 비닐케톤; 비닐피리딘; 비닐카르바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B)의 중합에 사용되는 개시제로서, 과산화물계, 아조계 등,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과산화물계의 개시제로서는, 퍼부틸 O, 퍼헥실 O(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퍼옥시에스테르계; 퍼로일 L, 퍼로일 O(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퍼옥시디카보네이트계; 나이퍼 BW, 나이퍼 BMT(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디아실퍼옥사이드계; 퍼헥사 3M, 퍼헥사 MC(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퍼옥시케탈계; 퍼부틸 P, 퍼쿠밀 D(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계; 퍼쿠밀 P, 퍼멘타 H(모두 일본 유지 제조) 등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의 개시제로서는 ABN-E, ABN-R, ABN-V(모두 일본 히드라진 공업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수지(B)의 중합시에는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는 특별히 제약되지 않고, 노멀도데실메르캅탄, 디티오글리콜, 티오글리콜산옥틸, 메르캅토에탄올 등의 티올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B)의 중합은 무용제로 행해도 되고, 유기용제 중에서 행해도 된다. 유기용제 중에서 중합할 때에는,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기타 공지의 유기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유기용제의 종류는 얻어지는 수지의 용해성, 중합온도를 고려해서 결정되나, 건조시의 잔존 용제의 남기 어려운 점에서 톨루엔,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등의 비점이 120℃ 이하인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체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성이 5 질량% 미만인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B)는 단일 조성으로 되는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조성의 폴리머를 복합화한 폴리머 알로이나 폴리머 블렌드여도 된다.
분지형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마크로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다관능 개시제, 다관능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마크로 모노머로서는, AA-6, AA-2, AS-6, AB-6, AK-5(모두 도아 고세이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라이트에스엘 EG, 라이트에스엘 1,4BG, 라이트에스테르 NP, 라이트에스테르 TMP(모두 교에이샤 화학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개시제로서는, 퍼테트라 A, BTTB-50(모두 일본 유지 제조), 트리고녹스 17-40MB, 퍼카독스 12-XL25(모두 가야쿠 아쿠조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연쇄 이동제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5.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배합은,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포함하고 있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상기 용제(D)를 포함한다.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1 전형예는, 상기 수지(B)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분산체(A)(또는 상기 액체(C))이다.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2 전형예는, 상기 수지(B)를 포함하는 수지 함유 조성물이다. 이 제2 전형예의 바람직한 태양은, 점착성을 갖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점착제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는 분산되어 있다.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 근적외선 흡수능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가시영역의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점착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피착체에 대해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는(분산상태에 있는) 경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쉬운 반면,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석출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근적외선 흡수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에서는,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이 억제될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B)가,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수지(B)는,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B)의 존재에 기인하여, 디이모늄 색소의 입자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 이동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수지(B)의 존재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 및 변질(화학변화)이 억제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억제에 의해, 근적외선 흡수능이 유지되기 쉽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 억제 및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B)의 함유 비율 Rb는,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9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B)의 함유 비율이 자니치게 큰 경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취급성이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 상기 함유 비율 Rb는, 6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는, 다른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첨가되어도 된다. 병용될 수 있는 다른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는, 공지의 시아닌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스쿠아릴륨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금속 디티올 착체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디이모늄계 색소, 무기 산화물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색소(디이모늄 색소 이외의 색소)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에 대해 켄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색소이다. 켄쳐 효과란, 여기상태에 있는 활성 분자를 탈여기시키는 효과이다. 디이모늄 색소 분자, 디이모늄 음이온 또는 디이모늄 양이온을 탈여기하여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다른 색소가 바람직하다. 켄쳐 효과의 관점에서, 이 다른 색소로서, 프탈로시아닌계 색소가 바람직하고, 중심 금속이 바나듐인 프탈로시아닌 색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박형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이모늄 색소와 함께 최대 흡수 파장이 800~950 nm인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최대 흡수 파장이 800~950 nm인 시아닌계 색소 또는 최대 흡수 파장이 800~950 nm인 금속 디티올 착체계 색소가 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병용에 의해, 800~1100 nm의 근적외선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내구성이 양호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얻는 관점에서, 프탈로시아닌 색소가 병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로서, 상품명 이엑스칼라 IR-10A, 이엑스칼라 IR-12, 이엑스칼라 IR-14, 이엑스칼라 IR-906, 이엑스칼라 IR-910, TX-EX-820 및 TX-EX-915(모두 니폰 쇼쿠바이 제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의 시아닌계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시아닌계 색소는 근적외선 흡수능이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인돌륨계 양이온 또는 벤조티아졸륨계 양이온과, 상대 음이온(counter anion)으로 되는 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메리칸 다이소스사 제조의 ADS812MI, FEW 케미컬사 제조의 S0712, FEW 케미컬사 제조의 S0726, 아메리칸 다이소스사 제조의 ADS780MT, FEW 케미컬사 제조의 S0006, FEW 케미컬사 제조의 S0081, FEW 케미컬사 제조의 S0773, FEW 케미컬사 제조의 상품명S0772, FEW 케미컬사 제조의 상품명 S0734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아닌계 색소를 사용함으로써 가시영역의 투명성이 높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량, 또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와 그 밖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합계한 배합량은, 색소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10~30 ㎛의 박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합비율 Rp는, 수지의 고형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이다. 예를 들면, 디이모늄 색소와 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병용하는 경우, 이들의 색소를 합계한 배합비율 Rp는, 수지의 고형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이다. 배합비율 Rp가 0.01 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근적외선 흡수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10 질량%를 초과하면, 첨가에 걸맞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효과적이지 못할뿐 아니라, 반대로 가시영역에서의 투명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상기 배합비율 Rp가 높게 된 경우, 이하의 효과가 나타난다.
(효과 1) 근적외선 흡수능의 경시 열화가 억제된다.
(효과 2)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다.
(효과 3) 도공방법의 선택지가 확대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합비율 Rp가 높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동일한 근적외선 흡수능을 얻기 위한 도공 두께가, 보다 얇게 될 수 있다.
(효과 4) 보관 스페이스가 작아도 된다.
실시예에 의한 평가(후술)에서는, 상기 효과 1 및 상기 효과 2가 나타내어져 있다.
배합비율 Rp를 크게 하는 것(고농도화)은, 디이모늄 색소끼리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고농도화는, 디이모늄 색소와 다른 분자(수지(B)의 분자 등)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고농도화는, 디이모늄 색소의 회합이나 석출, 더 나아가서는 디이모늄 색소와 다른 분자(수지(B) 등)의 반응을 진행하기 쉽게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의외로, 상기 고농도화가,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 및 분산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들 관점에서, 상기 배합비율 Rp는,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9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7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농도 Ct1은 한정되지 않는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 및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이 농도 Ct1은,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9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제성의 관점에서, 이 농도 Ct1은,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농도 Ct1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질량에 대한, 디이모늄 색소의 질량의 비율이다.
상기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 적용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가시영역의 투명성 및 근적외선 흡수능의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지(B)가 점착제인 경우, 양호한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가시광을 흡수하는 새소가 첨가되어도 된다. 가시광을 흡수하는 색소로서는, 시아닌계, 프탈로시아닌계, 나프탈로시아닌계, 포르피린계,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금속 디티올 착체계, 스쿠아릴륨계, 아줄레늄계, 디페닐메탄계, 트리페닐메탄계, 옥사진계, 아진계, 티오피릴륨계, 비오로겐계, 아조계, 아조 금속 착체계, 비스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페릴렌계, 인단트론계, 니트로소계, 인디코계, 아조메틴계, 크산텐계, 옥사놀계, 인도아닐린계, 퀴놀린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등, 종래 공지의 색소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 적용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PDP용의 광학 필터로서 사용되는 경우, 불필요한 네온 발광을 흡수하기 위해 최대 흡수 파장이 550~650 nm인 가시 흡수 색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온 발광을 흡수하는 색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시아닌 색소, 테트라아자포르피린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데카 아쿠르즈 TY-102(아데카 공업사 제조), 아데카크루즈 TY-14(아데카 공업사 제조), 아데카크루즈 TY-15(아데카 공업사 제조), TAP-2(야마다 화학공업 제조), TAP-18(야마다 화학공업 제조), TAP-45(야마다 화학공업 제조), 상품명 NK-5451(하야시바라 생물화학연구소 제조), NK-5532(하야시바라 생물화학연구소 제조), NK-5450(하야시바라 생물화학연구소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네온 발광을 흡수하기 위한 색소의 첨가량은, 색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투과율이 20~80% 정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로 되는 박막의 색조를 조정하기 위해, 조색용 가시광 흡수 색소를 첨가해도 된다. 조색용 색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2 크롬 착체, 1:2 코발트 착체, 구리프탈로시아닌, 안트라퀴논, 디케토피롤로피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라졸블루 GN(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블루 BL(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레드 2B(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레드 G(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블랙 CN(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옐로 2GLN(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오라졸옐로 2RLN(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마이크로리스 DPP 레드 B-K(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 적용된 상기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 적용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성능을 상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희석용제(E)나 첨가제, 경화제를 1종 도는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희석용제(E)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코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희석용제(E)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계;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 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단,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디이모늄 색소에 대한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용제가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를 초과하는 용제를 사용한 경우, 디이모늄 분산체가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이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먼저, 디이모늄 색소의 함유 비율이 0.01 질량%, 0.1 질량%, 1.0 질량%, 2.0 질량% 및 5.0 질량%인 5종류의 샘플을 조정하여, 각각 초음파 교반한다. 다음으로, 각 샘플의 각각에 대해서, 잔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잔사는, 여과 후의 여과지 상에 잔사가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한다. 잔사의 유무에 따라, 용해도(Y)가 결정된다. 5.0 질량%의 샘플(및 다른 샘플)에 잔사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용해도(Y)가 5 질량% 이상」으로 판단된다. 5.0 질량%의 샘플에 잔사가 확인된 경우,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으로 판단된다. 0.01 질량%의 샘플에 잔사가 확인된 경우, 「용해도(Y)가 0.01 질량% 미만이다」라고 판단된다. 0.01 질량%의 샘플에 잔사가 확인되지 않고, 또한 0.1 질량%의 샘플에 잔사가 확인된 경우, 「용해도(Y)가 0.01 질량% 이상 0.1 질량% 미만이다」라고 판단된다.
또한, 디이모늄 색소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희석용제(E)로서, 초산에틸 등의 비점이 100℃ 이하인 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시의 도막 외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희석용제(E)로서,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초산부틸 등의 비점이 100~150℃인 용제가 바람직하다. 도막의 내크랙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희석용제(E)로서,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 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비점이 150~200℃인 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함유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필름이나 코팅막 등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종래 공지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첨가제로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점성 조정제, 광택 제거제, 점착 부여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재, 광 안정화제, 소광제, 경화제, 안티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이민계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실란커플링제, UV 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광학용, 농업용, 건축용 또는 차량용 근적외선 흡수재료, 감광지 등의 화상기록재료, 광디스크용 등의 정보기록용 재료, 색소 증감형 태양전지 등의 태양전지, 반도체 레이저광 등을 광원으로 하는 감광재료, 안정(眼精)피로 방지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 적용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특히 필름이나 시트형상으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6. 수지 조성물(P)
수지 조성물(P)은, 상기 수지(B)와 상기 용제(D)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이 수지 조성물(P)이 사용된다.
수지 조성물(P)에 포함되는 수지(B)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상태의 개선 및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 수지 조성물(P)에 있어서의 수지(B)의 배합량은,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수지(B)의 배합량은, 수지 조성물(P)의 질량에 대한, 이 수지 조성물(P)의 불휘발분의 질량의 비율이다.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수지(B)를 많이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P)을 사용한 경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디이모늄 색소의 개선된 분산상태 및 이 디이모늄 색소의 우수한 근적외선 흡수능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배합비율 Rp가 높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사용은, 근적외선 흡수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도막의 박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디이모늄 색소의 분산 안정성의 관점, 및 그 우수한 근적외선 흡수능이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관점에서는, 이 수지 조성물(P)에 있어서의 수지(B)의 배합량은, 전술한 값보다도 더욱 높은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이 수지 조성물(P)에 있어서의 수지(B)의 배합량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65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 점도의 관점에서, 이 수지 조성물(P)에 있어서의 수지(B)의 배합량은 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7.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이다. 이들 방법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이모늄 색소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디이모늄 색소의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7-1. 보존용 중공체
보존용 중공체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상, 이 보존용 중공체는, 중공부와,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를 갖는다. 이 중공부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넣어진다. 전형적인 보존용 중공체는, 밀봉 가능한 용기이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는, 그 내면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인 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예로서, 캔(缶), 플라스틱 드럼, 폴리에틸렌 탱크 등의 수지제 용기 및 유리 용기를 들 수 있다. 캔으로서, 페일관(pail can), 드럼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캔으로서, 일본에서 「一斗缶(잇토칸)」으로 칭해지고 있는, 내용량이 약 18리터인 캔이나, 더욱 작은 용적을 갖는 캔이 예시된다. 이 보존용 중공체의 내용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존시간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다른 예로서, 복합 용기를 들 수 있다. 이 복합 용기는, 외부 용기와, 이 외부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 용기를 갖는다.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내부 용기에 넣어진다. 복합 용기의 일례로서, 외부 용기가 강제(鋼製)이고, 내부 용기가 플라스틱제인 용기가 예시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다른 예로서, 공장 등에서 설치되는 가마나 탱크가 예시된다. 이 가마로서, 반응 가마 및 블렌더 가마가 예시된다. 단시간의 저류(貯留)이더라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존」에 해당한다.
도 1은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일례인 수지제 용기(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2)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다. 용기(2)는, 본체(4)와 밀봉부재(6)를 갖는다. 본체(4)는, 도시되지 않는 개구부를 갖는다. 밀봉부재(6)는, 이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다. 밀봉부재(6)는, 탈착 가능하다. 밀봉부재(6)는, 소위 뚜껑이다. 나사 기구에 의해 이 뚜껑(6)의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6)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될 수 있다.
이 용기(2)의 재질인 수지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예시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이 예시된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수지 중에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수지가 블렌드되어 있어도 된다.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은, 수지 이외여도 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은, 수지 이외의 비금속이 된다.
수지 이외의 상기 비금속으로서,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유리, 고무 등이 예시된다. 상기 FRP로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상기 유리로서, 소다 유리 및 규산염 유리가 예시된다. 이 규산염 유리로서,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및 납 유리가 예시된다.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유리 중에서는, 붕규산 유리가 바람직하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은, 금속이어도 된다. 이 금속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단, 보존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 된다. 환언하자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 된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이 스테인리스강인 경우, 그 내면이 코팅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내면은, 스테인리스강이어도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이 스테인리스강인 경우도, 디이모늄 색소의 보존성이 높다.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인 경우, 그 내면은,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덮인다. 디이모늄 색소는,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과 반응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분산상태에 있는 디이모늄 색소는,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과 반응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과 금속(스테인리스강 이외)의 접촉이 방지된다.
도 2는 본체가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으로 되는 보존용 중공체(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용기(10)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다. 이 용기(10)는, 일본에 있어서 「一斗缶(잇토칸)」으로도 칭해지고 있다. 용기(10)는, 도시되지 않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12)를 갖는다. 밀봉부재(12)는, 탈착 가능하다. 밀봉부재(12)는, 소위 뚜껑이다. 이 뚜껑(12)의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12)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될 수 있다. 밀봉부재(12)에 의한 밀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패킹, 개스킷 등의 봉지부재가 사용된다.
도 3은 용기(10)의 일부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 용기(10)는, 외면(14)과 내면(16)을 갖는다. 외면(14)은, 용기(10)의 본체(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18)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이다. 전형적으로는, 이 본체(18)로서, 함석 또는 틴 프리 스틸이 사용된다. 함석은 주석으로 도금된 철판이다. 틴 프리 스틸은, 냉간압연 강판에 전계 크롬산 처리를 행하고, 표층에 금속 크롬 및 크롬 수화 산화물층을 석출시킨 재료이다. 이 본체(18)의 내측에 내층(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층(20)은 비금속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내층(20)은 수지이다. 이 내층(20)을 구성하는 수지의 일례는, 용기(2)의 재질로서 전술한 수지이다.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내층(20)의 재질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이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내층(20)의 형성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필름의 열융착 및 도장이 예시된다. 용기(10)에 넣어진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내면(16)과 접촉한다. 용기(10)에 넣어진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본체(18)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내면(16)을 구성하는 내층(20)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녹 방지의 관점에서, 본체의 재질이 틴 프리 스틸인 경우, 본체(18)의 외측에 녹 방지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녹 방지층으로서, 광택니스층이 예시된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보존용 중공체(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용기(22)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다. 이 용기(22)는, 도시되지 않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24)를 갖는다. 밀봉부재(24)는 탈착 가능하다. 밀봉부재(24)는, 소위 뚜껑이다. 이 뚜껑(24)의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24)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될 수 있다. 밀봉부재(24)에 의해 밀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패킹, 개스킷 등의 밀봉성 향상을 위한 부재가 사용된다.
도 5는 용기(22)의 일부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 용기(22)는, 외면(26)과 내면(27)을 갖는다. 외면(26)은, 용기(22)의 본체(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28)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본체(28)로서, 틴 프리 스틸이 사용되고 있다. 이 본체(28)의 내측에, 내층(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층(29)은 비금속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내층(29)은 수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층(29)은 복수이다. 구체적으로는, 내층(29)은 3층이다. 이와 같이, 내층(29)의 층 수는 복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층(29)은, 최내층(29a), 중간층(29b) 및 최외층(29c)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내층(29a)은 수지층이다. 중간층(29b)은 수지층이다. 최외층(29c)은 수지층이다. 복수의 수지층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본체에 접촉하는 액시던트는 일어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내층(29a)에 변성 폴리올레핀이 사용되고, 중간층(29b)에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며, 최외층(29c)에 금속 접착성 폴리올레핀이 사용되고 있다. 용기(22)에 넣어진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내면(27)과 접촉한다. 용기(22)에 넣어진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본체(28)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내면(27)을 구성하는 내층(29)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되어 있으나, 녹 방지의 관점에서, 본체(28)의 외측에 녹 방지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녹 방지층으로서, 광택니스층이 예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어도 된다. 이 경우, 내면의 코팅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존용 중공체의 내면이 스테인리스강이어도 된다. 이 스테인리스강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스테인리스강의 종류로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및 석출 경화형 스테인리스가 예시된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로서, SUS403, SUS410, SUS420 및 SUS420J2가 예시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로서, SUS430이 예시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로서, SUS301, SUS304, SUS304L, SUS305, SUS310S 및 SUS316L이 예시된다. 이들은, JIS(일본공업규격)에 준한 표기법이다.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을 억제하는 관점 및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대한 내식성의 관점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SUS304 및 SUS316L이 보다 바람직하며, SUS304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존 또는 이송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 억제 및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 억제의 관점에서, 이 온도는,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게 된 경우, 높은 보존온도에 기인하는 단점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관점에서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0.5 질량% 이상인 경우, 보존 또는 이송에 있어서의 최고온도 Tmax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하계에 있어서의 보존 또는 이송에 있어서, 냉장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최고온도 Tmax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온보존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열화 억제의 관점에서, 상기 배합비율 Rp는,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9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7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색소의 고농도화에 기인하는 상기 효과를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배합비율 Rp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인 경우, 보존 또는 이송에 있어서의 최저온도 Tmin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고온도 Tmax란, 보존 또는 이송의 전기간 중에 있어서의 최고의 온도를 의미한다. 보존 또는 이송의 전기간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가 T1℃~T2℃(T1<T2)의 범위에서 변화한 경우, 상기 최고온도 Tmax는, 상기 온도 T2이다.
고온보존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열화 억제의 관점에서, 상기 배합비율 Rp는, 전술한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저온도 Tmin은, 보존 또는 이송의 전기간 중에 있어서의 최저의 온도를 의미한다. 보존 또는 이송의 전기간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가 T1℃~T2℃(T1<T2)의 범위에서 변화한 경우, 상기 최저온도 Tmin은, 상기 온도 T1이다.
7-2. 이송용 중공체
이송용 중공체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 있어서, 「이송」이란, 이하의 (개념 1) 및 (개념 2)를 포함한다.
(개념 1)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넣어진 중공체를 수송하는 것.
(개념 2)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중공체의 내부를 흘러 이동하는 것.
상기 (개념 1)의 이송용 중공체로서, 수송용 중공체를 들 수 있다. 이 수송용 중공체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어 수송할 때 사용된다. 전형적인 수송용 중공체는, 상기 보존용 중공체와 동일하다.
즉, 수송용 중공체는, 통상, 중공부와,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를 갖는다. 이 중공부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넣어진다. 전형적인 보존용 중공체는, 밀봉 가능한 용기이다.
상기 수송용 중공체는, 그 내면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인 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송용 중공체의 예로서, 캔, 플라스틱 드럼, 폴리에틸렌 탱크 등의 수지제 용기 및 유리 용기를 들 수 있다. 캔으로서, 페일관, 드럼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캔으로서, 일본에서 「一斗缶(잇토칸)」으로 칭해지고 있는, 내용량이 약 18리터인 캔이나, 더욱 작은 용적을 갖는 캔이 예시된다. 이 수송용 중공체의 내용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송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수송수단으로서, 트럭 등의 자동차, 철도, 비행기 및 선박이 예시된다.
전형적인 수송용 중공체로서, 상기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로 나타내어진 용기가 예시된다.
상기 수송용 중공체의 다른 예로서, 복합 용기를 들 수 있다. 이 복합 용기는, 외부 용기와, 이 외부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 용기를 갖는다.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내부 용기에 넣어진다. 복합 용기의 일례로서, 외부 용기가 강제이고, 내부 용기가 플라스틱제인 용기가 예시된다.
다른 수송용 중공체로서, 탱크로리의 탱크, 화물열차 등에 사용되는 액체용 컨테이너, 화물열차용 탱크차의 탱크 등이 예시된다.
상기 (개념 2)의 이송용 중공체로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을 행하는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들 수 있다. 이 설비로서, 배관, 탱크 등이 예시된다. 배관의 전형예로서, 금속제의 본체와, 수지제의 내층을 갖는 관(管)이 예시된다. 이 내층은, 본체의 내면을 덮고 있다. 이 배관을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흐르는 경우, 수지제의 내면에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접촉한다. 이 내면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와 금속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 내면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이 억제된다.
이송중(수송중을 포함한다)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열화 억제 및 디이모늄 색소의 변질 억제의 관점에서, 이 온도는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8. 수송용 곤포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방법이다. 이 수송용 곤포체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넣어진 상기 수송용 중공체를 밀봉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방법은,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
(2)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송용 중공체 내에 넣는 공정,
및
(3)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공정,
을 포함한다.
이 수송용 중공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곤포체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수송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수송용 곤포체의 예로서, 도 1,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용기에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넣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수송용 곤포체는, 공지의 수송수단에 의해 수송된다. 이 수송수단은 한정되지 않고, 트럭 등의 자동차, 철도, 비행기 및 선박이 예시된다.
9.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공정을 다음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공정 1)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1)를 혼합하여,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1)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얻는 공정.
(공정 2) 수지(B)와 용제(D2)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P)을 얻는 공정.
(공정 3)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을 혼합하는 공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보존 또는 이송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합비율 Rp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분산체(A)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및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의 혼합비율이 조정된다. 이 조정에 의해,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 및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값(즉, 배합비율 Rp의 하한값)은 0.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9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7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0. 근적외선 흡수재
본 발명의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근적외선 흡수재에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보존방법 또는 상기 이송방법에 의해, 디이모늄 색소의 열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이 근적외선 흡수재는, 근적외선 흡수능이 우수하다. 이 근적외선 흡수재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필름형상으로 성형한 것이어도 되고, 투명기재 상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막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투명기재로서는, 일반적으로 광학재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유리; 시클로폴리올레핀, 비결정질 폴리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계 폴리머; 초산비닐이나 할로겐화비닐 등의 비닐계 폴리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부티랄 수지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릴에테르계 수지; 락톤 고리 함유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그 투명기재에는, 코로나방전처리, 화염처리, 플라즈마처리, 글로방전처리, 조면화처리, 약품처리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한 표면처리나, 앵커 코트제나 프라이머 등의 코팅이 행해져도 된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재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1 ㎛~10 ㎜ 정도가 되나,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또한 근적외선 흡수재에 포함되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함유량도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기재에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는 공지의 도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콤마 코터 등의 나이프 코터, 슬롯 다이 코터, 립 코터 등의 파운텐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 등의 키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리버스 롤 코터 등의 롤 코터, 플로우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바 코터를 들 수 있다. 도포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기재의 표면처리를 행해도 된다. 건조?경화방법으로서는, 열풍, 근적외선, UV 경화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경화 후는 공지의 보호 필름과 함께 권취(捲取)해도 된다.
상기 보존방법 또는 상기 이송방법이 적용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가시영역의 투명성 및 근적외선의 흡수능이 높은 우수한 광학 필터의 구성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보존 또는 이송이 이루어진 후이더라도, 종래의 근적외선 흡수재료와 비교하여 내구성, 특히 내열성 및 내광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간의 보관이나 사용으로도 외관과 근적외선 흡수능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시트나 필름형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박형 디스플레이용이나 광반도체소자용으로 유효하다. 그 밖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은, 적외선을 컷트할 필요가 있는 필터나 필름, 예를 들면 농업용 필름, 단열 필름, 선글래스, 광기록재료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명확해지나, 이 실시예의 기재를 토대로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청액의 흡광도(X)의 측정]
이 흡광도(X)의 측정에서는,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였다. 그 후, 이 혼합액의 상청액을 광로장 1 ㎜의 셀에 넣고 측정이 이루어졌다. 광로장 1 ㎜의 셀은 석영제이다. 측정은 자외 가시 분광광도계에 의해 행해졌다. 이 자외 가시 분광광도계로서,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UV-3100이 사용되었다. 측정범위는 350 nm 이상 1500 nm 이하로 되었다. λmax란, 측정된 파장범위에 있어서 흡광도가 최대가 되는 파장을 의미한다. 흡광도는, 투과율을 T(%)로 할 때,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흡광도=-log(T/100)
상기 흡광도(X)의 측정에 있어서, 혼합방법 및 상청액의 채취방법은, 이하와 같다. 먼저,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 50 밀리리터가 만들어진다. 이 혼합에 사용되는 혼합용기는, 스크류캡(screw cap) 병이다. 이 스크류캡 병의 외경은 40 ㎜이고, 높이는 75 ㎜이다. 이 혼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50 밀리리터의 혼합액의 액면(액의 최상면)의 높이는 50 ㎜이다. 이 혼합액을 초음파 처리하고, 추가로 1시간 이상 정치한 후, 액면(액의 최상면)에서 5 ㎜까지의 부분의 상청액이 채취되어, 측정에 사용되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정치된 후의 상기 혼합액에 있어서, 혼합용기의 바닥면에는, 용해되지 않은 디이모늄 색소가 침전되어 있다. 이 측정에 있어서, 용제(D)의 온도는, 25℃가 된다. 초음파의 부여에는, 브란손(BRANSON)사 제조의 탁상형 초음파 세정기(상품명「브란소니크 3510J-DTH」)가 사용되었다. 이 탁상형 초음파 세정기의 탱크에 물을 가득 채우고, 이 물이 가득 채워진 탱크 안에 상기 혼합용기를 배치하여, 40000 Hz 이상(42 kHz)의 주파수로 탱크를 진동시켜서, 상기 혼합용기 주의 혼합액에 초음파를 부여하였다.
[용해도(Y)의 측정방법]
전술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의 평가]
후술되는 시험체를 사용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UV-3700(시마즈 제작소 제조)을 사용하여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350~1500 nm의 파장범위에 있어서의 λmax를 결정하였다. 시험 전의 λmax와 시험 후의 λmax의 차를 계산하고, 이 차의 절대값을 구하였다. 이 절대값을 토대로, 이하의 평가기준에 의해,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을, 「○」「△」 및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에 나타내어져 있다.
○: 시험 전후의 λmax의 차의 절대값이 10 nm 이하(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이 우수하다.).
△: 시험 전후의 λmax의 차의 절대값이 10 nm를 초과하고 30 nm 이하(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이 조금 우수하다.).
×: 시험 전후의 λmax의 차의 절대값이 30 nm를 초과하고 있다(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이 떨어진다.).
[액안정성의 평가]
보존시험의 전후에 있어서의 분산액 또는 점착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기준에 의해, 액안정성을, 「○」「△」 및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에 나타내어져 있다.
○: 시험 전후에서 비교하면, 액의 색이 동등하고, 색소의 석출물이 보이지 않는다.
△: 시험 전후에서 비교하면, 액의 색이 약간 상이하고, 용기의 바닥에 석출물이 약간 보인다.
×: 시험 전후에서 비교하면, 액의 색이 크게 다르고, 용기의 바닥에 석출물이 많이 보인다.
또한, 소정의 시험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액과 접촉하고 있는 용기 내면에 녹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시험이 중지되었다. 이 경우, 하기의 표에 「시험 중지」로 표시되어 있다.
합성예 1:
[디이모늄 화합물 a1의 합성 및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의 제작]
DMF 30부 중에, N,N,N',N'-테트라키스(아미노페닐)-p-페닐렌디아민 3.8부, iso-부틸브로마이드 21부 및 탄산칼륨 15부를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추가로 90℃에서 7시간, 추가로 13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여과하고, 이 반응액(여액)에 이소프로판올 30부를 첨가하고, 5℃ 이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메탄올로 세정한 후, 건조하여, 엷은 갈색의 결정상 화합물 2.5부를 얻었다. DMF 10부 중에 상기 결정상 화합물 1부를 첨가하고, 60℃로 가열하여 이 결정상 화합물을 용해시킨 액체 A1을 얻었다. DMF 10부에 육플루오르화안티몬산은 0.78부를 용해시켜서 얻어진 액체 B1을, 상기 액체 A1에 첨가하고, 30분 반응시켰다. 냉각 후, 석출된 은을 여과 분별하였다. 이 반응액(여액)에 물 10부를 천천히 적하하고, 적하 후 15분 교반하였다. 생성된 흑색 결정을 여과하고, 50부의 물로 세정하여, 얻어진 케이크(잔사)를 건조하고, 0.5부의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N,N,N',N'-테트라키스(p-디(iso-부틸)아미노페닐)-p-페닐렌디이모늄(이하, 화합물 a1이라고도 한다)을 얻었다. 이 화합물 a1은,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의, R1~R8이 모두 iso-부틸기이며, 또한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의 Z-가 [SbF6 -]인 디이모늄염(디이모늄 색소)이다. 이 화합물 a1의 상기 흡광도(X)를 측정한 바, 용매가 톨루엔인 경우가 0.070(λmax는 1088 nm)이고, 용매가 초산에틸인 경우가 0.113(λmax는 1069 nm)이었다. 이 화합물 a1의 상기 용해도(Y)를 측정한 바, 용매가 톨루엔인 경우 0.01 질량% 미만이고, 용매가 초산에틸인 경우 0.01 질량% 미만이었다.
상기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5부의 상기 화합물 a1, 95부의 초산에틸 및 250부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900 ㎖의 마요네즈병에 넣고, 페인트 쉐이커로 4시간 진탕한 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여과 분별하여, 화합물 a1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혼합액 1을 얻었다. 또한, 지르코니아 비드는 닛카트사 제조이고, 그 입자경은 300 ㎛였다.
합성예 2:
[디이모늄 화합물 b1의 합성 및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2의 제작]
디메틸포름아미드(DMF) 36부 중에, N,N,N',N'-테트라키스(p-디(iso-부틸)아미노페닐)-p-페닐렌디아민 6부를 첨가하고, 60℃로 가열 용해하였다. 그 후,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탄 58.4% 수용액 10.1부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DMF 35부에 용해한 질산은 2.32부를 첨가하고, 30분간 가열 교반하였다. 불용해분을 여과 분별한 후,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 메탄올 세정, 수세 및 건조하여, 8.4부의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티드산-N,N,N',N'-테트라키스(p-디(iso-부틸)아미노페닐)-p-페닐렌디이모늄(이하, 화합물 b1이라고도 한다)을 얻었다. 이 화합물 b1은, 상기 화학식 1S에 있어서의, R1~R8이 모두 iso-부틸기이며, 또한 상기 화학식 1S에 있어서의 Z-가 [(CF3SO2)3C-]인 디이모늄염(디이모늄 색소)이다. 이 화합물 b1의 상기 흡광도(X)는, 용매가 톨루엔인 경우가 0.138(λmax는 1096 nm)이고, 용매가 초산에틸인 경우가 0.239(λmax는 1081 nm)였다. 이 화합물 b1의 상기 용해도(Y)를 측정한 바, 용매가 톨루엔인 경우가 0.01 질량% 미만이고, 용매가 초산에틸인 경우 0.01 질량% 미만이었다.
상기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5부의 상기 화합물 b1, 95부의 초산에틸 및 250부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900 ㎖의 마요네즈병에 넣고, 페인트 쉐이커로 4시간 진탕한 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여과 분별하여, 화합물 b1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2를 얻었다. 또한, 지르코니아 비드는 닛카트사 제조이고, 그 입자경은 300 ㎛였다.
합성예 3:
[점착제 수지의 합성]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360.6 g), 부틸아크릴레이트(60 g),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156 g), 아크릴산(18 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5.4 g)를 칭량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중합성 모노머 혼합물(1a)을 얻었다.
160 g의 초산에틸과, 300 g의 중합성 모노머 혼합물(1a)을,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관, 환류냉각기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넣었다. 또한, 상기 적하 깔때기에, 300 g의 중합성 모노머 혼합물(1a), 16 g의 초산에틸 및 0.15 g의 나이퍼 BMT-K40(중합개시제, 일본 유지사 제조)을 넣고, 잘 혼합하여, 적하용 혼합물(1a)로 하였다.
질소가스를 20 ㎖/분으로 유통시키면서, 플라스크의 내온을 95℃까지 상승시키고, 중합개시제인 나이퍼 BMT-K40(0.15 g)을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을 개시시켰다. 중합개시제의 투입으로부터 30분 후에, 적하 깔때기로부터의 적하용 혼합물(1a)의 적하를 개시하였다. 적하용 혼합물(1a)은 90분에 걸쳐 균등하게 적하되었다. 적하용 혼합물(1a)의 적하 종료 후, 점도의 상승에 따라 초산에틸로 희석을 적절히 행하면서, 환류온도를 유지하면서 6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불휘발분이 약 45%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반응액을 희석하고, 계산 유리 전이 온도(Tg)가 -38.5℃, 계산 용해성 파라미터가 9.08인 수지(1a)를 얻었다. 이 수지(1a)는, 점착제 수지였다. 수지(1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3만이고, 수지(1a)의 산가는 23.4였다.
합성예 4: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의 제작]
상기 합성예 1에 의해 얻어진 5부의 상기 화합물 a1, 95부의 초산에틸, 0.25부의 음이온계 분산제(빅케미?재팬사 제조의 상품명「Disperbyk111」) 및 250부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900 ㎖의 마요네즈병에 넣고, 페인트 쉐이커로 4시간 진탕한 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여과 분별하여, 화합물 a1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을 얻었다. 또한, 지르코니아 비드는 닛카트사 제조이고, 그 입자경은 300 ㎛였다.
합성예 5:
[점착제 수지의 합성]
상기 합성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반응이 이루어졌다. 반응종료 후의 희석비율만이 변경되었다. 반응종료 후, 불휘발분이 약 65%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반응액을 희석한 것 외에는 상기 합성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1b)를 얻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 2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분산체가 된 경우의 평가를 나타낸다. 한편, 실시예 11~20 및 비교예 3, 4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된 경우의 평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을 사용하였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을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니치 제관사 제조)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25℃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의 각각에 대해서, 시험체가 제작되었다. 이 시험체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관기간 경과 후의 상기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수지(1a)를, 고형분 중량비로 1:100(1 질량부의 분산액 1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a)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25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분산액 시험용 액체를 얻었다.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이 분산액 시험용 액체를, 이접착(易接着) 처리 PET 필름(도요 보세키사 제조, 코스모샤인 A4300) 상에 도공하였다. 도공시의 두께는, 건조 후의 도포층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어서, 100℃의 열풍순환 오븐 중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이 건조 후의 도포층을 유리판에 첩부(貼付)하여, 시험체를 얻었다. 따라서, 시험체는 3종류 제작되게 된다. 이들 3종류의 시험체란, 7일 경과 후의 분산액 1의 시험체, 14일 경과 후의 분산액 1의 시험체 및 28일 경과 후의 분산액 1의 시험체이다. 이들의 시험체에 대해서,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11 및 비교예 1, 2]
표 1에서 나타내어지는 사양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양 및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실시예 10에서는,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분산액 1 대신에,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어진 분산액 2가 사용되었다.
[실시예 a]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을 사용하였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을 코팅캔(상품명「T40 광택니스尼 30호 크라운캔」)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25℃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분산액 3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b]
상기 코팅캔이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닛폰 재관사 제조)로 변경되고, 또한, 보존온도가 25℃에서 50℃로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12]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수지(1a)를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수지(1a)를, 고형분 중량비로 1:100(1 질량부의 분산액 1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a)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40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을 얻었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을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닛폰 제관사 제조)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25℃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의 각각에 대해서, 시험체가 제작되었다. 이 시험체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관기간 경과 후의 상기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을, 고형분이 25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점착제 시험용 액체를 얻었다.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이 점착제 시험용 액체를, 이접착 처리 PET 필름(도요 보세키사 제조, 코스모샤인 A4300) 상에 도공하였다. 도공시의 두께는, 건조 후의 도포층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어서, 100℃의 열풍순환 오븐 중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이 건조 후의 도포층을 유리판에 첩부(貼付)하여, 시험체를 얻었다. 따라서, 시험체는 3종류 제작되게 된다. 이들 3종류의 시험체란, 7일 경과 후의 점착제 1의 시험체, 14일 경과 후의 점착제 1의 시험체 및 28일 경과 후의 점착제 1의 시험체이다. 이들의 시험체에 대해서,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13~20, 실시예 22 및 비교예 3, 4]
표 2에서 나타내어지는 사양 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양 및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1]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2와,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수지(1a)를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2와 수지(1a)를, 고형분 중량비로 1:100(1 질량부의 분산액 2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a)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40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2를 얻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1 대신에 이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2가 사용된 것 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c]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과,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수지(1a)를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3과 수지(1a)를, 고형분 중량비로 1:100(1 질량부의 분산액 3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a)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40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3을 얻었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3을 코팅캔(상품명「T40 광택니스尼 30호 크라운캔」)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25℃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점착제 3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d]
상기 코팅캔이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닛폰 재관사 제조)로 변경되고, 또한, 보존온도가 25℃에서 50℃로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c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3]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상기 합성예 5에서 얻어진 수지(1b)를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수지(1b)를, 고형분 중량비로 5:100(5 질량부의 분산액 1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b)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40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4를 얻었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4를 코팅캔(상품명「T40 광택니스尼 30호 크라운캔」)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25℃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점착제 4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4]
보존온도가 25℃에서 40℃로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5]
상기 코팅캔이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닛폰 재관사 제조)로 변경되고, 또한, 보존온도가 25℃에서 50℃로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5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26]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상기 합성예 5에서 얻어진 수지(1b)를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흡수 분산액 1과 수지(1b)를, 고형분 중량비로 3:100(3 질량부의 분산액 1 고형분에 대해, 100 질량부의 수지(1b)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형분이 40 질량%가 되도록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5를 얻었다. 0.5 ㎏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5를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다이닛폰 제관사 제조)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봉상태로 하여, 50℃의 항온실에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7일, 14일 및 28일의 3종류로 하였다.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28일 경과 후의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5의 각각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어진다.
하기의 표 4에는,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사용된 보존용 중공체(용기)의 일람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중, 라미네이트캔 A(상품명「하이브리드 1.3 L캔」)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단, 본체의 외측에는, 녹 방지층으로서의 광택니스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캔 B(상품명「에프티캔」)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2층 구조의 외측에 녹 방지층(광택니스층)이 설치된 3층 구조로, 본체의 재질은 틴 프리 스틸이고, 내층은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플라스틱 용기(상품명「5BL」)는, 그 내면도 포함하여, 재질이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또한, 코팅캔(상품명「T40 광택니스尼 30호 크라운캔」)은 3층 구조로, 본체의 외측에 녹 방지층(광택니스층)을 갖고, 본체의 재질은 틴 프리 스틸이며, 내층의 재질은 에폭시 수지이다. 이 내층의 에폭시 수지는, 본체에 소부(燒付) 도장되어 있다. 또한, 붕규산 유리 용기(상품명「프리미엄 보틀」)는, 그 내면 및 본체의 재질이 붕규산 유리이다. 또한, 스틸캔(상품명「雜缶 1KG, 요세츠(190H) 캔엑셀」)은, 그 내면 및 본체의 재질이 틴 프리 스틸이고, 본체의 외측에 녹 방지층(광택니스층)을 갖는다. 또한, SUS304제 용기(상품명「스텐 보틀」)는, 그 내면 및 본체의 재질이 SUS304이다.
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평가가 높다.
실시예 23에서는, 실시예 16과 비교하여,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다. 이 실시예 23은, 실시예 16보다도 고평가이다. 실시예 24에서는, 실시예 23과 비교하여, 보존온도가 높다. 보존온도가 40℃로 높게 된 경우이더라도, 실시예 24는, 실시예 16보다도 고평가이다.
실시예 25의 보존온도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50℃이다. 실시예 25에서는, 실시예 22와 비교하여,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다. 이 실시예 25는, 실시예 22보다도 고평가이다. 실시예 26에서도, 보존온도는 50℃이다. 이 실시예 26은, 실시예 22와 비교하여, 고평가이다. 실시예 25와 비교하면, 실시예 26은 평가가 낮다.
실시예 23~실시예 2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게 되는 것이, 근적외선 흡수능의 유지성 및 액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높게 됨으로써, 고온하에 있어서의 보존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들의 평가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위성은 명확하다.
이상 설명된 방법은,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및 이송(수송을 포함한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9)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포함하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0.01 질량% 미만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이 수지 또는 유리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수지(B)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B)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0.5 질량% 이상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1)를 혼합하여,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1)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얻는 공정과,
수지(B)와 용제(D2)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P)을 얻는 공정과,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을 혼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되는 방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최고온도 Tmax가 40℃ 이상인 방법. -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0.01 질량% 미만이고,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이모늄 양이온을 갖는 제1항에 기재된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화학식 1]
단, 화학식 1 중, R1~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존중 또는 이송중에 있어서의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온도가 40℃ 이하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체(A)가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디이모늄 색소와, 그 디이모늄 색소에 대한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인 용제(D)가 혼합된 액체(C)를 포함하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C)가, 상기 디이모늄 색소와, 상기 용제(D)와, 음이온계 분산제가 혼합된 액체인 방법.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인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상기 용제(D)와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모늄 색소가 분산되어 있는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보존용 중공체 또는 이송용 중공체에 넣어 보존 또는 이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에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넣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중공체 또는 상기 이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에는,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가 혼합되어 있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 또는 이송의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체(A)가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개구부를 갖는 수송용 중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을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송용 중공체 내에 넣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송용 중공체의 내면의 재질이, 비금속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이,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포함하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수송용 곤포체(梱包體)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D)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용해도(Y)가 5 질량% 미만이고,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상기 용제(D)에 대해 0.01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정하고, 이 혼합액을 30분간 초음파 처리 후, 1시간 이상 정치하여 측정된 이 상청액의 흡광도(X)가 0.5 이하인 제조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도(Y)가 0.01 질량% 미만인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체(A)가 음이온계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 보존 또는 이송에 제공되는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디이모늄 색소와 용제(D1)를 혼합하여, 상기 디이모늄 색소를 용제(D1)에 분산시킨 분산체(A)를 얻는 공정과,
수지(B)와 용제(D2)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P)을 얻는 공정과,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을 혼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한 상기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Rp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분산체(A)에 있어서의 디이모늄 색소의 배합비율, 및 상기 분산체(A)와 상기 수지 조성물(P)의 혼합비율이 조정되는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이 0.5 질량%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06189 | 2009-04-24 | ||
JP2009106189 | 2009-04-24 | ||
JP2009162663A JP4426637B1 (ja) | 2009-07-09 | 2009-07-09 | ジイモニウム色素含有組成物の保存方法又は移送方法 |
JPJP-P-2009-162663 | 2009-07-09 | ||
JP2009181996 | 2009-08-05 | ||
JPJP-P-2009-181996 | 2009-08-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0347A true KR20120030347A (ko) | 2012-03-28 |
Family
ID=4301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6661A KR20120030347A (ko) | 2009-04-24 | 2010-04-14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0347A (ko) |
WO (1) | WO201012274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78832A (ja) * | 1985-01-25 | 1986-08-11 | ワシ興産株式会社 | 薬品,食品,染料等の保存用容器 |
JPH07292319A (ja) * | 1994-04-27 | 1995-11-07 | Toyobo Co Ltd | 薬品缶内面塗装用塗料組成物 |
JP4167745B2 (ja) * | 1998-04-08 | 2008-10-22 | アイセロ化学株式会社 | 高純度薬品液用容器および高純度薬品液の排出方法 |
JP3987240B2 (ja) * | 1999-07-05 | 2007-10-03 | 三井化学株式会社 | 赤外光吸収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069658U (ja) * | 1999-12-15 | 2000-06-23 | 株式会社木村理化学製作所 | 高気密保存容器 |
JP2004361733A (ja) * | 2003-06-05 | 2004-12-24 | Mitsubishi Chemicals Corp | 光学フィルター |
JP2005250435A (ja) * | 2004-02-04 | 2005-09-15 | Mitsubishi Chemicals Corp |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
JP2008248126A (ja) * | 2007-03-30 | 2008-10-16 | Toyobo Co Ltd | 近赤外線吸収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フィルター |
-
2010
- 2010-04-14 WO PCT/JP2010/002724 patent/WO20101227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4-14 KR KR1020117026661A patent/KR201200303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122743A1 (ja) | 2010-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1213969A (ja) |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JP6481771B2 (ja) | 粘着剤層、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合わせ構造体、積層体、及び粘着剤組成物 | |
JP4918860B2 (ja) |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タ | |
JP2010502563A (ja) | 近赤外線吸収組成物用塩及び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JPWO2007029508A1 (ja) | 近赤外線吸収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143256B2 (ja) | 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JP2010018773A (ja) |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JP2013241563A (ja) |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る熱線吸収材 | |
JP2015189933A (ja) |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建造物 | |
WO2020022426A1 (ja) | 赤外線遮蔽性積層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 |
KR20110137385A (ko) |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조성물 | |
JP4436888B1 (ja) |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JP2008230969A (ja) | ホウ酸塩及び可視光吸収材料、発光材料 | |
JP4426637B1 (ja) | ジイモニウム色素含有組成物の保存方法又は移送方法 | |
WO2019054479A1 (ja) | 粘着剤層、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合わせ構造体、積層体、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20030347A (ko) | 디이모늄 색소 함유 조성물의 보존방법 또는 이송방법 | |
JPWO2008050725A1 (ja) | 近赤外線吸収色素組成物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及び粘着剤 | |
JP2011037931A (ja) | ジイモニウム色素含有組成物の保存方法又は移送方法 | |
JP2008266439A (ja) | 光学フィルタ用ネオンカット性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タ用ネオンカット性粘着シート、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JP2011052203A (ja) | ジイモニウム色素含有組成物の保存方法又は移送方法 | |
JP2008231325A (ja) | 近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ム | |
JP4948258B2 (ja) |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ム | |
JP2011068780A (ja) |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JP2009203301A (ja) |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 |
KR20110116235A (ko) | 근적외선 흡수 점착제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