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681A -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681A
KR20120027681A KR1020100089414A KR20100089414A KR20120027681A KR 20120027681 A KR20120027681 A KR 20120027681A KR 1020100089414 A KR1020100089414 A KR 1020100089414A KR 20100089414 A KR20100089414 A KR 20100089414A KR 20120027681 A KR20120027681 A KR 20120027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scanning
rotation
implant
scan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641B1 (ko
Inventor
김주석
장동훈
심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0008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6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물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스캐닝 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제조장치에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스캐닝 부재; 및 상기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 또는 호출하는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부재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형에 대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의 회전 방지부에 결합되는 회전방지 대응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를 구성하는 제 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행 절개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device for an impla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물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스캐닝 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란, 보철물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하여 골조직 내부등의 구강 조직에 매식되는 보철 장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임플란트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등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심어 골 융합시킨 뒤 인공 치아를 연결하여 치아 본연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임플란트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 나사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를 턱뼈에 식립하는 1차 시술이 이루어지고, 약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긴 시간을 기다린 후에 최종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임플란트의 하부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나사 형상을 가지며 턱뼈에 대한 식립 위치(높이)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픽스츄어는 환자별 구강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턱뼈에 식립될 수 있다.
픽스츄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에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결합되며 이빨 형상을 가지는 보철물 및 상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보철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보철물 또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은 환자의 구강 환경(형상, 잇몸의 상태, 이빨의 배열)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종래의 임플란트 제조장치에 의하면, 임플란트 부품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디자인함에 있어서, 디자인 단계의 임플란트 형상(또는 크기)과 실제 제작된 임플란트 형상이 불일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잘못 디자인된 임플란트 부품이 환자에 식립되면, 임플란트가 구강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다시 식립 수술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하부 구조물, 특히 픽스츄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물을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임플란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제조 장치에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스캐닝 부재; 및 상기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 또는 호출하는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부재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형에 대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의 회전 방지부에 결합되는 회전방지 대응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를 구성하는 제 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행 절개부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제조 방법에는, 구강 내부의 형상을 구현한 구강 표본에 임플란트의 부품을 배치하여, 임플란트의 형상을 디자인하는 임플란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강 표본에 픽스츄어 모형을 식립하는 단계;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상측에 스캐닝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스캐닝 부재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된 데이터를 상기 CAD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CAD 프로그램에 입력된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의 실제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을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임플란트 제조를 위한 스캐닝 시스템에 있어서, 스캐닝 부재의 구성(형상)에 의하여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픽스츄어의 식립 깊이 또는 방향, 그리고 회전방지부의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의 디자인이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의 디자인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된 어버트먼트와 실제 제작된 어버트먼트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환자의 구강 환경에 맞는 임플란트의 디자인이 가능해지므로, 임플란트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픽스츄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와 픽스츄어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 표본에 임플란트의 부품들이 차례로 식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30)에는, 턱뼈(골조직)(10)에 식립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픽스츄어(40) 및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50)가 포함된다. 상기 어버트먼트(5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30)에는, 상기 어버트먼트(50)의 상측에 결합되며 이빨 형상을 가지는 보철물(6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보철물(60)은 상기 어버트먼트(50)에 지지되어 잇몸(2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5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어버트먼트(50)에는, 상기 픽스츄어(40)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픽스츄어 연결부"와, 상기 픽스츄어(40)의 상단부로부터 잇몸(20)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잇몸 위치부" 및 상기 잇몸(2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구조부"가 포함된다.
상기 어버트먼트(50)의 구조는, 환자의 구강 환경(형상)별로 서로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다. 즉,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를 정확하게 디자인하기 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50)에 결합되는 픽스츄어(40)의 식립된 깊이 또는 방향, 그리고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결합부, 일례로 회전 방지부의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픽스츄어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40)에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41) 및 상기 몸체부(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42)가 포함된다.
이러한 픽스츄어(4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상단부까지 턱뼈에 식립되는 "서브머지드 타입 픽스츄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41)에는,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상단부(4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상단부(46)에는, 상기 어버트먼트(50)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결합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결합부(43)는 상기 제 1 상단부(46)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결합부(43)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43a)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41)의 내측에는, 상기 어버트먼트(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 방지부(45)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45)는 상기 몸체부(41)의 내면을 따라 다각면, 일례로 육각면, 팔각면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50)에는, 상기 회전 방지부(4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 대응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어버트먼트(50)의 외주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2)에는, 상기 몸체부(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나사산(42a) 및 하부에 배치되는 매크로 나사산(42b)이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로 나사산(42a)은, 상기 매크로 나사산(42b)에 비하여 나사산의 크기가 작고 다수의 나사산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50) 및 체결 나사(미도시)가 결합되는 몸체부(41)의 상부는, 하부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나사산(42a)은, 상기 픽스츄어(4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의 하부에는, 절삭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절삭부(44)는, 상기 몸체부(41) 및 매크로 나사산(42b)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40)가 식립되어 골융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골조직은 상기 절삭부(44)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절삭부(44)에 골조직이 채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픽스츄어(4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와 픽스츄어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제조장치에는 스캐닝 부재(10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특정의 디자인 프로그램(300, 도 9 참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은, 환자의 구강 형상 및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형상(치수)를 스캐닝(scanning)하고, 스캐닝된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부품의 형상(치수)에 관한 데이터와 조합함으로써, 완성된 임플란트를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된 데이터는 3D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은 임플란트 부품에 관한 실물 또는 모형의 스캐닝된 형상 또는 치수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세부 부품을 디자인 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은 일례로, "CAD PROGRAM"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부품, 일례로 어버트먼트, 커넥터 또는 보철물등이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가지도록 디자인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40)가 상기 턱뼈(10)에 식립된 위치, 식립된 방향 또는 상기 회전 방지부(45)의 방향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형상 또는 구강에 식립된 일부 임플란트의 부품을 스캐닝함에 있어서, 픽스츄어(40)가 구강 내에 식립된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스캐닝 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러한 픽스츄어(40)의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방향등)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사용된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는,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되어 상기 스캐너에 의하여 스캐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캐닝 부재(100)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2 상단부(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 대응부(14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몸체부(41)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직경(D1)은 상기 몸체부(41)의 상단부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픽스츄어(40)의 외형 또는 외형 직경(외경)은 스캐닝 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된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외형 또는 외경은 스캐닝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외경이 스캐닝 되면, 스캐닝 된 스캐닝 부재(100)의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에 미리 저장된 픽스츄어(40)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 또는 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외형(외경)이 상기 픽스츄어(40)의 외형(외경)에 일치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중심부는 상기 픽스츄어(40)의 중심부에 일치될 수 있다.
결국, 스캐닝 되기 어려운 픽스츄어(40)의 중심부 위치 또는 식립되는 경로는,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스캐닝 데이터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캐닝이 이루어지면, 상기 픽스츄어(40)의 제 1 상단부(46)로부터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제 2 상단부(120)까지의 길이(L1)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길이(L1)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에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픽스츄어(40)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픽스츄어(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위치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의 높이에 관한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제 1 상단부(46)와 상기 턱뼈(10)의 상단부간의 높이 관계, 즉 상기 픽스츄어(40)가 턱뼈(10)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깊이에 식립되었는지 여부(픽스츄어의 식립 깊이)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와 회전방지 대응부(140)의 사이에는, 상기 픽스츄어(40)의 테이퍼부(43a)와 결합되는 테이퍼 결합부(115) 및 상기 픽스츄어(40)의 제 1 상단부(46)에 대응하는 상단 대응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 결합부(115)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 대응부(117)는 상기 스캐닝 부재(100) 중 상기 픽스츄어(40)와 결합되는 상한선을 규정하며, 상기 상단 대응부(117)의 상측 부분은 상기 스캐닝 부재(100) 중 스캐닝 가능한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상기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평행 절개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평행 절개부(150)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단부(120)에는,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재(170)가 삽입되는 체결부재 삽입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부(130)는 상기 제 2 상단부(120)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부(130)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는 헤드 안착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 안착부(135)는, 상기 체결부재(170)의 헤드부(175)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회전 방지부(45)에 대응되는 부분, 즉 회전 방지부(45)와 동일한 형상 및 배치 방향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 방지부(45)가 육각면을 형성한다면,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이에 대응하여 육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회전 방지부(45)가 팔각면을 형성한다면,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팔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상기 어버트먼트(50)의 "회전방지 대응부"를 모델링 한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50)가 상기 픽스츄어(40)에 정확한 방향으로 식립되는 것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의 형상 및 방향은 상기 어버트먼트(50)의 "회전방지 대응부"에 매칭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에는, 다각면 중의 일면이 제 1 면(14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42)은 상기 평행 절개부(15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픽스츄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상기 픽스츄어(4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스캐닝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평행 절개부(150)는 상기 픽스츄어(40) 또는 잇몸(20)의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스캐닝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상기 평행 절개부(150)가 상기 제 1 면(142)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상기 평행 절개부(150)의 배치 방향을 상기 제 1 면(142)의 배치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142)의 배치 방향은, 상기 회전 방지부(45)의 배치 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픽스츄어(40)의 식립 위치 중, 상기 어버트먼트(50)가 결합되는 부분, 즉 회전 방지부(45)의 배치 방향(픽스츄어의 식립 방향 또는 픽스츄어의 내부 형상정보)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추후 상기 어버트먼트(50), 커넥터 또는 보철물(60)의 디자인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가 금속(metal)으로 이루어지면,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너 과정에서, 투사된 빛이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로부터 반사되는 경향이 커지게 되어 정확한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140)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캐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 표본에 임플란트의 부품들이 차례로 식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 표본(200)에 임플란트 부품을 결합하고 스캐닝 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구강 표본(200)은 환자의 구강 형상을 석고등을 이용하여 본을 뜬 형상으로 규정된다. 상기 구강 표본(200)에는, 임플란트 부품이 식립되는 임플란트 삽입부(210) 및 상기 임플란트 삽입부(210) 주변에 위치하는 이빨 모형(20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삽입부(210)는, 잇몸부(205)의 내측에 형성되는 식립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삽입부(210)에 임플란트 부품이 식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 삽입부(210)에 픽스츄어 모형(220)이 식립된 상태에서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에 대한 스캐닝이 이루어지면,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의 외부 형상 또는 치수등에 관한 데이터가 획득되어,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의 상측에 스캐닝 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캐닝 부재(100)는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에 매칭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가 상기 구강 표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100)에 대한 스캐닝이 이루어지면, 스캐닝 된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부재(100)에 관한 데이터는 픽스츄어 모형(220)에 관한 데이터와 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의 식립 위치에 관한 정보, 즉 상기 픽스츄어 모형(220)의 중심 위치(식립 경로), 식립 깊이 또는 식립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석고를 이용하여 본을 뜬 구강 표본(200)을 스캐닝 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는 달리, 환자의 실제 구강내부를 직접 스캐닝 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사용되는 스캐너는 구강 표본(200)을 스캐닝 하는 스캐너와 다를 것이다.
도 9에는, 디자인 프로그램(300)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 표본(200)에서 스캐닝 된 데이터를 저장 및 호출하고, 임플란트의 부품을 디자인 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300)이 실행되면, 구강 표본(200)의 스캐닝 된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창(310)이 활성화 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상에서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특정 화면을 통하여 데이터의 입력 또는 데이터의 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픽스츄어의 형상 및 이에 대응하는 스캐닝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는 픽스츄어(340)에는, 원주면에 나사부(34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절삭부(344)가 형성되는 몸체부(341) 및 상기 몸체부(341)의 상측에 제공되는 회전 방지부(345)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345)는 상기 몸체부(341)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상단부(346)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 방지부(345)의 내측에는 어버트먼트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픽스츄어(340)는, 상기 제 1 상단부(346)의 하측 부분이 상기 턱뼈(10)에 식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입을 "익스터널 타입 픽스츄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340)에 결합되는 스캐닝 부재(400)에는, 상기 몸체부(3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410) 및 상기 몸체부(4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평행 절개부(450)가 포함된다.
상기 스캐닝 부재(400)의 제 2 상단부(420)에는, 상기 스캐닝 부재(400)를 상기 픽스츄어(340)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부재 삽입부(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부(345)에 대응하는 회전방지 대응부(440) 및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440)에 형성되며 체결부재의 헤드 부분이 안착되는 헤드 안착부(435)가 형성된다.
상기 스캐닝 부재(400)는 상기 회전 방지부(345)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440)는 상기 회전 방지부(345)에 맞춰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400)와 픽스츄어(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단부(346)는 상기 스캐닝 부재(400)의 상단 대응부(416)에 접하게 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440)에는, 상기 평행 절개부(450)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 1 면(442)이 포함된다. 스캐닝 된 평행 절개부(450)에 관한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제 1 면(442) 또는 회전방지 대응부(440)의 형상 또는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540)에는, 나사부(542)를 가지는 몸체부(541) 및 상기 몸체부(541)의 상측에 형성되는 잇몸 대응부(543)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541)는 턱뼈(10)에 식립되며, 상기 잇몸 대응부(543)는 잇몸(20)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상기 잇몸 대응부(543)의 상단에는, 상기 픽스츄어(54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상단부(54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단부(546)의 내측에는, 어버트먼트(50) 또는 스캐닝 부재(600)가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 방지부(545)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545)는 상기 제 1 상단부(546)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방지부(545)는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픽스츄어는 "인터널 타입 픽스츄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600)에는, 다수의 평행 절개부(650)를 가지는 몸체부(610) 및 상기 몸체부(6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방지 대응부(640)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640)는 상기 잇몸 대응부(5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방지부(545)에 대응 결합된다.
상기 스캐닝 부재(600)의 제 2 상단부(620)에는, 상기 스캐닝 부재(600)를 상기 픽스츄어(540)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부재 삽입부(63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640) 중 제 1 면(642)은 상기 평행 절개부(65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540)와 스캐닝 부재(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캐닝 부재(600)의 상단 대응부(646)는 상기 제 1 상단부(546)에 접하게 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640) 또는 제 1 면(642)은 상기 상단 대응부(646)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1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740)에는 어버트먼트(7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760)의 상측에는 스캐닝 부재(800)가 결합된다.
상기 픽스츄어(740)의 상면부에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 1 상단부(746)가 형성되며, 상기 스캐닝 부재(800)의 하부는 상기 제 1 상단부(746)에 결합된다.
상기 스캐닝 부재(800)에는, 상기 제 1 상단부(746)에 대응되는 상단 대응부(846)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 대응부(846)는 상기 스캐닝 부재(80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760)의 상부 외주면에는 커넥터 회전방지부(76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회전방지부(762)는 임플란트 부품 중 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전방지부(762)는 상기 제 1 상단부(746)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픽스츄어(740)와 어버트먼트(760)가 결합된 상태의 형상은 제 2 실시예의 픽스츄어 형상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800)에는, 몸체부(810), 제 2 상단부(820), 체결부재 삽입부(830) 및 평행 절개부(850)가 포함된다. 이들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하다.
상기 몸체부(810)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 회전방지부(762)에 대응하는 회전방지 대응부(84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840)의 제 1 면(842)은 상기 평행 절개부(85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전방지부(762)는 상기 스캐닝 부재(8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8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부재(800)가 상기 어버트먼트(76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캐닝 부재(800)의 스캐닝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픽스츄어(740) 및 어버트먼트(760)의 식립 위치정보, 즉 식립 경로, 식립 깊이, 식립 방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버트먼트(760)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디자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30 : 임플란트 40 : 픽스츄어
43 : 어버트먼트 결합부 45 : 회전 방지부
50 : 어버트먼트 60 : 보철물
100 : 스캐닝 부재 110 : 몸체부
140 : 회전방지 대응부 170 : 체결부재
200 : 구강 표본 300 : 디자인 프로그램

Claims (16)

  1. 골조직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스캐닝 부재; 및
    상기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 또는 호출하는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부재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형에 대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의 회전 방지부에 결합되는 회전방지 대응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를 구성하는 제 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행 절개부가 포함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부재가 스캐닝 된 후,
    상기 몸체부의 중심은 상기 픽스츄어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부재가 스캐닝 된 후,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스캐닝 부재의 상단부까지의 높이값과, 상기 픽스츄어에 관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스캐닝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부재가 스캐닝 되는 과정에서 상기 평행 절개부는 스캐닝 되며,
    상기 평행 절개부의 스캐닝 된 배치 방향은 상기 제 1 면의 배치 방향으로 인식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의 스캐닝 과정은,
    환자의 구강 모형 또는 환자의 실제 구강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 방지부는 다각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회전 방지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부재를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캐닝 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부재 삽입부가 형성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절개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가 골조직에 식립되는 서브머지드 타입이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상기 회전 방지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돌출되는 익스터널 타입이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회전 방지부를 수용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몸체부와, 잇몸에 배치되는 잇몸 대응부를 가지는 인터널 타입이며,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잇몸 대응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는 커넥터의 회전을 방지하는 커넥터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상기 커넥터 회전방지부를 수용하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대응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제조장치.
  14. 구강 내부의 형상을 구현한 구강 표본에 임플란트의 부품을 배치하여, 임플란트의 형상을 디자인하는 임플란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강 표본에 픽스츄어 모형을 식립하는 단계;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상측에 스캐닝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스캐닝 부재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된 데이터를 상기 CAD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CAD 프로그램에 입력된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임플란트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정보에는,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중심 위치, 식립된 깊이 또는 식립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임플란트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 모형의 식립된 방향은,
    상기 스캐닝 부재에 형성되는 평행 절개부의 배치 방향과 일치되는 임플란트 제조방법.
KR1020100089414A 2010-09-13 2010-09-13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14A KR101214641B1 (ko) 2010-09-13 2010-09-13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14A KR101214641B1 (ko) 2010-09-13 2010-09-13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81A true KR20120027681A (ko) 2012-03-22
KR101214641B1 KR101214641B1 (ko) 2012-12-21

Family

ID=461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414A KR101214641B1 (ko) 2010-09-13 2010-09-13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84B1 (ko) * 2012-04-18 2013-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코드지그
KR101359377B1 (ko) * 2012-03-30 2014-02-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1417980B1 (ko) *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50042279A (ko) * 2012-08-13 2015-04-20 캄로그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에이지 이차 부품, 세트, 치아 이식물, 잇몸 형성구, 인상 부품, 치아 이식 시스템, 및 이식물 제조 방법
KR101527643B1 (ko) * 2012-06-06 2015-06-09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용 인공 유사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328904B1 (ko) 2020-09-18 2021-1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정확도 판정 장치 전용 스캔 바디
KR20220117928A (ko) 2021-02-16 2022-08-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KR102458008B1 (ko) * 2022-04-27 2022-10-24 (주)덴탈릭스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및 바이트지그 기능을 동시에 겸비한 구강스캔바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105B1 (ko) * 2013-09-26 2014-11-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의 제조방법
WO2015111766A1 (ko) * 2014-01-22 2015-07-30 김도현 환자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작방법
KR101790839B1 (ko) 2015-01-14 2017-10-26 오세만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2419A1 (de) * 2006-11-07 2008-05-08 Aepsilon Rechteverwaltungs Gmbh Verfahren zum Erfassen von Implantaten
JP5986747B2 (ja) 2009-02-26 2016-09-06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インプラントの位置及び配向を指示するための装置
KR100950022B1 (ko) * 2009-08-13 2010-03-29 송경준 환자 맞춤형 지대주 제작을 위한 인텍스 지대주
KR101075394B1 (ko) 2010-02-19 2011-10-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77B1 (ko) * 2012-03-30 2014-02-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1320484B1 (ko) * 2012-04-18 2013-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코드지그
KR101527643B1 (ko) * 2012-06-06 2015-06-09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용 인공 유사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50042279A (ko) * 2012-08-13 2015-04-20 캄로그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에이지 이차 부품, 세트, 치아 이식물, 잇몸 형성구, 인상 부품, 치아 이식 시스템, 및 이식물 제조 방법
KR101417980B1 (ko) *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WO2015030281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TWI634874B (zh) * 2013-08-26 2018-09-11 迪斯艾公司 用於植體之掃描體以及包含其之植體組件
KR102328904B1 (ko) 2020-09-18 2021-1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정확도 판정 장치 전용 스캔 바디
KR20220038304A (ko) 2020-09-18 2022-03-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정확도 판정 장치 및 판정 방법
KR20220117928A (ko) 2021-02-16 2022-08-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KR102458008B1 (ko) * 2022-04-27 2022-10-24 (주)덴탈릭스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및 바이트지그 기능을 동시에 겸비한 구강스캔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641B1 (ko) 201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41B1 (ko)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27869B2 (en) Attachment members with internally located radiopaque information markers for CT scan
CN108135676B (zh) 具有可扫描特征的愈合帽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8177556B2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101726706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JP5931075B2 (ja) 患者固有の歯科用フィクスチャー嵌合配置を提供する方法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546531B1 (ko)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59377B1 (ko)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1659323B1 (ko)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150056819A (ko) 최종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일시적 치과 보철물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AU2014347410A1 (en) Guide stent for dental implant
KR101731541B1 (ko) 치유 어버트먼트
KR101638561B1 (ko)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101199203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스캔기기용 스캔바디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제조방법
KR20150010119A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10153828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64962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20160011322A (ko) 구강 스캔과 캐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101134062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만드는 방법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200014645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10208291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제작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