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240A -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 Google Patents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240A
KR20120026240A KR1020100088349A KR20100088349A KR20120026240A KR 20120026240 A KR20120026240 A KR 20120026240A KR 1020100088349 A KR1020100088349 A KR 1020100088349A KR 20100088349 A KR20100088349 A KR 20100088349A KR 20120026240 A KR20120026240 A KR 2012002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kneading
machine
nood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26B1 (ko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102010008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개를 갖는 반죽통이 일체로 형성된 제면기에 있어, 젓개에 의한 반죽의 공급이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질반죽은 물론 반죽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젓개에 의한 반죽통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의 양내측에, 내부의 반죽을 제면기의 압출방향 또는 압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어내는 한 쌍의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의 사면이 반죽통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죽통 지지부의 내부에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질반죽은 물론 반죽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죽통의 사면을 지지하는 반죽통 지지부에 의해서 반죽통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동력전달수단이 반죽통 지지부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 및 기기의 단순화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A noodle making machine all in one mixer}
본 발명은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개를 갖는 반죽통이 일체로 형성된 제면기에 있어, 젓개에 의한 반죽의 공급이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질반죽은 물론 반죽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젓개에 의한 반죽통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기기의 단순화 및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죽기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물이 혼합된 밀가루 등을 반죽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반죽기와 투입된 반죽을 스크류의 압출력으로 노즐 측으로 밀어내면서 면을 만드는 제면기가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근래에는 시스템적으로 반죽기와 제면기가 일체화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도 5는 본원인이 선출원(특허출원 제2008-40373호(2008.04.30) "반죽용 젓개와 이를 이용한 곡물반죽기")한 바 있는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의 일 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200)는 상측에 반죽통(210)이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210)의 하측에는 반죽통(210)에서 공급된 반죽을 이송스크류의 압출력으로 선단부 노즐(미도시됨)을 통하여 면을 제조하는 제면기(240)가 구비된다. 상기 반죽통(210)은 하측 중앙부에 제면기(240)의 상측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구(250)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젓개(100)가 구비된 상방 개구형의 통체로 형성되고, 회전축(L)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젓개(100)는 제면기(24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230), 즉 풀리(232)에 의한 벨트(231)의 전동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죽통(210)의 배출구(250)에는 반죽을 잘라내어 배출구(250) 측으로 배출시키는 커터(251)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1은 반죽통의 전면이고, 212는 후면이며, 213은 측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는 먼저, 반죽통(210)의 내부에 밀가루 등을 투입하고 물을 넣은 후, 젓개(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반죽통(210) 내부의 물이 혼합된 밀가루는 젓개(100)의 회전에 의해서 이겨 갬으로써 반죽이 만들어지고, 반죽은 반죽통(210)의 배출구(250)를 통하여 제면기(240)의 내부로 투입되며, 이 투입된 반죽은 제면기(240)의 이송스크류에 의한 압출력에 의해서 선단부 노즐 측으로 밀려나가면서 노즐을 통하여 면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곡물 반죽기, 즉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는 반죽통 내부의 젓개가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달리하므로 반죽통 내부의 반죽이 배출구를 통하여 제면기의 내부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고 정체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반죽통이 반죽통 내부의 젓개 구동에 의한 힘, 즉 부하를 견디지 못하고 심한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발생은 물론 기기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동력전달수단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작업의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젓개를 갖는 반죽통이 일체로 형성된 제면기에 있어, 젓개에 의한 반죽의 공급이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질반죽은 물론 반죽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젓개에 의한 반죽통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기기의 단순화 및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죽통이 일체로 형성된 제면기의 한 형태는,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의 양내측에, 내부의 반죽을 제면기의 압출방향 또는 압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어내는 한 쌍의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의 사면이 반죽통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죽통 지지부의 내부에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는 제면기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반죽통 내부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에는 서로 180도 간격을 이루고 동일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절곡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뒤틀어지게 형성된 장축 젓개 및 단축 젓개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의 각 장축 젓개 및 단축 젓개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죽통 지지부는 반죽통의 사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전.후면 지지프레임 및 좌.우측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은 하부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 지주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전.후면 지지프레임은 좌.우측 프레임에 연결 및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축의 일측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피동스프로킷 및 제2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축의 타측단부에 축설되는 하측 제3 피동기어 및, 상기 제3 피동기어의 상측에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과; 상기 제3 피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동축 및, 상기 제3 피동기어의 전방측 전동축 상에 축설되는 제4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체인 전동에 의해서 제2 피동스프로킷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체인 전동에 의해서 제4 피동스프로킷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1 구동스프로킷과 제2 구동스프로킷은 베어링에 의해서 양단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죽통의 내부에 제면기의 압출방향 또는 압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구비하여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면기에 대한 반죽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질반죽은 물론 반죽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죽통의 사면을 지지하는 반죽통 지지부에 의해서 반죽통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동력전달수단이 반죽통 지지부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 및 기기의 단순화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죽통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곡물 반죽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스 형태의 앵글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1) 상에 제면기(2)가 구비되고, 상기 제면기(2)의 상부측에 반죽통(3)이 구비되는 것으로, 여기서 특징은 상기 반죽통(3)이 반죽통 지지부(4)에 의해 사면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반죽통 지지부(4)의 내부에 동력전달수단(M)이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반죽통(3)이 반죽통 지지부(4)에 의해서 사면이 지지되도록 한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3) 내부에 구비된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회전 및 구동에 의한 반죽통(3)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를 첨부된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는 반죽통(3) 내부의 반죽이 정체 현상없이 보다 원활하게 반죽통(3) 바닥면의 배출구(3g)를 통하여 제면기(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반죽 대상물이 곡물인 경우에는 곡물의 알겡이 파손없이 반죽이 제대로 이루어짐은 물론 물이 많이 포함된 반죽, 즉 질반죽의 경우에는 반죽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는 제면기(2)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반죽통(3)의 양내측에 제1 회전축(3c) 및 제2 회전축(3d)이 양단 지지의 베어링(1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으로, 상기 반죽통(3) 내부의 제1 회전축(3c) 및 제2 회전축(3d) 상에는 서로 180도 간격을 이루고 동일방향으로 직각 절곡됨과 아울러 절곡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뒤틀어지게 형성된 장축 젓개(3e) 및 단축 젓개(3f)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1 회전축(3c)의 장축 젓개(3e) 및 단축 젓개(3f)와 제2 회전축(3d)의 장축 젓개(3e) 및 단축 젓개(3f)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젓개부(3a)는 제면기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젓개부(3b)는 제면기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장축 젓개(3e)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통(3) 내부의 반죽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반죽은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단축 젓개(3f)가 장축 젓개(3e)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반죽통(3)의 바닥면과 이격 공간을 가지므로 제1 젓개부(3a)의 장축 젓개(3e)가 제면기의 압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죽을 밀어내면 상기 반죽은 제2 젓개부(3b)의 단축 젓개(3f) 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제2 젓개부(3b)의 장축 젓개(3e)가 제면기(2)의 압출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죽을 밀어내면 상기 반죽은 제1 젓개부(3a)의 단축 젓개(3f)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결국 반죽을 반죽통(3)의 배출구(3g) 측으로 모아 제면기(2)의 압출방향으로 반죽을 밀어 공급함으로써 반죽통(3) 내부의 반죽이 보다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제면기(2)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에 의한 반죽 및 공급은 동력 전달을 통하여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를 회전 및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가 회전하면서 반죽할 때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에는 많은 힘의 집중, 부하가 걸리게 되어 반죽통(3)의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반죽통(3)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부하에 대한 대응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되나, 두께의 증가는 경제성 저하를 초래함은 물론 기계적인 지지능력의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죽통 지지부(4)를 구비하여 반죽통(3)에 지지력을 강화하고 반죽통 지지부(4)의 내부에 동력전달수단을 내장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단순하면서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3)의 대략 중간 하부측 사면에 반죽통(3)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면 지지프레임(4a)(4b)을 구비하고, 반죽통(3)의 좌.우측면을 지지하는 좌.우측면 지지프레임(4c)(4d)을 구비하여 반죽통 지지부(4)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측면 지지프레임(4c)(4d)은 박스 형태의 앵글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1)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 지주(4e)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고, 전.후면 지지프레임(4a)(4b)은 반죽통(3)에 내측이 볼트의 체결 등으로 결합됨은 물론 좌.우측면 지지프레임(4c)(4d)에 연결 및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후면 지지프레임(4b)과 좌.우측면 프레임(4c)(4d)은 내부 공간에 동력전달수단(M)이 구비됨은 물론 프레임 커버(4f)가 좌.우측면 프레임(4c)(4d)에 볼트의 체결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M)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3)의 후방측 젓개 구동모터(5) 및 감속기(6)에 원동스프로킷(7)이 연결되고, 우측면 지지프레임(4d)의 내측면에 한 쌍의 제1 피동스프로킷(8) 및 제2 피동스프로킷(9)이 구동축(10)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며, 상기 제1,2 피동스프로킷(8)(9)의 구동축(10) 타측부에는 한 쌍의 제3 피동기어(11)(11a)가 상.하로 구비되어 하측 제3 피동기어(11a)가 구동축(10)에 축설되고, 상측 제3 피동기어(11)는 하측 제3 피동기어(11a)에 치합되며, 상측 제3 피동기어(11)는 전동축(10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제3 피동기어(11)의 전방측 전동축(10a) 상에는 제4 피동스프로킷(12)이 축설된다.
또한, 제1 젓개부(3a)의 제1 회전축(3c) 상에는 베어링(16)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는 제1 구동스프로킷(14)이 구비되고, 제2 젓개부(3b)의 제2 회전축(3d) 상에는 베어링(16)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고 제4 피동스프로킷(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구동스프로킷(15)이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제2 피동스프로킷(9)과 제1 구동스프로킷(14) 사이에 구비되거나 제4 피동스프로킷(12)과 제2 구동스프로킷(15) 사이에 구비되어 체인(13)을 지지하는 아이들 스프로킷(17)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반죽통(3) 내부에 밀가루 등의 반죽 대상물을 넣고 물을 투입시킨 후 젓개 구동모터(5)에 전원을 공급하면, 감속기(6)에 연결된 원동스프로킷(7)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동스프로킷(7)에 체인(13)으로 연결된 제1 피동스프로킷(8)이 회전하게 됨은 물론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8)과 동일 축상에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피동스프로킷(9)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9)과 체인(13)으로 연결되고 베어링(16)으로 양단 지지된 제1 구동스프로킷(14)이 회전하게 되어 제1 젓개부(3a)를 제면기(2)의 압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후면 지지프레임(4b)을 가로 질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축(10)도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8) 및 제2 피동스프로킷(9)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8) 및 제2 피동스프로킷(9)의 타측부 구동축(10) 상에 축설된 하측 제3 피동기어(11a)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3 피동기어(11a)의 상측에 치합된 제3 피동기어(11)가 하측 제3 피동기어(11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 피동기어(11)에 의해 전동축(10a) 및 제4 피동스프로킷(12)도 제3 피동기어(11)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4 피동스프로킷(12)에 체인(13)으로 연결되고 베어링(16)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된 제2 구동스프로킷(15)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2 젓개부(3b)를 제1 젓개부(3a)에 대하여 반대방향, 즉 제면기(2)의 압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을 제면기의 압출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반죽통(3) 내부의 반죽은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장축 젓개(3e)에 의해서 제면기(2)의 압출방향 또는 압출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반죽이 이루어져 제면기에 대한 반죽이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의 경우에는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단축 젓개(3f)에 의해서 알겡이가 파손됨이 없이 반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의 구동에 의한 반죽통(3)의 유동은 반죽통(3)의 사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반죽통 지지부(4)에 의해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작동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수단(M)이 상기 반죽통 지지부(4)에 내장되어 있어 기기의 안정성 및 단순화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하부프레임 2: 제면기
2a: 노즐 3: 반죽통
3a,3b: 제1,2 젓개부 3c: 회전축
3d: 장축 젓개 3e: 단축 젓개
3f: 절곡부 4: 반죽통 지지부
4a,4b: 전.후면 지지프레임 4c,4d: 좌.우측 지지프레임
4e: 프레임 지주 4f: 프레임 커버
5: 젓개 구동모터 6: 감속기
7: 원동스프로킷 8,9: 제1,2 피동스프로킷
10: 구동축 10a: 전동축
11,11a: 제3 피동기어 12: 제4 피동스프로킷
13: 체인 14,15: 제1,2 구동스프로킷
18: 베어링 M: 동력전달수단

Claims (4)

  1.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3)의 양내측에, 내부의 반죽을 제면기(2)의 압출방향 또는 압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어내는 한 쌍의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가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3)의 사면이 반죽통 지지부(4)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죽통 지지부(4)의 내부에 동력전달수단(M)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젓개부(3a) 및 제2 젓개부(3b)는 제면기(2)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반죽통(3)의 양내측에 제1 회전축(3c) 및 제2 회전축(3d)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반죽통(3) 내부의 제1 회전축(3c) 및 제2 회전축(3d) 상에는 서로 180도 간격을 이루고 동일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절곡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뒤틀어지게 형성된 장축 젓개(3e) 및 단축 젓개(3f)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회전축(3c) 및 제2 회전축(3d)의 각 장축 젓개(3e) 및 단축 젓개(3f)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 지지부(4)는 반죽통(3)의 사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전.후면 지지프레임(4a)(4b) 및 좌.우측 지지프레임(4c)(4d)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4c)(4d)은 하부프레임(1)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 지주(4e)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전.후면 지지프레임(4a)(4b)은 좌.우측면 지지프레임(4c)(4d)에 연결 및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M)은 구동축(10)의 일측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피동스프로킷(8) 및 제2 피동스프로킷(9)과;
    상기 구동축(10)의 타측단부에 축설되는 하측 제3 피동기어(11a) 및, 상기 제3 피동기어(11a)의 상측에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11)과;
    상기 제3 피동기어(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동축(10a) 및, 상기 제3 피동기어(11)의 전방측 전동축(10a) 상에 축설되는 제4 피동스프로킷(12)과;
    상기 체인(13) 전동에 의해서 제2 피동스프로킷(9)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구동스프로킷(14)과;
    상기 체인(13) 전동에 의해서 제4 피동스프로킷(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구동스프로킷(15)과;
    상기 제1 구동스프로킷(14)과 제2 구동스프로킷(15)은 베어링(16)에 의해서 양단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1020100088349A 2010-09-09 2010-09-09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10122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49A KR101224226B1 (ko) 2010-09-09 2010-09-09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49A KR101224226B1 (ko) 2010-09-09 2010-09-09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240A true KR20120026240A (ko) 2012-03-19
KR101224226B1 KR101224226B1 (ko) 2013-01-18

Family

ID=4613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349A KR101224226B1 (ko) 2010-09-09 2010-09-09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92B1 (ko) * 2013-03-11 2014-08-12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50035893A (ko) * 2015-02-28 2015-04-07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의 반죽통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22Y1 (ko) 2013-02-04 2014-04-29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KR20150140608A (ko) 2015-11-26 2015-12-16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CN106804650A (zh) * 2015-11-30 2017-06-09 郭茂清 家商两用多功能面食机
KR102010465B1 (ko) * 2018-10-10 2019-08-13 곽정연 스팀 반죽교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66A (ja) * 1996-06-21 1998-01-13 Iizuka Kosakusho:Kk 撹拌機
KR20090014060A (ko) * 2007-08-03 2009-02-06 용 석 장 제면기
JP5227726B2 (ja) * 2008-10-06 2013-07-03 晋 夏目 蒸練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92B1 (ko) * 2013-03-11 2014-08-12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50035893A (ko) * 2015-02-28 2015-04-07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의 반죽통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26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226B1 (ko)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101269844B1 (ko) 곡물 반죽기
KR102289010B1 (ko) 반죽기
KR101264975B1 (ko) 곡물 반죽기의 동력전달장치
CN216024587U (zh) 一种甜味剂配料混合结构
CN211487224U (zh) 一种饲料添加剂生产用高效混料设备
KR20100016853A (ko) 교반기
CN213885945U (zh) 一种双锥形高效滚筒混合搅拌机
CN114950207A (zh) 一种中药饮片的多成分混匀装置
CN213132893U (zh) 一种生物制药用溶解釜进料装置
TWI589350B (zh) 混凝土攪拌機及具有該混凝土攪拌機之預拌混凝土製造裝置
KR101322741B1 (ko) 곡물 반죽기
KR101760564B1 (ko) 어묵 반죽기
CN220294552U (zh) 一种加工用辅料混合装置
CN219291134U (zh) 一种原料混合装置
KR20130036272A (ko) 곡물 반죽기
KR200220157Y1 (ko) 곡물반죽기
CN213942904U (zh) 一种常温真空果浆加工用滚揉设备
CN216260487U (zh) 一种乙醇消毒液用的混合配料器
CN210279021U (zh) 一种药品生产用药材混合机
CN210538493U (zh) 一种拉面机
CN213528354U (zh) 一种用于生产饲料的搅拌混合装置
CN216208346U (zh) 一种新型沥青混合料密度检测装置
CN214915213U (zh) 一种榨菜拌料机
CN219744592U (zh) 一种混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