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22Y1 -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22Y1
KR200472422Y1 KR2020130000894U KR20130000894U KR200472422Y1 KR 200472422 Y1 KR200472422 Y1 KR 200472422Y1 KR 2020130000894 U KR2020130000894 U KR 2020130000894U KR 20130000894 U KR20130000894 U KR 20130000894U KR 200472422 Y1 KR200472422 Y1 KR 20047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lt
drive
gear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21C1/1455Measuring data of the driving system, e.g. torque, speed, po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벨트 전달방식으로 하고, 감속은 기어 방식을 복합 적용하여 회전체 구동 방식이 안정적이고, 또 벨트 전달 방식의 채용에 따른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며, 감속기어는 기어박스 내부에 장치하여 소음 발생을 줄임과 동시에 모터의 정지시 회전체의 역회전에 따른 신체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믹싱기구(22)가 조립 고정되는 믹싱축(20)이 회전 가능하게 편심 설치되는 회전체(18)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100)는,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배치 구성되는 모터(110)와, 감속부(120), 동력전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속부(120)는 기어박스(121)와 덮개(121a)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구동기어(122a)가 구비된 구동축(122)과, 기어박스의 타 측으로 구동축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고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123a)가 구비된 종동축(123)과, 상기 종동축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1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모터(110)의 축(111)에 구비된 구동풀리(1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 외부로 관통 노출된 구동축(122)에 구비되는 종동풀리(132)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FOR MIXER BODY OF ROTATION DRIVE DEVICE}
본 고안은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벨트 전달방식으로 하고, 감속은 기어 방식으로 복합 적용하여 회전체 구동 방식을 안정적으로 하면서도 벨트 전달 방식의 채용에 따른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감속기어는 기어박스 내부에 장치하여 소음 발생을 줄임과 동시에 모터의 정지시 회전체의 역회전에 따른 신체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과 제빵용 믹서(MIXER)는 회전체에 편심 설치된 믹싱축에 구비된 믹싱기구를 이용하여 믹싱볼에 담겨지는 크림을 휘핑하거나 밀가루를 반죽하고 있다. 물론 믹싱기구는 그 용도에 따라 휘퍼(Whipper), 훅(Hook), 비터(Beater) 등으로 구분되어 지고, 필요에 따라 믹싱축에 교체 조립 사용된다.
그리고 믹싱축을 편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는 여러 형태로 구성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바,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60311호의 “반죽기계”에는 벨트풀리 및 벨트 방식을 이용하여 반죽채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나, 이는 벨트풀리 및 벨트가 2열 배치된 구성이어서 벨트의 긴장 정도에 따라 동력 전달에 악 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고, 또 2단 배열 구조이어서 벨트의 교체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모터의 정지시 반죽채가 역 회전되는 현상에 의해 교반채에 신체를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056호의 “밀가루 반죽기의 속도조절장치”에는 단일의 벨트풀리 및 밸트를 이용하여 모터로 부터 발생된 동력을 회전구에 전달하고, 회전구에 구비된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나, 이 역시 모터의 정지시 교반날개의 역회전 현상에 의한 신체 손상 우려를 배제하기 어렵고, 또 감속 기능 없이 동력이 직접 전달되는 구조이어서 교반날개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642호의 “식품 교반기의 교반축 회전장치”에는 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벨트풀리 및 브이벨트를 이용하여 변속기로 전달하고, 변속기에 교반축을 수직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나, 동력 전달 구조상 교반축에 걸어진 브이벨트의 교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장력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이어서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경우 브이벨트의 늘어짐으로 인해 동력을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1997-068970호의 “식품 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구성에 의하면,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이용하고, 또 직교 방식으로 맞물림되는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나, 이 역시 교반축의 역회전 현상으로 인한 신체 손상 우려가 있고, 베벨기어의 물림 현상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교반축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60311호 2.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056호 3.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642호 4.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642호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벨트 전달방식으로 하고, 감속은 기어 방식으로 복합 적용하여 회전체 구동 방식을 안정적으로 하면서도 벨트 전달 방식의 채용에 따른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감속기어는 기어박스 내부에 장치하여 소음 발생을 줄임과 동시에 모터의 정지시 회전체의 역회전에 따른 신체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믹싱기구가 조립 고정되는 믹싱축이 회전 가능하게 편심설치되는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는, 믹서 본체의 내부에 배치 구성되는 모터와, 감속부,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속부는 기어박스와 덮개로 구성되고, 또 기어박스의 일 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형성된 구동기어, 기어박스의 타 측으로 구동축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축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 축에 구비된 구동풀리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 외부로 관통 노출된 구동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벨트 장력 조절부에 의해 이동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구동 및 종동풀리와의 사이에 걸어진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절부는, 믹서 본체의 내부에 수평 설치됨과 동시에 모터의 이동공간이 중앙으로 절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 상부로 입설된 복 수개의 받침봉과, 상기 받침봉의 상단으로 분할 배치되고 동시에 조절장공에 대하여 조절나사를 상기 받침봉의 나사홈에 대해 풀고 조임하는 것에 의해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이동 조절판과, 상기 모터 축에 관통 설치되는 상태로 상기 이동 조절판의 상단에 고정나사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절부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벨트는 벨트 장력 조절유지부를 통해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후단 상측으로 고정 지지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게 믹서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관통설치되는 조절 나사축과,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이에 관통 설치된 조절 나사축의 양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기어박스의 덮개로는 그리스 주입구를 더 형성하여 덮개를 열지 않고서도 필요시 종동기어에 대한 그리스주입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회전체의 회전은 기억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감속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체 구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의 채용에도 불구하고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력전달을 항상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또 벨트의 교체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감속부의 종동축이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단속되기 때문에 모터의 정지시 회전체의 역회전이 방지되고 그로 인한 믹싱축의 믹싱기구가 믹싱볼 내에서 역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믹싱기구에 의한 신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믹싱재료의 안전한 취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의 감속 회전을 위한 감속기어들을 기어박스 내부에 장치하여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벨트 장력 조절부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벨트는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에 의해 벨트의 조절 장력이 임의적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동력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덮개로 형성된 그리스 주입공에 의해 기어박스에 대하여 덮개를 열지 않고서도 종동기어에 대한 그리스 주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 구동장치가 채용된 믹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동장치의 발췌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벨브 장력 조절부 및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 구성을 보인 발췌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과 제빵용 믹서(10)는, 믹서 본체(12)의 전면으로 믹싱볼(14)을 올려놓기 위한 요크(16)가 구비되어 있고, 믹서본체의 일 측 하부로는 믹싱축(20)이 편심 설치된 회전체(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믹싱축으로는 믹싱볼에 넣어진 믹싱재료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기구(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8)의 내부에는 태양기어(2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태양기어에는 상기 믹싱축에 고정 설치된 위성기어(21)가 맞물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8)는 이후 설명되는 회전체 구동장치(26)에 의해 회전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믹싱볼에 넣어진 믹싱재료는 회전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편심 설치된 믹싱축(20)은 회전체를 따라 돌면서 위성기어(21)가 태양기어(24)를 따라 돌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믹싱기구(22)가 편심 회전하면서 믹싱재료를 믹싱하게 되고, 믹싱 전후에는 핸들(23) 조작을 통해 요크(16)를 승강 조작하여 이에 안착되는 믹싱볼을 탈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 구동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 구동장치(100)는,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배치 구성되는 모터(110)와, 감속부(120), 동력전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부(120)는 기어박스(121)와 덮개(121a)로 구성되고, 또 기어박스의 일 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구동축(122)과, 이 구동축에 형성된 구동기어(122a), 상기 기어박스의 타 측으로 구동축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종동축(123)과, 상기 종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123a)와, 상기 종동축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모터(110)의 축(111)에 구비된 구동풀리(1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 외부로 관통 노출된 구동축(122)에 구비되는 종동풀리(132)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모터(110)는 벨트 장력 조절부(140)에 의해 이동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구동 및 종동풀리(131)(132)와의 사이에 걸어진 벨트(133)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절부(140)는,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수평 설치됨과 동시에 모터(110)의 이동공간(141a)이 중앙으로 절제 형성된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 상부로 입설된 복 수개의 받침봉(142)과, 상기 받침봉의 상단으로 분할 배치되고 동시에 조절장공(143a)에 대하여 조절나사(143b)를 상기 받침봉(142)의 나사홈(142a)에 대해 풀고 조임하는 것에 의해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이동 조절판(143)과, 상기 모터(110)의 축(111)에 관통 설치되는 상태로 상기 이동 조절판(143)의 상단에 고정나사(144a)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144)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절부(140)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벨트(133)는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150) 구성을 통해 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150)는, 상기 지지판(144)의 후단 상측으로 고정 지지되는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게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152)와, 상기 지지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브라켓에 관통설치되는 조절 나사축(153)과,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이에 관통 설치된 조절 나사축의 양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조임너트(154a)(1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감속부(120)를 구성하는 기어박스(121)의 덮개(121a)로는 그리스 주입공(121b)을 더 형성하여 기어박스에 대하여 덮개를 일일이 개폐 조작하지 않고서도 그리스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다른 회전체 구동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믹싱기구(22)가 구비되는 회전체(18)를 구동시켜 믹싱볼에 넣어진 믹싱재료를 믹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터(110)를 구동시킨다. 모터(110)의 회전에의해 모터의 축(111)에 설치된 구동풀리(131), 벨트(133), 기어박스(121)의 구동축(122)에 설치된 구동풀리(131)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구동축(122)에 구비된 구동기어(122a) 역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풀리와 맞물려진 종동축(123)의 종동기어(123a) 역시 감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123)의 회전에 의해 그 하단에 구비된 회전체(18) 역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이의 일방으로 설치된 믹싱축(20)의 위성기어(21)가 회전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믹싱 본체(12)에 고정설치된 태양기어(24)를 따라 돌면서 편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를 따라 믹싱축(20)이 편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에 구비된 믹싱기구(22) 역시 편심 회전하면서 믹싱볼(14)에 넣어진 믹싱재료를 믹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30)는 풀리 및 벨트 구성을 채용하고, 감속부(120)는 기어박스(121) 내부에 기어방식으로 구성하여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 감속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체의 구동에 따른 동력 전달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기어 감속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여 회전체(18)의 구동이 그만큼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믹싱재료의 믹싱 작업이 완료되면, 모터(110)를 정지시키게 되고, 모터의 정지에 의해 동력전달부(130)나 감속부(120) 구성 역시 회전을 멈추게 된다.하지만, 모터의 정지시 바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회전 원심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어느정도 역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역회전 현상은 바로 동력전달부(130) 구성을 통해 감속부(120)의 구동축(122)으로 전달되어 이에 구비된 구동기어(122a)를 역회전 시킨다. 그리고 구동기어와 맞물려진 종동축의 종동기어 역시 역 회전되어 지는데, 이때 종동축은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124)으로 축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축은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124)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고, 동시에 종동축(123)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회전체(18) 역시 역회전이 방지되면, 그로 인해 믹싱축 역시 역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모터의 정지와 동시에 믹싱축(20)에 구비된 믹싱기구(22)는 역회전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믹싱볼(14)에 넣어진 믹싱재료를 신속하게 꺼내는 등의 작업시 작업자가 믹싱기구(22)에 부딪쳐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부(130)를 구성하는 벨트(133)의 장력이 맞지 않는 경우나 벨트의 교체 작업시, 벨트 장력 조절부(140) 조절을 통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이는 각 받침봉(142)의 나사홈(142a)에 나사 조임된 조절나사(143b)를 너슨하게 풀어준 다음 이동조절판(143)을 이에 형성된 조절장공(143a)을 이용하여 이동 조절하여 벨트(133)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 다시 상기 조절나사(143b)를 받침봉의 나사홈에 조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조절이 완료되어 진다. 벨트(133)의 장력 조절시 모터(110) 역시 모터 축(111)이 지지판(144)에 관통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141)에 형성된 이동공간(141a)을 이동 조작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벨트(133)의 장력 조절시,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150)를 구성하는 조절 나사축(153)의 제1 및 제2 조임너트(154a)(154b)는 브라켓(151)으로부터 멀어지게 풀어놓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 장력 조절부(140) 구성을 통해 벨트(133)의 장력 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력 조절이 완료된 벨트(133)는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150) 구성을 통해 그 장력 조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바, 이는 벨트(133)의 장력 조절시 지지바(152)와 브라켓(151) 사이에 설치된 조절 나사축(153)에 대하여 느슨하게 풀려져 있던 제1 및 제2 조임너트(154a)(154b)를 브라켓(151)을 중심으로 모아 지게 다시 조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조절된 벨트(133)의 장력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항상 안정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어박스(121)의 내부 종동축(123)에 구비된 종동기어(123a)에 대한 그리스 공급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121a)로 형성된 그리스 주입공(121b)을 통해 주입하면 되고, 주기적 또는 간헐적인 그리스 주입을 통해 종동기어(123a) 및이에 맞물려진 구동기어(122a)의 원활한 회전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제과 제빵용 믹서 12: 믹서본체
14: 믹싱볼 16: 요크
18: 회전체 20: 믹싱축
22: 믹싱기구 100: 회전체 구동장치
110: 모터 111: 모터 축
120: 감속부 121: 기어박스
121a: 덮개 121b: 그리스 주입구
122: 구동축 122a: 구동기어
123: 종동축 123a: 조동기어
124: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 130: 동력전달부
131: 구동풀리 132: 종동풀리
133: 벨트 140: 벨트 장력 조절부
141: 고정판 142: 받침봉
142a: 나사홈 143: 이동 조절판
143a: 조절장공 143b: 조절나사
144: 지지판 144a: 고정나사
150: 벨트 장력 조절유지부 151: 브라켓
152: 지지바 153: 조절 나사축
154a,154b: 제1 및 제2 조임너트

Claims (6)

  1. 믹싱기구(22)가 조립 고정되는 믹싱축(20)이 회전 가능하게 편심 설치되는 회전체(18)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100)는,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배치 구성되는 모터(110)와, 감속부(120), 동력전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속부(120)는 기어박스(121)와 덮개(121a)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구동축(122)과, 이 구동축에 형성된 구동기어(122a), 기어박스의 타 측으로 구동축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종동축(123)과, 상기 종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123a)와, 상기 종동축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일 방향 클러치 베어링(1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모터(110)의 축(111)에 구비된 구동풀리(1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 외부로 관통 노출된 구동축(122)에 구비되는 종동풀리(132)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0)는 벨트 장력 조절부(140)에 의해 구동 및 종동풀리(131)(132)와의 사이에 걸어진 벨트(133)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장력 조절부(140)는,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수평 설치됨과 동시에 모터(110)의 이동공간(141a)이 중앙으로 절제 형성된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 상부로 입설된 복 수개의 받침봉(142)과, 상기 받침봉의 상단으로 분할 배치되고 동시에 조절장공(143a)에 대하여 조절나사(143b)를 상기 받침봉의 나사홈(142a)에 대해 풀고 조임하는 것에 의해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이동 조절판(143)과, 상기 모터 축(111)에 관통 설치되는 상태로 상기 이동 조절판의 상단에 고정나사(144a)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14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장력 조절부(140)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벨트(133)는 벨트 장력 조절유지부(150)를 통해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장력 조절 유지부(150)는, 지지판(144)의 후단 상측으로 고정 지지되는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게 믹서 본체(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152)와, 상기 지지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관통설치되는 조절 나사축(153)과,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이에 관통 설치된 조절 나사축의 양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조임너트(154a)(154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21)의 덮개(121a)로는 그리스 주입구(121b)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KR2020130000894U 2013-02-04 2013-02-04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KR200472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94U KR200472422Y1 (ko) 2013-02-04 2013-02-04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94U KR200472422Y1 (ko) 2013-02-04 2013-02-04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422Y1 true KR200472422Y1 (ko) 2014-04-29

Family

ID=5148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94U KR200472422Y1 (ko) 2013-02-04 2013-02-04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224A (zh) * 2017-10-12 2018-01-09 邓之玉 一种面条生产加工用揉面装置
CN109430315A (zh) * 2018-10-13 2019-03-08 浙江碟中碟食品有限公司 用于食品加工的和面机装置
CN109464932A (zh) * 2018-11-05 2019-03-15 禄根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溶出仪专用多区域同步调速机构
CN109578541A (zh) * 2019-01-15 2019-04-05 中山市伊丝顿电器有限公司 一种厨师机的传动机构
CN110710898A (zh) * 2019-09-10 2020-01-2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降噪效果好的食品加工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802A (en) 1997-09-15 1999-08-10 Premark Feg L.L.C. Planetary gear system for mixer
US6883959B2 (en) 2002-12-23 2005-04-26 Premark Feg L.L.C. Power bowl lift, motor mount and tensioner for mixing machine
KR20100019648A (ko) * 2008-08-11 2010-02-19 장헌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 고정구조
KR101224226B1 (ko) 2010-09-09 2013-01-18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802A (en) 1997-09-15 1999-08-10 Premark Feg L.L.C. Planetary gear system for mixer
US6883959B2 (en) 2002-12-23 2005-04-26 Premark Feg L.L.C. Power bowl lift, motor mount and tensioner for mixing machine
KR20100019648A (ko) * 2008-08-11 2010-02-19 장헌 기어드 모터의 출력축 고정구조
KR101224226B1 (ko) 2010-09-09 2013-01-18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224A (zh) * 2017-10-12 2018-01-09 邓之玉 一种面条生产加工用揉面装置
CN109430315A (zh) * 2018-10-13 2019-03-08 浙江碟中碟食品有限公司 用于食品加工的和面机装置
CN109464932A (zh) * 2018-11-05 2019-03-15 禄根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溶出仪专用多区域同步调速机构
CN109578541A (zh) * 2019-01-15 2019-04-05 中山市伊丝顿电器有限公司 一种厨师机的传动机构
CN110710898A (zh) * 2019-09-10 2020-01-2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降噪效果好的食品加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422Y1 (ko) 제과 제빵용 믹서의 회전체 구동장치
US9656227B2 (en) Food blending appliance with wiper assembly
EP4190214A3 (en) Stand mixers
US20140226436A1 (en) Mixer with direct drive dc motor
KR100965535B1 (ko) 비닐하우스 자동 개폐장치
KR100953323B1 (ko) 식품재료절단장치
HUT60111A (en) Driving unit for operating foodstuffs-producing machine particularly for creamlike and/or fluid food
US20090190439A1 (en) blender
CN219942474U (zh) 一种乳化锅搅拌装置
KR101283141B1 (ko) 야채 절단기의 절단두께 조절장치
CN214964860U (zh) 一种搅拌机
KR100642833B1 (ko) 세절기의 칼날 맞물림 간격의 자동 조절장치
KR101227968B1 (ko)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인버터 제어방식을 이용한 회전속도 조절장치
CN212520588U (zh) 可变速的搅拌装置及具有该可变速的搅拌装置的烤饼机
KR101582633B1 (ko) 중력에 의한 하강 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음료 교반 장치
KR200459870Y1 (ko) 비료살포기의 전기식 살포량 조절장치
KR20180000140U (ko)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KR101390404B1 (ko) 제과 제빵용 믹서의 구동장치
EP3503781B1 (de) Getriebeeinheit mit mehreren antriebsgeschwindigkeiten
KR100983260B1 (ko) 때밀이 장치
RU2531875C2 (ru) Муфта для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JP6170899B2 (ja) 野菜切断機
CN209346779U (zh) 料理机
CN220512051U (zh) 一种双钩揉面结构及搅面机
KR101319533B1 (ko) 편심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