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390A - 입체 주륜설비 - Google Patents

입체 주륜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390A
KR20120025390A KR1020110071510A KR20110071510A KR20120025390A KR 20120025390 A KR20120025390 A KR 20120025390A KR 1020110071510 A KR1020110071510 A KR 1020110071510A KR 20110071510 A KR20110071510 A KR 20110071510A KR 20120025390 A KR20120025390 A KR 2012002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main
path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시미즈
다쓰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02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과제] 고가선로 아래, 고가도로 아래, 빌딩의 임의의 층계 등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입체 주륜설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로 이루어지는 각형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 회동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8)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1)를 구비하고, 상기 각형 순환경로 중 적어도 1개의 각부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상하의 수평 경로부(2,3)는, 각각 복수대의 주륜대(1)를 동시에 재석 가능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각 주륜대(1)에 축 지지된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각 주륜대(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을 구비하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는, 각각 길어도 1대의 주륜대(1)를 재석할 수 있는 길이이다.

Description

입체 주륜설비{PARK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수직면을 따른 무단(無端) 형상 각형(角型) 순환경로를 주륜대(駐輪臺)가 이동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에 관한 것이다.
주륜대가 무단 형상 각형 순환경로를 회동(回動)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로서는,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상하의 짧은 수평 경로부와 전후의 긴 상하방향 경로부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무단 형상 각형 순환경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 소55-13370호 공보
상기와 같은 세로로 긴 무단 형상 각형 순환경로를 구비한 입체 주륜설비에서는, 기설치된 건조물의 상하의 상판(床版) 사이, 예를 들면 고가선로 아래, 고가도로 아래, 빌딩의 임의의 층계 등에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하의 짧은 수평 경로부에서는 주륜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을 가설(架設)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전후의 긴 상하방향 경로부에서는, 복수대의 주륜대를 무단 형상 구동색(驅動索)으로 매달게 되기 때문에, 세로로 긴 무단 형상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주륜대를 회동시키는 무단 형상 구동색으로서,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굵고 인장 강도가 충분한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당해 무단 형상 구동색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에도 구동력이 매우 큰 대형의 구동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설비 전체의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입체 주륜설비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입체 주륜설비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에 넣어 나타내면,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로 이루어지는 각형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 회동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8)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1)를 구비하고, 상기 각형 순환경로의 적어도 1개의 각부(角部)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상하의 수평 경로부(2,3)는, 각각 복수대의 주륜대(1)를 동시에 재석(在席) 가능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각 주륜대(1)에 축 지지된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각 주륜대(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을 구비하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는, 각각의 전체 길이가, 많아도 주륜대(1) 1대를 재석할 수 있는 길이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주륜대(1)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는,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로 바닥 위에 설치되는 2개의 단부(端部) 프레임 구조체(37,38)와, 중간 프레임 구조체(39)를 설치하고,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7,38)에는, 상기 무단 형상 구동색(8)을 팽팽하게 거는 안내륜(案內輪, 6a?7c)을 축 지지하는 동시에, 일방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에는,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6c)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구동하는 모터(11)를 탑재하고,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은, 각 프레임 구조체(37?39) 사이에 걸쳐 가설(架設)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7,38) 중, 상기 모터(1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 프레임 (38)은, 상측의 안내륜(7a,7b)을 축 지지하는 프레임 단체(43)와, 하측의 안내륜 (7c)을 축 지지하는 프레임 단체(42)로 분할하고, 이들 양 프레임 단체(42,43) 사이의 간격 조정에 의해 상기 무단 형상 구동색(8)의 장력 조정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주륜대(1)에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축 지지하고, 상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 중, 적어도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인접하는 측의 상하방향 경로부(4)에는, 이 상하방향 경로부(4)를 상하 이동하는 주륜대(1)의 자세를 상기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와의 결합에 의해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을 가설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는, 상기 지지용 차륜(20a,20b)과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주륜대(1)의 전후 2개소에 축 지지된 지지용 차륜(20a,20b)으로 흔들림 방지용 롤러를 겸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륜대(1)에는, 상하의 수평 경로부 (2,3)에 가설된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로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 (20a,20b)과는 별도로, 이들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20a,20b)과는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제3 지지용 차륜{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설치하고, 상측의 수평 경로부(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3 지지용 차륜{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지지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을 가설하며, 당해 상측의 수평 경로부(3)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24)과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로,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20a,20b) 중의 적어도 1개의 지지용 차륜과 상기 제3 지지용 차륜{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을 통해 주륜대(1)가 수평으로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지지용 차륜은, 상하방향 경로부(4,5)를 따라서 가설된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28a,28b,29)에 결합하여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상하 이동하는 주륜대(1)의 자세를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겸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주륜대가 수직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각형 순환경로가 가로로 길기 때문에, 종래의 세로로 긴 각형 순환경로를 주륜대가 수직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입체 주륜설비에서는 설치할 수 없었던 기설치된 건조물의 상하의 상판 사이, 예를 들면 고가선로 아래, 고가도로 아래, 빌딩의 임의의 층계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기설치된 건조물에서의 이들 가로로 긴 공간을 주륜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하의 긴 수평 경로부에서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주륜대를 무단 형상 구동색으로 견인 구동하게 되어, 양단의 짧은 상하방향 경로부에서만 주륜대를 무단 형상 구동색으로 매달아 내리고 매달아 올려 구동하게 되지만, 양단의 짧은 상하방향 경로부의 각각은, 많아도 주륜대 1대를 재석할 수 있는 매우 짧은 길이로 되어 있으므로, 무단 형상 구동색으로서는, 1대의 주륜대를 안전하게 매달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당해 무단 형상 구동색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에 필요한 구동력도 큰 폭으로 작아지므로, 복수대의 주륜대를 안전하게 매달 수 있는 큰 인장 강도가 필요한 무단 형상 구동색을 사용하는 동시에, 복수대의 주륜대를 동시에 승강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이 매우 큰 구동수단을 병용해야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비 전체의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륜대는, 무단 형상 구동색에 대해 통상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지만, 이 경우, 주륜대 사이의 간격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길이보다 긴 경우, 이들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에 주륜대를 1대도 재석하지 않는 시간대가 생기게 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지만,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무단 형상 구동색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주륜대 사이의 간격을,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를 경유하여 상하의 수평 경로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하는 주륜대가 다른 주륜대와 간섭하지 않는 최소한의 간격으로 설정해 둠으로써, 주륜대의 대수를 특별히 줄이지 않고, 상하의 수평 경로부 사이의 상하방향의 간격, 즉, 설비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가로로 긴 설비 전체를,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와 중간 프레임 구조체, 및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지지용 가이드 레일로 나눌 수 있어, 설비의 설치 현장으로의 수송이나, 설치 현장의 상하 높이가 제한된 작업 공간내에서의 설비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하기 쉽다. 이 경우,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일단(一端)의 프레임 구조체가 2개로 분할됨으로써, 설비의 설치 현장으로의 수송이나 설치 작업을 한층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테이크업(take-up)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에 인접하는 설비의 둘레벽에는, 통상, 개폐문 부착의 자전거 입출고구(入出庫口)가 설치되는 관계로부터, 당해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에 인접하는 설비의 둘레벽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를 갖는 측의 상하방향 경로부에 가급적으로 접근해서 배치된다. 이 경우에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에 있어서 무단 형상 구동색에 의해 매달아 내림 매달아 올림이 구동되는 주륜대가 요동하여, 상기 설비의 둘레벽에 접촉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륜대의 지지용 차륜은 통상 전후 한 쌍 축 지지되는 것이지만, 상측의 수평 경로부의 양단부에서는, 상하방향 경로부 사이의 주륜대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지지용 가이드 레일이 일부 도중에 끊어지게 된다. 즉, 상측의 수평 경로부의 양단부에서는, 일시적으로 주륜대를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을 통해 수평으로 지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지만,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주륜대에 대한 제3 지지용 차륜의 추가와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의 추가에 의해, 상측의 수평 경로부의 양단부에서도, 적어도 2개의 지지용 차륜을 통해 주륜대를 완전히 수평으로 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일시적이지만 1개의 지지용 차륜만을 통해 주륜대가 지지되는 상황이 되는 것을 회피하여, 주륜대의 경동(傾動)이나 무단 구동색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제3 지지용 차륜을, 상하방향 경로부에서의 주륜대의 흔들림을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와 겸용시킬 수 있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주륜대가 순환하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와 그 부대 수단을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설비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4는 주륜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주륜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설비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주륜대상의 하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주륜대상의 상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상하의 수평 경로부에서의 주륜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에서의 주륜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설비의 주륜대 순환경로와 그 부대 수단을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주륜대(1)가 순환 이동하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는, 전후 수평방향의 하측 수평 경로부(2), 전후 수평방향의 상측 수평 경로부(3), 및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 5)는, 점대칭형의 것으로, 일방의 상하방향 경로부(4)는,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직 경로부(4a)와, 이 하측 수직 경로부(4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45도의 각도로 연장하여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측 경사 경로부(4b)로 형성되고, 타방의 상하방향 경로부(5)는, 상측 수평 경로부(3)의 타단으로부터 직각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수직 경로부 (5a)와, 이 상측 수직 경로부(5a)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45도의 각도로 연장되어 하측 수평 경로부(2)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측 경사 경로부(5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에는, 그 각 각부에 동심(同心) 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 지지된 안내륜(6a?6c 및 7a?7c)을 통해 당해 순환경로를 따르도록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이 팽팽하게 걸어져 있다. 일방의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단 각부에 축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안내륜(6c)은,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의 외측, 즉, 일방의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측 경사 경로부(4b)의 외측에 형성되는 측면에서 보아 삼각형인 공간(S)내에 지지된 좌우 수평방향의 구동축(9)의 양단부와 각각 체인 전동수단(10)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이 구동축(9)을 정역(正逆)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무단 형상 구동색(8)을 회동하는 구동수단이 상기 구동축(9)과 모터(11)에 의해서 구성되고, 당해 구동수단이 상기 삼각형의 공간(S)내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으로서는,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 등이 이용되고, 안내륜(6a?7c)으로서는, 사용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따라 스프로킷 휠이나 풀리 등이 이용된다.
주륜대(1)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틀(12)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 수평방향의 지지부재(13)를 전후 한 쌍 가설한, 정면 형상이 각진 U자형의 것으로, 지지부재(13)상에, 전후방향으로 자전거(C)를 거의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하위 지지대(14)와, 전후방향으로 자전거(C)를 전방상향 경사 자세로 지지하는 상위 지지대(15)가 좌우방향 교대로 또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하위 지지대(14)와 상위 지지대(15)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구조의 지지용 레일부재(16)를 지지부재(13)상에 하위 지지대용의 장착부재 (17)와 상위 지지대용의 장착부재(18)를 통해 설치한 것이다. 지지용 레일부재(16)는, 자전거(C)의 바퀴 수를 끼워맞추어 전동(轉動) 이동시킬 수 있는 홈형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측으로부터 전륜(前輪) 지지부(16a), 중앙 산형(山形)부(16b), 및 후륜(後輪) 지지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륜 지지부(16a)에는, 전륜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수직 자세로 유지하는 동시에 당해 전륜을 중앙 산형부 (16b)와의 사이에서 끼워 전후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평면 형상이 U자형의 전륜 가이드틀(16d)이 부착되어 있다.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측틀(12)은, 전후 한 쌍의 지지부재(13)상에 고착 (固着)되는 전후 수평방향의 하측 수평부재(19a), 이 하측 수평부재(19a)에 하단이 고착된 전후 한 쌍의 수직부재(19b), 이 전후 한 쌍의 수직부재(19b)의 상단 사이에 가설된 상측 수평부재(19c), 이 상측 수평부재(19c)의 중앙 위치에 하단이 고착된 상단 지주(支柱)부재(19d), 및 측틀(12) 전체의 상반부 내측에 팽팽하게 설치된 보호판(19e)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측틀(12)의 구조는 일례로서, 어떠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보호판(19e)은, 좌우방향에 병설된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 중,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대에 탑재된 자전거(C)의 핸들이 측틀(12) 쪽으로 넘어졌을 때, 틀 구조의 측틀(12)에 핸들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좌우 한 쌍의 측틀(12)에는, 각각의 하측 수평부재(19a)의 전후 양단 외측에, 지지용 차륜(20a,20b)가 좌우 수평 지축(支軸)에 의해 축 지지되는 동시에, 각각의 상측 수평부재(19c)의 중앙 위치의 외측에, 제3 지지용 차륜도 겸하는 1개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좌우 수평 지축에 의해 축 지지되며, 또한, 각각의 상단 지주부재(19d)의 상단 외측에,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축(2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측틀(12)의 지지용 차륜(20a,20b), 흔들림 방지용 롤러 (21), 및 연결축(22)은, 서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의 지지용 차륜(20a,20b)의 위치보다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이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보다 연결축(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주륜대(1)는,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을 이용하여 무단 형상 구동색(8)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단 형상 구동색(8)으로서 롤러 체인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당해 롤러 체인의 링크 핀(롤러 지지핀) 중, 주륜대 장착 위치의 링크 핀으로서, 내측에 소요 길이로 돌출하는 길이가 긴 핀을 사용하고, 주륜대(1)측의 연결축(22)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동심 형상으로 핀 삽입공을 형성해 두고, 주륜대 (1)측의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의 핀 삽입공에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 (8)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길이가 긴 핀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음으로써, 당해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 사이에 주륜대(1)를, 좌우 한 쌍의 연결축 (22)을 통해 당해 연결축(22)의 둘레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에는, 도 1, 도 3, 및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각 수평 경로부(2,3)에 있어서 각 주륜대(1)를, 그 하단의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당해 수평 경로부(2,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하여,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에 의해, 당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 각 주륜대(1)가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따라서 회동하게 되지만, 수평 경로부(2,3)를 이동하는 각 주륜대(1)는, 그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에 지지된 상태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무단 형상 구동색(8)에는 주륜대(1)의 하중이 하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무단 형상 구동색(8)이 각 주륜대(1)를 견인 구동하는 상태이다.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 이동하는 주륜대(1)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서 매달린 상태로 승강 이동한다. 따라서,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서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주륜대(1)의 하중이 직접 하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는, 주륜대(1)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로 하여, 상하방향 경로부(4,5)에는 항상 1대의 주륜대(1)만이 재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수평 경로부(2){또는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4){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안내륜(6a){또는 안내륜(7a)}의 축심의 바로 아래 위치에 1대의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위치할 때, 당해 주륜대(1)보다, 상측 수평 경로부(3){또는 하측 수평 경로부(2)}가 있는 측에 이웃하는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상측 수평 경로부(3){또는 하측 수평 경로부(2)}와 상하방향 경로부(4){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안내륜(6c){또는 안내륜(7c)}의 축심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 경로부(4)측{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측}이 있는 측에 안내륜 주위의 90도 원호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 분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든 안내륜(6a?7c)은 동일 직경의 것이고, 상하 각 수평 경로부(2,3)의 전체 길이도, 주륜대(1)의 간격의 정수배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상하 양단에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6a,6c 및 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동시에 통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수평 경로부(3)에 가설된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접속하는 개소에는, 승강 이동하는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20b)이나 연결축(2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이 부분적으로 절취된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가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에 지지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 또는 지지용 차륜(20b)이 상기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에 떨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이용하여 주륜대(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이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양단부에 가설되어 있다.
또는,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서는, 주륜대(1)는 무단 형상구동색(8)에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을 통해 매달린 상태로 승강 이동하므로, 당해 주륜대(1)는, 연결축(22)의 둘레로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이 승강 이동시의 주륜대(1)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방향 경로부(4)의 전역과 상하방향 경로부(5)의 상측 수직 경로부(5a)에는,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통해 당해 주륜대(1)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 및 29)이 배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은, 상하방향 경로부(4)의 하측 수직 경로부(4a)를 주륜대(1)가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고,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b)은,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측 경사 경로부(4b)를 주륜대(1)가 비스듬하게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다. 또한,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은 상하방향 경로부(5)의 상측 수직 경로부(5a)를 주륜대(1)가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 및 29)은,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승강 경로를 전후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전후 한 쌍의 레일부재(30a,30b)로 구성된 것이지만, 상하방향 경로부(4)의 하측 수직 경로부(4a)나 상하방향 경로부(5)의 상측 수직 경로부(5a)에서는,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와 연결축(22), 및 당해 연결축(22)에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8)이 동일 수직 경로를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전후 한 쌍의 레일부재 (30a,30b)는, 이들 양 레일부재(30a,30b) 사이를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와 연결축 (22), 및 당해 연결축(22)에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8)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레일부재 (30a,30b)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이동 경로에 대해서 연결축(22) 및 이에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8)이 합류 분기하는 개소나, 레일부재(30a,30b)가 안내륜 (6a,7b)과 겹치는 개소에서는, 이들 연결축(22) 및 이에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 (8)이나 안내륜(6a,7b)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잘라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 및 29)은, 양 레일부재(30a,30b)를 기판(31)상에 고착(固着)한, 3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에서의 양 레일부재(30a,30b) 사이의 깊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1개의 홈형 경량 형강(形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이용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도,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이동 경로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상하 한 쌍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은,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통해 주륜대(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면 좋기 때문에,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이동 경로의 하측에만 배치되어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지지하는 레일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로부터 분명하듯이,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은, 상하방향 경로부(4)가 있는 측으로 연장시켜, 상측 경사 경로부(4b)를 따라서 가설되는 상기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b)의 상단과 접속 일체화할 수도 있고,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7)은, 상하방향 경로부(5)가 있는 측으로 연장시키고, 상측 수직 경로부(5a)를 따라서 가설되는 상기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의 상단과 접속 일체화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 경로부(4)의 외측에는, 설비를 둘러싸는 수직인 벽구조체의 일부분으로 되는 문틀(3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문틀 (32)은, 특허문헌 등에 의해 종래 주지의 것으로서,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상하방향 경로부(4)측의 단부, 즉,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안내륜(6a)의 축심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에 대한 자전거 입출고구(33)와, 이 자전거 입출고구(33)를, 주륜대(1)상에서 병렬하는 복수대(도시예에서는 4대)의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 각각에 대향하는 자전거 통과영역별로 나누어 택일적으로 열리는 개폐문(3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의 각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와 상기 문틀(34)과의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노면판(路面板, 35)이 부설되어 있다. 이 노면판(35)은, 문틀(34)측의 단부가 자전거 입출고구(33)의 바닥면과 면 일치하게 인접하는 동시에, 내측 변이,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의 각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의 지지용 레일부재(16)에서의 후륜 지지부(16c)의 지지면 후단과 거의 면 일치하게 접속하도록 적절히 경사지게 하여 설치되는 것이지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문틀 (32)의 하측 변에 부착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이 문틀(32)은 바닥면 위에 설치되지만, 자전거 입출고구(33)의 저면(底面)과 바닥면과의 사이의 단차가 클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단차를 메우는 경사 노면판(36)을 문틀(32)의 외측에도 부설할 수 있다. 물론, 자전거 입출고구(33)의 저면과 바닥면이 거의 면 일치가 되도록, 문틀(32)의 하측 변을, 바닥면에 각설(刻設)한 홈을 메우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구성의 입체 주륜설비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문틀 (32)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7), 반대측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8), 및 중간 프레임 구조체(39)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 구조체(39)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의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1대?복수대가 사용된다. 모든 프레임 구조체(37?39)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 측틀 (40)과, 순환경로를 회동하는 주륜대(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중간 프레임 구조체 (39)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경로의 상하 양 수평 경로부(2,3) 사이 등}에 있어서 좌우 양 수직 측틀(4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41)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수직 측틀(40) 및 연결 부재(41)를 1매의 패널 형상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 수직 측틀(40) 및 연결 부재(41)는, 파이프재나 앵글재, 그 외의 강재의 용접에 의한 조합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패널재를 팽팽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프레임 구조체(37?39)에는, 설치 레벨 조정을 위한 어저스터(adjuster) 기능의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 프레임 구조체(37)는,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측 경사 경로부(4b)를 따라서 상단 외측 각부가 비스듬하게 컷팅된, 경사변(37a)을 갖는 측면 형상의 것으로서, 상하방향 경로부(4)에 배치되는 안내륜(6a?6c)이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내측에 축 지지되는 동시에, 구동축(9)과 모터(11)로 이루어지는 무단 형상 구동색(8)의 구동수단은, 상기 경사변(37a)의 상측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공간(S)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에 적당한 가대(架臺)(37b)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하방향 경로부(4)에 병설(倂設)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은,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문틀(32)은, 이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에 적당한 연결부재(37c)를 통해 연결 지지시킬 수 있다.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상하방향 경로부(4)측의 단부에 병설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은, 이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의 좌우 양 수직 측틀 (40)의 내측에 부착할 수 있도록,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전체를 전후방향에 폭 넓게 구성해도 좋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을 내측에 장착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보조 지지판(37d)을 좌우 양 수직 측틀(40)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반대측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38)는, 그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 경로부(5)에 배치되는 안내륜(7a?7c),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7), 및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안내륜(7c)과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7)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 단체(單體, 42)와, 상측의 안내륜(7a,7b)과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단체(43)로 분할하고, 이들 양 프레임 단체(42,43)의 좌우 양 수직 측틀 (40)끼리를 상하 복수의 전후방향으로 간격 조정 가능한 연결구(連結具, 44)로 연결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프레임 단체(42)에 대해서 외측 프레임 단체(43)의 위치를 연결구(44)로 전후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의 안내륜(6a?6c)과, 단부 프레임 구조체(38)의 안내륜(7a?7c)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진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의 장력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별도로 테이크업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물론, 단부 프레임 구조체(38)는, 내측 프레임 단체(42)와 외측 프레임 단체 (43)를 일체화한, 단부 프레임 구조체(37)와 동일하게 일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하측의 안내륜(7c)을 전후 이동시켜 무단 형상 구동색(8)의 장력 조정을 행하는 테이크업 수단(45)을 설치할 수 있다.
상하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은, 그 양단부를 단부 프레임 구조체(37, 38)의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내측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중간부를 중간 프레임 구조체(39)의 좌우 양 수직 측틀(40)의 내측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은, 적당 길이의 레일 단체를 접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자전거(C)의 입출고시에는, 그 입출고 대상 중 하나인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호출하기 위해, 모터(11)를 가동시키고, 구동축(9) 및 좌우 한 쌍의 체인 전동수단(10)을 통해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단 각부의 안내륜(6c)을 회전 구동하고,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따라서 정방향 회전(시계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반시계방향 회전) 구동한다. 이때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전 방향은, 입출고 대상인 주륜대(1)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당해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도착할 때까지의 정방향 회전의 소요 시간과 역방향 회전의 소요 시간이 연산 비교되어, 당해 소요 시간이 짧아지는 쪽의 회전 방향이 선택된다.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에 수반하여,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상에 있는 모든 주륜대(1)가 회동하게 되지만, 상하의 수평 경로부(2,3)를 이동하는 주륜대(1)는,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에 지지된 상태로, 연결축(22)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 견인 구동된다.
그리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하는 주륜대(1)는, 연결축(22)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하지만, 이때, 상하방향 경로부(4)에서는, 그 전역에 있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에 끼워맞춤되어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주륜대(1)가 연결축(22)의 둘레에서 앞뒤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상하방향 경로부(5)에서는, 그 상측 수직 경로부(5a)에 있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에 끼워맞춤되어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 수직 경로부(5a)를 승강하는 주륜대(1)가 연결축(22)의 둘레에서 앞뒤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각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는, 주륜대(1) 사이의 간격{연결축(22)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기 때문에,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는 항상 1대의 주륜대(1)만 재석시킬 필요는 없고,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있어서 주륜대(1)를 매달게 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1대의 주륜대(1)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큰 하향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없다.
물론,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4)와의 사이의 45도 절곡 경로에서의 주륜대(1)의 이동시에는, 내측으로 되는 지지용 차륜(20a)이 상측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a)를 통과 이동하고, 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a)를, 외측으로 되는 지지용 차륜(20b)이 수평방향으로 걸치도록 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외측의 지지용 차륜(20b)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a)에 떨어져들어가 주륜대(1)가 경동(傾動)할 우려도 없다. 또한,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5) 사이의 90도 절곡 경로에서의 주륜대(1)의 이동시에는, 내측으로 되는 지지용 차륜(20b)이 상측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b)를 통과 이동하고, 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b)를, 외측으로 되는 지지용 차륜(20a)이 수평방향으로 걸치도록 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7)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외측으로 되는 지지용 차륜(20a)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의 차륜 통과용 개구부(25b)에 떨어져들어가 주륜대(1)가 경동할 우려는 없다.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상의 각 주륜대(1)는, 상기와 같이 정역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수평 자세를 유지시키면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호출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는, 그 바로 위의 안내륜(6a)의 축심의 바로 아래에 연결축(22)이 위치하고 있고, 당해 주륜대(1)는, 주륜대(1)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지용 차륜(20a, 20b)은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그리하여,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호출되어 정지했다면, 자전거 입출고구(33)의 개폐문(34)을 열림 이동 제어하고,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하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상의 복수대의 지지대(14,15)중, 입출고 대상인 하나의 지지대에 대응하는, 자전거 입출고구(33)의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만을 열고, 출고의 경우는,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열린 특정의 영역을 이용하여, 당해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하위 지지대(14) 또는 상위 지지대(15)상으로부터 출고 대상의 자전거(C)를 자전거 입출고구(33)의 밖으로 인출한다. 입고의 경우는,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을 이용하여, 당해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하위 지지대(14) 또는 상위 지지대(15)상에 자전거(C)를 삽입 이재(移載)한다. 이들 자전거(C)의 입출고 작업시에, 자전거(C)를 취급하는 작업자는, 자전거 입출고구(33)를 구비한 문틀(32)과 입출고 대상의 지지대(14,15)와의 사이의 공간이 노면판(35)에 의해서 막혀 있으므로, 이 노면판(35)상에서 자전거의 차륜을 전동(轉動) 이동시켜 입출고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가 수직 경로부(4a,5a)와 경사 경로부(4b,5b)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역이 수직으로서,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가 완전히 직사각형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는, 주륜대 (1) 사이의 간격{연결축(22)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를 지지용 차륜(20a,20b)의 높이 근처까지 내리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은, 앞의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보다 외측의 짧은 지지용 가이드 레일 (24)을 생략하고,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전체 길이를 상기 차륜통과용 개구부 (25a,25b)의 내측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고,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20b)의 양방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에 지지되는 위치와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상단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양단부에서의 주륜대(1)의 수평 이동시에는,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연속하여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에 지지되어, 내측{상측 수평 경로부 (3)의 중앙측}의 지지용 차륜(20a) 또는 지지용 차륜(20b)과 흔들림 방지용 롤러 (21)의 2개소에서 주륜대(1)가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앞의 제1 실시예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있는 측의 상하방향 경로부(4)에는, 그 전역에 걸쳐서,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을 병설하고, 반대측의 상하방향 경로부(5)에는,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지 않지만, 이 상하방향 경로부(5)에도 상하방향 경로부(4)와 마찬가지로,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을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5)의 전역에 걸쳐서 병설하여도 좋다.
상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2에 나타낸 프레임 구조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단 외측 각부에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공간(S)이 형성되지 않지만,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4)에서의 주륜대(1)의 승강 경로의 상단 외측 각부에는, 주륜대(1)상에서 지지되는 자전거(C)의 후측{안장(saddle) 및 짐 바구니)의 상단 레벨이 당해 자전거(C)의 전측(핸들측)의 상단 레벨보다 낮음에 따라 확보할 수 있는 공간(s)이 생기므로, 이 공간(s)을 이용하여 구동축(9) 및 모터(11)를 배치함으로써, 가로로 긴 각형의 완전 직사각형의 순환경로의 전체를 둘러싸는 측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9) 및 모터(11)를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 5)의 길이를,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게 하는 동시에, 상하 각 수평 경로부(2,3)의 길이를, 상기 주륜대(1)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로 하고 있지만, 이들 구성 요건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 아니고, 임의의 길이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입체 주륜설비는, 특히 기설치된 건조물의 슬라브 밑 공간, 예를 들면 고가선로 아래 공간, 고가도로 아래 공간, 빌딩의 임의의 층계 공간 등에 설치하는데 매우 적합한 입체 주륜설비로서 활용할 수 있다.
A :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
C : 자전거
1 : 주륜대
2 : 하측 수평 경로부
3 : 상측 수평 경로부
4, 5 : 상하방향 경로부
4a, 5a : 수직 경로부
4b, 5b : 경사 경로부
6a?6 c 및 7a?7c : 안내륜
8 : 무단 형상 구동색
9 : 구동축
10 : 체인 전동수단
11 : 모터
12 : 측틀
13 : 지지부재
14 : 하위 지지대
15 : 상위 지지대
16 : 지지용 레일부재
16d : 전륜 가이드틀
20a, 20b : 지지용 차륜
21 : 흔들림 방지용 롤러
22 : 연결축
23, 24 : 지지용 가이드 레일
25a, 25b : 차륜 통과용 개구부
26, 27 :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
28, 28a, 28b, 29 :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
32 : 문틀
33 : 자전거 입출고구
34 : 개폐문
35, 36 : 노면판
37, 38 : 단부 프레임 구조체
37a : 경사변
39 : 중간 프레임 구조체
40 : 수직 측틀
41 : 연결부재
42 : 내측 프레임 단체
43 : 외측 프레임 단체
44 : 연결구
45 : 테이크업 수단

Claims (7)

  1.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로 이루어지는 각형(角型)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회동(回動)하는 무단(無端) 형상 구동색(驅動索)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에 적당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駐輪臺)를 구비하고, 상기 각형 순환경로의 적어도 1개의 각부(角部)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상하의 수평 경로부는, 각각 복수대의 주륜대를 동시에 재석(在席) 가능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각 주륜대에 축 지지된 지지용 차륜을 통해 각 주륜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양단(兩端)의 상하방향 경로부는, 각각의 전체 길이가, 많아도 주륜대 1대를 재석할 수 있는 길이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주륜대는, 무단 형상 구동색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길이는, 주륜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 별도로 바닥 위에 설치되는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와, 중간 프레임 구조체를 구비하고,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에는, 상기 무단 형상 구동색을 팽팽하게 거는 안내륜이 축 지지되는 동시에, 일방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에는,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을 구동하는 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은, 각 프레임 구조체 사이에 걸쳐 가설(架設)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2개의 단부 프레임 구조체중, 상기 모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 프레임은, 상측의 안내륜을 축 지지하는 프레임 단체와, 하측의 안내륜을 축 지지하는 프레임 단체로 분할되어, 이들 양 프레임 단체 사이의 간격 조정에 의해 상기 무단 형상 구동색의 장력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주륜대에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가 축 지지되고, 상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중, 적어도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에 인접하는 측의 상하방향 경로부에는, 이 상하방향 경로부를 상하 이동하는 주륜대의 자세를 상기 흔들림 방지용 롤러와의 결합에 의해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이 가설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륜대에는, 상하의 수평 경로부에 가설된 지지용 가이드 레일로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과는 별도로, 이들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과는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제3 지지용 차륜이 설치되고, 상측의 수평 경로부가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3 지지용 차륜을 지지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이 가설되고, 당해 상측의 수평 경로부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과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로, 전후 한 쌍의 지지용 차륜 중 적어도 1개의 지지용 차륜과 상기 제3 지지용 차륜을 통해 주륜대가 수평으로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입체 주륜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용 차륜은, 상기 상하방향 경로부를 따라서 가설된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를 상하 이동하는 주륜대의 자세를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용 롤러를 겸용하고 있는 입체 주륜설비.
KR1020110071510A 2010-08-23 2011-07-19 입체 주륜설비 KR20120025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5898 2010-08-23
JP2010185898A JP5594584B2 (ja) 2010-08-23 2010-08-23 立体駐輪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90A true KR20120025390A (ko) 2012-03-15

Family

ID=4589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510A KR20120025390A (ko) 2010-08-23 2011-07-19 입체 주륜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94584B2 (ko)
KR (1) KR201200253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445A (zh) * 2017-11-30 2018-05-08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车库用车辆运载车
CN109854015A (zh) * 2018-11-30 2019-06-07 北京首钢机电有限公司 一种自行车停车库
DE102020004603A1 (de) * 2020-07-29 2022-02-03 Matthias Macht Multifunktionale Aufbewahr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313A (ja) * 1999-02-22 2000-09-05 Shin Nikkei Co Ltd 自転車格納装置
JP4863582B2 (ja) * 2001-08-03 2012-01-25 トーヨーコーケン株式会社 自転車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41783A (ja) 2012-03-01
JP5594584B2 (ja)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981B (zh) 自承重式轿厢
RU2486125C2 (ru) Тя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фтовой системы
EP1471026A9 (en) Elevator device
TW201226306A (en) Stacker crane
KR20120025390A (ko) 입체 주륜설비
JP201012634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0156946B1 (ko) 입출고 장치
FI119240B (fi) Hissijärjes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JP6530674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04352377A (ja) エレベータ
KR20120024371A (ko) 입체 주륜설비
WO2006093081A1 (ja) エレベータ
JP6170737B2 (ja) 多段式立体駐車装置
CN106132863A (zh) 包括平衡绳索张紧装置的升降机
JP201509004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10292659A (ja) 駐車装置の昇降ガイド機構及びその昇降ガイド機構を用いたピット型駐車装置
JP479756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2005132527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WO2007013400A1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巻上ロープ案内装置
JP5636814B2 (ja) 立体駐輪設備
JP2001262853A (ja) 立体駐車装置用リフト
JP5483199B2 (ja) 立体駐輪設備
JP6697310B2 (ja) 駐車装置
JPWO20050778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CZ274994A3 (en) Chain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