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511A -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511A
KR20120021511A KR1020100075448A KR20100075448A KR20120021511A KR 20120021511 A KR20120021511 A KR 20120021511A KR 1020100075448 A KR1020100075448 A KR 1020100075448A KR 20100075448 A KR20100075448 A KR 20100075448A KR 20120021511 A KR20120021511 A KR 20120021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tached
cam
transf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최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용 filed Critical 최병용
Priority to KR102010007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511A/ko
Priority to PCT/KR2010/005191 priority patent/WO2012018150A1/ko
Publication of KR2012002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 세척기에 관련된 것으로
프레임(10)과; 모터(90)와; 식판 자동공급장치(20)와; 가이드 레일(30)과; 이송수단(40)과;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1차 애벌 세척부(70), 1차 세척유닛(50), 2차 세척유닛(60), 2차 애벌 세척부(80)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세척유닛(60)의 하부에는세척 브러시(90)가 형성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는 세척브러쉬가 식판의 찬합통과 밀착하여 회전함으로써 기름끼, 국물 뿐만 아니라 누룽지, 탄음식물과 같이 찬합통에 눌러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또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식판의 세척과정에 대해 작업자가 별도로 신경쓰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인력절감의 효과도 기대된다.

Description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Bowl washing machine having automatic bowl suppl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식판 세척기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의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세척을 하거나, 세척 장치를 이용하는데, 세척장치는 접시나 그릇 및 수저 등의 식기류를 세척통 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리하여 넣고 세척제와 함께 물을 분사하여 수압으로 오물을 씻어내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식기류 세척기는 세제의 분해작용과 물의 수압으로 오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되어 마찰에 의해 문질러닦는 것에 비해 다량의 물이 소모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일반 식기류를 닦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배급식당에서 사용하는 식판은 다양한 형태의 식기류와는 달리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통상의 식기 세척기에 넣고 사용하게 되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430490호를 들 수 있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양측에는 식판의 유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보조프레임이 돌출 접합 되고, 중앙에는 가이드프레임이 접합되는 주프레임;과, 식판의 전면을 회전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세척브러쉬와 제2세척브러쉬로 구성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제1세척부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판의 후면을 세척하는 역세척브러쉬와 제3세척브러쉬로 구성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주프레임의 고정되어 제1세척부의 제2세척브러쉬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세척부의 제2세척브러쉬은 회전축으로 2개의 제2전단스프로켓이 축설되되, 상기 각 제2전단스프로켓은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켓과, 제1세척 브러쉬의 제3전단스프로켓과 각각 체인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세척부의 제3세척 브러쉬는 2개의 제2후단스프로켓이 결합되되, 안측 배치된 제2후단스프로켓은 상기 제2세척 브러쉬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3후단스프로켓과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고, 외측에 배치된 제2후단스프로켓은 상기 역세척 브러쉬에 결합된 제4후단스프로켓과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2009-118168은 단체급식용에 사용되는 식판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식판이 이송되는 복수개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이송축 및 그를 연결하는 제 2이송벨트를 구비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송라인이 접합되어 접합부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에 세척하고자 하는 식판을 끼워넣어, 상기 복수개의 접합부간의 압입으로 식판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식판의 상, 하면에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세척브러쉬를 구비한 세척부를 통해 세척되도록 하도록 구성된 식판세척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세척 브러쉬가 식판의 공급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식판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식판에 묻어있는 기름끼나 국물 등과 같이 비교적 쉽게 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만을 세척할 수 있을 뿐 누룽지나 탄음식물과 같이 식판의 찬합통에 단단히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에 대해서는 전혀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은 작업자가 세척기가 작동되는 과정을 일일히 모니터하면서 식판을 수동으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자동세척기를 설치한 근본적인 효과인 인건비 절감의 효과도 극히 의문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430490호, 공개특허공보 2009-118168
없음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즉, 식판의 찬합통에 단단히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에 대하여 세척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작업자가 세척기가 작동되는 과정을 일일히 지켜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과제로 삼는다.
상기한 과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식판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세척브러쉬가 식판의 찬합통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식판 세척기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식판을 자동으로 하기 가이드 레일로 공급하는 식판 자동공급장치와;
상기 식판 자동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식판을 안착시켜 이송 경로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1차 애벌 세척부, 1차 세척유닛, 2차 세척유닛, 2차 애벌 세척부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세척유닛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밀착하여 식판의 테두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를 과제 해결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삼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식판 자동공급장치는 적재된 식판을 정렬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바(21)와;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에 부착되며 나선형 돌기를 갖는 캠(22)과;
상기 가이드 바의 상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스프라킷(23)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킷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24)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바의 상부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헬리컬 기어(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수단은 원형의 회전판(41)과;
상기 드럼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 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크랭크축(42)과;
한쪽 끝단이 상기 드럼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이송 바의 중간에 위치하여 드럼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하기의 이송 바로 전달하는 크랭크 암(43)과;
한쪽 끝단이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이송용 암에 부착되며 중간 지점이 상기 크랭크 축과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 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을 이송용 암을 통해 하기의 이송 블럭으로 전달하는 이송 바(44)와;
한쪽 끝단이 상기 이송 바와 부착되며 타 끝단은 하기 이송 블럭과 부착되어 이송 바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을 이송 블럭으로 전달하는 이송용 암(45)과;
상기 이송용 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으로 인해 이동되는 이송 블럭(46)과;
상기 이송 블럭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송 블럭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47)과;
상기 이송 블럭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휭거(48)와;
상기 이송용 휭거의 작동을 복수의 휭거 스토퍼(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1, 2차 세척유닛과 애벌 세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51)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52)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53)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54)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61)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62)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하강하는 하강 플레이트(63)와;
상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64)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는 세척브러쉬가 식판의 찬합통과 밀착하여 회전함으로써 기름끼, 국물 뿐만 아니라 누룽지, 탄음식물과 같이 찬합통에 눌러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또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식판의 세척과정에 대해 작업자가 별도로 신경쓰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인력절감의 효과도 기대된다고 하겠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식판 세척기의 세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의 내부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의 내부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식판 자동공급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식판 자동공급장치의 가이드 바와 캠의 회전상태에 따른 식판의 공급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식판이 이송 대기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식판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1차 세척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2차 세척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식판 세척기의 세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식판 세척기에서는 식판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세척브러쉬가 회전하면서 식판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을 위한 세정제와 물은 세척기 내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공급되고 세척브러쉬는 식판이 공급되는 컨베이어벨트의 상, 하 또는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식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세척브러쉬가 회전하면서 세척을 실시하는데, 식판의 공급속도와 세척브러쉬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단 한번의 브러쉬의 회전으로 식판을 세척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세척은 국물이나 기름끼 등 비교적 세척이 간단한 음식물은 세척할 수 있으나 찬반통에 눌러붙어 있는 누룽지나 탄음식물과 같은 잔반은 세척의 효과가 비교적 미미하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의 내부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는 프레임을 바탕으로 프레임의 전면에는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모터와; 가이드 레일과; 이송수단과; 세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에는 이송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바퀴 등과 같은 이송수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식판 자동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이 헬리컬 기어를 통해 식판 자동공급장치로 전달되면서 식판을 한장씩 가이드 레일로 공급한다. 이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식판 자동공급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판 자동공급장치는 복수의 가이드 바(21)와;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에 부착되며 나선형 돌기를 갖는 캠(22)과; 상기 가이드 바의 상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스프라킷(23)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킷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24)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바의 상부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헬리컬 기어(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바는 세척기에 투입되는 식판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식판 자동 공급장치에서는 제작원가와 제품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 바를 3개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헬리컬 기어(25)를 통해 상기 3개의 가이드 바 중에서 특정의 가이드 바(21)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하는 가이드 바의 상부에 연결된 스프라킷(23)이 회전하고 상기 스프라킷을 통해 체인(24)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가이드 바의 상부에 연결된 스프라킷 또한 회전하면서 가이드 바 3개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21)의 하부에는 나선형 돌기를 갖는 캠(22)이 부착되어 있는 데, 가이드 바가 회전하면서 캠 또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나선형 돌기를 갖는 캠은 돌기의 형상 때문에 한번 회전하면서 식판이 한장씩 떨어지면서 가이드 레일로 식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식판 자동공급장치의 가이드 바와 캠의 회전상태에 따른 식판의 공급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캠은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가 가이드 바에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 식판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은 상기 공간을 통해 가이드 바에 부착된다. 식판 자동공급장치에 적재되어 있는 식판은 본 발명의 세척기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캠의 둘레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에 의해 지지된다.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이 전술한 헬리컬 기어를 통해 상기 가이드 바로 전달되어 가이드 바의 하부에 부착된 캠이 회전하게 된다.
캠이 회전함에 따라 적재된 다수의 식판을 지지하고 있던 나선형 돌기가 회전한다. 그러면 캠의 나선형 돌기가 맨 밑에 위치한 식판의 모서리 부분을 파고 들면서 맨 밑에 적재된 1번 식판을 밑으로 떨어뜨려 가이드 레일로 공급하고 2번 식판을 지지한다. 세척기가 작동되면서 식판의 공급과 지지는 캠의 회전속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전술한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캠을 사용한다는 점은 본 발명의 자동공급장치의 구성에서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식판 세척기에 사용되는 자동공급장치는 적재부와 투입부의 구성을 따로 마련하여야 했고, 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별도로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워서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자동공급장치는 캠의 둘레에 나선형 돌기를 부착시켜 캠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상기 나선형 돌기가 회전하면서 식판을 공급하고 다른 식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식판의 적재와 투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판 세척기는 상기 식판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투입되는 식판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데, 상기 이송은 이송수단을 통해 이루어 진다. 상기 이송수단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이송수단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데, 도 6은 식판이 이송 대기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식판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은 원형의 회전판(41)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위치한 크랭크축(42)과; 크랭크 암(43)과; 이송 바(44)와; 이송용 암(45)과; 이송 블럭(46)과; 이송용 레일(47)과; 이송용 휭거(48)와; 복수의 휭거 스토퍼(4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중심에 크랭크축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암은 한쪽 끝단은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고 타 끝단은 이송 바의 중간에 부착된다. 이송 바는 한쪽 끝단이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부착되며 타 끝단은 이송용 암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크랭크축으로 전달되면 크랭크축이 회전하면서 회전판이 회전하고 크랭크 암이 직선왕복 운동을 하면서 이송 바 또한 회전판의 지름 만큼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바의 한쪽 끝단은 이송용 암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송 바가 직선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이송용 암 또한 직선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송용 암은 한쪽 끝단이 이송 블럭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송용 암이 직선왕복 운동하면 이송 블럭 또한 도 6,7의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 블럭은 내부에 이송 블럭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는 식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휭거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이송용 레일은 이송 블럭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송 블럭이 수평으로 이송 될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이송용 휭거는 이송 블럭의 외부에 설치되는 데, 필요에 따라 2~4개 정도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판과 크랭크암의 크기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의 1회 작동시 이송되는 거리와 식판 세척기의 전체적인 크기에 따라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이송용 휭거는 막대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데, 한쪽 끝단에는 푸시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푸시수단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밀어주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이송용 휭거의 타 끝단은 휭거 가이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휭거 가이드는 이송 전 및 이송 후에 휭거 스토퍼에 밀착되어 작동된다. 도 6는 식판이 이송 대기중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때 식판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있고 회전판이 회전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용 휭거의 한 쪽 끝단은 푸시수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밀어주기 직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송용 휭거의 타 끝단은 휭거 가이드에 부착된 채로 휭거 스토퍼에 밀착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직선 운동이 1회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데, 이송 블럭이 직선운동함에 따라 휭거 스토퍼에 밀착되어 있던 이송용 휭거 및 휭거 가이드는 휭거 스토퍼에서 이탈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용 휭거의 한 쪽 끝단에 부착된 푸시수단이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강하게 밀어주면서 식판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식판의 이송은 전술한 휭거 가이드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휭거 스토퍼에 밀착되면서 종료되고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이송 블럭이 이송 대기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공급장치(20)에 의해 공급된 식판은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기 이송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 과정에서 식판은 세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되는 데, 상기 세척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1차 애벌 세척부(70), 1차 세척유닛(50), 2차 세척유닛(60), 2차 애벌 세척부(8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세척수단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데, 상기 1차 애벌 세척부(70)는 가이드 레일의 전면에 노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로부터 세척수와 세척액이 분사되면서 식판을 1차로 씻어낸다. 1차 애벌 세척이 종료된 식판은 1차 세척유닛(50)으로 이송되어 본격적인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세척유닛(50)에서의 세척은 식판의 앞면(찬합통이 형성된 면)을 세척하는 데, 이 때의 세척은 다수의 세척솔을 통해 찬합통과 밀착해서 깔끔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1차 세척유닛(50)에서 식판의 앞면에 대한 세척이 종료되면 가이드 레일(30)을 통해 2차 세척유닛(60)으로 이송되어 식판의 뒷면(찬합통과 대응되는 면)을 세척한다. 이 또한 세척솔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효과적인 세척을 위해 2차 세척유닛(60)에 형성되는 세척솔은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세척유닛(60)의 하부에는 식판의 앞면(찬합통이 형성된 면)의 찬합통이 아닌 테두리 부분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 브러시(9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 브러시(90)는 상기 가이드 레일(30)에 밀착하여 형성되는 데, 이를 통해 식판이 상기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송되면서 식판의 테두리 부분이 자동으로 세척된다. 보다 효과적인 세척을 위하여 상기 세척 브러시(9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8과 도 9을 참고하여 상기 1차 세척유닛(50)과 2차 세척유닛(6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1차 세척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8은 2차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상기 1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솔은 식판 찬합통의 크기, 형상, 갯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식판의 찬합통과 밀착하여 회전운동하면서 찬합통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부착된 캠플라워가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 플라워의 한 쪽 끝단은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데,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된 복수의 세척솔이 승강하면서 식판의 찬합통과 밀착된다.
상기 세척솔은 통상의 세척솔과는 달리 봉과 세척 식판의 찬합통에 밀착된 세척솔은 세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방향이란 상기 세척솔의 봉의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데, 도 7의 화살표 방향을 나타낸다.
2차 세척장치(60)의 구성과 작동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2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하강하는 하강 플레이트와;
상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운동한다. 2차 세척장치의 세척솔은 1 차 세척장치의 세척솔과는 달리 식판 찬합통에 대응되는 바깥 부분을 세척해 주어야 하므로 오목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의 구성과 작동은 1차 세척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1차 세척장치(50) 및 2차 세척장치(60)의 승강 및 하강 플레이트(53, 54) 부착되는 세척솔(54, 64)는 찬합통의 형상과 갯수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세척솔(54, 64)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않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상기 세척솔의 형상이나 갯수를 적절히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20: 식판 자동공급장치 30: 가이드 레일
40: 이송수단 , 50: 1차 세척유닛, 60: 2차 세척유닛,
70: 1차 애벌 세척부 80: 2차 애벌 세척부 90: 세척 브러시
21: 가이드 바, 22: 캠 23: 스프라킷 24: 체인 25: 헬리컬 기어
41: 회전판 42: 크랭크 축 43: 크랭크 암 44: 이송 바 45: 이송용 암
46: 이송블럭 47: 이송용 레일 48: 이송용 휭거 481: 푸시수단
482: 휭거 가이드 49: 휭거 스토퍼
51, 61: 캠 52, 62: 캠 플라워 53: 승강 플레이트 63: 하강 플레이트
54, 64: 세척솔

Claims (7)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00)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식판을 자동으로 하기 가이드 레일로 공급하는 식판 자동공급장치(20)와;
    상기 식판 자동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식판을 안착시켜 이송 경로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0)과;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40)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1차 애벌 세척부(70), 1차 세척유닛(50), 2차 세척유닛(60), 2차 애벌 세척부(80)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세척유닛(6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0)과 밀착하여 식판의 테두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브러시(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 자동공급장치는 적재된 식판을 정렬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바(21)와;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에 부착되며 나선형 돌기를 갖는 캠(22)과;
    상기 가이드 바의 상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스프라킷(23)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킷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24)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바의 상부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헬리컬 기어(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의 회전동력이 샤프트와 헬리컬 기어를 통해 가이드 바로 전달되어 가이드 바와 캠을 회전시키면서 식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원형의 회전판(41)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 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크랭크축(42)과;
    한쪽 끝단이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이송 바(44)의 중간에 위치하여 드럼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하기의 이송 바로 전달하는 크랭크 암(43)과;
    한쪽 끝단이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이송용 암(45)에 부착되며 중간 지점이 상기 크랭크 암(43)과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 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을 이송용 암을 통해 하기의 이송 블럭으로 전달하는 이송 바(44)와;
    한쪽 끝단이 상기 이송 바(44)와 부착되며 타 끝단은 하기 이송 블럭(46)과 부착되어 이송 바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을 이송 블럭(46)으로 전달하는 이송용 암(45)과;
    상기 이송용 암(45)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으로 인해 이동되는 이송 블럭(46)과;
    상기 이송 블럭(46)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송 블럭(46)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이송용 레일(47)과;
    상기 이송 블럭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0)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휭거(48)와;
    상기 이송용 휭거의 작동을 한정하는 복수의 휭거 스토퍼(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51)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52)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53)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54)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솔은 식판 찬합통의 크기, 형상, 갯수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세척유닛은
    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61)과;
    일 끝단이 상기 캠의 표면에 부착되며 타 끝단이 하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캠 플라워(62)와;
    상기 캠 플라워의 운동에 의해 하강하는 하강 플레이트(63)와;
    상기 하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솔(64)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캠에 부착된 캠 플라워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이에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KR1020100075448A 2010-08-05 2010-08-05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KR20120021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48A KR20120021511A (ko) 2010-08-05 2010-08-05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PCT/KR2010/005191 WO2012018150A1 (ko) 2010-08-05 2010-08-09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48A KR20120021511A (ko) 2010-08-05 2010-08-05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11A true KR20120021511A (ko) 2012-03-09

Family

ID=4555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48A KR20120021511A (ko) 2010-08-05 2010-08-05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21511A (ko)
WO (1) WO20120181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4604B (zh) * 2017-05-18 2019-04-26 唐山市锦色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餐饮用杯子快速清洁设备
IT202000005311A1 (it) * 2020-03-12 2021-09-12 Romano Marchetti Macchina di lavaggio industriale di contenitori di aliment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947A (ja) * 2004-03-30 2005-10-13 Tosei Choriki Kk 洗浄用食器自動供給装置
KR100920336B1 (ko) * 2007-12-06 2009-10-08 안희곤 식판자동세척기
KR101018662B1 (ko) * 2008-05-13 2011-03-04 (주)굿모닝 케미칼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세척기
KR100977943B1 (ko) * 2009-03-31 2010-08-24 명순승 식기세척기의 식판 자동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8150A1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99188U (zh) 一种直线式自动洗杯机
CN102871627B (zh) 一种餐具自动清洗机
CN102273718A (zh) 山芋土豆清洗机
CN201393991Y (zh) 餐具清洗机的餐具自动摆放机构
KR101444762B1 (ko) 식판 자동 세척 시스템
KR20120021511A (ko)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KR200264589Y1 (ko) 식기 자동세척장치
CN204182650U (zh) 一种新型桶装水桶外洗机
KR100308454B1 (ko) 수저세척기
CN112773297B (zh) 一种自动收餐装置
CN201675910U (zh) 一种用于餐具清洗设备的翻盘机构
CN110652266A (zh) 一种高效筷子清洗器
CN111743488B (zh) 碗筐传输系统及具有其的洗碗机
CN210450194U (zh) 半自动玻璃器皿清洗装置
CN109530371B (zh) 一种蛋托盘自动清洗机及双线蛋托盘自动清洗机
CN209829800U (zh) 一种蛋托盘自动清洗机及双线蛋托盘自动清洗机
KR100978449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KR20200016467A (ko) 자동 식판 식기세척기
CN111671370A (zh) 餐具清洁系统
CN105815796A (zh) 一种滚筒式清洗机
CN202050873U (zh) 花生果清洗装置
CN213613189U (zh) 一种桶装水桶高压外洗装置
CN220326737U (zh) 一种多功能连续式洗菜机
CN213530082U (zh) 一种餐盘清洗整理一体化的装置
CN215355210U (zh) 一种食品加工用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