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589Y1 - 식기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589Y1
KR200264589Y1 KR2020010035683U KR20010035683U KR200264589Y1 KR 200264589 Y1 KR200264589 Y1 KR 200264589Y1 KR 2020010035683 U KR2020010035683 U KR 2020010035683U KR 20010035683 U KR20010035683 U KR 20010035683U KR 200264589 Y1 KR200264589 Y1 KR 200264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ashing
shaft
casing
brus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완
Original Assignee
황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완 filed Critical 황규완
Priority to KR2020010035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589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의 세척 및 행굼을 기계적으로 자동수행하는 식기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에 식기투입구를 구비한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은 케이싱(1)의 측벽에 베어링(12)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브러시축(10a,10b)과, 상기 1쌍의 브러시축(10a,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시키는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와, 상기 각 브러시축(10a,10b)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와, 상기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를 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세척브러시 왕복이송기구(30a,30b)와, 상기 세척브러시쪽으로 액상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노즐(6)과, 콘베이어 구동모터(21)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세척브러시(13a,13b)들을 통과하여 세척된 식기들을 실어서 수평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41)와, 상기 콘베이어벨트(41)에 실려 이송하는 식기를 상하측에서 복수개의 행굼수 분사노즐(44)을 통하여 행굼수를 분사하여 행굼처리하는 행굼부(40)를 포함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 자동세척장치{ automatic washing machine for dishes}
본 고안은 식기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후 다량 배출되는 접시, 밥그릇, 국그릇, 컵 등과 같은 식기류를 사람의 손을 빌지 않고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세척하고 행굼처리까지 수행하는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기세척기가 여러종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데,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의 분사력만으로 세척하기 때문에 브러시나 수세미등을 사용하여 사람손으로 세척하는 것에 비하여 단위시간당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한번에 세척할 수 있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세척하여야할 식기의 수량이 많은 음식점이나 학교식당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하기는 불가능하다. 특히 현재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세척시작부터 세척종료하는 1회당 세척소요시간이 길어서 대용량의 식기를 세척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식기세척작업을 사람의 힘을 빌지 않고 세척에서 행굼까지 기계적으로 자동수행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브러시를 사용하여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기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접시는 물론 깊이가 깊은 그릇, 예컨대 컵과 같은 식기도 깨끗이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자동세척장치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자동세척장치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1a: 식기투입구
1b: 측벽 2: 프레임
3: 슈트 5: 휠캐스터
6: 세제분사노즐
10a,10b: 제1브러시축, 제2브러시축 11a,11b: 브러시축의 베어링
13a,13b: 제1세척브러시, 제2세척브러시 14a,14b: 브러시모
15a,15b: 중앙 관통구멍 16a,16b: 부싱
17a,17b: 가이드 20: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
21: 구동모터 22: 구동축
22a,22b: 베벨기어 23a: 구동스프라켓
23b: 피동스프라켓 24: 체인
25a,25b: 제1워엄휠, 25b: 제2워엄휠 26a,26b: 제1워엄기어,제2워엄기어
27: 베어링 30a,30b: 제1왕복이송기구,제2왕복이송기구
31a,31b: 제1이송스크류축, 제2이송스크류축
32a,32b: 베벨기어 33a,33b: 이중나사홈
34: 베어링 35a,35b: 제1캐리어,제2캐리어
36a,36b: 제1가이드봉, 제2가이드봉 37: 브라켓
38a,38b: 푸시로드 40: 행굼부
41: 콘베이어벨트 42: 콘베이어 구동모터
43a,43b: 상부 세제공급관, 하부 세제공급관
44: 세제분사노즐 45: 행굼수 공급펌프
46: 안내플레이트 50: 보조세척기구
51: 보조모터 52a: 세척수통로
52b: 분사구멍 52: 보조 브러시축
53: 보조 세척브러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기 자동세척장치는 상부에 식기투입구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케이싱의 측벽에 각각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브러시축 및 제2브러시축과, 상기 제1브러시축과 제2브러시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시키는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와, 상기 제1브러시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세척브러시와, 상기 제2브러시축상에서 제2브러시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브러시축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세척브러시와 외접하게 배치된 제2세척브러시와, 상기 제1세척브러시 및 제2세척브러시를 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세척브러시 왕복이송기구와, 상기 제1세척브러시 또는 제2세척브러시 중 적어도 1개의 세척브러시쪽으로 액상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노즐과, 콘베이어 구동모터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세척브러시들을 통과하여 세척된 식기들을 실어서 수평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콘베이어벨트에 실려 이송하는 식기를 상하측에서 복수개의 행굼수 분사노즐을 통하여 행굼수를 분사하여 행굼처리하는 행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상에 설치된 보조 세척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자동세척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자동세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으로 지지된 케이싱(1)을 구비하고, 케이싱(1)은 상부에 식기를 투입하도록 입구양쪽 측면이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식기투입구(1a)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내부, 식기투입구(1a)의 아래쪽에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이 각각 케이싱(1)의 측벽(1b)에 베어링(11a,11b)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브러시축(10a,10b)상에는 제1세척브러시(13a)와 제2세척브러시(13b)가 조립되어 서로 외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세척브러시(13a,13b)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브러시모(14a,14b)들을 구비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중앙 관통구멍(15a,15b)이 형성되며, 그 중앙 관통구멍(15a,15b)의 양단에 부싱(16a,16b)을 끼워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는 중앙 관통구멍(15a,15b)을 통하여 제1브러시축(10a)상에 끼워져 중앙 관통구멍(15a,15b)의 양단에 구비된 부싱(16a,16b)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1브러시축(10a)은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7a,17b)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를 제1브러시축(10a)상에 지지하는 부싱(16a,16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원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홈(18a,18b)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러시축(10a)의 가이드(17a,17b)를 끼워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를 제1브러시축(10a)과 함께 회전시키는 동시에 제1세척브러시(13a)가 제1브러시축(10a)의 가이드(17a,17b)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제2세척브러시(13b)는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케이싱(1)에 설치된 제2브러시축(10b)상에 제1세척브러시(13a)와 같은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세척브러시(13b)도 제2브러시축(10b)와 함께 회전하지만, 제2브러시축(10b)의 가이드(17b)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가 제2세척브러시(13b)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약간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브러시축(10a)을 상기 제2브러시축(10b)보다 아래쪽에 배치하면 식기를 원활하게 끌고 들어갈 수 있고, 그 역으로 제2브러시축(10b)을 제1브러시축(10a)보다 아래쪽에 배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을 1개의 구동모터(21)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연동시켜 상기 브러시축(10a,10b)들에 각각 조립된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시키는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외측벽(1b)에서 상기 브러시축(10a,10b)들과 가로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베어링(27)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22)과, 상기 구동축(22)상에 설치되고 구동모터(21)의 축상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23a)과 체인(24)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구동축(22)에 전달하는 피동스프라켓(23b)과, 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의 선단에 각각 결합된 제1워엄휠(25a) 및 제2워엄휠(25b), 상기 구동축(22)상에 구비되어 구동축(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워엄휠(25a)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워엄기어(26a)와, 상기 구동축(22)상에 구비되어 구동축(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워엄휠(25b)을 상기 제1워엄휠(25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워엄기어(26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워엄기어(26a)는 제1브러시축(10a)을 도 1의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나선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제2워엄기어(26b)는 상기 제2브러시축(10b)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나선방향이 상기 제1워엄기어(26a)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는 워엄기어(26a,26b)와 워엄휠(25a,25b)의 맞물림방식으로 2개의 브러시축(10a,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 기재된 워엄기어 및 워엄휠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는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브러시축에 별개의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과 연동하여 상기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 왕복운동시키는 1쌍의 왕복이송기구(30a,30b)를 포함한다.
상기 왕복이송기구중 제1세척브러시(13a)를 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제1왕복이송기구(30a)는,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한쪽 측벽(1b)에서 브러시축(10a,10b)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싱(1)의 측벽(1b)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34)으로 지지되고,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의 구동축(22)의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22a)와 기어(32a)로써 맞물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연동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이중나사홈(33a)이 구비된 제1이송스크류축(31a)과, 상기 제1이송스크류축(31a)의 이중나사홈(33a)에 맞물려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축(31a)이 회전함에 따라 제1브러시축(10a)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1캐리어(35a)와, 상기 제1캐리어(35a)가 흔들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제1캐리어(35a)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가이드봉(36a)과, 상기 제1캐리어(35a)의 선단에 브라켓(37a)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캐리어(35a)와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의 양쪽 측면을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를 제1브러시축(10a)상에서 슬라이드왕복운동시키는 1쌍의 푸시로드(38a)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세척브러시(13b)를 왕복운동시키는 제2왕복이송기구(3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왕복이송기구(3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상기 제1왕복이송기구와 대향되게 케이싱(1)의 다른 쪽 측벽에 배치된다. 즉 제2왕복이송기구(3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한쪽 측벽(1b)에서 브러시축(10a,10b)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싱(1)의 측벽(1b)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34)으로 지지되고,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의 구동축(22)의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22b)와 베벨기어(32b)로써 기어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연동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이중나사홈(33b)이 구비된 제2이송스크류축(31b)과, 상기 제2이송스크류축(31b)의 이중나사홈(33b)에 맞물려서 상기제2이송스크류축(31b)이 회전함에 따라 제2브러시축(10b)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캐리어(35b)와, 상기 제2캐리어(35b)가 흔들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제2캐리어(35b)를 관통하여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가이드봉(36b)과, 상기 제2캐리어(35b)의 선단에 브라켓(37b)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2캐리어(35b)와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2세척브러시(13b)의 양쪽 측면을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2세척브러시(13b)를 슬라이드왕복운동시키는 1쌍의 푸시로드(38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의 구성에 의하여 1개의 구동모터(21)가 회전하여 구동축(22)을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구동축(22)에 동시에 연결된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은 서로 반대방향(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그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제1세척브러시(13a)와 제2세척브러시(13b)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22)의 양쪽 선단에 베벨기어(22a)로써 서로 맞물려 있는 제1이송스크류축(31a)과 제2이송스크류축(31b)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각각의 이중나사홈(33a)에 맞물려 있는 제1캐리어(35a)와 제2캐리어(35b)를 서로 교차왕복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35a)와 제2캐리어(35b)에 각각 부착되어 함께 이동하는 1쌍의 푸시로드(38a,38b)들이 제1세척브러시(13a)와 제2세척브러시(13b)들을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밀어 서로 교차왕복운동하게 한다. 따라서 이렇게 작동하는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들 사이로 식기투입구(1a)를 통하여 식기를 투입하면 이들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들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교차왕복운동을 하면서 그사이로 투입되는 식기(도시생략)를 문질러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1)의 측벽 상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세제를 호스를 통하여 공급받아서 상기 세척브러시(13a,13b)쪽으로 분사하는 세제분사노즐(6)이 구비된다. 여기서 액상 세제공급용 펌프(도시생략함)를 별도로 구비하여 세제 저장통(도시생략함)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호스로 공급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들의 아래쪽에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슈트(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슈트(3)는 상기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를 거치면서 세척된 식기를 후술하는 행굼부(40)의 콘베이어벨트(41)쪽으로 안내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1쌍의 세척브러시(13a,13b)를 통과하면서 세척되어 슈트(3)를 따라 낙하하는 식기를 받아서 물로 세척행굼처리하는 행굼부(40)를 구비한다. 상기 행굼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 구동모터(4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23a)과 지지스프라켓(23b)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되고, 한쪽 선단의 상면은 상기 슈트(3)에 이어지게 배치된 콘베이어벨트(41)와, 상기 콘베이어벨트(41)의 상하측에서 각각 콘베이어벨트(41)쪽으로 향하는 복수개의 행굼수 분사노즐(44)을 구비한 상부 행굼수공급관(43a) 및 하부 행굼수공급관(43b)과, 상기 각 행굼수공급관(43a,43b)쪽으로 행굼수를 공급하는 행굼수 공급펌프(45)로 구성된다. 상기 행굼수 분사노즐(44)은 콘베이어벨트(41)위로 골고루 분사하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베이어벨트(41)의 선단에는 콘베이어벨트(41)에 실려 행굼처리된 식기를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46)가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외에 컵 등과 같이 깊이가 깊어서 상기 세척브러시(13a,13b)로써 내부세척이 어려운 용기, 컵이나 병등을 세척할 수 있는 보조세척기구(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보조세척기구(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모터(51)와, 상기 보조모터(51)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통로(52a)를 중심축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상기 세척수통로(52a)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분사구멍(52b)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축(52)과, 상기 보조브러시축(52)상에 결합되어 보조브러시축(52)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세척브러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세척브러시(53)는 선단을 둥근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컵 내부를 세척하기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싱(1)을 지지하는 프레임(2)의 하단에는 휠캐스터(5)를 부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람이 손으로 식기를 연속적으로 투입하기만 하면 그 식기를 기계적으로 자동세척할 뿐아니라 행굼처리까지 자동처리함으로써 다량의 식기를 배출하는 대형음식점에서 신속하게 식기를 세척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세척브러시가 회전 및 교차왕복운동을 하면서 식기를 세척하므로 식기를 힘들이지 않고 짧은 시간안에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부에 식기투입구(1a)를 구비한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은 케이싱(1)의 측벽에 베어링(34)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브러시축(10a) 및 제2브러시축(10b)과, 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시키는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와, 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세척브러시(13a)와, 상기 제2브러시축(10b)상에서 제2브러시축(10b)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브러시축(10b)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와 외접하게 배치된 제2세척브러시(13b)와,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 및 제2세척브러시(13b)를 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세척브러시 왕복이송기구(30a,30b)와, 상기 제1세척브러시(13a) 또는 제2세척브러시(13b) 중 적어도 1개의 세척브러시쪽으로 액상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노즐(6)과, 콘베이어 구동모터(42)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세척브러시(13a,13b)들을 통과하여 세척된 식기들을 실어서 수평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41)와, 상기 콘베이어벨트(41)에 실려 이송하는 식기를 상하측에서 복수개의 행굼수 분사노즐(44)을 통하여 행굼수를 분사하여 행굼처리하는 행굼부(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자동세척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축 회전연동기구(20)는 케이싱(1)의 외측벽(1b)에서 상기 브러시축(10a,10b)들과 가로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베어링(34)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2)과, 상기 제1브러시축(10a)과 제2브러시축(10b)의 선단에 각각 결합된 제1워엄휠(25a) 및 제2워엄휠(25b), 상기 구동축(22)상에 구비되어 구동축(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워엄휠(25a) 및 제2워엄휠(25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1워엄기어(26a) 및 제2워엄기어(26b)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브러시 왕복이송기구(30a,30b)는, 상기 케이싱(1)의 양쪽 측벽(1b)에서 상기 브러시축(10a,10b)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34)으로 지지되고, 상기 구동축(22)의 선단에 기어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이중나사홈(33a,33b)이 구비된 제1이송스크류축(31a) 및 제2이송스크류축(31b)과, 상기 각 이송스크류축(31a,31b)의 이중나사홈(33a,33b)에 맞물려서 상기 각 이송스크류축(31a,31b)이 회전함에 따라 브러시축(10a,10b)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1캐리어(35a) 및 제2캐리어(35b)와, 상기 각 캐리어(35a,35b)가 흔들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각 캐리어(35a,35b)를 관통하여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가이드봉(36a) 및 제2가이드봉(36b)과, 상기 각 캐리어(35a,35b)의 선단에 브라켓(37a,37b)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35a,35b)와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각 세척브러시(13a,13b)의 양쪽 측면을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세척브러시(13a,13b)를 브러시축(10a,10b)상에서 슬라이드왕복운동시키는 1쌍의 푸시로드(38a,38b)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자동세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조모터(51)와, 상기 보조모터(51)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통로(52a)를 중심축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상기 세척수통로(52a)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분사구멍(52b)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축(52)과, 상기 보조브러시축(52)상에 결합되어 보조브러시축(52)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세척브러시(53)로 이루어진 보조세척기구(5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자동세척장치.
KR2020010035683U 2001-11-20 2001-11-20 식기 자동세척장치 KR200264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83U KR200264589Y1 (ko) 2001-11-20 2001-11-20 식기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83U KR200264589Y1 (ko) 2001-11-20 2001-11-20 식기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589Y1 true KR200264589Y1 (ko) 2002-02-19

Family

ID=7305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83U KR200264589Y1 (ko) 2001-11-20 2001-11-20 식기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589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211B1 (ko)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100910104B1 (ko) 2009-04-08 2009-07-30 안준 애벌 식판세척기
KR200464106Y1 (ko) 2012-07-02 2012-12-11 동화시스템(주) 초벌세척기의 받침부재
KR101253000B1 (ko)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KR101620493B1 (ko) * 2014-06-30 2016-05-12 (주)자숨 개량된 세척구조를 갖는 식판 세척장치
CN109703975A (zh) * 2019-01-31 2019-05-03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碗碟清洗传输设备
KR102039975B1 (ko) 2018-10-12 2019-11-04 (주)자숨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2072497B1 (ko) 2018-11-12 2020-02-03 (주)자숨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20210095324A (ko) 2020-01-23 2021-08-02 (주)자숨 식판 헹굼 세척장치
KR102429150B1 (ko) * 2021-12-14 2022-08-05 임한 턴테이블 회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컵 세척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211B1 (ko)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100910104B1 (ko) 2009-04-08 2009-07-30 안준 애벌 식판세척기
KR101253000B1 (ko)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KR200464106Y1 (ko) 2012-07-02 2012-12-11 동화시스템(주) 초벌세척기의 받침부재
KR101620493B1 (ko) * 2014-06-30 2016-05-12 (주)자숨 개량된 세척구조를 갖는 식판 세척장치
KR102039975B1 (ko) 2018-10-12 2019-11-04 (주)자숨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2072497B1 (ko) 2018-11-12 2020-02-03 (주)자숨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CN109703975A (zh) * 2019-01-31 2019-05-03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碗碟清洗传输设备
KR20210095324A (ko) 2020-01-23 2021-08-02 (주)자숨 식판 헹굼 세척장치
KR102429150B1 (ko) * 2021-12-14 2022-08-05 임한 턴테이블 회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컵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04913A1 (en) Dish washing machine
KR200264589Y1 (ko) 식기 자동세척장치
KR101300919B1 (ko) 식기 세척기
MX2009000983A (es) Sistema impulsor para maquinas lavavajillas.
KR101978988B1 (ko) 개량된 순환와류 형성구조를 갖는 담금형 식기 세척장치
RU257858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вращающимся распылительным коромыслом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101281449B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308454B1 (ko) 수저세척기
KR101265415B1 (ko) 자동식판세척장치
CN106580215A (zh) 新型全自动转弯洗碗机
CN109998440A (zh) 一种带粗洗装置的商用洗碗机
KR101364294B1 (ko) 수저세척기
US2339832A (en) Drinking glass washer conveyer
KR101052751B1 (ko) 자동 식기세척기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KR101376218B1 (ko) 식기 세척기
CN109127509B (zh) 一种农作物清洗机
KR20120021511A (ko)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WO2001005293A1 (en) Dishwasher using high pressure water
CN116138693B (zh) 一种智能调整的洗碗机
US4069533A (en) Washing machine for cleaning cooking pots or similar articles
KR19990030438A (ko) 프라이트형 식기 및 채소 자동 세척장치
US3308838A (en) Baking pan cleaning apparatus
KR20150039938A (ko) 업다운 방식의 대용량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