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497B1 -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497B1
KR102072497B1 KR1020180138147A KR20180138147A KR102072497B1 KR 102072497 B1 KR102072497 B1 KR 102072497B1 KR 1020180138147 A KR1020180138147 A KR 1020180138147A KR 20180138147 A KR20180138147 A KR 20180138147A KR 102072497 B1 KR102072497 B1 KR 10207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tableware
dishes
tilting
ri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자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숨 filed Critical (주)자숨
Priority to KR102018013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4Conveyor belts, e.g. conveyor belts moto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이나 쟁반, 또는 접시 등의 식기들을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를 따라 이동시켜,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식기들의 표면 헹굼 세척을 도모하도록 하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Dishwasher with tilting transfer structure of tableware}
본 발명은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정렬슬롯 내에 식판이나 쟁반, 또는 접시 등의 식기들을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를 따라 이동시켜,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식기들의 표면 헹굼 세척을 도모하도록 하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대량의 식기, 예컨대 접시, 국그릇, 식판 등을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호텔이나 병원, 학교, 공장, 군대 등과 같은 단체 급식소 또는 중 대형식당에 주로 설치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시키기 위하여 식기를 이동시키는 식기 이송장치와; 상기 식기 이송장치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식기의 표면에 세척 헹굼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기 이송장치는 구동축과;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로 견착되어 구동축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여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되며, 지지핑거를 통해 안착된 식기들을 기립된 상태로 각각 배열하는 식기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베이어 구조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식기 이송장치의 식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식기들은 헹굼 세척구간을 식기 이송벨트의 이송작용에 의해 헹굼 세척구간을 통과하고, 이러한 과정에 헹굼 세척구간 내에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헹굼 세척이 이룩된다.
그런데, 상기 식기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식기 이송벨트는 헹굼 세척구간을 수평으로 전개된 상태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결과적으로 상기 식기 이송벨트에 배치되어 식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핑거는 항시 일정한 각도로 식기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식기들은 헹굼 세척구간을 항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헹굼 세척구간에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는 항시 일정한 각도로 식기에 분사되므로,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한 세척 사각영역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세척 사각영역은, 인접한 식기들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고 기립각도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는데, 상기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못하는 세척 사각영역이 발생되면 식기의 안정적인 헹굼 세척을 도모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물론, 최근에는 전동을 통해 분사노즐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켜서, 헹굼 이송구간을 통과하는 식판에 다양한 각도로 헹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구성요소와 구조를 요하면서 전동을 통해 구동되므로 전기적 안전성이나 내구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게 된다.
KR 10-1253000 KR 20-0147299 KR 20-0277669 KR 100977943 B1 KR 200264589 Y1 KR 101070658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판이나 쟁반, 또는 접시 등을 포함하는 식기들을 기립된 상태로 정렬하여 헹굼 세척공간부를 따라 이동시켜 기립된 식기들의 헹굼 세척을 도모함에 있어,
식기들이 이동하는 과정에 다양한 각도로 기립각도를 변경하는 틸팅 이송구조를 구현하여서, 헹굼 세척수가 분사되지 아니하는 헹굼 사각영역의 발생없이 식기들의 각 부위에 헹굼 세척수의 고른 분사가 이루어져 식기들의 고른 헹굼 세척이 도모되도록 한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는,
일편에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편에 배출구가 형성된 헹굼 세척공간부와;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식기 정렬슬롯에 식기들을 낱개씩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식기 이송부;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 배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헹굼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 이송부에 의해 헹굼 세척공간부를 기립된 상태로 통과하는 식기의 헹굼 세척을 도모하는 헹굼 세척수 분사부; 및
상기 식기 이송부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헹굼 세척공간부를 통과하는 식기를 전방으로 밀은 다음 후방으로 밀어서, 각 식기 정렬슬롯에 안착되어 헹굼 세척공간부를 통과하는 식기를 순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하는 식기 틸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 이송부는 구동축과;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로 견착되어 구동축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여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되며, 식기를 기립되게 지지하는 지지핑거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된 지지핑거 사이에 식기 정렬슬롯이 각각 형성된 식기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베이어 구조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 틸팅부는 지지핑거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 내에 기립되게 배열된 식기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틸팅압 형성노즐과,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틸팅압 형성노즐이 교번하여 형성된 간접 간섭형과;
지지핑거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 내에 기립되게 배열된 식기를 물리적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직접 간섭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간섭부재와,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를 물리적으로 직접 전방에서 후방으로 간섭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간섭부재로 구성된 직접 간섭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 1 간섭부재와 제 2 간섭부재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러쉬모들 통해 식기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섭하는 회전 브러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간섭부재와 제 2 간섭부재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진퇴하는 간섭암을 통해, 기립된 식기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섭하여 전방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간섭암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헹굼 세척공간부에 식기 이송부가 순차적으로 식기를 기립된 상태로 이송함에 있어, 상기 기립된 상태로 헹굼 세척공간부를 통과하는 식기를 순차적으로 간섭하여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는 식기 틸팅부를 부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식기 이송벨트에 기립되게 배열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식기들은 설정된 각도로만 기립되지 아니하고, 식기 틸팅부에 의해 전방과 후방으로 틸팅되어 기립각도가 일시적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식기들의 기립각도가 변경되면, 식기 이송벨트에 기립되게 배치된 식기들은 인접한 식기에 의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거나, 설정된 헹굼 세척수의 분사각도에 의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세척 사각영역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세척 사각영역의 발생없이 식기의 각부위에 헹굼 세척수가 안정되게 분사되어서 고른 헹굼 세척이 도모될 수 있어서 세척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이송부를 구성하는 식기 이송벨트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틸팅부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식기의 틸팅 이송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이송부에 의한 식기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순간 이동상태와 6b는 순간 정지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이송부를 구성하는 식기 이송벨트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틸팅부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식기의 틸팅 이송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 식기 이송부에 의한 식기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순간 이동상태와 6b는 순간 정지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1)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헹굼 세척공간부(10)와;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10) 내에 배치되어, 식기 정렬슬롯(25)에 식기(T)들을 낱개씩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10)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식기 이송부(20); 및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10) 내에 배치된 분사노즐(31, 32)을 통해 헹굼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 이송부(20)에 의해 헹굼 세척공간부(10)를 기립된 상태로 통과하는 식기의 헹굼 세척을 도모하는 헹굼 세척수 분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10)는 일편에 공급구(11)가 형성되고 타편에 배출구(12)가 형성된 터널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헹굼 세척수 분사부(30)는 헹굼 세척공간부(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헹굼 세척수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31)과 하부 분사노즐(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식기 이송부(20)는 공급구(11)에서 접시나 쟁반, 또는 식판 등의 식기들을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10)를 통과시켜, 헹굼 세척공간부(10)에 마련된 분사노즐(31, 32)들을 통해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식기들을 헹굼 세척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일종의 식기 정렬 이송수단이다.
상기 식기 이송부(20)는, 구동모터(21a)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1)와, 종동축(22), 및 상기 구동축(21)과 종동축(22)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로 견착되어 구동축(2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여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되며, 헹굼 세척을 요하는 식기들을 기립된 상태로 배열하는 식기 이송벨트(23)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베이어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1a)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 이송벨트(23)는 지지핑거(23a)들이 연결핀(23b)을 통해 체인 링크구조로 연결된 환형 조립체로 구성되어, 식기 정렬슬롯(25)을 형성하는 각 지지핑거(23a)를 통해 식기(T)들은 식기 이송벨트(23)의 상부면에 기립된 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핑거(23a)는 연결핀(23b)을 통해 체인 링크구조로 연결되는 체인 링크단(23a-b)과, 상기 체인 링크단(23a-b)에 기립되게 형성되어 식판(T)을 기립되게 지지하는 식판 지지단(23a-a)이 형성된 성형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핀(23b)을 통해 지지핑거(23a)들이 행렬구조로 체인 링크구조로 연결하여 환형 조립체를 형성하며, 이러한 식기 이송벨트(23)는 구동축(21)과 종동축(22)에 마련된 스프라켓에 규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1)에 의해 일방향으로 견인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식기 이송부(20)는 도 2와 같이 분사노즐(31, 32)들이 배치된 터널형의 헹굼 세척공간부(10)에 가로지른 상태로 배치되어, 공급구(11)에서 기립되게 배열 공급된 식기들을 터널형의 헹굼 세척공간부(1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분사노즐(31, 32)을 통해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식기 표면에 잔류된 이물질의 헹굼 세척을 도모하여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한다.
이때, 상기 식기 이송벨트(23)의 각 지지핑거(23a)에 의해 기립하여 지지된 식기(T)들은 공급구(11)에서 배출구(12) 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헹굼 세척공간부(10)에 마련된 분사노즐(31, 32)을 통해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에 의해 표면에 잔류된 세제나 이물질들의 헹굼 세척이 이룩된다.
그리고, 상기 헹굼 세척수에 의해 헹굼 세척이 이루어지는 식기(T)들은 지지핑거(23a)에 의해 기립되게 지지된 관계로, 표면에 분사된 헹굼 세척수의 안정적인 배수가 이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1)에, 상기 식기 이송부(20)에 의해 식기 정렬슬롯(25) 내에서 기립된 상태로 헹굼 세척공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를 순차적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밀어 헹굼 세척공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들이 식기 정렬슬롯(25)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하는 식기 틸팅부(40, 50)를 부가하여 형성한다.
상기 식기 틸팅부(40, 50)를 부가하면, 헹굼 세척공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들은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므로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세척 사각영역의 발생없이 고른 헹굼 세척이 이룩될 수 있다.
즉, 상기 식기 이송벨트(23)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되게 배치된 식기(T)들은 인접한 식기(T)에 의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세척 사각영역, 그리고 설정된 분사노즐(31, 32)의 분사각도에 의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세척 사각영역이 불가피하게 발생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식기 틸팅부(40, 50)를 통해 식기(T)를 전후방향으로 구간 틸팅시켜 식기(T)들의 기립각도를 일시적으로 변경하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사각 영역의 발생없이 식기 각 부위에 헹굼 세척수가 안정되게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압이나 공압을 통해 식기를 전후방향으로 틸팅하는 간접 간섭형 식기 틸팅부(40)와, 식기를 물리적으로 직접 간섭하여 식기를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직접 간섭형 식기 틸팅부(50)를 각각 제안하고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간접 간섭형 식기 틸팅부(4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핑거(23a)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되게 배열된 식기(T)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틸팅압 형성노즐(41)과,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T)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틸팅압 형성노즐(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식기 이송부(20)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되게 배치되어 헹굼 세척구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들은, 제 1 틸팅압 형성노즐(41)을 통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순차 틸팅되고,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는 제 2 틸팅압 형성노즐(42)을 통해 후방으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순차 틸팅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틸팅압 형성노즐(41)과 제 2 틸팅압 형성노즐(42)을 상호 힌지핀(43a)을 통해 상호 힌지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상하 힌지구조로 설치된 제 1 틸팅압 형성노즐(41)과 제 2 틸팅압 형성노즐(42)을 견인 스프링(43)을 통해 탄력적으로 매달아, 상기 제 1 틸팅압 형성노즐(41)과 제 2 틸팅압 형성노즐(42)은 견인 스프링(43)의 탄성 신축에 의해 힌지핀(43a)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상하 회전하면서, 식기의 배면과 전면에 헹굼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전방과 후방으로 탄력적으로 틸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직접 간섭형 식기 틸팅부(50)는, 도 1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핑거(23a)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하여 배열된 식기(T)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물리적 직접 간섭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간섭부재(51)와,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를 물리적으로 직접 간섭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간섭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간섭부재(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기 정렬슬롯(25)은 바닥면에 하단변을 지지한 식기를 기립되게 정렬하는 기능과, 하단변을 바닥면에 지지한 식기의 전방 및 후방의 틸팅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쉬 등의 회동체로 이루어진 제 1 간섭부재(51)와 제 2 간섭부재(52)를 포함하는 직접 간섭형 식기 틸팅부(50)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 1 간섭부재(51)는 전방으로 회전하여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위치된 식기(T)들을 브러쉬모를 통해 전방으로 직접 탄성 간섭하여 틸팅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 2 간섭부재(52)는 후방으로 회전하여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위치된 식기(T)들을 브러쉬모를 통해 후방으로 직접 간섭하여 틸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식기 이송부(20)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되게 배치되어 헹굼 세척구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들은, 제 1 간섭부재(51)을 통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순차 틸팅되고,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는 제 2 간섭부재(52)를 통해 후방으로 분사되는 헹굼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순차 틸팅된다.
물론, 상기 회동체로 구성된 제 1 간섭부재(51)와 제 2 간섭부재(52)를, 회동체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상하 또는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여 식기를 전방향과 후방향으로 틸팅하도록 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따라서, 상기 식기 이송부(20)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되게 배치되어 헹굼 세척구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들은, 도 4와 같이 제 1 간섭부재(51)와의 간섭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되고, 또 제 2 간섭부재(52)와의 간섭에 의해서도 후방으로 틸팅된다.
그리하여, 상기 식기 이송부(20)에 의해 헹굼 세척공간부(10)를 통과하는 식기(T)들은 식기 틸팅부(40, 50)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간섭되어 전방으로 틸팅된 다음 후방으로 재틸팅되고, 이러한 과정에 식기(T)는 인접한 식기들에 가려지거나 분사노즐의 분사각도에 의해 헹굼 세척수가 도달하지 아니하는 세척 사각영역의 안정적인 세척이 이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식기 이송부(20)를 구성하는 식기 이송벨트(23)의 이동을 독특하게 설정하여, 식기 이송벨트(23)의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하여 위치된 식기(T)들이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된 다음 후방으로 틸팅되어서, 헹굼 세척수에 의해 헹굼 세척되는 식기의 고른 헹굼 세척이 도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식기(T)를 기립되게 위치한 식기 이송벨트(23)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구동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순간 이동단계와 순간 정지하는 순간 정지단계를 교번되게 실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구동축(21)에 견착된 식기 이송벨트(23)는 도 6a와 같이 순간 이동작용과,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간 정지작용을 교번되게 수행하고, 결과적으로 식기 이송벨트(23)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하여 위치된 식기들은 순간 정지와 순간 이동에 의한 관성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된 다음 후방으로 틸팅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물론, 상기 식기 이송벨트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일시적으로 식기 이송벨트를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관성에 의한 식기의 틸팅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상기 식기 틸팅부(40, 50)와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기 정렬슬롯(25)을 구성하는 각 지지핑거(23a)에, 일단은 지지핑거(23a)에 고정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한 식기 탄발부재(60)를 배치하여서, 상기 식기 정렬슬롯(25)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는 식기들은 식기 탄발부재(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탄력적인 전후 틸팅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식기 이송벨트(23)의 각 식기 정렬슬롯(25) 내에 기립하여 위치된 식기(T)들은 세척 사각영역의 발생없이 헹굼 세척수에 의한 고른 헹굼 세척이 도모되고, 상기 관성 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틸팅되는 식기들은 이동 및 멈춤을 반복하면서 생성된 충격에 의해 표면에 잔류된 헹굼 세척수의 보다 신속한 배수가 이룩될 수 있다.
1. 식기 세척기
10. 터널형 헹굼 세척공간부 11. 공급로
12. 배출로
20. 식기 이송부 21. 구동축
21a. 구동모터
22. 종동축 23. 이송벨트
23a. 지지핑거 23a-a. 식판 지지단
23a-b. 체인 링크단
23b. 연결핀 25. 식기 정렬슬롯
30. 헹굼 세척부 31. 상부 분사노즐
32. 하부 분사노즐
40. 식기 틸팅부(간접 간섭형)
41. 제 1 틸팅압 형성노즐 42. 제 2 틸팅압 형성노즐
50. 식기 틸팅부(직접 간섭형)
51. 제 1 간섭부재 52. 제 2 간섭부재
60. 식기 탄발부재
100. 식기 101. 전면
102. 배면

Claims (4)

  1. 일편에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편에 배출구가 형성된 헹굼 세척공간부와;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식기 정렬슬롯에 식기들을 낱개씩 기립되게 배열하여 헹굼 세척공간부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식기 이송부; 및
    상기 헹굼 세척공간부 내에 배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헹굼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 이송부에 의해 헹굼 세척공간부를 기립된 상태로 통과하는 식기의 헹굼 세척을 도모하는 헹굼 세척수 분사부; 및
    상기 식기 이송부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헹굼 세척공간부를 통과하는 식기를 전방으로 밀은 다음 후방으로 밀어서, 각 식기 정렬슬롯에 안착되어 헹굼 세척공간부를 통과하는 식기를 순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하는 식기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 이송부는 구동축과;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로 견착되어 구동축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여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되며, 식기를 기립되게 지지하는 지지핑거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된 지지핑거 사이에 식기 정렬슬롯이 각각 형성된 식기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베이어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기 정렬슬롯을 구성하는 각 지지핑거에, 일단은 지지핑거에 고정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한 식기 탄발부재를 배치하여서, 상기 식기 정렬슬롯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는 식기들은 식기 탄발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탄력적인 전후 틸팅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각 식기 정렬슬롯 내에 식기를 기립되게 위치한 식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순간 이동단계와 순간 정지하는 순간 정지단계를 교번되게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틸팅부는 지지핑거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 내에 기립되게 배열된 식기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틸팅압 형성노즐과,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헹굼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틸팅압 형성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간접 간섭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틸팅부는 지지핑거 사이에 형성된 식기 정렬슬롯 내에 기립하여 배열된 식기를 물리적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직접 간섭하여 식기를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1 간섭부재와,
    상기 전방으로 틸팅된 식기를 물리적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접 간섭하여 식기를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제 2 간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직접 간섭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1020180138147A 2018-11-12 2018-11-12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10207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47A KR102072497B1 (ko) 2018-11-12 2018-11-12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47A KR102072497B1 (ko) 2018-11-12 2018-11-12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497B1 true KR102072497B1 (ko) 2020-02-03

Family

ID=6962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47A KR102072497B1 (ko) 2018-11-12 2018-11-12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49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99Y1 (ko) 1996-12-28 1999-06-15 김채진 식판가이드용 핑거
KR200264589Y1 (ko) 2001-11-20 2002-02-19 황규완 식기 자동세척장치
KR200277669Y1 (ko) 2002-03-05 2002-06-07 (주)돌핀 식기세척기용 공기배출장치
JP2003038411A (ja) * 2001-08-03 2003-02-12 Yoshiaki Nitta 食器かご
US20050072449A1 (en) * 2003-08-26 2005-04-07 Alpert Martin A. Dishwasher and method
KR100977943B1 (ko) 2009-03-31 2010-08-24 명순승 식기세척기의 식판 자동투입장치
KR101070658B1 (ko) 2011-03-25 2011-10-07 동건화학 주식회사 애벌 세척장치
KR101253000B1 (ko)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KR101688389B1 (ko) * 2015-07-23 2016-12-22 조태억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99Y1 (ko) 1996-12-28 1999-06-15 김채진 식판가이드용 핑거
JP2003038411A (ja) * 2001-08-03 2003-02-12 Yoshiaki Nitta 食器かご
KR200264589Y1 (ko) 2001-11-20 2002-02-19 황규완 식기 자동세척장치
KR200277669Y1 (ko) 2002-03-05 2002-06-07 (주)돌핀 식기세척기용 공기배출장치
US20050072449A1 (en) * 2003-08-26 2005-04-07 Alpert Martin A. Dishwasher and method
KR100977943B1 (ko) 2009-03-31 2010-08-24 명순승 식기세척기의 식판 자동투입장치
KR101070658B1 (ko) 2011-03-25 2011-10-07 동건화학 주식회사 애벌 세척장치
KR101253000B1 (ko)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KR101688389B1 (ko) * 2015-07-23 2016-12-22 조태억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75B1 (ko)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1253000B1 (ko) 식기세척장치
KR101679624B1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KR101236067B1 (ko) 고속 식기세척기
KR100908211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20120084097A (ko) 브러쉬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102072497B1 (ko) 식기의 틸팅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20150055533A (ko) 복합 식판세척기
KR101688389B1 (ko)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20180076484A (ko) 식판용 식기 세척기
KR101999771B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투입기
RU2424760C2 (ru) Способ подвода жидкости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чистящей машине
KR20200144999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JP4020329B1 (ja) 食器皿洗浄装置
KR20220098665A (ko)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의 지지핑거,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
KR20130110725A (ko) 식기세척기의 식판 세척장치
US2339832A (en) Drinking glass washer conveyer
KR19980056137U (ko) 식판으로부터의 식기 및 잔반 자동 분리 장치
WO2001005293A1 (en) Dishwasher using high pressure water
US4821755A (en) Continuous-flow type dishwashing apparatus
US4069533A (en) Washing machine for cleaning cooking pots or similar articles
KR100978449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KR20160139976A (ko) 식판 세정장치
KR102645548B1 (ko) 식기 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