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107A -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107A
KR20120018107A KR1020117011549A KR20117011549A KR20120018107A KR 20120018107 A KR20120018107 A KR 20120018107A KR 1020117011549 A KR1020117011549 A KR 1020117011549A KR 20117011549 A KR20117011549 A KR 20117011549A KR 20120018107 A KR20120018107 A KR 2012001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fatty aci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252B1 (ko
Inventor
유키 사사오
야스에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 염색, 표백 혹은 세정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에스테르, 선형 사슬 고급 지방산, 수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칼리 제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Description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 표백 혹은 세정 등에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염색(dyeing), 표백(bleaching) 혹은 세정(destaining) 등에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알칼리 제(alkaine agents) 및 산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산화제는 모발로부터 멜라닌(melanin)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알칼리 제는 상기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표백된 모발의 윤기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염료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알칼리 제는 또한 상기 염료의 모발 내부로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발을 부풀림으로써 모발의 가염성(dyeability)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된 알칼리 제 및 산화제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모발의 윤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의 알칼리 제로서 암모니아 및 알칸올아민(alkanolamine)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암모니아의 함량이 증가하면, 자극적인 냄새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칸올아민의 함량이 증가하면, 세척(washing) 후에 모발에 잔류하는 알칸올아민이 두피 자극을 유발하는 위험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고급 알코올 및 가지사슬 지방산(branched-chain fatty acid)의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모발 표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모발 표백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의 윤기를 증진시키고 자극적 냄새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6-28107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상기 모발 표백 조성물은 알칼리 제 및 산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두피 자극을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불충분한 퍼짐성(spreadability)으로 인해 상기 모발 표백 조성물의 모발 적용이 어려움으로 인해, 일부 경우에 있어서 모발이 균일하게 표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들은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전술한 문제점들이 특정한 오일(oil) 성분 및 특정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상기 특징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시 알칼리 제 및 산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균일한 모발 염색, 표백 혹은 세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발 염색, 표백 혹은 세정에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a linear-chain higher fatty acid), 수평균 분자량 6,000 이상의 폴리에틸렌 클리콜(polyethylene glycol), 알칼리 제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및 팔미트산(palmitic acid)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적용시 알칼리 제 및 산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모발이 균일하게 염색, 표백 혹은 세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하기에서는, 모발 표백 혹은 세정에 사용되는 제1, 제2 및 제3 화장료 조성물로서 본 발명이 구현되는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제1 및 제2 제제로 구성되는 2성분 타입이며, 이는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을 위해 적용시 혼합된다. 상기 제1 제제는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알칼리 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제는 산화제를 포함한다.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1 제제)
상기 제1 제제에 포함된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조합되어 사용될 때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에의 적용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균일한 모발 표백 및 세정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의 혼합물은 우수한 퍼짐성(spreadability)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에의 적용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또한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의 윤기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탄소수 11 이상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악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알코올 잔기(residue)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일 이상의 수소 원자들이 히드록실 기(-OH) 또는 스테로이드 알코올(스테롤(sterol)) 잔기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의 잔기일 수 있다. 상기 스테롤의 특정한 예로서, 콜레스테롤(cholesterol), 라노스테롤(lan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시토스테롤(sitosterol), 퓨코스테롤(fuc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및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특정한 예로서,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diisopropyl adipate), 디이소부필 아디페이트(diisopropyl adipate), 디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2-헥실데실 아디페이트(2-hexyldecyl adipate),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페이트(diisostearyl adip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선형사슬 지방산 에스테르),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2-ethylhexanoate, 가지사슬 지방산 에스테르), 세틸 이소옥타노에이트(cetyl isooctanoate),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이소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decyl isononanoate),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hexyldecyl dimethyloctanoate), 아세틸레이티드 라놀린(acetylated lanolin), 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ethylene glycol di-2-ethylhexanoate), 세틸 카프레이트(cetyl caprate),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glyceryl tricaprate) 및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ate)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의 에스테르 및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과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에스테르인 지방산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및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과 라노스테롤의 에스테르인 지방산 라노스테릴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및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의 혼합물 내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5 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질량%이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이 0.05 질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이 5 질량%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의 윤기가 향상된다.
고급 지방산은 모발에의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알칼리 제 및 산화제의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가지사슬이 없는 선형사슬 지방산이다. 가지사슬 지방산이 사용되는 경우, 알칼리 제 및 산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이 잘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포화 지방산 혹은 불포화 지방산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의 특정한 예로서,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12-hydroxystearic acid) 및 올레산(oleic acid)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및 팔미트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의 혼합물 내의 고급 지방산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2.5 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이다. 상기 고급 지방산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알칼리 제 및 산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이 잘 감소된다. 또한,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증진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모발에의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급 지방산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알칼리 제 및 산화제의 의해 야기되는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6,000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다. 6,000 미만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또는 세정의 균일성이 악화될 수 있다. 특정한 한계는 없으나,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000,000이다. 수평균 분자량 5,000,000 이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의 혼합물 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2.5 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1 질량%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제제에 포함된 알칼리 제는 상기 제2 제제에 포함된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모발 표백 또는 세정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알칼리제의 예로서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유기 아민, 무기 알칼리, 염기 아미노산 및 이들 물질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칸올아민의 특정한 예들로서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아민의 특정한 예로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AMP),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2-amino-2-methyl-1,3-propanediol) 및 구아니딘(guanidi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알칼리의 특정한 예로서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및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을 들 수 있다. 상기 염기 아미노산의 특정한 예들로서, 아르기닌(arginine) 및 리신(lysine)을 들 수 있다. 상기 염의 특정한 예들로서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오직 한 종류의 알칼리 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알칸올아민 및 암모니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알칼리 제로 사용될 때,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제는 상기 제1 제제의 pH 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함량으로 상기 제1 제제 내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제제의 pH 가 8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제 내에 포함된 상기 산화제의 작용이 상기 제1 및 제2 제제의 혼합과 함께 충분히 촉진된다. 상기 제1 제제의 pH 가 12 이하인 경우, 모발이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제제는 상술한 성분들 외에 다른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오일(oil) 성분, 추가적인 다가 알코올, 계면 활성제, 당(sugar), 방부제, 안정제, pH 조절제, 식물 추출물, 생약 추출물, 비타민, 방향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킬레이트제 및 산화보조제 등을 필요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예를 들면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amphoteric) 화합물 중 특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 화합물 및 합성 화합물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이온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모발 보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의 특정한 예들로서, 오일/지방, 왁스, 고급 알코올, 탄화수소, 알킬글리세릴 에테르(alkylglyceryl ether), 에스테르 및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지방의 특정한 예로서 라놀린(lanolin), 올리브유, 동백 기름, 쉐어(shea) 버터, 아몬드 기름, 잇꽃(safflower) 기름, 해바라기유, 콩유, 목화씨 유, 참기름, 옥수수 기름, 채종유(rapeseed oil), 쌀겨 기름, 쌀 배아 기름, 포도씨유, 아보카도(avocado)유, 마카다미아 넛(macadamia nut) 기름, 아주까리 기름, 코코넛 기름 및 달맞이꽃 종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특정한 예들로서, 밀랍, 칸데릴라(candelilla) 왁스, 카나우바(carnauba) 왁스, 호호바(jojoba) 기름 및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의 특정한 예들로서,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cetanol), 2-헥실데칸올(2-hexyldecanol), 스테아릴(stearyl) 알코올, 이소스테아릴(isostearyl) 알코올, 세토스테아릴(cetostearyl) 알코올, 올레일(oleyl) 알코올, 아라킬(arachyl) 알코올, 베헤닐(behenyl)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2-octyldodecanol), 라우릴(lauryl) 알코올, 미리스틸(miristyl) 알코올, 데실테트라데칸올(decyltetradecanol) 및 라놀린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의 특정한 예들로서, 파라핀(paraffin), 올레핀(olefin) 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미네랄 오일, 스쿠알란(squalane), 폴리부텐(polybut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미정질(microcrystalline) 왁스 및 페트롤레이텀(petrolatu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글리세릴 에테르의 특정한 예들로서, 바틸(batyl) 알코올, 키밀(chimyl) 알코올, 세라킬(serachyl) 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의 특정한 예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stearyl stearate),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isotridecyl myristate),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2-ethylhexyl palmitate), 옥틸도데실 리시놀리에이트(octyldodecyl ricinoleate), 탄소수 11 내지 30을 갖는 지방산의 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cholesteryl/lanosteryl) 에스테르, 세틸 락테이트(cetyl lactate), 탄소수 11 이상의 지방산 및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의 에스테르, 탄소수 11 이상의 지방산 및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의 에스테르,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및 디옥틸 숙시네이트(dioctyl succin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의 특정한 예들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dimethicon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polysiloxane),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말단 히드록실기-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아미노-변성 실리콘, 베타인(betaine)-변성 실리콘, 알킬-변성 실리콘, 알콕시(alkoxy)-변성 실리콘, 머캅토(mercapto)-변성 실리콘, 카르복실-변성 실리콘 및 불소(fluorine)-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오직 한 종류의 오일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2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특정한 예들로서, 글리콜 화합물과 글리세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의 특정한 예들로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소프렌(isoprene)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화합물의 특정한 예로서, 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유화제(emusifying agent) 또는 용해제(solubilizing agent)로서 작용하며 점도를 조절하거나 점도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한 예들로서,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 알킬 설페이트(alkyl sulfate), 알케닐 에테르 설페이트(alkenyl ether sulfate), 알케닐 설페이트(alkenyl sulfate), 올레핀 설포네이트(olefin sulfonate), 알칸설포네이트(alkanesulfonate),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 에테르 카보네이트(carbonate), α-술포 지방산염(α-sulfofatty acid salt), N-아실아미노산(N-acylamino acid) 타입의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phosphate)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타입의 계면활성제 및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sulfosuccinate este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들의 음이온성 작용기의 반대 이온은, 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 설페이트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가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한 예들로서,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lauryltrimethylammoniun chloride), 염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염화 알킬트리메틸암모늄(alk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염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diste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브롬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브롬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stearyltrimethylammonium bromide), 라놀린 지방산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에틸 설페이트(lanolin fatty acid aminopropylethyldimethylammonium ethyl sulfate),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stearyltrimethylammonium saccharin),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염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 및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메틸 설페이트(behenyltrimethylammonium methyl sulf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특정한 예들로서, 코코베타인(cocobetaine),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sodium lauroamphoacetate),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sodium lauroamphoacetate) 및 라우릴베타인(laurylbetaine (betaine lauryldimethylamino acet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한 예로서 에테르 타입의 비온성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 타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 타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한 예들로서,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POE), 세틸 에테르(cetyl ether, Ceteth), POE 스테아릴 에테르(Steareth), POE 베헤닐 에테르(behenyl ether), POE 올레일 에테르(Oleth), POE 라우릴 에테르(Laureth), POE 옥틸도데실(octyldodecyl) 에테르, POE 헥실데실(hexyldecyl) 에테르, POE 이소스테아릴(isostearyl) 에테르, POE 노닐페닐(nonylphenyl) 에테르 및 POE 옥틸페닐(octylphenyl)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타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들로서, POE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sorbitan monooleate), PO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PO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PO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POE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PO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POE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glyceryl monomyristate), POE 소르비톨 테트라올리에이트(sorbitol tetraoleate), POE 소르비톨 헥사스테아레이트(sorbitol stearate), POE 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POE 소르비톨 밀랍,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친유성(lipophilic)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친유성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자기-유화성(self-emusifyin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esquioleate),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수크로오스(sucrose) 지방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및 데카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오직 한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당의 특정한 예로서 소르비톨 및 말토오스(maltose)를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의 특정한 예로서 파라벤(paraben)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제의 특정한 예로서, 페나세틴(phenacetin), 8-히드록시퀴놀린(8-hydroxyquinoline), 아세트아닐리드(acetanilide), 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sodium pyrophosphate),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 요산(uric acid) 및 타닌산(tannn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특정한 예로서, 젖산(lactic acid), 레불린산(levulinic acid), 글리콜산(glycolic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피롤리돈 카르복실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 숙신산(succin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아르기닌(argini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특정한 예로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설파이트(sulfi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의 특정한 예로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이들의 염, 히드록시에타네디포스포닉산(hydroxyethanediphosphonic acid, HEDP) 및 이의 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보조제의 특정한 예로서,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및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등과 같은 과황산염(persulfate)을 들 수 있다. 산화보조제는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을 강화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고체, 액체, 젤(gel), 거품(foam) 및 크림(cream) 형태 중에 어느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형태의 특정한 예로서 파우더 및 그래뉼(granule)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체 형태의 특정한 예로서, 수용액, 서스펜션 및 유화액(emulsified liquid)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제제가 고체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제제는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특정한 예로서 스테아르산칼슘(calcium stearate)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과 같은 스테아르산의 금속 염, 탈크(talc), 결정 셀룰로오스(crystalline cellulose),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및 녹말(starch) 등을 들 수 있다.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제)
상기 제2 제제에 포함된 산화제는 모발로부터 멜라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산화제의 특정한 예로서, 과산화수소, 우레아퍼옥사이드(urea peroxide), 멜라민퍼옥사이드(melamine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탄산칼륨(potass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붕산칼륨(potassium perborate), 과황산암모늄,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 황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체(adduct), 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체 및 파이로인산염(pyrophosphate)의 과산화수소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제제에 포함된 산화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질량%이다. 상기 산화제의 함량이 0.1 질량% 이상일 때, 모발 내 멜라닌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산화제의 함량이 15.0 질량% 이하일 때, 모발이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제가 상기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포함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안정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페닐 에테르(페녹시에탄올), 히드록시에타네디포스포닉산(hydroxyethanediphosphonic acid) 혹은 이들의 염 등이 상기 제2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히드록시에타네디포스포닉산의 염의 특정한 예로서, 테트라소듐 히드록시에타네디포스포네이트(teteasodium hydroxydiethanediphosphonate) 및 디소듐 히드록시에타네디포스포네이트(disodium hydroxydiethanediphosphonate)를 들 수 있다.
상기 제2 제제는 상기 제2 제제에 함유된 각 성분들의 작용을 차단하지 않는 한 모발 표백 혹은 세정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제제는 상기 알칼리 제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제제 내에 함유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제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고체(상기 산화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경우는 제외), 액체, 젤, 거품 및 크림(cream) 형태 중에 어느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형태의 특정한 예로서 파우더 및 그래뉼(granule)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체 형태의 특정한 예로서, 유화액(emulsified liquid)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들을 혼합하고 필요한 양만큼 혼합물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하여 모발에 적용함으로써 모발 표백 혹은 세정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제1, 제2 및 제3 제제를 포함하는 3 성분 타입이다. 이들은 혼합되어 모발 표백 혹은 세정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1 제제는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1 제제와 유사한 성분을 가지며, 최소한 알칼리 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2 제제는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2 제제와 동일한 성분을 가지며, 최소한 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3 제제는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1 제제와 동일한 성분을 가지며, 파우더 혹은 크림 형태이다.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표백을 위해 사용되는 1 성분 타입이다.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용기, 예를 들면, 도포구(applicator) 용기에 수용될 수 있으며, 모발 적용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용기로부터 방출되어 모발에 적용된다.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에스테르,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 , 수평균 분자량 6,000 이상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칼리 제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상기 제3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알칼리 제 및 산화제는 파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의 작용을 차단하지 않는 한 모발 표백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이점이 존재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들에 포함된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모발에의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에의 적용 용이성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함으로서, 모발이 균일하게 표백 혹은 세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함으로서, 처리된 모발의 윤기가 증진되며, 피부 자극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4 내지 10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일 때,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의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일 때,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의 표백 혹은 세정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상기 제제들 중 어느 것에도 함유되어 다성분 타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1 제제에 함유된다 하더라도, 상기 성분들 중 최소한 일부는 상기 제1 제제 대신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제에 함유될 수도 있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3 제제에 함유된다 하더라도, 상기 성분들 중 최소한 일부는 상기 제3 제제 대신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1 또는 제2 제제에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은 4 이상의 제제들을 포함하는 다성분 타입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하기에서는, 모발 염색에 사용되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구현되는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적용시 혼합되는 제1 및 제2 제제를 포함하는 2성분 타입 조성물이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1 제제는 지방산 에스테르,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 수평균 분자량 6,000 이상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칼리 제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제는 상기 제1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2 제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최소한 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제에 함유된 산화염료는 상기 제2 제제에 함유된 상기 산화제에 의한 산화성 중합에 의해 유도되는 색상을 생성한다. 상기 산화염료는 최소한 염료 중간체를 함유하며, 추가적으로 커플러(coup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 중간체의 특정한 예로서,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 톨루엔-2,5-디아민(toluene-2,5-diamine, paratoluylenediamine), N-페닐-p-페닐렌디아민(N-phenyl-p-phenylenediamine),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p-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메틸아미노페놀,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N,N-bis(2-hydroxyethyl)-p-phenylenediamine), 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o-클로로-p-페닐렌디아민(o-chlor-p-phenylenediamine), 4-아미노-m-크레솔(4-amino-m-cresol), 2-아미노-4-히드록시에틸아미노 애니솔(2-amino-4-hydroxyethylamino anisole), 2,4-디아미노페놀 및 이들의 염등을 들 수 있다. 단지 한 종류의 염료 중간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염료 중간체에 결합하여 색상을 생성한다. 상기 커플러의 특정한 예로서, 레조르신(resorcine), 5-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α-나프톨(α-naphthol),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m-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2,4-diaminophenoxyethanol), 톨루엔-3,4-디아민, 2,6-디아미노피리딘(2,6-diaminopyridine), 디페닐아민, N,N-디에틸-m-아미노페놀, 페닐메틸피라졸론(phenylmethylpyrazolone) 및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오직 한 종류의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염료 중간체 및 커플러를 함유한 산화염료는 모발의 색상 톤을 원하는 톤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제1 제제는, 예를 들면, Yakuji Nippo 사에서 2006년 7월 출판한 "Japanese Standards of Quasi-drug Ingredients"에 열겨된 산화 염료들 및 직접 염료(direct dye)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들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들은, 예를 들면, 고체, 액체, 젤, 거품 및 크림 형태 중에서 어느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체 형태의 특정한 예로서 수용액, 서스펜션 및 유화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제들을 혼합하고 필요한 양만큼 혼합물을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하여 모발에 적용함으로써 모발 염색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이점들이 존재한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모발에의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용이성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서, 모발이 균일하게 염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처리된 모발의 윤기가 증진되고,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4 내지 10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일 때,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염색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경우,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모발 염색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2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유사하게 3 성분 타입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3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유사하게 1 성분 타입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4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4 이상의 제제들을 포함하는 다성분 타입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9의 모발 염료(모발 화장료 조성물)들이 제조되었다. 상기 모발 염료들 각각은 제1 제제가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제2 제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통적인 구성을 갖는 2 성분 타입이다.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모발 염료의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질량% 이다. 각 모발 염료들의 상기 제1 및 제2 제제들은 질량비 1:1 로 혼합되었고, 상기 혼합물을 브러쉬를 사용하여 인체의 검은 모발 다발에 적용하였다. 상기 모발 다발은 상온(25℃)에서 30분 동안 방치되었고, 이어서 상기 모발 다발에 점착된 상기 모발 염료를 물로 씻어내었다. 추가로, 상기 모발 다발을 2회 샴푸후 1회 컨디셔닝 하였다. 상기 모발 다발을 온풍으로 건조시키고 하루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하기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윤기, 피부 자극 및 염색 수준 특성을 평가하였다.
(윤기의 평가 방법)
10명의 패널들에게 상기 모발 염료들로 염색된 상기 모발 다발을 일반적인 광원 아래서 육안으로 관찰하도록 한 후, 5점 만점으로 모발 다발의 윤기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즉,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미흡(2점) 및 매우 미흡(1점)으로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평균 점수가 4.6 이상, 3.6 이상 4.6 미만, 2.6 이상 3.6 미만, 1.6 이상 2.6 미만 및 1.6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발 염료들은 매우 우수, 우수, 양호, 미흡 및 매우 미흡으로 각각 평가되었다. 상기의 평가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의 평가 방법)
10명의 패널들의 팔의 상부에 상기 모발 염료들 각각을 적용토록 하였다. 상기 모발 염료는 10분이 지난 후에 피부 자극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고 응답한 패널들의 수가 10명중 '9 이상', '7 내지 8', '5 내지 6', '3 내지 4', 및'2 이하' 경우에 각각, '5', '4', '3', '2', 및'1'로 등급을 매겼다. 상기 평가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염색 수준 특성의 평가 방법)
10명의 패널들에게 상기 모발 염료들로 염색된 상기 모발 다발을 일반적인 광원 아래서 육안으로 관찰하도록 한 후, 5점 만점으로 모발 다발 색상 톤의 균일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즉,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미흡(2점) 및 매우 미흡(1점)으로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평균 점수가 4.6 이상, 3.6 이상 4.6 미만, 2.6 이상 3.6 미만, 1.6 이상 2.6 미만 및 1.6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발 염료들은 매우 우수, 우수, 양호, 미흡 및 매우 미흡으로 각각 평가되었다. 상기의 평가 결과를 표 1 및 3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제2 제제>
Figure pct00004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듯이, 실시예 1 내지 25의 모발 염료들은 윤기, 피부 자극, 염색 수준 특성 등 모든 항목에서 '3'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지방산 에스테르가 없는 비교예 1 및 탄소수 11 이상의 지방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내지 6의 모발 염료들은 실시예들의 모발 염료들 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이 없는 비교예 7 및 선형사슬 고급 지방산 대신 가지사슬 고급 지방산인 이소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비교예 8의 모발 염료들은 실시예들의 모발 염료들보다 피부 자극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한 비교예 9의 모발 염료의 염색 수준 특성은 실시예들의 모발 염료들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며, 따라서 이는 모두 본 발명이 보호하고저 하는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지방산 에스테르, 선형 사슬 고급 지방산, 수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칼리 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하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염색, 표백 혹은 세정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및 팔미트산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117011549A 2009-06-01 2010-05-28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668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2587A JP5702919B2 (ja) 2009-06-01 2009-06-01 毛髪化粧料組成物
JPJP-P-2009-132587 2009-06-01
PCT/JP2010/059079 WO2010140543A1 (ja) 2009-06-01 2010-05-28 毛髪化粧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107A true KR20120018107A (ko) 2012-02-29
KR101668252B1 KR101668252B1 (ko) 2016-10-21

Family

ID=4329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549A KR101668252B1 (ko) 2009-06-01 2010-05-28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8178B2 (ko)
JP (1) JP5702919B2 (ko)
KR (1) KR101668252B1 (ko)
CN (1) CN102223872A (ko)
WO (1) WO2010140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70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1882B (zh) * 2012-10-12 2014-02-12 苏州谷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头发染色去除剂
JP6053478B2 (ja) * 2012-11-29 2016-12-27 株式会社マンダム 頭髪用組成物
JP6906894B2 (ja) * 2015-12-18 2021-07-21 ロレアル ケラチン繊維のための化粧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7345152B2 (ja) * 2016-05-25 2023-09-15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組成物セット
JP6821167B2 (ja) * 2016-05-25 2021-01-27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DE102016222190A1 (de) * 2016-11-11 2018-05-17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mitteln einer Farbhomogenität von Haaren
JP7134454B2 (ja) * 2017-10-27 2022-09-12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脱色・脱染剤組成物又は染毛剤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415A (ja) * 2005-11-07 2007-05-24 Shiseido Co Ltd 染毛・脱色剤組成物
JP2008156252A (ja) * 2006-12-21 2008-07-10 Hoyu Co Ltd 酸化染毛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5458B (en) * 1997-01-21 2003-12-11 Shiseido Co Ltd Hairdye composition
JP2004091359A (ja) * 2002-08-30 2004-03-25 Kanebo Ltd エアゾール型クリーム状染毛剤
JP4312117B2 (ja) 2004-07-16 2009-08-12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脱色剤組成物及び染毛剤組成物
JP2007077114A (ja) * 2005-09-16 2007-03-29 Hoyu Co Ltd 染毛剤組成物及び脱色剤組成物
WO2008096497A1 (ja) * 2007-02-08 2008-08-14 Arimino Co., Ltd. 毛髪剤用乳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415A (ja) * 2005-11-07 2007-05-24 Shiseido Co Ltd 染毛・脱色剤組成物
JP2008156252A (ja) * 2006-12-21 2008-07-10 Hoyu Co Ltd 酸化染毛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70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23872A (zh) 2011-10-19
US8088178B2 (en) 2012-01-03
WO2010140543A1 (ja) 2010-12-09
US20110236329A1 (en) 2011-09-29
JP2010275281A (ja) 2010-12-09
KR101668252B1 (ko) 2016-10-21
JP5702919B2 (ja)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035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668252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US8298297B2 (en) Hair-treatment composition and hair-treatment method using same
TWI690331B (zh) 染毛劑組成物以及染毛劑組成物的色調穩定化方法
KR101669034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5822590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5922890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6705662B2 (ja) 酸化剤含有組成物、毛髪処理剤、毛髪処理剤の使用方法
JP5912226B2 (ja) ゲル状酸化染毛剤組成物
JP2010150223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5841305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5544114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05023001A (ja) 毛髪化粧料
JP5465467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GB2476218A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GB2476431A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5506249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20117549A (ja) 酸化剤含有組成物、毛髪処理剤、毛髪処理剤の使用方法
JP5766905B2 (ja) 過酸化水素含有組成物
JP5546798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9081710A (ja) 毛髪脱色・脱染剤組成物又は染毛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