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435A -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435A
KR20120015435A KR1020117025353A KR20117025353A KR20120015435A KR 20120015435 A KR20120015435 A KR 20120015435A KR 1020117025353 A KR1020117025353 A KR 1020117025353A KR 20117025353 A KR20117025353 A KR 20117025353A KR 20120015435 A KR20120015435 A KR 2012001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rolley
sliding contact
bogie
prevention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25B1 (ko
Inventor
게이 사카노우에
요시노리 미나미
마사히토 아다치
히로노부 스나미
도루 고노카와
노부히사 다카다
Original Assignee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니뽄샤료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니뽄샤료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Handcart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탈선시에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스토퍼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이다. 이 장치는 레일(51)의 안쪽을 따라서 탈선 방지 가드(52)를 마련하는 동시에, 대차(11)의 차륜(15)보다 안쪽 위치에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52a)에 미끄럽접촉하는 스토퍼(25)를 마련한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로서, 스토퍼에,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면을 가진 미끄럼접촉부(28)와, 미끄럼접촉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하여 선단이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미끄럼접촉면에 연속한 가이드 경사면(31a)을 가진 가이드부(3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TRAVERSE CONTROL UNIT OF TRUCK}
본 발명은,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지진, 돌풍 등으로 철도 차량이 탈선했을 때의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서 2차 재해의 발생 방지를 도모하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이나 돌풍 등의 천재지변에 의해서 철도 차량이 횡하중을 받았을 때에 탈선을 방지할 목적으로, 레일의 안쪽을 따라서 탈선 방지 가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불행히 이 탈선 방지 가드를 넘어 탈선했을 때에, 차량을 침목이 있는 도상(道床)이나 노반 등의 위를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장치로서, 레일의 안쪽을 따라서 탈선 방지 가드를 마련하는 동시에, 대차의 차륜보다 안쪽 위치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스토퍼를 마련하여, 탈선시에 스토퍼가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 공개 제2007/105672호 팜플렛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에서도, 탈선시에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할 수 있지만, 탈선 방지 가드의 죠인트에서 스토퍼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스토퍼뿐만 아니라, 대차나 차체 등에 큰 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다. 이 탈선 방지 가드의 죠인트는, 탈선 방지 가드의 보수 면에서 없애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스토퍼측에서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탈선시에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가 작동하고 있을 때 스토퍼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는, 좌우 한 쌍의 레일 상을 주행하는 차량이 탈선했을 때의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레일의 안쪽을 따라서 탈선 방지 가드를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대차의 차륜보다 안쪽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며, 탈선시에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면을 가진 미끄럼접촉부와, 상기 미끄럼접촉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하여 선단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基部)가 상기 미끄럼접촉면에 연속하는 가이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미끄럼접촉부의 상부 양측에, 상기 미끄럼접촉면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 했을 때에,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상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의 하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대차 지지면을 가지는 대차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대차 지지부가, 상기 대차 지지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하여 선단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상기 대차 지지면에 연속하는 하향 가이드 경사면을 가지는 하향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미끄럼접촉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가진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의 상부가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스토퍼 부착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상부에, 상기 대차에 마련된 스토퍼 부착부에 부착되는 대차 부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대차 부착부와 상기 스토퍼 부착부에는, 대차 부착부를 스토퍼 부착부에 부착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춤하는 요철 걸어맞춤부가 마련되며, 특히,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는, 상기 스토퍼 부착부와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상부의 어느 한쪽의 양 측면부에 마련된 전후방향의 오목홈과, 어느 다른 한쪽의 양 측부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오목홈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 본체의 상부와 스토퍼 부착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침목 방향의 스토퍼 본체 부착면과 스토퍼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접촉면을 면접촉시켜 스토퍼 본체의 상부와 스토퍼 부착부재를 전후로 겹친 상태로, 스토퍼 본체 부착면과 스토퍼 본체의 접촉면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촉면에서의 상기 볼트의 상하 방향 위치는, 탈선시에 스토퍼 본체의 하부에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에 의해서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이, 전방향의 하중 및 후방향의 하중에 대해서 동일한 인장 하중이 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에 의하면,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면을 가진 미끄럼접촉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가이드 경사면을 가진 가이드부를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탈선 방지 가드의 죠인트에서 큰 충격을 받는 경우가 없어져, 대차나 차체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의 제1 형태예를 적용한 대차의 개략 단면 정면도이다.
[도 2] 마찬가지로 개략 단면 측면도이다.
[도 3] 마찬가지로 탈선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 정면도이다.
[도 4] 마찬가지로 탈선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5]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 마찬가지로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7] 마찬가지로 스토퍼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의 제 2 형태예에서의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의 제 3 형태예에서의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0] 마찬가지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 본 발명의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의 제 4 형태예에서의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형태예에 나타내는 대차(11)는, 전동차용 볼스터리스(bolsterless) 대차로서, 대차 프레임(12)의 횡량(cross beam)(12a)에는 주전동기(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주전동기(13)의 회전력은, 구부림 죠인트 및 치차 장치를 통하여 윤축(14) 및 차륜(15)에 전달된다. 또한, 대차 프레임의 측량(side beam)(12b)의 양단부에는, 윤축(14)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축상(axle box) 지지 장치나 축상(axle box)이 마련되는 동시에 브레이크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대차 프레임(12) 상에는, 볼스터 스프링을 통하여 차체(16)가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대차(11)와 차체 (16)는, 구동력이나 제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견인장치(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견인장치(17)는, 차체(16)의 언더프레임(16a) 하부에 마련된 차체측 링크 서포트(18)와, 한쪽의 횡량(12a)에 마련된 대차측 링크 서포트(19) 사이를 1개의 링크(20)로 연결한 1개 링크식의 것으로서, 링크(20)의 양단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링 형상부에 수평방향의 축부(21)를 구비한 고무 부시(22)가 감착되고, 고무 부시(22)의 양측에 돌출한 축부(21)가 양 링크 서포트(18,19)에 볼트(23)에 의해서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에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스토퍼(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25)는, 스토퍼 부착부가 되는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에 고정되는 스토퍼 부착부재(26)와, 이 스토퍼 부착부재(26)의 하부에 부착되는 스토퍼 본체(27)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착부재(26)는, 수평방향의 기부(26a)의 양측에 부착 아암(26b)을 세워서 설치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 부착 아암 (26b) 간의 거리는 상기 고무 부시(22)의 폭치수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차 부착부가 되는 양 부착 아암(26b)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23)를 삽입하는 볼트구멍(26c)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 부착 아암(26b)의 상부 양측부에는,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전후방향의 오목홈(19b)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26d)가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의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착부재(26)의 기부(26a)의 양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볼트 삽입용 긴 구멍(26e)이 형성되는 동시에, 스토퍼 본체 부착측의 면에는, 돌출 단면에 요철 걸어맞춤부(26f)를 가지는 각형의 스토퍼 본체 고정부(26g)가 돌출형성되고, 기부(26a) 중앙부의 스토퍼 본체 부착측의 면에는, 상하 방향의 걸어맞춤 오목홈(26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본체(27)는, 수평방향의 기부(27a)의 하부에, 미끄럼접촉부(28)와 대차 지지부(29)를 일체로 마련한 것으로서, 기부(27a) 양단의 스토퍼 부착부재 (26)측의 면에는,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26f)에 걸어맞춤하는 요철 걸어맞춤부 (27b)가 마련되고, 상기 볼트 삽입용 긴 구멍(26e)에 대응한 위치에는, 스토퍼 본체(27)를 스토퍼 부착부재(26)에 부착하는 볼트(30)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구멍 (2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본체(27) 상부의 스토퍼 부착부재(26)측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홈(26h)에 걸어맞춤하는 상하 방향의 걸어맞춤 볼록부(27d)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착부재(26)의 하부와 스토퍼 본체(27)의 상부는,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26f,27b)의 요철면을 소정의 상하 위치에서 접촉시켜 걸어맞춤시키는 동시에 걸어맞춤 오목홈(26h)과 걸어맞춤 볼록부(27d)를 걸어맞춤시켜, 스토퍼 부착부재 (26)의 하부와 스토퍼 본체(27)의 상부를 전후로 겹친 상태에서 볼트 삽입용 긴 구멍(26e) 및 볼트구멍(27c)을 관통한 상기 볼트(30)를 너트(30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스토퍼 부착부재(26)와 스토퍼 본체(27)의 고정 상태에서의 볼트(30)의 상하 방향 위치는, 스토퍼 본체(27)의 하부에 마련한 상기 미끄럼접촉부(28) 및 상기 대차 지지부(29)에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에 의해서 볼트(3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이, 전방향의 하중 및 후방향의 하중에 대해서 동일한 인장 하중이 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도 7에서, 차량이 화살표 A1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을 때 탈선한 경우는, 스토퍼 본체(27)의 하부{미끄럼접촉부(28) 및 대차 지지부(29)}에는, 스토퍼 본체 (27)의 앞부분으로부터 하중 P1이 작용하고, 이 하중 P1은,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 (26f,27b)의 접촉면의 하단 B1을 지점으로 하여 볼트(30)에 인장 하중 F1로서 작용한다. 한편, 차량이 화살표 A2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을 때 탈선한 경우에는, 스토퍼 본체(27)의 뒷부분으로부터 하중 P2가 작용하고, 이 하중 P2는,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26f,27b)의 접촉면의 상단 B2를 지점으로 하여 볼트(30)에 인장 하중 F2로서 작용한다.
앞부분으로부터 하중 P1이 작용했을 때에 볼트(3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 F1과, 뒷부분으로부터 하중 P2가 작용했을 때에 볼트(3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 F2는, F1=(P1×D1)/L1, 및, F2=(P2×D2)/L2와 같은 식으로 각각 구할 수 있다. 한편, 식 중에서의 L1은 볼트(30)의 중심선 C와 접촉면의 하단 B1과의 거리, L2는 볼트 (30)의 중심선 C와 접촉면의 상단 B2와의 거리, D1는 하중 P1, P2의 작용점과 접촉면의 하단 B1과의 거리(중심선 C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 D2는 하중 P1, P2의 작용점과 접촉면의 상단 B2와의 거리(중심선 C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이다.
전후로부터의 하중 P1, P2를 차량의 주행 속도 등의 조건으로부터 동일하게 한다면, 볼트(3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 F1, F2를 동일한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P1×D1)/L1=(P2×D2)/L2이면 되고, P1=P2이기 때문에, D1/L1=D2/L2로 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요철 걸어맞춤부(26f,27d)의 접촉면에 대한 볼트(30)의 상하 방향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차량의 진행 방향에 관계없이 볼트(30)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 F1, F2를 동일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30)의 인장 강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동시에, 링크(20)의 축부(21) 및 스토퍼(25)를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3)가 파단하기 전에, 스토퍼 부착부재(26)에 스토퍼 본체(27)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30)가 파단하도록, 양 볼트(23,28)의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탈선시에, 만일 스토퍼 본체(27)에 과대한 전후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도, 볼트(23)가 파단하여 축부(21)가 대차측 링크 서포트(19)로부터 탈락하여, 대차(11)와 차체(16)가 분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접촉부(28)는, 좌우의 레일(51,51)의 안쪽을 따라서 마련된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에 미끄럼접촉하는 상하 방향의 미끄럼접촉면(28a)을 양 측면에 가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접촉부(28)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한 가이드부(31)를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부(31)는, 선단이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상기 미끄럼접촉면 (28a)에 연속한 횡방향의 가이드 경사면(31a)을 양측면 전후 부분에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대차 지지부(29)는, 상기 미끄럼접촉부(28)의 상부 양측 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미끄럼접촉면(28a)이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에 미끄럼접촉했을 때에, 탈선 방지 가드(52)의 상면(52b)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11)의 하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대차 지지면(29a)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대차 지지부(29)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한 하향 가이드부(32)를 가지고 있다. 이 하향 가이드부(32)는, 선단이 탈선 방지 가드(52)의 상면(52b)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상기 대차 지지면(29a)에 연속한 하향 가이드 경사면(32a)을 하면 전후부에 각각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토퍼(25)는, 스토퍼 부착부재(26)의 볼록부(26d)를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의 오목홈(19b)에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링크(20)의 축부(21)와 함께 볼트(23)에 의해서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에 부착되고, 대차(11)의 차륜(15)보다 안쪽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가 된다.
한편, 궤도측에서는, 좌우의 레일(51,51)의 안쪽을 따라서 상기 탈선 방지 가드(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탈선 방지 가드(52)는, 슬라브 궤도의 콘크리트 노반 혹은 밸러스트 궤도의 침목(53)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54)와, 상기 고정 부재 (54)의 상부에 부착된 T자 형상의 가이드 부재(55)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 (55)의 높이는 레일(51)의 상면과 면일치하거나 약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5)의 레일측 부분(55a)은, 지진 등의 흔들림으로 차륜(15)이 떠올라, 한쪽의 차륜(15)의 플랜지(15a)가 레일(51)을 타고넘으려고 할 때에, 다른쪽의 차륜(15)의 내측면이 레일측 부분(55a)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상기 다른쪽의 차륜(15)이 궤도 내측으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한쪽의 차륜(15)의 플랜지(15a)가 레일(51)을 타고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레일(51)로부터 차륜(15)이 빗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궤도 안쪽에 위치하는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은, 큰 흔들림으로 한쪽의 차륜(15)의 플랜지(15a)가 레일(51)을 타고넘어 다른쪽의 차륜(15)이 탈선 방지 가드(52)를 타고넘어 탈선해 버렸을 때에, 이 내측면(52a)에 상기 미끄럼접촉부(28)의 미끄럼접촉면(28a)이 미끄럼접촉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대차(11)가 탈선 방향으로 그 이상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대차 지지부 (29)의 대차 지지면(29a)이 탈선 방지 가드(52)의 상면(52b)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차륜(15)의 플랜지(15a)가 침목(53)이나 고정 부재(54)에 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가이드부(31)의 선단이 고정 부재(54)에 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회피한다. 또한, 미끄럼접촉부(28)의 미끄럼접촉면(28a)이 내측면(52a)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가이드 부재(55)에는, 레일(51)의 방향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대차 지지면(29a)이 상면(52b)에 미끄럼접촉하고, 대차 지지면(29a)이 가이드 부재(55)의 내측면(52a)측을 하방으로 압압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55)가 레일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경사면(31a)을 가지는 가이드부(31)나 하향 가이드 경사면 (32a)를 가지는 하향 가이드부(32)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55)의 죠인트 부분에 어긋남이 생기고 있던 경우에도, 가이드 경사면(31a)이나 하향 가이드 경사면(32a)에 의해서 미끄럼접촉부(28)나 대차 지지부(29)가 죠인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죠인트의 어긋남 부분으로부터 큰 충격을 받는 경우가 없어져, 충격에 의해서 스토퍼(25)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대차나 차체 등이 파손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접촉면(28a)이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에 미끄럼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 본체(27)에는, 수평방향의 힘이나 회전력이 작용하지만, 걸어맞춤 오목홈(26h)과 걸어맞춤 볼록부(27d)가 걸어맞춤하여, 요철 걸어맞춤부 (26f,27b)가 서로 걸어맞춤한 상태가 되고 있으므로, 스토퍼 부착부재(26)와 스토퍼 본체(27)에 위치 엇갈림을 일으키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볼트(30)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경우도 없다. 마찬가지로, 스토퍼(25)의 상부에서는, 오목홈(19b)과 볼록부(26d)를 걸어맞춤시키고 있으므로, 대차측 링크 서포트(19)와 스토퍼 부착부재 (26)의 위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23)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볼트(23,30)를 파단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부착부재(26)에 볼트 삽입용 긴 구멍(26e)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토퍼 본체(27)의 상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차륜(15)의 삭정 (grinding)에 의해 차륜 지름이 작아졌을 때에는, 스토퍼 부착부재(26)에 대한 스토퍼 본체(27)의 부착 위치를 상방으로 변경함으로써, 스토퍼 본체(27)가 차량 한계 L을 넘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탈선한 대차(11)의 횡이동이 규제되므로, 궤도 외에의 탈선이나 차량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탈선에 기인하는 2차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토퍼(25)뿐만 아니라, 대차(11)나 차체(16)가 충격에 의해서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경사면(31a,32a)의 치수, 경사 각도는, 가이드 부재(55)의 어긋남 상태, 차량의 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경사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원호면이나 구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25)의 크기, 특히 미끄럼접촉부(28)의 횡폭이나 탈선 방지 가드(52)의 내측면(52a)의 위치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선 부분을 주행하는 열차의 차체(16) 끼리의 간격의 1/2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선했을 때에, 대차 (11)에 마련되어 있는 주전동기(13) 등의 하면이 탈선 방지 가드(52)나 레일(51)의 상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11)의 하방에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경우는, 대차 지지부(29)를 생략할 수 있다.
도 8은 스토퍼의 제2 형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각 형태예에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형태예에 나타내는 스토퍼(41)는, 스토퍼 본체(42)에서의 미끄럼접촉부(28)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대차 지지부(29)를, 미끄럼접촉부(28)로부터 독립한 상태로 마련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스토퍼의 제3 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형태예에 나타내는 스토퍼(43)는, 스토퍼 부착부재(44)의 부착 아암(44a)과 대차측 링크 서포트 (45)의 대향면에 요철 걸어맞춤부(44b,45a)를 각각 마련하고, 이 요철 걸어맞춤부 (44b,45a)를 서로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볼트(23)에 전단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1은 스토퍼의 제3 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형태예에 나타내는 스토퍼(46)는, 상기 제2 형태예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본체(42)에서의 미끄럼접촉부 (28)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대차 지지부(29)를 독립한 상태로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제3 형태예와 같이, 스토퍼 부착부재(44)의 대차측 링크 서포트측의 면에 요철 걸어맞춤부(44b)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11…대차, 12…대차 프레임, 12a…횡량, 12b…측량, 13…주전동기, 14…윤축, 15…차륜, 15a…플랜지, 16…차체, 16a…언더프레임, 17…견인장치, 18…차체측 링크 서포트 19…대차측 링크 서포트 19a…암나사 구멍, 19b…오목홈, 20…링크, 21…축부, 21a…볼트구멍, 22…고무 부시, 23…볼트, 25…스토퍼, 26…스토퍼 부착부재, 26a…기부, 26b…부착 아암, 26c…볼트구멍, 26d…볼록부, 26e…볼트 삽입용 긴 구멍, 26f…요철 걸어맞춤부, 26g…스토퍼 본체 고정부, 26h…걸어맞춤 오목홈, 27…스토퍼 본체, 27a…기부, 27b…요철 걸어맞춤부, 27c…볼트구멍, 27d…걸어맞춤 볼록부, 28…미끄럼접촉부, 28a…미끄럼접촉면, 29…대차 지지부, 29a…대차 지지면, 30…볼트, 30a…너트, 31…가이드부, 31a…가이드 경사면, 32…하향 가이드부, 32a…하향 가이드 경사면, 51…레일, 52…탈선 방지 가드, 52a…내측면, 52b…상면, 53…침목, 54…고정 부재, 55…가이드 부재, 55a…레일측 부분

Claims (7)

  1. 좌우 한 쌍의 레일 상을 주행하는 차량이 탈선했을 때의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레일의 안쪽을 따라서 탈선 방지 가드를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대차의 차륜보다 내측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며, 탈선시에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의 횡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면을 가진 미끄럼접촉부와, 상기 미끄럼접촉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하여 선단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상기 미끄럼접촉면에 연속한 가이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끄럼접촉부의 상부 양측에, 상기 미끄럼접촉면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했을 때에,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상면에 미끄럼접촉하여 대차의 하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대차 지지면을 가지는 대차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지지부는, 상기 대차 지지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돌출하며 선단이 상기 탈선 방지 가드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부가 상기 대차 지지면에 연속한 하향 가이드 경사면을 가지는 하향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끄럼접촉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가지는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의 상부가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스토퍼 부착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상부에, 상기 대차에 마련된 스토퍼 부착부에 부착되는 대차 부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대차 부착부와 상기 스토퍼 부착부에는, 대차 부착부를 스토퍼 부착부에 부착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춤하는 요철 걸어맞춤부가 마련되어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걸어맞춤부는, 상기 스토퍼 부착부와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상부의 어느 한쪽의 양 측면부에 형성된 전후방향의 오목홈과 어느 다른 한쪽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오목홈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인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본체의 상부와 스토퍼 부착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착부재의 침목 방향의 스토퍼 본체 부착면과 스토퍼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접촉면을 면접촉시켜 스토퍼 본체의 상부와 스토퍼 부착부재를 전후로 겹친 상태에서, 스토퍼 본체 부착면과 스토퍼 본체의 접촉면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촉면에서의 상기 볼트의 상하 방향 위치는, 탈선시에 스토퍼 본체의 하부에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에 의해서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이, 전방향의 하중 및 후방향의 하중에 대해서 동일한 인장 하중이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KR1020117025353A 2009-04-30 2010-04-22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KR101685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0619 2009-04-30
JP2009110619A JP5430216B2 (ja) 2009-04-30 2009-04-30 台車横移動規制装置
PCT/JP2010/057133 WO2010125963A1 (ja) 2009-04-30 2010-04-22 台車横移動規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35A true KR20120015435A (ko) 2012-02-21
KR101685725B1 KR101685725B1 (ko) 2016-12-12

Family

ID=4303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53A KR101685725B1 (ko) 2009-04-30 2010-04-22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63536B2 (ko)
EP (1) EP2426026A4 (ko)
JP (1) JP5430216B2 (ko)
KR (1) KR101685725B1 (ko)
CN (1) CN102414071B (ko)
TW (1) TWI441750B (ko)
WO (1) WO2010125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0216B2 (ja) 2009-04-30 2014-02-26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台車横移動規制装置
CN103496337A (zh) * 2013-09-26 2014-01-08 南车石家庄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车辆转向架运输定位紧固装置
CN103979276A (zh) * 2014-05-29 2014-08-13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有轨重载运输机的纠偏机构
DE102014226985B4 (de) 2014-12-23 2024-02-08 Carl Zeiss Microscopy Gmbh Verfahren zum Analysieren eines Objekts, Computerprogrammprodukt sowie Teilchenstrahl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2016124029A1 (zh) 2015-02-05 2016-08-1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脱轨安全防护装置
CN205440382U (zh) 2015-10-16 2016-08-10 中南大学 轨道车辆转向架防脱轨装置及轨道车辆转向架
EP3428034B1 (en) 2016-03-11 2021-09-29 Nippon Steel Corporation Railway vehicle derailmen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US10807617B1 (en) * 2020-04-28 2020-10-20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nti-seismic retaining system for a mass transit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4567U (ko) * 1980-12-01 1982-06-10
JP2006168694A (ja) * 2004-12-14 2006-06-29 Masato Hachikawa 脱線防止装置
WO2007105672A1 (ja) 2006-03-13 2007-09-20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台車横移動規制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761A (en) * 1877-02-27 Improvement in safety-cars
US1626610A (en) * 1927-05-03 Frank horkqtjist
US735239A (en) * 1902-10-30 1903-08-04 Friedrich Gehricke Safety device for railway-vehicles in case of derailment.
US1490781A (en) * 1923-12-13 1924-04-15 Dredson D Marshall Wheel-retaining brake
US2319466A (en) * 1941-08-08 1943-05-18 Mccormick George Car truck safety device
US2470662A (en) * 1944-06-07 1949-05-17 American Brake Shoe Co Guardrail assembly for railroad track equipment
US4265401A (en) * 1979-03-09 1981-05-05 L. B. Foster Company Adjustable guard rail structures
JPS597786B2 (ja) 1980-12-02 1984-02-21 愛知製鋼株式会社 金属に異種金属を被覆する方法
FR2755658B1 (fr) * 1996-11-14 1998-12-18 Dahan Felix Georges Dispositif antideraillement pour vehicules ferroviaires
JP3393032B2 (ja) * 1997-03-13 2003-04-07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車両脱線時の転倒防止装置
JP2005247312A (ja) * 2005-05-02 2005-09-15 Yuji Nishimura 鉄道台車用脱輪防止ガイド
CN101175886A (zh) 2005-05-16 2008-05-07 东海旅客铁道株式会社 车辆的安全装置
EP1895053B1 (en) 2005-05-16 2012-08-15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Safety device of vehicle
JP3119047U (ja) * 2005-10-26 2006-02-16 守弘 斎藤 鉄道車両横倒れ防止構造
JP5071620B2 (ja) * 2005-11-30 2012-11-14 昌人 八川 車両の安全装置、車輪誘導部材および車輪誘導装置
JP2009110619A (ja) 2007-10-31 2009-05-21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JP5203686B2 (ja) * 2007-12-06 2013-06-0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車輪ガード装置
JP5430216B2 (ja) 2009-04-30 2014-02-26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台車横移動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4567U (ko) * 1980-12-01 1982-06-10
JP2006168694A (ja) * 2004-12-14 2006-06-29 Masato Hachikawa 脱線防止装置
WO2007105672A1 (ja) 2006-03-13 2007-09-20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台車横移動規制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0216B2 (ja) 2014-02-26
WO2010125963A1 (ja) 2010-11-04
TWI441750B (zh) 2014-06-21
CN102414071A (zh) 2012-04-11
CN102414071B (zh) 2014-04-09
JP2010260386A (ja) 2010-11-18
US8763536B2 (en) 2014-07-01
US20120037715A1 (en) 2012-02-16
KR101685725B1 (ko) 2016-12-12
EP2426026A4 (en) 2014-03-19
TW201102298A (en) 2011-01-16
EP2426026A1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435A (ko) 대차 횡이동 규제장치
CN205440382U (zh) 轨道车辆转向架防脱轨装置及轨道车辆转向架
US8261671B2 (en) Bogie lateral movement-limiting system
KR101297854B1 (ko) 저플로어식 차량
US10308262B2 (en)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KR101090846B1 (ko) Y형 모노레일 시스템용 다자유도 철도차량
JP2006315518A (ja) 車両の脱線逸脱防止装置
CN108146461B (zh) 一种低地板有轨电车动力车转向架
JP3470986B2 (ja) 鉄道車両用軌間可変台車
JP4464267B2 (ja)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CA2867870C (en) Device to maintain a trajectory of a guided vehicle in the event of derailment and/or failure of guidance
KR101504196B1 (ko) 철도차량 탈선 방지 구조
KR102479239B1 (ko) 철도차량용 림 대차
JP6277317B1 (ja) 脱線防止装置
RU23741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язи кузова с тележкой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5204883U (zh) 一种悬挂式磁浮列车的悬挂装置及悬挂式磁浮列车
KR100638390B1 (ko) 철도차량 및 철도차량용 대차
KR20100128030A (ko) 연결기를 이용한 틸팅열차 차상신호안테나 수신각도 보정장치
JP2017024536A (ja) 鉄道車両用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