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55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551A
KR20120014551A KR1020117019998A KR20117019998A KR20120014551A KR 20120014551 A KR20120014551 A KR 20120014551A KR 1020117019998 A KR1020117019998 A KR 1020117019998A KR 20117019998 A KR20117019998 A KR 20117019998A KR 20120014551 A KR20120014551 A KR 2012001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rotational movement
connector
terminal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오구라
야스요시 요시카이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1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자체를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누름 부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누름 부재(30)의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누름 부재(30)의 회전운동 지점(P1, P2)을 설치하고,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을 눌러서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20)가 누름 부재(30)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로 눌러지고,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을 눌러서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30)에 의한 각 단자(20)의 누름이 해제되도록 하였으므로, 누름 부재(30)를 어떤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도 누름 부재(30)를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어, 누름 부재(3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누름 부재를 손가락 끝으로 끌어올리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 향상을 위해 커넥터 자체를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어, 소형 전자기기에의 탑재에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FPC나 FFC 등의 접속 대상물(이하, 플렉시블 회로라고 한다.)의 일단을 전면측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를 각 단자측으로 누르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pressing member)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는 플렉시블 회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름 부재를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와 각 단자가 압접하여 서로 도통하고, 누름 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와 플렉시블 회로의 압접이 해제되어, 플렉시블 회로가 커넥터 본체에 빼고 꽂기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78908호 공보
그런데, 상기 커넥터에서는 누름 부재의 일단측에 회전운동 지점이 설치되고, 누름 부재의 타단측을 한쪽으로 눌러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플렉시블 회로측으로 눌러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누름 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는 누름 부재의 타단측을 손가락 끝으로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조작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 누름 부재의 타단측과 기판 사이에는 손가락 끝을 넣을 스페이스가 조금밖에 없기 때문에, 누름 부재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누름 부재의 타단측과 기판 사이의 스페이스를 크게 하면, 커넥터 자체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소형 전자기기에의 탑재에 불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커넥터 자체를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누름 부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측으로 각 단자를 누르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누름 부재를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누름 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측으로 눌러지며, 누름 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의한 각 단자의 누름이 해제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는 누름 부재의 회전운동 지점이 설치되고, 누름 부재의 일단측을 누르면 누름 부재가 한쪽으로 회전운동하고, 누름 부재의 타단측을 누르면 누름 부재가 다른쪽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누름 부재의 일단측을 눌러서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누름 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측으로 눌러지고, 누름 부재의 타단측을 눌러서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의한 각 단자의 누름이 해제되기 때문에, 누름 부재를 어떤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도 누름 부재를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부재를 어떤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도 누름 부재를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름 부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누름 부재를 손가락 끝으로 끌어올리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 향상을 위해 커넥터 자체를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어 소형 전자기기에의 탑재에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폐쇄 상태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
도 2는 폐쇄 상태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개방 상태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
도 4는 개방 상태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5a는 커넥터의 폐쇄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5b는 커넥터의 폐쇄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5c는 커넥터의 폐쇄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6a는 커넥터의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6b는 커넥터의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6c는 커넥터의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7a는 단자의 동작 설명도.
도 7b는 단자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락(lock)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주요부 평면도.
도 10은 락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주요부 평면도.
도 11은 락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주요부 평면도.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회로(1)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2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측으로 각 단자(20)를 누르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30)와, 커넥터 본체(10)를 도시하지 않는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고정 부재(40)와, 플렉시블 회로(1)에 걸어 맞추는 좌우 한쌍의 락 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회로(1)는 이른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측의 위쪽 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회로(1)의 폭 방향 양단에는 락 부재(50)와 걸어 맞추는 노치부(1a)가 설치되고,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의 소정 위치(단자(20)와의 접속 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락 부재(50)가 각 노치부(1a)에 각각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前面)에는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하는 삽입구(1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저면부(12) 및 좌우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상면부(11)는 커넥터 본체(10)의 상면 전단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부(11)의 좌우 양측은 커넥터 본체(10) 내가 노출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부분에는 락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저면부(12)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딩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저면부(12)에 고정되는 고정편부(21)와, 누름 부재(30)에 의해 눌러지는 제 1 가동편부(22)와, 제 1 가동편부(22)의 하부에 배치된 제 2 가동편부(23)와, 제 2 가동편부(23)와 고정편부(21)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편부(24)로 이루어진다.
고정편부(21)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부(21a)는 저면부(12)측의 간극에 압입(壓入)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후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21b)가 설치되고, 접속부(21b)는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후단측에는 누름 부재(30)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로서의 제 1 볼록부(21c)가 설치되고, 제 1 볼록부(21c)의 앞쪽에는 다른 걸어 맞춤부로서의 제 1 오목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편부(2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2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에는 누름 부재(30)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22b) 및 제 2 맞닿음부(22c)가 설치되고, 제 1 맞닿음부(22b)는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면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앞쪽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 2 맞닿음부(22c)는 제 1 가동편부(22)의 하단면에 전후 방향에 걸쳐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편부(23)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23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가동편부(23)는 제 1 가동편부(22)보다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짧고, 상하 방향의 폭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촉부(23a)는 제 1 접촉부(22a)의 뒤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하단(접점)의 위치가 제 1 접촉부(22a)의 하단(접점)과 동등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은 위쪽으로 굴곡하는 동시에,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제 2 맞닿음부(22c)보다 앞쪽)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에 의해 제 1 가동편부(22)가 지지되어 있다.
탄성편부(24)는 고정편부(21)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터 제 2 가동편부(23)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편부(22) 및 제 2 가동편부(23)를 그 전단측 및 후단측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누름 부재(3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상면 후단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에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회전운동 지지부(31)가 설치되고, 회전운동 지지부(31)의 선단측에는 단자(20)의 제 1 볼록부(21c)에 걸어 맞추는 제 2 오목부(31a)가 설치되고, 제 2 오목부(31a)의 앞쪽에는 단자(20)의 제 1 오목부(21d)에 걸어 맞추는 제 2 볼록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즉, 누름 부재(30)는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제 2 오목부(31a)와 제 1 볼록부(21c)의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회전운동하고, 제 2 볼록부(31b)가 제 1 오목부(21d)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제 2 볼록부(31b)와 제 1 오목부(21d)의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운동 지점은 누름 부재(30)의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후단측이 상승하여 누름 부재(30)가 폐쇄 상태가 되고,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전단측이 상승하여 누름 부재(30)가 개방 상태가 된다. 또, 회전운동 지지부(31)에는 단자(20)의 제 1 맞닿음부(22b) 및 제 2 맞닿음부(22c)에 맞닿는 누름부(31c)가 설치되고, 누름부(31c)는 산형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30)의 폭 방향 양측에는 락 부재(50)의 폭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32)가 설치되고, 각 돌출부(32)는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 부재(40)는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각 측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40)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41)가 설치되고, 각 접속부(41)는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락 부재(50)는 고정 부재(40)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락 부재(50)는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51)와, 걸어 맞춤부(51)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가동부(52)와, 가동부(52)의 후단으로부터 고정 부재(40)까지 연장되는 탄성부(53)로 이루어지고, 탄성부(53)의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 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 맞춤부(51)는 가동부(52)보다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산형으로 형성되고, 가동부(5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53)는 가동부(52)의 후단으로부터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고정 부재(40)까지 연장되도록 굴곡하고 있고,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변형함으로써, 걸어 맞춤부(51) 및 가동부(52)를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가동부(52)와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 사이에는 누름 부재(30)의 돌출부(32)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설치되고,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에서는 돌출부(32)가 가동부(52)에 맞닿아서 상기 간극에의 삽입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를 개방 상태로 하여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구(10a)로부터 커넥터 본체(1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누름 부재(30)의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 맞춰지면서 제 2 오목부(31a)와 제 1 볼록부(21c)의 접촉 부분을 제 1 회전운동 지점(P1)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누름 부재(30)의 누름부(31c)가 제 1 가동편부(22)의 제 1 맞닿음부(22b)에 앞쪽을 향하여 맞닿는다. 그때, 제 1 맞닿음부(22b)는 앞쪽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편부(22)가 누름부(31c)에 의해 후단측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전단측이 내려가고, 이에 수반하여 제 2 가동편부(23)도 후단측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전단측이 내려간다. 이에 따라, 제 1 접촉부(22a) 및 제 2 접촉부(23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압접하고, 각 가동편부(22, 23)가 플렉시블 회로(1)와 도통한다. 계속해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을 더욱 아래쪽으로 누르면, 제 2 볼록부(31b)가 제 1 오목부(21d)에 걸어 맞춰지는 동시에,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로부터 멀어지고, 누름 부재(30)가 제 2 볼록부(31b)와 제 1 오목부(21d)의 접촉부분을 제 2 회전운동 지점(P2)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누름 부재(30)의 회전운동 지점이 제 1 회전운동 지점(P1)보다 누름부(31c)로부터의 거리가 긴 제 2 회전운동 지점(P2)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누름 부재(30)의 누름력이 커지고,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이 더욱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때, 누름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제 1 맞닿음부(22b)로부터 대략 수평의 제 2 맞닿음부(22c)로 이행하기 때문에, 누름부(31c)와 제 2 맞닿음부(22c)의 맞닿음에 의해, 각 가동편부(22, 23)가 변위한 채로 홀딩되고, 누름 부재(3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된다. 또, 각 맞닿음부(22b, 22c)의 각도 변화에 따라 누름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이행할 때, 누름 부재(30)를 폐쇄한 조작감(操作感)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 맞춰지고, 누름 부재(30)가 제 1 회전운동 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이 상승한다. 그때, 누름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제 2 맞닿음부(22c)로부터 제 1 맞닿음부(22b)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을 더욱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가 개방 위치까지 회전운동하고, 누름부(31c)와 제 1 맞닿음부(22b)의 맞닿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탄성편부(24)의 복원력에 의해 각 가동편부(22, 23)가 전단측을 상승시키도록 변위하고, 각 접촉부(22a, 23a)가 플렉시블 회로(1)로부터 멀어져 접촉이 해제되어,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누름 부재(30)의 폐쇄 동작에 있어서의 단자(20)의 동작에 대해 더욱 상술하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에 위쪽으로의 밀어올리는 힘(F)이 발생하면, 제 1 접촉부(22a) 및 제 2 접촉부(23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압접한다. 이후,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더 밀어올리는 힘(F)이 발생하면,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이 제 1 가동편부(22)에 의해 끌어 올려지고, 제 2 가동편부(23)에 탄성편부(24)의 지점(Q)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각 접촉부(22a, 23a)가 플렉시블 회로(1)에 압접한 후에도, 제 2 가동편부(23)의 전단측에 부여되는 아래쪽으로 내리누르는 힘이 증대하여, 제 2 접촉부(23a)의 접촉압을 높일 수 있다.
또, 플렉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삽입구(10a)에 삽입하면, 플렉시블 회로(1)의 선단이 락 부재(50)의 걸어 맞춤부(51)의 경사면에 맞닿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 계속해서, 플렉시블 회로(1)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51)가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 맞춰져서, 걸어 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1)가 각 락 부재(50)에 의해 커넥터 본체(10)에 임시 홀딩된다. 다음으로,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52)와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 사이에 누름 부재(30)의 돌출부(32)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락 부재(50)의 폭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돌출부(32)에 의해 규제되고, 플렉시블 회로(1)가 각 락 부재(50)에 의해 완전하게 락 된다.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에 의해 걸어 맞춤부(51)가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은 경우, 걸어 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채로 누름 부재(30)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30)의 돌출부(32)가 가동부(52)에 맞닿아, 누름 부재(30)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1)가 불완전 삽입된 채로 누름 부재(30)가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누름 부재(30)의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누름 부재(30)의 회전운동 지점(P1, P2)을 설치하고, 누름 부재(30)의 전단측을 눌러서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20)가 누름 부재(30)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로 눌러지고, 누름 부재(30)의 후단측을 눌러서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30)에 의한 각 단자(20)의 누름이 해제되도록 했으므로, 누름 부재(30)를 어떤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도 누름 부재(30)를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어, 누름 부재(3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누름 부재를 손가락 끝으로 끌어올리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 향상을 위해 커넥터 자체를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어, 소형 전자기기로의 탑재에 매우 유리하다.
또, 누름 부재(30)가 한쪽의 회전운동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누름 부재(30)의 회전운동 지점이 제 1 회전운동 지점(P1)으로부터 다른 제 2 회전운동 지점(P2)으로 이행하고, 제 2 회전운동 지점(P2)이 제 1 회전운동 지점(P1)보다 누름 부재(30)에 의한 단자(20)로의 누름력이 커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킬 때,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을 더욱 위쪽으로 밀어 올릴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와 각 단자(20)를 보다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부재(20)가 한쪽의 회전운동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누름 부재(30)의 맞닿음 위치가 단자(20)의 제 1 맞닿음부(22b)에서 제 2 맞닿음부(22c)로 이행하는 동시에, 제 1 맞닿음부(22b)와 누름 부재(30)의 맞닿음에 의해 단자(20)의 각 가동편부(22, 23)가 변위하고, 제 2 맞닿음부(22c)와 누름 부재(30)의 맞닿음에 의해 각 가동편부(22, 23)가 변위한 채로 홀딩되므로, 누름 부재(30)와 제 2 맞닿음부(22c)의 맞닿음에 의해, 누름 부재(3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할 수 있고, 누름 부재(30)의 폐쇄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그때, 각 맞닿음부(22b, 22c)의 각도 변화에 의해, 누름 부재(30)의 맞닿음 위치가 이행할 때, 누름 부재(30)를 폐쇄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누름 부재(30)가 확실히 폐쇄된 것을 조작감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단자(20)의 고정편부(21)에, 누름 부재(30)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제 1 볼록부(21c) 및 제 1 오목부(21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20)와 누름 부재(30)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단자(20)의 각 가동편부(22, 23)를 누름 부재(30)에 의해 정밀도 좋게 동작시킬 수 있다.
1: 플렉시블 회로 1a: 노치부
20: 단자 21: 고정편부
21c: 제 1 볼록부 21d: 제 1 오목부
22: 제 1 가동편부 22a: 제 1 접촉부
22b: 제 1 맞닿음부 22c: 제 2 맞닿음부
23: 제 1 가동편부 23a: 제 2 접촉부
24: 탄성편부 40: 고정 부재
50: 락 부재

Claims (5)

  1.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측으로 각 단자를 누르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누름 부재를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누름 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측으로 눌러지고, 누름 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의한 각 단자의 누름이 해제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는 누름 부재의 회전운동 지점이 설치되고,
    누름 부재의 일단측을 누르면 누름 부재가 한쪽으로 회전운동하고, 누름 부재의 타단측을 누르면 누름 부재가 다른쪽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한쪽의 회전운동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운동 지점이 소정의 제 1 회전운동 지점에서 다른 제 2 회전운동 지점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회전운동 지점은 제 1 회전운동 지점보다 누름 부재에 의한 각 단자로의 누름력이 커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누름 부재가 맞닿는 제 1 및 제 2 맞닿음부가 설치되고,
    누름 부재 및 단자는 누름 부재가 한쪽의 회전운동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누름 부재의 맞닿음 위치가 제 1 맞닿음부에서 제 2 맞닿음부로 이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맞닿음부는 누름 부재의 맞닿음에 의해 단자가 변위하도록 형성되며,
    제 2 맞닿음부는 누름 부재의 맞닿음에 의해 단자가 변위한 채로 홀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누름 부재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부는 단자에 설치된 제 1 볼록부 및 제 1 오목부와, 누름 부재에 설치된 제 2 오목부 및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누름 부재는 제 1 볼록부와 제 2 오목부를 걸어 맞춤으로써, 제 1 볼록부와 제 2 오목부의 접촉 부분을 상기 제 1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제 1 오목부와 제 2 볼록부를 걸어 맞춤으로써, 제 1 오목부와 제 2 볼록부의 접촉 부분을 상기 제 2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7019998A 2009-06-01 2010-04-23 커넥터 KR20120014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2169 2009-06-01
JP2009132169A JP4372224B1 (ja) 2009-06-01 2009-06-01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51A true KR20120014551A (ko) 2012-02-17

Family

ID=4144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998A KR20120014551A (ko) 2009-06-01 2010-04-23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29302B2 (ko)
EP (3) EP2439819B1 (ko)
JP (1) JP4372224B1 (ko)
KR (1) KR20120014551A (ko)
CN (1) CN102365792B (ko)
PT (1) PT2439819E (ko)
TW (1) TW201044702A (ko)
WO (1) WO2010140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85B1 (ko) *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2224B1 (ja)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25987B1 (ja) * 2009-06-10 2010-03-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68791B1 (ja) *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0043B1 (ja) 2011-06-13 2012-08-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022279A (ja) * 2012-07-20 2014-02-03 Panasonic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DE102016205476B4 (de) * 2016-04-01 2019-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ckeraufnahme und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19179702A (ja) * 2018-03-30 2019-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7849A1 (fr) * 1976-04-07 1977-11-04 Videon Sa Connecteur electrique a haute densite de contacts permettant l'enfichage sans frottement de cartes imprimees
JP3391431B2 (ja) * 1997-01-23 2003-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929763B2 (ja) * 2001-01-12 2007-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04158206A (ja) * 2002-11-01 2004-06-03 Fci Asia Technology Pte Ltd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479989B2 (ja) *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318282U1 (de) * 2003-11-26 2005-04-14 Harting Electro-Optics Gmbh & Co. Kg Leiterplatten-Steckverbinder
JP4484218B2 (ja) * 2004-10-22 2010-06-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06000B2 (ja) * 2004-11-01 2007-11-14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6228453A (ja) * 2005-02-15 2006-08-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7173043A (ja) * 2005-12-22 2007-07-05 D D K Ltd コネクタ
JP4161079B2 (ja) * 2005-12-27 2008-10-08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4731311B2 (ja) * 2005-12-27 2011-07-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ム構造及び該カム構造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4953904B2 (ja) * 2007-04-27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330084B2 (ja)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51429B2 (ja) * 2007-07-13 2012-06-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369697B (zh) * 2007-08-17 2010-06-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070757A (ja) * 2007-09-18 2009-04-02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203046B2 (ja) * 2008-05-30 2013-06-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4372224B1 (ja)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85B1 (ko) *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64309A (ja) 2012-03-29
EP2439819A4 (en) 2013-09-25
US20120094520A1 (en) 2012-04-19
EP2439819A1 (en) 2012-04-11
US8529302B2 (en) 2013-09-10
EP2712035A1 (en) 2014-03-26
EP2439819B1 (en) 2014-09-17
TW201044702A (en) 2010-12-16
JP4372224B1 (ja) 2009-11-25
WO2010140438A1 (ja) 2010-12-09
CN102365792A (zh) 2012-02-29
PT2439819E (pt) 2014-11-12
CN102365792B (zh) 2014-03-12
EP2698879A1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52B1 (ko) 커넥터
JP4425987B1 (ja) コネクタ
JP4568791B1 (ja) コネクタ
KR20120014551A (ko) 커넥터
JP5084244B2 (ja) コネクタ
JP5298227B1 (ja) コネクタ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2008146935A (ja) コネクタ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4397736B2 (ja) コネクタ
JP6533151B2 (ja) コネクタ
JP431868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2057304A1 (ja) コネクタ
JP5555143B2 (ja) コネクタ
JP476776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