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223A - 가구용 힌지 - Google Patents

가구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223A
KR20120010223A KR1020117018605A KR20117018605A KR20120010223A KR 20120010223 A KR20120010223 A KR 20120010223A KR 1020117018605 A KR1020117018605 A KR 1020117018605A KR 20117018605 A KR20117018605 A KR 20117018605A KR 20120010223 A KR20120010223 A KR 2012001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urniture
damping device
housing
hing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19B1 (ko
Inventor
하르알드 브룬마리
Original Assignee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속부(5)와 가구부분(2, 3)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에 힌지연결된 힌지컵(6a)으로 구성되고 부속부(5)와 힌지컵(6a) 사이의 상대운동을 댐핑시키기 위한 댐핑장치(10)를 포함하며 댐핑장치(10)가 힌지컵(6a)내에 또는 힌지컵상에 배치되는 가구용 힌지(4)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댐핑장치(10)가 제1 고정수단(24)을 갖는 하우징(10a)을 가지고 제2 고정수단(23)이 힌지컵(6a)에 배치되며,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상부로부터 힌지컵(6a)에 삽입될 수 있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힌지컵(6a)내에 완전히 배치되며,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이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힌지 {FURNITURE HINGE}
본 발명은 부속부와 가구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에 힌지연결된 힌지컵으로 구성되고 부속부와 힌지컵 사이의 상대운동을 댐핑시키기 위한 댐핑장치를 포함하며, 댐핑장치가 힌지컵내에 또는 힌지컵상에 배치되는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가구용 힌지를 갖는 가구제품에 관한 것이다.
힌지컵과 이러한 힌지컵내에 또는 힌지컵상에 배치된 댐핑장치로 구성되는 가구용 힌지는 이미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예는 특허문헌으로서 본원 출원인의 AT 6499, DE 25 39 954 A1, DE 10 2007 047 287 A1, DE 10 2006 047 315 A1 또는 EP 1 469 151 A1 이 있다. 선형 댐핑 스트로크를 갖는 피스턴이 구비된 댐핑장치는 통상적으로 이동종속형 댐핑기능을 갖는다. 즉, 댐핑의 정도가 피스턴의 유효 댐핑 스트로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두 부속부의 상대운동의 요구된 유연한 완충은 얻기 위하여서는 충분한 댐핑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특별히 요구되는 것은 가능한 한 공간절약방식으로 댐핑장치를 배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적당한 댐핑 스트로크가 확보하여 가구용 힌지의 만족스러운 댐핑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특허문헌 WO 2007/131933 A1 은 댐핑장치를 갖는 가구용 힌지를 기술하고 있는 바,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협동하는 고정수단(탭과 접속면의 형태이다)에 의하여 힌지컵내에 고정된다. 댐핑장치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힌지의 힌지레버에 의하여 댐핑장치는 이미 공장에서부터 힌지컵 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특허문헌 WO 2009/094272 A1 은 힌지컵내에 결합되고 힌지컵 저면에 대하여 스냅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가구용 힌지를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은 댐핑장치가 상부로부터 힌지컵에 삽입될 수 있고 부속부와 힌지컵이 함께 힌지연결되는 힌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 댐핑장치를 새로 달기 위하여서는 힌지를 분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로서 댐핑장치가 공간절약형이고 후속단계에서도 장착될 수 있는 가구용 힌지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핑장치가 제1 고정수단을 갖는 하우징을 가지고 제2 고정수단이 힌지컵에 배치되며,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상부로부터 힌지컵에 삽입될 수 있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힌지컵내에 완전히 배치되며,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은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유리한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용어 '상부로부터 힌지컵에 삽입될 수 있다'라는 것은 힌지컵의 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운동방향으로 댐핑장치의 하우징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을 힌지컵내에 완전히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언급된 장착상태에서 하우징이 힌지컵의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장착상태에서 댐핑장치의 전체 단위 구성요소가 완전히 힌지컵의 저면과 힌지컵 개방부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댐핑장치의 하우징은 힌지컵에 대하여 장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댐핑장치의 하우징은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하여 힌지컵상에 또는 힌지컵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좋기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거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해될 수 있다.
댐핑장치는 댐핑장치는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제1고정수단이 슬라이더에 제공되어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슬라이더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힌지컵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은 자기잠금형 잠금연결부의 형태이다. 이러한 잠금연결부는 하우징을 힌지컵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 사이에 자동적인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고정을 위하여 부가적인 잠금수단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제1 및 제2 고정수단은 함께 스냅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어 댐핑장치가 완전한 하나의 유니트의 형태로 힌지컵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또는 제2 고정수단은 하우징이 힌지컵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형 정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정지요소는 탄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고정수단 사이의 연결은 정지요소의 탄성작용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정지요소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에 배치되고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컵의 개방부, 즉, 힌지컵의 잠금변부에 결합된다. 작동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정지요소는 힌지컵에 장착될 수 있고 장착된 상태에서 댐핑장치의 하우징에 배치된 개방부, 즉, 잠금변부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고정수단은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의 측벽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또는 이에 보충하여 제1 및 제2 고정수단은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의 저면 또는 힌지컵에 결합된 지지부(특히 고정돌출부)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고정돌출부는 부속부에 대하여 힌지컵을 완전폐쇄위치 및/또는 완전개방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돌출부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을 위한 지지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는 힌지컵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고정돌출부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을 삽입하기 위한, 특히 댐핑장치의 선형이동슬라이더를 삽입하고 안내하기 위한 요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우선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주연면을 가지고 그 형상은 힌지컵의 내부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환언컨데, 댐핑장치의 하우징의 외부형상과 크기는 힌지컵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크기에 맞추어져 있다. 이는 하우징의 한정된 예비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배치후에는 제1 및 제2 고정수단이 함께 연결되는 효과를 보이며,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적극적인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이 일어질 수 있도록 힌지컵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힌지컵에 적용되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의 윤곽 때문에 장착상태에서 최대부분이 힌지컵의 내벽에 대하여 지지되며, 이를 힌지컵내에 배치하는 것은 눈에 거의 띄지 않고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의 내벽 사이에 먼지가 끼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힌지컵에 대하여 댐핑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부가 제공되고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고정수단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어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힌지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분리부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분리부는 수동으로 또는 공구에 의하여 분리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댐핑장치의 하우징이 힌지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하여, 기존의 힌지장치에는 나중에 댐핑장치가 새롭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새로 장착하는 작업은 공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핑장치가 이미 공장에서 장착될 때 이미 존재하는 생산라인은 그대로 유지되어 댐핑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복잡도가 낮고 비용이 적게 든다. 기존의 힌지장치에 후속작업으로 댐핑장치를 장착하거나 또는 분해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댐핑장치는 힌지의 힌지레버가 힌지컵에 힌지연결될 때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의하여 힌지컵에 삽입되고 힌지컵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특별히 콤팩트한 구조를 얻기 위하여, 댐핑장치는 댐핑유체로 채워지고 통로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유체챔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피스턴이 제1 유체챔버에 결합되어 제1 유체챔버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유체챔버내에는 제2 유체챔버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2 유체챔버에 대한 댐핑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변형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한 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유체챔버는 직렬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통하여 유체가 연통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피스턴에 의한 댐핑 스트로크중에 이동되는 제1 유체챔버의 댐핑유체는 댐핑유체의 잔류압축률에 관계없이 통로를 통하여 제2 유체챔버측으로 유동되어 제2 유체챔버의 체적이 유체압력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체챔버는 압축과 감압중에 각각 변화할 수 있는 이동댐핑유체를 위한 보상공간을 형성한다. 제2 유체챔버는 제1 유체챔버에 비하여 보다 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특별히 소형의 댐핑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유체챔버내에 변형가능한 물질의 변형재(變形材)가 배치되거나 제2 유체챔버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이 배치되어 댐핑유체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때 제2 유체챔버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유체챔버내에 제2 피스턴 대신에 예를 들어 발포고무와 같은 압축성 물질로 만들어진 변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피스턴의 복귀운동이 저압을 형성하여 흡인효과를 보이므로서 댐핑이 이루어진 후에 제2 유체챔버내에 존재하는 댐핑유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유체챔버측으로 역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제2 피스턴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1 유체챔버는 제1 종축선을 가지고 제2 유체챔버는 제2 종축선을 가지며, 유체챔버의 제1 종축선과 제2 종축선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두 유체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는 근본적으로 길이가 매우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오버플로우와 같은 기능을 갖는 통공의 형태). 두 유체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는 제1 유체챔버의 저면영역으로부터 제2 유체챔버의 유입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댐핑장치는 제1 피스턴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피스턴을 가지고 선형 댐핑 스트로크에서 제1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은 제2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에 대하여 평행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피스턴은 각각 유체챔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두 유체챔버는 직렬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 의하여 유동이 연통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제1 피스턴의 댐핑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댐핑장치의 구조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1 피스턴의 댐핑 스트로크중에 이동되는 제1 유체챔버의 댐핑매체는 좁은 통로를 통하여 제2 유체챔버측으로 유동하여 제1 유체챔버내에 있는 댐핑유체의 유동저항이 증가된다. 댐핑장치의 구조가 소형이어서 특히 이러한 댐핑장치를 힌지컵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에 대한 제1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은 각도가 α 이고 이 각도 α 는 70~110°사이이다. 본 발명의 우선구성에서 제2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에 대한 제1 피스턴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두 유체챔버는 각각 유체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챔버는 댐핑장치의 하우징에 제공되어 유체실린더를 부가적으로 굳이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 특히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댐핑장치는 적은 수의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핑장치는 이러한 댐핑장치에 힘이 가하여질 수 있도록 하는 작동요소를 가질 수 있는 바, 이러한 작동요소는 힌지운동중에 부속부의 하나에 의하여 또는 부속부 사이에 배치된 힌지레버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힌지운동중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힌지레버는 가구힌지의 폐쇄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힌지컵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두 피스턴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작동요소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작동요소를 피스턴의 하나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는 한편 댐핑장치에 부가적인 힘이 직접 가하여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작동요소는 부속부의 상대측에 대한 사전에 결정된 상대위치로부터 하나의 부속부에 의하여 또는 부속부 사이에 배치된 힌지레버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선형 이동슬라이더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폐쇄운동의 종료위치 및/또는 개방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하나의 부속부에 의하여 또는 힌지레버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쐐기의 형태일 수 있다.
댐핑작동중에 슬라이딩 슬라이더가 무단히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는 슬로트의 형태인 가이드를 갖는 것이 좋으며, 이에 의하여 슬라이더는 힌지컵에 배치된 고정돌출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동시에 두 부속부를 단부위치로 탄지하는 스프링장치를 착설하기 위하여 고정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장치는 부속부를 완전개방위치의 방향 및/또는 완전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할 수 있으며, 폐쇄과정의 종료위치 및/또는 개방과정의 종료위치를 향하는 경우에만 스프링의 작용이 시작된다. 따라서, 제안된 댐핑장치는 상대측에 대한 두 부속부의 전체 개방각도의 일부분에서 개방운동 및 폐쇄운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힌지에 의하여 가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가구가동부를 갖는 가구제품의 사시도.
도 2는 힌지컵에 일체로 구성된 댐핑장치를 갖는 가구용 힌지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가구에 착설된 가구용 힌지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측면도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가구에 착설된 가구용 힌지가 중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측면도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가구에 착설된 가구용 힌지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측면도와 단면도.
도 6은 댐핑장치의 사시도.
도 7a - 도 7c는 댐핑 스트로크와 복귀스트로크중 두 피스턴의 위치를 보인 수평단면으로 보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댐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변형재가 제2 유체챔버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2 유체챔버내에 배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공구없이 힌지컵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구용 힌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갖는 댐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힌지컵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11a - 도 11d는 분리를 위한 분리부를 갖는 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여러 사시도.
도 12a - 도 12d는 댐핑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댐핑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힌지컵이 표준형의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댐핑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댐핑장치의 하우징과 힌지컵의 저면벽 및/또는 측벽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14a - 도 14c는 힌지컵에 삽입될 댐핑장치가 분해위치 및 장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이고 고정수단이 제공된 댐핑장치의 슬라이더를 보인 사시도.
도 1은 가구본체(2)를 갖는 가구제품(1)을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회전도어 형태인 가구가동부(3)가 가구본체(2)의 프레임(2a)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힌지(4)로 고정된다. 가구가동부(3)는 가구본체(2)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도 2는 가구용 힌지(4)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제1 부속부(5)가 가구본체(2)에 결합되고 제2 부속부(6)가 가구가동부(3)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측 부속부(5)는 L-형또는 U-형이고 장착된 상태에서 도 1에서 보인 프레임(2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되어 있다. 또한 부속부(5)는 힌지암의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2 부속부(6)는 가구가동부(3)의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컵(6a)을 갖는다. 이러한 힌지컵(6a)은 장착된 상태에서 가구가동부(3)의 내측에 접하는 플랜지(6b)를 갖는다. 부속부(5)와 힌지컵(6a) 사이에는 조절장치(8)에 의하여 제1 부속부(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착설되는 힌지레버(7)가 배치된다. 힌지레버(7)는 타측의 회전축선상에서 힌지컵(6a)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구용 힌지(4)는 단일축선형 힌지의 형태이다. 두 부속부(5, 6)를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거나 폐쇄위치에서 부속부(5, 6)를 고정하는 스프링장치(9)가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댐핑장치(10)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힌지컵(6a)내에 배치되고 이러한 댐핑장치(10)는 두 보속부(5, 6)의 최대개방각도를 통한 운동의 일부분에서 상대측에 대하여 두 부속부(5, 6)의 상대운동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제공된다. 댐핑장치(10)는 힌지레버(7)에 의하여 가구용 힌지(4)의 폐쇄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작동되어 댐핑장치(10)에 힘을 가하는 선형 이동 슬라이더(11a)의 형태인 작동요소(11)를 갖는다.
도 3a는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가구용 힌지(4)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제1 부속부(5)는 가구본체(2)의 프레임(2a)에 고정되는 반면에 제2 부속부(6)는 힌지컵(6a)과 함께 가구가동부(3)에 착설된다. 댐핑장치(10)는 그 아치형 주연변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힌지컵(6a)의 내벽의 윤곽에 맞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버섯형구조로 되어 있다. 힌지운동중에 회전되는 힌지레버(7)는 폐쇄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선형 이동 슬라이더(11a)에 작용하여 댐핑과정이 시작되도록 한다. 도면은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폐쇄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장치(9)를 보이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서 보인 화살표를 따른 수직단면도이다. 가구본체측 부속부(5)는 스크류(12)로 프레임(2a)에 고정된다. 힌지컵(6a)은 가구가동부(3)에 삽입배치되며, 댐핑장치(10)는 슬라이더(11a)와 함께 힌지컵(6a)에 완전히 일체화 되어 있다. 슬라이더(11a)는 상대측에 대한 부속부(5, 6)의 사전에 결정된 상대위치로부터 힌지레버(7)에 의하여 작동되는 경사면(15)을 갖는다. 슬라이더(11a)는 슬로트(13)를 가짐으로서 슬라이더(11a)가 댐핑과정중에 힌지컵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고정돌출부(14)에 대하여 안내되게 이동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 힌지레버(7)는 슬라이더(11a)의 경사면(15)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놓인다.
도 4a는 도 3a와 유사한 것으로, 다른 점이 있다면 가구가동부(3)가 폐쇄방향으로 더 이동되었고 도 4b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레버(7)가 댐핑장치(10)의 슬라이더(11a)와 만나는 것이 다르다. 크랭크형 힌지레버(7)가 슬라이더(11a)의 경사면(15)에 접촉한다.
도 5a는 프레임(2a)에 대하여 가구가동부(3)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 이미 댐핑과정은 종료되었다. 도 5의 단면에서는 힌지레버(7)가 그 경사면(15)에 의하여 슬라이더(11a)를 이동시켜 도 4b에 비하여 고정된 고정돌출부(14)가 슬로트(13)의 반대측 단부에 접하여 있음을 보이고 있다. 댐핑되어야 하는 운동은 슬라이더(11a)의 운동에 의하여 댐핑장치(14)에 가하여졌다.
도 6은 힌지컵(6a)에 완전히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 댐핑장치(10)와 적어도 일부분이 힌지컵(6a)의 내부형상에 일치하게 맞추어진 그 하우징(10a)을 보이고 있다. 하우징(10a)은 장착상태에서 적어도 일부영역이 힌지컵(6a)의 내벽에 접촉하는 아치형 주연변부를 갖는다. 경사면(15)과 슬로트(13)를 갖는 슬라이더(11a)는 댐핑 스트로크와 복귀스트로트중에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도 7a는 댐핑장치(10)를 수평단면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댐핑장치(10)의 작동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이 도면은 제1 피스턴(16a)이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제1 유체챔버(16)를 보이고 있다. 댐핑장치(10)는 유체댐퍼의 형태이고, 제1 유체챔버(16)는 댐핑유체(예를 들어, 액체, 오일, 또는 공기)로 채워져 있다. 씨일(17a)이 제1 유체챔버(16)의 내벽에 대하여 제1 피스턴(16a)을 밀폐한다. 제1 유체챔버(16)에는 댐핑 스트로크가 이루어진 후에 피스턴(16a)을 다음의 댐핑 스트로크를 준비하기 위한 위치로 복귀이동시키는 스프링형태의 복귀기구(18a)가 결합되어 있다. 복귀기구(18a)는 또한 유체챔버(16)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1a)는 제1 피스턴(16a)에 일체로 연결되어 슬라이더(11a)의 운동이 동시에 제1 유체챔버(16)측으로 제1 피스턴(16a)의 운동을 유도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유체챔버(21)에 배치되어 제2 유체챔버(21)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25)는 변위피스턴(21a)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댐핑유체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때 제2 유체챔버(21)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다.
댐핑유체는 유체챔버(16)측으로 가압되는 제1 피스턴(16a)에 의하여 제2 유체챔버(21)측으로 통로(19)와 스위칭 블레이드(20)의 통공(20a)을 통하여 가압된다. 씨일(17b)은 제2 유체챔버(21a)에 대하여 피스턴(21a)을 밀폐한다. 제2 피스턴(21a)은 또한 제1 유체챔버(16)로부터 제2 유체챔버(21)측으로 가압되는 댐핑유체에 의하여 후단위치로 이동된다. 댐핑유체는 제1 피스턴(16a)과 제2 피스턴(21a) 사이에만 있다. 제1 피스턴(16a)의 운동방향 A는 제2 피스턴(21a)의 운동방향 B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피스턴(16a)의 운동방향 A는 제2 피스턴(21a)의 운동방향 B에 대하여 70°~ 110°사이의 각도 α를 이룬다. 제1 피스턴(16a)과 제2 피스턴(21a)의 운동방향 A와 B는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방향 A와 B는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연장될 수도 있다.
도 7b는 제1 피스턴(16a)이 제1 유체챔버(16)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댐핑과정이 이미 종료된 것을 보인 것이다. 피스턴(16a)이 제1 유체챔버(16)측으로 가압되어 제1 유체챔버(16)의 댐핑유체가 통로(19)와 스위칭 블레이드(20)의 통공 그리고 유통공(22a)을 통하여 제2 유체챔버(21)측으로 가압되며, 이때 제2 피스턴(21a)이 제2 유체챔버(21)내에서 도시된 후단위치로 이동되었다. 스위칭 블레이드(20)에서 통공(20a)의 크기는 댐핑유체에 의하여 증가하는 압력작동에 따라 증가하므로 통공(20a)의 유동단면이 증가될 수 있다. 스위칭 블레이드(20)는 고무-탄성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도 7c에서 두 피스턴(61a, 21a)은 두 복귀기구(18a, 18b)에 의하여 다시 부분적으로 복귀되어 피스턴(61a, 21a)은 다시 도 7a의 준비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복귀기구(18b)는 제2 피스턴(21a)을 다시 방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제2 유체챔버(21)의 댐핑유체는 두 유동통공(21a, 21b)을 통하여 역류할 수 있다. 도 7b에서 보인 제1 위치로부터 시작하여(여기에서 댐핑유체는 전적으로 통공 20a를 통하여 제2 유체챔버 21로 유동한다) 스위칭 블레이드(20)는 이러한 스위칭 블레이드(20)가 유동통공(22a, 22b)로부터 벗어난 도 7c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2 위치로 이동되어 복귀스트로크에서는 댐핑유체가 제1 유체챔버(16)의 방향으로 스위칭 블레이드(20)를 돌아 역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댐핑장치(10)는 다시 다음의 댐핑 스트로크를 위한 준비위치로 매우 신속히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유체챔버(16)의 제1 피스턴(16a)도 복귀기구(18a)에 의하여 복귀이동되고 다시 준비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2 복귀기구(18b)의 구성이 생략되고 제1 복귀기구(18a)만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피스턴(16a)의 복귀운동은 제1 유체챔버(16)에서 발생된 감소된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흡인효과에 의한 제2 유체챔버(21)로부터 나오는 댐핑유체는 다시 제1 유체챔버(16)측으로 보내어진다. 도 7c로부터 시작하여 두 피스턴(61a, 21a)은 다시 도 7a에서 보인 시작위치로 북귀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블레이드(20)는 3가지 기능, 즉, a) 제1 유체챔버(16)내의 댐핑매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b) 통공(20)을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시켜 유동단면을 증가시킴으로서 과부하로부터 안전하게 하며, c) 스위칭 블레이드(20)를 유동통공(22a, 22b)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댐핑매체의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제1 피스턴(16a)의 피스턴표면과 제2 피스턴(21a)의 피스턴표면은 동일한 크기의 작동피스턴표면을 갖는다. 그러나, 제1 피스턴(16a)의 유효피스턴표면과 제2 피스턴(21a)의 유효피스턴표면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제2 피스턴(21a)에 대한 이동감소효과를 보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피스턴(21a)의 유효피스턴표면이 제1 피스턴(16a) 보다 클 때, 제1 피스턴(16a)의 댐핑 스트로크는 제2 피스턴의 댐핑 스트로크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제2 유체챔버(21)의 길이, 즉, 하우징(10a)의 크기가 제2 피스턴의 감소된 댐핑 스트로크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도 8a는 댐핑장치(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7a - 도 7c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제1 피스턴(16a)에 일체로 연결된 슬라이더(11a)가 제공됨으로서 제1 피스턴(16a)은 댐핑 스트로크에서 제1 유체챔버(16)에 결합된다. 씨일(17a)이 제1 유체챔버(16)에 대하여 제1 피스턴(16a)을 밀폐한다. 댐핑 스트로크에서 제1 피스턴(16a)에 의하여 이동되는 댐핑유체는 스위칭 블레이드(20)의 통공(20a)과 유동통공(22a)을 통하여 제2 유체챔버(21)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유체챔버(21)내에 배치된 장치(25)는 압축성 가변물질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댐핑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될 때 제2 유체챔버(21)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다. 도 8a는 댐핑 스트로크를 위한 준비위치에 놓인 제1 피스턴(16a)을 보이고 있다. 도 8b에서 제1 피스턴(16a)이 제1 유체챔버(16)측으러 가압되어 댐핑유체가 상기 언급된 공통의 경로를 통하여 제2 유체챔버(21)측으로 이동됨으로서 장치(25)가 변형되고 제2 유체챔버(21)의 체적이 증가된다. 슬라이더(11a)가 가구용 힌지(4)의 힌지레버(17)에 의하여 더 이상 작동되지 않을 때 제1 유체챔버(16)의 제1 피스턴(16a)이 다시 복귀기구(18a)에 의하여 도 8a에서 보인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유체챔버(16)의 압력이 감소되고 이에 의한 흡인효과는 제2 유체챔버(21)의 유체가 유동통공(22a, 22b)과 스위칭 블레이드(20)를 통하여 제1 유체챔버(16)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제2 유체챔버(16)의 장치(25)는 다시 팽창하여 도 8a에서 보인 상태가 될 것이다. 제2 유체챔버(21)내에 자체의 복귀기구(18b)를 갖는 가변형 제2 피스턴(21a)에 제공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장치(25)는 압축성 물질(예를 들어, TPU 플라스틱, 또는 발포고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치(25)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유체챔버(21)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피스턴(21a)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가구용 힌지(4)에 추후(즉, 공장인도후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댐핑장치(10)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는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9a는 가구본체측 부속부(5)와 도어측 부속부(6)를 보인 것으로, 힌지컵(6a)이 힌지레버(7)에 의하여 가구본체측 부속부(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레버(7)는 회전축선 S 에서 힌지컵(6a)에 착설된다. 힌지컵(6a)에는 개략적으로 보인 고정수단(23)(예를 들어 요구, 잠금변부 또는 개방부 23a)이 제공되는 반면에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에는 이에 상응하는 고정수단(24)(예를 들어 탄성정지요소 24a의 형태)이 구비된다. 따라서,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자동적으로 잠근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도시된 장착상태에서 힌지컵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9b는 하우징(10a)과 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갖는 댐핑장치(10)를 보이고 있다. 가구용 힌지(4)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10a)은 장착된 상태에서 도 9a에서 보인 힌지컵(6a)의 개방부(23a)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24a)를 구비하는 고정수단(24)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힌지컵(6a)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인 슬로트(13)와는 다르게 도 9b에서 보인 슬로트(13)는 각각 도 3b, 도 4b 및 도 5b에서 보인 고정돌출부(14)에 슬라이더(11a)와 댐핑장치(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0a)의 장착된 상태에서 그 아치형 주연면은 힌지컵(6a)의 내벽에 접촉하고 힌지컵(6a)의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정지요소(24a)는 탄성을 갖거나,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직접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정지요소(24a)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는 압력을 가함으로서 힌지컵(6a)에 장착된 위치로부터 분리위치로 이동되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다시 힌지컵(6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정지요소(24a)와 힌지컵(6a)의 개방부(23a)와 함께 고정수단(24)은 단순히 예를 들어 보인 것으로 다른 장착 및 분리수단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작동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정지요소는 힌지컵(6a)에 장착될 수 있고 개방부(23a) 또는 잠금변부가 댐핑장치(10)의 하우징(0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는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컵(6a)내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는 댐핑장치(10)를 고정하는 다른 방법을 보인 것이다. 댐핑장치(10)는 상부로부터 힌지컵(6a)에 결합(힌지컵의 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10a)을 포함한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클립 또는 서클립 형태의 제1 고정수단(24)을 갖는 반면에 힌지컵(6a)에는 기다란 요구(23a)의 형태인 제2 고정수단(23)이 구비되어 있으며,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은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장착위치에 함께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14)가 힌지컵(6a)내에 배치되고 가구용 힌지(4)의 회전축선 S 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힌지컵(6a)의 내부에서 고정돌출부(14)는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가 삽입되고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요구(40)를 갖는다. 요구(40)에 의하여 제공되는 평탄성, 즉, 고정돌출부(14)의 낮은 위치는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을 위한 구조적인 공간이 넓어지도록 한다.
도 10b는 힌지컵(6a)내에 댐핑장치(10)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댐핑장치(10)는 힌지컵(6a)의 개방부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하우징(10a)은 쇼울더형의 접속부(25a)를 가지며 이는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컵(6a)의 대응하는 접속부(25b)에 대하여 지지된다. 댐핑장치(10)의 주연면은 힌지컵(6a)의 네부공간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다. 고정적인 가구본체(2)에 대하여 가구가동부(3)의 폐쇄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힌지레버(7)는 댐핑장치(10)의 슬라이더(11a)에 대하여 접촉하여 댐핑과정이 시작된다.
도 11a는 힌지컵(6a)에 고정된 댐핑장치(10)를 분리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26)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 사이의 연결이 분리되어 하우징(10a)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10a)은 분리부(26)와 가구본체측 부속부(5)에 스크류드라이버(27)를 가압함으로서 힌지컵(6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가구용 힌지(4)의 댐핑효과가 전혀 요구되지 않는 경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예를 들어 가구가동부(3)가 다수의 가구용 힌지(4)에 의하여 가구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경우, 단 하나의 가구용 힌지(4)에 댐핑장치(10)가 구비되고 다른 가구용 힌지(4)에는 경량의 가구가동부(3)가 신뢰가능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댐핑장치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b는 댐핑장치(10)의 앞부분을 주로 보인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로부터 하우징(10a)이 쇼율더형 접속부(25a)와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가짐을 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댐핑장치(10)의 분해를 위한 분리부(26)는 하우징(10a)에 일체로 제공된다. 도 11c는 댐핑장치(10)의 뒷부분 저면을 주로 보인 사시도를 보인 것인 반면에 도 11d는 뒷부분을 주로 보인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12a는 도시된 예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에 결합될 수 있는 일자형 스크류 드라이버(27)를 이용하여 댐핑장치(10)를 분해하는 다른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 12b 내지 도 12d에서는 다양한 구성의 분리부(26)를 보이고 있다. 도 12b에서 분리부(26)는 하우징(10a)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봉의 형태이다. 도 12c에서 분리부(26)는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에 형성된 요구의 형태이고, 이 분리부(26)에는 십자형 스크류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2d에서 분리부926)는 슬라이더(11a)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리부(26)는 슬라이더(11a)와 함께 슬로트형 요구를 형성함으로서 댐핑장치(10)의 분해를 위하여 일자형 스크류 드라이버가 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힌지컵(6a)이 가구가동부(3)의 표준형 삽입공(30)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힌지컵(6a)은 저면부(31)와 이를 둘러싸고 연장된 측벽(29)을 갖는다. 하우징(10)과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갖는 댐핑장치(10)는 제1 고정수단(24)을 포함하는 한편, 제2 고정수단(23)이 힌지컵(6a)에 결합되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계획된 장착위치에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0a)의 제2 고정수단(23)은 하우징컵(6a)의 저면부(31) 또는 그 측벽(29)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선 S 상에 착설된 힌지레버(7)는 힌지컵(6a)의 사전에 결정된 상대위치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에 작용하여 슬라이더가 하우징(10a)측으로 가압되고 댐핑과정이 시작된다.
도 14a는 가구용 힌지(4)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힌지암 형태의 부속부(5)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레버(7)에 의하여 힌지컵(6a)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힌지레버(7)와 힌지암 형태의 부속부(5)가 착설될 때 상부로부터 힌지컵(6a)에 결합되어 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댐핑장치(10)는 하우징(10a)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가지며, 제1 고정수단(24)이 슬라이더(11a)에 제공되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슬라이더(11a)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힌지컵(6a)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도면에서 힌지컵(6a)의 제2 고정수단(23)은 힌지컵(6a)의 내벽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더(11a)에 연결토록 제공된 고정돌출부(14)에 의하여 구성된다. 고정돌출부(14)는 힌지컵(6a)의 측벽을 통하여 관통함으로서 스프링장치(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가구용 힌지(4)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b는 힌지컵(6ㅁ)에 결합되었을 때의 댐핑장치(10)를 보인 것이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힌지컵(6a)의 내부형상에 맞추어진 아치형 부연변부를 갖는다.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은 힌지컵(6a)의 내벽에 부가적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형 접속부(25a)를 가짐으로서 하우징(10a)이 힌지컵(6a)내에 적극적인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힌지(4)의 폐쇄운동의 종료위치를 향하여 힌지레버(7)는 슬라이더(11a)에 접촉하고 슬라이더를 하우징(10a)측으로 밀어 힌지(4)의 폐쇄운동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c는 슬라이더(11a)의 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 슬라이더(11a)에는 힌지레버(7)가 접촉할 수 있게 된 경사면(15)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더(11a)에 배치된 제1 고정수단(24)은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힌지컵(6a)에 배치된 제2 고정수단(23), 좋기로는 슬라이더(11a)를 고정하기 위하여 힌지컵(6a)에 배치된 고정돌출부(14)(도 14a 참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요구(43)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입개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돌출부(14)가 안내요구(43)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1a)는 고정돌출부(14)에대하여 이동되어 고정돌출부914)가 도입개방부(41)를 지나 안내요구(43)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 스트로크에서 슬라이더(11a)는 안내요구(43)내에 착설된 고정돌출부(14)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댐핑장치(10)를 분리하기 위하여 고정돌출부(14)는 다시 도입개방부를 통하여 분리되어 하우징(10a)이 힌지컵(6a)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더(11a)는 양측에 두 고정돌출부(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힌지컵(6a)에 대향되게 배치된 종방향의 측부안내요구(43)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실시형태나 기술적으로 동등한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하측, 측부 등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직접 설명되고 도시된 도면에서 위치에 관련되어 있고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적당히 새로운 위치의 용어로 바뀔 수 있다.
2: 가구본체, 3: 가구가동부, 4: 가구용 힌지, 5: 부속부, 6a: 힌지컵, 10: 댐핑장치, 10a: 하우징, 23, 24: 고정수단.

Claims (33)

  1. 부속부와 가구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에 힌지연결된 힌지컵으로 구성되고 부속부와 힌지컵 사이의 상대운동을 댐핑시키기 위한 댐핑장치를 포함하며 댐핑장치가 힌지컵내에 또는 힌지컵상에 배치되는 가구용 힌지에 있어서, 댐핑장치(10)가 제1 고정수단(24)을 갖는 하우징(10a)을 가지고 제2 고정수단(23)이 힌지컵(6a)에 배치되며,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상부로부터 힌지컵(6a)에 삽입될 수 있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힌지컵(6a)내에 완전히 배치되며,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이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에 의하여 힌지컵(6a)상에 또는 힌지컵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거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이 자기잠금형 잠금연결부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고정수단(23, 24)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힌지컵(6a)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형 정지요소(24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정지요소(24a)가 탄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 사이의 연결이 정지요소(24a)의 탄성작용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서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정지요소(24a)가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에 배치되고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컵의 개방부(23a) 또는 힌지컵(6a)의 잠금변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정지요소(24a)가 힌지컵(6a)에 배치되고 장착된 상태에서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의 개방부(23a) 또는 잠금변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의 저면부(31) 사이에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의 측벽(29) 사이에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과 힌지컵(6a)에 결합된 고정돌출부(14) 사이에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고정돌출부(14)가 부속부에 대하여 힌지컵(6a)을 완전폐쇄위치 및/또는 완전개방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9)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고정돌출부(14)가 힌지컵(6a)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고정돌출부(14)는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을 삽입하기 위한요구(40)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a)dl 주연면을 가지고 그 형상은 힌지컵(6a)의 내부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부(26)가 제공되고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고정수단(23, 24)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힌지컵(6a)으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분리부(26)가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6. 제1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장치(10)가 댐핑유체로 채워지고 통로(19)를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유체챔버(16, 21)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7. 제16항에 있어서, 피스턴(16a)이 제1 유체챔버(16)에 결합되어 제1 유체챔버(16)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유체챔버(21)내에는 제2 유체챔버(21)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2 유체챔버(21)에 대한 댐핑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변형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한 장치(25)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장치(25)가 제2 유체챔버(21)내에 변형가능한 물질의 변형재를 갖거나 제2 유체챔버(21)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21a)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19. 제1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장치(10)가 제1 피스턴(16a)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피스턴(21a)을 가지고 선형 댐핑 스트로크에서 제1 피스턴(16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A)이 제2 피스턴(21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B)에 대하여 평행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 피스턴(21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B)에 대한 제1 피스턴(16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A)이 각도가 α 이고 이 각도 α 가 70~110°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제2 피스턴(21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 방향(B)에 대한 제1 피스턴(16a)의 선형 댐핑 스트로크의 방향(A)이 직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2. 제1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장치(10)가 힌지운동중에 부속부(5)에 의하여 또는 부속부(5)와 힌지컵(6a)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힌지레버(7)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작동요소(11)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스턴(16a, 21a)이 작동요소(11)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작동요소(11)가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1a)가 댐핑 스트로크중에 부속부 또는 힌지레버(7)에 의하여 작동되어 슬라이더(11a0가 힌지컵(6a)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15)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1a)가 슬로트(13)를 가지고, 이에 의하여 슬라이더(11a)가 힌지컵(6a)에 배치된 고정돌출부(14)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7. 제1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속부(5)가 힌지암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8. 제27항에 있어서, 힌지암 형태의 부속부(5)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레버(7)에 의하여 힌지컵(6a)에 힌지연결되고 힌지레버(7)와 힌지암(8)이 착설될 때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이 상부로부터 힌지컵(6a)에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29. 제1항 내지 제28항에 있어서, 댐핑장치(10)가 하우징(10a)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1a)를 가지고 제1 고정수단(24)이 슬라이더(11a)에 제공되어 댐핑장치(10)의 하우징(10a0이 간접적으로 슬라이더(11a)에 의하여 힌지컵(6a)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30. 제29항에 있어서, 댐핑장치의 하우징(10a)이 힌지컵(6a)의 내벽에 부가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형 접속부(25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1a)에 배치된 제1고정수단(24)이 힌지컵(6a)에 배치된 제2 고정수단(23), 좋기로는 슬라이더(11a)를 고정하기 위하여 힌지컵(6a)에 배치된 고정돌출부91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요구(4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32. 제3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1a0가 도입개방부(41)를 가지고, 이를 통하여 고정돌출부(14)가 안내요구(43)에 배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33.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가구용 힌지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가구가동부를 갖는 가구제품.
KR1020117018605A 2009-03-25 2010-03-12 가구용 힌지 KR101685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475/2009A AT508068B1 (de) 2009-03-25 2009-03-25 Möbelscharnier
ATA475/2009 2009-03-25
PCT/AT2010/000076 WO2010108201A1 (de) 2009-03-25 2010-03-12 Möbelscharn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223A true KR20120010223A (ko) 2012-02-02
KR101685719B1 KR101685719B1 (ko) 2016-12-12

Family

ID=4222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605A KR101685719B1 (ko) 2009-03-25 2010-03-12 가구용 힌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8387213B2 (ko)
EP (2) EP2411611B1 (ko)
JP (1) JP5607717B2 (ko)
KR (1) KR101685719B1 (ko)
CN (5) CN102325953B (ko)
AT (1) AT508068B1 (ko)
AU (1) AU2010228096B2 (ko)
RU (1) RU2528359C2 (ko)
SI (2) SI2796650T1 (ko)
WO (1) WO2010108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369A (ko) * 2012-02-16 2014-09-26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가구용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1847B1 (de) 2011-08-31 2013-03-15 Blum Gmbh Julius Dämpf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DE202012003508U1 (de) * 2012-04-05 2013-07-08 Grass Gmbh 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und Möbel
ITMI20121122A1 (it) * 2012-06-26 2013-12-27 Salice Arturo Spa Cerniera decelerata per mobili
ITMI20121837A1 (it) * 2012-10-29 2014-04-30 Salice Arturo Spa Cerniera per mobili con dispositivo di decelerazione disattivabile
US8561262B1 (en) * 2012-12-19 2013-10-22 King Slide Works Co., Ltd. Damping device for hinge assembly
DE202012012211U1 (de) * 2012-12-20 2014-03-28 Grass Gmbh & Co. Kg Scharnier
EP2749722B1 (en) 2012-12-27 2016-04-27 King Slide Works Co., Ltd. Hinge assembly with damping device
US8650711B1 (en) * 2013-01-04 2014-02-18 King Slide Works Co., Ltd. Hinge assembly with damping device
GB201303093D0 (en) * 2013-02-21 2013-04-10 Lama D D Dekani Improvments in damped hinge assemblies
GB2520480B (en) * 2013-11-05 2020-08-12 Titus D O O Dekani Improvements in hinge assemblies
GB2529250B (en) * 2014-08-15 2020-09-09 Titus Doo Dekani Improvements in hinge assemblies
US10662691B2 (en) * 2013-11-28 2020-05-26 Titus D.O.O. Dekani Hinge having hinge cup
US9163447B1 (en) 2014-09-18 2015-10-20 King Slide Works Co., Ltd. Hinge with damping device
ES2917983T3 (es) * 2014-12-23 2022-07-12 Salice Arturo Spa Bisagra para muebles con dispositivo de deceleración desactivable
US9802704B2 (en) * 2015-03-13 2017-10-31 The Boeing Company Folding galley unit
DE102015106917B4 (de) 2015-05-04 2016-12-08 Samet Kalip Ve Maden Esya San. Ve Tic. A.S. Möbelscharnier mit einem Dämpfer und einer Feder
DE102015106919A1 (de) 2015-05-04 2016-11-10 Samet Kalip Ve Maden Esya San. Ve Tic. A.S. Möbelscharnier mit einem Dämpfer
AT517377B1 (de) * 2015-06-18 2017-09-15 Blum Gmbh Julius Möbelscharnier
US9703327B2 (en) * 2015-06-27 2017-07-11 Intel Corporation Fastenerless hinge which enables thin form factor low cost design
US10344517B2 (en) 2015-10-15 2019-07-09 Hardware Resources, Inc. Soft close device for compact hinges
CN105350849B (zh) * 2015-11-24 2017-03-08 中山市晟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家具铰链活动座内阻尼器的安装结构
CN105350850B (zh) * 2015-11-24 2017-03-08 中山市晟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家具铰链活动座内阻尼器的安装结构
US10145162B2 (en) 2016-03-02 2018-12-04 King Slide Works Co., Ltd. Damping device and furniture hinge comprising the same
US10030427B2 (en) 2016-06-23 2018-07-24 Hardware Resources, Inc. Compact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874049B1 (en) 2016-08-11 2018-01-23 Hardware Resources, Inc. Compact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7013118B (zh) * 2017-05-25 2018-10-26 佛山市天斯五金有限公司 具有缓冲功能的门铰链
TWI625454B (zh) 2017-06-08 2018-06-0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鉸鏈
IT201700089307A1 (it) * 2017-08-03 2019-02-03 Salice Arturo Spa Cerniera con dispositivo di apertura per mobili.
KR102000902B1 (ko) 2019-01-10 2019-07-17 김경자 경첩 장치
US11242706B2 (en) * 2019-07-30 2022-02-08 Grass America Inc. Removable damping mechanism and cabinet hinge assembly including same
AT523302B1 (de) 2019-12-19 2023-05-15 Blum Gmbh Julius Anordnung mit einem Möbelscharnier und einer Abdeckung
USD932279S1 (en) * 2020-01-17 2021-10-05 Julius Blum Gmbh Furniture hinge
IT202200005594A1 (it) * 2022-03-23 2023-09-23 Salice Arturo Spa Cerniera decelerata per mobili e metodo per assemblare un dispositivo di decelerazione in una cerniera per mobili
CN115341818A (zh) * 2022-08-29 2022-11-15 肇庆市高要区俊誉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合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493A (en) * 1993-08-26 1995-02-28 Youngdale; Louis L. Pocket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6499B (ko) 1900-03-26 1902-01-10 Rudolf Alber
AT9077B (de) 1900-12-18 1902-09-10 Charles Stodart Mc Connan Aufwickelvorrichtung für Gespinstfaser, Garne und dergl.
IT955800B (it) * 1972-05-24 1973-09-29 Salice A Spa Cerniera articolata non in vista per mobili con chiusura a scatto
AT349931B (de) 1975-07-02 1979-05-10 Grass Alfred Metallwaren tuer- oder moebelscharnier mit einer schliess- druckvorrichtung und daempfungseinrichtung
AT382198B (de) * 1981-09-14 1987-01-26 Lautenschlaeger Kg Karl Schnaepperscharnier
US5269043A (en) * 1992-07-23 1993-12-14 Yang Ming Hua Pneumatic hinge
DE9210092U1 (ko) 1992-07-28 1992-09-24 Yang, Ming-Hua, Hsinchuang, Taipei, Tw
US5524323A (en) * 1994-12-28 1996-06-11 Lin; John C. L. Hinge structure
AT410118B (de) 2000-10-19 2003-02-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DE20115250U1 (de) * 2001-07-06 2002-11-14 Lautenschlaeger Mepla Werke Dämpfungsvorrichtung
DE10211294B4 (de) 2002-03-14 2013-10-17 Grass Gmbh Möbelbeschlag mit Brems-und Dämpfungsvorrichtung
DE10254375C1 (de) * 2002-04-30 2003-11-13 Zimmer Guenther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Schwenkbewegungen
DE10227078B4 (de) 2002-06-17 2004-05-27 Zimmer, Günther Stephan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Schwenkbewegungen
AT6499U1 (de) 2002-08-29 2003-11-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mit einem scharnierarm
TW589434B (en) 2002-11-13 2004-06-01 Salice Arturo Spa Hinge
US6807713B2 (en) * 2002-12-06 2004-10-26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Hinge for mounting a door on a frame of an article of furniture
TW200500545A (en) 2003-04-14 2005-01-01 Salice Arturo Spa Spiral-action damper
AT502613B1 (de) * 2003-04-15 2007-08-15 Blum Gmbh Julius Dämpfer mit gehäuse
AT502611B1 (de) * 2003-05-16 2007-09-15 Blum Gmbh Julius Scharnier
DE10333925B4 (de) * 2003-07-24 2007-03-22 Grass Gmbh Möbelscharnier mit Öffnungsautomatik, insbesondere für Möbeltüren
CN2695572Y (zh) * 2004-04-29 2005-04-27 林新达 一种改良的液压铰链
CN2713099Y (zh) * 2004-05-18 2005-07-27 陈明开 一种带有缓冲结构的铰链
ITRM20040179U1 (it) * 2004-11-12 2005-02-12 Salice Arturo Spa Cerniera per mobile con dispositivo di smorzamento.
DE202004016396U1 (de) 2004-10-21 2005-01-05 Julius Blum Gmbh Dämpferanordnung
EP1815096B1 (de) * 2004-11-22 2014-01-08 Julius Blum GmbH Scharnier mit dämpfer
SI21971A (sl) * 2005-02-18 2006-08-31 Lama D.D. Dekani Oplemeniteni pohistveni sarnir
AT502486B1 (de) 2005-09-01 2007-04-15 Blum Gmbh Julius Anordnung mit einem scharnier, insbesondere möbelscharnier
AT502487B1 (de) 2005-10-06 2007-04-15 Blum Gmbh Julius Dämpferanordnung
ITRM20060081U1 (it) * 2006-05-11 2007-11-12 Salice Arturo Spa Cerniera per mobile con dispositivo di smorzamento
DE102006047315A1 (de) * 2006-10-06 2008-04-10 Lautenschläger, Horst Möbelscharnier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ITMI20061999A1 (it) * 2006-10-18 2008-04-19 Agostino Ferrari Spa Cerniera per mobilio provvista di ammortizzatore ed ammortizzatore per cerniera
WO2008104009A1 (de) * 2007-03-01 2008-09-04 Julius Blum Gmbh Möbelscharnier
DE102007047287A1 (de) 2007-05-03 2008-11-13 Lautenschläger, Horst Möbelscharnier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DE102007031175B3 (de) 2007-07-04 2008-10-09 Zimmer, Günther Beschlag mit relativ zueinander schwenkbaren Beschlagteilen und mit einer Verzögerungseinrichtung
SI2235310T2 (sl) 2008-01-22 2023-01-31 Grass America, Inc. Blažilni mehanizem za pohištveni šarnirski sestav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493A (en) * 1993-08-26 1995-02-28 Youngdale; Louis L. Pocket hing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369A (ko) * 2012-02-16 2014-09-26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가구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1611B1 (de) 2016-01-06
KR101685719B1 (ko) 2016-12-12
CN104234570A (zh) 2014-12-24
US20130139352A1 (en) 2013-06-06
AT508068A1 (de) 2010-10-15
EP2796650A1 (de) 2014-10-29
EP2796650B1 (de) 2016-06-01
CN104234570B (zh) 2017-04-12
CN104234569A (zh) 2014-12-24
CN104234569B (zh) 2016-08-03
EP2411611A1 (de) 2012-02-01
AU2010228096B2 (en) 2015-04-30
US8661620B2 (en) 2014-03-04
US8572810B2 (en) 2013-11-05
AU2010228096A1 (en) 2011-10-13
AT508068B1 (de) 2016-11-15
JP2012521499A (ja) 2012-09-13
CN102325953A (zh) 2012-01-18
WO2010108201A1 (de) 2010-09-30
US20130139353A1 (en) 2013-06-06
CN102325953B (zh) 2014-06-18
CN104120938A (zh) 2014-10-29
CN104120938B (zh) 2016-06-08
SI2796650T1 (sl) 2016-10-28
RU2011142985A (ru) 2013-04-27
SI2411611T1 (sl) 2016-04-29
CN104120937B (zh) 2016-05-11
USRE46089E1 (en) 2016-08-02
JP5607717B2 (ja) 2014-10-15
RU2528359C2 (ru) 2014-09-10
US20130139354A1 (en) 2013-06-06
CN104120937A (zh) 2014-10-29
US8667647B2 (en) 2014-03-11
US8387213B2 (en) 2013-03-05
US20110291538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0223A (ko) 가구용 힌지
JP5607718B2 (ja) 家具ヒンジ
US8857014B2 (en)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KR101693409B1 (ko) 가구가동부용 댐핑장치
US11248406B2 (en) Flap fitting for a piece of furniture, side wall of a body of a piece of furniture and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a side wall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US9021656B2 (en) Furniture damper
US20140150212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ITMI20072169A1 (it) "gruppo ammortizzatore per cerniere di mobili"
CN106617811B (zh) 用于缓冲可动的家具部件的打开运动的缓冲装置
CN109715900B (zh) 阻尼器装置
US20220018174A1 (en) Furniture hinge for upward-opening cabinet doors
EP2278104A1 (en) Snap hinge with damper and fixing plate for snap hinge
KR200445152Y1 (ko) 가구용 힌지
US11041336B2 (en) Hinge
KR101283167B1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KR20060091846A (ko) 도어개폐용 댐핑장치
ITMI20081049A1 (it) Dispositivo ammortizzante per cerniere di elementi di arred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