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21A - 2 제성 의약용 용기 - Google Patents

2 제성 의약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21A
KR20120008021A KR20117019639A KR20117019639A KR20120008021A KR 20120008021 A KR20120008021 A KR 20120008021A KR 20117019639 A KR20117019639 A KR 20117019639A KR 20117019639 A KR20117019639 A KR 20117019639A KR 20120008021 A KR20120008021 A KR 2012000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nozzle cap
cap
contai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오츠카
다카시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한신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한신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점안 등을 실시할 때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노즐 캡과 용기 본체가 느슨해지지 않고, 캡을 떼어낼 수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 본체 (1) 의 노즐부 (12) 외면에, 상단 외래칫 톱니 (16) 를 형성한 소직경 환상부 (14) 와 하단 외래칫 톱니 (17) 을 형성한 대직경 환상부 (15) 를 형성하고, 동체부 (22) 와 봉함용 링부 (23) 가 파단 가능하게 연결된 노즐 캡 (2) 에 있어서, 동체부 (22) 와 봉함용 링부 (23) 의 내면에 상단 내래칫 톱니 (28) 와 하단 내래칫 톱니 (29) 를 형성하여, 사용 전의 폐전 상태에서는, 하단의 내외 래칫 톱니 (17, 29) 만이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봉함용 링부 (23) 를 갖지 않는 노즐 캡 (2) 으로 폐전한 상태에서는, 상단의 내외 래칫 톱니 (16 ,28)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2 제성 의약용 용기{CONTAINER FOR TWO-COMPONENT MEDICAMENT}
본 발명은 제 1 성분이 들어간 용기 본체를 사용시에 개전 (開栓) 하여 제 2 성분을 첨가한 후, 다시 폐전 (閉栓) 하여 점안 등에 사용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한 오개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 캡과 용기 본체에 래칫 (ratchet) 기구를 형성하여 개전 방향으로의 노즐 캡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도록 한 2 제성 의약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 1 성분이 들어있는 용기 본체를 사용시에 개전하여 제 2 성분을 첨가한 후, 다시 폐전하여 점안 등에 사용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로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에 노즐 캡이 나선 장착되고, 그 노즐 캡의 헤드부에 약제 추출구를 형성하고, 그 헤드부를 캡으로 나선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57610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2 제성 의약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노즐 캡, 노즐 캡과 캡의 나선 결합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노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 본체로부터 노즐 캡을 떼어내어 제 2 성분을 첨가하고, 이어서 노즐 캡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 본체를 폐전한 후,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노즐 캡으로부터 캡을 떼어내고 점안 등을 실시할 때에 노즐 캡도 동시에 개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있어, 느슨해진 용기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약제를 흘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부터, 용기 본체와 캡을 개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래칫 기구를 구비한 용기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용기의 네크부 종료단의 외측과 캡의 내측에 래칫 톱니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그래서, 점안 등을 실시할 때에 노즐 캡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래칫 기구를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용기는 1 제성의 의약용 용기에는 그대로 적용 가능하지만, 제 1 성분이 들어있는 용기 본체에 제 2 성분을 첨가하기 위해서 노즐 캡을 떼어내는 조작을 수반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용기 본체에 노즐 캡이 나선 장착되고, 그 노즐 캡의 헤드부에 약액 추출구를 형성하고, 그 헤드부를 캡으로 나선 장착한 2 제성 의약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와 노즐 캡은 2 제를 혼합할 때까지는 느슨해지지 않고, 혼합시에는 래칫부를 파단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고, 또한 혼합 후에 이들을 재차 폐전하면, 그 이후 이 부분은 용이하게 개전할 수 없기 때문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도 노즐 캡과 용기 본체가 느슨해지지 않고 폐전 상태가 유지되어 캡만을 떼어낼 수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제 1 성분이 충전되고, 노즐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수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암나사가 통체 내주면에 형성된 동체부와, 그 동체부의 내부와 연통하는 약액 추출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그 동체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파단 가능한 복수의 연결부를 개재하여 형성된 봉함용 링부를 갖는 노즐 캡과, 상기 노즐 캡의 헤드부를 덮도록 나선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노즐부의 하부에는, 그 노즐부의 수나사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소직경 환상부와, 그 소직경 환상부의 하방에 그 소직경 환상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대직경 환상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소직경 환상부의 외주면에는 상단 외래칫 톱니가, 그 대직경 환상부의 외주면에는 하단 외래칫 톱니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노즐 캡의 구성 부재 중, 동체부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단 내래칫 톱니가, 상기 봉함용 링부의 내주면에는 하단 내래칫 톱니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캡의 동체부의 암나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상단 외래칫 톱니는 걸어맞추어지지 않지만, 상기 하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하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노즐 캡의 연결부를 파단시켜 상기 봉함용 링부를 떼어낸 노즐 캡의 동체부의 암나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상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
〔2〕노즐 캡의 구성 부재 중, 동체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하향 돌편이, 봉함용 링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향 돌편보다 둘레 방향 폐전측에 상향 돌편이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향 돌편의 앞쪽 하단이 상기 상향 돌편의 뒷쪽 상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1〕에 기재된 2 제성 의약용 용기,
〔3〕점안용, 점이용 및 점비용 중 어느 것에 사용되는 상기〔1〕또는〔2〕에 기재된 2 제성 의약용 용기.
〔4〕상기〔1〕∼〔3〕중 어느 것에 기재된 2 제성 의약용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노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연결부를 파단시키고, 용기 본체로부터 봉함용 링부를 갖지 않는 노즐 캡과 봉함용 링부를 떼어내고, 이어서 용기 본체에 제 2 성분을 첨가하고 상기 노즐 캡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를 폐전하고, 계속해서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노즐 캡으로부터 캡을 떼어내어, 약액 추출구로부터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함유하는 약액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2 제성 의약용 용기에 의하면, 사용 전에는 하단 내래칫 톱니와 하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와 노즐 캡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 2 성분의 첨가시에 노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면, 하단 내래칫 톱니와 하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면서 연결부가 파단되기 때문에, 노즐 캡을 떼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로부터 봉함용 링부를 떼어내고 제 1 성분이 들어있는 용기 본체에 제 2 성분을 첨가한 후, 상기 연결부의 파단에 의해 봉함용 링부를 갖지 않는 노즐 캡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를 폐전하고, 이어서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면, 상단 내래칫 톱니와 상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캡과 용기 본체의 폐전 상태가 유지되고 캡만을 떼어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2 제성 의약용 용기에 대해, 캡을 도시 생략하고 노즐 캡을 부분적으로 잘라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a) 는 도 1 의 용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b) 는 도 1 의 용기 본체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a) 는 도 1 의 노즐 캡의 정면 반단면도이다. (b) 는 (a) 의 노즐 캡을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노즐 캡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a) 는 도 1 의 용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b) 는 (a)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a) 는 연결부를 파단시켜 봉함용 링부를 떼어낸 노즐 캡으로 용기 본체를 폐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b) 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2 제성 의약용 용기는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합성 수지제인 용기 본체 (1), 노즐 캡 (2) 및 캡 (3) 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점안용, 점이용, 점비용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기 본체 (1)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을 이루는 동체부 (11) 에 제 1 성분 (도시 생략) 이 충전되어 있고, 동체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연이어 형성된 노즐부 (12) 를 갖는다. 노즐부 (12) 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13) 가 형성되고, 노즐부 (12) 의 하부에는 수나사 (13) 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소직경 환상부 (14) 와, 소직경 환상부 (14) 의 하방에 소직경 환상부 (14) 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대직경 환상부 (15) 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 환상부 (14) 의 외주면에는 상단 외래칫 톱니 (16) 가, 대직경 환상부 (15) 의 외주면에는 하단 외래칫 톱니 (17)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단 외래칫 톱니 (16) 를 구성하는 각 톱니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5 개의 톱니가 등피치로 연이어 형성된 2 개의 톱니군 (16) 이 소직경 환상부 (14) 의 외주면 상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됨과 함께, 이들 톱니군 (16) 에 대해 외주면 상에서 대략 90 도 어긋난 위치에 1 개의 톱니 (16) 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하단 외래칫 톱니 (17) 를 구성하는 각 톱니는 톱니 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 개의 톱니 (17) 가 대직경 환상부 (15) 의 외주면 상에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캡 (2) 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 방향으로 헤드부 (21), 동체부 (22), 봉함용 링부 (23) 가 일체 성형된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동체부 (22) 는 길이가 짧은 내통 (24) 과 그 외측에 길이가 긴 외통 (25) 을 갖고, 외통 (25) 의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 (26) 이, 외통 (25) 의 내주면에 노즐부 (12) 의 수나사 (13) 와 나선 결합하는 암나사 (27)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통 (25) 의 내주면의 하부에는 상단 내래칫 톱니 (28) 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 내래칫 톱니 (28) 를 구성하는 각 톱니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통 (25) 의 내주면 상에 등피치로, 그 내주면을 주회 (周回) 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다.
봉함용 링부 (23) 는 외통 (25) 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그 내주면에는 하단 내래칫 톱니 (29) 가 형성되어 있다. 봉함용 링부 (23) 는, 동체부 (22) 의 하단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파단 가능한 연결부 (41) 와 상단 가장자리에서 연결됨으로써, 동체부 (22) 와 연결되어 있다 (도 3 참조).
하단 내래칫 톱니 (29) 를 구성하는 각 톱니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6 개의 톱니가 등피치로 연이어 형성된 4 개의 톱니군 (29) 이 봉함용 링부 (23) 의 내주면 상에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 (2) 의 구성 부재 중, 동체부 (22) 의 하단 가장자리에 하향 돌편 (42) 이, 봉함용 링부 (23) 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편 (42) 보다 둘레 방향 폐전측 (도 4 에서는 하향 돌편 (42) 보다 좌측) 에 상향 돌편 (43) 이 동일 원주 상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향 돌편 (42) 의 앞쪽 하단이 상향 돌편 (43) 의 뒷쪽 상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부 (21) 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 (21a) 가 형성되고, 정상부에는 동체부 (22) 의 내부와 연통하는 약액 추출구 (2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캡 (3) 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벽 (31) 과 정상벽 (3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져 형성되고 내주면에 헤드부 (21) 의 수나사 (21a) 와 나선 결합하는 암나사 (32) 가 형성된 통부 (33)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는, 용기 본체 (1) 의 수나사 (13) 와 노즐 캡 (2) 의 암나사 (27) 가, 노즐 캡 (2) 의 헤드부 (21) 의 수나사 (21a) 와 캡 (3) 의 암나사 (32) 가 각각 나선 결합되어, 용기 본체 (1), 노즐 캡 (2) 및 캡 (3) 이 나선 장착되어 있다 (도 5 참조).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 (2) 의 동체부 (22) 의 암나사 (27) 를 용기 본체 (1) 의 수나사 (13) 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 (1) 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단 내래칫 톱니 (28) 와 상단 외래칫 톱니 (16) 는 걸어맞추어지지 않지만, 하단 내래칫 톱니 (29) 와 하단 외래칫 톱니 (17)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 (도 5(b) 의 화살표 방향) 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전에 용기 본체 (1) 와 노즐 캡 (2) 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 (2) 의 연결부 (41) 를 파단시켜 용기 본체 (1) 로부터 봉함용 링부 (23) 를 떼어내고, 봉함용 링부 (23) 를 갖지 않는 노즐 캡 (2) 의 동체부 (22) 의 암나사 (27) 를 용기 본체 (1) 의 수나사 (13) 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 (1) 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단 내래칫 톱니 (28) 와 상단 외래칫 톱니 (16)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 (도 6(b) 의 화살표 방향) 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캡 (3) 을 개전 방향 (상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노즐 캡 (2) 과 용기 본체 (1) 의 폐전 상태가 유지되고 캡 (3) 만을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노즐 캡 (2) 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 (1) 로부터 노즐 캡 (2) 를 떼어내고 (제 1 단계), 이어서 용기 본체 (1) 에 제 2 성분 (도시 생략) 을 첨가하고 재차 노즐 캡 (2) 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 (1) 를 폐전하고 (제 2 단계), 계속해서 캡 (3) 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노즐 캡 (2) 으로부터 캡 (3) 을 떼어내어, 약액 추출구 (21b) 로부터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함유하는 약액을 토출시키도록 한다 (제 3 단계).
제 1 단계에서는, 노즐 캡 (2) 을 개전 방향 (도 5(b) 의 화살표 방향) 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면, 하단 내래칫 톱니 (29) 와 하단 외래칫 톱니 (17)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그 힘에 저항하여 노즐 캡 (2) 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면, 연결부 (41) 가 쉽게 파단되어 용기 본체 (1) 로부터 노즐 캡 (2) 을 떼어낼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에서 연결부 (41) 의 파단에 의해 노즐 캡 (2) 과는 별체로 된 봉함용 링부 (23) 를 용기 본체 (1) 로부터 떼어낸 후, 봉함용 링부 (23) 를 갖지 않는 노즐 캡 (2) 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 (1) 를 폐전한다.
제 3 단계에서는, 캡 (3) 을 개전 방향 (상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면, 상단 내래칫 톱니 (28) 와 상단 외래칫 톱니 (16)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 (도 6(b) 의 화살표 방향) 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캡 (3) 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해도 노즐 캡 (2) 과 용기 본체 (1) 의 폐전 상태가 유지되고, 캡 (3) 만을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를 제조할 때에는, 용기 본체 (1) 의 동체부 (11) 에 제 1 성분을 충전한 후, 노즐 캡 (2) 의 동체부 (22) 의 암나사 (27) 를 용기 본체 (1) 의 수나사 (13) 에 나선 결합시키고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노즐 캡 (2) 을 용기 본체 (1) 에 나사 장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에서는, 봉함용 링부 (23) 가 도 5(a) 에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 운동하여 하단 내래칫 톱니 (29) 와 하단 외래칫 톱니 (17) 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 회전 운동 조작이 종료되는데, 더욱 회전 운동 조작을 계속하면 동체부 (22) 가 지나치게 회전 운동하여 연결부 (41) 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향 돌편 (42) 의 전단이 상향 돌편 (43) 의 후단에 맞닿음으로써 동체부 (22) 의 과도한 회전 운동을 규제하고, 적절한 회전 운동 조작이 실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2 제성 의약용 용기의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사용 전의 폐전 상태에서는, 하단의 내외 래칫 톱니 (17 ,29) 만이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봉함용 링부 (23) 를 갖지 않는 노즐 캡 (2) 으로 폐전한 상태에서는, 상단의 내외 래칫 톱니 (16 ,28) 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상하단 및 내외의 래칫 톱니의 형상, 치수, 피치, 높이 등의 위치 관계 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사용 전에 용기 본체와 노즐 캡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또한 점안 등을 실시할 때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노즐 캡과 용기 본체가 느슨해지지 않고 폐전 상태가 유지되고, 캡만을 떼어낼 수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로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 용기 본체
2 : 노즐 캡
3 : 캡
12 : 노즐부
13 : 수나사
14 : 소직경 환상부
15 : 대직경 환상부
16 : 상단 외래칫 톱니
17 : 하단 외래칫 톱니
21 : 헤드부
21b : 약액 추출구
22 : 동체부
23 : 봉함용 링부
25 : 외통
27 : 암나사
28 : 상단 내래칫 톱니
29 : 하단 내래칫 톱니
41 : 연결부
42 : 하향 돌편
43 : 상향 돌편

Claims (4)

  1. 제 1 성분이 충전되고, 노즐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수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암나사가 통체 내주면에 형성된 동체부와, 그 동체부의 내부와 연통하는 약액 추출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그 동체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파단 가능한 복수의 연결부를 개재하여 형성된 봉함용 링부를 갖는 노즐 캡과, 상기 노즐 캡의 헤드부를 덮도록 나선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노즐부의 하부에는, 그 노즐부의 수나사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소직경 환상부와, 그 소직경 환상부의 하방에 그 소직경 환상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대직경 환상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소직경 환상부의 외주면에는 상단 외래칫 톱니가, 그 대직경 환상부의 외주면에는 하단 외래칫 톱니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노즐 캡의 구성 부재 중, 동체부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단 내래칫 톱니가, 상기 봉함용 링부의 내주면에는 하단 내래칫 톱니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캡의 동체부의 암나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상단 외래칫 톱니는 걸어맞추어지지 않지만, 상기 하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하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노즐 캡의 연결부를 파단시켜 용기 본체로부터 봉함용 링부를 떼어내고, 상기 봉함용 링부를 갖지 않는 노즐 캡의 동체부의 암나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를 폐전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폐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단 내래칫 톱니와 상기 상단 외래칫 톱니가 걸어맞추어져 개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 캡의 구성 부재 중, 동체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하향 돌편이, 봉함용 링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향 돌편보다 둘레 방향 폐전측에 상향 돌편이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향 돌편의 앞쪽 하단이 상기 상향 돌편의 뒷쪽 상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2 제성 의약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안용, 점이용 및 점비용 중 어느 것에 사용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제성 의약용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노즐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연결부를 파단시키고, 용기 본체로부터 봉함용 링부를 갖지 않는 노즐 캡과 봉함용 링부를 떼어내고, 이어서 용기 본체에 제 2 성분을 첨가하고 상기 노즐 캡을 폐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용기 본체를 폐전하고, 계속해서 캡을 개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노즐 캡으로부터 캡을 떼어내고, 약액 추출구로부터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함유하는 약액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2 제성 의약용 용기의 사용 방법.
KR20117019639A 2009-04-02 2010-04-01 2 제성 의약용 용기 KR20120008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0182 2009-04-02
JP2009090182 2009-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21A true KR20120008021A (ko) 2012-01-25

Family

ID=4282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9639A KR20120008021A (ko) 2009-04-02 2010-04-01 2 제성 의약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18318A1 (ko)
EP (1) EP2415686A4 (ko)
JP (1) JPWO2010114100A1 (ko)
KR (1) KR20120008021A (ko)
CN (1) CN102378723A (ko)
CA (1) CA2757299A1 (ko)
TW (1) TW201102057A (ko)
WO (1) WO20101141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36A (ko) 2014-07-10 2016-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와이어 위치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012B2 (en) 2011-04-20 2017-03-28 Taisei Kako Co., Ltd. Barrel with cap, pre-filled syringe, and cap with connector
JP5961968B2 (ja) * 2011-09-29 2016-08-03 凸版印刷株式会社 二重キャップ付き口栓およびパウチ
EP2828176A1 (en) * 2012-03-22 2015-01-28 Aptar Freyung GmbH Container with a dispensing closure and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JP5933314B2 (ja) * 2012-03-30 2016-06-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混合容器用キャップ
JP6076060B2 (ja) * 2012-12-03 2017-02-08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容器
CN103264805A (zh) * 2013-04-24 2013-08-28 苏州市锦新医用塑料容器厂 一种瓶子
FR3035647B1 (fr) * 2015-04-28 2019-08-02 Nemer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fermeture d'un recipient par vissage, securise par un ergot escamotable.
EP3323448A1 (en) 2016-11-18 2018-05-23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0759554B2 (en) * 2017-02-02 2020-09-01 Rai Strategic Holdings, Inc. Dispenser unit for aerosol precursor
CN207595608U (zh) * 2017-06-22 2018-07-10 柏美远东有限公司 螺纹接合机构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3202Y2 (ko) * 1979-06-22 1982-11-18
FR2597072B1 (fr) * 1986-04-09 1988-12-16 Bouchons Plastiques Embout de recipient assurant l'impossibilite de remplissage apres epuisement de la charge initiale
US5257724A (en) * 1992-02-24 1993-11-02 Afa Products Inc. Tamper evident trigger sprayer bottle cap/bottle neck assembly
US5360127A (en) 1994-02-17 1994-11-01 Calmar Inc. Non-removable container closure
JPH07330000A (ja) * 1994-06-06 1995-12-19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キャップの戻り回転防止機構
CN2341904Y (zh) * 1998-07-17 1999-10-06 李方立 便携防伪多用饮料瓶
JP4588149B2 (ja) * 2000-02-01 2010-11-24 大成化工株式会社 キャップ型結合封止具と容器との組合せ体
JP2002154563A (ja) * 2000-11-17 2002-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キャップと注出口の組合体
JP2003292009A (ja) * 2002-03-29 2003-10-15 Hanshin Kasei Kogyo Kk 容器の蓋構造
JP4340044B2 (ja) * 2002-06-14 2009-10-07 大成化工株式会社 用時混合容器セット
US6814265B2 (en) * 2003-03-06 2004-11-09 Alcon, Inc. Device for dispensing fluid medic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36A (ko) 2014-07-10 2016-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와이어 위치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14100A1 (ja) 2012-10-11
CA2757299A1 (en) 2010-10-07
TW201102057A (en) 2011-01-16
CN102378723A (zh) 2012-03-14
US20120018318A1 (en) 2012-01-26
EP2415686A4 (en) 2012-08-15
EP2415686A1 (en) 2012-02-08
WO2010114100A1 (ja)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8021A (ko) 2 제성 의약용 용기
JP5230445B2 (ja) 密閉手段
JP5385157B2 (ja) プラスティック製アンプル
JP2013544719A (ja) 側面加圧式安全キャップ
JP6402946B2 (ja) 計量キャップ
JP5560395B2 (ja) 中栓付き容器
JP5483435B2 (ja) 中栓
WO2019087515A1 (ja) 二重容器
WO2011027486A1 (ja) 締結部材
JP2021187514A (ja) 抜栓キャップおよび当該抜栓キャップの中栓
JP7332306B2 (ja) 抜栓キャップ
JP6971172B2 (ja) 注出容器
WO2018040275A1 (zh) 双管混合搅拌出料笔
JP2007252759A (ja) 点眼薬容器
JP2001278323A (ja) チューブ容器
CN209038166U (zh) 一种子母瓶
JP6416004B2 (ja) 粉体投与容器
JP5193726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2021116105A (ja) 注出口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CN207737841U (zh) 一种瓶口配瓶盖防倒转、瓶体内液体少残留的容液瓶
JP6063655B2 (ja) 二重容器
JP6349661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7439533B2 (ja) 注出口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JP7224962B2 (ja) 抜栓キャップ
CN219155219U (zh) 一种组合瓶盖内外上盖的防分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