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535U -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535U
KR20120005535U KR2020110000673U KR20110000673U KR20120005535U KR 20120005535 U KR20120005535 U KR 20120005535U KR 2020110000673 U KR2020110000673 U KR 2020110000673U KR 20110000673 U KR20110000673 U KR 20110000673U KR 20120005535 U KR20120005535 U KR 201200055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ont plate
hole
protrusion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447Y1 (ko
Inventor
박일국
Original Assignee
(주)부일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일금고 filed Critical (주)부일금고
Priority to KR202011000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4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4Hinges for saf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4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고의 금고본체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를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본체에 설치되는 고정힌지와 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힌지의 일측방에 돌출부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가 설치되는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는 각각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며, 각각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보강지지대를 구비한 뒤에,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 형성된 삽입구멍과 그 내측의 보강지지대의 관통구멍으로 관통되게 삽입시키며, 각각의 돌출부와 보강지지대를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 내부에서 용접을 결합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스폿용접방식으로 힌지부를 설치하는 것보다 제작공정이 단축되면서 양질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금고본체(10) 전방의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힌지(30)를 설치하고, 이 금고본체(10)의 개구된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20)에 상기 고정힌지(30)와 힌지핀(2)으로 설치되는 가동힌지(40)를 설치된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30)는 힌지핀(2)이 끼워질 원통관 형태의 몸체 후방에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과 전면판(18)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14a)를 관통하는 돌출부(32)와, 전면판(18)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30)가 설치될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는 돌출부(32)가 삽입될 삽입구멍(17)이 형성되며,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 배면에는 삽입구멍(17)을 관통하는 돌출부(32)가 관통되는 관통구멍(15)을 형성한 보강지지대(14a)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힌지(30)의 돌출부(32)는 전면판(18)의 삽입구멍(17)과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32)와 관통구멍(1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동힌지(40)는 힌지핀(2)이 끼워지는 몸체의 타측에 전면판(21)과 전면판(21)의 내부에 설치될 보강지지대(24a)를 관통하는 돌출부(42)와, 전면판(21)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4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면판(21)에는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삽입될 삽입구멍(27)이 형성되며, 전면판(21)의 배면에는 삽입구멍(27)을 관통한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관통될 관통구멍(25)이 형성된 보강지지대(24a)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는 전면판(21)의 삽입구멍(27)과 보강지지대(24a)의 관통구멍(2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42)와 관통구멍(2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Hinge mounting structure of safe}
본 고안은 금고의 금고본체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를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본체에 설치되는 고정힌지와 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힌지의 일측방에 돌출부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가 설치되는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는 각각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며, 각각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보강지지대를 구비한 뒤에,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 형성된 삽입구멍과 그 내측의 보강지지대의 관통구멍으로 관통되게 삽입시키며, 각각의 돌출부와 보강지지대를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 내부에서 용접을 결합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스폿용접방식으로 힌지부를 설치하는 것보다 제작공정이 단축되면서 양질의 (금고)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1)에는 전방에 도어(20)가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금고본체(10)의 전방 일측에 고정힌지(30)가 설치되고 도어(20)에는 고정힌지(30)와 힌지핀(2)에 의해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가동힌지(40)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힌지부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고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삽입절개부(13)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삽입절개부(13)에 대응하는 본체외부판(11)의 내부에는 보강지지대(14)가 상하방향으로 스폿용접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그 삽입절개부(13)에는 선단부가 원형관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에 연장부(31)가 연장되게 형성된 고정힌지(30)의 연장부(31)가 삽입 설치된다.
이렇게 삽입절개부(13)를 통하여 금고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장부(31)가 보강지지대(14)와 용접으로 결합되어 금고본체(10)의 일측 전방에 고정힌지(3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20)에는 상기 고정힌지(30)와 힌지핀(2)에 의해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가동힌지(40)가 설치되는데, 이 가동힌지(40)는 고정힌지(30)와 힌지핀(2)에 의해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원통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도어(20)의 전면판(21)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장부(41)가 형성되며, 도어(20)의 전면판(21)에는 연장부(41)가 삽입될 삽입절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절개부(23)가 형성된 전면판(2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절개부(23)와 대응하는 결합구멍을 형성한 보강지지대(24)가 추후에 작업할 스폿용접에 의해 전면판(21)의 내부면에 고정되게 되며, 삽입절개부(23)와 보강지지대(24)의 결합구멍으로 삽입되는 가동힌지(40)의 연장부(41)는 보강지지대(24)와 함께 도어(20)에 스폿용접으로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고정힌지(30)와 가동힌지(40)를 금고본체(10)와 도어(20)에 각각 설치할 때, 각기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금고본체(10)의 내부면과 도어(20)의 내부면에 각각의 보강지지대(14,24)가 스폿용접에 의해 결합 설치되는데, 금속판을 스폿용접으로 결합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폿용접부(3)가 움푹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스폿용접을 하고 난 뒤에는 움푹 파인 스폿용접부(3)에 퍼티(5)를 발라서 움푹 파인홈을 메운 뒤에 외부면이 평탄해지도록 연마작업을 하며, 연마작업을 마친 도어(20)와 금고본체(10)의 외부면에 도색작업을 하여 도장층(6)을 형성하게 되므로 금고 제작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와, 화학제품인 퍼티(pate:빠데라고도 칭함)를 도포하고, 그것이 굳은 뒤에 연마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환경이 좋지 못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힌지(30)와 가동힌지(40)를 각각 설치하고 난 뒤에는 도어(20)의 전면판(21) 후방에 후면판(22)을 설치하고, 금고본체(10)의 본체외부판(11) 내부에 본체내부판(12)을 설치하여 각각이 내화몰탈이 채워질 공간부를 형성한 뒤에 그 각각의 공간부에 내화몰탈(4)를 채워 넣고 그 내화몰탈(4)을 응고시키게 된다.
상기 내화몰탈(4)이 응고되게 되면, 내화몰탈(4)의 주입상태에 따라 금고본체와 도어가 부분적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금고본체(10)와 도어(20)가 비틀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타격하는 등의 외력을 가해서 비틀어진 것을 바로잡는 수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수정작업을 수행할 때, 종래고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고본체(10)의 내면과 도어(20)의 내면에 상하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의 보강지지대(14,24)가 용접에 고정 결합되어서 뒤틀린 금고를 바로잡는 수정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일측방에 돌출부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가 설치되는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는 각각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며, 각각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보강지지대를 구비한 뒤에, 각각의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금고본체와 도어의 전면판에 형성된 삽입구멍과 그 내측의 보강지지대의 관통구멍으로 관통되게 삽입시키며, 각각의 돌출부와 보강지지대를 금고본체와 도어의 내부에서 용접을 결합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스폿용접방식으로 힌지부를 설치하는 것보다 제작공정이 단축되면서 양질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금고본체 전방의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힌지를 설치하고, 이 금고본체의 개구된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에 상기 고정힌지와 힌지핀으로 설치되는 가동힌지를 설치된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는 힌지핀이 끼워질 원통관 형태의 몸체 후방에 금고본체의 전면판과 전면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를 관통하는 돌출부와, 전면판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가 설치될 금고본체의 전면판에는 돌출부가 삽입될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금고본체의 전면판 배면에는 삽입구멍을 관통하는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보강지지대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힌지의 돌출부는 전면판의 삽입구멍과 보강지지대의 관통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와 관통구멍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동힌지는 힌지핀이 끼워지는 몸체의 타측에 전면판과 전면판의 내부에 설치될 보강지지대를 관통하는 돌출부와, 전면판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판에는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삽입될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전면판의 배면에는 삽입구멍을 관통한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관통될 관통구멍이 형성된 보강지지대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힌지의 돌출부는 전면판의 삽입구멍과 보강지지대의 관통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와 관통구멍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는,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금고본체와 도어의 내측으로 관통시킨 뒤에, 그 관통된 돌출부에 각기 보강지지대를 끼운 상태에서 금고본체와 도어의 내부에서 돌출부와 돌출부 주변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함에 따라 종래에 스폿용접으로 자국이 남게 되는 것과는 달리 용접자국이 남지 않아서 추후로 퍼티를 바르고 연마하는 등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게 되어 생산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힌지의 돌출부가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가동힌지의 돌출부가 "ㄱ"로 형성되어서 고정힌지와 가동힌지를 그에 해당하는 금고본체와 도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힌지와 가동힌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전면판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가 각각이 고정힌지와 가동힌지를 지지할 정도로 작게 형성되어서 금고제작을 완료한 뒤에 금고가 뒤틀리거나 부풀어 오른 부분을 수정할 때, 그 수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종래고안에서 금고를 형성하는 외부판의 내부에 보강지지대가 스폿용접으로 결합된 부분을 확대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가 결합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의 (가)(나)는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가동힌지와 고정힌지(30)가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금고본체(10) 전방의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힌지(30)를 설치하고, 이 금고본체(10)의 개구된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20)에 상기 고정힌지(30)와 대응되는 가동힌지(40)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금고본체(10)와 도어(20)로 이루어지는 금고(1)는 공지된 것으로서 금고본체(10)와 도어(20) 모두가 금속판으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제작 형성되고, 그 내측 공간부에 내화몰탈이 채워져 있다.
상기 고정힌지(30)는 힌지핀(2)이 끼워질 원통관 형태의 몸체 후방에 전면판(18)의 삽입구멍(17)과 전면판(18)의 배면에 설치될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으로 삽입되는 돌출부(32)와, 전면판(18)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2)는 몸체의 후방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돌출부(32)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7)과 관통구멍(15)도 상기 돌출부(32)에 대응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돌출부(32)가 양측에 간격을 둔 상태로 상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몸체의 후방 중간에 돌출부(32)를 형성하고 돌출부(32)의 상하부나 또는 돌출부(32)의 상하부 중의 어느 한 곳에 지지부(33)를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고정힌지(30)가 설치될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는 돌출부(32)가 삽입될 삽입구멍(17)이 형성되며,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 내부에는 삽입구멍(17)을 관통한 돌출부(32)가 관통되는 관통구멍(15)을 형성한 보강지지대(14a)가 설치되고, 이 보강지지대(14a)의 전면에는 보강지지대(14a)를 전면판(18)의 배면에 용접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힌지(30)의 돌출부(32)는 전면판(18)의 삽입구멍(17)과 전면판(18)의 내부에서 삽입구멍(17)이 형성된 전면판(18)의 배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32)와 관통구멍(1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결합구멍(16) 주변과 그 결합구멍(16)에 대면하는 전면판(18)의 배면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15)이 돌출부(32) 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출부(32)와 관통구멍(15)의 주변을 용접할 때, 용접 쇳물이 돌출부(32)가 관통된 전면판(18)의 배면에 함께 융착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힌지(40)는 힌지핀(2)이 끼워지는 몸체의 타측에 전면판(21)의 삽입구멍(27)으로 삽입되는 돌출부(42)와, 전면판(21)에 지지되는 지지부(4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전면판(21)에는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삽입될 삽입구멍(27)이 형성되고, 전면판(21)의 배면에는 삽입구멍(27)을 관통한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관통될 관통구멍(25)을 형성한 보강지지대(24a)를 전면판(21)의 배면에 용접으로 결합하되, 보강지지대(24a)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보강지지대(24a)를 전면판(21)의 배면에 용접으로 설치할 결합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는 전면판(21)의 삽입구멍(27)과 전면판(21)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4a)의 관통구멍(2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42)와 관통구멍(2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결합구멍(26) 주변과 그 결합구멍(26)에 대면하는 전면판(21)의 배면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25)이 돌출부(42) 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출부(42)와 관통구멍(25)의 주변을 용접할 때, 용접 쇳물이 돌출부(42)가 관통된 전면판(21)의 배면에 함께 융착 결합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7"은 용접부이고, "3a"는 스폿용접에 의해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전면판(21)과 본체외부판(11)에 형성되는 스폿용접자국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힌지(30)를 금고본체(10)의 전방에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고정힌지(30)의 후방 양측에 돌출된 돌출부(32)를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 형성된 삽입구멍(17)으로 삽입시키면 돌출부(32)의 길이가 전면판(18)과 그 내측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14a)의 두께를 합친 것보다 길어서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32)가 삽입구멍(17)의 내측으로 길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전면판(18)의 내측방으로 길게 관통된 돌출부(32)에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을 끼우는데, 이 돌출부(32)가 전면판(18)과 보강지지대(14a)의 전면측 두께를 합친 것보다 길어서 보강지지대(14a)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 돌출부(32)의 돌출된 부분과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 주변을 용접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보강지지대(14a)에 형성된 관통구멍(15)이 돌출부(32) 보다 커서 돌출부(32)의 돌출된 부분과 관통구멍(15) 주변을 용접할 때 용접쇳물이 관통구멍(15)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전면판(18)의 배면에 용착되면서 돌출부(32)와 보강지지대(14a), 그리고 전면판(18)의 배면을 용접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지지대(14a)에 형성된 결합구멍(16)과 그 에 대응하는 전면판(18)의 배면을 용접하여 고정힌지(30)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돌출부(32)를 전면판(18)과 보강지지대(14a)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구멍(17)과 관통구멍(15)을 관통하여 결합할 때, 돌출부(32)와 계단식으로 단이 지게 형성된 지지부(33)는 전면판(18)의 전면에 지지되어 고정힌지(30)가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힌지(30)를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 고정 결합하는 부분이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연장부(31)가 얇은 1개의 금속판으로 된 것보다 결합강도가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가동힌지(40)를 도어(20)에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가동힌지(40)의 후방에 돌출된 돌출부(42)를 도어(20)의 전면판(21)에 형성된 삽입구멍(27)으로 삽입시키면, 돌출부(42)의 길이가 전면판(21)과 그 내측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4a)의 두께를 합친 것보다 길어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42)가 삽입구멍(27)의 내측으로 길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전면판(21)의 내측방으로 길게 관통된 돌출부(42)에 보강지지대(24a)의 관통구멍(25)을 끼우는데, 이 돌출부(42)가 전면판(21)과 보강지지대(24a)의 전면측 두께를 합친 것보다 길어서 보강지지대(24a)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 돌출부(42)의 돌출된 부분과 보강지지대(24a)의 관통구멍(25) 주변을 용접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보강지지대(24a)에 형성된 관통구멍(25)이 돌출부(42) 보다 커서 돌출부(42)의 돌출된 부분과 관통구멍(25) 주변을 용접할 때 용접쇳물이 관통구멍(25)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전면판(21)의 배면에 용착되어 돌출부(42)와 보강지지대(24a), 그리고 전면판(21)의 배면을 용접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지지대(24a)에 형성된 결합구멍(26)과 그 에 대응하는 전면판(21)의 배면을 용접하여 가동힌지(40)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돌출부(42)를 전면판(21)과 보강지지대(24a)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구멍(27)과 관통구멍(25)을 관통하여 결합할 때, 돌출부(42)와 계단식으로 단이 지게 형성된 지지부(43)는 전면판(21)의 전면에 지지되어 가동힌지(40)가 도어(20)의 전면판(21)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힌지(40)를 도어(20)의 전면판(21)에 고정 결합하는 부분(돌출부와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구멍 및 관통구멍)이 "ㄱ"자 형태로 가로고정부와 세로고정부가 고정 결합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연장부(41)가 얇은 1개의 금속판으로 된 것보다 결합강도가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고정힌지(30)와 가동힌지(4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전면판(18,21)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14a,24a)가 각각이 고정힌지(30)와 가동힌지(40)을 지지할 정도로만 작게 형성되어서 금고제작을 완료한 뒤에 금고가 뒤틀리거나 부풀어 오른 부분을 수정할 때, 그 수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 : 금고 2 : 힌지핀 3 : 스폿용접부
4 : 내화몰탈 5 : 퍼티 6 : 도장층
7 : 퍼티 10 : 금고본체 11 : 본체외부판
12 : 본체내부판 13 : 삽입절개부 14,14a : 보강지지대
15 : 관통구멍 16 : 결합구멍 17 : 삽입구멍
18 : 전면판 20 : 도어 21 : 전면판
22 : 후면판 23 : 삽입절개부 24,24a : 보강지지대
25 : 관통구멍 26 : 결합구멍 27 : 삽입구멍
30 : 고정힌지 31 : 연장부 32 : 돌출부
33 : 지지부 40 : 가동힌지 41 : 연장부
42 : 돌출부 43 : 지지부

Claims (2)

  1. 금고본체(10) 전방의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힌지(30)를 설치하고, 이 금고본체(10)의 개구된 전방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20)에 상기 고정힌지(30)와 힌지핀(2)으로 설치되는 가동힌지(40)를 설치된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30)는 힌지핀(2)이 끼워질 원통관 형태의 몸체 후방에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과 전면판(18)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14a)를 관통하는 돌출부(32)와, 전면판(18)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30)가 설치될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에는 돌출부(32)가 삽입될 삽입구멍(17)이 형성되며,
    금고본체(10)의 전면판(18) 배면에는 삽입구멍(17)을 관통하는 돌출부(32)가 관통되는 관통구멍(15)을 형성한 보강지지대(14a)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힌지(30)의 돌출부(32)는 전면판(18)의 삽입구멍(17)과 보강지지대(14a)의 관통구멍(1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32)와 관통구멍(1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동힌지(40)는 힌지핀(2)이 끼워지는 몸체의 타측에 전면판(21)과 전면판(21)의 내부에 설치될 보강지지대(24a)를 관통하는 돌출부(42)와, 전면판(21)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43)가 계단형태로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면판(21)에는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삽입될 삽입구멍(27)이 형성되며,
    전면판(21)의 배면에는 삽입구멍(27)을 관통한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가 관통될 관통구멍(25)이 형성된 보강지지대(24a)가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힌지(40)의 돌출부(42)는 전면판(21)의 삽입구멍(27)과 보강지지대(24a)의 관통구멍(25)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42)와 관통구멍(25) 주변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2)는 몸체의 후방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돌출부(32)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7)과 관통구멍(15)도 상기 돌출부(32)에 대응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15,25)이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돌출부(32,42) 보다 크게 형성되어 각각의 돌출부(32,42)와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관통구멍(15,25) 주변을 용접할 때, 용접 쇳물이 각각의 돌출부(32,42)가 관통된 각각의 전면판(18,21)의 배면에 함께 융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KR2020110000673U 2011-01-24 2011-01-24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KR200464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73U KR200464447Y1 (ko) 2011-01-24 2011-01-24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73U KR200464447Y1 (ko) 2011-01-24 2011-01-24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35U true KR20120005535U (ko) 2012-08-01
KR200464447Y1 KR200464447Y1 (ko) 2013-01-02

Family

ID=4687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73U KR200464447Y1 (ko) 2011-01-24 2011-01-24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15B1 (ko) * 2012-12-28 2013-07-19 범일금고(주) 금고용 경첩 및 금고용 경첩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75B1 (ko) * 1997-03-11 1999-10-01 박국호 입출식 지폐 적재장치
CA2501835C (en) * 2002-10-09 2008-12-02 Lokaway Pty. Ltd. Security door and frame construction
KR100626877B1 (ko) * 2004-09-01 2006-09-21 김영숙 금고용 힌지구조물
KR100652165B1 (ko) * 2005-01-26 2006-12-01 주식회사 신진금고 금고비의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15B1 (ko) * 2012-12-28 2013-07-19 범일금고(주) 금고용 경첩 및 금고용 경첩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447Y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832B2 (en) Node for connecting vehicle body portions
JP2018203230A5 (ko)
TW537985B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de panel in vehicle body
US20180222530A1 (en) Sill Panel for a Motor Vehicle
JP2013241163A (ja) ドア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4447Y1 (ko)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CN105484633B (zh) 拼装式组合门扇
CN109747718A (zh) 汽车用柱结构
US20120124912A1 (en) Vehicle door fr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0012924A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JP7049570B2 (ja) 車両の床部構造
MX2014012966A (es) Metodo para la conexion de componentes termoplasticos, recubiertos y componentes de plastico.
WO2015182401A1 (ja) 骨格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8474B1 (ko) 차량용 도어 프레임 및 그의 제조 방법
JP6373938B2 (ja) ドア構造
CN104554452A (zh) 一种整体式车身侧围骨架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DE112015000066B4 (de) Türstruktur mit Fensterrahmen
KR20130053499A (ko) 가변형 조립 문틀 및 그 조립 문틀의 시공 방법
JP3215932U (ja) 扉小口面ネジ組み立て型金属製扉
JP4371961B2 (ja) 鉄道車両の側構体
JP7206774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2013104293A (ja) ボウセイドの製造方法
KR20100096371A (ko) 선체 블록 슬릿 제작 공법
KR20200088387A (ko) 차량에 대한 도어 부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