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165B1 - 금고비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금고비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165B1
KR100652165B1 KR1020050006921A KR20050006921A KR100652165B1 KR 100652165 B1 KR100652165 B1 KR 100652165B1 KR 1020050006921 A KR1020050006921 A KR 1020050006921A KR 20050006921 A KR20050006921 A KR 20050006921A KR 100652165 B1 KR100652165 B1 KR 10065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lot
link bar
substrat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064A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금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to KR102005000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1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미리 모듈(Module)화시켜 제작 구비하고, 이 모듈화된 잠금장치를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고비의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고비의 내부에 각 부품을 직접 조립 제작하던 기존의 복잡한 잠금장치와 달리, 미리 모듈화시킨 잠금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 및 제작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금고비, 잠금장치, 모듈화

Description

금고비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safe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가 모듈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바, 도 1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1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1c는 금고비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잠금장치가 금고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제1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3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3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3c는 금고비의 열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제1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4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4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4c는 금고비의 열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제2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5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5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5c는 금고비의 열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d는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제2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6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6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6c는 금고비의 열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락킹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며, 도 7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7b는 금고비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락킹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에 대한 구성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외관을 나타내며, 잠금장치의 구성중 수직플레이트의 잠금방향 이동과 함께 빗장이 금고비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쌍문형 금고비에 도 10의 잠금장치가 내설되어 빗장이 금고비의 상면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듈화용 기판 11 : 잠금쇠
12 : 제1링크바 13 : 제1돌출핀
14 : 제2돌출핀 15 : 제2링크바
16 : 핀홀 17 : 제1고정핀
18 : 제1슬롯 19 : 제3돌출핀
20 : 제2고정핀 21 : 제2슬롯
22 : 제3링크바 23 : 제3슬롯
24 : 제4돌출핀 25 : 제3고정핀
26 : 제4고정핀 27 : 제4슬롯
28 : 제5슬롯 29 : 제1회전잠금체
30 : 요홈 31 : 제1잠금홈
32 : 제2회전잠금체 33 : 제2잠금홈
34 : 제4링크바 35 : 잠금쇠
36 : 연동브라켓 37 : 제1연결홀
38 : 제5링크바 39 : 제5돌출핀
40 : 제6돌출핀 41 : 제5고정핀
42 : 제6고정핀 43 : 제6슬롯
44 : 제7슬롯 45 : 제6링크바
46 : 제8슬롯 47 : 제9슬롯
48 : 제2연결홀 49 : 각운동용 기어
50 : 연장단 51 : 제7돌출핀
52 : 제1랙기어부 53 : 제7고정핀
54 : 제10슬롯 55 : 제8고정핀
56 : 제11슬롯 57 : 제8돌출핀
58 : 제3회전잠금체 59 : 요홈
60 : 제3잠금홈 61 : 제7링크바
62 : 제9고정핀 63 : 제12슬롯
64 : 제12슬롯 65 : 제13슬롯
66 : 제9돌출핀 67 : 제10돌출핀
68 : 락킹단 69 : 제8링크바
70 : 제14슬롯 71 : 제3연결홀
72 : 제11고정핀 73 : 제12고정핀
74 : 제15슬롯 75 : 제16슬롯
76 : 제4회전잠금체 77 : 제4잠금홈
78 : 제11돌출핀 79 : 제1락킹플레이트
80 : 제1잠금단 81 : 제3고정핀
82 : 제17슬롯 83 : 제2락킹플레이트
84 : 제2잠금단 86 : 제4잠금단
87 : 제14고정핀 88 : 제18슬롯
89 : 제3락킹플레이트 90 : 제1안내구
91 : 제2랙기어부 92 : 제3잠금단
93 : 수직 플레이트 94 : 빗장
95 : 구동기어 96 : 커버판
97 : 팝너트 98 : 안내홀
100 : 제1락장치 101 : 상부 락킹플레이트
102 : 제2안내구 103 : 제3랙기어부
104 : 락킹홈 105 : 하부 락킹플레이트
106 : 제3안내구 107 : 제4랙기어부
108 : 수평 플레이트 109 : 문틀
110 : 잠금구 200 : 제2락장치
300 : 개폐용 회전레버
본 발명은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미리 모듈(Module)화시켜 제작 구비하고, 이 모듈화된 잠금장치를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고비의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고비의 내부에 각 부품을 직접 조립 제작하던 기존의 복잡한 잠금장치와 달리, 미리 모듈화시킨 잠금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 및 제작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을 포함한 금융회사, 귀중품 판매 점포, 일반 기업체 등에서는 현금을 비롯하여 각종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금고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금고실의 출입 개폐문을 금고비라 칭한다.
대개, 상기 금고비는 설치공간에 따라 좌우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방식과, 전후로 회전시키는 스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고비는 절단 및 파괴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밀한 기계구조와 특수 설계를 바탕으로 초강도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내부는 특수내화 단열재를 적용하여 화재시에도 금고실을 보호할 수 있게 제작되고 있다.
또한, 상기 금고비의 외관을 고려하여 설계된 전면판과 중간판 및 후면판 등여러가지 구성물로 집약적으로 제작되며, 특수 다이알, 다이알 보호용 안전커버, 빗장 장치, 비상벨 장치 등 여러가지 기능을 부가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금고비의 내부에는 정밀하면서 복잡한 기계적 매카니즘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바, 기존의 잠금장치는 각 구성품을 금고비의 내부에 하나씩 설계안대로 배열한 다음, 이를 일일이 직접 용접하거나 볼팅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착하였기 때문에 공수가 많이 들어 작업성이 현격히 떨어지고, 그 제작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잠금장치의 각 구성품이 금고비의 내부에 복잡하게 얽혀서 배열됨에 따라, 그 차지하는 설치 면적이 크고,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고비 내부에 직접 조립되는 기존의 잠금장치는 부수적인 안전장치가 없어서 제품의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다중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미리 모듈(Module)화시켜 제작 구비하고, 이 모듈화된 잠금장치를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고비의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기존의 복잡한 잠금장치와 달리 장착 작업성 및 제작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모듈화용 기판과; 상기 모듈화용 기판의 배면에서 일측 표면에 나란히 장착되는 제1락장치 및 제2락장치와; 상기 제1락장치와 연동하도록 상기 모듈화용 기판상에 장착되는 제1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1링크 어셈블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각운동하는 제1회전잠금수단과; 상기 제2락장치와 연동하도록 상기 모듈화용 기판상에 장착되는 제2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각운동하는 제2회전잠금수단과;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 및 제2회전잠금수단의 각회전 동작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의 외측끝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기 수직플레 이트에 일체로 부착되는 빗장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어, 락킹플레이트와 수직플레이트에 좌우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락장치 및 제2락장치는 다이얼식 또는 키뭉치식의 락장치중 어느 하나로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구동기어는 금고비의 전면에 장착되는 회전식 레버와 동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화용 기판(제1락장치 위쪽 위치)상에 중앙부가 힌지 장착되고, 일측단 표면에는 제1락장치의 잠금쇠와 조립되는 제1돌출핀이 형성되고, 타측단 표면에는 제2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바와; 위쪽으로부터 상기 제2돌출핀이 삽입되는 핀홀과, 기판상에 부착된 제1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슬롯과, 제3돌출핀과, 기판상에 부착된 제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2슬롯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배열의 제2링크바와; 좌측으로부터 상기 제3돌출핀이 삽입되는 둔각 꺽임의 제3슬롯과, 상기 기판상에 부착된 제3고정핀 및 제4고정핀 각각 삽입되는 제4슬롯 및 제5슬롯과, 제4돌출핀이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 배열의 제3링크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은: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3링크바의 제4돌출핀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1잠금홈이 형성된 제 1회전잠금체와; 상기 제1회전잠금체로부터 위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의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우측면에는 제2잠금홈이 형성된 제2회전잠금체와; 상기 제1회전잠금체와 제2회전잠금체의 각 좌측단부(후단부)간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 배열의 제4링크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2락장치의 잠금쇠에 조립 고정되며, 내측단부에 제1연결홀이 형성된 구조의 연동브라켓과; 상기 연동브라켓의 제1연결홀에 삽입되는 제5돌출핀이 상단 우측 표면에 형성되고, 그 바로 아래쪽에는 제6돌출핀이 형성되며, 상단 좌측 표면에서 상하 위치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5고정핀 및 제6고정핀이 각각 삽입되는 제6슬롯 및 제7슬롯이 형성된 제5링크바와; 역"T"자형 구조로서, 그 중심부는 기판상에 힌지로 장착되고,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6돌출핀이 삽입되는 제8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단부에는 제9슬롯이 형성된 제6링크바와; 상기 제6링크바의 우측 위치에서 기판상에 장착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제6링크바의 제9슬롯에 삽입되는 제7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각운동용 기어와; 상기 각운동용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로서,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7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0슬롯이 형성되고, 좌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8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1슬롯이 형성되며, 이 제11슬롯의 바로 아래쪽에는 제8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제1랙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은: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1랙 기어부의 제8돌출핀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3잠금홈이 형성된 제3회전잠금체와; 상기 5링크바와 제6링크바 및 각운동용 기어의 바로 위쪽 위치에 걸쳐 수평 배열되는 링크바로서, 좌우측단부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9고정핀과 제10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2슬롯과 제13슬롯이 형성되고, 이 제12슬롯의 우측에는 상기 제6링크바의 상단에 형성된 제2연결홀에 삽입되는 제9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슬롯의 좌측에는 제10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제7링크바와; 수평 배열되는 링크바로서, 하단부에는 상기 제7링크바의 제10돌출핀이 삽입되는 둔각 꺽임의 제14슬롯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3연결홀이 형성되며, 이 제14슬롯과 제3연결홀 사이 구간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11고정핀 및 제1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5슬롯 및 제16슬롯이 형성된 구조의 제8링크바와;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2회전잠금체의 바로 위쪽 위치에서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체결되고, 우측면에는 제4잠금홈이 형성되며, 좌측단 안쪽면에는 상기 제8링크바의 제3연결홀에 삽입되는 제11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제4회전잠금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는
좌측단부의 표면에 상기 제1회전잠금체의 제1잠금홈에 끼워지는 제1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13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7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제1락킹플레이트와; 좌측단부의 표면에 상기 제2회전잠금체의 제2잠금홈과 상기 제4회전잠금체의 제4잠금홈에 끼워지는 제2잠금단 및 제4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14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8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 접되는 제2락킹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락킹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락킹 플레이트로서, 중앙부에는 좌우로 긴 타원형의 제1안내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제1안내구의 상단쪽 내경면에는 제2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3회전잠금체의 제3잠금홈에 끼워지는 제3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제3락킹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3락킹플레이트의 제2랙기어부에는 상기 회전식 레버와 연결된구동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3락킹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면을 지지하는 팝너트가 상기 기판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잠금수단의 1,2,3,4회전잠금체 및 제1,2,3락킹 플레이트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팝너트에 커버판이 볼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1,2,3,4잠금단이 돌출 삽입되는 홀로서, 제1,2,3,4잠금단의 좌우이송구간을 제한하는 다수개의 수평방향 안내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는:
하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2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제2안내구의 좌측 내경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3랙기어부가 형성된 구조의 상부 락킹플레이트와; 상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3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제3안내구의 우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4랙기어부가 형성된 구조의 하부 락킹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는 그 좌우측면에 상기 팝너트 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2,3락킹플레이트의 이면 위치에 배열되되, 상부 락킹플레이트의 하단부와 하부 락킹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동시에 치합되게 서로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의 좌측면에는 별도의 락킹홈이 더 형성되고, 이 락킹홈에는 상기 제7링크바의 우측끝단을 수직 절곡시킨 락킹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금고비의 잠금장치를 미리 모듈화로 제작하여,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복잡한 잠금장치와 달리 장착 작업성 및 제작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시킨 잠금장치를 다중 락 장치로 구성하여 금고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 점에도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가 모듈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바, 도 1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를, 도 1b는 금고비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 1c는 금고비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2는 도 1의 모듈화된 잠금장치가 금고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소정 면적의 기판상에 장착되는 바, 제1락장치 (100) 및 이 제1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품과, 그리고 제2락장치(200) 및 이 제2락장치와 연동하는 구성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기 제1락장치(100) 및 제2락장치(200)는 첨부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고비의 전면에 부착되는 다이얼 또는 키뭉치와 연결된 락장치이다.
상기 제1락장치(100)와 연동하는 구성은 크게 제1링크 어셈블리와 제1회전잠금수단으로 나누어지며, 제1링크 어셈블리와 제1회전잠금수단만을 부각시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링크 어셈블리와 제1회전잠금수단에 대한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링크 어셈블리의 구성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제1락장치(100)가 기판(10)의 가장 좌측부분에 배열되어, 금고비 전면의 다이얼 또는 키뭉치와 연결 설치되는 바, 제1락장치(100)의 상면에는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마다 승강 또는 하강하는 잠금쇠(11)가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화용 기판(10)상에 즉, 상기 제1락장치(100)의 잠금쇠 위쪽 위치에 제1링크바(12)가 수평 배열되며 힌지로 장착되는 바, 그 중앙부가 힌지로 장착되어 마치 시소(seesaw)와 같은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바(12)의 일측단 표면에는 제1락장치(100)의 잠금쇠(11)와 조립되는 제1돌출핀(13)이 형성되고, 타측단 표면에는 제2돌출핀(14)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링크바(12)에 제2링크바(15)가 연결되는 바, 이 제2링크 바(15)는 기판(10)상에 수직 배열되어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링크바이다.
상기 제2링크바(15)에는 위쪽으로부터 핀홀(16)과, 상기 기판(10)상에 부착된 제1고정핀(17)이 삽입되는 제1슬롯(18)과, 제3돌출핀(19)과, 기판(10)상에 부착된 제2고정핀(20)이 삽입되는 제2슬롯(21)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바(12)의 제2돌출핀(14)이 상기 제2링크바(15)의 가장 상단에 형성된 핀홀(16)에 삽입되어, 제1링크바(12)와 제2링크바(15)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2링크바(15)의 제1슬롯(18)과 제2슬롯(21)은 상하방향으로 긴 슬롯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링크바(15)에는 제3링크바(22)가 연결되는 바, 이 제3링크바(22)는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링크바이다.
상기 제3링크바(22)는 기판(10)상에 수평 배열되는 길다란 링크바로서, 기판에 대한 최적 배치설계 이유로 그 중간부분이 하향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바(22)의 좌측 끝단부에 둔각 꺽임의 제3슬롯(23)이 형성되고, 우측 끝단부에는 제4돌출핀(2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3슬롯(23)과 제4돌출핀 (24)사이에는 상기 기판(10)상에 부착된 제3고정핀(25) 및 제4고정핀(26)이 각각 삽입되는 제4슬롯(27) 및 제5슬롯(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위와 같이 구비된 제1링크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는 제1회전잠금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은 대략 타원형의 판체로 된 한 쌍의 회전잠금체와, 이를 연결하는 제4링크바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잠금체중 제1회전잠금체(29)는 기판(10)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3링크바(22)의 제4돌출핀(24)이 끼워지는 요홈(30)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1잠금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바(22)의 좌우 직선 이동에 따라, 제1회전잠금체(29)는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3링크바(22)의 제4돌출핀(24)이 제1회전잠금체(29)의 요홈(3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제1회전잠금체(29)를 밀거나 당기는 작용을 하게 되어, 제1회전잠금체(29)가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잠금체(29)로부터 위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의 기판(10)상에는 제2회전잠금체(32)가 장착되는 바, 이 제2회전잠금체(32)도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잠금체(32)의 우측면에도 제1회전잠금체(29)의 제1잠금홈(31)과 같은 형태인 제2잠금홈(33)이 형성된다.
또한, 제1회전잠금수단의 구성으로서, 수직 배열되는 제4링크바(34)가 구비되는 바, 이 제4링크바(34)는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와 제2회전잠금체(32)의 각 좌측단부(후단부)간을 힌지로 연결하는 일종의 수직 연결바이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각운동과 동시에 상기 제4링크바(34)가 승하강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2회전잠금체(32)도 그 중심의 힌지 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4링크바(34)에 의하여 제1회전잠금체(29)와 제2회전잠금체(32)는 동일한 각도로 함께 각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락장치(200)와 연동하는 제2링크 어셈블리와 제2회전잠금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제2링크 어셈블리와 제2회전잠금수단만을 부각시켜 도시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2링크 어셈블리와 제2회전잠금수단에 대한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제1락장치(100)와 인접하는 우측 위치의 기판상에 제2락장치(200)가 금고비 전면의 다이얼 또는 키뭉치와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바, 제2락장치(200)의 상면에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마다 승강 또는 하강하는 잠금쇠(35)가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락장치(200)의 잠금쇠(35)에는 수직 절곡된 형상의 연동브라켓(36)이 고정 장착되며, 이 연동브라켓(36)의 내측단부(후단면)에는 제1연결홀(37)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락장치(200)의 잠금쇠(35)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동브라켓(36)도 함께 승강 내지 하강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브라켓(36)의 제1연결홀(37)에는 제5링크바(38)가 연결된다.
상기 제5링크바(38)는 기판(10)상에 수직 배열되는 짧은 길이의 직사각 판체 구조로서, 상단 우측 표면에 상기 연동브라켓(36)의 제1연결홀(37)에 삽입되는 제5돌출핀(39)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바로 아래쪽에는 제6돌출핀(40)이 형성된다.
또한, 제5링크바(38)의 상단 좌측 표면에서 그 상하 위치에는 기판(10)상에 부착된 제5고정핀(41) 및 제6고정핀(42)이 각각 삽입되는 제6슬롯(43) 및 제7슬롯(44)이 형성되며, 이 제6슬롯(43) 및 제7슬롯(44)은 제5링크바(38)의 상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으로서, 상하로 긴 슬롯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5링크바(38)에는 제6링크바(45)가 연결된다.
상기 제6링크바(45)는 역"T"자형 구조로서, 그 중심부는 기판(10)상에 힌지로 장착되고,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5링크바(38)의 제6돌출핀(40)이 삽입되는 제8슬롯(46)이 형성되며, 우측단부에는 제9슬롯(47)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제2연결홀(48)이 관통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6링크바(45)의 우측단에는 각운동용 기어(49)가 연결되고, 상단에는 후술하는 제2회전잠금수단의 제7링크바가 연결된다.
상기 각운동용 기어(49)는 제6링크바(45)의 우측 위치에서 기판(10)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측단부는 다른 기어 이빨보다 면적 및 크기가 더 큰 연장단(50)으로 형성되고, 이 연장단(50)의 표면에는 제7돌출핀(5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6링크바(45)의 제9슬롯(47)에 상기 연장단(50)의 제7돌출핀(51)이 삽입 체결되어, 제6링크바(45)와 각운동용 기어(49)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운동용 기어(49)와 맞물리는 기어로서, 제1랙기어부(52)가 각운동용 기어(49)의 아래쪽에 배열된다.
상기 제1랙기어부(52)는 그 상면에 각운동용 기어(49)의 이빨과 치합되는 소정 구간의 랙기어가 형성된 판체 구조로서, 제1랙기어부(52)의 좌측단부에는 기판(10)에 부착된 제7고정핀(53)이 삽입되는 제10슬롯(54)이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기판(10)에 부착된 제8고정핀(55)이 삽입되는 제11슬롯(56)이 형성되며, 이 제11슬롯(56)의 바로 아래쪽에는 제8돌출핀(5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각운동용 기어(49)의 각운동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랙기어부(52)는 좌우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의 구성은 제3회전잠금체와, 제7링크바 및 제8링크바와, 그리고 제4회전잠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회전잠금체(58)는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의 제1랙기어부(52)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기판(10)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1랙기어부(52)의 제8돌출핀(57)이 끼워지는 요홈(59)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3잠금홈(60)이 형성된 타원형의 판체 구조물이다.
상기 제3회전잠금체(58)의 요홈(59)에 상기 제1랙기어부(52)의 제8돌출핀(57)이 끼워지게 됨에 따라, 제1랙기어부(52)의 좌우 직선 이동과 함께 요홈(59)에 끼워진 제8돌출핀(57)이 제3회전잠금체(58)를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고, 그에따라 제3회전잠금체(58)는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회전잠금수단의 구성으로서, 제7링크바(61)가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의 제6링크바(45)에 연결된다.
상기 제7링크바(61)는 제2링크 어셈블리의 제5링크바(38)와 제6링크바(45) 및 각운동용 기어(49)의 바로 위쪽 위치에 걸쳐 수평 배열되는 링크바이다.
상기 제7링크바(61)의 좌측 및 우측단부에는 기판(10)상에 부착된 제9고정핀(62)과 제10고정핀(63)이 각각 삽입되는 제12슬롯(64)과 제13슬롯(65)이 형성되고, 이 제12슬롯(64)의 우측에는 상기 제6링크바(45)의 상단에 형성된 제2연결홀(48)에 삽입되는 제9돌출핀(66)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슬롯(65)의 좌측에는 제10돌출핀(6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6링크바(45)의 제2연결홀(48)에 제7링크바(61)의 제9돌출핀(66)이 삽입되어, 서로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따라 상기 제6링크바(45)의 각운동과 함께 제7링크바(61)는 좌우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7링크바(61)의 우측끝단에는 수직 절곡된 락킹단(68)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이 락킹단(68)의 역할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7링크바(61)에는 수직 배열되는 제8링크바(69)가 연결된다.
상기 제8링크바(69)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7링크바(61)의 제10돌출핀(67)이 삽입되는 둔각 꺽임의 제14슬롯(70)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제3연결홀(71)이 형성되며, 이 제14슬롯(70)과 제3연결홀(71) 사이 구간에는 기판(10)상에 부착된 제11고정핀(72) 및 제12고정핀(73)이 삽입되는 제15슬롯(74) 및 제16슬롯(75)이 형 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8링크바(69)의 제14슬롯(70)은 둔각 꺽임의 형상이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이다.
이에, 상기 제7링크바(61)의 제10돌출핀(67)이 좌우로 직선 이동할 때, 제14슬롯(7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이때 제10돌출핀(67)에 의하여 상기 제8링크바(69)는 위쪽으로 밀어올려지거나 아래쪽으로 내려지게 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8링크바(69)의 제15슬롯(74)과 제16슬롯(75)은 상하로 긴 슬롯이고, 제8링크바(69)의 상하방향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의 구성으로서, 제4회전잠금체(76)가 상기 제8링크바(69)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4회점잠금체(76)는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2회전잠금체(32)의 바로 위쪽 위치에서 기판(10)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체결되고, 후술하는 작용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회전잠금체(58)와 연동하여 동일한 각도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회전잠금체(76)의 우측면에는 제4잠금홈(77)이 형성되며, 좌측단 안쪽면에는 상기 제8링크바(69)의 제3연결홀(71)에 삽입되는 제11돌출핀(78)이 일체로 형성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4회전잠금체(76)의 제11돌출핀(78)이 상기 제8링크바(69)의 제3연결홀(7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8링크바(69)의 상하 직선 이동과 함께 제4회전잠금체(76)의 후단이 위쪽으로 밀리거나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결국 제4회전잠금체(76)는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1회전잠금체(29)와 제2회전잠금체(32), 그리고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의 제3회전잠금체(58)와 제4회전잠금체(76)는 제작 및 설계의 용이성을 위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 및 제2회전잠금수단의 각회전 동작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에 대한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락킹 플레이트는 금고비의 전면에 장착된 개폐용 회전레버(300)에 의하여 좌우 직선 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점잠금수단에 잠금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회전잠금수단으로부터 잠금해제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93)는 상기 각 락킹 플레이트의 우측끝단과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서, 빗장과 함께 금고비의 최종적인 잠금수단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는 직사각의 판체 형상을 갖는 세 개의 락킹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가장 아래쪽에 배열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79)는 그 좌측단부의 표면에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제1잠금홈(31)에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제1잠금단(8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상기 기판(10)에 부착된 제13고정핀(81)이 삽입되는 제17슬롯(82)이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락킹 플레이트(79)의 우측끝단은 상기 수직플레이트(93)와 용접으로 연결된다.
가장 위쪽에 배열되는 제2락킹 플레이트(83)는 그 좌측단부의 표면에서 아래쪽에 상기 제2회전잠금체(32)의 제2잠금홈(33)에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제2잠금단(8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이 제2잠금단(84)의 위쪽에는 상기 제4회전잠금체(76)의 제4잠금홈(77)에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제4잠금단(86)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락킹 플레이트(83)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기판(10)에 부착된 제14고정핀(87)이 삽입되는 제18슬롯(88)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그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93)와 용접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락킹 플레이트(79,83)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락킹 플레이트(89)의 중앙부에는 좌우로 긴 타원형의 제1안내구(90)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제1안내구(90)의 상단쪽 내경면에 제2랙기어부(9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락킹 플레이트(89)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3회전잠금체(58)의 제3잠금홈(60)에 끼워지는 제3잠금단(92)이 일체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그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93)와 용접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수직 플레이트(93)는 상하로 길면서 수직 절곡 단면 구조를 가지는 형상으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외측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며 원형봉 형상의 빗장(94)이 일체로 용접된다.
특히, 상기 제3락킹 플레이트(89)의 제2랙기어부(91)에는 구동기어(95)가 치합되는 바, 이 구동기어(95)는 금고비의 전면에 부착된 회전식 개폐레버(300)와 동축으로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개폐레버(300)의 회전 조작과 함께 구동기어(95)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구동기어(95)에 맞물린 상기 제2랙기어부(91)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제2랙기어부(91)를 갖는 제3락킹 플레이트(89)가 좌우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3락킹 플레이트(89)와 수직 플레이트(93), 그리고 제1 및 제2락킹 플레이트(79,83)가 모두 하나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3락킹 플레이트(89)의 좌우 이동시 모두 함께 좌우 직선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각각의 구성품들은 소정 면적을 갖는 기판(10)상에 집약적으로 설치되어 모듈화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개의 락킹플레이트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그 상면을 커버판(96)으로 덮어서 지지해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3락킹 플레이트(79,83,89)의 상단 및 하단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팝너트(97)가 상기 기판(10)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커버판(96)을 팝너트(97)에 대하여 볼팅 등으로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판(96)은 직사각의 판체 형상으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방향의 안내홀(98)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95)의 중심축이 안착되는 홀 등이 더 형성된다.
상기 커버판(96)의 각 안내홀(98)을 통하여 상기 제1,2,3,4잠금단(80,84,92,86)이 돌출 삽입되며, 각 안내홀(98)은 제1,2,3,4잠금단(80,84,92,86)의 좌우 이송구간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설명된 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락장치(100)와 연동하는 제1링크 어셈블리와 제1회전잠금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a와 도 4a는 금고비의 잠금상태 즉, 제1락장치와 연동하는 제1링크 어셈블리와 제1회전잠금수단의 잠금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1 및 제2회전잠금체(29,32)는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좌측단이 아래쪽으로, 우측단(제1 및 제2잠금홈이 형성된 부분)이 위쪽으로 각운동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제1잠금홈(31)이 상기 제1락킹플레이트(79)의 제1잠금단(80)과 일치되지 않고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고, 또한 제2회전잠금체(32)의 제2잠금홈(33)이 상기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제2잠금단(84)과 일치되지 않고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제1락킹플레이트(79)의 제1잠금단(80)은 제1회전잠금체(29)의 제1잠금홈(31) 아래쪽면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제2잠금단(84)은 제2회전잠금체(32)의 제2잠금홈(33) 아래쪽면에 걸리게 되어, 결국 제1락킹플레이트(79)와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좌우방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락킹플레이트(79,83)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수직 플레이트(93)의 빗장(94)이 금고비의 문틀(109)에 형성된 잠금구(110)에 계속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금고비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금고비의 잠금 상태에서 해제하기 위하여, 금고비의 전면에 장착된 다이얼을 돌리는 조작(비밀번호대로) 또는 키뭉치의 키홈에 열쇠를 넣어 돌리는 조작에 의거 상기 제1락장치(1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에, 제1락장치(100)의 잠금쇠(11)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1링크바(12)는 그 중앙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1락장치(100)의 잠금쇠(11)와 연결된 상기 제1링크바(12)의 좌측단이 아래쪽으로 우측단이 위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1링크바(12)의 우측단에 연결된 제2링크바(15)가 위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바(15)가 직선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제2링크바(15)의 제1슬롯(18)에서 위쪽 위치에 있던 기판(10)상의 제1고정핀(17)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2링크바(15)의 제2슬롯(21)에서 위쪽 위치에 삽입되어 있던 제2고정핀(20)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링크바(15)가 상승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3링크바(22)가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링크바(15)의 제3돌출핀(19)이 상승하면서 제3링크바(22)를 직선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링크바(15)의 제3돌출핀(19)이 상기 제3링크바(22)의 둔각 꺽임(우측에서 좌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의 제3슬롯(23)에서 아래쪽에 삽입된 상태가 잠금상태이고,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제3돌출핀(19)이 상승하는 동시에 제3슬롯(23)의 위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3링크바(22)를 우측으로 직선 운동되게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링크바(22)의 제4슬롯(27)에서 우측에 위치하던 상기 기판(10)상의 제3고정핀(25)은 좌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5슬롯(28)에서 우측에 위치하던 상기 기판(10)상의 제4고정핀(26)은 좌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제3링크바(22)가 우측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면서, 제3링크바(22)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제4돌출핀(24)이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1회전잠금체(29)를 밀어주게 되어, 제1회전잠금체(29)가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요홈(30)에 끼워져 있던 제3링크바(22)의 제4돌출핀(24)이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제1회전잠금체(29)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 제1회전잠금체(29)가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회전되어 좌측단은 위쪽으로, 우측단은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도 3b 및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제1잠금홈(31)이 상기 제1락킹플레이트(79)의 제1잠금단(80)과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회전잠금체(29)의 좌측단이 위쪽으로 각운동함에 따라, 제1회전잠금체(29)의 좌측단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제4링크바(34)가 위쪽으로 밀 리면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4링크바(34)의 상단이 상기 제2회전잠금체(32)의 좌측단을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제2회전잠금체(32)는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회전되어, 좌측단이 위쪽으로, 우측단이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3b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잠금체(32)의 제2잠금홈(33)과 상기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제2잠금단(84)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락장치(100)의 잠금해제와 함께 제1링크 어셈블리가 연동하여 상기 제1회전잠금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더라고, 제2락장치(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금고비는 잠금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락장치와 연동하는 제2링크 어셈블리와 제2회전잠금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제1락장치(100)의 잠금해제와 함께 제1링크 어셈블리가 연동하여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더라고, 첨부한 도 5a 및 도 6a에서 보듯이 제2회전잠금수단의 제3회전잠금체(58)의 제3잠금홈(60)이 상기 제3락킹플레이트(89)의 제3잠금단(92)과 일치되지 않고, 제4회전잠금체(76)의 제4잠금홈(77)이 상기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제4잠금단(86)과 일치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금고비는 계속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금고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금고비의 전면에 장착된 다이얼을 돌리는 조작(비밀번호대로) 또는 키뭉치의 키홈에 열쇠를 넣어 돌리는 조작에 의거 상기 제2락장치(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 제2락장치(200)의 잠금 해제와 함께 제2락장치(200)의 잠금쇠(35)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 잠금쇠(35)와 연결된 연동브라켓(36)이 하강 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연동브라켓(36)의 하강 이동과 함께 연동브라켓(36)의 제1연결홀(37)에 연결된 상기 제5링크바(38)가 하강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5링크바(38)가 하강 이동함에 따라, 제5링크바(38)의 제6슬롯(43)에서 아래쪽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5고정핀(41)이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7슬롯(44)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6고정핀(42)이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강하는 제5링크바(38)의 제6돌출핀(40)에 의하여 상기 제6링크바(45)가 그 중앙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6링크바(45)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제8슬롯(46)에 상기 제5링크바(38)의 제6돌출핀(40)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제6돌출핀(40)이 하강하면서 제6링크바(45)의 좌측단을 아래쪽으로 끌어내리게 되고, 동시에 제6링크바(45)의 우측단은 위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6링크바(45)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제9슬롯(47)에는 각운동용 기어(49)의 제7돌출핀(51)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각운동용 기어(49)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각운동용 기어(49)의 각회전과 함께 그 아래쪽에 치합되어 있 던 제1랙기어부(52)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랙기어부(52)의 제10슬롯(54)에서 좌측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7고정핀(53)은 제10슬롯(54)의 우측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11슬롯(56)에서 좌측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8고정핀(55)은 제11슬롯(56)의 우측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랙기어부(52)의 좌측 직선 이동과 함께 상기 제3회전잠금체(58)가 그 중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해제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랙기어부(52)의 제8돌출핀(57)과 상기 제3회전잠금체(58)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59)에 끼워져 있는 상태인 바, 제1랙기어부(52)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제8돌출핀(57)이 상기 제3회전잠금체(58)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3회전잠금체(58)는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고, 그 좌측단이 위쪽으로 우측단이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잠금체(58)의 제3잠금홈(60)과 상기 제3락킹플레이트(89)의 제3잠금단(92)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6링크바(45)의 각회전 운동과 동시에, 제6링크바(45)의 상단과 연결된 제7링크바(61)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6링크바(45)의 상단에 형성된 제2연결홀(48)에 상기 제7링크바(61)의 제9돌출핀(66)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제6링크바(45)의 상단이 좌측으로 각 운동하면서 제7링크바(61)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 제7링크바(61)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7링크바(61)의 제12슬롯(64)에서 좌측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9고정핀(62)은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3슬롯(65)에서 좌측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10고정핀(63)도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7링크바(61)가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제7링크바(71)의 제10돌출핀(67)이 상기 제8링크바(69)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즉, 상기 제8링크바(69)의 하단에 형성된 제14슬롯(70)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슬롯이기 때문에, 상기 제7링크바(61)의 좌측방향 직선 이동과 함께 제10돌출핀(67)이 제14슬롯(70)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8링크바(69)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8링크바(69)의 제15슬롯(74)에서 위쪽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11고정핀(72)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16슬롯(75)에서 위쪽에 위치하던 기판(10)상의 제12고정핀(73)이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8링크바(69)가 직선으로 상승하는 이동과 함께 제8링크바(69)의 상단에 연결된 제4회전잠금체(76)가 잠금해제 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8링크바(69)의 상단에 형성된 제3연결홀(71)에 상기 제4회전잠금체(76)의 후단에 형성된 제11돌출핀(78)이 끼워져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8링크바(69)가 상승하면서 제11돌출핀(78)을 밀어올리게 되고, 결국 제4회전잠금체 (76)가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제4회전잠금체(76)의 우측단이 위쪽으로 좌측단이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4회전잠금체(76)의 제4잠금홈(77)과 상기 제2락킹플레이트(83)의 제4잠금단(86)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락장치(100)와 제2락장치(200)의 잠금해제와 함께 최종적으로 제1,2,3,4회전잠금체(29,32,58,76)의 제1,2,3,4잠금홈(31,33,60,77)이 각각 제1,2,3,4잠금단(80,84,92,86)과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되어, 금고비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금고비를 여는 동작은 금고비의 전면에 부착된 개폐용 회전레버(300)를 돌려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개폐용 회전레버(300)를 열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개폐용 회전레버(300)와 동축을 이루는 구동기어(95)가 열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95)가 상기 제3락킹플레이트(89)의 제2랙기어부(91)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바, 이 제2랙기어부(91)가 좌측으로 이동을 하여 결국 제3락킹플레이트(89)가 좌측(열림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락킹 플레이트(89)의 우측 끝단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93)와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및 제2락킹 플레이트(79,83)도 수직 플레이트(93)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하나의 유니트가 된다.
이에따라, 상기 제1,2,3락킹 플레이트(79,83,89)와 수직 플레이트(93)가 동시에 좌측(열림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첨부한 도 3c 및 4c 그리고 도 5c 및 도 6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2,3,4회전잠금체(29,32,58,76)의 제1,2,3,4잠금홈(31,33,60,77) 안으로 상기 제1,2,3,4잠금단(80,84,92,86)이 삽입된다.
또한, 첨부한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3,4잠금단(80,84,92,86)은 상기 커버판(96)에 형성된 각 수평방향 안내홀(98)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이동거리를 제한받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수직 플레이트(93)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수직 플레이트(93)에 일체로 용접된 다수개의 빗장(94)이 금고비의 문틀(109)에 형성된 잠금구(110)로부터 이탈되어, 금고비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달리 금고비를 쌍문형으로 적용할 때, 빗장이 금고비의 상면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고, 단지 각 락킹 플레이트의 내면 위치쪽에 별도의 잠금수단(상부 락킹플레이트와 하부 락킹플레이트)을 더 장착시킨 점에 차이점이 있다.
첨부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첨부한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와 하부 락킹플레이트의 구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 락킹 플레이트(101)는 상하로 긴 직사각의 판체 구조로서, 그 하 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2안내구(102)가 형성되고, 이 제2안내구(102)의 좌측 내경면에 상기 구동기어(95)에 치합되는 제3랙기어부(103)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좌측면에는 별도의 락킹홈(104)이 더 형성되고, 이 락킹홈(104)에는 상술한 제7링크바(61)의 우측끝단을 수직 절곡시킨 락킹단(68)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하부 락킹 플레이트(105)도 상하로 긴 직사각의 판체 구조로서, 그 상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3안내구(106)가 형성되고, 이 제3안내구(106)의 우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95)에 치합되는 제4랙기어부(10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101,105)는 상기 제1,2,3락킹플레이트(79,83,89)의 이면 위치에 배열되며, 특히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하단부와 하부 락킹플레이트(105)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기어(95)에 동시에 치합되게 서로 중첩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제2안내구(102)와 상기 하부 락킹플레이트(105)의 제3안내구(106) 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제3랙기어부(103)와 제4랙기어부(107)가 상기 구동기어(95)에 동시에 맞물리게 되되,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제3랙기어부(103)는 상기 구동기어(95)의 우측부분에 치합되고, 상기 하부 락킹 플레이트(105)의 제4랙기어부(107)는 상기 구동기어(95)의 좌측부분에 치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101,105)의 표면에 상하로 긴 슬롯을 더 형성하고, 이 슬롯에는 기판상에 부착되는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의 상하 직선이동을 위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첨부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상단끝과 상기 하부 락킹 플레이트(105)의 하단끝을 더 길게 연장하여, 빗장(94)을 갖는 수평 플레이트(108)를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95)의 회전과 함께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101,105)가 승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수평 플레이트(108)가 승하강을 하게 되어, 결국 상기 수평 플레이트(108)에 부착된 다수개의 빗장(94)이 금고비의 상면을 통하여 돌출 또는 인입되어진다.
이에따라, 첨부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쌍문형 금고비의 상면으로부터 빗장(94)이 돌출되어 금고비의 상단쪽 문틀(109)에 형성된 잠금구(110)로 삽입되면, 금고비의 잠금상태가 되고, 잠금구(110)로부터 이탈되면 금고비의 열림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7링크바(61)의 우측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락킹단(68)이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락킹홈(104)에 삽입되면,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101,105)의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잠금상태가 되고, 반면에 상기 제2락장치(200)의 해제와 함께 연동하여 상기 락킹단(68)이 상부 락킹플레이트(101)의 락킹홈(104)으로부터 이탈되면,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101,105)의 승하강이 가능한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빗장(94)을 금고비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쌍문형 금고비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의하면, 다중의 잠금장치 미리 모듈(Module)화시켜 제작 구비하고, 이 모듈화된 잠금장치를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고비의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기존의 복잡한 잠금장치와 달리 장착 작업성 및 제작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금고비의 잠금장치에 대한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의 잠금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품질의 금고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금고비의 내부에 한 번에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모듈화용 기판과;
    상기 모듈화용 기판의 배면에서 일측 표면에 나란히 장착되는 제1락장치 및 제2락장치와;
    상기 제1락장치와 연동하도록 상기 모듈화용 기판상에 장착되는 제1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1링크 어셈블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각운동하는 제1회전잠금수단과;
    상기 제2락장치와 연동하도록 상기 모듈화용 기판상에 장착되는 제2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각운동하는 제2회전잠금수단과;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 및 제2회전잠금수단의 각회전 동작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3개의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외측끝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되는 빗장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어, 락킹플레이트와 수직플레이트에 좌우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락장치 또는 제2락장치는 다이얼식, 키뭉치식, 전자제어식 락장치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금고비의 전면에 장착되는 회전식 레버와 동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화용 기판(제1락장치 위쪽 위치)상에 중앙부가 힌지 장착되고, 일측단 표면에는 제1락장치의 잠금쇠와 조립되는 제1돌출핀이 형성되고, 타측단 표면에는 제2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바와;
    위쪽으로부터 상기 제2돌출핀이 삽입되는 핀홀과, 기판상에 부착된 제1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슬롯과, 제3돌출핀과, 기판상에 부착된 제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2슬롯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배열의 제2링크바와;
    좌측으로부터 상기 제3돌출핀이 삽입되는 둔각 꺽임의 제3슬롯과, 상기 기판상에 부착된 제3고정핀 및 제4고정핀 각각 삽입되는 제4슬롯 및 제5슬롯과, 제4돌출핀이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 배열의 제3링크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은: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3링크바의 제4돌출핀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1잠금홈이 형성된 제1회전잠금체와;
    상기 제1회전잠금체로부터 위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의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우측면에는 제2잠금홈이 형성된 제2회전잠금체와;
    상기 제1회전잠금체와 제2회전잠금체의 각 좌측단부(후단부)간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 배열의 제4링크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2락장치의 잠금쇠에 조립 고정되며, 내측단부에 제1연결홀이 형성된 구조의 연동브라켓과;
    상기 연동브라켓의 제1연결홀에 삽입되는 제5돌출핀이 상단 우측 표면에 형성되고, 그 바로 아래쪽에는 제6돌출핀이 형성되며, 상단 좌측 표면에서 상하 위치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5고정핀 및 제6고정핀이 각각 삽입되는 제6슬롯 및 제7슬 롯이 형성된 제5링크바와;
    역"T"자형 구조로서, 그 중심부는 기판상에 힌지로 장착되고,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6돌출핀이 삽입되는 제8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단부에는 제9슬롯이 형성된 제6링크바와;
    상기 제6링크바의 우측 위치에서 기판상에 장착되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제6링크바의 제9슬롯에 삽입되는 제7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각운동용 기어와;
    상기 각운동용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로서,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7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0슬롯이 형성되고, 좌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8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1슬롯이 형성되며, 이 제11슬롯의 바로 아래쪽에는 제8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제1랙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잠금수단은: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1랙기어부의 제8돌출핀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3잠금홈이 형성된 제3회전잠금체와;
    상기 5링크바와 제6링크바 및 각운동용 기어의 바로 위쪽 위치에 걸쳐 수평 배열되는 링크바로서, 좌우측단부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9고정핀과 제10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2슬롯과 제13슬롯이 형성되고, 이 제12슬롯의 우측에는 상기 제6링크바의 상단에 형성된 제2연결홀에 삽입되는 제9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슬롯의 좌측에는 제10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제7링크바와;
    수평 배열되는 링크바로서, 하단부에는 상기 제7링크바의 제10돌출핀이 삽입되는 둔각 꺽임의 제14슬롯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3연결홀이 형성되며, 이 제14슬롯과 제3연결홀 사이 구간에는 기판상에 부착된 제11고정핀 및 제1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5슬롯 및 제16슬롯이 형성된 구조의 제8링크바와;
    상기 제1회전잠금수단의 제2회전잠금체의 바로 위쪽 위치에서 기판상에 그 중심부가 힌지 체결되고, 우측면에는 제4잠금홈이 형성되며, 좌측단 안쪽면에는 상기 제8링크바의 제3연결홀에 삽입되는 제11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제4회전잠금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좌측단부의 표면에 상기 제1회전잠금체의 제1잠금홈에 끼워지는 제1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13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7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제1락킹플레이트와;
    좌측단부의 표면에 상기 제2회전잠금체의 제2잠금홈과 상기 제4회전잠금체의 제4잠금홈에 끼워지는 제2잠금단 및 제4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기판에 부착된 제14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8슬롯이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제2락킹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락킹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락킹 플레이트로서, 중앙부에는 좌우로 긴 타원형의 제1안내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제1안내구의 상단쪽 내경면에는 제2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3회전잠금체의 제3잠금홈에 끼워지는 제3잠금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우측끝단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제3락킹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락킹플레이트의 제2랙기어부에는 상기 회전식 레버와 연결된구동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2,3락킹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면을 지지하는 팝너트가 상기 기판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잠금수단의 1,2,3,4회전잠금체 및 다수개의 락킹 플레이트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팝너트에 커버판이 볼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1,2,3,4잠금단이 돌출 삽입되 는 홀로서, 제1,2,3,4잠금단의 좌우이송구간을 제한하는 다수개의 수평방향 안내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고비의 잠금장치는:
    하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2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제2안내구의 좌측 내경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3랙기어부가 형성된 구조의 상부 락킹플레이트와;
    상단부에 상하로 긴 타원형의 제3안내구가 형성되고, 이 제3안내구의 우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4랙기어부가 형성된 구조의 하부 락킹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락킹플레이트는 그 좌우측면에 상기 팝너트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2,3락킹플레이트의 이면 위치에 배열되되, 상부 락킹플레이트의 하단부와 하부 락킹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동시에 치합되게 서로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14. 청구항 7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락킹플레이트의 좌측면에는 별도의 락킹홈이 더 형성되고, 이 락킹홈에는 상기 제7링크바의 우측끝단을 수직 절곡시킨 락킹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비의 잠금장치.
KR1020050006921A 2005-01-26 2005-01-26 금고비의 잠금장치 KR10065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921A KR100652165B1 (ko) 2005-01-26 2005-01-26 금고비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921A KR100652165B1 (ko) 2005-01-26 2005-01-26 금고비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064A KR20060086064A (ko) 2006-07-31
KR100652165B1 true KR100652165B1 (ko) 2006-12-01

Family

ID=371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921A KR100652165B1 (ko) 2005-01-26 2005-01-26 금고비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47Y1 (ko) * 2011-01-24 2013-01-02 (주)부일금고 금고의 힌지부 설치구조
KR101159484B1 (ko) * 2011-01-31 2012-06-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
KR102372286B1 (ko) * 2020-03-06 2022-03-10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복수의 구동원을 갖는 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한 금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43A (ko) * 1997-03-31 1998-11-16 구자홍 안전 금고 및 금고용 록킹 장치
KR19990085193A (ko) * 1998-05-14 1999-12-06 이재원 금고문용 안전 잠금장치
KR20000005499U (ko) * 1998-08-31 2000-03-25 조방기 금고 도어 잠금 장치
KR20010000786U (ko) * 1999-06-18 2001-01-15 정영환 빗장을 이용한 금고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43A (ko) * 1997-03-31 1998-11-16 구자홍 안전 금고 및 금고용 록킹 장치
KR19990085193A (ko) * 1998-05-14 1999-12-06 이재원 금고문용 안전 잠금장치
KR20000005499U (ko) * 1998-08-31 2000-03-25 조방기 금고 도어 잠금 장치
KR20010000786U (ko) * 1999-06-18 2001-01-15 정영환 빗장을 이용한 금고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064A (ko)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3772B2 (en) Modular storage assembly
US7387076B2 (en) Locking system for a door of an enclosure
KR100652165B1 (ko) 금고비의 잠금장치
EP1092827A2 (en) Multi point bolting mechanism
WO2009095692A1 (en) Security apparatus
US4432573A (en) Locking system for safes
TWI757270B (zh) 防盜門裝置
EP1806706B1 (en) Anti-theft case for amusement and game of chance machines
KR100645489B1 (ko) 전자식 금고비
JP6956699B2 (ja) 工作機械の扉機構
KR101216045B1 (ko) 도어록의 잠금장치
EP1311736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CN216665306U (zh) 一种双侧开门机构及开关柜
KR101263281B1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KR101304840B1 (ko) 도어잠금장치의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JP5835424B2 (ja) 遊技機
KR200298455Y1 (ko) 기어부재를 이용한 도어잠금장치
KR100720054B1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JP3593598B2 (ja) 金庫の扉施錠装置
CN111520027A (zh) 保险柜及其操作方法
JP2007301350A (ja) 遊技機
JP2001227243A (ja) 収納庫
AU772274B2 (en) Safety gate system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CN220691337U (zh) 一种具有锁扣机构的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