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22U -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 Google Patents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22U
KR20120005222U KR2020110000204U KR20110000204U KR20120005222U KR 20120005222 U KR20120005222 U KR 20120005222U KR 2020110000204 U KR2020110000204 U KR 2020110000204U KR 20110000204 U KR20110000204 U KR 20110000204U KR 20120005222 U KR20120005222 U KR 20120005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handle
side handle
ste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한솔
Original Assignee
권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한솔 filed Critical 권한솔
Priority to KR2020110000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222U/ko
Priority to PCT/KR2012/000218 priority patent/WO2012093921A2/ko
Publication of KR20120005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0Egg-whisks; Cream-beaters, i.e. hand implements or hand-driven devices
    • A47J43/1087Whisks or similar tools comprising mixing wires
    • A47J43/1093Whisks or similar tools comprising mixing wires the wires being of the closed-loop type mounted at the end of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물을 교반할 때는 교반용 강철사들을 서로 교차시켜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게 하고, 교반물을 세척할 때는 교반용 강철사들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교반용 강철사에 묻어있는 교반물을 손이나 수세미로 쉽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는, 손잡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측 손잡이와,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측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가운데 부분을 타원형상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손잡이나 제2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를 서로 결합하면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Ballon whisk}
본 고안은 거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물을 교반할 때는 교반용 강철사들을 서로 교차시켜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게 하고, 교반물을 세척할 때는 교반용 강철사들을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교반용 강철사에 묻어있는 교반물을 손이나 수세미로 쉽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거품기란 달걀의 흰자나 노른자, 생크림 등을 저어 거품을 일게 하거나 소스?조제분유?풀 등 농도 짙은 액을 고루 섞는 데 쓰는 교반용 조리기구이다.
이러한 거품기는 통상적으로 손잡이와, 음식물을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교반부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거품기(200)는 손잡이(211)의 일단에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21)가 고정되어 구형 상의 교반부(2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21)는 양단부가 손잡이(211)에 고정되고, 중앙부분은 타원형상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교반 시 그 교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 교반용 강철사(221)들은 구형 상을 갖게 교차하여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거품기(200)를 이용하여 교반물을 교반할 경우 일반적으로 교반물을 점성이 높은 끈적끈적한 젤 상태의 물질로서 교반 후 교반용 강철사(221)에 교반물질이 붙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거품기(200)는 교반용 강철사들이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내부로는 손이나 수세미 등이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거품기(200)는 교반용 강철사(221)의 안쪽은 제대로 닦아내지 못하고 그냥 물에 담가두었다가 흐른 물에 씻는 정도로 세척을 마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의 세척으로는 젤 상태의 교반물을 모두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남아 있는 교반물에 세균 등이 번식하여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교반물의 교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반물을 교반할 때와 교반기를 세척할 때 교반부의 형태를 변경시켜서 교반용 강철사의 앞뒤를 모두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를 서로 교차시키거나 평행하게 배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포장, 운송 및 보관시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일 실시 예는,
손잡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측 손잡이와,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측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가운데 부분을 타원형상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손잡이나 제2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를 서로 결합하면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의 마주보는 면에는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다른 실시 예는,
손잡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 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봉의 외주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봉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원통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 원통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봉과 회전 원통 사이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봉과 회전 원통의 사이에는 회전 원통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는, 교반물을 교반할 때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의 가운데 부분을 타원형상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교반 후에 교반물을 세척할 때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직선형으로 펴지거나 평행이 되도록 함으로써 교반용 강철사에 묻어 있는 찌꺼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품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다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품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의 일 실시 예는,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로 이루어진 손잡이(11)와; 상기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손잡이(11)는,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손잡이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비해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두 개의 몸체가 일체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대어 결합하여 종래의 손잡이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의 일단은 제1측 손잡이(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측 손잡이(13)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의 끝 부분은 원호형상으로 배열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의 양단에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가 각각 결합하여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의 맞닿는 면에는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3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결합수단(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의 맞닿는 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자석(31)(32)일 수 있다. 자석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결합수단(30)은 반드시 자석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기계적인 결합수단(예, 후크구조, 나사체결구조 등)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의 맞닿는 면에는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가 원활하게 결합하도록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 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가이드 부재(40)는 제1측 손잡이(12)에 형성된 수직홈(41)과 제2측 손잡이(13)의 맞닿는 면에 형성된 수직돌부(42)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의 양단에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가 결합하여 있는 상태로 생산, 포장, 보관 및 유통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거품기(10)를 사용하여 교반물을 교반할 때는 상기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제1측 손잡이(12)나 제2측 손잡이(13) 중 어느 하나를 일정 각도로 예를 들어 180°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를 서로 결합하므로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는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20)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형상의 교반부(20)는 강철사의 강도를 높여주고 교반물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형 상의 교반부(20)는 그 내부로 손이나 수세미 등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교반용 강철사(21)에 붙어있는 교반물을 세척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를 세척할 때는 상기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를 분리시켜 세척한다. 그러면 제1측 손잡이(12)와 제2측 손잡이(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가 직선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손이나 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교반용 강철사(21)의 앞뒤에 붙어있는 교반물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11)를 원형인 것으로 하고,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는 반원형인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를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교반용 강철사(21)는 피아노 선(線)처럼 탄력이 있고 경도가 높은 것,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실리콘이 코팅된 강철선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품기(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거품기(10)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의 가운데 부분이 타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를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도 3a참조), 상기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 중 어느 하나를 180°회전시키면서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의 맞닿는 면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도 3b참조). 그러면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21)가 서로 교차하여 꼬이게 되고, 상기 제1측 손잡이(31)와 제2측 손잡이(13)를 서로 근접시키면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의 맞닿는 면에 구비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31)(32)의 자력에 의해서 두 개의 손잡이(12)(13)가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20)를 형성하게 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이 두 개의 손잡이(12)(13)가 결합된 상태에서 교반물을 교반 한다. 반대로 거품기(10)에 묻어 있는 교반물을 세척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1측 및 제2측 손잡이(12)(13)를 강제로 분리시켜서 복수 개의 강철사(21)가 직선이 되도록 펼치면 복수 개의 강철사(21)가 평행으로 배열되므로 강철사(21)의 앞?뒷면을 모두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도 3c 참조).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0)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거품기(100)는, 선단에 고정 봉(112)이 구비된 손잡이부(111)와, 상기 고정 봉(112)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회전 원통(113), 그리고 상기 고정 봉(112)과 회전 원통(1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손잡이(111)는 고정 봉(112)과 회전 원통(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정 봉(112)은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114)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 원통(113)은 상기 고정 봉(112)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종래의 손잡이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비해서 본 고안의 손잡이(111)는 회전 가능한 회전 원통(113)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 원통(113)은 두 개의 반원형 통을 고정 봉(112) 주위에 결합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의 일단은 고정 봉(112)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 원통(113)의 선단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는 원호형상으로 배열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는 가운데 부분이 타원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 봉(112)과 회전 원통(113)에 각각 결합하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봉(112)의 외주 면과 회전 원통(113)의 내주 면에는 회전 원통(113)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가이드 부재(13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130)는, 상기 회전 원통(113)의 내주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부(131)와 상기 고정 봉(112)의 외주 면에 볼록하게 돌설된 돌부(1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요부(131)와 돌부(132)가 서로 결합하여 회전 원통(11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원통(113)을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 원통(113)의 내주 면에 형성된 요부(131)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0)를 사용하여 교반물을 교반할 때는, 회전 원통(113)을 회전시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1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형상의 교반부(120)는 강철사의 강도를 높여주고 교반물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형 상의 교반부(120)는 그 내부로 손이나 수세미 등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교반용 강철사(121)에 붙어있는 교반물을 세척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0)를 세척할 때는, 회전 원통(113)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180°) 회전시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가 평행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는 직선상으로 배열되지는 않지만 강철사(121)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손이나 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교반용 강철사(121)의 앞뒤에 붙어있는 교반물을 모두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111)를 원형인 것으로 하고 상기 고정 봉(112) 및 회전 원통(113)의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를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교반용 강철사(121)는 피아노 선(線)처럼 탄력이 있고 경도가 높은 것,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실리콘이 코팅된 강철선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 도 6 및 7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100)의 사용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의 가운데 부분이 타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고정 봉(112)에 회전 원통(113)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원통(113)을 180°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121)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120)를 형성하게 된다(도 6 참조). 반대로 상기 회전 원통(113)을 반대방향으로 180°회전시키면서 교반부(120)의 교반용 강철사(121)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교반용 강철사(121)의 앞뒤에 묻어있는 교반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예는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만들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 예는 이하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100: 거품기 11, 111: 손잡이
12: 제1측 손잡이 13: 제2측 손잡이
20, 120: 교반부 21, 121: 교반용 강철사
30: 결합수단 31,32: 자석
40: 결합 가이드 부재 41: 수직홈
42: 수직돌부 112: 고정 봉
113: 회전 원통 114: 손잡이부
130: 회전 가이드 부재 131: 요부
132: 돌부

Claims (5)

  1. 손잡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측 손잡이와,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측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가운데 부분을 타원형상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손잡이나 제2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를 서로 결합하면 상기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의 맞닿는 면에 각각 설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손잡이와 제2측 손잡이의 맞닿는 면에는 수직홈과 수직돌부로 이루어진 결합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4. 손잡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로 이루어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 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봉의 외주에는 상기 교반용 강철사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봉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원통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 원통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봉과 회전 원통 사이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교반용 강철사가 서로 교차하여 구형 상의 교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봉과 회전 원통이 맞닿는 면에는 요부와 돌부로 이루어진 회전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KR2020110000204U 2011-01-07 2011-01-07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KR20120005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04U KR20120005222U (ko) 2011-01-07 2011-01-07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PCT/KR2012/000218 WO2012093921A2 (ko) 2011-01-07 2012-01-09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04U KR20120005222U (ko) 2011-01-07 2011-01-07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35U Division KR200469419Y1 (ko) 2013-05-27 2013-05-27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22U true KR20120005222U (ko) 2012-07-17

Family

ID=4645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204U KR20120005222U (ko) 2011-01-07 2011-01-07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05222U (ko)
WO (1) WO20120939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3618A1 (en) * 2013-10-10 2015-04-16 Umbra Llc Whisk assembly
CN108056678A (zh) * 2018-01-25 2018-05-22 李永品 调蛋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739B2 (ja) * 1989-06-20 2001-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電系統の再閉路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85641U (ja) * 1993-05-27 1994-12-13 清 松井 味噌の取り出し用具
KR100724615B1 (ko) * 2006-08-30 2007-06-08 김찬빈 거품기
KR101212458B1 (ko) * 2008-10-30 2012-12-14 김영일 거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3921A3 (ko) 2013-01-10
WO2012093921A2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5100B (zh) 易清洗打蛋器
RU2013141995A (ru) Венчик для кухонного электро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20120005222U (ko)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KR200469419Y1 (ko)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JP6126863B2 (ja) 攪拌具
CN204540574U (zh) 一种肉类清洗机
WO2010130826A2 (en) A whisk with scraper part
JP2005168559A (ja) ハンドミキサー及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JP4035110B2 (ja) 被覆されたキッチン用具及びキッチン用具のための被覆
KR100724615B1 (ko) 거품기
KR200457697Y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US20060187745A1 (en) Culinary whisk
JP3129356U (ja) 調理用の撹拌器
RU2543458C2 (ru) Мешал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KR200438087Y1 (ko) 가정용 쌀 세정 도구
JP3776251B2 (ja) 自転公転撹拌装置
CN104414510A (zh) 组合式可拆卸家用搅拌装置
JP3175971U (ja) 調理用撹拌具
CN209595581U (zh) 搅拌器和使用该搅拌器的手持式混合器
TWI650099B (zh) 攪拌棒、攪拌機構以及烹飪機器人
JP2009000480A (ja) 撹拌器(ホイッパー)
WO2016197446A1 (zh) 搅打结构及发泡装置
CN203987725U (zh) 一种蛋白与蛋黄壳内混合加工装置
JP3222437U (ja) トング撹拌器
CN203458266U (zh) 组合式可拆卸家用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