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58B1 - 거품기 - Google Patents

거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58B1
KR101212458B1 KR1020090090786A KR20090090786A KR101212458B1 KR 101212458 B1 KR101212458 B1 KR 101212458B1 KR 1020090090786 A KR1020090090786 A KR 1020090090786A KR 20090090786 A KR20090090786 A KR 20090090786A KR 101212458 B1 KR101212458 B1 KR 10121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irring
stirring wire
hand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873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ublication of KR2010004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0Egg-whisks; Cream-beaters, i.e. hand implements or hand-drive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품기는, 고정손잡이(11):와, 상기 고정손잡이(11)의 하단에 만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교반와이어(12):가 구비된 제1교반체(1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의 끝단과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형상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22):와, 상기 제2교반와이어(2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손잡이(11)와 힌지(H)를 매개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가압손잡이(21):가 구비된 제2교반체(20);와, 상기 고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21)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감되는 복원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반와이어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동작이 용이하므로 교반와이어의 내부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거품기

Description

거품기{Whisk}
본 발명은 거품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교반와이어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동작이 용이하므로 교반와이어의 내부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거품기는 생크림, 계란 등과 같은 음식물 또는 각종 소스나 풀을 저어서 거품을 일어나게 하는 기구로서 특히 주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품기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하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교반(攪拌)하는 교반와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교반와이어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만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품기는 사용 후 위생상 반드시 세척을 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교반와이어의 외부에 묻어있는 이물질(식자재, 음식물 등)들은 손쉬운 세척이 가능하지만, 교반와이어의 내부에 묻거나 점착되어있는 이물질들은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특히, 점성이 높은 이물질들은 더욱 세척하기 어려워 식자재들 사이의 맛과 향이 서로 혼합될 뿐만 아니라 세균이 증식하기 용이한 문제점 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교반와이어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동작이 용이하므로 예컨대, 한자기 식자재의 교반이 완료된 후 교반와이어의 내부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세척이 용이하여 식자재들의 맛과 향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교반와이어의 세척이 용이하여 교반와이어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고정손잡이(11):와, 상기 고정손잡이(11)의 하단에 만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교반와이어(12):가 구비된 제1교반체(1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의 끝단과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형상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22):와, 상기 제2교반와이어(2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손잡이(11)와 힌지(H)를 매개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가압손잡이(21):가 구비된 제2교반체(20);와, 상기 고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21)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감되는 복원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3);와, 상기 제2교반와이어(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3)와 결합되는 결합홈(23);과, 상기 결합돌기(13)와 결합홈(23)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구(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원수단(20)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하측(101):과, 이 손잡이하측(101)의 상단에 연결되는 절곡부(102):와, 이 절곡부(102)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상측(103):이 포함되는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와, 상기 손잡이(100a, 100b)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절첩되도록 상기 절곡부(102)에 설치되는 힌지(H);와, 상기 손잡이하측(101)의 하부에 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1교반와이어(200);와, 상기 손잡이상측(103)의 상부에 연결구(3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상단이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어 절첩되는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와,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상부에 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1교반와이어(200);와,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하부에 연결구(3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2실시예와 3실시예는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0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되는 결합홈(500);과,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홈(5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구(60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계패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에 형성되는 조작부(110); 및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상기 손잡이(100a, 100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와이어(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반와이어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동작이 용이하므로 예컨대, 한자기 식자재의 교반이 완료된 후 교반 와이어의 내부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세척이 용이하여 식자재들의 맛과 향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반와이어의 세척이 용이하여 교반와이어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교반와이어가 닫힌상태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교반와이어가 열린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제1교반체(10), 제2교반체(20) 및 복원수단(30)이 포함되며, 고정손잡이(11), 제1교반와이어(12), 결합돌기(13), 가압손잡이(21), 제2교반와이어(22), 결합홈(23) 및 고정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체(10)는 고정손잡이(11)와 제1교반와이어(1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11)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음식물의 교반시 손 목의 스냅이 전달되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부재이며, 이러한 고정손잡이(11)의 하단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다수개로 구성된 와이어의 묶음인 제1교반와이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손잡이(11)는 후술할 가압손잡이(21)와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제1교반와이어(12)는 후술할 제2교반와이어(22)와 결합되되, 이러한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결합은 도 1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와이어(12)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3)와 제2교반와이어(22)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23)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13)와 결합홈(23)이 설치되는 위치가 서로 바뀔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교반체(20)는 가압손잡이(21)와 제2교반와이어(22)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손잡이(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H)를 매개로 고정손잡이(11)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재인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제2교반와이어(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교반와이어(12)와 결합되는 부재이며, 두 부재의 형상은 좌우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닫힌상태라고 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결합이 해체되어 있는 상태를 열린상태라고 한다.
또한, 상기 고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21)의 사이, 즉, 내측면에는 스프링 재질의 복원수단(30)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손잡이(21)가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시 탄성복원력이 증감된다.
상기와 같이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개폐에 따라 복원수단(30)에 저장되는 탄성복원력의 증감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의 상태, 즉, 닫힌상태에서는 복원수단(30) 자체의 탄성에 의해 고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21)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복원수단(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지며, 이렇게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손잡이(11)를 잡고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닫힌상태에서 사용이 교반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손잡이(21)를 고정손잡이(11) 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가압손잡이(21)는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결합이 해체되어 열린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복원수단(30)에는 상기 가압손잡이(21)의 이동거리에 비례한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는데, 이렇게 열린상태에서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내측을 솔이나 수세미와 같은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후, 가압손잡이(21)를 놓으면, 상기 가압손잡이(21)는 복원수단(30)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닫힌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렇게 닫힌 상태에서 또 다른 음식물을 교반하거나 행거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를 걸어놓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하측 단부에는 고정구(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정구(40)는 도 1과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1개는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내측에서, 나머지 1개는 외측에서 서로 끼움결합되어 상술한 결합돌기(13)와 결합홈(23)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40)는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2개의 고정구(40)가 서로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와이어가 삽입?고정되도록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구(40)는 후술할 2실시예와 3실시예에도 적용되는 것이므로 후술할 제2실시예와 3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정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손잡이(100a, 100b), 힌지(H), 제1교반와이어(200) 및 제2교반와이어(300)가 포함되며, 손잡이하측(101), 절곡부(102), 손잡이상측(103), 조작부(110), 제1연결구(210), 제2연결구(310), 결합돌기(400), 결합홈(500), 고정구(600) 및 결합와이어(W)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0a, 100b)는 한 쌍을 이루는 부재로서, 손잡이하측(101), 절곡부(102) 및 손잡이상측(1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하측(101)과 손잡이상측(103)은 상하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상측(103)은 교반시 사용자가 본 발명의 2실시예를 잡고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102)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힌지결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는 마치 가위와 같이 절첩되며, 절첩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외측면에는 조작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는 상기 손잡이하측(101)의 하부에 제1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손잡이(100a, 100b)가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면서 만곡된 다수개로 구성된 와이어의 묶음인 제1교반와이어(200)의 끝단이 서로 결합 또는 해체되는데, 결합시 단면이 타원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된 제1교반와이어(200)가 손잡이(100a, 100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손잡이(100a, 100b)는 결합와이어(W)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합와이어(W)의 일측은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210)에 마련된 홈(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마련된 결합부재(120)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결합부재(120)는 상기 결합와이어(W)를 잡아당겨 장력에 의해 제1교반와이어(200)를 손잡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교반와이어(300)는 상기 손잡이상측(103)의 상부에 제2연결구(3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손잡이(100a, 100b)가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면서 만곡된 다수개로 구성된 와이어의 묶음인 제2교반와이어(300)의 끝단이 서로 결합 또는 해체되는데, 결합시 단면이 타원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310)를 매개로 연결된 제2교반와이어(300)가 손잡이(100a, 100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교반와이어(300)와 손잡이(100a, 100b)는 결합와이어(W)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합와이어(W)의 일측은 제2연결구(310)에 마련된 홈(3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마련된 결합부재(120)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결합부재(120)는 상기 결합와이어(W)를 잡아당겨 장력에 의해 제2교반와이어(300)를 손잡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교반와이어(300)는 상술한 제1교반와이어(200)와 설치되는 곳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것이 동일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는 결합된 상태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제작되어 음식물이 담 긴 그릇의 크기에 따라 제1교반와이어(200) 또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힌지(H)에 의해 개폐되는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는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결합돌기(400)가, 타측에는 결합홈(500)이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1실시예에 기재된 고정구(600)가 더 포함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손잡이(100a, 100b), 제1교반와이어(200)가 포함되며, 조작부(110), 제2교반와이어(300), 제3연결구(410), 결합돌기(400), 결합홈(500), 고정구(600) 및 결합와이어(W)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0a, 100b)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시 사용자가 본 발명의 3실시예를 조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단이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힌지결합에 의해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손잡이(100a, 100b)는 집게와 같이 절첩되며, 절첩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외측에는 조작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하부에 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손잡이(100a, 100b)가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면서 만곡된 다수개로 구성된 와이어의 묶음인 제1교반와이어(200)의 끝단이 서로 결합 또는 해체되는데, 결합시 단면이 타원을 이룬다.
또한, 상기 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된 제1교반와이어(200)가 손잡이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손잡이(100a, 100b)는 결합와이어(W)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합와이어(W)의 일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10)에 마련된 홈(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마련된 결합부재(120)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결합부재(120)는 상기 결합와이어(W)를 잡아당겨 장력에 의해 제1교반와이어(200)를 손잡이(100a, 100b)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상부에 제2교반와이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제2교반와이어는 상기 손잡이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룬다.
상기 제2교반와이어(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상부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는 결합된 상태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제작되어 음식물이 담긴 그릇의 크기에 따라 제1교반와이어(200) 또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힌지(H)에 의해 개폐되는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부의 일측에는 결합돌기(400)가, 타측에는 결합홈(500)이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1실시예에 기재된 고정구(600)가 더 포함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제1교반와이어와 제2교반와이어가 닫혀있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제1교반와이어와 제2교반와이어가 열려있는 상태의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제1교반와이어와 제2교반와이어가 닫혀있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거품기의 제1교반와이어와 제2교반와이어가 열려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실시예*
H-힌지
10-제1교반체 11-고정손잡이
12-제1교반와이어 13-결합돌기
20-제2교반체 21-가압손잡이
22-제2교반와이어 23-결합홈
30-복원수단
40고정구
*2실시예*
H-힌지 W-결합와이어
100a, 100b-손잡이 101-손잡이하측
102-절곡부 103-손잡이상측
110-조작부 120-결합부재
200-제1교반와이어 210-제1연결구
211-홈
300-제2교반와이어 310-제2연결구
311-홈
400-결합돌기
500-결합홈
600-고정구
*3실시예*
H-힌지 W-결합와이어
100a, 100b-손잡이 110-조작부
120-결합부재
200-제1교반와이어
300-제2교반와이어
400-결합돌기
410-제3연결구 411-홈
500-결합홈
600-고정구

Claims (7)

  1. 고정손잡이(11):와, 상기 고정손잡이(11)의 하단에 만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교반와이어(12):가 구비된 제1교반체(1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의 끝단과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형상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22):와, 상기 제2교반와이어(2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손잡이(11)와 힌지(H)를 매개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가압손잡이(21):가 구비된 제2교반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11)와 가압손잡이(21)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감되는 복원수단(30);과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각 단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3);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각 단부 중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3);과
    상기 결합돌기(13)와 결합홈(23)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12)와 제2교반와이어(22)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구(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원수단(30)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3.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하측(101):과, 이 손잡이하측(101)의 상단에 연결되는 절곡부(102):와, 이 절곡부(102)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상측(103):이 포함되는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와
    상기 손잡이(100a, 100b)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절첩되도록 상기 절곡부(102)에 설치되는 힌지(H);와
    상기 손잡이하측(101)의 하부에 제1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1교반와이어(200);와
    상기 손잡이상측(103)의 상부에 제2연결구(3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0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되는 결합홈(500);과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홈(5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구(60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개패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에 형성되는 조작부(110); 및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상기 손잡이(100a, 100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와이어(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5. 상단이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어 절첩되는 한 쌍의 손잡이(100a, 100b);와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하부에 연결구(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1교반와이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상부에 연결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손잡이(100a, 100b)의 절첩시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제2교반와이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00);와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 중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되는 결합홈(500);과
    상기 결합돌기(400)와 결합홈(5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의 각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구(60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개폐되도록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형성되는 조작부(110); 및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가 상기 손잡이(100a, 100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1교반와이어(200)와 제2교반와이어(300)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00a, 100b)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와이어(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KR1020090090786A 2008-10-30 2009-09-25 거품기 KR101212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55 2008-10-30
KR20080107155 2008-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73A KR20100048873A (ko) 2010-05-11
KR101212458B1 true KR101212458B1 (ko) 2012-12-14

Family

ID=4227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786A KR101212458B1 (ko) 2008-10-30 2009-09-25 거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5103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新型打蛋器
CN105395100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易清洗打蛋器
CN105395102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手动打蛋器
CN105395109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卫生型打蛋器
CN105395101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便于放置的打蛋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22U (ko) * 2011-01-07 2012-07-17 권한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CN102987939A (zh) * 2012-11-19 2013-03-27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打蛋器
KR200469419Y1 (ko) * 2013-05-27 2013-10-11 권한솔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KR101998183B1 (ko) 2016-12-20 2019-07-10 우진에코텍(주) 용접철망 펜스
KR102338142B1 (ko) * 2020-10-26 2021-12-09 김철수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거품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793U (ko) 1976-05-18 1977-11-21
JP2005034558A (ja) 2003-07-14 2005-02-10 Takashi Taji 米とぎ器
KR100724615B1 (ko) 2006-08-30 2007-06-08 김찬빈 거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793U (ko) 1976-05-18 1977-11-21
JP2005034558A (ja) 2003-07-14 2005-02-10 Takashi Taji 米とぎ器
KR100724615B1 (ko) 2006-08-30 2007-06-08 김찬빈 거품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5103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新型打蛋器
CN105395100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易清洗打蛋器
CN105395102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手动打蛋器
CN105395109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卫生型打蛋器
CN105395101A (zh) * 2015-11-18 2016-03-16 黄巧玲 便于放置的打蛋器
CN105395109B (zh) * 2015-11-18 2018-05-22 南安市景燕电子科技有限公司 卫生型打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73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58B1 (ko) 거품기
US9643141B2 (en) Shakeable container with agitator
US8307491B1 (en) Whisk wiper
US20130068250A1 (en) Whisk wiper
US8616482B2 (en) Kitchen appliance
US20190104912A1 (en) Swept brush assembly
AU2008202204A1 (en) Device for Cooking Foodstuffs
US10743689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novel two-chambered drinking receptacles
US7717635B1 (en) Liquid dispensing brush
JP2005514977A (ja) 固定ハンドルおよび関連ほうきを備えたちり取り
US10151087B1 (en) Water dispenser
US20120314527A1 (en) Stirrer for all types of containers, and especially for a baby bottle
US10349730B2 (en) Juicer Brush
US7354189B2 (en) Culinary utensil
KR200389937Y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0454495Y1 (ko) 휴대용 수저 케이스
JP5825702B1 (ja) 泡立て器
KR200335446Y1 (ko) 마늘 박피장치
CN211432509U (zh) 杯盖组件和料理机
KR102100391B1 (ko) 원터치 탈착 구조를 갖는 음식 제조기용 교반기
KR20170004171U (ko) 다용도 컵
KR101490159B1 (ko) 주방용기 세척도구
KR200469419Y1 (ko) 세척이 용이한 거품기
CN217565821U (zh) 汤勺
CN210094973U (zh) 清洁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