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01A -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 Google Patents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01A
KR20120004201A KR1020100064930A KR20100064930A KR20120004201A KR 20120004201 A KR20120004201 A KR 20120004201A KR 1020100064930 A KR1020100064930 A KR 1020100064930A KR 20100064930 A KR20100064930 A KR 20100064930A KR 20120004201 A KR20120004201 A KR 2012000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oil tank
drain
drai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234B1 (ko
Inventor
김시형
문병구
조상수
허숙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2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63H21/386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for handling lubricatio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의 내부로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을 저장 및 정화하여 석션 파이프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선박용 드레인 오일탱크로서, 상기 석션 파이프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를 구비한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구비한 상부 바디를 포함하는 선박용 드레인 일 탱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로 드레인 되는 사용된 오일을 탱크의 내부에서 별도로 저장하여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설치 및 내부 도장 작업 시 작업성과,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DRAIN OIL TANK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기기 등에 사용된 후, 드레인 되는 오일을 별도로 저장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기 등을 가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오일은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러한 오일은 선박에 설치된 기기의 가동을 위해 석션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기기로 공급되며, 기기로부터 사용되고 남은 오일은 다시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탱크로 드레인 된다.
즉,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파이프(3)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파이프(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밴트홀(11)을 갖는 별도의 격벽(10)이 탱크(1)의 내부에서 상, 하부를 연결하여 용접된다.
이러한 격벽(10)은 상기 탱크(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별도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격벽(10)의 일측에는 석션 파이프(5)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파이프(7)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밴트홀(11)은 상기 격벽(1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드레인되는 오일의 유입으로 인해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 파이프(7)에는 벨 마우스(9)가 장착되어 드레인 되어 상기 격벽(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어 정화된 오일을 다시 석션 파이프(5)를 통해 공급하여 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탱크(1)의 내부를 구획하여 별도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격벽(10)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격벽(10)의 설치작업과 내부 도장 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격벽(10)의 내부에 문제 발생 시,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격벽(10)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격벽(10)의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상기 탱크(1)의 내부공간을 줄이는 바, 탱크(1)에 내부의 오일 저장량이 감소되며, 격벽(10)의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파이프(3)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밴트홀(11)을 통해 드레인 된 오일이 탱크(1)로 유출되어 탱크(1)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탱크(1)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이 오염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의 내부에 선박의 기기 등에 사용된 후, 드레인 되는 오일을 별도로 저장하여 재사용 하기 위해 설치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로서 드레인 된 오일이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여 탱크에 잔존하는 오일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고,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설치 및 내부 도장 작업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내부문제 발생 시에는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는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의 내부로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을 저장 및 정화하여 석션 파이프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선박용 드레인 오일탱크로서, 상기 석션 파이프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를 구비한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구비한 상부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탱크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는 밸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의 상단에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의 하단에는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호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바디의 내부로 드레인 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는 하단의 외주면 둘레부가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용접되고, 상기 탱크의 측면에 제1 지지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는 상면이 폐쇄되어 외주면 일측에 연결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탱크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파이프와 드레인 파이프는 상호 대응하는 단부에 각각 파이프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 사이에는 파이프 가스켓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상기 선박에 사용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탱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에 의하면, 선박의 기기 등에서 사용된 후, 다시 탱크로 드레인 되는 오일을 탱크의 내부에서 별도로 저장하여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탱크에 잔존하는 오일의 오염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호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설치 및 내부 도장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내부문제 발생 시에는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서, 드레인 오일 탱크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탱크 내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가 장착된 탱크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가 장착된 탱크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는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101)의 내부에 선박에 설치된 기기 등에 사용된 후, 드레인 파이프(103)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을 별도로 저장하여 저장된 오일을 석션 파이프(105)를 통해 배출하여 재사용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101)는 상기 선박에 설치된 기기 등에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는 드레인 된 오일이 상기 탱크(101)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여 탱크(101)에 잔존하는 오일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고,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설치 및 내부 도장 작업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내부문제 발생 시에는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며, 하부 바디(110), 상부 바디(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 바디(110)는 상기 석션 파이프(105)에 대응하여 외부로 돌출된 배출 파이프(111)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파이프(111)는 상기 석션 파이프(105)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 바디(110)는 상기 탱크(10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바디(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의 외주면 둘레부가 상기 탱크(101)의 바닥면에 용접되고, 상기 탱크(101)의 측면에 제1 지지부재(140)를 통해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 파이프(111)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밸 마우스(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 마우스(130)는 상기 하부 바디(1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111)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저장공간(150)에 저장된 오일을 재 사용할 경우, 오일을 흡입할 때 발생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바디(120)는 상기 하부 바디(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103)에 대응하여 외부로 돌출된 유입 파이프(121)가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 파이프(103)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 바디(120)는 상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연결부재(123)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123)에 대응하여 상기 탱크(101)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14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23)는 제2 지지부재(141)에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바디(110)의 상단에는 하부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120)의 하단에는 상부 플랜지(125)가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볼트(B)를 통해 상호 체결되어 내부에 드레인 된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5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113)와 상부 플랜지(125) 사이에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의 내부로 드레인 되어 저장되는 오일이 상기 탱크(101)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플랜지(113, 125)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가스켓(160)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 파이프(121)와 드레인 파이프(103)는 상호 대응하는 단부에 각각 파이프 플랜지(170)가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17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볼트 체결된다.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170) 사이에는 파이프 가스켓(180)이 개재되어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170)의 사이를 시일함으로써, 드레인 되는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오일 탱크(100)는 상기 하부 바디(110)로부터 상기 상부 바디(120)가 완전히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121)와 드레인 파이프(103)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123)를 통해 상기 탱크(101)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14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의 형상은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탱크(101)의 내부에 복수 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는 오일이 저장되는 상기 탱크(101) 뿐만 아니라, 빌지(Bilge) 탱크 등을 포함한 기타 모든 탱크에 적용이 가능하며, 선박을 제외한 건물이나 차량 등 일반적으로 유체가 저장되는 기타 모든 탱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의 작동을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탱크(101)에 저장된 오일이 선박에 설치된 기기 등에 공급되어 사용된 후, 사용된 오일이 드레인 되면, 상기 드레인 파이프(103)를 통해 유입된다.
그러면, 드레인 된 오일은 상기 드레인 파이프(103)와 연결된 상기 유입 파이프(121)를 통해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가 형성하는 저장공간(150)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런 후, 상기 저장공간(150)에 저장된 오일이 정화되면, 정화된 오일은 상기 밸 마우스(130)로부터 배출 파이프(111)를 통해 상기 석션 파이프(105)로 배출되어 다시 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100)를 적용하면, 선박의 기기 등에서 사용된 후, 다시 탱크(101)로 드레인 되는 오일을 탱크(101)의 내부에서 별도로 저장하여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과 혼합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탱크(101)에 잔존하는 오일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바디(110)로부터 상부 바디(120)가 분리되도록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설치 및 내부 도장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내부문제 발생 시에는 내부 접근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드레인 오일 탱크(100)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탱크 103...드레인 파이프
105...석션 파이프 110...하부 바디
111...배출 파이프 113...하부 플랜지
120...상부 바디 121...유입 파이프
123...연결부재 125...상부 플랜지
130...밸 마우스 140, 141...제1, 제2 지지부재
150...저장공간 160...가스켓
170...파이프 플랜지 180...파이프 가스켓

Claims (10)

  1. 선박에 설치되는 탱크의 내부로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드레인 되는 오일을 저장 및 정화하여 석션 파이프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선박용 드레인 오일탱크로서,
    상기 석션 파이프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를 구비한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구비한 상부 바디;
    를 포함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탱크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는 밸 마우스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의 상단에는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의 하단에는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호 볼트 체결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바디의 내부로 드레인 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개재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하단의 외주면 둘레부가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용접되고, 상기 탱크의 측면에 제1 지지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상면이 폐쇄되어 외주면 일측에 연결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탱크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파이프와 드레인 파이프는 상호 대응하는 단부에 각각 파이프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볼트 체결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 플랜지 사이에는 파이프 가스켓이 개재되는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선박에 사용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탱크인,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KR1020100064930A 2010-07-06 2010-07-06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KR10115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30A KR101159234B1 (ko) 2010-07-06 2010-07-06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30A KR101159234B1 (ko) 2010-07-06 2010-07-06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01A true KR20120004201A (ko) 2012-01-12
KR101159234B1 KR101159234B1 (ko) 2012-06-25

Family

ID=456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930A KR101159234B1 (ko) 2010-07-06 2010-07-06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973A (ko) * 2012-11-22 2014-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압 배수라인 압력저감장치
CN106741712A (zh) * 2016-12-01 2017-05-31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船体油舱的空气管进水报警箱及其报警方法
CN113799955A (zh) * 2021-09-27 2021-12-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滑油净化的隔离装置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89A (ja) * 1994-10-25 1996-05-14 Nkk Corp オイルタンカーの船体構造
JP3428898B2 (ja) * 1998-06-18 2003-07-22 株式会社 商船三井 船舶ビルジ用浮遊油回収装置
JP4541116B2 (ja) * 2004-11-30 2010-09-08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におけるウォーターコースの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973A (ko) * 2012-11-22 2014-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압 배수라인 압력저감장치
CN106741712A (zh) * 2016-12-01 2017-05-31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船体油舱的空气管进水报警箱及其报警方法
CN113799955A (zh) * 2021-09-27 2021-12-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滑油净化的隔离装置及船舶
CN113799955B (zh) * 2021-09-27 2023-03-24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滑油净化的隔离装置及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234B1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234B1 (ko)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KR101044475B1 (ko)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CN206317997U (zh) 一种化学品船节能循环洗舱系统结构
KR20130003927A (ko) 선외 배출 해수박스
JP2018518420A (ja) 摩擦抵抗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船舶
CN210507741U (zh) 一种高压系统新型防喷溅地漏
KR101324321B1 (ko) 선박
JP2018079834A (ja) 船舶の置きタンクの液体漏洩防止装置
KR20140066380A (ko) 배관 수납 공간을 갖는 선박
KR20110064682A (ko) 선박의 해수흡입장치
JP2008239097A (ja) 液体運搬船
CN113799955B (zh) 一种滑油净化的隔离装置及船舶
CN115195945B (zh) 具有透气和溢流功能的船用集装箱立柱
KR101814749B1 (ko) 리프트 펌프의 안벽 테스트용 보조 장치
CN109050790A (zh) 一种液货船甲板的排水系统
CN218148684U (zh) 一种静音式无负压供水设备
CN211080493U (zh) 一种同层排水沉箱变径预埋地漏组合系统
KR20140033589A (ko) 밸러스트 탱크의 흡입 파이프 연결구조
KR101370070B1 (ko) 이물질 및 해양 생물 유입 방지 장치
RU197897U1 (ru) Мягки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жидких сред
CN211364846U (zh) 一种货舱压载水排载装置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2368699B1 (ko) 조선소 선박 에어시스템의 배관 압력 테스트 시 배관의 녹 방지용 방청제 공급 유니트
JP7241390B2 (ja) 縦置き型sf二重殻タンク
KR101122773B1 (ko) 핸드 펌프용 오일 코밍이 구비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