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06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06A
KR20120002406A KR1020110017597A KR20110017597A KR20120002406A KR 20120002406 A KR20120002406 A KR 20120002406A KR 1020110017597 A KR1020110017597 A KR 1020110017597A KR 20110017597 A KR20110017597 A KR 20110017597A KR 20120002406 A KR20120002406 A KR 2012000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plate
hole
electro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601B1 (ko
Inventor
변상원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홀과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집전판을 구비함으로써, 퓨즈홀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퓨즈홀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 영역을 포함하는 집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퓨즈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퓨즈홀과, 상기 퓨즈홀의 제 1 끝단과 인접한 상기 퓨즈 영역의 제 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전극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차 전지는 과도한 열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이 분해되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발화되거나 폭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차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홀과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집전판을 구비함으로써, 퓨즈홀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퓨즈홀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 영역을 포함하는 집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퓨즈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퓨즈홀과, 상기 퓨즈홀의 제 1 끝단과 인접한 상기 퓨즈 영역의 제 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히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퓨즈홀이 형성된 상기 퓨즈 영역의 단면 영역이 상기 집전판의 다른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판이 상기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단자홀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단자홀에서 상기 전극 단자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퓨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가 상기 퓨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전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퓨즈 영역이 상기 모서리부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폭이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가 상기 캡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는 제 1 전극 단자이며,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집전판은 제 1 집전판이며, 상기 퓨즈 영역은 제 1 퓨즈 영역이고, 상기 퓨즈홀은 제 1 퓨즈홀이고, 상기 퓨즈 돌기는 제 1 퓨즈 돌기이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집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제 2 퓨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퓨즈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제 2 퓨즈홀과 상기 제 2 퓨즈홀과 인접한 제 2 퓨즈 영역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퓨즈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 영역은 상기 제 1 끝단과 반대되는 상기 퓨즈홀의 제 2 끝단과 인접한 상기 퓨즈 영역의 제 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또다른 퓨즈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홀이, 상기 퓨즈 돌기를 향해 연장하는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퓨즈홀의 제 1 끝단과, 상기 퓨즈 돌기가 연장되는 상기 퓨즈 영역의 제 1 측부 사이의 거리는 1mm 내지 5mm일 수 있다.
상기 퓨즈 돌기는 측부에 형성된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퓨즈홀과 퓨즈 돌기를 갖는 집전판을 구비함으로써, 퓨즈홀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고 단락 발생시에는 퓨즈 돌기쪽으로 전류가 우회하도록 하여 퓨즈 돌기에서 전류의 흐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단락이 발생하기 전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퓨즈홀이 형성된 영역의 휘어짐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퓨즈홀의 퓨즈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락이 발생한 후에는 퓨즈홀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집전판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II-II' 선을 따라 절취한 제 1 집전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집전판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II' 선을 따라 절취한 제 1 집전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도 3a에 대응하는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집전판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의 II-II' 선을 따라 절취한 제 1 집전판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집전판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 제 1 집전판(20), 제 2 집전판(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 1 전극판(11), 세퍼레이터(13), 제 2 전극판(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전극판(11)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판(12)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전극 무지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11a)는 제 1 전극판(11)과, 제 1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전극판(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12)은 니켈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 2 전극 무지부(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12a)는 제 2 전극판(12)과, 제 2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전극판(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제 1 전극판(11) 및 제 2 전극판(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전극판(11)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판(12)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제 1 전극판(11)과 제 2 전극판(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0)의 양측 단부에는 제 1 전극판(11)과 제 2 전극판(1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집전판(20)과 제 2 집전판(30)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집전판(2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 1 전극 무지부(11a)와 접촉됨으로써, 제 1 전극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집전판(20)은, 도 2 및 도 3a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21), 제 1 연장부(23), 제 1 단자홀(24), 제 1 퓨즈홀(25) 및 제 1 퓨즈 돌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1)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와 캡 조립체(5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연결폭(Wc)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부(21)는 제 1 단자홀(24)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 1 단자 영역(St)과,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 1 퓨즈 영역(Sf)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3)는 제 1 연결부(21)에 대하여 절곡되고 제 1 연결부(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 1 전극 무지부(11a)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연결폭(Wc)보다 큰 제 1 연장폭(We)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제 1 연장부(23)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C' 라고 하기로 하며,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제 1 연장부(23)는 상기 모서리부(C)를 중심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폭(Wc)이 제 1 연장폭(We) 보다 작은 이유는 이차 전지(100)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일 때 이차 전지(100)의 내부 가스가 오픈되는 벤트 플레이트(57)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단자홀(24)은 제 1 연결부(21)의 일측, 즉 제 1 단자 영역(St)에 형성되며, 제 1 연결부(21) 중 캡 조립체(50)의 제 1 전극 단자(52)가 끼워져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자 영역(St)은 제 1 연결부(21) 중 모서리(C)와 멀리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는 전해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0)의 상부 영역, 즉 제 1 연결부(21)의 제 1 퓨즈 영역(Sf)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가 형성된 제 1 퓨즈 영역(Sf)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해액이 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퓨즈 영역(Sf)은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가 제 1 단자홀(24)에 결합되는 제 1 전극 단자(52)와 중첩하지 않도록 제 1 연결부(21) 중 모서리부(C)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퓨즈홀(25)은 제 1 연결부(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퓨즈홀(25)은 제 1 연결부(21) 중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이 제 1 집전판(20)의 다른 영역보다 적은 단면적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퓨즈홀(25)은 제 1 퓨즈 돌기(26)를 향해 연장하는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형상,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21)의 폭 방향으로 긴 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 퓨즈홀(25)은 제 1 연결부(21)를 관통하는 홀 대신 제 1 연결부(21)에서 다른 부분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퓨즈홀(25)은,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이차 전지(100)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제 1 단락 플레이트(60)와 제 2 단락 플레이트(61)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퓨즈홀(25)은 과충전시 유발된 단락을 이용해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시켜 전류의 흐름을 미리 차단함으로써, 발화 및 폭발의 위험과 같은 위험한 상황까지 이르기 전에 이차 전지(100)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퓨즈 영역(Sf)의 단부에서 전극 조립체(10) 방향으로 제 1 퓨즈 영역(Sf)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히 절곡되고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퓨즈홀(25)의 좌ㆍ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 퓨즈 돌기(26)은 제 1 퓨즈홀(25)의 제 1 끝단 및 제 1 끝단과 반대되는 제 2 끝단과 인접한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퓨즈홀(25) 근처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이 외부 충격에 의해 저항력이 낮아 이차 전지(100)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연장부(21) 및 제 1 연장부(23)와 함께 전류 패스(도 5의 CP)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퓨즈 돌기(26)는 제 1 연결부(21)와 제 1 연장부(23)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 1 퓨즈 돌기(26) 쪽으로 우회하도록 하여, 전류가 좁은 영역에서 흐르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퓨즈 돌기(26)는 이차 전지(100)의 단락 등에 의한 열이 더 많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제 1 퓨즈홀(25)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퓨즈 영역(Sf) 중 제 1 퓨즈 돌기(26)가 시작되는 부분과 제 1 퓨즈홀(25)의 제 1 끝단 사이의 거리(D)는 약 1mm 내지 5mm일 수 있다. 이는 거리(D)가 1mm 보다 작으면 제 1 퓨즈홀(25)의 퓨즈 기능이 커져 상대적으로 제 1 퓨즈 돌기(26)의 강도 보강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면 거리(D)가 5mm 보다 크면 제 1 퓨즈 돌기(26)의 강도 보강 기능은 커질 수 있으나 제 1 퓨즈홀(25)의 퓨즈 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퓨즈 영역(Sf) 중 제 1 퓨즈 돌기(26)가 시작되는 부분은 제 1 퓨즈 돌기(26)가 연장되는 제 1 퓨즈 영역(Sf)의 제 1 측부이다. 한편, 도 3a에서 상기 제 1 집전판(20)의 제 1 퓨즈 돌기(26)는 캡 조립체(50)의 부품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집전판(20)의 하부 방향, 즉 전극 조립체(10)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집전판(20')의 제 1 퓨즈 돌기(26')가 캡 플레이트(51)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 1 집전판(20')의 상부 방향, 즉 캡 조립체(50)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극 조립체(10) 방향은 캡 플레이트(5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며, 캡 조립체(50) 방향은 캡 플레이트(51)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 2 집전판(30)은 니켈 또는 구리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타측 단부로 돌출된 제 2 전극 무지부(12a)와 접촉됨으로써, 제 2 전극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집전판(30)은 제 2 연결부(31), 제 2 연장부(33), 제 2 단자홀(34), 제 2 퓨즈홀(35) 및 제 2 퓨즈 돌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집전판(30)의 구성은 도 3a에 도시된 상기 제 1 집전판(20)의 구성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집전판(30)은 제 1 퓨즈홀(25) 및 제 1 퓨즈 돌기(26)와 대응되는 제 2 퓨즈홀(35) 및 제 2 퓨즈 돌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집전판(20)이 퓨즈 기능을 하는 제 1 퓨즈홀(25)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집전판(20)이 니켈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집전판(30) 보다 용융점이 낮아 퓨즈 기능을 실현시키기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제 2 집전판(30)의 제 2 퓨즈홀(35)은 제 1 집전판(20)의 퓨즈홀(25)이 퓨즈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이차 전지(100)에서 퓨즈 기능이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집전판(20)에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를 형성시키지 않고, 제 2 집전판(30)에 제 2 퓨즈홀(35)과 제 2 퓨즈 돌기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 제 1 집전판(20) 및 제 2 집전판(30)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케이스(40)와 캡 조립체(50)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고 있으므로 개구부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캡 조립체(50)의 둘레 부분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한편, 케이스(40)의 내면은 절연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0), 제 1 집전판(20), 제 2 집전판(30) 및 캡 조립체(50)와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0)는 하나의 극성,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캡 조립체(50)는 케이스(40)에 결합된다. 상기 캡 조립체(50)는 구체적으로 캡 플레이트(51), 제 1 전극 단자(52), 제 2 전극 단자(53), 가스켓(54), 너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50)는 마개(56), 벤트 플레이트(57), 연결판(58), 상부 절연부재(59), 제 1 단락 플레이트(60), 제 2 단락 플레이트(61) 및 하부 절연부재(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의 개구를 밀봉하며, 케이스(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 1 집전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52)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며,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상부 기둥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기둥에는 제 1 전극 단자(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52a)가 형성되며, 제 1 전극 단자(52) 중 플랜지(52a)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 1 집전판(20)의 제 1 단자홀(2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 2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53)는 제 1 전극 단자(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 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와 절연된다.
상기 가스켓(54)은 절연성 재질로 제 1 전극 단자(52) 및 제 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전극 단자(52) 및 제 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가스켓(54)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너트(55)는 제 1 전극 단자(52) 및 제 2 전극 단자(53)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어 제 1 전극 단자(52) 및 제 2 전극 단자(53) 각각을 캡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상기 마개(56)는 캡 플레이트(51)의 전해액 주입구(51a)를 밀봉하며, 벤트 플레이트(57)는 캡 플레이트(51)의 벤트홀(51b)에 설치되며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치(57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58)은 제 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너트(55)를 통해서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연결판(58)은 제 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상부 절연부재(59)는 제 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부 절연부재(59)는 제 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를 절연시킨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의 단락홀(51c)에서 상부 절연부재(59)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60)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캡 플레이트(51)에 고정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반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60)는 이차 전지(100)에 과충전이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반전되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상기 제 2 단락 플레이트(61)는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이격된 외측, 즉 상부 절연부재(59) 위에서 제 2 전극 단자(5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단락홀(51c)을 덮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 2 단락 플레이트(61)는 제 2 전극 단자(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단락 플레이트(61)는 이차 전지(100)에 과충전이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 1 단락 플레이트(60)와 접촉하여 단락을 유발시킨다. 상기 단락이 유발되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열이 발생하며, 이때 제 1 퓨즈홀(25) 또는 제 2 퓨즈홀(35)은 퓨즈 기능을 함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하부 절연부재(62)는 제 1 집전판(20) 및 제 2 집전판(30)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를 갖는 제 1 집전판(20) 또는 제 2 퓨즈홀(35)과 제 2 퓨즈 돌기를 갖는 제 2 집전판(30)을 구비함으로써,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 또는 제 2 퓨즈홀(35)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고 단락 발생시에는 제 1 퓨즈 돌기(26) 또는 제 2 퓨즈 돌기쪽으로 전류가 우회하도록 하여 1 퓨즈 돌기(26) 또는 제 2 퓨즈 돌기에서 전류의 흐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단락이 발생하기 전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제 1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 또는 제 2 퓨즈홀(35)이 형성된 영역의 휘어짐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제 1 퓨즈홀(25) 또는 제 2 퓨즈홀(35)의 퓨즈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락이 발생한 후에는 제 1 퓨즈홀(25) 또는 제 2 퓨즈홀(35)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III-III' 선을 따라 절취한 제 1 집전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도 2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와 비교하여 제 1 집전판(120)의 제 1 퓨즈홀(125)과 제 1 퓨즈 돌기(126) 및 제 2 집전판(130)의 제 2 퓨즈홀(135)과 제 2 퓨즈 돌기(미도시)의 위치만 달라질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1 집전판(120)의 제 1 퓨즈홀(125)과 제 1 퓨즈 돌기(126) 및 제 2 집전판(130)의 제 2 퓨즈홀(135)과 제 2 퓨즈 돌기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전극 조립체(10), 제 1 집전판(120), 제 2 집전판(1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집전판(120)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21), 제 1 연장부(123), 제 1 단자홀(24) 및 제 1 퓨즈홀(125) 및 제 1 퓨즈 돌기(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퓨즈홀(125)과 제 1 퓨즈 돌기(126)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제 1 퓨즈홀(25)과 제 1 퓨즈 돌기(26)와 유사하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제 1 퓨즈홀(125)과 제 1 퓨즈 돌기(126)는 제 1 연장부(123) 중 전해액의 접촉이 최소화되는 상부 영역, 즉 모서리부(C)와 인접한 영역인 제 1 퓨즈 영역(Sf')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퓨즈 돌기(126)는 전극 조립체(10)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케이스(40)의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장부(123) 중 제 1 접촉 영역(Sc)은 실질적으로 제 1 전극 무지부(11a)와 접촉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 2 집전판(130)은 제 2 연결부(131), 제 2 연장부(133), 제 2 단자홀(34), 제 2 퓨즈홀(135) 및 제 2 퓨즈 돌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퓨즈홀(135) 및 제 2 퓨즈 돌기는 제 1 퓨즈홀(125) 및 제 2 퓨즈 돌기(12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제 1 퓨즈홀(125)과 제 1 퓨즈 돌기(126)를 제 1 집전판(120)의 제 1 연장부(123) 형성하거나 제 2 퓨즈홀(135)과 제 2 퓨즈 돌기를 제 2 집전판(130)의 제 2 연장부(133)에 형성시킴으로써, 제 1 퓨즈 돌기(126)와 캡 조립체(50) 사이의 간섭 또는 제 2 퓨즈 돌기와 캡 조립체(50) 사이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도 3a에 대응하는 제 1 집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2의 이차 전지(100)와 비교할 때 제 1 집전판(220)의 제 1 퓨즈 돌기(226)의 형상만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1 집전판(220)의 제 1 퓨즈 돌기(226)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집전판(220)은 제 1 연결부(21), 제 1 연장부(23), 제 1 단자홀(24), 제 1 퓨즈홀(25) 및 제 1 퓨즈 돌기(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퓨즈 돌기(226)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퓨즈 돌기(26)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 1 퓨즈 돌기(226)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 1 보조홈(2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조홈(227)은 제 1 퓨즈 돌기(226)의 강도 보강 기능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 제 1 퓨즈 돌기(226)의 영역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보조홈(227)은 제 1 연결부(21)와 제 1 연장부(23)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퓨즈 돌기(226) 쪽으로 우회할 때 더 좁아진 제 1 퓨즈 돌기(226)의 영역에서 전류의 흐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퓨즈 돌기(226)는 이차 전지의 단락 등에 의한 열이 더 많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제 1 퓨즈홀(25)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2 집전판은 제 1 집전판(22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 1 보조홈(227)을 제 1 퓨즈 돌기(226)에 형성시킴으로써, 제 1 퓨즈 돌기(226)의 강도 보강 기능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 제 1 퓨즈홀(25)의 퓨즈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극 조립체 20, 20', 120, 220: 제 1 집전판
25, 125: 제 1 퓨즈홀 26, 26', 126, 226: 제 1 퓨즈 돌기
30, 130: 제 2 집전판 40: 케이스
50: 캡 조립체 60: 제 1 단락 플레이트
61: 제 2 단락 플레이트 100, 200: 이차 전지

Claims (18)

  1.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 영역을 포함하는 집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퓨즈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퓨즈홀과, 상기 퓨즈홀의 제 1 끝단과 인접한 상기 퓨즈 영역의 제 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히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홀이 형성된 상기 퓨즈 영역의 단면 영역이 상기 집전판의 다른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이 상기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단자홀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단자홀에서 상기 전극 단자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퓨즈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퓨즈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전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퓨즈 영역이 상기 모서리부와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폭이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가 상기 캡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돌기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퓨즈홀을 갖는 상기 퓨즈 영역의 표면에 대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자는 제 1 전극 단자이며,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집전판은 제 1 집전판이며, 상기 퓨즈 영역은 제 1 퓨즈 영역이고, 상기 퓨즈홀은 제 1 퓨즈홀이고, 상기 퓨즈 돌기는 제 1 퓨즈 돌기이고,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집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제 2 퓨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퓨즈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제 2 퓨즈홀과 상기 제 2 퓨즈홀과 인접한 제 2 퓨즈 영역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영역은 상기 제 1 끝단과 반대되는 상기 퓨즈홀의 제 2 끝단과 인접한 상기 퓨즈 영역의 제 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또다른 퓨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홀이, 상기 퓨즈 돌기를 향해 연장하는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홀의 제 1 끝단과, 상기 퓨즈 돌기가 연장되는 상기 퓨즈 영역의 제 1 측부 사이의 거리는 1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돌기는 측부에 형성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10017597A 2010-06-30 2011-02-28 퓨즈 영역이 형성된 집전판을 갖는 이차 전지 KR101233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025810P 2010-06-30 2010-06-30
US61/360,258 2010-06-30
US13/023,452 US8501341B2 (en) 2010-06-30 2011-02-08 Rechargeable battery
US13/023,452 2011-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06A true KR20120002406A (ko) 2012-01-05
KR101233601B1 KR101233601B1 (ko) 2013-02-14

Family

ID=4471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97A KR101233601B1 (ko) 2010-06-30 2011-02-28 퓨즈 영역이 형성된 집전판을 갖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01341B2 (ko)
EP (1) EP2403036B1 (ko)
JP (1) JP5356451B2 (ko)
KR (1) KR101233601B1 (ko)
CN (1) CN10231541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0803B2 (en) 2011-07-12 2014-07-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40109676A (ko) * 2013-03-06 2014-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219268B2 (en) 2013-04-01 2015-12-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US9466823B2 (en) 2013-02-28 2016-10-1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490470B2 (en) 2013-02-20 2016-1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39B1 (ko) * 2009-10-01 2011-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1042808B1 (ko)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26809B1 (ko) * 2010-06-16 2012-03-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501341B2 (en) 2010-06-30 2013-08-0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5541015B2 (ja) * 2010-09-08 2014-07-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014990B2 (ja) * 2010-12-10 2016-10-26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集電体、及び集電体の製造方法
KR101233470B1 (ko) * 2011-01-25 2013-02-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8889292B2 (en) * 2011-10-13 2014-11-1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87087B1 (ko) * 2011-10-14 2013-07-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2013127948A (ja) * 2011-11-17 2013-06-27 Gs Yuasa Corp 集電体、蓄電素子及び集電体の製造方法
US9159984B2 (en) * 2011-11-25 2015-10-1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808031B2 (en) * 2011-12-14 2014-08-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DE102012200724A1 (de) * 2012-01-19 2013-07-25 Robert Bosch Gmbh Gehäusedeckel für ein Batteriegehäus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Gehäusedeckels
CN102593412A (zh) * 2012-02-10 2012-07-18 上海索锂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内部自动保护功能的电池
KR101907213B1 (ko) 2012-02-27 2018-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브 유니트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5976340B2 (ja) * 2012-02-29 2016-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の製造方法
DE102012205021A1 (de)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system oder für eine Batteriezell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Batterie und Kraftfahrzeug
JP5911772B2 (ja) * 2012-08-09 2016-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15070A1 (de) * 2012-08-24 2014-02-2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Batterie, Verfahren zur Entladung einer Batteriezelle und Kraftfahrzeug
JP6089784B2 (ja) 2013-02-28 2017-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KR20140110554A (ko) * 2013-03-08 2014-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3204341A1 (de) * 2013-03-13 2014-09-18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element für Batteriezelle
KR20140124247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3203190B4 (de) 2013-04-17 2022-04-21 Robert Bosch Gmbh Schutzeinrichtung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KR101702988B1 (ko) 2013-04-17 2017-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40125657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10333113B2 (en) 2013-06-19 2019-06-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retainer
KR101744087B1 (ko) * 2013-06-25 2017-06-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3326061B (zh) * 2013-07-01 2015-11-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JP6149570B2 (ja) * 2013-07-22 2017-06-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744090B1 (ko) * 2013-09-06 2017-06-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KR101724013B1 (ko) * 2013-09-24 2017-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결합이 용이한 단자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
KR101726909B1 (ko) * 2013-10-23 201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흡수 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US9225002B2 (en) * 2013-10-24 2015-12-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nit
KR102172843B1 (ko) * 2014-03-2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4212290A1 (de) * 2014-06-26 2015-12-3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Abgriff von Spannungen und Temperaturen in einer Batteriezelle
JP6331818B2 (ja) * 2014-07-23 2018-05-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2303568B1 (ko) * 2014-08-08 2021-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323949B1 (ko) * 2015-03-03 2021-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AU2016321334A1 (en) * 2015-09-09 2018-04-26 Psomagen, Inc. Method and system for microbiome-derived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bacterial vaginosis
KR102040698B1 (ko) * 2016-02-26 2019-11-05 엑서지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바이폴러 전지
JP6768418B2 (ja) 2016-08-31 2020-10-1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KR102284570B1 (ko) 2016-09-06 2021-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802980B2 (ja) * 2017-03-23 2020-1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N110832675A (zh) * 2017-07-05 2020-02-2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电池模块、电池包、车辆、蓄电系统、电动工具以及电子设备
CN108649175B (zh) * 2018-06-20 2023-11-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输出极片及电池模组
EP4080640A4 (en) * 2019-12-19 2024-03-20 Panasonic Holdings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13394493A (zh) * 2021-06-25 2021-09-14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及具有其的电动车
CA3235947A1 (en) * 2021-10-29 2023-05-04 Jin-Yi CHOI Cylindrical battery cell, battery pack, vehicle and current collecto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187A (en) 1987-10-22 1989-11-07 Eveready Battery Company Battery terminal fuse
US5158842A (en) 1992-03-27 1992-10-27 Acme Electric Corporatio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5604051A (en) * 1994-10-17 1997-02-18 Pulley; Christopher J. High temperature rechargeable cell design
JPH08185850A (ja) 1994-12-27 1996-07-16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5798906A (en) * 1996-07-17 1998-08-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apacitor
JPH10188946A (ja) 1996-12-20 1998-07-21 Toyo Takasago Kandenchi Kk 内部短絡保護装置を有する角形電池
JPH11204006A (ja) 1998-01-14 1999-07-30 Uchihashi Estec Co Ltd 温度ヒュ−ズ
US6218040B1 (en) 1999-06-11 2001-04-17 Alcatel Automatic circuit breaker for a battery
US6342826B1 (en)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JP2001148239A (ja) 1999-11-22 2001-05-29 Toyota Motor Corp 角型電池
KR100420146B1 (ko) 2001-10-18 2004-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모 프로텍터가 장착된 이차전지
JP4015414B2 (ja) 2001-12-14 2007-11-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用容器
US6858343B2 (en) * 2002-03-27 2005-02-22 Csb Battery Co., Ltd. Terminal having nut-positioning device
JP2003331815A (ja) 2002-05-17 2003-11-21 Tocad Energy Co Ltd リード板構造
KR100477750B1 (ko) 2002-09-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JP4514434B2 (ja) 2003-11-06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5259574A (ja) 2004-03-12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4401203B2 (ja) 2004-03-17 2010-01-20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電池
JP4596842B2 (ja) 2004-07-21 2010-12-1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606079B2 (ja) 2004-07-21 2011-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
KR100693115B1 (ko) 2005-11-08 2007-03-12 주식회사 비츠로셀 퓨즈기능을 갖는 캐소드 리드
KR100928129B1 (ko) 2006-01-11 200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06253B1 (ko) 2006-05-0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2008218132A (ja) 2007-03-02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電池
JP2007266000A (ja) 2007-06-01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101072956B1 (ko) 2009-03-30 2011-10-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246140B2 (en)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8268478B2 (en) 2009-08-17 2012-09-18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ti-vibration member
KR101042808B1 (ko)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26839B1 (ko) 2010-06-04 2012-03-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501341B2 (en) 2010-06-30 2013-08-0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0803B2 (en) 2011-07-12 2014-07-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490470B2 (en) 2013-02-20 2016-1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466823B2 (en) 2013-02-28 2016-10-1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40109676A (ko) * 2013-03-06 2014-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318736B2 (en) 2013-03-06 2016-04-1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219268B2 (en) 2013-04-01 2015-12-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3036A1 (en) 2012-01-04
JP5356451B2 (ja) 2013-12-04
CN102315415A (zh) 2012-01-11
JP2012015102A (ja) 2012-01-19
US8846241B2 (en) 2014-09-30
US20130288088A1 (en) 2013-10-31
CN102315415B (zh) 2014-07-16
KR101233601B1 (ko) 2013-02-14
US8501341B2 (en) 2013-08-06
US20110244281A1 (en) 2011-10-06
EP2403036B1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601B1 (ko) 퓨즈 영역이 형성된 집전판을 갖는 이차 전지
KR101042808B1 (ko) 이차 전지
KR101116449B1 (ko) 이차 전지
KR101274806B1 (ko) 이차 전지
US1012848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43475B1 (ko) 단락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8753765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64579B1 (ko) 퓨즈 영역이 형성된 집전판을 갖는 이차 전지
EP2757609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094046B1 (ko) 이차 전지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KR101264534B1 (ko) 퓨즈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EP3018734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94154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61018A (ko) 이차 전지
KR20190091819A (ko) 이차 전지
KR102371189B1 (ko) 이차 전지
KR101715955B1 (ko) 이차 전지
KR20180119375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