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42A -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742A
KR20120001742A KR1020117022904A KR20117022904A KR20120001742A KR 20120001742 A KR20120001742 A KR 20120001742A KR 1020117022904 A KR1020117022904 A KR 1020117022904A KR 20117022904 A KR20117022904 A KR 20117022904A KR 20120001742 A KR20120001742 A KR 20120001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olt
holder
sleeve
connect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리 펠빙게르
미리암 루흐트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0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1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foldable along the vehicle, e.g. in case of external force appli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축(A) 둘레에 연결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0,12)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미러(8)용 미러 홀더(4,6)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는 회전축(A)에 관해 회전 대칭인 표면을 구성하는 볼트(14)를 가지고,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는 회전 대칭 표면(18)에 대해 상보적인 형태로 형성되어있는 내부 표면(24)을 가지는 볼트(14)를 감싸는 슬리브(16)를 가지며, 그리고 볼트(14) 또는 슬리브(16)는 슬리브(16) 또는 볼트(14)에 상보적인 형태로 형성되어있는 홈(22)에 맞물려서 회전축(A)의 방향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변위를 봉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ROTATING MIRROR HOLDER FOR VEHICLE MIRROR, IN PARTICULAR FOR UTILITY VEHICLES, AND A MIRROR ARRANGEMENT HAVING SAID MIRROR HOLDER}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다목적 차량의 미러용 회전가능한 미러 홀더 그리고 상기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형 미러 홀더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성요소, 즉 자동차에 연결되게 된 자동차 측 홀더와 각각의 미러에 연결되는 미러 측 홀더로 구성되어있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는 서로 연결되는 대응하는 연결 표면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연결 구성요소는 주로 나사연결에 의해 연결되지만, 부분적으로 소위 빠른 잠금의 도움으로 안정되어 진다. 동시에 나사연결의 축은 두 개의 구성요소의 회전축을 규정한다. 가능한 최고의 일정한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크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공차의 영향을 더 많이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스프링의 아래에 놓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볼트, 너트, 디스크 스프링 등과 같은 요구되는 여러 가지의 구성요소 때문에, 미러 홀더의 제조와 조립이 복잡해 지고 그리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일정한 마찰력의 요구 그리고 또 안정적이고 진동이 작은 미러 홀더에 대한 요구 때문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요소의 공차를 작게 해야하는 요구조건과 조립 매개변수가 지속적으로 제어에 의해 변화되는 것에 적합해 져야하는 조립공정이 요구되게 된다. 이러한 것 때문에 제조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더 많은 수의 단일 부품들 때문에 예로서, 보관 등과 같은 병참 비용이 높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비용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고 그리고 자동차와 미러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마찰 회전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홀더에 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얻어지고 그리고 미러 조립체에 관해서는 청구범위 제20항의 특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미러 홀더에서,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는 회전대칭 자켓 표면을 가지는 볼트를 구성하고 있다.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는 볼트를 감싸고 그리고 볼트의 자켓과 상보적으로 형성된 내부 자켓 표면을 가지는 슬리브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볼트와 슬리브 중 어느 하나는 슬리브나 볼트에 있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와 맞물려서 회전축의 방향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변위를 봉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를 구성하고 있다.
맞물림 요소와 지지 부재가 서로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는 폼피팅(form-fitting)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단지 회전축을 중심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한편으로, 볼트는 방사형으로 고정되어 슬리브의 중심에 놓이고, 다른 한편으로, 볼트는 슬리브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폼피팅은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고정을 위해 나사연결 등과 같은 것의 필요성을 배제하여 재료와 조립 가격을 절감시켜서 미러 홀더의 전체적인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조립공정의 누락에 기인하는 결점이 있는 조립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슬리브와 볼트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표면을 구성한다. 잠금 표면의 설비는 한편으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서 일정한 상대각도를 한정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미러의 접는 힘에 대한 일정한 한계 값(threshold value)을 설정하는데 유용하다. 접는 힘은 미러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안 바람의 저항 등과 같은 외부의 힘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는 힘은 운전자에 의해 조정가능해야 하고 또 안전을 위해 비정상적인 힘의 영향하에서 미러가 굽혀질 수 있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따라, 두 개의 잠금 표면은 볼트와 슬리브의 자켓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슬리브의 벽 두께로 회전 저항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브의 벽 두께가 얇으면, 볼트가 회전될 때 슬리브는 방사향 외부 방향으로 굽혀진다. 이것과 별도로, 잠금력은 플패트닝, 샤프트 등과 같은 형태로 된 잠금 메카니즘의 형태 그리고 잠금 깊이에 의해 정해진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따라, 두 개의 잠금 표면은 볼트의 단부 면과 슬리브의 내부 바닥에 설비되어있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축 방향 변위가 맞물림 요소와 지지 부재에 의해 봉쇄되기 때문에, 볼트의 단부 면과 슬리브 바닥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서 잠금 표면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맞물림 요소와 지지 부재의 대응하는 형상에서 이전의 변형품과 비교시 더 작은 잠금력을 포함하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이 첫 번째 및/또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로부터 길이 축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면,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힌지 포인트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회전축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회전을 허락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회전축에 대해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의 피봇 이동(pivotal movement)도 허락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유연한 연결을 의미하고 그리고 나사 연결의 어떤 스크류 축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슬리브는 첫 번째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금형부품이다. 이러한 것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한 예로서, 전체 미러 홀더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에다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를 사출 코팅하여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동시에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코팅은 실질적으로 작동이 거의 자유로운 볼트와 슬리브 사이에서의 연결을 이룬다. 플라스틱 재료를 경화시키는 동안 슬리브가 수축하여 볼트에 가해지는 방사형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만, 볼트에 가해지는 슬리브의 방사형 방향의 힘, 즉, 미러의 접는 힘은 플라스틱 재료의 선택을 통해 조정가능하다.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사출금형 동안 상대적인 피봇을 위해 적합한 연결 구성요소가 접합 되든지 또는 융합되는 것을 배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슬리브가 볼트의 자켓 표면에 사출 피복되고 그리고 볼트의 자켓 표면에 대해 슬리브의 내부 자켓 표면의 형태가 상보적으로 적합하기 때문에, 볼트의 제조과정 동안 제조의 부정확성에 기인한 회전 연결의 기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 상황은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한 부정확한 제조는 사출성형에 의해 쉽게 보상된다. 이러한 적합성의 덕분으로 진동이 매우 작은 미러 홀더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미러 홀더가 조각으로 된 부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조방법은 사출성형 도구의 제조보다 훨씬 더 많은 가격의 절감을 얻게 한다. 슬리브의 사출성형은 복잡한 형태를 가진 볼트의 자켓 표면에 대해서도 슬리브의 상보적인 자켓 표면을 제조할 수 있게 하므로, 미러 홀더의 폼피팅은 볼트의 형태를 통해 미리 한정되게 된다.
슬리브의 사출성형 덕분에,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 사이의 해제될 수 없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연결이 얻어지므로 수명이 다할 때까지 보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슬리브와 볼트는 첫 번째 플라스틱 재료보다 용해점이 더 높은 두 번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사출성형 부품이다. 미러 홀더는 소위 인 몰드(in-mold) 조립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는 기본적인 공정형식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플라스틱 재료 구성요소 또는 다이 캐스트 구성요소나 어떤 다른 구성요소이다. 두 번째 공정단계에서, 이러한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는 제조공정에 의한 이점의 실현을 고려하여 볼트를 감싸는 슬리브와 함께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제조용 도구 속으로 삽입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가 플라스틱 재료로 실현되면, 단일의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단일의 제조공정에서 미러 홀더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제조단가가 많이 절감될 수 있다. 슬리브가 볼트에 사출성형 될 때 플라스틱 볼트가 용해되지 않는 종류로 된 두 개의 플라스틱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두 가지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의 결합으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마찰력 및/또는 잠금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제조과정 동안 그것의 플라스틱 재료가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재료와 표면접촉을 하지 않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을 위해, 첫 번째 재료의 용융 온도를 두 번째 재료가 첫 번째 재료와 접촉할 때의 두 번째 재료의 온도보다 더 높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조 매개변수가 적절하게 선택되면, 같은 재료로 된 두 개의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두 개의 재료가 다른 종류이고, 플라스틱 조건에서도 함께 용해되는 경향이 매우 작은 것이 특히 유익하다. 여기서,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재료는 더 높은 온도의 안정성을 가져야만 한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유동성은 서로 융화되지 않고 그리고 서로 접합하지 않는 두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그의 동시에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를 사출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점이 있기로,지지 부재는 볼트나 슬리브의 자켓 표면에 있는 연속된 홈이다. 이러한 고리형 홈은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한편으로 회전축에 대해 상보적인 연결 구성요소의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고, 다른 한편으로 회전축의 방향에서 두 개의 부품의 상대적인 변위를 방지시킨다. 이러한 홈은 아래 부분을 잘라낸 형태를 이룬다.
이점이 있기로, 맞물림 요소는 홈에 맞물리는 돌출부이다. 돌출부도 역시 연속적인 것이 좋다. 그러므로 맞물림 요소와 지지 부재는 회전축의 방향에서 폼피팅을 형성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표면이 각각 홈이나 돌출부에 설비되면, 하나의 제조단계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가 주변 방향으로 유동 되지않게 하고 그리고 축 방향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의 형태를 부분 구체로 형성시키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홈과 돌출부의 결합체와 같이, 이러한 것은 연결 구성요소의 변위를 안전하게 방지시키고 그리고 자유로이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폼피팅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리브가 독점적으로 구체의 부분을 씌우므로 이러한 이로운 형상의 덕분으로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가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축 둘레에서 이동되고 또 구체의 중심 둘레에서 작은 각도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한 넓은 범위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미러 헤드와 미러 시스템의 회전축의 다른 위치에서 같은 미러 홀더를 유연하게 유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인몰드 조립공정으로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사출성형 되는 부품은 첫 번째 금형에서 제조되고 그리고 뒤이어 두 번째 사출성형 재료로 코팅된 두 번째 금형 및 성형품 속으로 넣어진다. 선택적으로, 두 번째 사출성형 되는 부품의 형태를 가진 공동(cavity)을 제공하여 첫 번째 사출성형 되는 부품을 첫 번째 금형에 남겨 둘 수도 있다. 말하자면, 첫 번째 사출성형 되는 부품은 두 번째 사출성형 되는 부품을 위한 삽입구에 해당한다. 이러한 것은 소위 프리 몰드(pre-mold)된 부품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하고, 반면에 축 방향의 변위를 방지시키는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연결 표면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다양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미러 홀더의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는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연결 상태가 스스로 느슨해 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점이 있기로, 볼트와 슬리브는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연결 구성요소의 수를 최소로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특허청구범위 제20항의 주체는 상기한 관점의 하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러 홀더를 구성하고 있는 미러 조립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와 그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에 의하면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와 조립을 단순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구성 요소 사이의 공차를 작게 하여 작동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예에 따른 하나의 미러 하우징과 두 개의 미러 홀더를 구성하고 있는 미러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Ⅱ-Ⅱ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Ⅲ-Ⅲ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두 번째 예에 따른 미러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다른 형태의 지지 부재와 맞물림 요소를 가진 도 4에 도시된 선 Ⅴ-Ⅴ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세 번째 예에 따른 볼트 부분의 자켓 표면에 잠금 표면을 가진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네 번째 예에 따른 볼트 부분의 연속된 고리형 홈에 잠금 표면을 갖춘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6에 나타난 선 Ⅷ-Ⅷ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다섯 번째 예에 따른 미러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미러 베이스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여섯 번째 예에 따른 도 9의 미러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곱 번째 예에 따른 미러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리 전개도이다.
도 15는 여덟 번째 예에 따른 미러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분리 전개도이다.
도 17은 아홉 번째 예에 따른 미러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그들 사이에서 미러 하우징을 수용하는 상단 미러 홀더(4)와 하단 미러 홀더(6)로 구성되어있는 미러 조립체를 나타낸다. 미러 홀더(4)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인 자동차 측 홀더(10)와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인 미러 측 홀더(12)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것들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회전축(A)은 하단 미러 홀더(6)를 통해 연장되어서 자동차에 대해 미러 헤드와 함께 미러 전체를 피봇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있다. 미러 하우징(8)에는 조정가능하게 설치된 미러 글라스가 설비되어있다. 자동차 측 홀더(10)는 자동차에 고정시키는 대응하는 고정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미러 측 홀더(12)는 미러 하우징(8)에 대응하는 결합을 허락한다. 이 예에서, 미러 하우징은 양측에서 미러 측 홀더(12)에 의해 형성되는 미러 아암(mirror arm)에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미러 조립체는 두 개의 미러 홀더(4,6)를 구성하고 있다. 하기 설명에서, 예로서 상단 미러 홀더(4)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상단 미러 홀더(4), 하단 미러 홀더(6) 또는 양쪽의 미러 홀더(4,6)는 선택적으로 하기에서 기술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있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와 미러 하우징(8)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있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를 구성하는 상단 미러 홀더(4)의 횡단면도이다.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의 슬리브(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볼트(14)를 구성하고 있다. 볼트(14)의 외부 자켓 표면(18)에는 대응되게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슬리브(16)의 내부 자켓 표면(24)의 내부에 형성되어있는 고리형 홈(22)에 맞물리는 회전 대칭이고 연속된 돌출부(20)가 있다. 이 방식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지만, 회전축(A)을 따라 변위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는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연결은 소위 인몰드 조립공정에 의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또한 단 하나의 사출성형 도구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의 사출성형 되는 부품은 서로 조립될 필요가 없고, 서로 내부에서 경화된다. 대안으로, 볼트(14)를 구성하는 연결 구성요소는 금속 등과 같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위에는 슬리브(16)를 구현시키기 위해 사출 코팅된다. 사용되는 재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해 요구되는 회전 유동성을 갖도록, 제조공정에서 서로 결합 또는 접착되지않는 것을 선택해야한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를 제조하는데 있어, 서로 융화되지 않는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유동성은 볼트를 구성하고 처음 사출성형 되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를 뒤따르는 단계에서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에 몰드 되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용융점보다 더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면 얻어진다.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에다 다른 것을 사출 코팅을 하기 때문에,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슬리브가 불가피하게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볼트의 크기를 따르므로 그들의 크기에 관해 구성요소의 공차는 사소하다. 그러므로, 진동 작동에 대한 가장 높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양호한 고정상태에서 작동이 자유로운 연결이 어떤 부적당한 공정 없이 얻어진다.
사출 코팅된 슬리브(16)가 볼트(14)의 자켓 표면(18)을 바로 뒤따르고 그리고 경화되는 동안 약간 수축되기 때문에 슬리브(16)로부터 볼트(14)에 가해지는 방사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그래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를 그들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어떤 회전시키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볼트(14)와 슬리브(16) 사이의 이러한 마찰력은 미러 홀더의 제조공정 동안 미리 생성되고 그리고 한편으로 바람의 저항과 같은 항상 외부로부터 오는 힘을 견뎌내고, 다른 한편으로, 소위 요구될 경우,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락하는 접는 힘을 한정한다. 이러한 접는 힘은 다른 종류의 재료를 결합하여 조정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의 회전 유동성의 조정을 위한 또 다른 매개변수는 슬리브(16)의 벽 두께(D)에 의해 설명된다. 다소간의 단단한 구조는 벽 두께에 의해 얻어지므로, 슬리브(16)와 볼트(14) 사이의 마찰력은 그에 따라 증감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볼트(14)와 슬리브(16) 사이의 마찰력이 볼트의 벽 두께(d)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볼트(14)의 측면을 속이 빈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 외에, 미러 측 홀더(12)는 자동차 측 홀더의 슬리브에 맞물리는 볼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연결 구성요소, 즉 미러 측 홀더(12)의 길이 축(B)이 회전축(A)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말하자면, 힌지 조인트나 피봇 작동가능한 미러 홀더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미러 홀더를 나타내지만, 하기에서 설명하는 두 번째 예는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길이 축이 회전축에 놓여있는 것에 대한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구조에 관해 어떤 추가적인 복잡성 없이 다양한 회전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도 4는 자동차 측 홀더(10)와 미러 측 홀더(12)로 구성된 미러 홀더(4)를 나타낸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는 공통의 길이 축(A)에 관해 서로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미러 하우징이 피봇으로 작동할 필요없이 단지 미러 홀더의 축 둘레에서 회전하게 된 이러한 미러 홀더는 소위 다목적 차량에서 램프나 앞쪽 미러에서 유용하다.
첫 번째 예와 유사하게, 미러 측 연결 구성요소(12)는 자동차 측 연결 구성요소(10)의 볼트(14)를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16)를 구성하고 있다. 자동차 측 연결 구성요소(10)의 단부는 나사 연결을 통해 자동차의 대응하는 상대되는 곳에서 스크류 축 둘레의 다른 회전 위치에서 빨리 죄여질 수 있는 고정부(26)를 포함한다. 미러 측 연결 구성요소(12)는 미러 하우징의 결합용 구멍(28)을 포함한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의 축 고정은 도 5a 내지 도 5f에서 예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의 선 Ⅴ-Ⅴ에 따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볼트(14)는 슬리브(16)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맞물리는 플란지(도 5a), 연속된 돌출부(도 5b) 및 구형(도 5c)의 형태를 가지는 각기 다른 맞물림 요소(20)를 구성하고 있다. 반면에, 도 5d 내지 도 5f에서, 맞물림 요소는 슬리브(16)의 내부 자켓 표면에 형성되어서 볼트(14)의 자켓 표면(18)에 있는 대응하는 상보적인 리세스에 맞물린다. 도 5d에 따르면 다수 개의 맞물림 요소가 대응하는 지지 부재와 연동 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변형 외에, 물론 다르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통으로 모든 변형된 형태는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 대칭이고 그리고 중단되지 않는 자켓 표면을 구성해야 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5a와 도 5f에서 볼트(14)와 슬리브(16)의 연결 상태는 크게 표시되어있다. 이러한 연결 상태는 슬리브(16)가 볼트의 외부 형상에 적합하고 그리고 그것에 인접하여 따라가게 볼트(14) 둘레에 사출 성형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미러 홀더에는 물론 존재하지 않는다. 슬리브(16)는 단단하게 꼭 맞도록 볼트와 접촉할 뿐만 아니라 수축되기 때문에 볼트에 방사형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 어느 정도의 힘에 의한 죄임 상태가 본 발명의 미러 홀더의 제조과정 동안 생기게 된다. 볼트(14)와 슬리브(16) 사이의 이러한 힘에 의한 죄임 상태는 미러가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것이다.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를 회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이러한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기의 세 번째 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또 다른 수단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볼트(14)의 자켓 표면(18)에 있는 고리형 홈(22)과 잠금 표면(30)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 구성요소(10)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잠금 표면(30)은 자켓 표면(18)의 어떤 부분 또는 자켓 표면(18)의 전체에 설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부재(22)가 잠금 표면(30)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자켓 표면의 설비 때문에 연결 구성요소(10,12) 사이에서 그들의 회전 유동성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회전 대칭인 자켓 표면의 상기한 요구조건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그러나, 다각형 형태의 형상 또는 원주형으로부터 약간 변형되고 경사각이 낮은 작은 돌기형이 사용될 경우, 적당한 토크(torque)를 적용시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의 서로에 대해 그들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잠금 표면의 설비는 미러 홀더의 접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것과 두 개의 미러 홀더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선정된 상대적인 각도로 그들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서, 슬리브(14)의 내부 자켓 표면(24)에서 대응되게 상보적인 잠금 표면(32)을 가지는 이러한 잠금 표면(30)의 다른 변형 예가 도 6에 나타난 선 Ⅷ-Ⅷ을 따른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잠금 표면은 톱니형 또는 물결형을 가질 수 있다. 자켓 표면(18, 24)이 원주형으로부터 더 많이 변하면 볼트(14)에 대해 슬리브(16)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토크는 그에 대응하여 더 크지게 된다. 슬리브(16)가 볼트(14) 위에 사출 코팅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사출성형 되는 부품인 경우, 볼트(14)의 자켓 표면(18)에 상보적인 슬리브(16)의 내부 자켓 표면(24)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쉽게 가능하다. 슬리브(16)와 볼트(14) 사이의 잠금력 또는 마찰력은 잠금 표면 형상의 선택을 통해 조정가능하고 그리고 또 사용되는 재료와 벽 두께의 선택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어쨌든 슬리브가 제조공정 후 볼트에다 어떤 방사형 방향의 힘을 가하면, 잠금 표면의 (원주선에 대해) 매우 평평한 각으로도 높은 잠금력을 발생시키는데 충분하므로 연결 구성요소의 충분한 안정성과 부식저항은 그들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보장될 수 있다.
다목적 차량의 미러용 전통 캐리어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어있다. 연결 부재는 파이프 슬리브 내에서 결합 된다. 일반적인 파이프의 형상은 U형으로서, 상단 아암과 하단 아암은 미러 홀더에 결합 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U"의 중앙부분은 회전축에 평행으로 대략 접근하여 뻗어있다. 결과적으로, 길이 축(B)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의 파이프 슬리브에서 파이프 단부의 중심 축으로 형성되어서, 회전축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한편으로 전통적인 개념을 회상시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실현을 위한 개개의 구성요소용 도구의 가격이 완전한 지지 구조체가 실현을 위해 특별히 제조되는 설계된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시 저렴하기 때문에 더 작은 수의 부품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대응하는 해결책이 도 9에 도시되어있다. 여기서, 미러 아암은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로서의 파이프 슬리브(12)와 지지 파이프(13)로 형성되어있다.
잠금 슬리브(12)와 지지 파이프(13)를 포함하는 실현은 또한 본 발명의 홀더의 이용의 유연성을 개선 시킨다. 길이 축 둘레에서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 슬리브 내에서 지지 파이프의 임의적인 회전 위치는 동일한 미러 홀더의 사용시 회전축(A)에 대해 미러 헤드와 지지 파이프의 다른 위치를 허락한다. 그러므로 같은 미러 홀더를 다른 종류의 차량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로서 외부 자켓 표면(18)에 부착되는 잠금 구조와 고리형 돌출부를 가지는 미러 베이스(10)를 나타낸다. 연결 구성요소가 사출성형 또는 다이 캐스트 플라스틱 구성요소로 제조되기 때문에, 맞물림 요소로서 고리형 돌출부(20)와 실현을 위해 필요한 외부 자켓 표면(18)을 구비한 볼트(14)의 요소를 포함하는 선호하는 형상을 부가적인 복잡함 없이 제조할 수 있다. 외부 자켓 표면(18)상의 잠금 구조의 대안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에 따라 미러 측 홀더(12)의 슬리브 바닥(36)(도 2 참조)에서 대응하는 잠금 표면과 연동하는 볼트(14)의 단부 면(34)에 잠금 구조를 설비할 수도 있다.
진동 특성은 미러 홀더를 얼마만큼 단단하게 만들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구조적인 관계 - 회전축에서부터 미러 헤드의 거리 그리고 홀더(4,6)의 각각으로 부터의 거리- 에 따라 그리고 지지 구조체-예로서, 지지 파이프(13) 또는 미러 헤드- 의 단단함에 따라, 볼트(14)가 정확한 위치를 점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계와 구조적인 공간의 충분한 여유분이 자동차 측 연결 구성요소(10)용으로 존재하면, 연결 구성요소(10)의 베이스 본체에다 볼트를 두 번째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볼트(14)의 단부에 있는 횡으로 된 웨브(38)에 의해 행해진다. 대응되게 슬리브(16)는 이 예에서 관통된 구멍을 포함한다. 자켓 표면(18 또는 24)상의 지지 부재 또는 맞물림 요소는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이러한 기능이 이미 횡으로 된 웨브(38)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이다. 도 13과 도 14는 예를 통해 대응하는 해결책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구형의 헤드(40)가 볼트부(18)의 단부에 설비되면, 그것은 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다른 적용용으로 같은 미러 홀더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 나은 유연성을 형성하는 또 다른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파이프 슬리브(12) 내에 지지 파이프(14)를 임의대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과 비교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미러 홀더에 대한 미러 헤드와 지지 구조체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A) 둘레에 대한 회전 기능은 유지된다. 다른 해결책과 비교시 더 낮은 유연성은 제한적인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지지 구조체(지지 파이프 및/또는 헤드)의 조립에 뒤따라 미러 베이스에 대해 미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해 그리고 단지 길이방향의 회전축(B)에 대한 설치를 통해 잠금 슬리브에서 파이프의 위치를 임의대로 설정해도 미러와 미러 베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회전 연결이 필요한 접는 힘 또는 잠금력/마찰력을 극복한다는 조건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의 360°의 회전을 허락하기 때문에, 회전 연결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의 적당한 부분 - 자켓 표면(18,24)은 제외-에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하는 걸쇠(42,44)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걸쇠의 한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특별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되는 미러 홀더는 이러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서로들 사이에서 개개의 예들의 특징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미러 홀더가 두 개의 사출성형 되는 플라스틱 부품으로 만들어지면, 이러한 것은 추후에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미러 홀더의 외부 표면을 직접 나타내기 위해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분해를 위한 노력 없이 플라스틱 특유의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구성요소의 형상에 대해 더 많은 자유로움을 성취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그들에다 덮개를 씌우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러 홀더는 다목적 차량의 미러의 여러 가지 종류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미러 홀더의 기본적인 원리는 자동차와 모터사이클의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해결책으로부터 램프와 앞쪽 미러에서 전형적인 것과 같이 단지 하나의 홀더를 구성하는 미러 시스템용 유사한 미러 홀더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미러 헤드의 요구되는 조정성은 저렴한 미러 홀더를 사용하여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실현된다.
2: 미러 조립체 4: 상단 미러 홀더
6: 하단 미러 홀더 8: 미러 하우징
10: 자동차 측 홀더(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
12: 미러 측 홀더(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
13: 지지 파이프 14: 볼트
16: 슬리브 18: 외부 자켓 표면
20: 돌출부 22:홈
24: 내부 자켓 표면 26: 고정부
28: 구멍 30: (첫 번째) 잠금 표면
32: (두 번째) 잠금 표면 34: 단부 면
36: 슬리브 바닥 38: 횡 웨브
40: 구형 헤드 42,44: 걸쇠
A: 회전축 B: 길이 축
D,d: 벽 두께

Claims (20)

  1. 회전축(A) 둘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와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를 구성하고,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는 회전축(A)을 따르는 회전 대칭 자켓 표면(18)을 가지는 볼트(14)를 구성하고,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는 볼트(14)를 감싸고 그리고 회전 대칭 자켓 표면(18)과 상보적인 형태로 된 내부 자켓 표면(24)을 가지는 슬리브(16)를 구성하며, 및
    볼트(14) 또는 슬리브(16)는 그것에 상보적인 형태로 된 지지 부재(22)에 맞물리고 그리고 회전축(A)의 방향에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의 변위를 봉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0)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16)와 볼트(14)는 상보적인 형태로 된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표면(30,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잠금 표면(30,32)은 볼트(14)와 슬리브(16)의 자켓 표면(18,24)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잠금 표면(30,32)은 볼트(14)의 단부 면(34)과 슬리브(30)의 바닥(36)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축(A)은 첫 번째 및/또는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로부터 길이 축(B)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의 슬리브(16)는 사출성형 된 부품이고 그리고 첫 번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의 볼트(14)는 사출성형 된 부품이고 그리고 두 번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그리고 첫 번째 플라스틱 재료는 두 번째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점보다 더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8. 제6항에 있어서,
    볼트(14)는 사출성형 된 부품이고 그리고 두 번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그리고 첫 번째 플라스틱 재료와 두 번째 플라스틱 재료는 서로 융화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볼트(14) 또는 슬리브(16)의 자켓 표면(18,24)에 있는 연속적인 홈(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맞물림 요소는 홈(22)에 맞물리는 -바람직하기로 연속된- 돌출부(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홈(22)과 돌출부(20)는 각각의 자켓 표면의 단부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표면(30,32)은 각각 홈(22) 또는 돌출부(20)에 설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는 볼트(14) 대신에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의 상보적인 형태로 된 부분에 의해 감싸지는 구형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 중 하나는 자동차에다 미러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미러 베이스(10)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러 아암 또는 미러 아암 부품(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러 홀더(4,6)는 인몰드 조립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6. 제15항에 있어서,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동안, 용해된 플라스틱 재료는 첫 번째 연결 구성요소(10)의 플라스틱 재료와 단단하게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7. 제16항에 있어서,
    두 번째 연결 구성요소(12)의 제조공정이 완성된 후에 영구적인 압력이 플라스틱 재료의 고형화에 기인하여 슬리브(16)에 의해 볼트(14)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 구성요소(10,12)는 서로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14)와 슬리브(16)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용 미러 홀더.
  20. 제1항 내지 제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미러 홀더(4,6)와, 그에 고정되는 미러(8)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2).
KR1020117022904A 2009-03-17 2010-03-17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KR20120001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3645.2 2009-03-17
DE102009013645A DE102009013645B3 (de) 2009-03-17 2009-03-17 Drehbare Spiegelhalterung für Kfz-Spiegel,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sowie eine Spiegelanordnung mit einer solchen Spiegelhalte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42A true KR20120001742A (ko) 2012-01-04

Family

ID=4212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904A KR20120001742A (ko) 2009-03-17 2010-03-17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002310A1 (ko)
EP (1) EP2408646B1 (ko)
JP (1) JP2012520788A (ko)
KR (1) KR20120001742A (ko)
CN (1) CN102341270A (ko)
BR (1) BRPI1009388A2 (ko)
DE (1) DE102009013645B3 (ko)
ES (1) ES2432498T3 (ko)
PL (1) PL2408646T3 (ko)
WO (1) WO20101061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68A (ko) * 2014-07-21 2016-01-29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8688A1 (de) 2014-05-08 2015-11-12 Mekra Lang Gmbh & Co. Kg Lageranordnung zur schwenkbaren Lagerung eines indirekten Sichtsystems, sowie indirektes Sichtsystem hiermit
US10559223B2 (en) * 2014-09-08 2020-02-11 Under Armour, Inc. Food description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7794720A (zh) * 2016-09-06 2018-03-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投入口盖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842A1 (de) * 1969-01-10 1970-08-27 Dominion Auto Access Scharniergelenkeinheit fuer die gelenkige,mehrere stabile Winkelstellungen ermoeglichende Verbindung zweier Bauteile
FR2322764A1 (fr) 1975-09-03 1977-04-01 Vitaloni Spa Retroviseur externe orientable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5025543A (en) * 1989-03-27 1991-06-25 Creative Sales & Mfg. Co., Inc. Method of preparing a support mechanism for vehicle side view mirror
JP2551853Y2 (ja) * 1989-12-15 1997-10-2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ミラーアームの車体取付構造
JP3175467B2 (ja) * 1994-03-16 2001-06-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装置
CN2286699Y (zh) * 1996-05-23 1998-07-29 尖美镜厂有限公司 双弧单焦广角后视镜片
GB2315093A (en) * 1996-07-05 1998-01-21 N T Worcester Parsons Ltd Hinges
US6286968B1 (en) * 1999-09-07 2001-09-11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stop feature
US6612708B2 (en) * 2000-05-01 2003-09-02 Donnelly Corporation Consolidated exterior side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n in-mold film process
US6310738B1 (en) * 2000-05-01 2001-10-30 Donnelly Corporation Consolidated exterior side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n in-mold film process
DE10031330B4 (de) * 2000-07-03 2005-10-06 Donnelly Hohe Gmbh & Co. Kg Schwenkbarer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US6916100B2 (en) * 2001-06-27 2005-07-12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JP4215715B2 (ja) * 2002-05-17 2009-01-28 株式会社青山製作所 照準装置用部品及び照準装置
DE10241737B4 (de) * 2002-09-10 2005-09-22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 Co. Kg Rastgesperre für eine Fahrzeugaußenspiegelschwenklagerung
JP4239839B2 (ja) * 2004-02-02 2009-03-1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7490946B1 (en) * 2005-10-28 2009-02-1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ain mirror with pivot connection
DE102006037218B4 (de) * 2006-08-09 2008-11-13 Mekra Lang Gmbh & Co. Kg Rastgelenk und Außenspiegel mit einem solchen Rastgelenk
DE202006019379U1 (de) * 2006-12-22 2008-04-30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halterung für einen Fahrzeugaußenspiegel sowie Fahrzeugaußenspiegel mit einer solchen Spiegelhalterung
US7828452B2 (en) * 2006-12-22 2010-11-09 Lang-Mekra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support assembly with cast br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68A (ko) * 2014-07-21 2016-01-29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6107A1 (de) 2010-09-23
BRPI1009388A2 (pt) 2016-03-08
DE102009013645B3 (de) 2010-11-18
US20120002310A1 (en) 2012-01-05
CN102341270A (zh) 2012-02-01
EP2408646B1 (de) 2013-08-21
PL2408646T3 (pl) 2014-01-31
JP2012520788A (ja) 2012-09-10
ES2432498T3 (es) 2013-12-03
EP2408646A1 (de)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7309B (zh) 球接头及其制造方法
US5092703A (e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26508B2 (ja)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KR100192148B1 (ko) 탄성조인트
KR101886474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41185A1 (en) Elastic tube alignment an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locating and attaching components
KR20120001742A (ko)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US7918439B2 (en) Silentblock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EP2041467B1 (en) Hose and tubing assemblies and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CN104728227A (zh) 弹性保持组件和方法
CN104136798A (zh) 长度可变的组合体
CN108603525B (zh) 调整元件、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机动车
US20160091052A1 (en) Actu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CN103688088B (zh) 用于致动带有夹紧式惯性质量块的变速箱的装置
CN105270265B (zh) 将间接视觉系统的成像装置固定在车辆上的安装装置及间接视觉系统
JP2010513804A (ja) 玉継手
JPH039113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22852B1 (ko)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의 제조 방법
CA2394605A1 (en) Mechanical linkage assembly
JP5713860B2 (ja) 固定機構及び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ー
JP4275517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における支軸の製造方法
JP5020272B2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
JP6292437B2 (ja) 樹脂製バルブユニット及びこの樹脂製バルブ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599085B2 (ja) 位置調整部材及び該位置調整部材を用いた車両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CN109476053A (zh) 离心成型模和中空圆筒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