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21U -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 Google Patents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21U
KR20120000521U KR2020100007353U KR20100007353U KR20120000521U KR 20120000521 U KR20120000521 U KR 20120000521U KR 2020100007353 U KR2020100007353 U KR 2020100007353U KR 20100007353 U KR20100007353 U KR 20100007353U KR 20120000521 U KR20120000521 U KR 20120000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unit
opening
reinforcing ro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프로탑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탑세이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탑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521U/ko
Publication of KR20120000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 세로 일정크기의 패널형상의 단위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단위체가 다수의 배수구멍들이 뚫려 있고, 전후방향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들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단위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체에 보강봉을 창착할 수 있는 보강봉장착홈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단위체들이 이웃하는 단위체들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덮개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슬라브의 개구부의 구멍의 칫수에 따라서 단위체를 조립하여 덮개판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덮개판에 보강봉의 장착으로 덮개판의 강성을 높여 덮개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바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있어서, 배수구멍(101)이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장방형상의 단위체(100)가 이웃하는 단위체(100)와의 전후방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200)을 구성하고 있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위체(100)의 전후방에 결합돌기(110)와 결합요홈(120)들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체(100)들과의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200)을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위체(100)들의 결합돌기(110)와 결합요홈(120)들의 사이에 보강봉장착홈(130)들이 관통되어, 보강봉(150)이 상기 보강봉장착홈(13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Opening cover for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바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 세로 일정크기의 패널형상의 단위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단위체가 다수의 배수구멍들이 뚫려있고, 전후방향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들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단위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체에 보강봉을 창착할 수 있는 보강봉장착홈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단위체들이 이웃하는 단위체들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덮개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슬라브의 개구부의 구멍의 칫수에 따라서 단위체를 조립하여 덮개판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덮개판에 보강봉의 장착으로 덮개판의 강성을 높여 덮개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바닥슬라브를 관통하여 공기배관, 상하수배관 및 전기 또는 통신선 등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한,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닥트의 설치, 파이프 스페이스, 전기배선관 스페이스 등의 개구부가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시공 중에는 어쩔 수 없이 열려있는 상태로 공사가 진행되다가 시공의 마지막 단계에서 내장 및 외장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마감되면서 공사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닥트 등의 설치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공사 중에 충분한 조명이 제공되지 않아 통상적으로 매우 어둡기 마련인 공사현장에서 이러한 개구부가 열려있는 상태로 있게 되면, 개구부를 통해 공사인부가 추락하거나 공사자재가 낙하할 우려가 있고, 특히 시공체가 고층건물인 경우에는 개구부의 위치가 각층마다 고소에서 저소까지 동일한 곳에 위치하여 연결되므로 이러한 추락 및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크다.
한편, 이러한 개구부는 시공과정상 각 층간에 공사자재의 운반통로로도 사용되므로 개구부의 마감 공사 완료시까지 완전히 덮어 놓을 수 없기 때문에, 기존에는 적당한 크기의 패널을 단순히 개구부 위에 올려놓아 임시로 가리거나 개구부 주위에 추락위험을 환기시키는 경고를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또한, 개구부의 칫수에 맞게 절단하여 원형 또는 사각의 덮개판으로 개구부를 덮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덮개판이 판형상으로 두께로써, 자칫 하중 무게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판형상이 얇기 때문에 덮개판을 보강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개구부에 가로질러 지지봉들을 설치한 후, 지지봉위에 덮개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설치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배수구멍이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패널형상으로 성형된 단위체로 구성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체들과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덮개판을 구성하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체들의 저면에 보강봉이 장착되도록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체와의 연결에 의하여 덮개판을 구성하면서 각 단위체의 강성을 높여 덮개판가 훼손되는 일이없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바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칫수에 따라서 단위체들을 결합하여 현상의 공사장에서 개부부의 칫수에 따라서 결합하여 덮개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단위체의 결합으로 덮개판를 구성하고 또한 보강봉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별도의 덮개판을 보강하는 브라켓 등이 필요없이 바로 현장에서 결합으로 설치 및 설비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바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덮어씌울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있어서, 배수구멍이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장방형상의 단위체가 이웃하는 단위체와의 전후방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을 구성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위체의 전후방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들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체들과의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위체들의 결합돌기와 결합요홈들의 사이에 보강봉장착홈들이 관통되어, 보강봉이 상기 보강봉장착홈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로 세로 일정크기의 패널형상의 단위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단위체가 다수의 배수구멍들이 뚫려있고, 전후방향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들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단위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체에 보강봉을 창착할 수 있는 보강봉장착홈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단위체들이 이웃하는 단위체들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덮개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슬라브의 개구부의 구멍의 칫수에 따라서 단위체를 조립하여 덮개판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덮개판에 보강봉의 장착으로 덮개판의 강성을 높여 덮개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b 는 본 고안의 단위체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2a,b 는 본 고안의 단위체들의 결합예의 분리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3a,b 는 본 고안의 단위체들의 결합예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단위체의 결합으로 덮개판과 보강봉의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덮개판과 바닥슬라브의 개구부와의 분리 사시도,
도 6 및 도 7 은 본 고안의 덮개판이 바닥슬라브의 개구부에 장착된 실시예의 종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공사장에서 건물 바닥슬라브에 공기배관, 상하수배관 및 전기 또는 통신선 등이 통과하는 개구부(10)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0)는 시공 중에는 어쩔 수 없이 열려있는 상태로 공사가 진행되다가 시공의 마지막 단계에서 내장 및 외장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마감되면서 공사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닥트 등의 설치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개구부(10)들에 상기 내장 및 외장의 공사에 들어가기 전에 개구부(10)를 임시로 폐쇄할 수 있는 덮개판(200)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판(200)의 형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새로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장방형상의 단위체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도록 한다.
도 1a,b 및 도 2a,b와 같이 단위체(100)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또한 배수구멍(101)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뚫려있다. 상기 배수구멍(101)은 단위체(100)에서 평면에 대하여 상광하협의 크기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단위체(100)들은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단위체(100)들이 서로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도 4와 같이 하나의 덮개판(20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단위체(100)는 전후방에 결합돌기(110)와 결합요홈(120)들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체(100)들과의 억지 끼워맞춤된다. 즉 단위체(100)의 전방에 결합돌기(110)들이 등간격으로 튀어나와 있고, 또한 상기 결합돌기(110)들과 대응하는 반대쪽에 결합요홈(1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a,b와 같이 앞쪽의 단위체(100)의 결합요홈(120)에 뒤쪽의 단위체(100)의 결합돌기(110)들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덮개판(200)을 구성한다. 상기 단위체(100)의 결합은 공사장의 건물 바닥슬라브의 개구부(10)의 칫수에 따라서 결합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200)의 단위체(100)들에 형성된 보강봉장착홈(130)에 보강봉(150)들을 장착한 후, 나사못(140)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보강봉(150)이 장착된 덮개판(200)을 구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단위체(100)의 결합으로 덮개판(200)을 구성하고 또한 보강봉(150)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별도의 덮개판을 보강하는 브라켓 등이 필요없이 바로 현장에서 결합으로 설치 및 설비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덮개판(200)은 공사장의 건물 바닥슬라브의 개구부(10)의 칫수에 따라서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 개구부(10)의 칫수 보다 다소 크게 덮개판(200)을 형성하여 개구부(10)를 덮어씌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공사장의 건물 바닥슬라브의 개구부(10)에 덮개판(200)이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개구부(10)에 턱(20)을 형성하여 덮개판(200)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개구부(10)에 덮개판(200)의 고정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판(200)이 개구부(10)에 안정적으로 유지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10 : 개구부 20 : 턱
100 : 단위체 101 : 배구구멍
110 : 결합돌기 120 : 결합요홈
130 : 보강봉장착홈 140 : 나사못
150 : 보강봉 200 : 덮개판

Claims (3)

  1. 빌딩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바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에 있어서,
    배수구멍(101)이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장방형상의 단위체(100)가 이웃하는 단위체(100)와의 전후방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20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100)의 전후방에 결합돌기(110)와 결합요홈(120)들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체(100)들과의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개구부(10)에 덮어씌울 수 있는 덮개판(20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100)들의 결합돌기(110)와 결합요홈(120)들의 사이에 보강봉장착홈(130)들이 관통되어, 보강봉(150)이 상기 보강봉장착홈(13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KR2020100007353U 2010-07-13 2010-07-13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KR20120000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53U KR20120000521U (ko) 2010-07-13 2010-07-13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53U KR20120000521U (ko) 2010-07-13 2010-07-13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21U true KR20120000521U (ko) 2012-01-19

Family

ID=4584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353U KR20120000521U (ko) 2010-07-13 2010-07-13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5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210B1 (ko) * 2020-08-07 2021-12-29 주식회사 에스세미텍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장비의 설치를 위한 바닥 패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210B1 (ko) * 2020-08-07 2021-12-29 주식회사 에스세미텍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장비의 설치를 위한 바닥 패널 구조
KR102358987B1 (ko) * 2020-08-07 2022-02-07 주식회사 에스세미텍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장비의 설치를 위한 바닥 패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445B2 (en) Support beam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span and reducing height of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1446881B1 (ko) Pc 슬래브를 이용한 돌출형 발코니 및 시공방법
KR20120000521U (ko) 공사장용 개구부 덮개판
WO2016038772A1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100995453B1 (ko)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JP639944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5101857B2 (ja) 外装構築用支持部材およびこの支持部材を用いた外装構造
KR102174955B1 (ko) 조립식 전기실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1949393B1 (ko) 서포트 일체형 빔 구조 지하 차수벽
JP5616158B2 (ja)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JP677082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KR200350281Y1 (ko) 간이용 조립식 하우스구조
KR20160140122A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20210001235A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CN210951205U (zh) 预制路灯底座
KR101524725B1 (ko)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BE1021076B1 (nl) Systeem van gestandaardiseerde betonnen muurelementen met gestandaardiseerd verbindingssysteem
JP6073641B2 (ja) 水切部材及び防鼠部材の設置構造
KR10104904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CN211313503U (zh) 用水组合式房间和预制构造体
JP639933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101980664B1 (ko) 샌드위치판넬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