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733A -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733A
KR20110139733A KR1020117024303A KR20117024303A KR20110139733A KR 20110139733 A KR20110139733 A KR 20110139733A KR 1020117024303 A KR1020117024303 A KR 1020117024303A KR 20117024303 A KR20117024303 A KR 20117024303A KR 20110139733 A KR20110139733 A KR 20110139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egion
absorbent
transfer
hol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359B1 (ko
Inventor
아키라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85Assembling or joining with coating before or during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65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to apply or remove a resilient article [e.g., tube, sleev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는, (A) 유지면을 구비하고, 유지면에서 제1 자재를 유지하는 유지체와, (B)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자재를 제2 자재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가지며, (C) 제1 자재는, 제1 부분과,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D) 유지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E) 유지체는,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제2 부분을 제2 영역에 흡착시키면서 제1 자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DEVICE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자재로부터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나 방법 중에는, 예컨대, 유지면을 구비하는 유지체에, 상기 유지면에서 복수 개의 자재 중 하나(제1 자재)를 유지시킨 후에,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유지체를 다른 자재(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자재를 제2 자재에 전사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4-14804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4-22323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5-298193호 공보
그런데, 제1 자재 중에는, 그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두께의 차이로 인해, 제1 자재의 표면 중, 전사되는 쪽의 표면(즉, 제2 자재와 대향하는 쪽의 표면으로서, 이하, 전사면이라고 함)에 요철이 생기고, 상기 요철이 생긴 채로 제1 자재를 제2 자재에 전사하려고 해도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제1 자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 그 이후의 전사가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한 본 발명은,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서, (A) 유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유지체와, (B)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자재를 상기 제2 자재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가지며, (C) 상기 제1 자재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D) 상기 유지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E) 상기 유지체는,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에 흡착시키면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제1 자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 그 이후의 전사가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기저귀(1)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기저귀(1)의 후면도이다.
도 1c는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흡수성 본체(2)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의 입체 개더부(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 제조 장치(30)의 주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기저귀 연속체(1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1 도면이다.
도 6b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2 도면이다.
도 6c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3 도면이다.
도 7은 전사 공정에서 수행되는 각 처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전사 유닛(33)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는, 유지 팰릿(41)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X-X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사 공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건예와 변형예 사이의 작용 효과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의해, 적어도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서, (A) 유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유지체와, (B)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자재를 상기 제2 자재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가지며, (C) 상기 제1 자재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D) 상기 유지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E) 상기 유지체는,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에 흡착시키면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제1 자재의 전사면에 요철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유지체에 유지된 제1 자재가 제2 자재에 적절하게 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제1 자재로서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양편에 형성된 개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체가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개더부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유지면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유지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유지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지체는, 상기 폭방향이 상기 교차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즉, 평탄한 유지면에 흡수성 본체를 올려 놓으면, 신축 부재가 수축되어 버려, 흡수성 본체에 주름이 발생해 버린다. 이러한 주름의 발생에 의해, 그 이후의 전사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구성이라면, 흡수성 본체의 수축을 억제하고, 이로써, 흡수성 본체를 제2 자재에 적절하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전사부는,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전사 드럼이며, 상기 전사 드럼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지체가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를 받아들이는 수취 위치로부터, 상기 유지체에 유지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제2 자재에 전사되는 전사 위치로 상기 유지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유지체는, 상기 수취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이 상기 전사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고, 상기 전사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이 상기 전사 드럼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효과가 훨씬 효과적으로 되게 된다. 즉, 유지면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로 전사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폭방향이 전사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상태로 전사가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흡수성 본체 중, 전사 시작시에 제2 자재에 전사시키는 범위가 보다 넓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유지체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를 제2 자재에 적절하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높이 차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두께 차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흡수성 본체의 전사면을 평탄하게 하기가 용이하고, 유지체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를 제2 자재에 의해 적절하게 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의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흡수성 본체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흡수성 본체의 전사면을 평탄하게 하기가 훨씬 용이해지고, 유지체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를 제2 자재에 더욱 적절하게 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제2 영역의 양단부는, 상기 폭방향에서의 끝 쪽으로 갈수록 상기 높이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전사 시에 제2 부분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전사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체가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에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기구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구멍 중,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제2 부분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제1 부분에 작용하는 흡인력보다 작아지므로, 전사 시에는, 제2 부분이 제2 영역으로부터 이탈되기 쉬워져, 제1 자재가 제2 자재로 원활하게 전달된다(전사가 원활하게 수행된다).
아울러,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부분과, 상기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자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B) 유지면을 구비하는 유지체에 있어서, 그 유지면에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키는 공정과, (C)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자재를 상기 제2 자재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D) 상기 유지체에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킬 때에는, 상기 유지면 중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부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상기 제2 부분을 흡착시키면서, 상기 유지체에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도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제1 자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 그 이후의 전사가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귀(1)를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 들어, 기저귀(1)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후술하는 기저귀 제조 장치(30)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며, 기저귀(1)를 제조하는 방법[이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에 해당한다.
<<기저귀(1)의 구성>>
먼저,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 도 2b에 의거하여 기저귀(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기저귀(1)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후면도이다. 도 1c는,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한 도면(착용자의 피부에 닿은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a는, 흡수성 본체(2)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c, 도 2a 및 도 2b에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교차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각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고간에 대어져서 오줌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2)와,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 등측 띠(3)와, 배측부를 덮는 배측 띠(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c에 도시한 전개 상태에서는, 등측 띠(3)와 배측 띠(4)가 간격(D)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흡수성 본체(2)가 걸쳐져, 외관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H 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저귀(1)는, 이러한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절곡 위치(Ck)에서 두 겹으로 접혀 있다. 이 두 겹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띠(3, 4)끼리는, 착용자의 옆구리에 맞닿아야 할 부위에서 고정 부착됨으로써 환형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몸통 개구(1a) 및 한 쌍의 다리 개구(1b)가 형성된 착용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전술한 고정 부착 구조로서, 용착 등의 분리 불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팬츠형의 제품이 되고, 패스닝 테이프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의 탈부착 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오픈형의 제품이 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는 팬츠형의 제품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기저귀(1)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부재로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그 주변부보다 피부면 측(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쪽)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흡수성 본체(2)에는, 그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수성 본체(2)의 중앙부에 피부측(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쪽)으로 약간 융기한 융기부(2a)가 설치되고, 상기 융기부(2a)의 주위를 에워싸는 부분에 상기 융기부(2a)보다 얇은 두께의 박육부(2b)가 설치되어 있다. 박육부(2b)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에 해당한다. 융기부(2a)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에 해당하며,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박육부(2b)(제1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또한,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융기부(2a)는 흡수성 본체(2)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박육부(2b)는 흡수성 본체(2)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융기부(2a)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그 방향에서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한 바퀴 정도 짧게 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5)와, 흡수체(5)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는 표면 시트(6)(탑 시트)와, 흡수체(5)를 표면 시트(6)의 반대쪽(이면측)으로부터 덮는 이면 시트(7)(백 시트)와, 이면 시트(7)보다 이면측에서 기저귀(1)의 외장을 이루는 외장 시트(8)(아우터 시트)이다.
흡수체(5)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표주박 형태로 성형한 흡수성 코어(9)와, 이를 감싸는 티슈 등의 박엽지(10)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9)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표면 시트(6)는, 투액성의 부직포 시트로서, 흡수체(5)보다 큰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다. 이면 시트(7)는, 불투액성의 필름 시트로서, 흡수체(5)보다 큰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체(5)는, 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의 사이에 낀 상태로 흡수성 본체(2)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두 시트(6, 7)는 흡수체(5)의 사방으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나오는 부분에서 액자 형태로 맞붙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흡수체(5)는 전술한 융기부(2a)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2a)는 흡수체(5)의 두께만큼 박육부(2b)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외장 시트(8)는, 부직포 시트로서, 표면 시트(6)나 이면 시트(7)보다 큰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다. 외장 시트(8) 중, 교차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어나오는 부분이 내측으로 폴딩되고, 폴딩 부위(Bd)의 근방에서 서로 포개지는 부분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폴딩 부위(Bd)의 근방에는, 실 고무 등의 신축 부재(11)가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수체(5)의 양편[즉, 흡수성 본체(2)의 교차 방향 양단부]에, 기저귀(1)의 다리 개구(1b)에 신축성을 발현시키는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된다. 여기서, 다리 개더부(12)는, 본 발명의 개더부의 일례로서, 신축 부재(11)는 상기 개더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신축 부재(11)는, 흡수성 본체(2) 중, 전술한 박육부(2b)에 해당하는 교차 방향 양단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폴딩 부위(Bd)에서 폴딩되어 있는 외장 시트(8)는, 폴딩 부위(Bd)보다 내측의 세워 올려진 부위(Bt)에서 약간 세워져 있고, 세워 올려진 부분 중, 흡수체(5)[엄밀하게는, 흡수체(5)를 덮는 표면 시트(6)]에 걸리는 부분이 교차 방향 외측으로 다시 폴딩된다. 이러한 폴딩 부위(Bf)에서 폴딩된 부분의 단부(자유단) 근방에는, 신축 부재(11)가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2)에 있어서 흡수체(5)의 교차 방향(횡단 방향)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위치에, 입체 개더부(13)가 형성된다. 입체 개더부(13)는, 기저귀(1)가 착용 상태로 있을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워 올려진 부위(Bt)를 받침점으로 하여 뒤로 휘어져서 착용자의 서혜 부근에 닿아,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을 입체 개더부(13) 사이에 형성한다. 도 3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의 입체 개더부(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다리 개더부(12) 및 입체 개더부(13)에 대해서는, 외장 시트(8)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외장 시트(8) 이외의 자재[예컨대, 외장 시트(8)의 피부면에 접합되는 시트 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등측 띠(3) 및 배측 띠(4)는,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로서, 모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으로 커팅되어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과 교차(대략 직교)해 있다. 그리고, 각 띠(3, 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띠(3, 4)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띠(3, 4)를 두 장 포갠 부직포에 의해 구성한 경우,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단부를 상기 부직포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띠(3, 4)에 실 고무나 고무 밴드 등의 고무 부재(14)(도 1c 참조)를 띠(3, 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각 띠(3, 4)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띠(3, 4)의 귀퉁이 부분을 대략 부채꼴로 다이커팅(도려내어 커팅)하여, 상기 띠(3, 4)의 다리 개구(1b)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해 착용자의 대퇴에 대한 피트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띠(3, 4) 중, 등측 띠(3)만을 다이커팅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배측 띠(4)도 다이커팅할 수도 있다.
<<기저귀(1)의 제조 방법>>
다음, 도 4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기저귀 제조 장치(30)의 주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기저귀 연속체(1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6b 및 도 6c에서는 흡수성 본체(2)를 단순화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저귀 제조 장치(30)에 의해 실행된다. 기저귀 제조 장치(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띠 공급 유닛(32), 전사 유닛(33), 제품 커팅 유닛(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은, 흡수성 본체(2)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즉, 흡수체(5), 표면 시트(6), 이면 시트(7), 외장 시트(8) 등]를 조합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제조하는 유닛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 제조 방법은,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에 의해 흡수성 본체(2)를 제조하는 공정(이하,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을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에서는, 표면 시트(6), 이면 시트(7) 및 외장 시트(8) 각각을 롤 형태로 말려있는 상태로부터 풀어내어 시트끼리를 접합하고, 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 사이에 흡수체(5)[상세하게는, 박엽지(10)로 감싸진 흡수성 코어(9)]를 끼워넣어 간다. 이 결과,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에서, 전술한 융기부(2a)와 박육부(2b)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2)가 제조된다.
또한, 각 시트(6, 7, 8)에 대해서는 연속 상태로 풀려나오고, 흡수체(5)는 그 연속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된다[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 사이에 끼어져 들어간다). 그리고, 외장 시트(8)의 소정 부위에는, 외장 시트(8)의 연속 방향을 따라 전술한 신축 부재(11)가 신장 상태로 고정된다. 나아가, 외장 시트(8)는, 그 위에 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 사이에 낀 흡수체(5)가 올려지고, 또한, 신축 부재(11)가 소정 부위에 고정된 후에, 소정의 폴딩 부위[전술한 폴딩 부위(Bd, Bf)]에서 폴딩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다리 개더부(12)나 입체 개더부(13)가 외장 시트(8)에 형성된다.
이상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수행된 시점에서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이 시점에서, 흡수성 본체(2)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늘어서도록 연속된 연속체(18)(도 6a 참조)가 형성된다. 이 연속체(18)는, 연속 상태인 채로 후단(後段)의 전사 공정으로 반송되고, 전사 공정의 시작시에 제품 단위로 절단되어 개개의 흡수성 본체(2)로 분단된다.
띠 반송 유닛(32)은, 띠(3, 4)를 전사 공정으로 반송하는 유닛이다. 각 띠(3, 4)는 반송 방향을 따라 연속된 연속띠(19, 20)의 상태로 반송된다(도 6b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폭이 넓은 분리전 연속띠(17)가 스플리터(35)에 의해 폭방향으로 잘려져 등측 띠(3)의 연속띠(19)와 배측 띠(4)의 연속띠(20)로 분리되고, 분리 후의 각 연속띠(19, 20)는, 제품 완성시의 띠(3, 4) 사이의 간격(D)과 일치하는 간격을 벌리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반송된다.
전사 유닛(33)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를 제품 단위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한 개체로서의 흡수성 본체(2)를, 띠 반송 유닛(32)에 의해 연속띠(19, 20)의 상태로 반송되어 오는 한 쌍의 띠(3, 4)에 전사하는 유닛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전사 유닛(33)에 의해 흡수성 본체(2)를 각 띠(3, 4)에 전사하는 공정(이하, 전사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수성 본체(2)는 제1 자재에 해당하고, 각 띠(3, 4)는 제2 자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전사 공정에서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가, 연속띠(19, 20)의 상태로 반송되어 오는 띠(3, 4) 사이에 상기 띠(3, 4)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걸쳐져 간다. 이때, 각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 단부에서 각 띠(3, 4)에 접합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흡수성 본체(2)가 차례로 띠(3, 4)에 접합되는 결과, 한 쌍의 띠(3, 4)와 그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2)가 사다리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2)를 띠(3, 4)에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핫멜트계 접착제에 의한 접착 접합을 채용하였는데, 엠보스 압착 등의 압착 접합과 같은 다른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각 띠(3, 4)는 계속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이러한 반송 동안에, 등측 띠(3)의 연속띠(19)에 대해 다이커팅 가공이 실시된다. 이 다이커팅 가공은, 등측 띠(3)의 연속띠(19) 중, 서로 이웃하는 흡수성 본체(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절결하는 처리로서, 도시하지 않은 다이커팅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다이커팅 가공이 수행되면, 등측 띠(3)의 연속띠(19)가 그 연속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대략 반원형으로 도려지고, 상기 도려진 부위에 대략 원호형의 아치(21)가 형성된다(도 6c 참조).
이상까지의 공정이 완료되면, 전개 상태의 기저귀(1)가 반송 방향으로 한 줄로 늘어서도록 연속된 기저귀 연속체(15)(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이 기저귀 연속체(15)는, 연속된 상태인 채 후단의 제품 커팅 공정으로 반송된다. 상기 제품 커팅 공정에서는, 제품 커팅 유닛(34)이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 기저귀 연속체(15)를 제품 단위로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기저귀 연속체 편(16)(도 5 참조)에 대해 최종 처리를 수행하면[예컨대, 팬츠형 제품의 경우에는, 기저귀 연속체 편(16)를 절곡 위치(Ck)에서 두 겹으로 접고, 용착 등으로 띠(3, 4)끼리를 환형으로 연결시켜 고정 부착하면],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완성된다.
===전사 유닛(33)에 의한 전사 공정===
본 항에서는, 전술한 전사 유닛(33) 및 전사 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사 공정의 흐름>>
먼저, 전사 공정의 대략적인 흐름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전사 공정에서 수행되는 각 처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7에서는 각 자재를 약간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예컨대, 전사 공정에 투입되는 단계에서 흡수성 본체(2)에는 다리 개더부(12)나 입체 개더부(13)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전사 공정에서는,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D)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띠(3, 4)[상세하게는, 연속띠(19, 20)의 상태로 있는 띠(3, 4)]를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시키면서, 띠(3, 4) 사이에 흡수성 본체(2)를 차례로 걸쳐서 접착한다. 이하, 전사 유닛(33)의 장치 폭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을 CD 방향이라 칭하고, CD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MD 방향이라고 칭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띠(3, 4)가 배치되는 방향이 CD 방향에 해당하고, 반송 방향이 MD 방향에 해당한다.
전사 공정을 전개함에 있어서, 전사 유닛(33)에서는, 먼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를 제품 단위로 절단한다[구체적으로는, 연속체(18)의 연속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흡수체(5)끼리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절단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로부터 한 개체로서의 흡수성 본체(2)가 분할 생성된다. 이러한 시점에서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따르고 있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한 개체로서 연속체(18)로부터 분할된 흡수성 본체(2)는, 수취 위치(Qin)에서 후술하는 유지 팰릿(41)에 수취하고, 그 후, 한 쌍의 띠(3, 4) 쪽으로 상기 유지 팰릿(41)과 함께 이동한다. 즉, 전사 유닛(33)은, 수취 위치(Qin)에서 수취된 흡수성 본체(2)를 한 쌍의 띠(3, 4)에 전사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전사 위치(Qout)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는 소정 축[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전사 드럼(45)의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궤도(Tr) 상을 이동한다.
흡수성 본체(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사 위치(Qout)로 이동하는 동안에 평면 중심 주위로 90° 선회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CD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변경된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2)가 전사 위치(Qout)에 도달하면, 상기 전사 위치(Qout)를 MD 방향으로 통과하는 연속띠(19, 20) 상태의 띠(3, 4)에,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접착되어 고정된다[즉, 흡수성 본체(2)가 띠(3, 4)에 전사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2)는, 띠(3, 4)에 전사될 때,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 면(2c)[기저귀(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쪽의 표면(도 9b 참조)]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이면측 면(2d)(도 9b 참조)을 띠(3, 4)에 대향시키고, 상기 이면측 면(2d)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띠(3, 4)에 접착된다. 즉, 이면측 면(2d)이 흡수성 본체(2)의 전사되는 쪽의 면(전사면)에 해당한다.
이상의 공정이 반복되는 결과, MD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P)로 흡수성 본체(2)가 띠(3, 4) 사이에 차례로 걸쳐져서, 전술한 대략 사다리 형태의 기저귀 연속체(15)가 형성된다. 즉, 흡수성 본체(2)가, 그 길이 방향이 MD 방향과 대략 직교한 상태로 MD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띠(3, 4)에 전사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2) 사이의 피치(P)는, 기저귀(1)의 제품 사양(제품 사이즈)에 상응한 거리가 되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전사 유닛(33)의 구성>>
전사 유닛(33)은, 전술한 순서에 의해 전사 공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전사 유닛(3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방향을 따른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사 드럼(45)과, 전사 드럼(45)에 지지되어 상기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9개)의 유지 팰릿(41)을 갖는다. 도 8은, 전사 유닛(33)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CD 방향은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이다.
또한, 전사 유닛(33)은, 유지 팰릿(41)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유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흡인 기구(46)(도 4 참조)와,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를 제품 단위로 절단하는 커팅 기구(47)(도 8 참조)를 갖는다. 이하, 전사 유닛(33)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커팅 기구(47)>
커팅 기구(4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2)의 수취 위치(Qin)의 직전 위치에 배치된 상하 한 쌍의 롤러(47a, 47b)를 갖는다. 상하 한 쌍의 롤러(47a, 47b) 각각은, 서로 외주면을 대향시키면서, CD 방향을 따른 축(Cc1, Cc2) 주위로 회전한다. 한 쌍의 롤러(47a, 47b) 중, 일측의 롤러(47a)[하측의 롤러(47a)]는, 그 외주면에 평날(47c)이 구비된 커터 롤러이다. 타측의 롤러(47b)[상측의 롤러(47b)]는, 그 외주면이 평활면이며 상기 평날(47c)을 받치는 앤빌 롤러이다.
이들 상하 한 쌍의 롤러(47a, 47b) 사이에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를 통과시키면, 연속체(18)의 소정 부위(구체적으로는, 절단 위치에 해당하는 부위)가, 하측의 롤러(47a)에 구비된 평날(47c)과 상측의 롤러(47b)의 외주면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연속체(18)의 선단부(하류측의 단부)로부터, 설계 길이만큼의 흡수성 본체(2)가 분할 생성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는, 그 연속 방향이 MD 방향을 따른 상태로 롤러(47a, 47b)를 통과한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2)는, 절단에 의해 연속체(18)로부터 분할 생성된 단계에서, 그 길이 방향이 MD 방향[구체적으로는,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된다.
<유지 팰릿(41), 전사 드럼(45) 및 흡인 기구(46)>
복수 개의 유지 팰릿(41) 각각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드럼(45)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한 유지면(42)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42)에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플레이트 부재로서, 본 발명의 유지체에 해당한다. 이 유지 팰릿(41)은, 연속체(18)로부터 분할 생성된 흡수성 본체(2)를 수취 위치(Qin)에서 받아들인 후, 흡수성 본체(2)가 전사 위치(Qout)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 면접촉시킨 상태로 계속 유지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 상에 유지한 상태에서는, 흡수성 본체(2)의 피부측 면(2c)이 유지면(42)에 접촉하고, 이면측 면(2d)이 전사 드럼(45)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고 있다(도 9b, 도 9c 참조).
또한, 유지 팰릿(4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면(42)의 평면 중심을 지나 전사 드럼(45)의 지름 방향을 따르는 선회축(Cs) 주위로 선회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2)를, 그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CD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팰릿(41)은, 각각 독립적으로, 전사 드럼(45)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사 드럼(4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결과,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유지 팰릿(41)끼리의 간격을 변경하고, 예컨대, 유지 팰릿(41)을 선회축(Cs) 주위로 선회시킬 때, 이 유지 팰릿(41)과 서로 이웃하는 유지 팰릿(41)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사 드럼(45)은, 전사 유닛(33)의 본체로서, 전사부에 해당하는 대략 원통형의 회전 드럼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사 드럼(45)은,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상태의 각 유지 팰릿(41)을 띠(3, 4)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상기 띠(3, 4)에 전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사 드럼(45)은, 복수 개의 유지 팰릿(41)을 지지하면서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에서 받아들인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 유지하면서,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하는 정원(正圓)의 원주 궤도(Tr)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주회한다. 그리고, 원주 궤도(Tr) 상의 전사 위치(Qout)에 도달한 유지 팰릿(41)은, 그 위치(Qout)를 연속띠(19, 20)의 상태로 통과하는 띠(3, 4)로 흡수성 본체(2)를 전달한다.
이상과 같이 전사 드럼(45)은,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상태의 각 유지 팰릿(41)을 상기 원주 궤도(Tr)를 따라 수취 위치(Qin)에서 전사 위치(Qout)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수취 위치(Qin)는, 원주 궤도(Tr) 상에 있어서, 유지 팰릿(41)이 유지면(42)에서 흡수성 본체(2)를 커팅 기구(47)로부터 수취하는 위치이다. 전사 위치(Qout)는, 원주 궤도(Tr) 상에 있어서,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2)가 띠(3, 4)에 전사되는[유지 팰릿(41)으로부터 띠(3, 4)로 넘겨지는] 위치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전사 드럼(45)의 회전 방향으로서, MD 방향에 해당함]에 있어서 수취 위치(Qin)로부터 약 180도 회전시킨 위치이다.
흡인 기구(46)는, 유지 팰릿(41)이 원주 궤도(Tr)를 따라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사 위치(Qout)까지 이동하는 동안, 유지면(42) 상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유지 상태를 양호하게 지속시키기 위해 흡인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흡인 동작은, 유지면(42)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42a)(도 9a 참조)을 통해 공기를 흡인(흡기)하는 동작이다.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2)가 유지면(42)에 올려지면, 그 피부측 면(2c)[흡수성 본체(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전사 시에 띠(3, 4)와 대향하지 않는 쪽의 표면]이 유지면(42)에 흡착된다. 즉, 유지 팰릿(41)은, 흡인 기구(46)와 협동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 흡착시키면서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여기서, 흡수성 본체(2)를 흡착시킨다고 하는 것은,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피부측 면(2c)의 전체면이 유지면(42)에 접촉하도록 끌어당기는 경우 외에, 피부측 면(2c)의 일부에 대해서는 유지면(42)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그 대부분이 유지면(42)과 접촉하도록 끌어당기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서, 유지 팰릿(4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는, 유지 팰릿(41)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X-X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각 도면에는,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를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유지 팰릿(41)은 중공 형상의 대략 직육면체이다(도 9b 및 도 9c 참조). 유지 팰릿(41)의 길이 방향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으며, 또한, 유지면(42)의 폭방향과 대략 직교해 있다(도 9a 참조). 바꾸어 말하면, 유지면(42)의 폭방향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과 교차(대략 직교)해 있다. 또한, 유지 팰릿(41)은, 그 높이 방향이 전사 드럼(45)의 지름 방향을 따른 상태로 전사 드럼(45)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에 위치할 때,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구체적으로는,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을 따르고 있는 상태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회전축 방향[회전축(Ct)의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에 있어서 커팅 기구(47)로부터 수취한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서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에서,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과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이 모두 MD 방향을 따른 상태로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한다. 따라서, 유지 팰릿(41)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이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태[바꾸어 말하면, 유지면(42)의 폭방향이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른 상태]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결과, 유지 팰릿(41)은, 유지면(42) 상에서 흡수성 본체(2)가 안정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면(42)의 평면 사이즈는 흡수성 본체(2)의 평면 사이즈보다 한 바퀴 크게 되어 있다(도 9a 참조).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면(42)은, 그 길이 방향의 능선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곡면으로서, 그 곡률 반경은 원주 궤도(Tr)의 반경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수취 위치(Qin)에서의 유지 팰릿(41)의 이동 속도(회전 속도)(Vr)를, 유지 팰릿(41)의 길이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등속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이동 속도(Vr)를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의 이동 속도(Vs)와 맞춰 놓으면, 유지 팰릿(41)이 수취 위치(Qin)에서, 주름의 발생을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전 영역에 걸쳐 억제하면서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지면(42)은, 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면(42)은, 액자형의 제1 영역(43)과, 제1 영역(43)에 의해 포위되고 상기 제1 영역(43)과 인접하는 제2 영역(44)을 갖는다. 제2 영역(44)은, 상기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43)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한다(도 9b 참조).
또한, 유지면(42)의 폭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43)은 유지면(42)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제2 영역(44)은 유지면(42)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또한, 제2 영역(44)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면(4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배치된 제1 영역(43)들 사이에 낀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도 9c 참조).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44)이 유지면(42)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타단에 걸쳐 뻗어 있는(즉, 유지면(4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제1 영역(43)이 없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지 팰릿(41)은, 흡수성 본체(2) 중, 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2b)를 제1 영역(43)에 흡착시키고,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박육부(2b)보다 두꺼운 융기부(2a)를 제2 영역(44)에 흡착시키면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즉, 유지 팰릿(41)은,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하면, 제2 영역(44) 상에 형성된 함몰 공간(Sa) 내에 보다 두꺼운 융기부(2a)가 끼워져 들어가도록,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이 결과,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대략 평탄하게[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면(42)의 길이 방향 능선을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하도록] 하면서,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한 항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의 사이에 높이 차(h)가 생기도록, 유지면(42)의 제2 영역(44)에 해당하는 부분이 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내측[유지 팰릿(41)의 바닥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유지 팰릿(41)의 외표면 중, 제1 영역(43)에 해당하는 영역에 박판 등의 바닥올림 부재를 접착하고, 바닥올림 부재의 표면을 제1 영역(43)으로 하고, 유지 팰릿(41)의 외표면 중 바닥올림 부재가 접착되지 않은 영역을 제2 영역(44)으로 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평탄하게 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킴에 있어서,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 사이의 높이 차(h)가, 융기부(2a)와 박육부(2b) 사이의 두께의 차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높이 차(h)가 상기 두께 차와 대략 같게 되어 있어(도 9b 참조),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평탄하게 하는 상기한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차(h)란, 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서의 제1 영역(43)의 위치와, 제2 영역(44) 중에서 가장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의 위치 사이의 낙차를 의미한다. 또한, 두께 차란, 흡수성 본체(2)의 두께 방향에서의 박육부(2b)의 두께와, 융기부(2a)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사이의 차를 의미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평탄하게 하는 효과를 더욱 유효하게 발휘시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팰릿(41)이 융기부(2a)를 제2 영역(44)의 외측 가장자리(44a)의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제2 영역(44)이 융기부(2a)의 외형 형상[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체(5)의 외형 형상] 이상의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다(도 9a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면(42)의 폭방향에서의 제2 영역(44)의 양단부(44b)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폭방향에서의 단부를 향할수록 높이[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상기 함몰 공간(Sa)의 개구폭[유지면(42)의 폭방향에서의 길이]이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면(42)에서 흡수성 본체(2)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전사 시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원활하게 띠(3, 4)로 전달하는(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제2 영역(44)의 폭방향 양단부(44b)가 경사면이 아닌 경우, 전사 시에 융기부(2a)가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의 경계에서 걸려 버려, 흡수성 본체(2)를 전달하는 것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제2 영역(44)의 양단부(44b)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면, 융기부(2a)가 상기 경계에서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흡수성 본체(2)의 전달(전사)이 원활하게 구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면(42)에는 그 전체면에 걸쳐 복수 개의 구멍(42a)(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각 유지 팰릿(41)이 박육부(2b)를 제1 영역(43)에 흡착시키고, 또한, 융기부(2a)를 제2 영역(44)에 흡착시키기 위해, 흡인 기구(46)가 구멍(42a)을 통해 공기를 흡인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구멍(42a) 중, 제2 영역(44)에 형성된 구멍(42a)의 크기(구경)가, 제1 영역(43)에 형성된 구멍(42a)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인 동작 시에 융기부(2a)에 작용하는 흡인력(단위 면적 당 흡인압)은, 박육부(2b)에 작용하는 흡인력보다 작아진다. 이 결과, 유지면(42)에서 흡수성 본체(2)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전사 시에는 흡수성 본체(2)를 원활하게 띠(3, 4)로 전달하는(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흡수성 본체(2)가 유지 팰릿(41)에 유지되어 있을 때 융기부(2a)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커질수록, 상기 융기부(2a)가 상기 함몰 공간(Sa)으로부터 빠져나오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융기부(2a)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대해서는, 융기부(2a)가 제2 영역(44)에 흡착되면서도 전사 시에는 함몰 공간(Sa)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영역(44)에 형성된 구멍(42a)의 크기를, 제1 영역(43)에 형성된 구멍(42a)의 크기보다 작게 하였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예컨대, 제2 영역(44)에 형성된 구멍(42a)의 수를 제1 영역(43)에 형성된 구멍(42a)의 수보다 적게 할 수도 있다.
<<전사 공정에서의 전사 유닛(33) 각 부의 동작>>
다음, 전사 공정에서의 전사 유닛(33) 각 부의 동작에 대해, 주로 유지 팰릿(41) 및 전사 드럼(45)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사 드럼(45)은, 기저귀 제조 장치(30)의 가동 중, 회전축(Ct)을 중심으로 하여 항상 회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유지 팰릿(41)이 원주 궤도(Tr)를 따라서 주회한다. 이 동안,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가 커팅 기구(47) 쪽으로 보내지고, 상기 커팅 기구(47)에 의해 상기 연속체(18)가 제품 단위로 절단되어 흡수성 본체(2)가 차례로 분할 생성된다.
그리고, 각 유지 팰릿(41)은, 원주 궤도(Tr) 상의 수취 위치(Qin)에서 커팅 기구(47)로부터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하고, 이것을 유지면(42)에서 유지한다. 즉, 전사 유닛(33)에 있어서는, 유지 팰릿(41)의 유지면(42)에서 흡수성 본체(2)를 유지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 공정에서는, 흡인 기구(46)에 흡인 동작을 실행시킴으로써, 유지면(42) 중의 제1 영역(43)에 흡수성 본체(2)의 박육부(2b)를 흡착시키고, 또한, 제2 영역(44)에 융기부(2a)를 흡착시키면서 유지 팰릿(41)에 흡수성 본체(2)를 유지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에서,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따른 상태[바꾸어 말하면,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회전축(Ct)의 축방향(회전축 방향을 말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CD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다. 이 결과, 유지 팰릿(41)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과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이 서로를 따른 상태로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하고, 이러한 상태인 채로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서 유지하게 된다.
수취 위치(Qin)를 통과한 유지 팰릿(41)은,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서 유지하면서 전사 위치(Qout)를 향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의 전사면인 이면측 면(2d)[전사 드럼(45)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이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측 면(2d)의 이동 속도(회전 속도)는, 그 이동 방향[즉,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등속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유지 팰릿(41)은,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사 위치(Qout) 쪽으로 원주 궤도(Tr)를 주회하는 동안에, 선회축(Cs) 주위로 90도 선회한다. 이에 따라,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CD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바뀌고, 이러한 상태를 전사 위치(Qout)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한다. 또한, 유지 팰릿(41)은, 선회축(Cs) 주위로 90도 선회함에 있어서, 그 이동 방향[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 상류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후행의 유지 팰릿(41)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행의 유지 팰릿(41)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전사 드럼(45)에 대해 상기 전사 드럼(4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도 8 참조).
그 후, 유지 팰릿(41)이 전사 위치(Qout)에 이르면, 그 전사 위치(Qout)에서 흡수성 본체(2)가 유지면(42)으로부터 한 쌍의 띠(3, 4)로 인도되어 전사된다. 전사 위치(Qout)에서의 유지 팰릿(41)은, 유지면(42)의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따른 상태[바꾸어 말하면,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MD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다. 이 결과,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따른 상태로 한 쌍의 띠(3, 4)로 전달된다. 즉, MD 방향으로 반송되는 한 쌍의 띠(3, 4)에 대해 흡수성 본체(2)[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가 직교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2)가 띠(3, 4) 사이에 걸쳐진다.
이상과 같이, 전사 유닛(33)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상태의 유지 팰릿(41)을 띠(3, 4)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띠(3, 4)에 전사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또한, 유지 팰릿(41)이 전사 위치(Qout)에 이르게 되면, 먼저,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 중, 교차 방향 일단부가 전사 위치(Qout)에서 띠(3, 4)와 대향하고, 이어서 교차 방향 타단부가 그 전사 위치(Qout)에서 띠(3, 4)와 대향한다. 여기서,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이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면측 면(2d)의 교차 방향 각 단부는, 전사 위치(Qout)를 통과하여 띠(3, 4)와 대향할 때 적절한 접촉력으로 띠(3, 4)에 접촉하여 부착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드럼(45)을 회전시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유지 팰릿(41)을 전사 위치(Qout)에 이르게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상세하게는 이면측 면(2d)의 교차 방향 양단부]를 띠(3, 4)의 소정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부위에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유지 팰릿(41)은, 다시 선회축(Cs) 주위로 90° 선회하여 유지 팰릿(41)의 길이 방향을 CD 방향에서 MD 방향으로 복귀시키고, 이에 따라 수취 위치(Qin)에서 흡수성 본체(2)를 수취할 준비를 한다. 또한, 유지 팰릿(41)은, 다시 선회축(Cs) 주위로 90° 선회함에 있어서, 그 이동 방향[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유지 팰릿(41)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전사 드럼(45)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도 8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 제조 장치(30) 및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2)(제1 자재)가 유지 팰릿(41)(유지체)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2)의 전사면[즉, 이면측 면(2d)]에 요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그 이후의 전사 공정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 중에는, 그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즉, 융기부(2a)와 박육부(2b)]이 존재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본체(2)를 유지 팰릿(41)에 유지하는 경우, 예컨대, 평탄한 유지면(42)에 흡수성 본체(2)를 올려놓으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의 전사면에 주름이나 접힘 등의 요철이 발생해 버린다. 도 10a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평탄한 유지면(42)에 흡수성 본체(2)를 올려놓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요철은, 융기부(2a)와 박육부(2b) 사이의 두께의 차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융기부(2a)와 박육부(2b)가 병존하는 흡수성 본체(2)를 평탄한 유지면(42)에 올려놓으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2a)와 박육부(2b)의 경계 위치 주변에서 접힘이나 주름이 발생하여 요철이 발생해 버린다. 그리고, 전사면인 이면측 면(2d)에 요철이 생긴 채로 흡수성 본체(2)를 전사 위치(Qout)로 이동시켜도, 상기 흡수성 본체(2)가 띠(3, 4)(제2 자재)에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전사 위치(Qout)에서의 유지면(42)과 띠(3, 4) 사이의 간극은, 그 위치(Qout)에서 흡수성 본체(2)가 띠(3, 4)와 적절한 접촉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는데, 유지면(42)이 평탄면인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2) 중에서 보다 두께가 두꺼운 융기부(2a)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융기부(2a)에 대해서는 띠(3, 4)와 충분한 접촉력으로 접촉할 수 있는 반면, 두께가 얇은 박육부(2b)에 대해서는 띠(3, 4)와 충분한 접촉력으로 접촉할 수가 없어 띠(3, 4)에 적절하게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도 10a 참조).
나아가, 신축 부재(11)에 의해 박육부(2b)에 개더부[구체적으로는,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를 전사하는 경우, 유지면(42)이 평탄면이면 전사가 훨씬 어려워지게 된다. 즉, 평탄한 유지면(42)에 흡수성 본체(2)를 올려놓으면,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에 있는 신축 부재(11)가 수축해 버리고, 이에 따라, 박육부(2b)로부터 융기부(2a)에 걸쳐 플리츠형의 주름이 발생한다. 주름이 생긴 상태의 흡수성 본체(2)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전사하기가 어렵다.
이상과 같은 과제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면(42)이 제1 영역(43)과, 유지 팰릿(4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43)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4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 팰릿(41)은, 흡수성 본체(2)의 박육부(2b)를 제1 영역(43)에 흡착시키고, 또한, 융기부(2a)를 제2 영역(44)에 흡착시키면서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즉, 제2 영역(44) 상에 형성된 함몰 공간(Sa)에 융기부(2a)가 끼워지도록,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융기부(2a)와 박육부(2b) 사이의 두께의 차를,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의 높이 차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전사면인 이면측 면(2d)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면측 면(2d)을 대략 평탄하게 유지한 채로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 상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b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한 설명도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지면(42) 상에 흡수성 본체(2)가 유지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팰릿(41)에 유지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이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면측 면(2d) 중, 띠(3, 4)와 대향하는 범위에 대해서는 전체면에 걸쳐 적당한 접촉력으로 띠(3, 4)에 접촉한다[띠(3, 4)에 접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모두 적절하게 띠(3, 4)에 접촉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드럼(45)을 회전시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유지 팰릿(41)을 전사 위치(Qout)에 이르게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띠(3, 4)의 소정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부위에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흡수성 본체(2)를 유지 팰릿(41)에 유지시키는 경우에, 그 이후의 전사가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육부(2b)가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하고, 융기부(2a)가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흡수체(5)가 융기부(2a)에 배치되고, 개더부[다리 개더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11)가,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박육부(2b)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43)은 유지면(42)의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하고, 제2 영역(44)은 유지면(4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유지 팰릿(41)은, 유지면(42)의 폭방향이 흡수성 본체(2)의 교차 방향을 따른 상태로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하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 부재(11)에 의해 박육부(2b)에 상기한 개더부가 형성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를 전사하는 경우에는, 유지면(42)이 평탄면이면, 흡수성 본체(2)를 상기 유지면(42)에 유지할 때, 신축 부재(11)가 수축하는 결과로, 흡수성 본체(2)에 플리츠형의 주름이 발생하여, 그 이후의 전사가 어려워져 버린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흡수성 본체(2)를 유지면(42)에 유지하면 융기부(2a)가 함몰 공간(Sa)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신축 부재(11)의 신축 및 이에 따른 흡수성 본체(2)의 수축이 규제되므로, 상기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개더부가 신축 부재(11)로 형성된 상태의 흡수성 본체(2)라 하더라도 적절하게 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 사이의 높이 차(h)가, 융기부(2a)와 박육부(2b) 사이의 두께의 차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평탄하게 하기가 용이하여 상기 흡수성 본체(2)를 적절하게 띠(3, 4)에 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높이 차(h)가 상기 두께의 차와 대략 같게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높이 차(h)가 융기부(2a)와 박육부(2b) 사이의 두께의 차 미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영역(44)이 융기부(2a)의 외형 형상 이상의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2)의 이면측 면(2d)을 평탄하게 하기가 훨씬 용이해져, 흡수성 본체(2)를 더욱 적절하게 띠(3, 4)에 전사할 수 있다. 즉, 유지 팰릿(41)이 융기부(2a)를 제2 영역(44)의 외측 가장자리(44a)의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훨씬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44)의 평면 사이즈가 융기부(2a)의 외형 형상[상세하게는, 흡수체(5)의 외형 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것이 좋다.
===전사 공정의 변형예===
전술한 전사 공정의 형태(이하, 본건예)에서는, 유지 팰릿(41)이,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사 위치(Qout)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선회축(Cs)을 중심으로 90도 선회하는 것으로 했다. 즉, 본건예에서는, 유지 팰릿(41)이 수취 위치(Qin)에서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회전축(Ct)의 축방향(CD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고, 전사 위치(Qout)에서, 상기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다. 이 결과, 제1 자재인 흡수성 본체(2)가 제2 자재인 띠(3, 4)에 전사될 때,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이 띠(3, 4)의 연속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게 된다.
단, 상기한 전사 공정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른 형태(이하,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 전사 공정의 변형예에 대해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사 공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유지 팰릿(41)을 하나만 도시하였다.
<<변형예의 구성>>
변형예에서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를 폭이 넓은 띠형 부재(22)에 전사한다. 바꾸어 말하면, 띠형 부재(22)는, 변형예에 따른 제2 자재에 해당하는 연속 시트이다. 또한, 상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형 부재(22)는, 그 연속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이 띠형 부재(22)의 반송 방향(MD 방향)을 따르도록 전사(접합)된다. 흡수성 본체(2)가 접합된 띠형 부재(22)는, 단계적으로 제품 형상으로 커팅되고, 반송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절단되어 전개 상태의 반제품 기저귀(23)[즉, 제품으로서 완성되기 전의 기저귀(1)]를 이루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건예에서는 등측 띠(3) 및 배측 띠(4)를 분리하였으며, 흡수성 본체(2)가 띠(3, 4) 사이에 걸쳐지는 데 반해, 변형예에서는 등측 띠(3)에 해당하는 부분과 배측 띠(4)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어져서 1장 형태로 되어 있어, 띠형 부재(22)의 폭방향(연속 방향과 교차함)에서의 중앙부에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형태의 전사를 수행하도록, 변형예에서는 유지 팰릿(41)이, 수취 위치(Qin)에서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회전축(Ct)의 축방향(CD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전사 위치(Qout)까지 이동한다(도 11b 참조). 즉, 변형예에 따른 유지 팰릿(41)에 대해서는,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사 위치(Qout)로 이동하는 동안에 90도 선회하는 일이 없고, 유지면(42)의 폭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채의 상태로 전사가 수행된다. 이 결과,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이 띠형 부재(22)의 반송 방향(MD 방향)을 따른 상태로, 상기 띠형 부재(22)에 전사된다.
전술한 점에 있어서 본건예와 변형예는 다른데, 그 이외의 점에서는 양자가 대략 동일하고, 변형예에서도 본건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본건예와 변형예 사이의 효과의 차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본건예에서는, 유지면(42)의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로 전사가 수행되고, 변형예에서는, 상기 폭방향이 전사 드럼(45)의 회전축(Ct)의 축방향을 따른 상태로 전사가 수행된다. 이 결과,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건예에서는, 변형예에 비해, 전사 시작 시에 제2 자재(띠(3, 4) 혹은 띠형 부재(22))에 전사되는 흡수성 본체(2)의 부분(도면에서, 빗금친 부분)이 보다 넓어진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건예와 변형예 사이의 효과의 차이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2a가 본건예를 도시하고, 도 12b가 변형예를 도시한다. 즉, 본건예에서는 변형예보다 전사 시작 시에 전사되는 범위가 넓어지는 만큼, 적절하게 전사되도록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건예가 변형예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는, 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제조 장치(30) 및 기저귀(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으나,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고,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설정값, 치수값 및 형상 등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 흡수성 본체(2)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1 부분으로서의 박육부(2b) 및 제2 부분으로서의 융기부(2a)의 배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마찬가지로, 유지면(42)의 형상에 관해 제1 영역(43)과 제2 영역(44)의 배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흡수성 본체(2)에서의 융기부(2a) 및 박육부(2b)의 배치에 상응한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5)와 상기 흡수체(5)의 양편에 형성된 개더부[다리 개더부(12)]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2)를 제1 자재의 일례로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사 전의 흡수성 본체(2)에 개더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혹은, 제품이 완성된 단계에서도 흡수성 본체(2)에 상기 개더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병존)하는 것인 한, 흡수성 본체(2) 이외의 제1 자재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드럼(45)을 전사부의 일례로서 예로 들어 설명했다. 즉, 전사 드럼(45)이 회전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유지한 유지 팰릿(41)이 원주 궤도(Tr)를 주회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단, 전사부에 대해서는 전사 드럼(45)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와 같이 유지 팰릿(41)을 직선 궤도를 따라 직진 이동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기저귀(1)를 예로 들어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른 흡수성 물품으로는, 생리대, 실금 패드, 와이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a 몸통 개구, 1 다리 개구, 2 흡수성 본체(제1 자재), 2a 융기부(제2 부분), 2b 박육부(제1 부분), 2c 피부측 면, 2d 이면측 면, 3 등측 띠(제2 자재), 4 배측 띠(제2 자재), 5 흡수체, 6 표면 시트, 7 이면 시트, 8 외장 시트, 9 흡수체 코어, 10 박엽지, 11 신축 부재, 12 다리 개더부, 13 입체 개더부, 14 고무 부재, 15 기저귀 연속체, 16 기저귀 연속체 편, 17 분리전 연속띠, 18 연속체, 19 연속띠, 20 연속띠, 21 아치, 22 띠형 부재(제2 자재), 23 반제품 기저귀, 30 기저귀 제조 장치(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31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 32 띠 반송 유닛, 33 전사 유닛, 34 제품 커팅 유닛, 35 스플리터, 41 유지 팰릿(유지체), 42 유지면, 42a 구멍, 43 제1 영역, 44 제2 영역, 44a 외측 가장자리, 44b 양단부, 45 전사 드럼(전사부) 46 흡인 기구, 47 커팅 기구, 47a 롤러, 47b 롤러, 47c 평날, Qin 수취 위치, Qout 전사 위치, Cc1 축, Cc2 축, Cs 선회축, Ct 회전축, S 수용 공간, Sa 함몰 공간, Tr 원주 궤도

Claims (8)

  1.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서,
    유지면을 구비하고, 이 유지면에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유지체와,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자재를 상기 제2 자재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자재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체는,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에 흡착시키면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제1 자재로서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양편에 형성된 개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체가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개더부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유지면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유지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유지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지체는, 상기 폭방향이 상기 교차 방향을 따른 상태로 상기 흡수성 본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전사부는,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전사 드럼이며,
    상기 전사 드럼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지체가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를 받아들이는 수취 위치로부터, 상기 유지체에 유지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제2 자재에 전사되는 전사 위치로 상기 유지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유지체는, 상기 수취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이 상기 전사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고, 상기 전사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이 상기 전사 드럼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높이 차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두께 차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의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흡수성 본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제2 영역의 양단부는, 상기 폭방향의 끝쪽으로 갈수록 상기 높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체가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영역에 흡착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2 영역에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기구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구멍 중,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8. 제1 자재 및 제2 자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부분과, 상기 제1 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꺼운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자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유지면을 구비하는 유지체에 있어서, 그 유지면에서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자재를 유지한 상태의 상기 유지체를 상기 제2 자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자재를 상기 제2 자재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체에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킬 때에는, 상기 유지면 중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부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유지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상기 제2 부분을 흡착시키면서, 상기 유지체에 상기 제1 자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KR1020117024303A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KR101709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1500 2009-04-03
JP2009091500A JP5396131B2 (ja) 2009-04-03 2009-04-03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PCT/JP2010/055539 WO2010113854A1 (ja) 2009-04-03 2010-03-29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733A true KR20110139733A (ko) 2011-12-29
KR101709359B1 KR101709359B1 (ko) 2017-03-08

Family

ID=4282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03A KR101709359B1 (ko)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339418B2 (ko)
EP (1) EP2415432B1 (ko)
JP (1) JP5396131B2 (ko)
KR (1) KR101709359B1 (ko)
CN (1) CN102368988A (ko)
AR (1) AR076034A1 (ko)
AU (1) AU2010231714A1 (ko)
BR (1) BRPI1006489A2 (ko)
EA (1) EA201101443A1 (ko)
NZ (1) NZ595170A (ko)
SG (1) SG174202A1 (ko)
TW (1) TW201103847A (ko)
UA (1) UA102895C2 (ko)
WO (1) WO2010113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6131B2 (ja) * 2009-04-03 2014-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5508034B2 (ja) * 2010-01-09 2014-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
US9421137B2 (en) 2012-06-29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refastenable artic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04538A (ja) * 2012-11-27 2014-06-09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吸着ハンドおよびワークを含む製品の製造方法
US10299970B2 (en) 2013-03-15 2019-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rticles comprising folded fastening tab members
US10625646B2 (en) 2016-04-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EP3711724A4 (en) * 2017-11-17 2021-08-18 Zuik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EP3838095B1 (de) * 2019-12-20 2022-08-31 Eurofilters Holding N.V. Halteplatte für einen staubsaugerfilterbeut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111A1 (en) * 1988-04-21 1989-10-25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Method of producing sanitary articl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20030121614A1 (en) * 2002-01-02 2003-07-03 Jeffery Tabor Apparatus for applying discrete parts to a moving web
JP2004148040A (ja) 2002-11-01 2004-05-27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JP2004223238A (ja) 2002-08-22 2004-08-12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298193A (ja) 2004-04-15 2005-10-27 Toa Kiko Kk ワーク搬送装置
JP2006124045A (ja) * 2004-10-26 2006-05-18 Livedo Corporation パッド搬送装置
EP2522325A1 (en) * 2010-01-09 2012-11-14 Unicharm Corporation Cu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487A (en) * 1985-10-18 1988-08-3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repositioning discrete articles
JP2810732B2 (ja) 1989-11-22 1998-10-15 花王株式会社 弾性体の取付方法及びその装置
US5830296A (en) * 1993-09-16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imultaneously embossing and forming a perimeter seal on an absorbent article
US5591297A (en) * 1994-11-17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incorporating acquisition/distribution inserts into absorbent cores
ATE346001T1 (de) * 1999-12-16 2006-12-15 Zuiko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US6482278B1 (en) * 2000-03-29 2002-11-19 Curt G. Joa, Inc. Pants typ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387148B2 (en) * 2001-05-15 2008-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side panel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6604623B2 (en) * 2001-01-31 2003-08-12 Zuiko Corporation Article transfer apparatus
JP3404029B2 (ja) * 2001-01-31 2003-05-06 株式会社瑞光 物品の搬送装置
DE10114786C2 (de) * 2001-03-26 2003-07-17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820671B2 (en) * 2001-10-05 2004-11-23 Paragon Trade Brand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bsorbent garments
US7008497B2 (en) * 2002-08-22 2006-03-07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earing article
TWI358283B (en) * 2004-08-20 2012-02-21 Kao Corp Process of producing an absorbent article
US8822015B1 (en) * 2007-02-15 2014-09-02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Elastic composite having dual elasticized regions,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elastic composite
TWI454250B (zh) * 2007-08-28 2014-10-01 Kao Corp 賦形薄片及使用其之吸收性物品
JP5270126B2 (ja) 2007-09-05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WO2009128757A1 (en) * 2008-04-18 2009-10-22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structure
US20090294044A1 (en) * 2008-05-27 2009-12-03 Nathan Alan Gill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Elastic Components to Absorbent Articles
IT1399147B1 (it) * 2009-03-09 2013-04-11 Gdm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imbottiture assorbenti per articoli igienici intimi ed impianto per la realizzazione di articoli igienici intimi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JP5396132B2 (ja) * 2009-04-03 2014-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5396131B2 (ja) * 2009-04-03 2014-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5492628B2 (ja) 2010-03-26 2014-05-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受け渡し装置
US8398915B2 (en) *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9211217B2 (en) * 2012-10-31 2015-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tampons by forming a softwind with contact eleme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111A1 (en) * 1988-04-21 1989-10-25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Method of producing sanitary articl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20030121614A1 (en) * 2002-01-02 2003-07-03 Jeffery Tabor Apparatus for applying discrete parts to a moving web
JP2004223238A (ja) 2002-08-22 2004-08-12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4148040A (ja) 2002-11-01 2004-05-27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JP2005298193A (ja) 2004-04-15 2005-10-27 Toa Kiko Kk ワーク搬送装置
JP2006124045A (ja) * 2004-10-26 2006-05-18 Livedo Corporation パッド搬送装置
EP2522325A1 (en) * 2010-01-09 2012-11-14 Unicharm Corporation 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5432B1 (en) 2018-09-05
SG174202A1 (en) 2011-10-28
US9339418B2 (en) 2016-05-17
JP5396131B2 (ja) 2014-01-22
AR076034A1 (es) 2011-05-11
EP2415432A1 (en) 2012-02-08
WO2010113854A1 (ja) 2010-10-07
TW201103847A (en) 2011-02-01
JP2010240109A (ja) 2010-10-28
KR101709359B1 (ko) 2017-03-08
EP2415432A4 (en) 2015-11-04
UA102895C2 (ru) 2013-08-27
CN102368988A (zh) 2012-03-07
NZ595170A (en) 2012-12-21
AU2010231714A1 (en) 2011-10-06
BRPI1006489A2 (pt) 2018-02-14
EA201101443A1 (ru) 2012-05-30
US20120070254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733A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US8596324B2 (en) Web conveying apparatus and web conveying method
JP5337562B2 (ja) 加工装置、及び、シート部材を加工する方法
JP5789730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00657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5953453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単票状シートの搬送方法
JP5841756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5243305B2 (ja) ウェブ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728222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2460500B1 (en) Web joining device and web joining method
CN107847362B (zh) 搬送装置以及使用该搬送装置的一次性穿着物品的制造方法
CN107847363B (zh) 搬送装置以及使用该搬送装置的一次性穿着物品的制造方法
WO2010140610A1 (ja) 着用物品の製造方法
WO2015146244A1 (ja) 吸収性物品製造装置
CN108430409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