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083A -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083A
KR20110139083A KR1020110008864A KR20110008864A KR20110139083A KR 20110139083 A KR20110139083 A KR 20110139083A KR 1020110008864 A KR1020110008864 A KR 1020110008864A KR 20110008864 A KR20110008864 A KR 20110008864A KR 20110139083 A KR20110139083 A KR 2011013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member
connec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551B1 (ko
Inventor
박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3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와이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 부재 및 제1연결 부재 위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 영역을 개시한다. 여기서, 제2연결 부재는 와이어의 결합을 위한 상부로 돌출된 한쌍의 결합 부재를 갖는다. 또한, 제1연결 부재, 제2연결 부재, 결합 부재 및 와이어에 납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CONNECTOR OF BATTERY PACK AND COUP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전동공구, 전기 자전거 또는 전기 스쿠터 등의 경우에는 하나의 배터리 셀만을 가지고서는 전원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기기 또는 전동기기의 경우, 전원 용도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제어하고, 또한 과충전이나 과방전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보호회로모듈이 함께 조립된다. 더불어, 이러한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보호회로모듈 사이에는 충전 전류 또는 방전 전류를 흘려 보내기 위한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와이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와이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상기 제1면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 부재; 상기 제1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면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연결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상기 제2연결 부재 및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 부재가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는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는 크기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절개부가 상기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다. 용접 홈이 상기 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는 제1 및 제2측부 테두리를 갖고,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상기 제1측부 테두리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는 제1 및 제2연결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영역은 절곡 가능한 영역이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의 상기 제2측부 테두리에 맞물리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 테두리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2연결 부재가 위치되는 C-형태의 개구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부재는 와이어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부재가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여 유지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 상기 제1,2와이어 결합 부재의 상기 와이어 위에 위치된 납땜 재료를 더 포함한다. 제2연결 부재의 제2표면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 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홈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홈은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표면으로부터 제1표면까지 연장하는 오프닝(opening)이다.
상기 제1,2 연결 부재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와이어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측부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연결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2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연결 부재에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면 위에 형성된 마운팅 구조에 와이어를 기구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제1연결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마운팅 구조에 기구적으로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마운팅 구조에 기구적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상기 제2측부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에 연결된 연결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제2연결 부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상기 제1연결 부재에 근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제1연결 부재에 근접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고정 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제2연결 부재의 테두리를 위치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팅 구조에 와이어를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 부재가 상기 와이어 수용 영역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상기 와이어 수용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결합 부재에 와이어를 위치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및 상기 두개의 결합 부재에 납땜 재료를 더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는 평평한 제1연결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 부재가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용이하게 용접되고, 또한 제1연결 부재 위에 제2연결 부재 및 한쌍의 결합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 부재 및 한쌍의 결합 부재에 와이어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는 와이어가 커넥터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에 결합되거나, 와이어의 결합후 납땜이 형성되거나, 와이어의 결합후 결합 부재가 클램핑되고 이어서 납땜이 형성됨으로써,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와이어에 대전류가 흘러 고온이 됨으로써, 상기 납땜이 용융된다고 해도,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커넥터로부터 와이어가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방법은 커넥터를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접속하고, 커넥터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에 와이어를 결합하거나, 와이어 결합 후 납땜을 형성하거나, 와이어의 결합 후 결합 부재를 클램핑하거나, 또는 결합 부재의 클램핑 후 납땜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시간이 짧고, 전체 결합 시간동안 위험 요소가 없어 작업 안전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6b-6b선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6c-6c선 단면도이며, 도 6d는 또다른 6c-6c선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를 이용한 와이어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10), 커넥터(120A,120B,120C), 보호회로모듈(130) 및 와이어(141A,141B)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재충전 가능한 전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 셀(110)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 셀(110)은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넥터(120A,120B,120C)는 배터리 셀(11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일례로 상기 커넥터(120A,120B,120C)에 의해 다수의 배터리 셀(110)이 5직렬 2병렬 형태로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130)은 상기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110)에 대한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130)은 상기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양극 패드(131A) 및 음극 패드(131B)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회로모듈(130)은 배터리 셀(110)이 과충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다수의 전자 소자(133)(집적회로, 트랜지스터, 저항 및 커패시터 등)가 실장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보호회로모듈(130)은 도시되지 않은 충전기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1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1A,141B)는 상기 배터리 셀(110)과 상기 보호회로모듈(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41A,141B)는 각각 절연 피복(141a,141b)으로 감싸여져 있다. 상기 와이어는 양극 와이어(141A) 및 음극 와이어(141B)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와이어(141A)는 배터리 셀(110)중 최고 전위의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111)에 연결된 커넥터(120A)와 보호회로모듈(130)의 양극 패드(131A)를 연결한다. 즉, 양극 와이어(141A)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120A)에 결합, 접속, 연결 또는 납땜되고, 타단이 상기 양극 패드(131A)에 납땜된다. 상기 음극 와이어(141B)는 배터리 셀(110)중 최저 전위의 배터리 셀(110)의 음극 단자(112)에 연결된 커넥터(120B)와 보호회로모듈(130)의 음극 패드(131B)를 연결한다. 즉, 상기 음극 와이어(141B)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120B)에 결합, 접속, 연결 또는 납땜되고, 타단이 상기 음극 패드(131B)에 납땜된다.
상기 배터리 셀(110)중 최고 전위를 갖는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111)에 연결된 커넥터(120A)는 제1연결 부재(121) 및 제2연결 부재(122)로 이루어진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 부재(121)가 상기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111)에 용접되고, 상기 양극 와이어(141A)는 상기 제2연결 부재(122)에 결합, 접속, 연결 또는 납땜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110)중 최저 전위를 갖는 배터리 셀(110)의 음극 단자(112)에 연결된 커넥터(120B) 역시 상기와 동일한 구조를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양극 와이어(141A) 또는 음극 와이어(141B)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커넥터(120C)는 하나의 도전층으로만 이루어진 1층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러한 하나의 도전층으로 이루어진 커넥터(120C)가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111) 또는 음극 단자(112)에 용접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 셀(110)이 직렬 및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1층 구조의 커넥터(120C) 및 2층 구조의 커넥터(120A,120B)는 모두 니켈, 니켈 도금된 구리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이러한 커넥터(120A,120B,120C)는 니켈과 구리로 이루어진 클래드 메탈일 수도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2층 구조의 커넥터(120A,120B)중 제2연결 부재(122)만이 클래드 메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클래드 메탈은 도금 방법이 아닌 용접, 압연, 주조 또는 압출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모재가 갖지 않는 새로운 특성(예를 들면, 납땜에 대한 젖음성(Wettability) 향상)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커넥터(120A,120B,120C), 특히 와이어(141A,141B)가 결합, 접속, 연결 또는 납땜되는 커넥터(120A,120B)는 1층 구조가 아니라 2층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 셀(110)과 커넥터(120A,120B)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141A,141B)와 커넥터(120A,120B) 사이의 결합력도 향상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20A)의 제1연결 부재(121)가 배터리 셀(110)에 먼저 결합되고, 이어서 제2연결 부재(122)에 와이어(141A)가 결합되기 때문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배터리 셀(110)에 제1연결 부재(121)가 결합되는 공정과, 제2연결 부재(122)에 와이어(141A)가 결합되는 공정이 상호간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141B)가 결합 또는 납땜되는 커넥터(120B)는 배터리 셀(110B)(도 2 참조)의 하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커넥터(120B)는 배터리 셀(110B)의 하면인 음극에 부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도 2에서 상기 커넥터(120B)는 상기 배터리 셀(110B)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120B)는 상기 커넥터(120A)와 동일한 구조 및 모양을 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1)은 보호회로모듈(130)에도 커넥터(220A,220B)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넥터(220A)가 보호회로모듈(130)의 양극 패드(131A)에 접속되고, 커넥터(220B)가 음극 패드(131B)에 접속된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220A)에 양극 와이어(141A)가 접속 또는 납땜되고, 상기 커넥터(220B)에 음극 와이어(141B)가 접속 또는 납땜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20A,220B)는 상술한 커넥터(120A,12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커넥터(220A,22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넥터(220A,220B)가 배터리 셀(110)뿐만 아니라 보호회로모듈(130)에도 적용됨으로써, 와이어(141A,141B)와 보호회로모듈(130) 사이의 결합력도 더욱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커넥터(120A)는 배터리 셀(110)에 용접되는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형성된 제2연결 부재(122)와, 제1연결 부재(121) 및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연결하는 절곡 가능한 연결 영역(123)과, 상기 제2연결 부재(122) 위에 형성되어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가압하는 가압부(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영역(123)과 상기 가압부(125)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대략 가까워지는 형태를 한다.
더불어, 이러한 커넥터(120A)는 제1연결 부재(121)가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111)에 용접되고, 제2연결 부재(122)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도전성 와이어(141A)가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추가적으로 상기 도전성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1)의 커넥터(220A)는 보호회로모듈(130)에 용접되는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형성된 제2연결 부재(122)와, 제1연결 부재(121) 및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연결하는 연결 영역(123)과, 상기 제2연결 부재(122) 위에 형성되어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가압하는 가압부(125)를 포함한다.
더불어, 이러한 커넥터(220A)는 제1연결 부재(121)가 보호회로모듈(130)의 양극 패드(131A)에 용접되고, 제2연결 부재(122)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도전성 와이어(141A)가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추가적으로 상기 도전성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배터리 셀(110)에 접속되는 커넥터(120A)와, 보호회로모듈(130)에 접속되는 커넥터(220A)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커넥터(120A),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연결 구조 및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연결 방법은 상술한 두 개의 실시예에 모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6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와이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6b-6b선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6c-6c선 단면도이며, 도 6d는 또다른 6c-6c선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20A)는 배터리 셀(110, 도 4 참조) 또는 보호회로모듈(130, 도 5 참조)에 접속되는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형성된 제2연결 부재(122)와, 제1연결 부재(121) 및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123)과, 상기 제2연결 부재(122) 위에 형성되어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와, 상기 제1연결 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가압하는 가압부(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 부재(121)는 하면을 제1면으로, 상면을 제2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 부재(122)는 하면을 제1면으로, 상면을 제2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 부재(121)의 상면(제2면)은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하면(제1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121)는 대략 평평한 몸체(121a)와, 상기 몸체(121a)로부터 대향되는 양측으로 연장된 대략 평평한 연장부(121b)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몸체(121a) 및 연장부(121b)에는 각각 요홈(121c,12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홈(121c,121d)에는 용접 공정 중 용접 툴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20A)는 배터리 셀(110, 도 4 참조) 또는 보호회로모듈(130, 도 5 참조)에 용이하게 용접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121a)와 상기 연장부(121b) 사이에는 절개부(121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 공정 중 용접 툴에 의한 열이 확산되지 않고 상기 요홈(121c,121d)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용접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제1연결 부재(121)는 니켈, 니켈 도금된 구리, 니켈과 구리로 된 클래드 금속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1연결 부재(121)는 우측 끝단을 제1측부 테두리로, 좌측 끝단을 제2측부 테두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122)는 대략 평평하며,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연결 부재(122)는 상기 제1연결 부재(121)의 몸체(121a)가 갖는 넓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넓이로 제2연결 부재(122)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연결 부재(122)는 대향되는 양측에 일정 크기의 홀 또는 오프닝(hole or opening)(12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연결 부재(122)는 와이어(141A)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홀(1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122a)을 통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121)의 표면이 상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홀(122a)은 납땜(150)의 형성시 과다 형성된 납땜을 수용함으로써, 납땜(150)이 커넥터(120A)의 외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제2연결 부재(122)는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마찬가지로 니켈, 니켈 도금된 구리, 니켈과 구리로 된 클래드 금속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2연결 부재(122)는 우측 끝단을 제1측부 테두리로, 좌측 끝단을 제2측부 테두리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는 공통의 제1측부 테두리가 서로 연결되고, 제2측부 테두리가 서로 인접하는 형태를 한다.
상기 연결 영역(123)은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일측 끝단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 영역(123)은 실질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 부재(121) 및 상기 제2연결 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영역(123)은 제1,2연결 부재(121,122)의 제1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기 제2연결 부재(122)로부터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절개에 의해 상기 제2연결 부재(122)에 홀(122a)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연결 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기 와이어(141A)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호간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기 와이어(141A)를 대략 감싸는 형상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41A)는 상기 커넥터(120A)에 강하게 결합, 연결 및 접속된다. 더불어,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별도의 툴에 의해 클램핑(clamping)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의 상단이 플라이어(plier)와 같은 툴에 의해 상호간 밀착되어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와 와이어(141A)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
상기 가압부(125)는 상기 제1연결 부재(12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단부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125)는 상기 연결 영역(123)과 대향되는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가압부(125)는 상기 와이어(141A)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25)에 의해 상기 와이어(141A)의 결합 깊이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20A)에 대한 와이어(141A)의 결합 깊이가 일정하게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25)은 제1,2연결 부재(121,122)의 제2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141A)는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 사이에 끼워져 결합, 접속 및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와이어(141A)와 상기 커넥터(120A)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와이어(141A)와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141A)는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 사이에 끼워져 결합, 접속 및 연결되고, 이어서 추가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124)가 클램핑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클램핑 이후, 상기 와이어(141A)와 상기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납땜(150)은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어(141A)와 한쌍의 결합 부재(124)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 부재(121) 및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일부 영역도 덮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납땜(150)중 과다하게 사용된 일부는 상기 제2연결 부재(122)에 형성된 홀(122a)에 수용된다. 실질적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가 갖는 폭에 비해 상기 홀(122a)의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과다하게 사용된 납땜(150)의 일부가 상기 홀(122a)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와이어(141A)는 커넥터(120A)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및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납땜(150)으로 둘러싸여짐으로써, 상기 와이어(141A)와 상기 커넥터(120A)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
더불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 부재(122)에는 홀(122a) 대신 요홈(12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요홈(122b) 역시 납땜(150)의 과다 사용된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과다 사용된 납땜이 상기 커넥터(120A)의 외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또는 연결된 후,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가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또는 연결된 후, 상기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또는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가 클램핑된 후, 상기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141A)에 대전류가 흘러 고열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납땜(150)이 용융된다고 해도,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상기 와이어(141A)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20A)로부터 와이어(141A)가 분리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를 이용한 와이어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커넥터(120A) 및 와이어(141A)의 결합 방법은 커넥터(120A)를 구비하는 단계, 커넥터(120A)를 절곡하는 단계, 커넥터(120A)를 배터리 셀 및/또는 보호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와이어(141A)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커넥터(120A)에 구비된 한쌍의 결합 부재(124)를 클램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와이어(141A)에 납땜(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납땜(150)은 와이어(141A)의 결합 단계 후 수행되거나, 또는 결합 부재(124)의 클램핑 단계 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0A)를 구비하는 단계는, 제1연결 부재(121), 제2연결 부재(122), 연결 영역(123), 한쌍의 결합 부재(124) 및 가압부(125)를 갖는 커넥터(120A)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 부재(121) 및 제2연결 부재(122)는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영역(123)은 절곡하기 용이하게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제2연결 부재(122)의 경계 라인을 따라 약간 움푹하게 패여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 영역(123)이 절곡되기 전이므로,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는 상부가 아닌 하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 영역(123)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가압부(125) 역시 아직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함께 대략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밖에도, 상기 제1연결 부재(121)를 이루는 몸체(121a) 및 연장부(121b)에 각각 형성된 용접을 위한 요홈(121c,121d), 용접시 열확산 방지용 절개부(121e), 제2연결 부재(122)에 형성된 납땜 넘침 방지용 홀(122a) 등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0A)를 절곡하는 단계는, 제1연결 부재(121) 또는 제2연결 부재(122)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상기 제2연결 부재(122)가 위치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2연결 부재(122)를 연결하는 연결 영역(123)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상기 제2연결 부재(122)가 위치하게 된다. 더불어, 이때 상기 제1연결 부재(12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부(125) 역시 상부로 절곡된다. 즉, 상기 가압부(125)는 대략 "ㄷ" 형태로 절곡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가압부(125)의 끝단이 상기 제2연결 부재(122)의 끝단을 덮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2연결 부재(122)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압부(125)는 제1연결 부재(121)와 상기 제2연결 부재(122)가 상호간 밀착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하기할 와이어(141A)의 결합 깊이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이러한 커넥터(120A)의 절곡 단계에 의해, 제2연결 부재(122)에 형성된 홀(122a)은 상기 제1연결 부재(121)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홀(122a)과 대응되는 제1연결 부재(121)의 소정 영역이 상부로 노출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0A)를 배터리 셀 및/또는 보호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커넥터(120A)의 제1연결 부재(121)를 배터리 셀(110) 및/또는 보호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커넥터(120A)의 제1연결 부재(121)가 배터리 셀(110)에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연결 부재(121)의 몸체(121a)와 연장부(121b)가 배터리 셀(110)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21a) 및 연장부(121b)에 각각 구비된 요홈(121c,121d)에 용접 툴(240)이 위치된다. 상기 용접 툴(240)로부터의 에너지가 상기 요홈(121c,121d) 및 배터리 셀(11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요홈(121c,121d)이 배터리 셀(110)에 용접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21a)와 상기 연장부(121b)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121e)는 용접 공정 중 용접 툴(240)에 의한 열이 확산되지 않고 상기 요홈(121c,121d)에 집중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용접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1A)를 결합하는 단계는, 와이어(141A)를 제2연결 부재(122)와 한쌍의 결합 부재(124)가 이루는 공간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141A)의 결합 깊이는 상기 가압부(125)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적절한 길이의 와이어(141A)가 상기 결합 부재(12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와이어(141A)는 상기 커넥터(120A)에 전기적으로 결합, 접속 및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결합 방법은 상기 와이어(141A)의 결합 단계에 의해 종료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결합 방법은 상기 와이어(141A)의 결합 단계 이후 납땜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된 후 종료될 수도 있다. 즉, 납땜이 와이어(141A) 및 그것을 감싸는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형성됨으로써,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납땜은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뿐만 아니라, 제1연결 부재(121) 및 제2연결 부재(122)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과다 사용된 납땜은 상기 제2연결 부재(122)에 형성된 홀(122a)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20A)의 외부로 과다 사용된 납땜이 흘러 넘치지 않는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24)를 클램핑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141A)의 외부에 형성된 결합 부재(124)를 클램핑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플라이어(plier)와 같은 툴(230)을 이용하여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의 상단을 서로 압착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결합 부재(124)의 상단이 상기 와이어(141A)에 더욱 가깝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결합 방법은 결합 부재(124)의 클램핑 단계 후 바로 종료될 수도 있다. 즉, 납땜이 형성되지 않아도, 결합 부재(124)에 의해 상기 와이어(141A)가 커넥터(120A)에 강하게 결합, 접속 및 연결될 수 있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1A)에 납땜(150)을 형성하는 단계는, 와이어(141A) 및 한쌍의 결합 부재(124)에 납땜(15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 상기 납땜(150)은 와이어(141A) 및 결합 부재(124)뿐만 아니라, 제1연결 부재(121) 및 제2연결 부재(122)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납땜(150)의 형성시 과사용된 납땜은 제2연결 부재(122)에 형성된 홀(122a)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과사용된 납땜이 커넥터(120A)의 외측으로 흘러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와이어(141A)는 결합 부재(124)에 결합, 접속 및 연결될 뿐만 아니라, 납땜(150)이 상기 와이어(141A)를 대략 감싸는 형태를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141A)와 커넥터(120A)의 결합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커넥터(120A)와 와이어(141A)의 결합 방법은 커넥터(120A)에 구비된 결합 부재(124)를 이용하여 와이어(141A)를 1차로 결합하고, 이어서 납땜(150)으로 와이어(141A)를 2차로 결합함으로써, 전제 공정 시간이 짧아지고 또한 전체 공정 시간 동안 위험 요소가 없어 작업 안전성도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셀
111; 양극 단자 112; 음극 단자
120A,120B,120C; 커넥터 121; 제1연결 부재
121a; 몸체 121b; 연장부
121c; 요홈 122; 제2연결 부재
122a; 홀 123; 연결 영역
124; 결합 부재 125; 가압부
130; 보호회로모듈 131A, 131B; 양극 패드, 음극 패드
133; 전자 소자 134; 커넥터
141A,141B; 와이어 141a, 141b; 절연 피복
150; 납땜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상기 제1면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 부재;
    상기 제1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면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연결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상기 제2연결 부재 및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 부재가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는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는 크기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절개부가 상기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용접 홈이 상기 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는 제1 및 제2측부 테두리를 갖고,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상기 제1측부 테두리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는
    제1 및 제2연결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1측부 테두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은 절곡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의 상기 제2측부 테두리에 맞물리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 테두리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2연결 부재가 위치되는 C-형태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부재는
    와이어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부재가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여 유지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수용 공간, 상기 제1,2와이어 결합 부재의 상기 와이어 위에 위치된 납땜 재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연결 부재의 제2표면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 결합 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홈은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표면으로부터 제1표면까지 연장하는 오프닝(open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 부재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와이어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측부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연결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2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에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제2면 위에 형성된 마운팅 구조에 와이어를 기구적으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마운팅 구조에 기구적으로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마운팅 구조에 기구적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상기 제2측부가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제2측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에 연결된 연결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에 대하여 제2연결 부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상기 제1연결 부재에 근접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를 제1연결 부재에 근접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고정 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제2연결 부재의 테두리를 위치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구조에 와이어를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 부재가 상기 와이어 수용 영역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상기 와이어 수용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결합 부재에 와이어를 위치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및 상기 두개의 결합 부재에 납땜 재료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결합 방법.
KR1020110008864A 2010-06-21 2011-01-28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1233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698310P 2010-06-21 2010-06-21
US61/356,983 2010-06-21
US12/983,807 2011-01-03
US12/983,807 US8785781B2 (en) 2010-06-21 2011-01-03 Connecting tab of battery pack,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tab and wir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083A true KR20110139083A (ko) 2011-12-28
KR101233551B1 KR101233551B1 (ko) 2013-02-14

Family

ID=4370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864A KR101233551B1 (ko) 2010-06-21 2011-01-28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85781B2 (ko)
EP (1) EP2398090B1 (ko)
KR (1) KR101233551B1 (ko)
CN (1) CN10229064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838A (ko) * 2012-07-25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20170050442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
WO2017188642A1 (ko) * 2016-04-26 2017-11-02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19087434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バスバー
US10454282B2 (en) 2016-03-08 2019-10-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757B2 (en) 2012-01-30 2017-05-23 Nec Energy Solutions, Inc. Connecting power leads to circuit board
KR20130090098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999404B1 (ko) * 2013-01-28 2019-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57286B1 (ko) * 2013-02-21 2019-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044018B2 (en) * 2013-09-06 2018-08-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368882B2 (en) * 2013-11-15 2016-06-1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device with a busbar assembly having a frame providing access for laser welding
JP6492668B2 (ja) * 2014-01-23 2019-04-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KR102172845B1 (ko) * 2014-02-21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007015B1 (en) 2014-07-03 2015-04-14 The Noco Company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 apparatus with safety protection
US11458851B2 (en) 2014-07-03 2022-10-04 The Noco Company Jump starting apparatus
JP6426945B2 (ja) 2014-08-27 2018-11-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DE112016004799T5 (de) * 2015-10-20 2018-07-19 Yazaki Corporation Leiterelementmodul und Batterieverbund
JP6597212B2 (ja) * 2015-11-12 2019-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導電部材
DE102016125897B4 (de) * 2016-02-11 2022-06-23 Few Fahrzeugelektrikwerk Gmbh & Co. Kg Lötfähiges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US11031728B2 (en) * 2016-11-23 2021-06-08 Black & Decker Inc. Electrical connector
KR102106446B1 (ko) * 2017-12-08 2020-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GB2605117B (en) 2017-12-14 2023-02-15 Noco Co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er with air pump
CN108878756B (zh) * 2018-06-28 2023-12-19 郑州正方科技有限公司 电池汇流连接板
KR102438383B1 (ko) * 2018-10-18 2022-08-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연결 구조 및 방법
KR102574922B1 (ko) * 2021-04-30 2023-09-06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8644A (en) * 1921-10-28 1926-01-05 Gen Motors Corp Terminal connecter
JPS4934988U (ko) * 1972-06-30 1974-03-27
US4973257A (en) * 1990-02-13 1990-11-27 The Chamberlain Group, Inc. Battery terminal
US5183419A (en) * 1990-12-21 1993-02-0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Battery terminal connector
JPH0644956A (ja) 1992-07-21 1994-02-18 Sony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
US5312269A (en) * 1993-04-20 1994-05-17 Hwang Steve H S Battery snap
US5830598A (en) * 1996-08-15 1998-11-03 Ericsson Inc. Battery pack incorporating battery pack contact assembly and method
JP3343888B2 (ja) * 1997-10-13 2002-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43890B2 (ja) 1997-10-13 2002-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
JP3613445B2 (ja) * 1999-05-18 2005-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JP3478785B2 (ja) * 2000-07-21 2003-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度ヒューズ及びパック電池
JP2002124246A (ja) 2000-10-13 2002-04-26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バッテリ用接続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FR2821983B1 (fr) 2001-03-07 2003-08-15 Schneider Electric Ind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accumulateur electrique
JP4618577B2 (ja) 2001-04-12 2011-01-26 染矢電線株式会社 電線接続端子
JP4135516B2 (ja) * 2003-01-23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ド端子及び電源装置
EP1645646B1 (en) * 2003-05-29 2011-10-05 Panasonic Corporation Temperature fuse element, temperature fuse and battery using the same
US7452235B2 (en) 2003-07-28 2008-11-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connector
KR100749655B1 (ko) 2005-12-20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719723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전성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팩 전지
US7527893B2 (en) * 2006-05-23 2009-05-05 Microsoft Corporation Eliminating incorrect battery installation
JP2007335113A (ja) 2006-06-12 2007-12-27 Sony Corp 電極タブおよび電池パック
WO2008021964A2 (en) * 2006-08-09 2008-02-21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and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the battery pack for cordless power tool system
JP2008091036A (ja) * 2006-09-29 2008-04-17 Nec Tokin Corp 組電池
KR100796695B1 (ko) * 2007-01-19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EP2109906B1 (en) * 2007-02-09 2016-09-07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uss bar for batteries
US7611384B2 (en) * 2007-04-04 2009-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Battery terminal connector
JP5056155B2 (ja) * 2007-05-1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15696B2 (ja) * 2007-05-1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N101855783B (zh) 2007-06-04 2013-12-18 李尔公司 电池接柱连接器
JP5093462B2 (ja) 2007-06-14 2012-12-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タブ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WO2009041735A1 (en) * 2007-09-27 2009-04-02 Kabushiki Kaisha Toshiba Bus bar
CN201130687Y (zh) 2007-12-21 2008-10-08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Pcm保护板连接用镍带结构
TWI360908B (en) * 2007-12-27 2012-03-21 Ind Tech Res Inst Flexible envelope type battery and electric conduc
DE102008040341A1 (de) 2008-07-11 2010-01-14 Robert Bosch Gmbh Akkumulator mit mehreren Akkumulatorzellen
JP2010027501A (ja) 2008-07-23 2010-02-0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組立体及びパック電池
KR100995444B1 (ko) * 2008-10-08 201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98869B1 (ko) * 2008-10-14 2012-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 팩 제조용 전극단자 접속부재
US20100248029A1 (en) * 2009-01-07 2010-09-30 A123 Systems, Inc. Methods of welding battery terminals
CN201425951Y (zh) 2009-01-23 2010-03-17 松下能源(无锡)有限公司 电池端子片及具有该端子片的电池组
KR101057563B1 (ko) * 2009-07-01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443495B2 (ja) 2009-08-18 2014-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池接続体
JP5634691B2 (ja) 2009-08-18 2014-12-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
US8889286B2 (en) * 2009-10-01 2014-11-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secondary battery
KR101084836B1 (ko) * 2009-10-27 2011-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2097646A (zh) * 2009-10-30 2011-06-15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模块、电池系统以及具备该系统的电动车辆
KR101101035B1 (ko) * 2009-11-18 2011-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셀 간 연결탭 및 그를 이용한 전지 모듈
JP5583487B2 (ja) * 2010-06-14 2014-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型構造及び型構造を用いた成形方法
KR101403930B1 (ko) *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217564B1 (ko) * 2010-08-16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8952565B2 (en) * 2010-11-10 2015-02-10 Flex-Cable Deflection containing electrical conductor
JP5880930B2 (ja) * 2011-01-2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接続アセンブリ
KR101256075B1 (ko) * 2011-04-07 2013-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갖는 이차전지 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838A (ko) * 2012-07-25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9537136B2 (en) 2012-07-25 2017-01-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70050442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
US10454282B2 (en) 2016-03-08 2019-10-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11081894B2 (en) 2016-03-08 2021-08-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17188642A1 (ko) * 2016-04-26 2017-11-02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127989B2 (en) 2016-04-26 2021-09-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2019087434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バス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0646B (zh) 2014-01-01
US8785781B2 (en) 2014-07-22
CN102290646A (zh) 2011-12-21
EP2398090B1 (en) 2018-09-05
KR101233551B1 (ko) 2013-02-14
EP2398090A3 (en) 2012-02-15
EP2398090A2 (en) 2011-12-21
US20110308856A1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51B1 (ko)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JP534517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コネクタ及びこれの結合方法
KR101264550B1 (ko) 배터리 팩
JP5461424B2 (ja) 組立型構造が改良されたpcm及びそれを使用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CN104321905B (zh) 无螺栓电池单体连接
CN106663773A (zh) 电极构件及集电板、电池组
JP4400235B2 (ja) 組電池間の接続構造
WO2013176914A1 (en) Bimetal buss bar assembly
KR20130006279A (ko) 배터리 팩
JP7324349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11490193A (zh) 电池组
EP2424006B1 (en) Battery pack
KR20150066960A (ko) 전지 모듈
CN115735299A (zh) Ffc汇流条
JP2013089382A (ja) 電池パック
KR100882491B1 (ko) 접속부재로서의 금속 플레이트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전지팩
KR20140018747A (ko) 이차전지
JP7424478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JP201115118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33942A (zh) 电池模块
JP7327664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CN220963669U (zh) 载流排、电池模组及电池包
KR101267784B1 (ko) 격벽 구조를 포함하는 접속부재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WO2023037888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5068496B2 (ja) リード線付き簡易保護式リチウムイオン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