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442A -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442A
KR20170050442A KR1020150151973A KR20150151973A KR20170050442A KR 20170050442 A KR20170050442 A KR 20170050442A KR 1020150151973 A KR1020150151973 A KR 1020150151973A KR 20150151973 A KR20150151973 A KR 20150151973A KR 20170050442 A KR20170050442 A KR 2017005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ain bus
sub
battery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716B1 (ko
Inventor
김성태
정상윤
성준엽
안혁
최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7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83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바들에 대한 레이저 용접에서 버스 바들의 용접 작업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전지 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지 팩은, 팩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서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회로 부; 및 서브 버스 바에 접촉되는 메인 버스 바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메인 버스 바와 서브 버스 바를 레이저 용접시키기 위해, 메인 버스 바는 일 면으로부터 타 면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조립 작업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의 배출 가스에 기인한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은 내연 기관 및/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해서 구동력을 확보하려는 연구에 바탕을 두고 제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차량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순서로 진화되었다. 이 경우에,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기관, 전기 모터와 전지 팩을 가지며, 상기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 없이 전기 모터와 전지 팩을 갖는다.
더불어서, 상기 전지 팩도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와 함께 진화되었다. 상기 전지 팩은 전기 자동차의 내부 및/ 또는 외부에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지 팩은 팩 케이스와 전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팩 케이스는 순서적으로 적층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전지 모듈을 감싼다. 상기 전지 모듈은 전지 셀들, 카트리지들, 센싱 블록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을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 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 블록은 인쇄 회로 기판에 위치되는 전압 센싱 라인들을 통해 전지 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위치되는 버스 바들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센싱 라인은 전지 셀의 전압을 센싱 블록의 인쇄 회로 기판에 전달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내부 회로를 통해 전지 셀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버스 바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전지 셀들에 공급된 충전 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버스 바들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지 셀들의 방전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공급된 방전 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 바들은 카트리지 및/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외형에 대응해서 성형되며 카트리지 및/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주변에서 중첩되어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조물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나사 구조물은 차량의 주행 동안에 차량의 진동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전지 팩의 구성 요소들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하여 느슨한 나사 결합 상태를 유지하며 궁극적으로 버스 바들의 결합을 해제시켜 버스 바들을 분리시킨다.
상기 버스 바들의 분리는 인쇄 회로 기판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기적인 연결 관계를 끊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고립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센싱 블록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지 못하며 초기 설계 목적대로 전지 팩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 창안된 것으로서, 전지 모듈 내에서 버스 바들의 접촉을 위해 버스 바들 사이에 나사 구조물의 이용 없이 버스 바들의 조립 작업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전지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전지 모듈과 상기 전지 모듈을 감싸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전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서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회로 부; 및 상기 서브 버스 바에 접촉되는 메인 버스 바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일 면으로부터 타 면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상기 서브 버스 바에 레이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회로 부는 상기 서브 버스 바 그리고 상기 전지 모듈의 전지 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아이. 시. 비(interconnect board; I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상기 서브 버스 바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상기 서브 버스 바는 편평한 계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상기 서브 버스 바 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아래에서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은 용접 작업을 통해 상기 메인 버스 바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아래의 두께 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홈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홈의 각각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두 개의 홈 사이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홈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홈 사이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두 개의 홈 아래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전지 모듈 내에서 버스 바들의 조립 작업 시, 버스 바들 중 하나에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버스 바들을 레이저 용접시키므로 버스 바들의 두께에 관계 없이 안정되게 버스 바들의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전지 모듈 내에서 버스 바들의 조립 작업 시, 버스 바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조물의 이용 없이 버스 바들을 접촉시키므로 전지 모듈의 무게를 작게 가져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버스 바들의 연결을 위해 버스 바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버스 바들의 형상들 만을 이용하므로 버스 바들의 조립 작업을 단순화시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버스 바들의 연결을 위해 버스 바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이용 수명 동안에 버스 바들의 전기 전도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일정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버스 바들에 대한 레이저 용접을 위해, 버스 바들 중 하나의 두께를 조절하므로 하나의 버스 바를 지나는 레이저의 열 전도율을 짧은 시간에 크게 하여 레이저 용접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지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Ⅰ - Ⅰ' 를 따라 취해서 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P' 영역을 확대해서 버스 바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 팩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출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있어서, 전지 셀은 리튬 이차 전지를 일컫는다. 여기서, 리튬 이차 전지라 함은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리튬 이온이 작동 이온으로 작용하여 양극과 음극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발하는 이차 전지를 총칭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지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지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170)은 전지 모듈(130)과 팩 케이스(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모듈(130)은 앤드 플레이트들(10, 30), 카트리지(20)들과 회로 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은 카트리지(20)들의 최 외각 양 측부에 각각 위치되어 카트리지(20)들을 샌드 위치의 구조로 둘러싼다.
상기 카트리지(20)들은 두 개를 하나의 단위로 해서 하나의 단위에 두 개의 전지 셀들(도 2의 24, 28)을 수용한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과 카트리지(20)들은 죔쇠(40)와 나사 부재들(50, 60)을 이용하여 하나로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부(80)는 앤드 플레이트들(10, 30)과 카트리지(20)들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회로 부(80)는 아이. 시. 비(interconnect board; ICB) 기판(72), 셀 버스 바(74)들과 서브 버스 바(76)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 시. 비 기판(72)은 셀 버스 바(74)들과 서브 버스 바(7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회로 패턴을 가지며, 회로 패턴을 통해 전지 셀들(24, 28)의 각각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셀 버스 바(74)는, 도 2와 같이,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위치된 전지 셀들(24, 28)의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셀 버스 바(74)는 전지 셀들(24, 28)의 각각의 전압을 아이. 시. 비 기판(72)의 회로 패턴에 전달한다. 상기 서브 버스 바(76)는 아이. 시. 비 기판(72)으로부터 돌출되어 회로 부(8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버스 바(76)는 회로 부(80)에 구비된 절연 부재(78)로 둘러싸이며 절연 부재(78)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전지 모듈(130)은 외부 접속 단자들(100, 110)과 전장 부품(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100, 110)은 전기적으로 양 및 음의 극성들을 각각 가지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전지 팩에 구비된 외부 접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거나 외부의 충전 장치 또는 부하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100)는 서브 버스 바(76)와 접촉하는 메인 버스 바(94)와, 메인 버스 바(94)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러그(98)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버스 바(76), 메인 버스 바(94)와 플러그(98)는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110)도 외부 접속 단자(100)와 유사하게 접속 버스 바와 플러그를 가지며, 접속 버스 바를 통해 아이. 시. 비(ICB) 기판(7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전장 부품(1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회로 부(80)의 서브 버스바(76)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전장 부품(120)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릴레이 회로와 퓨즈 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팩 케이스(16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50)를 통해 전지 모듈(130)을 감싼다. 여기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100, 110)은 상부 케이스(150)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Ⅰ - Ⅰ' 를 따라 취해서 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지 모듈(130)에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은 카트리지(20)들을 샌드 위치의 구조로 둘러싸고, 상기 회로 부(80)는 앤드 플레이트들(10, 30)과 카트리지(20)들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전장 부품(120)은 카트리지(20)들의 반대 편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20)는 하나의 전지 셀(24 또는 28)을 갖는다.
상기 전지 셀(24 또는 28)의 전극 리드들은 카트리지(20)를 통해 회로 부(80)의 셀 버스 바(7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셀 버스 바(74)는 회로 부(80)의 아이. 시. 비 기판(72)를 통해 서브 버스 바(7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브 버스 바(76)는 아이. 시. 비 기판(72)으로부터 돌출하여 앤드 플레이트(10) 상에 위치되며 앤드 플레이트(10) 상에서 외부 접속 단자(100)의 메인 버스 바(94)에 접촉된다.
도 3은, 도 2의 'P' 영역을 확대해서 버스 바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버스 바(94)는 앤드 플레이트(10) 상에서 일 면으로부터 타 면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두 개의 홈(G)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버스 바(94)는 두 개의 홈(G)의 각각에서 제 1 폭(W1)과 두 개의 홈(G) 사이에서 제 2 폭(W2)을 갖는다. 상기 메인 버스 바(94)는 두 개의 홈(G)을 통해 서브 버스 바(76)에 레이저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홈(G)에서 레이저의 산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홈(G)의 제 1 폭(W1)은 용접 작업을 통해 메인 버스 바(94)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상기 레이저가 메인 버스 바(94)와 서브 버스 바(76)의 계면에 집중되기 위해, 상기 메인 버스 바(94)와 서브 버스 바(76)는 편평한 계면을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레이저가 메인 버스 바(94)를 경유하는 동안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며 주변 구조물의 형상에 메인 버스 바(94)를 구속시키지 않기 위해, 상기 메인 버스 바(94)는 두께 방향으로 두 개의 홈(G) 아래에서 서브 버스 바(76)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T1 < T2). 본 발명의 변형 예로써, 상기 레이저의 열 손실이 작은 때에, 상기 메인 버스 바(94)는 두께 방향으로 두 개의 홈(G) 아래에서 서브 버스 바(76)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서브 버스 바(76)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T1 = T2 또는 T1 > T2).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홈(G) 별로 레이저 용접 결과물(슬래그 및 용착 금속 등등)을 안정되게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폭(W1)은 제 2 폭(W2)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W1 < W2). 여기서, 상기 홈(G)의 제 1 폭(W1)은 메인 버스 바(94)에서 홈(G) 아래의 두께(T1)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W1 > T1). 또한, 상기 두 개의 홈(G) 사이의 제 2 폭(W2)은 메인 버스 바(94)에서 두 개의 홈(G) 아래의 두께(T1)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W2 > T1).
도 4는, 도 1의 전지 팩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앤드 플레이트들(10, 30), 카트리지(20)들, 회로 부(80), 외부 접속 단자(100)와 전장 부품(120)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 사이에 카트리지(20)들이 일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들에 도 2의 전지 셀들(24, 28)이 반복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와 카트리지(20)들에 도 1 의 죔쇠(40)와 나사 부재들(50, 6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죔쇠(40)는 앤드 플레이트들(10, 30)와 카트리지(20)들을 수용해서 앤드 플레이트들(10, 30)을 카트리지(20)들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과 카트리지(20)들 상에 회로 부(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부(80)는 전지 셀들(24, 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부(80)는 서브 버스 바(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들 상에 그리고 회로 부(80) 상에 양의 극성을 가지는 외부 접속 단자(100)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100)의 메인 버스 바(94)는 회로 부(80)의 서브 버스 바(7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버스 바(94)의 홈(G)들을 통해 서브 버스 바(76)와 메인 버스 바(94)가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부 접속 단자(100)와 함께 음의 극성을 가지는 외부 접속 단자(도 1의 110)도 회로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 접속 단자(110)와 회로부의 연결 방법은 본 발명을 단순하게 설명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100)의 반대 편에 도 1의 전장 부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부품(120)이 전지 셀들(24, 28)과 회로 부(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들(10, 30), 카트리지(20)들, 회로 부(80), 외부 접속 단자들(100, 110)과 전장 부품(120)은 도 1의 전지 모듈(1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로, 상기 전지 모듈(130)이 도 1의 하부 케이스(140)에 수용되어 상부 케이스(150)로 덮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40)와 상부 케이스(150)는 도 1의 팩 케이스(16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팩 케이스(160)는 전지 모듈(130)과 함께 도 1의 전지 팩(17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전지 모듈과 상기 전지 모듈을 감싸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전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서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회로 부; 및
    상기 서브 버스 바에 접촉되는 메인 버스 바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일 면으로부터 타 면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상기 서브 버스 바에 레이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부는 상기 서브 버스 바 그리고 상기 전지 모듈의 전지 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아이. 시. 비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상기 서브 버스 바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바와 상기 서브 버스 바는 편평한 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상기 서브 버스 바 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아래에서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은 용접 작업을 통해 상기 메인 버스 바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아래의 두께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홈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홈의 각각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두 개의 홈 사이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바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홈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홈 사이의 폭은 상기 메인 버스 바에서 상기 두 개의 홈 아래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KR1020150151973A 2015-10-30 2015-10-30 전지 팩 KR10201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73A KR102016716B1 (ko) 2015-10-30 2015-10-30 전지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73A KR102016716B1 (ko) 2015-10-30 2015-10-30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42A true KR20170050442A (ko) 2017-05-11
KR102016716B1 KR102016716B1 (ko) 2019-09-02

Family

ID=5874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973A KR102016716B1 (ko) 2015-10-30 2015-10-30 전지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71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06Y1 (ko) * 2005-11-03 2006-01-23 스탠다드에너지테크(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전지 팩
KR20110139083A (ko) * 2010-06-21 2011-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KR20120047031A (ko) * 2010-11-03 2012-05-1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20130059301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KR20130076505A (ko) * 2011-12-28 2013-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버스바 연결방법 및 이에 의한 배터리모듈
KR20140121707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KR20150055255A (ko)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50070521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70522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86841A (ko) * 2014-01-20 2015-07-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락 연결부를 갖는 전지 모듈
KR20150113827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117920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06Y1 (ko) * 2005-11-03 2006-01-23 스탠다드에너지테크(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전지 팩
KR20110139083A (ko) * 2010-06-21 2011-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커넥터 및 이의 결합 방법
KR20120047031A (ko) * 2010-11-03 2012-05-1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20130059301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KR20130076505A (ko) * 2011-12-28 2013-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버스바 연결방법 및 이에 의한 배터리모듈
KR20140121707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KR20150055255A (ko)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50070521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70522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86841A (ko) * 2014-01-20 2015-07-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락 연결부를 갖는 전지 모듈
KR20150113827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117920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716B1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7502B1 (en)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100891079B1 (ko) 전지 모듈용 전지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
KR100936262B1 (ko) 신규한 구조의 전기 접속용 버스 바 및 그것을 포함하고있는 전지모듈
EP3220445B1 (en) Battery pack
WO2014024430A1 (ja)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KR20170010665A (ko)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4024448A1 (ja)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KR101831816B1 (ko) 용접 강도 특성이 향상된 전지 모듈
KR20140044440A (ko) 전지팩
KR101928065B1 (ko)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WO2018143465A1 (ja) 電池パック、ホルダ
CN109037577B (zh) 具有电池模块和提供内置电路保护的盖组件的电气系统
KR20140063205A (ko) 전지팩의 전지탭 연결장치
US20200144571A1 (en) Battery pack
US20230387559A1 (en) Battery, power consum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KR20190135865A (ko) 배터리 모듈
JP7023359B2 (ja) 電池パック
JP2015053145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2016716B1 (ko) 전지 팩
US11349180B2 (en) Battery pack
US10069178B2 (en) Battery cell having connecting protrusion for voltage sensing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792819B1 (ko) 전지팩용 릴레이 어셈블리
WO2013108786A1 (ja) 電源装置、これを備える車両及び蓄電装置並びに電源装置用の回路基板
KR20190135859A (ko) 배터리 모듈
CN220416544U (zh) 水冷连接组件、电池及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