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322A - 페오니플로린 제제 및 지방 감소를 위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페오니플로린 제제 및 지방 감소를 위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322A
KR20110138322A KR1020107029010A KR20107029010A KR20110138322A KR 20110138322 A KR20110138322 A KR 20110138322A KR 1020107029010 A KR1020107029010 A KR 1020107029010A KR 20107029010 A KR20107029010 A KR 20107029010A KR 20110138322 A KR20110138322 A KR 2011013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lysis
amount
fat
enhancing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536B1 (ko
Inventor
바크르 라비
Original Assignee
바크르 라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크르 라비 filed Critical 바크르 라비
Publication of KR2011013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23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9Proteins, e.g. album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인간에서의 표적 영역(들)에서 지방을 감소시키기에 유용한 방법 및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제제는 페오니플로린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방법은 페오니플로린 제제를 지방 감소가 필요한 신체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제제는 신체의 다양한 해부학적 부위 (예컨대, 복부 ("러브 핸들"), 군턱, 둔부, 팔, 대퇴부 및 엉덩이 영역)에 있는 표적 지방 침착물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페오니플로린 제제 및 지방 감소를 위한 그의 용도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지방 소실을 촉진하는 보충제, 의약 및 기타 제품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많다. 대퇴부, 위 및 복부 ("러브 핸들 (love handle)")를 비롯한 표적 영역에서 지방을 감소시키는 데 적합한 제품이 특히 흥미롭다. 그러나, 기존의 지방 소실 제품은 이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없고, 목적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격한 식이요법 및 운동이 통상 요구된다. 대부분의 지방 소실 제품은 특정한 표적 영역보다는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 지방 소실에만 용이하다. 심지어는 많지 않은 비-표적 특이적 체중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상당량의 시간 및 노력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끊임없이 증가하는 비율의 인구가 계속해서 점점 더 과체중이 되고 있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체중 감소 제품의 부재로 인해, 체중 및/또는 지방 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대체 방법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개선된 체중 감소 제품은 자연적인 지방 소실 과정을 근접하게 모방하며, 대표적인 "지방-구역" 다발성 영역을 표적으로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통상, 표적 신체 영역으로의 제품 투여를 보다 증진시켜 피부 아래에 축적된 지방 침착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용자-친화적 전달 장치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요인들은 지방 및/또는 체중 감소, 특히 표적화된 지방 및/또는 체중 감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처방 제제에 대한 지속적이고 점증적인 의학적 요구를 입증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당업계의 상기 및 기타 요구들을 만족시킨다.
한 측면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작약근 (Paeonia Radix, PR) 내 천연의 정제된 생활성 글루코시드인 페오니플로린 (paeoniflorin, PF)을 포함하는 제제 및/또는 조성물을 투여하여 동물, 특히 인간에서 지방 소실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PF는 작약근 (PR), 즉 작약 (Paeonia Pall)의 뿌리로부터 단리된 천연의 정제된 생활성 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 기술될 수 있다. 몇몇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분해 (adipolysis) 촉진량의 페오니플로린 (PF)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 기술될 수 있다.
페오니플로린 (PF)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지방 (지질) 함유 영역 내에 또는 그 영역 상에 적용시 상기 영역의 질량 또는 부피의 적어도 일부의 감소를 나타내는 페오니플로린 제형/제제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 함유 영역은 지방 (지질)의 축적이 명백한 신체 영역, 예컨대 엉덩이, 위, 둔부, 대퇴부, 군턱, 복부, 또는 이들 영역과 매우 인접한 임의의 영역으로 기술될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
일반적이며 포괄적인 의미에서, 본 발명의 제제/조성물의 지방-연소 또는 지방분해 촉진 활성은, 지방 세포에 존재하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한 PF의 특정 제제 및/또는 제형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진 활성으로 제공된다. 이는, 다른 지방 분해 촉진 사건 중에서도, 자연적 지방 소실 동안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진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사건과 매우 유사하게 지방 축적물을 감소시킨다. 지방 분해와 연관된 생리학적 사건의 임상 지시자 중 하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검출가능한 혈장중 수준 감소이다. 트리글리세리드의 분해로 글리세롤 및 지방산의 분해 생성물이 얻어진다. 따라서, 환자에서의 지방 분해의 임상 지시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 및/또는 보다 낮은 혈장중 수준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혈장 내 트리글리세리드는 지방 분해의 지시자 및/또는 모니터링 사건으로서, 환자로부터의 혈장 샘플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배양 배지에서 3T3 지방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글리세롤의 양에 비해 지방분해 증진량의 PF의 존재 하에서의 3T3-L1 지방세포의 배양물에서 방출되는 글리세롤의 양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F의 지방분해 증진량은 약 1 μmol/l 내지 약 5 μmol/l 양의 PF 제제 및/또는 조성물일 수 있다.
임상 연구에서, 혈장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는 환자를 PF로 처리한 직후 검출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지방 분해의 증거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혈장중 수준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지방 분해는, 환자의 지방 축적물의 영역 내에 PF를 비교적 소량으로 수회 주사하여 (총 용량 PF 약 0.5 mg) 환자를 처리한 직후에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주사 부위는 약 0.5 ml 부피 주사등급수/포스파티딜 콜린 중의 약 0.025 mg PF를 수여받는다.
cAMP 수준:
본 발명의 조성물/제제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자연적 지방 분해는 또한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cAMP 수준의 증가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cAMP 수준에 비해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cAMP의 수준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AMP 수준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은 약 11 mol/l이다.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
본 발명의 조성물/제제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자연적 지방 분해는 또한 PF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 수준의 증가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 수준에 비해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의 검출가능한 양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이는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에서 검출가능한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의 양에 비해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에서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의 검출가능한 양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은 약 1 mmol/l이다.
아드레날린 수용체 (AR) 발현의 지방분해-촉진 비율 (지방형성 (lipogenesis)보다 더 많은 지방분해)은 β-아드레날린 수용체/a2b-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 비율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제제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자연적 지방 분해는 또한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발현 수준의 증가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에서의 지방형성 증진성 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에 비해 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의 지방분해 증진 비율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분해 증진성 아드레날린 수용체로는 Adrb1, Adrb2 및 Adrb3을 들 수 있으며, 지방형성 증진성 아드레날린 수용체로는 a2B-AR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PF는 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의 지방분해 증진 비율을 유도하는 양으로 제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양은 a2b-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에 대한 β-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의 비율에 있어서의 증가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PF의 양은 또한 a2b-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발현 수준에 비해 지방분해 증진성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발현을 3배 내지 약 7 또는 8배 증가시키는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아디포넥틴 수용체 (Adipor1):
본 발명의 조성물/제제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자연적 지방 분해는 또한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아디포넥틴 수용체 (Adipor1)의 발현 수준의 감소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Adipor1 발현량에 비해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Adipor1의 발현을 저하 또는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
카르복시펩티다제 E 유전자 (Cpe 유전자),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감마 유전자 (Pparg, 지방세포 분화의 조절자),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예컨대, Adrb2, Adrb3) 및 아디포넥틴 수용체 1 유전자 (Adipor1)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을 포함하는 비만-관련 유전자 중 일부이다.
이들 실시양태에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의 부재 하에서의 비만-관련 유전자의 동일한 패널의 발현 수준에 비해 비만-관련 유전자의 패널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의 발현 수준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상기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의 발현 수준에 비해 약 1.5배 증가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서 기술되는 비만-관련 유전자인 한 유전자는 카르복시펩티다제 E (Cpe)를 코딩하는 유전자이다. 특히,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Cpe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비해 3T3 지방세포에 의한 Cpe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T3 지방세포에 의한 Cpe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PF의 양은, 동일한 양의 PF가 없는 3T3 지방세포의 배양물 내 Cpe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비해 Cpe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2 내지 3배 증가시킬 양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PF의 양은 약 1 μmol/l이다.
전달/적용 제형의 유형:
다양한 방법의 측면에서, 활성 성분 PF를 포함하는 제제는 피부를 통과하여 지방 세포, 예컨대 지방 세포의 피하 (즉, 피부 바로 아래) 침착물로 침투하는 데 효과적인 PF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F는 PF의 효과적인 지방 세포 침투 농도를 표적 지방 영역에 제공하는 임의의 다양한 적용 양식으로 제공될 것이다. 활성 성분, 즉 PF의 지방 세포 침투 농도는 또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으로 기술된다. 제제 및/또는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표적 지방 침착 영역에 제공되는 특정 제형의 형태 (즉, 국부용 제제, 주사용 제제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 결정될 것이다.
제제 및/또는 조성물이 (예컨대, 크림 및/또는 로션으로) 국부 투여되는 경우,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크림 및/또는 로션의 ml 당 약 0.2 mg 내지 약 0.3 mg을 포함하는 농도일 것이다. 예를 들어, 크림 및/또는 로션을 적용한 후에 상기 영역에 약한 전류를 적용할 수 있다.
제제가 크림 및/또는 로션의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제제는 예를 들어 투과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임의의 다양한 투과제가 본 발명의 국부용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투과제는 아존 (azone)을 포함한 투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제는 처리될 환자 지방 영역의 지방 세포를 횡단하는 활성 성분 PF의 능력을 돕는 성분으로 기술된다.
별법으로, 크림 및/또는 로션과 같은 제형은 몇몇 실시양태에서 알부민 나노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서, 제제를 목적 영역에 적용한 후, 상기 영역을 초음파 처리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크림 및/또는 로션 조성물 내 알부민 나노구체는 초음파의 작용에 의해 피부를 투과하여 지방 세포로 이동될 것이다.
제제가 주사에 적합한 제제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제는 생리학상 적합한 담체 용액, 예컨대 염수 및/또는 주사등급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사용 제제는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여타 유사 인지질 또는 인지질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추가 예로서, 제제 및/또는 조성물이 주사용 제제로서 투여되는 경우, PF의 지방분해 촉진량은 0.5 ml의 주사 유체 당 약 0.02 mg의 PF를 전달하는 양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지방 영역을 감소시키고/거나 지방분해를 증가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의 일 실시양태의 일부분으로서, PF-함유 조성물 및/또는 제제의 주사용 용액은 처리 대상 환자의 표적 영역의 주사 부위들 사이에 약 1 cm 정도 이상 간격을 둔 주사 부위(들)에서 환자의 표적 영역에 피하 및/또는 피부밑 전달된다. 제제 및/또는 제형이 주사되면, 상기 방법은 1회 이상의 주사를 놓을 영역의 감각을 잃게 하기 위해서 우선 국부 마취제, 예를 들어 마취제 겔 (리그노카인 연고 또는 리도카인 겔)을 주사 전 약 5분간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우선, 피부를 알콜 솜으로 닦고, 약 2분 정도 후 겔 마취제와 같은 국부 마취제 연고를 주사할 표면 영역에 문지른다. 5분 후, PF 주사용 용액을 함유하는 10 ml 주사기의 내용물이 처리 대상 환자의 지방 영역의 약 20개의 주사 부위에 주사되고, 이때 각 주사 부위에 피하 주사되는 주사용 PF 용액은 0.5 ml이다.
제형 및/또는 제제가 목적하는 결과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이러한 처리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지방 침착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고려된다. 위 또는 복부 ("러브 핸들")와 같이 지방 침착물이 많은 영역에서, 주사용 용액 제제 중 PF의 농도는 증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5 ml의 주사용수 당 1 mg의 PF를 준비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제제 및/또는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구성 성분 PF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할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은 모노사카라이드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모노사카라이드는 글루코스 (Glc), 갈락토스 (Gal), 또는 여타 모노사카라이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모노사카라이드는 글루코스 (Glc)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글루코스는 글루코스의 D-글루코스 입체이성질체로서 기술될 수 있다.
또한, 제제 및/또는 조성물은 전달, 제형의 안정성 (저장 수명), 일관성, 피부 표면 분산, 냄새, 색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약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제형 기술 및 첨가제는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ALFONSO R. GENNARO, 20th Edition.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교시가 관련되는 한 상기 문헌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PF는 상용 판매자로부터 상용 정제 건조 형태 (분말)로 구입하였다.
다른 측면에서, 표적화된 지방 (즉, 지질) 축적물 및/또는 지방 조직 침착물의 크기 및/또는 규모의 감소 방법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활성 성분인 PF의 지방분해 증진량을 포함하는 제제 및/또는 조성물의 지방분해 촉진량을 환자의 표적 지방 침착 영역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표적 지방 침착에서 목적하는 감소가 관측될 때까지 1회 이상 (예를 들어, 주사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주사 프로토콜은 세션 당 10회, 20회, 30회 또는 30회 초과의 개별 주사를 포함할 수 있고, 목적하는 결과가 달성될 때까지 1, 2, 3개 또는 그 이상 세션의 투약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처리 세션은 20회의 주사를 제공한다. 평균적으로, 측정가능한 지방 규모의 현저한 감소가 각각 20회 주사의 4개 세션 (20회 주사가 한 세션을 구성함) 내지 20회 주사의 5개 세션 후에 관측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약 0.025 mg의 PF가 약 0.5 ml 부피의 담체 (예컨대, 멸균수 등) 중에 포함되어, 단일 처리 세션의 일부로서 환자의 20개의 상이한 주사 부위 각각에 제공된다.
평균적으로, PF 주사용 제제를 사용한 일련 주사의 5개 세션 후에 약 3 cm의 지방 소실이 달성될 수 있다. 인간에서, 본 발명의 PF 제제는 1 내지 1.5개 세션 당 위 및 대퇴부에서 약 1 cm의 지방, 및 세션 당 상완 영역에서 약 1 cm의 지방을 감소시키거나 용융 제거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총 콜레스테롤 혈중 수준의 감소를 제공한다. 특히, 본원에 기술된 인간에서의 PF 처리 방법으로 처리하면, 혈청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에서의 유의한 감소가 관측된다.
제공되는 방법의 일부로서, 처리된 환자 동물이 걷고/거나 운동하도록 장려하고/거나 걷고/거나 운동하도록 해야 한다. 예로서, 이는 7일 이상의 기간 동안 하루에 25분 내지 30분의 속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동물은 처리의 슬리밍 (slimming) 효과를 최대화하고 신체로부터의 분해된 지방 생성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걷기 및/또는 운동 계획과 동일한 기간 동안 2 리터 이상의 물을 더 마셔야 한다.
예로서, 상기 방법의 일부로서 동일한 시간 또는 원하는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표적화되는 환자의 영역은 대퇴부, 둔부, 아래턱, 턱살, 위, 복부 ("러브 핸들") 또는 이들 영역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상된다.
다른 측면에서, 지방 소실을 달성하기 위한 환자 동물의 처리에 적합한 장치가 제공된다. 예로서, 그러한 장치는 조직으로의 주사에 적합한 바늘이 부착되어 있는 주사기-유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참조).
따라서, 몇몇 실시양태에서의 장치는 주사기의 형태, 예를 들어 PF를 포함하는 용액의 부피를 담을 수 있는 눈금 배럴 주사기 실린더 및 눈금 주사기 실린더의 한 말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바늘의 형태를 취할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늘은 주사기 실린더에 대해 90°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눈금 배럴 실린더는 50 ml 이상의 부피 용량을 가질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23 × 11/4" 0.65 × 32 mm의 바늘을 본 발명의 방법의 PF 주사용 제제를 투여하기 위해서 25 ml의 "슬립 팁 (Slip Tip)" 비-잠금 주사기 및 키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것과 같은 지방-용융 및 지방-감소 제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0.2 mg/ml 농도의 PF 및 아존의 1 ml 앰풀(들), 및 환자의 국소 지방 침착물의 지방 세포로의 PF 용액 도입을 자극하는 데 적합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치는 알파 웨이브 헬스트로닉 머슬 스티뮬레이터이다. 이 소형 장치는 근육 수축을 유발하는 낮은 밀도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스포츠 상해 후의 근육에 자극을 주기 위해서 물리치료사가 전형적으로,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약 2.5 amp의 낮은 전압 전류로 인해, 아존이 조직화된 지질 층을 파괴한 후 피부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 PF를 이동시키는 전류가 전달될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음은 본 발명의 제제 및 방법의 많은 이점 및 특징 중 일부이다:
1. 지방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생리학적 지방 소실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지방을 용해시킨다.
2. 지방을 자연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해서 세포내 cAMP 경로, PKC 및 HSL을 촉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표적 영역 중 지방 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지방을 연소시킨다.
3. 지방 연소를 담당하는 세포 수용체의 수를 증가시킨다.
4. 지방을 그의 천연 부산물로 분해시킨다.
5. 비침습적이고, 통증이 없으며, 영역 특이적이다.
지방 감소를 위한 본 발명의 제형 및 방법 및 당업계에 기술된 여타 방법 간에는 많은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전 방법들은 식욕 수준의 억제 또는 소화관으로부터 지방 흡수의 제어를 달성하는데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형 및 방법은 그렇지 않다.
또한, 지방 소실을 위한 본 발명의 방법/제형은 많은 면에서 메소테라피와 다르고, 메소테라피에 비해 뛰어나다. 메소테라피는 국소적 의학 및 미용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내 또는 피하 주사를 사용하는 것이고, 임의의 특정 증상의 치료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데옥시클로레이트 (담즙염)와 혼합된 포스파티딜콜린 (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이고, 인간/기타 유기체에서 세포막의 구성성분임)을 포함하는 메소테라피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로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 (문헌 [Rotunda and Kolodney 2006])을 주로 수반하고, 추가로 아미노필린과 혼합될 수 있다. 메소테라피로 처리한 후 1주 및 2주 시점에 수행한 펀치 생검을 통해, 피하 지방의 소실을 기록하였다. 피하 지방 소실은 염증성 괴사 및 재흡수를 통한 지방 침착물의 유화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문헌 [Rose and Morgan, 2005]). 대조적으로, 그리고 다른 차이점들 중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생리학적 제2 전령 분자인 시클릭 AMP의 증가를 통한 글리세롤과 같은 지방의 천연 부산물로의 분해에 의한 생리학적 지방 분해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지방 소실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본원에 기술되어 있고, 이는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PF가 노출 후 제7 일까지 3T3-L1 지방세포에 의해 글리세롤의 방출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도 2는 3T3-L1 지방세포에서 PF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ELISA에 의해 시험된 세포내 cAMP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PF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3T3-L1 지방세포에서 HSL의 발현을 나타낸다. 도 3b에서, PF는 노출 제3 일부터 3T3-L1에서의 HSL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어서 시클릭 AMP가 증가되어 지방 대사의 부산물로서 글리세롤의 방출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4는 지방분해의 경로를 나타낸다.
도 5는 PF에 노출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AR 발현을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β-AR에 의한 지방분해 자극의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6a = 기저 상태, 6b = 활성화 상태.
도 7은 PF에 노출된 3T3-L1 지방세포에서 Cpe 발현을 나타낸다.
도 8은 PF에 노출된 3T3-L1 지방세포에서 Adipor1 발현을 나타낸다.
도 9는 PF에 노출된 3T3-L1 지방세포에서 Pparg 발현을 나타낸다.
도 10은 임상적 효과를 나타낸다 (PF의 비교). 8명 환자의 혈액 중의 혈청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혈청 트리글리세리드는 PF 처리 후에 감소되었다.
도 11은 주사기의 장축에 대해 각도가 90°인 바늘을 나타낸다.
도 12는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3일간 인큐베이션한 후 글리세롤 방출량을 나타낸다.
도 13은 7일간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인큐베이션 후의 글리세롤 방출량을 나타낸다. PF는 자극후 제7 일까지 글리세롤 방출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0.01).
도 14는 72시간 동안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인큐베이션 후, ELISA에 의해 측정된 세포내 cAMP 수준을 나타낸다. PF 군에서, 세포내 시클릭 AMP는 자극 제1 일에서 PF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M 군에서, cAMP의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15는 24시간 동안 지방 세포 (지방세포)를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의 세포내 cAMP 수준을 나타내는 ELISA 결과를 나타낸다. PF 군에서, 세포내 시클릭 AMP는 자극 제1 일에서 PF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메소테라피 군 (M)에서, cAMP의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16은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인큐베이션 후 3T3-L1 지방세포에서의 HSL 발현을 나타낸다. PF는 자극후 제3 일부터 3T3-L1 지방세포에서의 HSL 발현을 증가시켰다.
일반적으로 및 전반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 동물에서 생체내 지방분해 및 지방 감소 및/또는 소실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종 제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제 및/또는 조성물은 PF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PF는 작약의 뿌리인 작약근 (PR)에 있는 천연의 정제된 생활성 글루코시드이다. 99%를 넘도록 정제된 천연 식물 추출물인 PF는 본원에서 천연 유기성의 효능있는 지방분해 약물로서 제공된다. 그의 작용 방식은 Adrb2, Adrb3, Cpe, Adiporl 및 Pparg와 같은 여러 비만-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진시키는 것이다.
PF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 2 및 3의 발현을 증진시킨다. β-아드레날린 수용체 2는 인간 지방 세포의 주요한 생분해성 수용체이다. β-아드레날린 수용체 3은 자율 신경계 (ANS) 활동을 통해 갈색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분해 및 열발생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그의 생물학적 세포내 경로에 따르면,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가 cAMP 경로를 통해 진행됨에 따라 호르몬-민감성 리파제 (HSL)의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증진됨으로써 트리글리세리드가 글리세롤 및 지방산으로 분해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방법에 따르면, PF는, 지방 세포가 지방을 그의 천연 부산물로 연소시키는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지방 소실의 유의한 증진을 달성한다. PF는 그 제제와, 지방 세포 또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지방 세포를 포함하는 조직과의 접촉을 달성하는 다양한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조성물은 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피하 주사에 의해, 또는 크림 및/또는 로션으로서의 제제를 적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크림 및/또는 로션의 경우, PF는 피부를 통해 지방 세포로 운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물리치료사가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약전류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PF와 알부민 나노구체를 혼합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피부를 통해 지방 세포로 운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적화된 지방 소실에 대한 PF의 유효성을 시험하기 위해, 3T3-L1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3T3-L1 세포주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지방 소실 모델을 제공한다. 지방 소실은 스위스 3T3 마우스 세포주에서 시험관내 지방분해 (지방의 소화) 측정값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 증식된 3T3-L1 세포는 섬유모세포 표현형을 갖는다. 그러나, 덱사메타손, 이소부틸메틸크산틴 (IBMX) 및 인슐린의 조합물로 처리된 경우, 3T3-L1 세포는 둥근 표현형을 갖게 되며, 세포내에서 지방 액적의 형태로 지질을 축적한다.
아래 상술되는 바와 같이, PF는 지방을 그의 천연 부산물로 분해하는 것을 담당하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 (β 1, 2 및 3 아형)의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3T3-L1 지방 세포를 PF에 노출시키면, 제1 일 및 제3 일에서 세포내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cAMP)의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된다 (P<0.01). 이어서, 호르몬-민감성 리파제 (HSL)의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된다. HSL은 지방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원성 조직 리파제이다. HSL 발현의 유의한 증가에 이어, 시험관내 PF 노출 제7 일에서 글리세롤 방출량이 유의하게 증가된다. 생체내에서 감소된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은 환자에서의 임상 지방 분해 지시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환자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가지며 효과적인 부위-특이적 지방분해 (지방 분해) (예컨대, 복부 ("러브 핸들"), 위, 군턱, 둔부 및 대퇴부에 에 저장된 지방)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PF 처리 전후의 혈액 분석 및 비교에 따르면, 처리전 혈당 수준 측정값 및 LDL 수준에 비해, 처리 후 혈당 수준이 감소되었고, 저-밀도-지질단백질 (LDL) 수준이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 제형, 방법 및 기술은 특히 하기 이점, 특징 및 특성을 제공한다:
1. 직접 접촉시 지방 조직에 피하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는, 정제된 천연의 효능있는 제품 (PF).
2. 예측가능한 PF의 작용 방식. PF는 β 아드레날린 수용체 및 다른 지방 대사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시킨다.
3. 피부를 통과하여 지방 층에 PF를 전달하는, 적합한 담체내에 제공되는 지방-감소 제품.
4. 활성 물질인 PF를 함유하는 제제를 표적 영역의 지방 세포로, 그리고 지방 층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류 및 하전된 담체를 이용하는 방법.
5. 초음파에 의해 피부를 통해 이동하는 알부민 나노구체를 사용하여 PF를 지방 세포로 전달하는 방법.
제제가 주사에 적합한 제제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제는 생리학상 적합한 담체 용액, 예컨대 염수 및/또는 멸균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사용 제제는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임의의 다른 여러 가지 유사한 인지질 및 인지질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실시예 1: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PF
본 실시예는, 지방분해 또는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 및/또는 제제의 효용성을 나타낸다.
3T3-L1 세포주는 자연적 지방 소실을 위한,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모델이다. 상기 세포주는 스위스 3T3 마우스 세포주 3T3-L1의 아세포주이다. 정상 조건 하에 증식된 상기 세포주는 섬유모세포 표현형을 갖는다. 그러나, 덱사메타손, 이소부틸메틸크산틴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비-특이적 억제제) (IBMX)과 인슐린의 조합물로 처리된 경우, 3T3 세포는 둥근 표현형을 갖게 되며, 지질을 지방 액적의 형태로 세포내 축적한다.
분화된 3T3-L1 지방세포를 시험 군으로서 1 umol/L PF를 함유하는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대조군으로서 PF 무함유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지방분해 작용의 결과로서, 글리세롤이 트리글리세리드 분해의 결과물로서 생성되고,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될 것이다. 따라서, 3T3-L1 지방세포 배양 배지로부터의 글리세롤 함량은 지방분해의 지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양의 PF 부재 하에서의 3T3-L1 지방세포로부터의 글리세롤 방출량과 비교시, PF는 노출 후 제7 일까지 글리세롤 방출량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p > 0.01) (도 1).
PF는 자극이 개시된 후 1주 내에 지방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PF 제제는 트리글리세리드 분해를 야기하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지방분해를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F의 작용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해 추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cAMP를 증가시키는 PF
본 실시예는, 특히 시클릭 AMP 수준에 대한 PF 작용을 통해 효과적인 지방 소실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효능을 나타낸다. 3T3-L1 지방세포를 시험 군으로서 11 mol/L PF를 함유하는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대조군으로서 무첨가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0.1 N HCl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세포내 시클릭 AMP를 ELISA로 측정하였다. 세포내 시클릭 AMP는 PF에 의해 노출 제1 일에 유의하게 증가되며 (P<0.0001), 제3 일에도 마찬가지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P<0.01) (도 2).
지방분해를 야기하는 주요 경로는, 다른 기질 (예컨대, HSL 및 페릴리핀(perilipin))을 활성화시키는 cAMP-의존적 단백질 키나제 A (PKA)의 활성화를 수반한다. β-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제는 F3-아드레날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는 G-단백질인 Gs를 활성화시킨다. Gs의 활성화는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AC)가 시클릭 AMP를 생성하도록 자극한다. 단백질 키나제 A (PKA)는 cAMP에 의해 활성화되어, 지방 액적 표면 단백질인 페릴리핀 (PL)을 인산화시킨다. 호르몬-민감성 리파제 (HSL)는 인산화된 PL 상에 도킹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글리세롤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한다. 글리세롤은 아쿠아포린 지방 (AQPad)을 통해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된다. 글리세롤 방출량은 PF 자극 후 제7 일까지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P<0.001), 세포내 시클릭 AMP는 PF에 의해 자극 제1 일에 유의하게 증가되고 (P<0.001), 제3 일에도 마찬가지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시클릭 AMP 및 글리세롤 방출량의 변화 및 시간-관계는, PF가 "2차 전령" (시클릭 AMP) 경로를 통해 지방분해 작용을 유도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
본 실시예는,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의 검출가능한 수준의 증가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생체내 지방분해의 증가를 나타낸다.
3T3-L1 지방세포를 시험 군으로서 1 mol/L PF를 함유하는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대조군으로서 무첨가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cDNA로 역전사시켰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 증폭에 사용된 프라이머 (마우스)
공표된 서열 (NM_010719)에 기반하여 HSL 프라이머를 선택하였다 (예상 PCR 단편: 409 bp):
정방향 프라이머, 5'-GCTGGTGCAGAGAGACAC -3';
역방향 프라이머, 5'-GAAAGCAGCGCGCACGCG-3'
준-정량적 분석을 위해, 증폭 주기를 선형 구간 내에서 선택하였다 (HSL: 24 주기 (58℃에서 변성), GAPDH: 21 주기 (58℃에서 변성)). PF는 노출 후 제3 일부터 3T3-L1 세포에서의 HSL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3).
호르몬-민감성 리파제 (HSL)는 지방 대사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 조직 리파제이다. 상기 효소는 트리-, 디- 및 모노아실글리세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대해 촉매작용을 하는 광범위 특이성을 갖는다. HSL은 지방분해에서 주요 속도-제한 단계에 대해 촉매작용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리파제는 cAMP-의존적 인산화에 의해 단시간에 활성화되며, 이는 또한 리파제의 세포질로부터 지방 액적으로의 재분포를 야기한다. 지방세포 HSL의 조절은, 지방분해제 (예컨대, 카테콜아민)에 의해 유리 지방산을 방출하도록 자극하고, 이에 따라 순환 수준을 제어하는 일차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PF가 시험관내에서 노출 제3 일부터 3T3-L1에서의 HSL 발현을 증가시킴에 따라 시클릭 AMP가 증가되고, 지방 대사의 부산물로서 글리세롤이 방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4).
실시예 4: PF를 함유하는 나노구체 제형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PF의 경피 제제 중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PF를 함유하는 나노구체 제형이 제시된다.
피부에 국부 적용하기 위한 고체 지질 나노입자 (SLN) 및 나노구조 지질 담체 (NLC)는, 지질, 예컨대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콤프리톨(등록상표, Compritol) 888 ATO), 글리세롤 팔미토스테아레이트 (프레시롤(등록상표, Precirol) ATO 5), 또는 왁스인 세틸 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NLC의 경우, 실온에서 액체 지질, 예컨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미글리올(등록상표, Miglyol) 812)가 첨가된다. 별법으로, 약물 흡수를 추가로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에 적용되는 반고체 비히클에 포함되어 빈번히 사용되는 침투 증진제에 속하는 올레산이 첨가될 수 있다 (문헌 [Lombard Borgia, Regehly et al. 2005]). 나노구체의 평균 입자 크기 범위는 50 내지 1000 nm였다. 나노 분산물은 5 내지 40%의 지질을 함유하였다. 고도로 농축된 제제는 반고체의 외관을 보이며, 그 자체로서 화장품용으로 허용된다. 지질의 상태 및 농도에 따라, 입자의 물리적 안정성을 위해 0.5 내지 5%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피 용도의 경우, 계면활성제로는 폴록사머 188,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틸록사폴(등록상표, Tyloxapol), 테고케어(등록상표, TegoCare) 450 (폴리글리세롤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미라놀 (등록상표, Miranol) 울트라 C32 (나트륨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또는 사카로스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피부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질 함량이 낮은 경우 (10% 미만)에 얻어지는 유체 분산물을, SLN 입자의 용해 또는 응집을 유발하지 않는 크림 또는 겔 베이스 내에 혼입시킬 수 있다. 광자 상관 분광법 및 시차 주사 열량법 결과는 6개월의 보관 기간 동안 변하지 않았다 (문헌 [Jenning, Thunemann et al. (2000)] 및 [Wissing and Muller (2001)] (문헌 [Scafer-Korting, Mehnert et al. (2007)]에서 인용됨)).
실시예 5: 111개의 비만-관련 유전자의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형 및/또는 제제의 지방-연소 및 비만 공격 활성의 임상 지시자 중 하나가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 수준의 증가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방분해에서 보다 상세한 PF 작용 방식을 조사하기 위해,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PF에 의해, 상기 유전자 패널로부터의 발현 수준은 PF 부재 하에서의 이들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비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지방세포를 시험 군으로서 1 umol/L PF를 함유하는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대조군으로서 무첨가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전체 RNA를 추출하고, 수퍼어레이(Superarray) OMM-17을 사용하여 올리고 지이어레이(Oligo GEArray)를 시험하였다. 지이어레이는 에너지 섭취 및 소비 조절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111개의 비만-관련 유전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에는 식욕유발 펩티드, 호르몬 및 수용체, 식욕감퇴 펩티드, 호르몬, 수용체, 및 에너지 소비에 관계된 중추 및 말초 신호전달 분자가 포함되었다. 수퍼어레이 바이오사이언스 코포레이션(Superarray Bioscience Corporation; Frederick, Maryland)으로부터 구입한 대사성 질환/비만 유전자 패널에 삽입된 설명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1.5배를 초과하는 증가 변화 또는 감소 변화가 식별 규칙에 따라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기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에서, 적색은 1.5배를 초과하여 증가된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고, 청색은 1.5배를 초과하여 감소된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즉, 0.66 미만의 수치가 1.5배를 초과하는 감소를 나타냄). 그래프에서, 상단선 위쪽의 데이타 및 하단선 아래쪽의 데이타가 유전자 발현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아드레날린 수용체 (AR)
아드레날린계는 주요 에너지 저장 장소인 백색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분해 조절에 있어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카테콜아민은 지방세포 8-아드레날린 수용체 (131-, B2-, B3-AR)를 활성화시켜 지방분해가 일어나도록 자극할 수 있다. 동시에, 카테콜아민은 또한 a2b-AR을 통해 지질 저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 β 및 a2b-AR이 동일한 지방 세포 상에 공존하므로, 지방 조직에 존재하는 기능성 alb- 및 B-AR의 비율이, 카테콜아민에 의해 지방 저장이 활성화될지 또는 지방 방출이 활성화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문헌 [Soloveva et al., 1997]). PF에 노출된 후의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데이타는, Adrbl, Adrb2 및 Adrb3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것, 및 Adra2b에는 전혀 효과가 없다는 것을 나타냈다 (표 1, 도 5). Adrbl이 더 빠르게 활성화된 후, Adbr3, 이어서 Adbr2가 활성화되었다. Adrb2 및 Adrb3은 PF에 노출된 후 제7 일에 각각 7.4배 및 5.65배 정도 증가되었다. β 수용체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Adra2b의 발현은 전체 연구 도중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므로, a2b-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대한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율은 PF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달리 말하면, PF에 노출되는 경우에 지방분해가 지방형성을 능가한다.
표 1. 대조군과 대비한 PF 노출 3T3-L1 지방세포에서 AR의 발현 신호 비율
[표 1]
Figure pct00002
3가지 β-아드레날린 수용체 아형 (β1-, β2-, β-AR)은 cAMP의 생성 및 HSL의 활성화를 통해 작용하는 G 단백질-커플링 수용체의 거대 군의 구성원이다 (문헌 [Soloveva et al., 1997]). 기저 상태에서 (도 6A), 비인산화 HSL은 시토졸에서 아마도 특정 시토졸 수용체, 예컨대 리포트란신 (lipotransin)에 결합하고, 비인산화 페리리핀 (PL)은 지방 액적에 단단히 결합한다. HSL은 상기 액적에 자유롭게 접근하지 못한다. 카테콜아민이 β-AR과 상호작용하는 경우 (도 6B), β-AR은 G-단백질인 Gs에 다르게 결합한다. Gs의 활성화는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AC)를 자극하여 시클릭 AMP를 생성한다. 단백질 키나제 A (PKA)는 cAMP에 의해 활성화되어 지방 액적 표면 단백질인 페리리핀 (PL)을 인산화시킨다. 호르몬-민감성 리파제 (HSL)는 인산화 PL상에 도킹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글리세롤 및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시킨다. 글리세롤은 아쿠아포린 지방 (AQPad)을 통해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된다 (도 4).
β-AR 유전자 발현의 결과 및 cAMP 및 HSL의 변화의 결과 (파트 IV에 제시됨)는 상기 경로를 반영한다.
카르복시펩티다제 E (Cpe)
카르복시펩티다제 E (Cpe)는 펩티드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 (인슐린 포함)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핵심 효소이다. Cpe는 지방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Cpe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는 "지방 돌연변이"를 초래한다 (문헌 [Naggert et al., 1995]). "지방 돌연변이"는 프로호르몬 처리 경로에서 유전자 결손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당뇨병 증후군의 첫 증거에 해당한다 (문헌 [Naggert et al., 1995]). 지방 돌연변이 마우스에서는 Cpe가 발현되지 않고 비만 및 고혈당으로서 나타난다. PF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데이타는 3T3-L1 지방세포의 PF 노출 제7 일에서 Cpe의 발현 수준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Cpe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2.67배까지 증가하였다 (표 2, 도 7).
[표 2]
Figure pct00003
아디포넥틴 수용체 1 (Adiporl)
아디포넥틴은 조직 지방 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감도를 증가시키고 혈장 글루코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AdipoRl은 구상 아디포넥틴의 수용체로서 기능하고, 아디포넥틴에 의한 증가된 AMP-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글루코스 흡수 및 지방산 산화를 매개한다 (문헌 [Yamauchi et al., 2003]).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데이타는 Adiporl의 발현이 3T3-L1 지방세포의 PF 노출 제7 일에서 1.86배까지 증가함을 나타냈다 (표 3, 도 8). 아디포넥틴의 비만-연계 하향-조절은, 비만이 인슐린 내성 및 당뇨병을 초래할 수 있게 되는 메카니즘인 것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에, 아디포넥틴 수용체 효능제 및 아디포넥틴 감작화제가 비만-연계 질환, 예컨대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에 대한 다용도의 치료 전략으로서 사용되도록 제안되었다 (문헌 [Kadowaki and Yamauchi, 2005]).
[표 3]
Figure pct00004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감마 (Pparg)
Pparg 코딩된 PPAR-감마는 지방세포 분화의 조절자이다. PPAR-감마는 비만, 당뇨병,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암을 비롯한 수많은 질환의 병리학에 연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의 감소가 새로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것이다. 마이크로어레이에 따르면, 3T3-L1 지방세포의 PF 노출 제7 일에서 Pparg의 발현 수준이 1.54배까지 감소하였다 (표 4, 도 9).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에서, 청색은 1.5배 초과까지 감소된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즉, 0.66 미만의 수가 1.5배 넘게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하부 선 아래의 데이타는 유전자 발현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05
실시예 6
지방 세포에서 PF 및 메소테라피 (M)의 효과 비교
본 실시예는 지방 세포에서 PF 및 메소테라피 (M)의 효과가 서로 구별됨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특히, 지방분해에 대한 PF의 작용 방식이 메소테라피의 작용과 구별됨을 나타낸다. PF는, 지방 세포를 활성화시켜 지방 대사를 담당하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를 보다 많이 발현시킴으로써 지방을 분해한다. PF에 의한 지방 분해는 cAMP의 증가를 수반한다. cAMP가 증가됨에 따라 HSL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고, 이로써 지방이 분해되며 트리글리세리드가 글리세롤 및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결과로서 방출되는 글리세롤이 유의하게 증가된다 (도 12 참조 - 3일간 메소테라피 (M) 및 PF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글리세롤 방출량). 한편, 메소테라피에서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필린이 존재함에 따라 HSL가 약간 증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측정 파라미터에서 효과가 없었다.
지방 세포가 PF에 노출되는 경우,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의 유의한 방출은 명백하다. 메소테라피의 경우에는 HSL의 유의한 방출이 없었다. 본 출원은 첨부된 도면에, PF를 사용하면 지방 세포로부터 글리세롤이 방출되고, cAMP가 증가되고,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 (HSL)가 증가됨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건은 메소테라피에서 발생하지 않았고/거나, 대조군 배양물 (약물이 첨가되지 않음) 또는 메소테라피와 비교시, PF에서 나타나는 수준으로 발생하지 않았다.
PF에 대한 노출이 Adrb1, Adrb2 및 Adrb3의 발현에 유의한 증가를 초래하고, Adra2b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명백하다. Adrb1이 먼저 활성화된 후에 Adbr3, 이어서 Adbr2가 활성화되었다. Adrb2 및 Adrb3은 PF 노출후 제7 일에서, 각각 7.4배 및 5.65배까지 증가하였다. β 수용체 수준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던 반면, Adra2b의 발현은 거의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β-아드레날린 수용체 대 a2b-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율은 PF에 의해 증가되었다. 따라서, 지방분해는 PF 노출시 지방형성을 능가하였다. 본원에 제시된 데이타는 3T3 세포 배양물에서의 메소테라피 및 대조군 처리의 효과에 대비한 PF의 효과를 비교한다. 이 데이타는, 세포내 경로의 활성화가 단지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촉발 또는 유도될 수 있고,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가 단지 PF 노출에 의해 달성되었으며, 다른 처리에 의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없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생체내 임상 데이타
본 실시예는 주사용 제제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PF 제형이 인간에서의 표적화된 지방 감소를 유효하게 제공함을 나타낸다.
8명의 환자를 PF로 처리하였다. 혈액 중의 혈청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3가지 지표의 수준을 처리 전후로 시험하였다. PF 처리 후 8명 환자의 혈액 중의 혈청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혈청 트리글리세리드는 감소하였다 (표 5, 도 10). 혈청 콜레스테롤의 경우, 상기 경우의 평균 수준은 정상 범위의 상한보다 높았고, 평균 수준은 처리 후에 정상 범위로 떨어졌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P<0.01). LDL 콜레스테롤 및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처리 전후의 변화가 통계적인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그 감소 정도는 임상적 측면에서 유의미하다.
인간에서, PF는 위 및 대퇴부 영역에서 1 내지 1.5개 세션 당 1 cm의 지방을 용해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상박 영역에서는 세션 당 약 1 cm가 관측되었다. 거의 모든 환자에서, PF 처리에 의해 총 콜레스테롤 혈중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상기 경우에서, 콜레스테롤의 평균 수준은 정상 범위의 상한보다 높았고, 평균 수준은 처리 후에 정상 범위로 떨어졌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P<0.01).
[표 5]
Figure pct00006
실시예 8
생체내 지방 감소
실제 처리 결과의 예 및 처리 기간이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환자는 신체의 여러 영역 (위, 팔 및 대퇴부)의 처리 결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1) 환자 1: 처리 기간 = 6주/ 11개 세션
위 영역에서의 측정값: 시작 전 크기: 90 cm
처리 종결시 크기: 83 cm
2) 환자 2: 처리 기간 = 5주/ 9개 세션
시작전 크기 측정값 (위 영역에서): 96 cm
처리 종결시 크기: 90 cm
3) 환자 3: 처리 기간 = 1개월/ 두 팔에서 8개 세션: 전체 8개 세션 (즉, 한쪽 당 4개 세션)
처리 영역: 양쪽 상박
시작전 크기: 40 cm
종결시 크기: 36.5 cm
절차를 위한 전체 프로토콜
주사용 제제
용액의 제조
1 mol 농도의 PF 1 ml (1)를 주사용수 4 ml 및 대두 추출물로부터 제조된 포스파티딜 콜린 (PPC) 5 ml 및 2% 리도카인 5 ml와 혼합한다. 총 15 ml 용액. 이 용액을 20 ml 주사기에서 함께 혼합하고, 실제 주사 전, 제시된 바와 같이 작은 인슐린 바늘 게이지 30 x 1/2로 바늘을 변경한다.
혼합물의 작용 방식
PF는 혼합물의 활성 성분이다. 이는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와 접촉시에 작용한다. 포스파티딜 콜린은, 지방에 결합하여 PF가 연장된 기간 (8 내지 12시간) 동안 지방 세포와 접촉하도록 하는 부드러운 계면활성제이다. 혼합물 중의 리도카인은 주사 부위로의 혈관신생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혈관에서 용해 지방 부산물이 제거된다.
국부 마취제는 통상적으로 주사전 5 내지 10분까지 부위에 적용된다.
이어서, 용액을 지방 영역으로 부위 당 0.5 ml의 용량으로 총 20회 주사를 직접 피하 투여하였다. 주사물은 퍼져나가 넓은 표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주사물은 큰 체구의 환자의 경우에 전체 복부 ("러브 핸들")에 걸쳐 퍼질 수 있고, 또는 환자가 평균 체구인 경우, 주사물은 한 세션으로 퍼져나가 오른쪽 및 왼쪽 러브 핸들을 덮을 수 있음). 참고로, 설명을 위해 대퇴부 및 엉덩이 영역에 주사가 놓여진 환자를 참조한다. 이 환자에는 부위 당 0.2 ml의 30회의 소량 주사가 주사되었고, 이는 오른쪽에서 전체의 외부 및 내부 대퇴부 및 엉덩이 영역으로 퍼져나갔다.
20회의 각 소량 주사는 한 세션을 구성한다. 평균적으로, 주목할만한 차이는 4 내지 5개 세션 내에서 발견되었다. 최초 계산은 5개 세션에서 3 cm의 지방 소실을 측정하였다. 환자는 10개 세션으로 5 파운드를 넘는 지방을 소실하였다.
환자에게 필요한 세션의 수
각 환자는 그의 크기 및 목적하는 지방 소실량에 따라 다양하다. 각 10개 세션은 약 7 cm의 지방 소실을 야기하였다. 활동적인 환자 및 지시를 따른 환자에서는 평균을 넘는 지방 소실이 나타났다. 몇몇 환자에서는 작은 영역을 다듬을 필요가 있었고, 따라서 목적하는 결과가 달성되었을 때 처리를 중단하였다. 또한 에어로빅 강사와 함께 2개 세션의 추가시, 2 주에 3 파운드 초과의 체중 감소가 관측되었다.
주사 빈도
5 인치를 초과하는 지방 소실이 나타난 한 환자는 약 6주에 걸쳐 10개 세션을 받았다. 목적하는 결과가 달성된 후에, 이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에게 1 내지 2개월마다 한 세션을 제공할 수 있다.
대체 적용 방식
병적인 비만의 환자에서 (예컨대, 상기 보고된 환자 결과), 활성 성분의 용량은 3 ml의 주사용수 중 1 mmol의 2 ml로 두 배였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용액의 나머지와 혼합하였다. 소량 주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부스터 주사를 사용하여, 1개 주사기의 내용물을 한두 영역의 지방에 집중하고, 대형 바늘을 역행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바늘을 당김으로써 주사액이 방출된다. 바늘은 넓은 표면 영역을 다루기 위해 원형 방식으로 회전시킨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의 장축에 대해 90°각도로 바늘이 휜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방식으로 약 3 ml를 주사한 다음, 바늘을 빼되 최초 주사 부위로부터 완전하게는 아니고, 반시계방향으로 약 30°에서 또다른 면으로 바늘을 재삽입한다. 이 과정은 내용물이 모두 주사될 때까지 약 5회 반복한다. 예를 들면, 처리될 원형 주사 부위 영역을 표적 지방 영역으로 한 후 (그 중앙은 최초 바늘 삽입 부위임), 바늘을 상기 방식으로 원 주위로 회전시킨다.
주사용 제제 중에 포함된 PF의 농도 범위; 각 처리 (주사) 에피소드에서 환자에게 제공된 PF의 용량; 주사용 제제의 제조에서 사용된 구체적 단계.
0.5 mg의 PF를 5 ml의 주사용수에 용해시켜 농도를 0.1 mg/ml로 만들었다. 그 후, 이를 20 ml 주사기에서 5 ml의 포스파티딜 콜린과 혼합하였다. 그 후, 큰 게이지 바늘을 작은 게이지 (게이지 27-30, 몇몇 실시양태에서 30 게이지 x 1/2)의 인슐린 바늘로 대체하고, 제시된 영역의 20개 상이 부위로 10 ml를 주사하였다. 각 주사 부위를 약 1 cm 이격시켜, 0.5 ml의 용액을 위에 주사하였다.
국부용 제제에 포함된 PF의 농도: 0.2 mg 내지 0.3 mg의 PF를 1 ml의 아존 액체에 용해시켰다.
그 후, 이 혼합물을 표적 영역에 마사지하였다. 아존은 여러 침투제의 사용을 통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아존의 조성은 C18H35NO이다. 아존은 무색, 연한 황색빛 또는 투명색이고, 유성이다. 이 화합물 중 중금속 함량은 0.001% 미만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아존은 중국의 난 징 롱 탄 (Nan Jing Long Tan) 화학 회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아존은, 각질층의 세포간 영역에서 유기 지질 구조를 붕괴시킴으로써 피부 투과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은 증가된 지질 유동성 및 강화된 약물 확산을 일으킨다. 아존이 PF와 혼합되도록 선택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그 후, 2.5 amp의 저전류를 목적하는 처리 영역의 피부 상에 위치한 패드를 통과시켜서, PF를 피부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 이동시켜서, PF가 지방 세포와 접촉하게 한다.
알부민 나노구체의 생성에 사용된 프로토콜
수많은 다양한 나노구체 제제가 본 발명의 크림 및 국부용 제제의 제조에 사용될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많은 다양한 나노구체 제제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은 영역에서의 임의의 공지된 나노구체 전달을 포함한다.
환자 준비
정규 주사의 경우: 74% 에탄올로 표면 영역을 멸균한 후, 리그노카인 연고 또는 리도카인 겔을 5분 동안 국부 적용하여 주사를 놓을 피부가 무감각해지도록 하였다.
부스터 주사의 경우: 1 ml의 2% 리도카인을 사용하여 큰 바늘이 들어가는 부위를 마취시켜 환자를 준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절차는 거의 무통이다. 3 내지 5분 후, 3분에 걸쳐 부스터 주사를 서서히 놓는다.
환자는 세션 전에 음식을 섭취해야 하거나 또는 세션 전에 초콜릿 바 또는 쿠키를 제공받는다.
환자에게 주사로 인해 타박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미리 주의를 준다. 따라서 환자에서 어느 정도의 타박상이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박상은 대퇴부에 주사된 환자에서 관측되었다. 타박상은 통상적으로 1주일 내에 사라진다. 또한, 부스터의 주사 부위에서 발적 (redness) 및 압통은 매우 흔하다. 발적은 두 시간 동안 지속되고, 압통은 이틀 동안 지속된다. 타박상은 정규 주사보다 부스터 주사에서 더 많이 발생되지만, 일주일 내외로 사라진다. 또다른 관측은 몇몇 환자에서 처리에 따른 피로이다. 두 환자는 부스터 세션에 의해 피로를 겪었으나, 정규 세션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몇시간 동안 약 37.1 또는 37.2로의 극미한 온도 상승이 나타났다. 또한 몇몇 환자에서 몇분간의 현기증이 관측되었는데, 조절식 환자 의자를 눕혔더니, 절차가 무사히 계속되었다. 설사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묽은 변이 보고되었다.
세션 후 프로토콜
환자에게 하루에 걸쳐 2 리터/일의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환자에게 각 세션 후에 일주일 동안 하루에 25 분 동안 걷거나 운동하도록 하였다. 이는 용해되는 지방 부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출될 지방 부산물을 보다 많은 양으로 혈액이 운반하도록, 주사 후 처음 48 시간 동안 지방질 음식, 와인, 알콜을 피한다.
제2 적용 방식 - 크림 제제
본 발명의 제제는 1 ml의 아존과 혼합된 1 mmol의 농도로 1 ml의 PF를 함유하는 크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후에 표적 영역에 마사지된다. 아존은 여러 침투제의 사용을 통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아존은, 각질층의 세포간 영역에서 유기 지질 구조를 붕괴시킴으로서 피부 투과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은 증가된 지질 유동성 및 강화된 약물 확산을 일으킨다. 이것이 PF를 아존과 혼합하는 이유이다. 또한, 저전류를 조직 영역을 통과시켜서, PF를 피부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 운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PF가 지방 세포와 접촉할 수 있다. 임상 결과가 아래에 제시되어 있고, 각 환자의 세부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환자 연령 성별 횟수 감소량 (cm)
#1 37 M 6 배꼽 위 및 아래 3.5 cm
#2 40 F 16 배꼽 위 9 cm. 복부로부터 9 cm. 허리로부터 8 cm
#3 19 F 6 상대퇴부의 각 면으로부터 2 cm
#4 32 F 7 오른쪽 엉덩이로부터 8 cm 및 왼쪽 엉덩이로부터 9 cm
#5 25 F 8 무릎 아래 각 다리로부터 9 및 10 cm
#6 44 F 12 배꼽 위 7 cm 및 복부로부터 10 cm
#7 19 F 9 왼쪽 대퇴부로부터 6 cm 및 오른쪽 대퇴부로부터 8 cm
#8 24 F 30 1.5 사이즈의 브라 사이즈
#9 44 F 20 배꼽 위 6 cm 및 배꼽 아래 9 cm
#10 44 F 20 허리로부터 5 cm 및 복부로부터 5 cm
#11 38 F 16 배꼽 위 10 cm, 배꼽 아래 9.5 cm 및 복부 (러브 핸들)로부터 5 cm
#12 30 F 8 러브 핸들로부터 10 cm 및 배꼽 아래 6 cm
대체 주사 프로토콜
본 실시예는 PF의 주사용 제제 및/또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표적화된 지방 감소를 위한 처리 세션을 포함하는 일련의 대체 처리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일련 20회의 소량 (0.1 내지 0.2 ml) 주사는 한 처리 세션을 구성한다. 평균적으로, 환자에서 크기의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주목할만한 차이는 4 내지 5개 세션 내에 나타날 수 있다. 측정가능한 지방 소실은 5개 세션으로 3 cm의 지방 소실이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PF로 처리한 8명의 환자에서, 혈액 중의 혈청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3가지 지표의 수준을 처리 전후로 조사하였다. 상기 콜레스테롤 파라미터 모두가 상기 8명의 환자에서 감소되었다.
메소테라피를 사용한 선행 연구에서는, 콜레스테롤의 혈중 수준이 감소되지 않았다 (문헌 [Hexsel, Serra et al 2003]).
혈청 콜레스테롤의 경우, 이러한 사례의 평균 수준은 정상 범위의 상한보다 높았고, 평균은 처리 후에 정상 범위로 떨어졌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p<0.01). LDL 콜레스테롤 및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처리 전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그 감소 정도는 환자의 관리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실시예 9
전달 장치
본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PF 국부용 제제 및 주사용 제제의 전달 및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장치 및 장비가 기술된다.
사우나 (Sauna) 벨트: 유잽 (Uzap) 배, 엉덩이, 대퇴부 (osim)
입력 100-240 V 약 56 Hz
1.5 A 200VA
출력 + 24V - 2.5 A
하기 항목을 갖는 리모콘이 있음:
전력 소비 60W
작동 전압 24V d.c. 2.5A
알파 웨이브 헬스트로닉 머슬 스티뮬레이터 앤드 엑서사이즈 (전류를 패드로 전달하며, PF 함유 크림의 적용 전/후에 사용되는 장치)
모델 BM-303
전원 공급 DC6V (배터리 UM-1x4)
와트 0.6
주사 장치: 90°각도 바늘을 갖는 주사기 배럴.
주사용 제제의 제조에 사용된 구체적 단계: 0.5 mg의 PF를 5 ml의 주사용수에 용해시켜 농도를 0.1 mg/ml로 만들었다. 그 후, 이를 20 ml 주사기에서 5 ml의 포스파티딜 콜린과 혼합하였다. 그 후, 큰 바늘을 작은 게이지의 인슐린 바늘로 대체하고, 제시된 영역의 20개 상이 부위로 10 ml를 주사하였다. 각 주사 부위를 약 1 cm 이격시켜, 0.5 ml의 용액을 위에 주사하였다.
국부용 제제에 포함된 PF의 농도: 0.2 mg 내지 0.3 mg의 PF를 1 ml의 "아존 액체"에 용해시켰다. 그 후, 이 혼합물을 표적 영역에 마사지하였다. 아존은 여러 침투제의 사용을 통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아존의 화학식은 C18H35NO이다. 아존은 무색, 연황색빛 또는 투명색이고, 유성이다. 상기 화합물의 중금속 함량은 0.001% 미만이다. 본 연구를 위한 아존은 중국의 난 징 롱 탄 화학 회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아존은, 각질층의 세포간 영역에서 유기 지질 구조를 붕괴시킴으로써 피부 투과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은 증가된 지질 유동성 및 강화된 약물 확산을 유도한다. PF가 아존과 혼합되도록 선택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그 후, 2.5 Amp의 저전류를 목적하는 처리 영역의 피부 상에 위치한 패드를 통과시켜서, 크림/로션의 PF를 피부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PF가 지방 세포와 접촉하게 한다.
실시예 10
나노구체 제형
수많은 다양한 나노구체 제제가 본 발명의 제제 및 조성물의 실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제제가 확인될 것이다.
피부에 국부 적용하기 위한 고체 지질 나노입자 (SLN) 및 나노구조 지질 담체 (NLC)는 지질, 예를 들어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콤프리톨 888 ATO), 글리세롤 팔미토스테아레이트 (프레시롤 ATO 5), 또는 왁스인 아세틸 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NLC의 경우, 실온에서 액체 지질, 예를 들어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미글리올 812)가 첨가된다. 별법으로, 피부에 적용되는 반고체 비히클에 포함되어 빈번하게 사용되는 침투 증진제에 속하는 올레산은, 약물 흡수를 더 강화할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는 50 내지 1000 nm 범위이다. 나노분산물은 5 내지 40% 지질을 함유한다. 고도로 농축된 제제는 반고체 외형이고, 그 자체로서 화장품용으로 허용된다. 지질의 상태 및 농도에 따라, 입자의 물리적 안정을 위해 0.5 내지 5%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야 한다. 경피 용도의 경우, 제제는 또한, 예를 들어 폴록사머 188;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티록사폴; 테고케어 450 (폴리글리세롤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미라놀 울트라 C32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터); 또는 사카로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질 함량이 낮은 경우 (10% 미만)에 얻어지는 유체 분산물을, SLN 입자의 용해물 또는 응집물을 포함하지 않는 크림 또는 겔 베이스 내에 혼입시킬 수 있다. 광자 상관 분광법 및 시차 주사 열량법 결과는 6개월의 보관 기간에 걸쳐 변하지 않았다.
실시예 11
지방 감소 키트
본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일부일 수 있는 구성 부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0.2 mg/ml 농도의 아존 및 PF의 1 ml 앰풀
2. 알파 웨이브 헬스트로닉 머슬 스티뮬레이터 앤드 엑서사이즈와 같은 장치. 이 소형 장치는 물리치료사가 근육 수축을 야기하는 저밀도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스포츠 상해 후의 근육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한다. 약 2.5 Amp의 저전압 전류로 인해, 아존이 조직화된 지질 층을 파괴한 후 피부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 PF를 이동시키는 전류가 전달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주제 사항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의도된 이점을 축소시키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참고문헌
하기 문헌은 본원에 명확히 포함된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SEQUENCE LISTING <110> RABIE, Bakr <120>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130> 117378-004 <150> US 12/126,246 <151> 2008-05-23 <160> 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rimer <400> 1 gctggtgcag agagacac 18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rimer <400> 2 gaaagcagcg cgcacgcg 18

Claims (21)

  1. 활성 성분으로서의 페오니플로린 (paeoniflorin)을 지방분해 (adipolysis) 증진량으로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의 하나 이상의 처리 세션을 투여하고,
    지방분해를 증가시키는 것 (여기서, 지방분해 수준은 제제의 지방분해 증진량이 부재하는 경우보다 제제의 지방분해 증진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더 높음)을 포함하는, 지방분해의 증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제의 지방분해 증진량이 약 0.25 mg/0.5 ml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제의 지방분해 증진량이 페오니플로린을, 스위스 3T3 세포 배양물에서 동일한 양의 페오니플로린의 부재시의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 발현 수준에 비해 증가된 비만-관련 유전자 패널 발현 수준을 제공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가, 유체 담체 용액 중에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가 크림 또는 로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가 투과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투과제가 아존 (azone)인 방법.
  8. 지방분해 증진량의 페오니플로린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며,
    스위스 3T3 세포 배양물에서 지방분해 증진량의 페오니플로린의 존재하에서의 글리세롤 방출량이 지방분해 증진량의 페오니플로린의 부재하에서의 글리세롤 방출량보다 많은 것인 지방분해 증진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크림 또는 로션을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투과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
  11. 제8항에 있어서, 페오니플로린 함유 알부민 나노구체를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
  12. 제8항에 있어서, 주사용 제제를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
  13. 제10항에 있어서, 투과제가 아존인 지방분해 증진 제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약 0.25 mg/0.5 ml (0.50 mg/ml)의 페오니플로린 농도를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
  15. 활성 성분으로서의 페오니플로린을 지방분해 증진량으로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의 하나 이상의 처리 세션을 신체의 표적 영역에 투여하고,
    표적 영역에서 지방분해가 달성될 때까지 표적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처리 세션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서 특정 표적 신체 영역의 지방 소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가 주사용 제제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표적 신체 영역에 30개 이하의 처리 세션의 다수 개별 주사를 제공하고, 각 처리 세션이 약 0.5 ml 내지 약 1.0 ml 양의 지방분해 증진 제제의 주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가 크림 또는 로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지방분해 증진 제제를 표적 신체 영역의 피부 표면에 적용하기 전, 적용하는 동안 또는 적용한 후에,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저전류 초음파를 처리되는 표적 신체 영역의 피부 표면에 제공하는 것인 방법.
  20. a) 페오니플로린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지방분해 증진 제제의 멸균 용액의 특정 부피를 담지할 수 있는 눈금 배럴 주사기 실린더; 및
    b) 상기 눈금 주사기 실린더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바늘 (상기 바늘은 상기 주사기 실린더에 대해 90° 각도로 놓이도록 형성됨)
    을 포함하는, 주사용 페오니플로린 제제를 표적 신체 영역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눈금 배럴 실린더가 20 ml 또는 50 ml의 부피 용량을 갖는 것인 장치.
KR1020107029010A 2008-05-23 2009-05-25 페오니플로린 제제 및 지방 감소를 위한 그의 용도 KR101656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6,246 2008-05-23
US12/126,246 US7943187B2 (en) 2008-05-23 2008-05-23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322A true KR20110138322A (ko) 2011-12-27
KR101656536B1 KR101656536B1 (ko) 2016-09-12

Family

ID=4134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010A KR101656536B1 (ko) 2008-05-23 2009-05-25 페오니플로린 제제 및 지방 감소를 위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7943187B2 (ko)
EP (1) EP2300018B1 (ko)
JP (1) JP5507549B2 (ko)
KR (1) KR101656536B1 (ko)
CN (1) CN102170888B (ko)
AU (2) AU2009345773A1 (ko)
CA (1) CA2725972A1 (ko)
DK (1) DK2300018T3 (ko)
HK (1) HK1159477A1 (ko)
WO (1) WO20101274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93A1 (ko) 2021-07-21 2023-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3187B2 (en) * 2008-05-23 2011-05-17 Bakr Rabie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US8101593B2 (en) 2009-03-03 2012-01-24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s of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US20130012840A1 (en) * 2010-03-23 2013-01-10 Real Aesthet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ing the relative proportion of fat catabolism
WO2015061280A1 (en) 2013-10-21 2015-04-30 Alevere Medical Corporation Fused heterocyclic organic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dical uses thereof
MX2018005628A (es) * 2015-11-04 2018-08-01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Tratamientos de grasa acumulada con acido desoxicolico y sales del mismo.
WO2019156213A1 (ja) 2018-02-09 2019-08-15 琥珀バイオ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グリセロール放出促進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649A (ko) * 2004-05-10 2005-1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060097848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한 피부 dna 손상 방지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5990A (en) * 1987-09-28 1989-03-30 Tsumura & Co Antihypertestoeronemia agent
US4888354A (en) * 1987-12-21 1989-12-19 Theratech, Inc. Skin penetration enhancement using free base and acid addition salt combinations of active agents
US5919621A (en) 1991-10-24 1999-07-06 Brown; David B. Methods for diagnosing human male infertility
IL101387A (en) * 1992-03-26 1999-11-30 Pharmos Ltd Emulsion with enhanced topical and/or transdermal systemic effect utilizing submicron oil droplets
US5480772A (en) 1993-02-03 1996-01-02 Brandeis University In vitro activation of a nucleus
FR2717382B1 (fr) * 1994-03-21 1996-06-07 Fabre Pierre Cosmetique Extraits de Paeonia Lactiflora titré en paeoniflorine utiles en cosmétologie dans le traitement capillaire.
PE17897A1 (es) * 1995-02-17 1997-06-12 Lilly Co Eli Formulacion transdermica en parche del 3-(4-butiltio)-1,2,5-tiadiazol-3-il)-1-azabiciclo (2,2,2) octano
US5698199A (en) * 1995-03-10 1997-12-16 Kao Corporation Lipolysis acceleration method
EP1021191B1 (de) 1997-10-08 2002-06-05 Genesiscosmetics Rights & Licenses Company Limited Straffung und/oder verkleinerung von fettzellen-haltigen körperpartien
US6638064B1 (en) * 2000-06-07 2003-10-28 Robert Scott Nance Flexible endodontic syringe
MXPA03009603A (es) * 2001-04-20 2004-12-06 Johnson & Johnson Arreglo de microproyeccion que tiene un agente benefico que contiene un recubrimiento.
CN2560367Y (zh) * 2001-08-30 2003-07-16 夏勤 适于喉部和气管滴入药物的针头
US20030175328A1 (en) * 2002-03-06 2003-09-18 Adi Shefer Patch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cosmetic, dermatological, and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JP2004217583A (ja) * 2003-01-16 2004-08-05 Naris Cosmetics Co Ltd 痩身用皮膚外用剤
US20040191330A1 (en) * 2003-03-31 2004-09-30 Keefe Candace R. Daily skin care regimen
CN1555806A (zh) * 2003-12-31 2004-12-22 昆明同持医药研究有限公司 一种芍药甙注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765278A4 (en) * 2004-05-10 2010-04-2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SKIN AGING TREATMENT WITH PAEONIFLORIN
ES2372499T3 (es) 2004-05-19 2012-01-20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Uso de un detergente para la eliminación no quirúrgica de grasa.
US7530958B2 (en) * 2004-09-24 2009-05-12 Guided Therapy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bined ultrasound treatment
JP4974533B2 (ja) * 2006-01-30 2012-07-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ジスルフィド架橋したタンパク質ナノ粒子
US20080294072A1 (en) * 2007-05-24 2008-11-27 Crutchfield Dermatology Mesotherapy with ultrasound
US7943187B2 (en) * 2008-05-23 2011-05-17 Bakr Rabie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649A (ko) * 2004-05-10 2005-1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060097848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한 피부 dna 손상 방지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itoterapia. 2004. Vol.75, pp.45-49.* *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003. Vol.257, pp.169-18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93A1 (ko) 2021-07-21 2023-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8086A9 (en) 2017-12-28
WO2010127470A1 (en) 2010-11-11
US20110218163A1 (en) 2011-09-08
AU2009345773A1 (en) 2010-11-11
EP2300018B1 (en) 2017-05-17
US9901591B2 (en) 2018-02-27
CN102170888B (zh) 2013-06-19
CA2725972A1 (en) 2010-11-11
EP2300018A1 (en) 2011-03-30
JP5507549B2 (ja) 2014-05-28
EP2300018A4 (en) 2011-07-20
KR101656536B1 (ko) 2016-09-12
HK1159477A1 (en) 2012-08-03
US8491947B2 (en) 2013-07-23
US20170216333A1 (en) 2017-08-03
AU2015242976A1 (en) 2015-11-05
CN102170888A (zh) 2011-08-31
DK2300018T3 (en) 2017-09-11
US20150018906A1 (en) 2015-01-15
US20090292238A1 (en) 2009-11-26
US7943187B2 (en) 2011-05-17
JP2011523950A (ja)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6333A1 (en) Paeoniflorin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for fat reduction
Feduccia et al. Locomotor activation by theacrine, a purine alkaloid structurally similar to caffeine: involvement of adenosine and dopamine receptors
CN107496925A (zh) 在癌症化疗和放疗时保护细胞的局部血管收缩剂制品和方法
CN101573130B (zh) 表皮生长因子用于在糖尿病性神经病中外周神经的形态功能恢复的用途
McCain Nonmedicinal treatments in primary fibromyalgia
CN107405315A (zh) 用于治疗神经肌肉、神经变性、自身免疫、发育和/或代谢疾病的脑源性神经营养因子(bdnf)的诱导表达
JP2018516934A (ja) 脂肪量を低減するためのβ−ヒドロキシ−β−メチルブチレート(HMB)の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Carlini et al. Hippocampal effects of neuronostatin on memory, anxiety-like behavior and food intake in rats
US20110223150A1 (en) Neutraceutical-Based Topical Anxiolytic Agent and Method of Use
Cao et al. Orally efficacious novel small molecule 6-chloro-6-deoxy-1, 2, 3, 4
CN103282031A (zh) 包含甲状腺激素的新药物组合物以及它们的治疗应用
CN114028416B (zh) 一种用于治疗化疗诱发的外周神经病变的组合物及其应用
KR20080097420A (ko)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KR20100023246A (ko) 레티노이드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Blondin et al. Human BAT thermogenesis is stimulated by the β 2-adrenergic receptor
WO2016167855A1 (en) Combination of albuterol and caffeine as synergistic treatment for obesity or sarcopenia
Chandra et al. SCOPE OF ILE (INTRAVENOUS LIPID EMULSION) AS AN ANTIDOTE IN VETERINARY CLINICAL PRACTICE.
US20070042998A1 (en) Medical cosmetic method for reducing adipose tissue and for initiating lipolysis through subcutaneous and intracutaneous injections and customized composition compounded from pharmaceutical agents for use therein
Raguvaran et al. Scope of ILE (intravenous lipid emulsion) as an antidote in veterinary clinical practice.
Durdevic et al. Electrophoresis, as a Method of Rational Application of Medicament of Contemporary Management in Health Care
Dalbo III The effects of aging on myostatin pathway activity after three sequential bouts of resistance exercise
Beilin Body mesotherapy and ‘mesobotox’
CN110420209A (zh) 一种治疗糖尿病周围神经痛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BERBECE et al. Use of Phosphatidylcholine in the Treatment of Localized Fat Deposits
Ramirez Efeito da inflamação articular sobre o músculo esquelético: avaliação morfológica e molec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