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296A - 의약조성물 용기 - Google Patents

의약조성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296A
KR20110131296A KR1020117024736A KR20117024736A KR20110131296A KR 20110131296 A KR20110131296 A KR 20110131296A KR 1020117024736 A KR1020117024736 A KR 1020117024736A KR 20117024736 A KR20117024736 A KR 20117024736A KR 20110131296 A KR20110131296 A KR 2011013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mber
container
cove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197B1 (ko
Inventor
슈지 모리모토
유타카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ublication of KR2011013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의 청결성을 높인다.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용기 본체(20) 내에 적어도 3개의 공간(30, 32, 34, 36, 38)을 구비한다.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커버(22)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140, 142, 144, 146)는 폐색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140, 142, 144, 146)는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벌어진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개구(60)를 갖는 개구포함공간(38)이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삼킴보조물질실(30)에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의약조성물실(34, 36)에 의약조성물(80, 82)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는 부분이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Description

의약조성물 용기{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ER}
본 발명은 의약조성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의약조성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복실(複室)형 용기를 개시한다. 이 복실형 용기는 복수의 공간을 서로 연통가능하게 구획한 것이다. 이들 공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통가능한 상태로 폐색되어 있다. 이들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분말입자형 제제가 밀봉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다른 공간에는 농후한 유동물질이 밀봉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각 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분말입자형 제제와 농후한 유동물질을 집합시켜 혼합한 뒤, 어느 한 공간에 마련된 취출구를 통해 혼합물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용기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분말입자형 제제를 복용할 수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복실형 용기에 따르면, 복용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10-23482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분말입자형 제제를 복용할 때, 세균 등 환자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환자의 체내에 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는 의약조성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란에서 도면 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내용을 도시한 범위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한 국면에 따르면,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용기 본체(20) 내에 적어도 3개의 공간(30, 32, 34, 36, 38)을 구비한다.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커버(22)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140, 142, 144, 146)는 폐색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140, 142, 144, 146)는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벌어진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개구(60)를 갖는 개구포함공간(38)이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삼킴보조물질실(30)에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의약조성물실(34, 36)에 의약조성물(80, 82)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는 부분이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140, 142, 144, 146)는 폐색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외부로부터 그곳에 힘이 가해지면 그곳이 벌어지게 된다. 그곳을 벌림으로써, 삼킴보조물질(40)을 삼킴보조물질실(30)로부터 의약조성물실(34, 36)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삼킴보조물질(40)이 의약조성물실(34, 35)로 유도되면, 의약조성물(80, 82)이 삼킴보조물질(40)과 혼합된다. 이로써, 개구(60)를 사람의 입에 대고, 삼킴보조물질(40)과 의약조성물(80, 82)을 그 개구(60)로부터 밀어내면, 의약조성물(80, 82)과 삼킴보조물질(40)의 혼합물이 그 사람의 입속으로 들어가 삼켜진다. 그런데,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는 부분은 그곳이 사람의 입에 대어지기 전에, 커버(22)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로써, 그 부부의 청결성은 높게 유지되고 있다. 그 결과,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버(22)가 용기 본체(20)와 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술한 적어도 3개의 공간(30, 32, 34, 36, 38)과 커버(22)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늘어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포함공간(38)이 열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22)가 열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20)와 커버(22)가 절곡가능하며, 용기 본체(20)와 커버(22)가 절곡되어 있음으로 인해, 개구(60)와 커버(22)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의약조성물실(34, 36)에 포장물(42, 44)이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포장물(42, 44) 중 적어도 표면이 삼킴보조물질(40)의 성분에 녹는다. 포장물(42, 44)에는 의약조성물(80, 82)이 들어 있다.
삼킴보조물질(40)이 의약조성물실(34, 36)로 유도되면, 포장물(42, 44) 중 적어도 표면이 삼킴보조물질(40)의 성분에 용해된다. 이로써, 개구(60)를 삼키기 어려운 사람의 입에 대고, 삼킴보조물질(40)과 포장물(42, 44)을 그 개구(60)로부터 밀어내면, 삼킴보조물질(40)에 싸인 상태로 삼키기 어려운 사람의 입 속으로 포장물(42, 44)이 들어간다. 이 때, 포장물(42, 44)의 표면은 녹아 있다. 삼킴보조물질(40)에 싸인 채 표면이 녹아 있으므로, 삼키기 어려운 사람이더라도 그 포장물(42, 44)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 포장물(42, 44)을 삼킴으로써 의약조성물(80, 82)도 삼켜지게 된다. 단, 포장물(42, 44)이 충분히 녹을 때까지, 포장물(42, 44) 중의 의약조성물(80, 82)이 산란하지 않는다. 또한, 의약조성물(80, 82)을 포장물(42, 44)로 쌈으로써, 의약조성물실(34, 36) 내의 의약조성물(80, 82)의 잔류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용기 본체 내에 복수의 공간(370, 372, 374)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에는 개구의 형성이 예정되는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는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림으로써,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킨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370, 372, 374) 사이(390, 392)는 폐색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370, 372, 374) 사이(390, 392)는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벌어진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삼킴보조물질실(370)에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의약조성물실(372, 374)에 의약조성물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 본체는 절곡가능하다.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커버(378)를 추가로 구비한다. 커버(378)는 용기 본체와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커버(378)는 용기 본체와 일체로 되어 있다. 커버(378)는 용기 본체 중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354)을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다. 개구형성예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354)이 커버(378)에 의해 덮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제조수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외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에 커버삽입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부가 커버 밖으로 나와 있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에 커버삽입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상황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를 절곡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에서 일단이 커버 내에 삽입된 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제조중의 일단 부분을 나타낸 일부 파단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제조중의 일단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에서 일단이 커버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황의 외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용기 본체(20)와, 이에 일체화된 커버(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0) 및 커버(22)는 2장의 적층재(50)가 서로 라미네이팅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적층재(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기 본체(20)는 삼킴보조물질실(30), 중간실(32), 제1의약조성물실(34), 제2의약조성물실(36) 및 개구포함공간(38)을 구비하고 있다. 삼킴보조물질실(30)과 중간실(32)과 제1의약조성물실(34)와 제2의약조성물실(36)은 의약조성물 용기(10) 둘레의 외부공간에 대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22)와 삼킴보조물질실(30)과 중간실(32)과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과 개구포함공간(38)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포함공간(38)이 그 열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22)가 그 열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커버(22)는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재(50)가 절곡가능하기 때문이다.
재차 도 1을 참조하면서, 삼킴보조물질실(30)과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삼킴보조물질실(30)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삼킴보조물질(40)은 수분을 함유하는 멸균된 젤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젤리의 함수율은 다음과 같은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그 요건이란 삼킴보조물질(40)이 후술하는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표면을 덮었을 때부터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의 시간을 적어도 2분 확보할 수 있다는 요건이다.
제1의약조성물실(34) 내에는 제1포장물(42)이 수용되어 있다. 제1포장물(42) 내에는 과립형 약제 등의 제1의약조성물(80)이 포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포장물(42)의 소재는 15μm 두께의 전분제 오블레이트(oblate)이다.
제2의약조성물실(36) 내에는 제2포장물(44)이 수용되어 있다. 제2포장물(44) 내에는 제2의약조성물(82)이 포장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82)은 과립형 제1의약조성물(80)과는 종류가 다른 물질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포장물(44)의 소재는 10μm 두께의 전분제 오블레이트이다. 또한,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개구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의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트는 방식으로 밀봉되어 있다.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소재로서 오블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기능이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에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 기능이란 삼킴보조물질(40)이 제1포장물(42) 혹은 제2포장물(44)의 표면을 덮었을 때에 그들 표면이 녹기 시작하여, 그들이 삼켜진 후에 그들이 완전히 녹는다는 기능이다. 제1포장물(42)에 사용되는 오블레이트가 제2포장물(44)에 사용되는 오블레이트보다도 두꺼운 것은 삼킴보조물질((40)에 의해 덮이기 시작하고나서 완전히 녹을 때까지의 시간을 제2포장물(44)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1포장물(42)이 제2포장물(44)보다도 빨리 삼킴보조물질(40)에 덮이기 때문이다. 제2포장물(44)의 소재로서 10μm 두께의 오블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은 삼킴보조물질(40)에 덮이고나서 완전히 녹을 때까지의 시간을 적어도 2분 확보하기 위함이다. 물론, 오블레이트의 두께는 그 재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삼킴보조물질실(30)과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은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나 삼킴보조물질(4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예를 들면 질소가스)가 필요에 따라 봉입되어 있다.
덧붙이자면, 후술하는 제1약(弱)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이 박리될 때까지, 본 실시형태의 중간실(32)과 개구포함공간(38)은 공실이다. 공실이란 아무것도 수용되어 있지 않거나,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나 삼킴보조물질(4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을 말한다. 개구포함공간(38)은 개구(60)를 갖는다. 개구(60)는 삼킴보조물질실(30), 중간실(32), 제1의약조성물실(34), 제2의약조성물실(36) 및 개구포함공간(38)의 외부와, 그들의 내부를 서로 연통시킨다. 단,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이 모두 박리될 때까지, 개구(60)는 삼킴보조물질실(30), 중간실(32), 제1의약조성물실(34) 및 제2의약조성물실(36) 중, 개구포함공간(38)과 연통하고 있는 것의 내부와, 그들 공간의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다.
삼킴보조물질실(30)과 중간실(32)과의 사이는 제1약실링(14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중간실(32)과 제1의약조성물실(34)과의 사이는 제2약실링(14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과의 사이는 제3약실링(144)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실(36)과 개구포함공간(38)과의 사이는 제4약실링(146)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약실링(140)과 제2약실링(142)과 제3약실링(144)과 제4약실링(146)(이들을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이라 총칭한다)은 용기 본체(20)가 구비하는 공간 중 이웃하는 2개의 것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강도는 저부 강(强)실링(160)의 강도 및 측부 강실링(162)의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160)이란 용기 본체(20)와 커버(22)의 경계에서 적층재(50)의 면과 면이 서로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말한다. 측부 강실링(162)이란 적층재(50)의 면과 면이 서로 라미네이팅된 부분 중,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과 저부 강실링(160)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강도는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이 압력은 삼킴보조물질실(30)의 외부로부터 성인이 힘을 가한 것에 기인한다)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강도이다. 또한, 삼킴보조물질실(30)과 중간실(32) 사이, 중간실(32)과 제1의약조성물실(34) 사이,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 사이 및 제2의약조성물실(36)과 개구포함공간(38) 사이를 파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장의 적층재(50)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잡아당김으로써,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을 찢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용기(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서, 적층재(50)의 구성과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재(50)는 외피재(100), 중간재(102) 및 폐색재(104)를 갖는다(또한, 도 2에서는 적층재(50)가 갖는 이들 3층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생략되어 있다). 2장의 적층재(50)의 패색재(104, 104)는 서로 융착되어 있다. 이 융착되어 있는 부분은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피재(100) 및 중간재(102)보다 먼저 파괴된다. 외피재(100)의 융점 및 중간재(102)의 융점에 비해, 폐색재(104)의 융점은 낮다. 그 때문에, 외피재(100)의 외측으로부터 적층재(50)에 열을 가하면, 외피재(100)나 중간재(102)가 용융되기 전에 폐색재(104)가 용융된다. 외피재(100)나 중간재(102)가 용융되기 전에 폐색재(104)가 용융되기 때문에, 폐색재(104)만을 융착시킬 수 있다. 이 융착된 부분이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이다. 도 3에는 제4약실링(146)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에 대응하는 부분의 폐색재(104)의 소재와 저부 강실링(160)이나 측부 강실링(162)에 대응하는 부분의 폐색재(104)의 소재는 서로 다르다(단, 외피재(100)의 소재나 중간재(102)의 소재는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에 대응하는 부분과 저부 강실링(160)이나 측부 강실링(162)에 대응하는 부분과의 사이에서 동일하다). 그들이 다르기 때문에,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강도를 저부 강실링(160)의 강도 및 측부 강실링(162)의 강도보다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피재(10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중간재(102)의 소재는 나일론이다. 폐색재(104) 중,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에 대응하는 부분의 소재는 폴리에틸렌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제조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제조수순을 설명한다. 제1단계는 2장의 적층재(50, 50)를 포개어,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강실링(162)이 형성된다. 제2단계는 적층재(50) 중, 중간실(32)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약실링(140)과 제2약실링(142)이 형성된다. 제3단계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적층재(50, 50) 사이에 제1포장물(42)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는 적층재(50) 중,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 사이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약실링(144)이 형성된다. 제5단계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적층재(50, 50) 사이에 제2포장물(44)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제6단계는 적층재(5) 중, 제2의약조성물실(36)과 개구포함공간(38) 사이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약실링(146)이 형성된다. 제7단계는 2장의 적층재(50) 사이에 삼킴보조물질(40)을 충전하는 단계이다. 이 때, 먼저 용기 본체(20) 중 제1약실링(140)의 부분을 절곡하여, 삼킴보조물질실(30)을 위로 향하게 한다. 삼킴보조물질실(30)이 위를 향하면, 삼킴보조물질실(30) 내에 노즐(미도시)을 삽입하여 삼킴보조물질(40)을 충전한다. 제8단계는 용기 본체(20)와 커버(22)의 경계부분을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강실링(160)이 형성된다. 제9단계는 도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와 커버(22)의 경계부분을 절곡한 후,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는 부분을 커버(22)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들 단계를 거쳐 완성한 의약조성물 용기(10)는 종이상자(미도시)에 수납되어 유통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를 의약조성물 용기(10)로부터 꺼내어서 복용하기 위한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간병인 등이 커버(22)로부터 용기 본체(20)의 선단 부분을 잡아 뽑음으로써, 도 4(H)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였던 의약조성물 용기(10)를 도 1 혹은 도 4(G)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한다. 그 후, 간병인 등이 삼킴보조물질실(30)을 의약조성물 용기(10)의 밖으로부터 눌러, 삼킴보조물질실(30)의 내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제1약실링(140)을 박리시킨다. 제1약실링(140)이 박리되면, 삼킴보조물질(40)이 중간실(32)로 밀려나온다. 밀려나온 삼킴보조물질(40)은 중간실(32) 안에 가득찬다.
이 상태에서, 간병인 등이 삼킴보조물질실(30)을 의약조성물 용기(10)의 밖으로부터 계속 누르면, 중간실(32) 내부의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으로 인해 제2약실링(142)이 박리된다. 이 때, 커버(22)를 용기 본체(20) 쪽으로 접는다. 제2약실링(142)이 박리되면, 삼킴보조물질(40)이 제1의약조성물실(34)로 밀려나온다. 밀러나온 삼킴보조물질(40)은 제1의약조성물실(34) 안에 가득찬다. 이 때부터, 제1포장물(42)의 표면은 삼킴보조물질(40)에 의해 녹기 시작한다.
삼킴보조물질(40)이 제1의약조성물실(34)로 밀려나온 후, 간병인 등이 의약조성물 용기(10)를 환자(200)에게 물게 한다. 의약조성물 용기(10)가 물리면, 환자(200)가 용기 본체(20) 쪽으로 접힌 커버(22)를 용기 본체(20) 쪽으로 다시 접고, 또한 용기 본체(20)와 커버(22)를 훑는다. 이로써, 삼킴보조물질(40)에 압력이 가해진다. 삼킴보조물질(40)에 압력이 가해진 결과, 제3약실링(144)이 박리된다. 제3약실링(144)이 박리되면, 제1포장물(42)채로 삼킴보조물질(40)이 제2의약조성물실(36)로 밀려나온다. 밀려나온 삼킴보조물질(40)은 제2의약조성물실(36) 안에 가득찬다. 이 때부터, 제2포장물(44)의 표면도 삼킴보조물질(40)에 의해 녹기 시작한다.
삼킴보조물질(40)이 제2의약조성물실(36)로 밀려나온 후, 환자(200)가 삼킴보조물질실(30)로부터 제2의약조성물실(36)로 향하는 방향으로 용기 본체(20)와 커버(22)를 다시 접고, 또한 그들을 다시 훑는다. 이로써, 삼킴보조물질(40)에 압력이 가해진다. 삼킴보조물질(40)에 압력이 가해진 결과, 제4약실링(146)이 박리된다. 제4약실링(146)이 박리되면,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이 개구포함공간(38)으로 밀려나온다. 그들은 개구포함공간(38)과 환자(200)의 입을 거쳐 삼켜진다. 이 때,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표면이 삼킴보조물질(40)의 성분에 녹아 있기 때문에,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표면은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은 원활하게 삼켜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는 다음과 같은 8개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둘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쓴맛을 가질 경우, 그 쓴맛이 억제된다는 효과이다. 셋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입 안에서 산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이다. 넷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의 안정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이다. 다섯째 효과는 삼키기 어려운 사람에게 다양한 종류의 고체를 복용시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여섯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를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이다. 일곱째 효과는 제1포장물(42)이나 제2포장물(44)을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다는 효과이다. 여덟째 효과는 의약조성물 용기(10) 내부의 의약조성물(80, 82)의 잔류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본 실시형태의 경우라면, 잔류량을 제로에 가까운 양으로 한다.)는 효과이다.
첫째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삼킴보조물질(40)에 싸인 상태에서 환자(200)의 입 속으로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이 들어간다. 이 때,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표면은 녹아 있다. 삼킴보조물질(40)에 싸인 채 표면이 녹아 있으므로, 삼키기 어려운 환자(200)일지라도 그들의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에는 의약조성물(80)이 들어 있으므로,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을 삼킴으로써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도 삼켜지게 된다. 이로써,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
둘째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삼킴보조물질(40)에 싸인 상태로 환자(200)의 입 속으로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이 들어간다. 이로써,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의 내용물인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은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에 의해 이중으로 싸여 있게 된다.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이중으로 싸여 있기 때문에,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약제일지라도, 환자(200)의 혀가 그 쓴맛을 느낄 가능성은 낮아진다. 그 결과, 약제의 쓴맛이 억제된다.
셋째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은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에 의해 이중으로 싸여 있다. 이로써, 환자(200)의 입 속에서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산란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그 결과,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이 입속에서 산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넷째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은 화학물질이다. 화학물질끼리 접촉하면, 대부분의 경우에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화학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의약조성물은 약으로서의 작용을 상실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복수의 의약조성물을 혼합상태로 보존할 수는 없다. 혼합상태로 그들을 보존할 경우, 그들 작용이 상실되는지 미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에는 복수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들 공간에 1종류씩 의약조성물을 수용하는 것과, 복수의 의약조성물을 따로따로 보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를 사용하면 의약조성물의 안정성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이다. 의약조성물의 안정성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복수의 의약조성물의 약효가 상실되어 있는지 미리 조사할 필요도 없게 된다.
다섯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삼킴보조물질(40)을 제1의약조성물실(34)과 제2의약조성물실(36)에 순차적으로 유도한 후,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을 삼킴으로써,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 자체의 활성은 삼킴의 난이도와 관련하여 그다지 큰 영향을 갖지 않게 된다. 이로써, 삼키기 어려운 사람에게 다양한 종류의 고체를 복용시킬 수 있다.
여섯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사용 전,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은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이로써, 용기 본체(20) 중 개구포함공간(38)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 세균 등이 부착되는 빈도는 낮아진다. 특히, 용기 본체(20) 중 입에 닿는 부분을 파괴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세균 등이 부착되는 빈도는 낮아진다. 용기 본체(20) 중 입에 닿는 부분을 파괴하여 개구를 형성할 경우, 그 부분을 파괴할 때, 기구나 손을 그 부분에 댈 필요가 있다. 이 때, 그들 기구나 손에 부착되어 있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그 부분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경우,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을 파괴함으로써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을 삼킬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20) 중 입에 닿는 부분에 기구나 손을 댈 필요가 없는 만큼, 그곳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부착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제2의약조성물(82)을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약조성물실(36)측의 제1의약조성물실(34)의 단부가, 제2의약조성물실(36)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제1의약조성물실(34) 내에 제1포장물(42)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삼킴보조물질(40)에 의해 제1포장물(42)을 밀어낼 때, 그것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개구포함공간(38)측의 제2의약조성물실(36)의 단부가, 개구포함공간(38)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제2의약조성물실(36) 내에 제2포장물(44)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이 제2포장물(44)도 동일한 원활함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여덟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60)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과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이 밀려나오면, 그들 중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도 동시에 밀려나오게 된다. 이로써, 제1의약조성물실(34) 및 제2의약조성물실(36) 중의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의 잔류량은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 안에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이 들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 대폭 적어지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은 밀봉되어 있다. 밀봉되어 있으므로, 제1포장물(42) 및 제2포장물(44) 내부로부터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이 누출될 가능성은 극히 적다. 그 가능성이 매우 낮으므로, 의약조성물 용기(10) 내부의 제1의약조성물(80) 및 제2의약조성물(82)의 잔류량을 저하시킬(실제로는 잔류량을 제로에 가까운 양으로 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는 용기 본체(220)와 커버(22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20)는 접히고 또한 외주부분이 라미네이팅된 1장의 적층재(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222)는 용기 본체(220)와 동일하게 적층재(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222)는 용기 본체(220)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6에서, 의약조성물 용기(210)의 좌단의 해칭은 적층재(50)의 단면을 나타낸다.
용기 본체(220)는 삼킴보조물질실(230)과 의약조성물실(232)과 개구포함공간(234)을 가지고 있다. 삼킴보조물질실(230)과 의약조성물실(232)은 의약조성물 용기(210) 둘레의 외부공간에 대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230)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실(232) 내에는 제1포장물(42)이 수용되어 있다. 제1포장물(42) 내에는 제1의약조성물(80)이 수용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이 박리될 때까지, 개구포함공간(234)은 공실이다.
또한, 삼킴보조물질실(230)과 의약조성물실(232)에는 제1의약조성물(80)이나 삼킴보조물질(4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가 필요에 따라 봉입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230)과 의약조성물실(232)과의 사이는 제1약실링(24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의약조성물실(232)과 개구포함공간(234)과의 사이는 제2약실링(24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은 용기 본체(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중 이웃하는 2개의 것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의 강도는 저부 강실링(260)의 강도 및 측부 강실링(262)의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260)이란 용기 본체(220)와 커버(222)의 경계에서 적층재(50)의 면과 면이 서로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말한다. 측부 강실링(262)이란 적층재(50)의 면과 면이 서로 라미네이팅된 부분 중,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과 저부 강실링(260)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의 강도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강도이다. 또한, 이것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을 파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약실링(240) 및 제2약실링(242)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저부 강실링(260) 및 측부 강실링(262)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저부 강실링(160) 및 측부 강실링(162)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20) 중 개구포함공간(234)의 선단에 대응하는 부분의 2개의 모서리는 절곡되어 있다. 단, 도 6에서는 의약조성물 용기(210)의 구성을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 그들 모서리 중 1개만이 절곡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그들 2개의 모서리를 절곡하는 것은 개구포함공간(234)의 선단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커버(222) 속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것이면, 그들 2개의 모서리 중 한쪽만이 절곡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의 제조수순이나 사용방법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제조수순이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는 다음과 같은 6개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둘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 쓴맛을 갖는 경우, 그 쓴맛이 억제된다는 효과이다. 셋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 입 안에서 산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이다. 넷째 효과는 삼키기 어려운 사람에게 다양한 종류의 고체를 복용시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다섯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을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이다. 이들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여섯째 효과는 의약조성물 용기(210) 내부의 의약조성물(80)의 잔류량을 저하시킬(본 실시형태의 경우라면, 잔류량을 제로에 가까운 양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이다.
<제3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는 용기 본체(320)와 커버(32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20)는 2장의 적층재(50)의 외측 가장자리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커버(222)는 용기 본체(22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222)를 형성하고 있는 시트는 주지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320)는 주머니수용실(330), 제1의약조성물실(334), 제2의약조성물실(336), 및 개구포함공간(338)을 가지고 있다. 주머니수용실(330)과 제1의약조성물실(334)과 제2의약조성물실(336)은 용기 본체(320) 둘레의 외부공간에 대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수용실(330) 내에는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가 수용되어 있다.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는 후술하는 외주 강실링(462)에 의해 주머니수용실(330) 내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는 삼킴보조물질(40)을 수용하고 있다.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 중, 후술하는 제1약실링(440)에 대향하는 측의 일단의 강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과 마찬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삼킴보조물질(40)은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채 멸균된 후, 용기 본체(320) 사이에 끼워진다. 그 후, 외주 강실링(462)이 형성됨으로써,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는 외주 강실링(462) 내에 접착된다.
제1의약조성물실(334) 내에는 제1포장물(42)이 수용되어 있다. 제1포장물(42) 내에는 제1의약조성물(80)이 포장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실(336) 내에는 산제(散劑)(344)가 수용되어 있다.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이 박리될 때까지,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구포함공간(338)은 공실이다.
주머니수용실(330)과 제1의약조성물실(334)과의 사이는 제1약실링(44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334)과 제2의약조성물실(336)과의 사이는 제2약실링(44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실(336)과 개구포함공간(338)과의 사이는 제3약실링(444)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약실링(440)과 제2약실링(442)과 제3약실링(444)(이들을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이라 총칭한다)은 용기 본체(3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중 이웃하는 2개의 것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의 강도는 외주 강실링(462)의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외주 강실링(462)이란 용기 본체(320)의 가장자리의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의 강도는 제1실시형태나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강도이다. 또한, 이것도 제1실시형태나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을 파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약실링(440) 내지 제3약실링(444)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1약실링(140) 내지 제4약실링(146)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외주 강실링(462)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측부 강실링(162)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의 제조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제1단계는 2장의 적층재(50)를 서로 포개어 그들의 외측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단,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가 끼이는 부분은 가열되지 않는다. 제2단계는 적층재(50) 중 제1약실링(440)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제1약실링(440)이 형성된다. 제3단계는 적층재(50) 사이에 제1포장물(42)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는 적층재(50) 중 제1의약조성물실(334)과 제2의약조성물실(336) 사이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제2약실링(442)이 형성된다. 제5단계는 적층재(50) 사이에 산제(344)를 충전하는 단계이다. 제6단계는 적층재(50) 중, 제2의약조성물실(336)과 개구포함공간(338) 사이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제3약실링(444)이 형성된다. 제7단계는 적층재(50) 사이에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 때, 먼저 용기 본체(320) 중 제1약실링(440)의 부분을 절곡하여 주머니수용실(330)을 위로 향하게 한다. 주머니수용실(330)이 위를 향하면, 주머니수용실(330)의 개구를 크게 벌려, 그 속에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를 삽입한다. 제8단계는 용기 본체(320)의 외측 가장자리 중 보조물질수용주머니(340)가 끼이는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이다. 제9단계는 용기 본체(320) 중 개구포함공간(338)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측에 커버(322)를 씌우는 단계이다. 이들 단계를 거쳐 완성한 의약조성물 용기(310)는 종이박스(미도시)에 수납되어 유통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의 사용방법은 용기 본체(320) 중 개구포함공간(338)을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커버(322)를 먼저 제거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10)는 다음과 같은 5가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효과는 과립형 약제 등의 의약조성물(80)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둘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이 쓴맛을 갖는 경우, 그 쓴맛이 억제된다는 효과이다. 셋째 효과는 약제의 안정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이다. 넷째 효과는 제1의약조성물(80) 및 산제(344)를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이다. 다섯째 효과는 의약조성물 용기(310) 내부의 의약조성물(80, 82)의 잔류량을 저하시킬(본 실시형태의 경우라면, 잔류량을 제로에 가까운 양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이다. 이들 효과를 갖는 이유는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4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는 용기 본체(520)와, 이에 일체화된 커버(522)를 구비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에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520) 및 커버(522)는 1장의 적층재(50)를 둘로 접어 외주끼리를 라미네이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의약조성물 용기(510)의 우단의 해칭은 적층재(50)의 단면을 나타낸다.
용기 본체(520)는 삼킴보조물질실(530), 중간실(532), 제1의약조성물실(534), 제2의약조성물실(536) 및 개구포함공간(538)을 구비하고 있다. 삼킴보조물질실(530)과 중간실(532)과 제1의약조성물실(534)과 제2의약조성물실(536)은 의약조성물 용기(510) 둘레의 외부공간에 대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522)는 용기 본체(520) 중 개구포함공간(538)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534) 내에는 제3의약조성물(84)이 수용되어 있다. 제3의약조성물(84)은 가루약이다. 제2의약조성물실(536) 내에는 제4의약조성물(86)이 수용되어 있다. 제4의약조성물(86)은 제3의약조성물(84)과는 다른 종류의 가루약이다. 물론, 제1의약조성물실(534)이나 제2의약조성물실(536)에 과립형 약제 등의 물질이 수용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삼킴보조물질실(530)과 제1의약조성물실(534)과 제2의약조성물실(536)은 제3의약조성물(84)이나 제4의약조성물(86)이나 삼킴보조물질(40)에 영향을 주지않는 기체가 필요에 따라 봉입되어 있다.
제1약실링(640) 내지 제4약실링(646)이 박리될 때까지, 중간실(532)과 개구포함공간(538)은 공실이다. 개구포함공간(538)은 개구를 갖는다.
삼킴보조물질실(530)과 중간실(532)과의 사이는 제1약실링(64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중간실(532)과 제1의약조성물실(534)과의 사이는 제2약실링(64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534)과 제2의약조성물실(536)과의 사이는 제3약실링(644)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실(536)과 개구포함공간(538)과의 사이는 제4약실링(646)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약실링(640) 내지 제4약실링(646)의 강도는 저부 강실링(660)의 강도 및 측부 강실링(662)의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약실링(640) 내지 제4약실링(646)의 강도는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이 압력은 삼킴보조물질실(30)의 외부로부터 성인이 힘을 가한 것에 기인한다)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강도이다. 또한, 삼킴보조물질실(530)과 중간실(532) 사이, 중간실(532)과 제1의약조성물실(534) 사이, 제1의약조성물실(534)과 제2의약조성물실(536) 사이, 및 제2의약조성물실(536)과 개구포함공간(538) 사이를 파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삼킴보조물질(40)의 압력에 의해 파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의 사용방법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는 다음과 같은 4가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효과는 가루약 등의 의약조성물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둘째 효과는 약제의 안정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이다. 셋째 효과는 측부 강실링(660) 중 제3약실링(644)에 인접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10)를 사용하여 의약조성물을 삼킬 때, 의약조성물 용기(510)의 선단이 환자(200)의 입에 너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이다. 넷째 효과는 제3의약조성물(84)이나 제4의약조성물(86)을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이다.
<제5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 내지 제4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의 일부 파단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는 용기 본체(820)와, 이에 일체화된 커버(822)를 구비하고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710)는 제1실시형태 및 제3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2장의 적층재(50)를 라미네이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820)는 삼킴보조물질실(830)과 제1의약조성물실(834)과 개구포함공간(838)을 구비하고 있다. 삼킴보조물질실(830)과 제1의약조성물실(834)은 의약조성물용기(710) 둘레의 외부공간에 대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의약물조성실(834) 내에는 제3의약조성물(84)이 수용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834)에 과립형 약제 등의 물질이 수용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삼킴보조물질실(830)과 제1의약조성물실(834)에는 제3의약조성물(84)이나 삼킴보조물질(4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가 필요에 따라 봉입되어 있다.
제1약실링(840) 및 제2약실링(842)이 박리될 때까지, 개구포함공간(838)은 공실이다. 개구포함공간(838)은 개구를 갖는다.
삼킴보조물질실(830)과 제1의약조성물실(834)과의 사이는 제1약실링(84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834)과 개구포함공간(838)과의 사이는 제2약실링(84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1약실링(840) 및 제2약실링(842)의 강도는 저부 강실링(860)의 강도 및 측부 강실링(862)의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의 사용방법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10)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효과는 가루약 등의 의약조성물을 용이하게 삼킬 수 있다는 효과이다. 둘째 효과는 약제의 안정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이다. 셋째 효과는 제3의약조성물(84)을 복용할 때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이다.
<제6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일부 파단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는 1장의 합성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그 복합수지 등과 같이 절곡가능한 유연한 것이어서 히트 실링이 가능한 것)제 시트를 둘로 접어, 둘로 접힌 시트의 끝과 끝을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절취하여 외형을 정돈함으로써 형성된다.
시트의 끝과 끝이 라미네이팅된 부분이 측부 강실링(270)이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들 복수의 공간 사이는 제1약실링(300), 제2약실링(302) 및 제3약실링(304)으로 폐색되어 있다. 제1약실링(300)은 제1구역(311)과 중간실(312)과 제2구역(314)을 갖는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내부 공간 중 하나가 삼킴보조물질실(280)이다. 삼킴보조물질실(280)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면, 삼킴보조물질(40)로부터 받은 압력에 의해 제1약실링(30) 중 제1구역(311)이 용이하게 벌어진다. 제1구역(311)이 벌어지면, 중간실(312)로 삼킴보조물질(430)이 밀려나온다. 이하,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구역(314), 제2약실링(302), 및 제3약실링(304)이 순차적으로 벌어진다. 이는 제1약실링(300)과 제2약실링(302)과 제3약실링(304)의 강도가 측부 강실링(270)에 비해 낮음으로 인해 실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내부 공간 중 1종류에는 제1의약조성물실(282) 및 제2의약조성물실(284)이 있다. 이들에는 제1포장물(212) 또는 제2포장물(213)이 수용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282)에 수용되어 있는 제1포장물(212)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과, 제2의약조성물실(284)에 수용되어 있는 제2포장물(213)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은 종류가 서로 다르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내부 공간 중 하나에는 개구포함공간(286)도 있다. 개구포함공간(286)은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일단에 마련되며, 제1포장물(212)이나 제2포장물(213)을 복용하기 위한 슈트(chute)(즉 제1포장물(212)이나 제2포장물(213)을 환자의 입 속으로 미끄러져 떨어뜨리기 위한 장치)가 된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양단 중, 개구포함공간(286)이 마련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일단은 커버(288)로 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280)과 커버(288)의 경계는 저부 강실링(272)으로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272)의 강도는 측부 강실링(270)과 마찬가지이므로,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여도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설명에서, 커버(288)보다도 제2의약조성물실(284)측의 부분을 '용기 본체'라 칭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도 10에 나타낸 면에서 볼 때 배면에 해당하는 부위의 개관도이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에는 라벨(262)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유의 특징>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와 비교했을 때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 고유의 특징은 일단에 커버(288)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그 커버(288) 내에 삽입되는 커버삽입부분(321)이 마련되어 있고,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폭은 그 커버(238)에 삽입되는 부분의 베이스부(331)에서 넓어져 있으며, 저부 강실링(272)과 제2약실링(302)의 부분이나 제3약실링(304) 부분을 절곡하여 그 커버삽입부분(321)의 선단을 커버(288)에 삽입하고 있고, 또한 베이스부(331)가 커버(288)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이다. 도 12에는 커버(238)에 커버삽입부분(321)이 삽입되어 있으며, 또한 베이스부(331)가 커버(238) 밖으로 나와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31) 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으므로, 그곳에 손가락을 집어넣음으로써 커버삽입부분(321)을 용이하게 당겨 뺄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상황에서의, 도 12에 나타낸 면에서 볼 때 배면에 해당하는 부위의 도면이다. 의약조성물 용기(260)의 배면의 대부분을 라벨(262)이 차지하고 있다.
<사용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를 사용할 때에는 상술한 베이스부(331)에 손가락을 걸어, 그대로 커버(238)로부터 상술한 커버삽입부분(321)을 당겨 뺀다. 커버삽입부분(321)이 빠지면, 커버삽입부분(321)을 환자의 입에 넣는다. 그 후의 사용방법은 다른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효과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는 커버삽입부분(321)의 베이스부(331)에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커버삽입부분(321)을 용이하게 당겨 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60)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제7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일부 파단도이다.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는 1장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둘로 접어, 둘로 접힌 시트의 끝과 끝을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절취하여 외형을 정돈함으로써 형성된다.
시트의 끝과 끝이 라미네이팅된 부분이 측부 강실링(410)이다.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들 복수의 공간 사이는 제1약실링(441), 제2약실링(443) 및 제3약실링(445)로 폐색되어 있다. 제1약실링(441)은 제1구역(450)과 중간실(452)과 제2구역(454)을 갖는다.
그들 공간 중 하나가 삼킴보조물질실(420)이다. 삼킴보조물질실(420)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면, 제1구역(450)과 제2구역(454)는 제6실시형태의 제1약실링(300), 제2약실링(302) 및 제3약실링(304)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벌어진다. 그와 같이 벌어지는 이유는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내부 공간 중 1종류에는 제1의약조성물실(422) 및 제2의약조성물실(424)이 있다. 이들에는 제1포장물(212) 또는 제2포장물(213)이 수용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422)에 수용되어 있는 제1포장물(212)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과, 제2의약조성물실(424)에 수용되어 있는 제2포장물(213)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은 종류가 서로 다르다.
그들 공간 중 하나에는 개구포함공간(426)도 있다. 개구포함공간(426)은 제6실시형태의 개구포함공간(286)과 마찬가지로, 제1포장물(212)이나 제2포장물(213)을 복용하기 위한 슈트가 된다.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양단 중,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일단은 커버(428)로 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420)과 커버(478)의 경계는 저부 강실링(412)으로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412)의 강도는 측부 강실링(410)과 마찬가지이므로,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여도 박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유의 특징>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와 비교했을 때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 고유의 특징은 일단에 커버(478)가 마련되어 있으며, 저부 강실링(412)과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베이스부가 함께 절곡되어,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478) 내에 삽입되고,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선단(480)이 둥글게 되어 있으며, 또한 커버(478)의 가장자리(482)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설명에서, 커버(478)보다도 제2의약조성물실(424)측의 부분을 '용기본체'라 칭한다.
<사용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를 사용할 때에는 의약조성물 용기(400)의 양단 중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쪽을 커버(478)로부터 당겨 뺀다. 그 후의 사용방법은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효과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는 제조중에,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과 커버(478)의 절결된 가장자리(482)가 대향하도록 절곡된다. 도 15는 제조중에 의약조성물 용기(400)가 절곡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의약조성물 용기(400)가 절곡된 후에,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478)에 삽입된다. 이 때,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선단(480)이 커버(478)의 절결된 가장자리(482)의 어느 한 부위에 걸려 커버(478)의 입구를 벌린다. 커버(478)의 입구가 벌어지므로, 선단(480)은 원활하게 커버(478) 안으로 들어간다. 도 16은 개구포함공간(4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478) 내에 삽입된 후의 의약조성물 용기(400)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400)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제8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일부 파단도이다.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는 1장의 합성수지제의 시트를 둘로 접어, 둘로 접힌 시트의 끝과 끝을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절취하여 외형을 정돈함으로써 형성된다.
시트의 끝과 끝이 라미네이팅된 부분이 측부 강실링(511)이다.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들 복수의 공간 사이는 제1약실링(540), 제2약실링(542) 및 제3약실링(544)로 폐색되어 있다. 제1약실링(540)은 제1구역(550)과 중간실(552)과 제2구역(554)을 갖는다.
의약조성물용기(500)의 내부 공간 중 하나가 삼킴보조물질실(521)이다. 삼킴보조물질실(521)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면, 제1구역(550)과 제2구역(554)은 제6실시형태의 제1약실링(300), 제2약실링(302) 및 제3약실링(304)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벌어진다. 그와 같이 벌어지는 이유는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내부 공간 중 1종류에는 제1의약조성물실(523) 및 제2의약조성물실(524)이 있다. 이들에는 제1포장물(212) 또는 제2포장물(213)이 수용되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523)에 수용되어 있는 제1포장물(212)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과, 제2의약조성물실(524)에 수용되어 있는 제2포장물(213)이 포장하는 의약조성물은 종류가 서로 다르다.
그들 공간 중 하나에는 개구포함공간(526)도 있다. 개구포함공간(526)은 제6실시형태의 개구포함공간(286)과 마찬가지로, 제1포장물(212)이나 제2포장물(213)을 복용하기 위한 슈트가 된다.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양단 중, 개구포함공간(526)이 마련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일단은 커버(528)로 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521)과 커버(528)의 경계는 저부 강실링(512)으로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512)의 강도는 측부 강실링(511)과 마찬가지이므로,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여도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설명에서, 커버(528)보다도 제2의약조성물실(524)측의 부분을 '용기본체'라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유의 특징>
도 18은 제조중의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일단을 나타낸 일부 파단도이다. 도 19는 제조중의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일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와 비교했을 때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 고유의 특징을 설명한다. 그 특징은 저부 강실링(512)과 개구포함공간(5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베이스부가 절곡되어, 개구포함공간(526)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528) 내에 삽입되며, 측부 강실링(511) 중 커버(528)에 삽입되는 선단부분(516)에 용착부분(51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용착부분(514)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혀 선단부분(516)에 용착된다.
<사용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의 사용방법은 제7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효과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부 강실링(511)의 끝에 버(burr)가 생성되어 있어도, 그 버가 환자의 입 안에 접촉되기 어렵다. 버가 접촉되기 어려우므로, 환자의 입을 손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500)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제9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일부 파단도이다.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1장의 합성수지제의 시트를 둘로 접어, 둘로 접힌 시트의 끝과 끝을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부분을 절취하여 외형을 정돈함으로써 형성된다.
시트의 끝과 끝이 라미네이팅된 부분이 측부 강실링(361)이다.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공간 사이는 제1약실링(390), 제2약실링(392) 및 개구형성예정부(394)로 폐색되어 있다. 제1약실링(390)은 제1구역(401)과 중간실(403)과 제2구역(405)을 갖는다.
의약조성물용기(351)의 내부 공간 중 하나가 삼킴보조물질실(370)이다. 삼킴보조물질실(370) 내에는 삼킴보조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면, 제1구역(401)과 제2구역(405)은 제6실시형태의 제1약실링(300), 제2약실링(302) 및 제3약실링(304)과 마찬가지로 순차적으로 벌어진다. 그와 같이 벌어지는 이유는 제6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내부 공간 중 1종류에는 제1의약조성물실(327) 및 제2의약조성물실(374)이 있다. 제1의약조성물실(372)에 제1포장물(212)이 수용되어 있다. 제2의약조성물실(374)에 주지의 정제(352)가 수용되어 있다.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양단 중,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일단은 커버(378)로 되어 있다. 삼킴보조물질실(370)과 커버(378)의 경계는 저부 강실링(362)으로 되어 있다. 저부 강실링(362)의 강도는 측부 강실링(361)과 마찬가지이므로,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로부터 삼킴보조물질(40)에 힘을 가하여도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설명에서, 커버(378)보다도 제2의약조성물실(374)측의 부분을 '용기본체'라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완성시,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378)에 대해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도 21은 이 때의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유의 특징>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와 비교했을 때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 고유의 특징은 커버(378)에 삽입되는 부분(354)에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그 개구형성예정부(394)의 실링 강도가 측부 강실링(361)의 실링 강도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사용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사용방법은 제7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효과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개구형성예정부(394)의 실링 강도가 측부 강실링(361)의 실링 강도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354)을 환자의 입에 넣고 의약조성물 용기(351)를 훑으면, 입 속에서 개구형성예정부(394)가 벌어진다. 이로써,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는 의약조성물 용기(351)의 외부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킨다. 그 결과, 당초 커버(378) 내에 삽입되어 있던 부분에 손을 접촉하는 일 없이 제1포장물(212)이나 정제(352)를 환자의 입에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351)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변형예의 설명>
상술한 의약조성물 용기(10, 210, 260, 310, 351, 400, 500, 510, 7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이는 용기 본체(20, 220, 320)의 재질을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용기 본체(20, 220, 320, 520, 720)의 형상, 각 공간의 형상, 개구의 형상, 그들의 치수, 그들의 구조, 및 그들의 배치 등을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의약조성물 용기(10, 210, 260, 310, 351, 400, 500, 510, 7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포장물(42)이나 제2포장물(44)의 형태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외형은 직사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제1포장물(42)이나 제2포장물(44) 대신에 공지의 캡슐이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용기 본체(20, 220, 320, 520, 720)가 갖는 공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제1의약조성물실(34)이나 제2의약조성물실(36)은 육각형을 하고 있는데, 이들은 삼각형이든, 사각형이든, 오각형이든, 칠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든, 원형이든, 타원형이든 좋다. 또한, 용기 본체(20, 220, 320)가 갖는 공간의 수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210)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용기(310)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710)에 제1실시형태에 따른 중간실(32)과 마찬가지의 공실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서, 중간실(32)은 필수 공간은 아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0) 및 제3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320)는 2장의 시트를 서로 라미네이팅시킨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20)는 1장의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를 라미네이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20)가 2장의 시트를 라미네이팅한 것일 수도 있다. 제1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0) 및 제3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320)가 1장의 시트를 둘로 접어 외측 가장자리를 라미네이팅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의약조성물이 산제나 과립제이며 삼킴보조물질이 젤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약조성물이나 삼킴보조물질이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의약조성물은 산제나 과립제 외에, 정제나 캡슐이나 단순한 덩어리일 수도 있다. 의약조성물은 포장물이라는 형태로 제1의약조성물실(34)이나 제2의약조성물실(36)에 수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의약조성물은 오블레이트 등의 포장재에 의해 싸여 있지 않아도 된다. 게다가, 의약조성물로서 성형되는 것은 통상 의약으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의약조성물로서 성형되는 것은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작용이 인정되고 있는 식물이어도 좋다. 삼킴보조물질은 수용액 외에 벌꿀, 카스타드 크림, 피넛 스프레드, 치즈 스프레드 등이어도 좋다. 단, 삼킴보조물질은 의약조성물 용기가 사용되는 환경 하에서, 용기 본체가 구비하는 공간 속을 왕래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를 유통시키고 있는 동안이나 그 약제를 보존하고 있는 동안에 변질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면, 하나의 의약조성물실 내에 배합제가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말하는 배합제란 혼합물을 의미한다.
의약조성물 용기 속에 포장물이 수용될 경우, 그 포장물의 소재로서는 상술한 15μm 두께의 전분제 오블레이트 외에, 종래로부터 가식성(可食性) 필름의 소재가 되고 있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재의 종류에는 다당류(예를 들면, 플루란(pullulan), 아라비녹실란, 구아검 분해물,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펙틴, 셀룰로오스 등), 및 펩티드계 물질(예를 들면, 젤라틴, 견단백 분해물, 카제인 분해물 등)이 있다. 이들 소재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조성물 용기는 의약을 복용하기 위한 용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의약을 복용하기 위한 용기 중, 다음과 같은 시스템에 의해 의약이 충전되는 것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시스템은 오거충전기를 복수 설치하고, 운송 시스템, 칭량 시스템을 부가하며, 의약제조라인과 접속하여 장시간 자동운전을 하는 시스템이다.
10, 210, 260, 310, 351, 400, 500, 510, 710 의약조성물 용기
20, 220, 320, 520, 720, 820 용기 본체
22, 222, 238, 288, 378, 428, 478, 322, 522, 528, 822 커버
30, 230, 370, 420, 530, 830 삼킴보조물질실
32, 532 중간실
34, 282, 334, 372, 422, 523, 534, 834 제1의약조성물실
36, 284, 336, 374, 424, 524, 536 제2의약조성물실
38, 234, 286, 338, 426, 526, 538, 838 개구포함공간
40 삼킴보조물질
42, 212 제1포장물
44, 213 제2포장물
50 적층재
60 개구
80 제1의약조성물
82 제2의약조성물
84 제3의약조성물
86 제4의약조성물
100 외피재
102 중간재
104 폐색재
140, 240, 300, 390, 440, 441, 540, 640, 840 제1약실링
142, 242, 302, 393, 442, 443, 542, 642, 842 제2약실링
144, 304, 444, 445, 544 제3약실링
146 제4약실링
160, 260, 272, 362, 412, 512, 660, 860 저부 강실링
162, 262, 270, 361, 410, 511, 662, 862 측부 강실링
200 환자
230, 280, 521 삼킴보조물질실
232 의약조성물실
262 라벨
311, 401, 450, 550 제1구역
312, 403, 452, 552 중간실
314, 405, 454, 554 제2구역
321 커버삽입부분
330 주머니수용실
331 베이스부
340 보조물질수용주머니
344 산제
352 정제
394 개구형성예정부
462 외주 강실링
480 선단
482 가장자리
516 선단부분

Claims (5)

  1. 용기 본체 내에 적어도 3개의 공간을 구비하는 의약조성물 용기로서,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가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공간들 사이는 폐색되어 있고,
    상기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는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벌어지며,
    상기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개구를 갖는 개구포함공간이고,
    상기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삼킴보조물질실에 삼킴보조물질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의약조성물실에 의약조성물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 중 상기 개구포함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과 상기 커버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늘어서 있으며,
    상기 개구포함공간이 상기 열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열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절곡가능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절곡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개구와 상기 커버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조성물실에 포장물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포장물 중 적어도 표면이 상기 삼킴보조물질의 성분에 용해되며,
    상기 포장물에 상기 의약조성물이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용기.
  5. 용기 본체 내에 복수의 공간을 구비하는 의약조성물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개구의 형성이 예정되는 개구형성예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벌어짐으로써,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의 외부와 상기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고,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공간들 사이는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이웃하는 2개의 공간들 사이는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만 벌어지고,
    상기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삼킴보조물질실에 삼킴보조물질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의약조성물실에 의약조성물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절곡가능하며,
    상기 의약조성물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 중 상기 개구형성예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개구형성예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용기.
KR1020117024736A 2009-03-25 2010-03-25 의약조성물 용기 KR101723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5974 WO2010109612A1 (ja) 2009-03-25 2009-03-25 医薬組成物容器
WOPCT/JP2009/055974 2009-03-25
PCT/JP2010/055214 WO2010110368A1 (ja) 2009-03-25 2010-03-25 医薬組成物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296A true KR20110131296A (ko) 2011-12-06
KR101723197B1 KR101723197B1 (ko) 2017-04-05

Family

ID=4278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36A KR101723197B1 (ko) 2009-03-25 2010-03-25 의약조성물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06704A1 (ko)
EP (1) EP2412358A4 (ko)
KR (1) KR101723197B1 (ko)
CN (1) CN102438574A (ko)
WO (2) WO2010109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897B2 (ja) * 2010-03-29 2016-03-30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経口摂取用の医薬組成物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871A (en) * 1968-04-29 1969-11-18 Kleer Vu Ind Inc Burst package with fold seal
JPH10234820A (ja) 1996-12-25 1998-09-08 Takeda Chem Ind Ltd 濃厚流動物質を併用する粉粒状剤及びこれらの複室型容器
JP2006263261A (ja) * 2005-03-25 2006-10-05 Fujimori Kogyo Co Ltd 複室容器及び内容物排出方法
US20080255535A1 (en) * 2004-06-02 2008-10-16 Katsuyuki Yoshikawa Medical Liqui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1119A (en) * 1926-09-24 1926-12-14 Lipper Mfg Co Inc Textile-mounted camphor ball
US3070094A (en) * 1959-02-25 1962-12-25 Stanley J Sarnoff Medicament and diluent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US4402402A (en) * 1981-10-14 1983-09-06 Pike Brian R Barrier seal multiple-compartment package
US4534509A (en) * 1982-09-28 1985-08-13 Firmenich Sa Multiple compartment plastic packing
SE8306400L (sv) * 1983-01-24 1984-07-25 Bard Inc C R Blandningsforpackning med ett flertal fack
IT8253314V0 (it) * 1983-11-04 1982-05-21 Farmigea Spa Minicontenitori monodose o plurido se di prodotti farmaceutici
GB8911878D0 (en) * 1989-05-24 1989-07-12 Allen Nicholas J Mixing device
JP2766517B2 (ja) * 1989-07-24 1998-06-18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血液バッグの血液出入り口用チューブを密封保護するプロテクター
US5462526A (en) * 1993-09-15 1995-10-31 Mcgaw, Inc. Flexible, steri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H10291538A (ja) * 1997-04-17 1998-11-04 Material Eng Tech Lab Inc 薬剤入り容器
AUPP313398A0 (en) * 1998-04-22 1998-05-14 Bost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Disposable fluid or particulate applicator
SE9902610D0 (sv) * 1999-07-07 1999-07-07 Astra Ab Förslutningsanordning vid medicinsk behållare
JP4189845B2 (ja) * 2002-02-12 2008-12-03 ニプロ株式会社 複室容器
EP1905455B1 (en) * 2005-06-06 2013-07-24 Ajinomoto Co., Inc. Capsule coating composition
CA2628799A1 (en) * 2005-11-29 2007-06-28 Baxter International Inc. Unit dose flexib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871A (en) * 1968-04-29 1969-11-18 Kleer Vu Ind Inc Burst package with fold seal
JPH10234820A (ja) 1996-12-25 1998-09-08 Takeda Chem Ind Ltd 濃厚流動物質を併用する粉粒状剤及びこれらの複室型容器
US20080255535A1 (en) * 2004-06-02 2008-10-16 Katsuyuki Yoshikawa Medical Liquid Container
JP2006263261A (ja) * 2005-03-25 2006-10-05 Fujimori Kogyo Co Ltd 複室容器及び内容物排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9612A1 (ja) 2010-09-30
EP2412358A1 (en) 2012-02-01
CN102438574A (zh) 2012-05-02
EP2412358A4 (en) 2014-10-29
US20120006704A1 (en) 2012-01-12
WO2010110368A1 (ja) 2010-09-30
KR101723197B1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200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を収容する収容袋
CN102802586B (zh) 口服型药物的医药组成物容器
KR101949189B1 (ko) 투약용 용기
US9902508B2 (en) Delivery device with separate chambers connectable in fluid communication when ready for use, and related method
KR20110131295A (ko) 의약조성물 용기
JPWO2005089697A1 (ja) 経腸栄養バッグ
KR20110131296A (ko) 의약조성물 용기
JPWO2004100859A1 (ja) 経口摂取用固形成形物の嚥下用収容体、その収容体用の容器、及び嚥下方法
JP5931280B2 (ja) 分包体、分包体の製造方法および分包体の製造装置
JP5588967B2 (ja) 医薬組成物容器
JP4822860B2 (ja) 医療用複室容器
WO2010110367A1 (ja) 医薬組成物容器
KR102645146B1 (ko) 개봉이 편리하고 액상 음용이 용이한 포장 파우치
JP3732243B2 (ja) パウチ
JP2012065910A (ja) 医薬組成物容器
WO2011122639A1 (ja) 経口摂取用の医薬組成物容器
WO2016035134A1 (ja) 嚥下用容器、嚥下用容器セット、嚥下用容器セ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嚥下用容器セットの製造装置
JP2011147659A (ja) 嚥下用容器
JPWO2012150704A1 (ja) 投薬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