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379A -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379A
KR20110129379A KR1020117019352A KR20117019352A KR20110129379A KR 20110129379 A KR20110129379 A KR 20110129379A KR 1020117019352 A KR1020117019352 A KR 1020117019352A KR 20117019352 A KR20117019352 A KR 20117019352A KR 20110129379 A KR20110129379 A KR 2011012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lifting cylinder
engine
trave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작업 장치가 링크 장치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승용형 농작업기에 있어서 작업 장치를 승강시키는 기구를 역학면과 비용면으로부터 낭비가 없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행기체(1)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9)을 갖고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의 후반부는 상측 방향의 경사부(9a)로 되어 있고, 좌우 경사부(9a)의 후단에 리어 프레임(11)이 고착되어 있고, 리어 프레임(11)은 좌우의 리어 지주(13)로 지지되어 있다. 링크 장치(3)는 탑 링크(54)와 리어 링크(55)를 갖고 있고, 양자는 리어 지주(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어 프레임(11)과 로어 링크(55)는 승강용 실린더(68)로 연결되어 있다. 탑 링크(54)와 로어 링크(55)의 후단에는 히치(56)가 연결되어 있고, 히치(56)에 작업 장치(묘 식부 장치)(2)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RIDING TYPE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AND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AS EXAMPLE THEREOF}
본원발명은 승용형 이앙기와 같은 승용형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승용형 농작업기의 일례로서 승용형 이앙기가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의 전륜 및 좌우의 후륜으로 지지된 주행기체를 갖고 있고,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묘 식부 장치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에는 좌석과 조종 핸들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엔진이 탑재되어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주행과 묘 식부 작업이 행해진다.
주행기체는 강관이나 채널재 등 강재로 구성된 골조[섀시(chassis)]를 갖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일반적으로 골조는 주요 부재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갖고 있고,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이 가로로 긴 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주행기체와 묘 식부 장치는 링크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주행기체와 링크 장치를 승강용 실린더(유압 실린더)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용 실린더를 신축 작동시키면 링크 장치가 주행기체 및 묘 식부 장치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묘 식부 장치가 승강한다. 굳이 설명할 것까지도 없지만, 노상 주행이나 논에서의 선회와 같이 묘 식부 작업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묘 식부 장치는 크게 상승되어 있다.
논은 단단한 경반(耕盤) 상에 연한 이토층이 쌓인 구조로 되어 있고, 벼의 묘는 묘 식부 장치의 후단부에 배치된 식부 장치에 의해 이토층에 식부되지만 주행기체와 묘 식부 장치의 상대 자세가 일정하면 경반의 요철에 따라 주행기체의 자세가 변화하면 포장면에 대한 묘 식부 장치의 자세가 변화되고, 그 결과 포장면에 대한 식부 장치의 높이가 변화되어서 묘의 식부 깊이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주행기체의 자세가 변화되어도 묘 식부 장치의 자세가 지나치게 변화되지 않도록 승강용 실린더를 구동해서 주행기체에 대한 묘 식부 장치의 상대적인 높이를 제어하고, 따라서 묘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용 실린더는 묘 식부 작업 시에도 구동되고 있다.
승용형 이앙기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도 4 참조).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은 그 대략 전반부는 수평상의 자세로 되어 있고, 대략 후반부는 뒤로 이동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되어 있고,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는 좌우의 가로가 긴 프론트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륜이 부착된 리어 액슬 케이스로부터 좌우 1쌍의 리어 지주가 솟아 올라 있고,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은 각각 리어 지주의 상부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리어 지주의 상단에는 좌우의 가로가 긴 리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리어 지주와 리어 프레임은 1개의 강재를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링크 장치는 상하로 나누어서 배치된 탑 링크(또는 어퍼 링크)와 로어 링크를 갖는 평행 링크 기구로 되어 있고, 탑 링크의 전단(前端)은 리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로어 링크 전단은 리어 지주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탑 링크의 후단(後端)과 로어 링크의 후단은 히치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히치에 묘 식부 장치가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어 링크 전단에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삼각형의 레버판(지지체(12a))이 고착되어 있고, 레버판의 1개의 정점부를 리어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레버판의 다른 1개의 정점부에 승강용 실린더의 후단을 연결하고 있다. 승강용 실린더는 좌석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승강용 실린더 전단은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좌우의 가로가 긴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의 배치 형태로부터 승용형 이앙기를 보았을 경우 엔진을 주행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프론트마운트 타입과, 엔진을 주행기체의 후방부(조종 플로어의 후방측 또는 전륜의 회전축과 후륜의 회전축 사이의 위치)에 배치한 미드마운트 타입으로 크게 나뉜다. 특허문헌 1은 프론트마운트 타입이다. 미드마운트 타입의 예로서 특허문헌 2가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엔진은 좌석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용 실린더는 엔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 38049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07-227114호 공보
그런데 만일 사이드 프레임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평 자세이면, 예를 들면 링크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서 리어 지주가 상측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면 리어 지주의 상단은 자유단이 되기 위한 링크 장치 등의 부재의 지지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을 별도의 부재로 연결하지 않으면 골조 전체의 강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사이드 프레임의 후반부를 경사시키면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과 리어 프레임의 좌우 단부와 리어 지주의 상단부가 거의 근접한 부위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골조는 전체적으로 입체 구조가 되어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이 점은 특허문헌 1의 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묘 식부 장치의 승강 기구로서 링크 기구에 레버판을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체의 구성이 복잡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승강용 실린더는 좌석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조립이나 교환이나 유지보수가 번거로워지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레버판은 일종의 벨 크랭크 레버로서 기능하는 것이지만 레버판의 회동 지점으로부터 승강용 실린더 전단까지의 거리는 로어 링크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거리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지렛대 작용과 역의 관계가 발생하여 로어 링크를 상측 방향으로 세워 회동시키는데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이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의 구동에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도 우려된다.
이들 특허문헌 1의 문제는 특허문헌 2에 대해서도 거의 타당하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승강용 실린더가 방해가 되어서 엔진의 배치 위치가 한정되는 문제도 있다. 즉, 주행기체의 무게중심을 낮게 해서 주행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엔진은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예를 들면 엔진으로부터의 열기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엔진을 가능한 한 뒤에 배치하고 싶다는 요청도 고려되지만, 특허문헌 2에서는 승강용 실린더가 방해가 되어서 엔진을 낮추거나 뒤로 이행시키거나 할 수 없고, 이 때문에 엔진의 배치 위치가 한정되어서 설계의 자유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현상황을 계기로서 이루어진 것이며, 개량된 승용형 농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는 승용형 이앙기의 개량에 관한 많은 발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발명을 제공하는 것도 본원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승용형 농작업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 승용형 농작업기는 오퍼레이터가 운전해서 자주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링크 장치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 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주행기체와 링크 장치를 승강용 실린더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용 실린더가 신축하면 링크 장치가 회동해서 작업 장치가 승강한다는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본 구성에 제 1 발명 이하의 특징이 부가되어 있다.
즉, 우선 제 1 발명은 상기 기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 좌우로 긴 리어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좌우 복수개의 리어 지주를 갖고 있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 전단은 상기 리어 프레임 또는 리어 지주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후단은 상기 링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을 구체화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중 후방측의 적정 범위는 뒤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 경사부로 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후단은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맞댄 상태로 용접되어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을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상기 리어 지주는 좌우로 떨어져서 2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리어 지주와 상기 리어 프레임은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링크 장치는 상하로 나뉘어서 배치된 탑 링크와 로어 링크를 갖고 있고, 이들 탑 링크와 로어 링크는 그 전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상기 리어 지주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승강용 실린더는 그 전단이 상기 리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상기 로어 링크에 연결되어 있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을 구체화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상기 탑 링크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바로 앞을 향해서 넓어진 두 갈래부를 갖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Y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로어 링크는 전후로 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멤버가 가로로 긴 부재로 연결된 사다리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을 구체화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차체는 좌우의 전륜과 좌우의 후륜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후륜은 리어 액슬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의 리어 지주를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로 지지하고 있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을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대략 하방부위에 엔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의 뒤에 상기 승강용 실린더가 배치되어 있다. 본원발명은 각종 승용형 농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그 예로서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되어 있다. 즉, 이 발명은 제 2 발명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장치는 벼의 묘 식부 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 각 발명에서는 링크 장치는 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레버판은 불필요해지고, 그만큼 부재점수를 적게 해서 구조의 간소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리어 프레임과 리어 지주는 주행기체의 후단부를 구성하고 있고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의 부착이나 교환이나 유지보수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용 실린더는 좌석의 하방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7 발명과 같이 좌석의 하방에 예를 들면 엔진을 배치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용 실린더의 후단은 링크 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의 후단을 링크 장치의 가능한 한 후방부에 연결하는 것도 간단히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강용 실린더의 힘의 작용점을 링크 장치의 회동 지점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링크 장치에 큰 모멘트를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결과 실린더의 구동 동력을 과도하게 크게 할 일 없이 작업 장치의 승강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좌우 2개의 사이드 프레임은 주행기체의 주요 골조 부재이며, 주행기체의 골조로서의 기능(즉, 강도를 유지하면서 각종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우 리어 지주의 좌우 간격은 치수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고, 지나치게 좌우 간격이 크면 링크 장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경우는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을 리어 지주의 측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간격이 리어 지주의 좌우 간격에 의해 규제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원의 제 2 발명을 채용하면 리어 지주와 리어 프레임은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사이드 프레임은 리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리어 지주의 위치에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과 리어 지주는 그 기능을 확보하는데에 바람직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장치는 탑 링크와 로어 링크로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많고, 제 3 발명은 이 점을 답습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발명에서는 탑 링크 전단은 리어 지주에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 전단은 리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로 링크 장치에 작용시키는 모멘트를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식부 장치의 승강을 보다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의 링크 장치는 탑 링크와 로어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 링크는 강재이며 단순한 직선상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 구조에서는 비틈이나 굽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강성을 높이지 않으면 안되고, 그러면 중량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 4 발명을 채용하면 Y형이므로 1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비틈이나 굽힘에 대한 강성은 현저하게 높아져 있어 이 때문에 경량이면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리어 액슬 케이스가 강도 멤버에 겸용되기 때문에 그만큼 구조를 간소화하여 주행기체의 전체의 경량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승강용 실린더 전단은 리어 프레임 또는 리어 지주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을 미드마운트 방식으로 하는 것에 있어서 리어 액슬 케이스를 리어 지주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하거나 높이를 낮추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의 배치의 자유성을 높여서 주행기체의 저무게중심화나 열기 방지라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의 전체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앙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차체 커버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주행기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주행기체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7은 주행기체의 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프론트 프레임과 파워 스티어링 유닛과 미션 케이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미션 케이스와 리어 액슬 케이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묘 식부 장치의 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묘 식부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는 링크 장치를 중심으로 한 부분의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B-B 단면도, 도 11(C), 도 11(D)는 도 11(B)와 같은 부분의 별예 도면이다.
도 12는 링크 장치를 중심으로 한 부분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리어 지주와 리어 액슬 케이스의 분리 배면도이다.
도 14는 링크 장치를 중심으로 한 부분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링크 장치를 중심으로 한 부분을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승용형 이앙기의 골조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엔진을 중심으로 한 부분의 측면도, 도 17(B)는 미션 케이스와 파워 스티어링 유닛과 프론트 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엔진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어서, 본원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승용형 이앙기(이하, 「이앙기」로 약기한다)에 적용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방향을 특정하기 위해서 「전후」 「좌우」의 문언을 사용하지만, 이들의 문언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앙기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착석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해서 표시하고 있다.
(1) 이앙기의 개요
우선 이앙기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도 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앙기는 기본 요소로서 주행기체(1)와 묘 식부 장치(2)를 갖고 있고, 묘 식부 장치(2)는 링크 장치(3)를 통해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행기체(1)는 좌우 1쌍씩의 전륜(4)과 후륜(5)으로 지지되어 있고(후륜(5)에는 보조 바퀴를 부가하는 경우가 있다), 전륜(4)과 후륜(5)은 동력으로 구동된다. 주행기체(1)는 운전자가 걸터앉는 좌석(6)과 그 전방에 배치된 조종 핸들(7)을 갖고 있다. 좌석(6)과 조종 핸들(7)은 주행기체(1)의 좌우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좌석(6)의 전방이며 또한 좌우 양측의 부분에는 예비 묘대(苗臺)(8)를 배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7로부터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9)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9)을 그 전단 근처 부위에 있어서 연결한 프론트 프레임(10)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의 후단에 연결된 좌우로 긴 리어 프레임(11)을 갖고 있다. 이들 사이드 프레임(9)과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1)에 의해 주행기체(1)의 중핵을 이루는 차체 프레임(섀시)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의 바로 앞에는 범퍼(12)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리어 프레임(11)은 좌우 2개의 리어 지주(13)로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대략 전반부는 대략 수평 자세가 되고, 후반부는 후경자세가 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9)의 대략 후반부는 뒤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부(9a)가 되고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의 수평부에는 좌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외측 방향 막대 프레임(14)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9)의 좌우 외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프레임(15)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보조 프레임(15)은 외측 방향 막대 프레임(14)이나 리어 프레임(11) 등에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의 후단은 리어 프레임(11)에 맞대어 있고, 양자는 용접으로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프레임(11)은 사이드 프레임(9)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내밀어져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5)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이드 프레임(9)과 보조 프레임(15) 사이의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보았을 때 사이드 프레임(9)에 있어서의 경사부(9a)의 하방에 위치한 부위에 엔진(16)이 배치되어 있고, 엔진(16)의 바로 앞이며 또한 사이드 프레임(9)보다 낮은 위치에는 기어군을 내장한 미션 케이스(17)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6)은 크랭크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동력은 풀리 및 벨트(19)에 의해 미션 케이스(17)의 내부로 전달된다.
엔진(16)은 주행기체(1)의 좌우 대략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6)은 실린더 보아(cylinder bore)를 연직선에 대하여 후경시킨 경사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16)의 경사 각도는 사이드 프레임(9)에 있어서의 경사부(9a)의 경사 각도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방부의 좌우 측면에는 프론트 액슬 장치(20)가 부착되어 있고, 프론트 액슬 장치(20)를 통해 전륜(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석(6)은 주행기체(1)의 거의 좌우 중간부의 위치에 또한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서는 대체로 사이드 프레임(9)에 있어서의 경사부(9a)의 전반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엔진(16)의 전방부는 좌석(6)과 서로 겹쳐져 있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와 측면으로 보았을 때 엔진(16)은 그 반 이상이 좌석(6)의 뒤로 돌출되어 있다. 좌석(6)과 엔진(16) 사이에는 연료 탱크(21)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21) 전단은 좌석(6) 전단보다 다소 뒤에 위치하고 있는 한편, 연료 탱크(21)의 후단은 좌석(6)의 후단보다 다소 뒤로 돌출되어 있다.
도 1,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의 뒤에는 시비 장치(22)가 배치되어 있다. 시비 장치(22)는 식부조수와 동일한 수의 호퍼를 구비하고 있고, 호퍼에 저장된 비료는 송풍기의 이송 작용에 의해 식부 타이밍에 동기되어 호스에 의해 묘의 밑동에 투하된다. 시비 장치(22)는 리어 프레임(11) 등으로 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뒤에 또한 엔진(16)의 비스듬히 뒤에는 리어 액슬 케이스(25)가 배치되어 있고, 리어 액슬 케이스(25)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방측 차축(26)에 후륜(5)이 부착되어 있다.
도 6이나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25)의 좌우 양단부는 후향(後向)으로 돌출된 돌출부(25a)로 되어 있고, 좌우의 돌출부(25a)로부터 후방측 차축(26)이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25)의 내부에는 미션 케이스(17)의 전방부로부터 드라이브축(28)에 의해 구동 동력이 전달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25) 중 후향 돌출부(25a)의 베이스 개소에는 단차부(25b)가 있고, 이 단차부(25b)에 볼트로 체결한 리어 브래킷(29)에 리어 지주(13)가 고정되어 있다. 리어 지주(13)는 각파이프로 제조되어 있지만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전후로 긴 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리어 지주(13)에는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지주(13)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연직선에 대하여 다소 전경자세가 되고 있다.
리어 프레임(11)은 둥근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리어 지주(13)의 상단은 리어 프레임(11)에 빈틈없이 겹치도록 측면으로 보았을 때 상측 방향 오목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6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의 간격은 리어 액슬 케이스(25)의 좌우 길이와 대체로 동일한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지주(13)의 좌우 간격은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의 간격보다 작아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 중 사람이 오르는 부분은 일체 구조의 차체 커버(27)로 덮여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 도 5 및 도 6에 일부에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25)의 우측부의 바로 앞측의 개소(또는 엔진(16)의 후방부의 우측의 개소)에는 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가 배치되어 있고, 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로부터 식부 구동축(PTO축)(32)이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에는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로부터 작업 동력축(31a)에 의해 동력 전달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로부터는 시비 장치(22)를 구동하는 시비 구동축도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이나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25) 중 중간으로부터 다소 왼쪽으로 근접한 개소로부터는 정지축(33)이 돌출되어 있다.
(2) 묘 식부 장치의 개요
이어서, 묘 식부 장치(2)의 개요와 링크 장치(3)에 의한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나 도 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묘 식부 장치(2)는 그 후단부에 배치된 로타리식의 4개의 식부 장치(34), 4개의 세로 이송 벨트(35)를 갖는 묘재대(36), 포장에 접촉하는 3개의 플로트(37)의 바로 앞에 배치된 정지 회전자(38) 등을 갖고 있다. 2개의 식부 장치(34)가 1세트로 되어 있다.
도 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묘 식부 장치(2)는 좌우로 긴 로어 서포트(로어 가이드)(41) 및 어퍼 서포트(44)(도 10(B) 참조)와 상하로 긴 좌우 사이드 서포트대를 구성하는 가로가 긴 레일이다.
로어 서포트(41)는 중공부를 갖는 압출 가공품이 작용되어 있고, 또한 어퍼 서포트(42)는 하측 방향 개구홈을 갖는 압출 가공품이 사용되고 있다. 묘재대(36)는 로어 서포트(41)와 어퍼 서포트(42)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도시 생략된 가로 이송 기구와 세로 이송 기구에 의해 묘 매트(도시 생략)의 간헐적인 가로 이송과 세로 이송이 행해진다.
도 2나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서포트(41)에는 후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식부암(45)이 설치되어 있고, 양 식부암(45)의 선단부에 1쌍씩의 식부 장치(34)가 회전(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서포트(41)의 좌우 중간부에는 센터 브래킷(46)이 고정되어 있고, 센터 브래킷(46)으로부터 킹핀(47)이 전방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센터 브래킷(46)과 로어 서포트(41)에는 기어 박스가 고정되어 있고, 센터 브래킷(46) 중 킹핀(47)의 하방의 부위에는 전방측 방향으로 개구된 식부 베어링(49)이 설치되어 있다. 식부 베어링(49)으로부터 식부 입력축(도시 생략)이 돌출되어 있고, 이 식부 입력축과 도 5에서 표시된 식부 구동축(PTO축)(32)이 유니버설 조인트 및 식부 구동축(모두 도시 생략)으로 연결되어 있다. 굳이 말할것 까지도 없지만 식부 구동축(PTO축)(32)의 회전에 의해 식부 장치(34)와 가로 이송 기구와 세로 이송 기구가 동기되어 구동된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 회전자(38)는 좌우 1쌍의 요동 링크(50)에 의해 묘 식부 장치(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정지 회전자(38)를 갖는 정지 장치(51)는 전방측 방향으로 돌출된 정지 입력축(52)을 갖고 있고, 정지 입력축(52)과 도 13에 나타내는 정지축(33)이 연동축(도시 생략)으로 연결되어 있다.
(3) 링크 장치
이어서, 링크 장치(3)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장치(3)는 그 상부를 구성하는 탑 링크(54)와 하부를 구성하는 로어 링크(55)와 후단부를 구성하는 히치(56)를 갖고 있고, 전체적으로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탑 링크(54) 전단과 로어 링크(55) 전단은 리어 지주(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히치(56)의 하단부에 묘 식부 장치(2)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링크(54)는 후단부를 구성하는 1개의 줄기부(54a)와 그 전단으로부터 바로 앞으로 연장되는 두 갈래부(54b)를 갖고 있고, 두 갈래부(54b)는 바로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두 갈래부(54b)가 뒤로 이동함에 따라 간격을 좁혀서 결국 1개의 줄기부(54a)에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탑 링크(54)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Y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좌우의 두 갈래부(54b)의 전단부가 각각 좌우로 긴 제 1 핀(57)에 의해 리어 지주(13)의 상단부의 내면부에 연결되고, 줄기부(54a)의 후단부가 히치(56)의 상부에 좌우로 긴 제 2 핀(5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탑 링크(54)는 2개의 채널재로 구성되어 있고, 채널재를 서로 대향해서 개구하는 자세로 배치하고, 그 단부를 상하로 어긋난 상태로 서로 감합시켜서 용접함으로써 줄기부(54a)로 하고 있다. 탑 링크(54)의 소재로서 각형 강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는 도 11(B)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1매의 측판(54b')을 줄기부(54a)의 개소에서 도려냄으로써 2개의 부재의 단부를 감합시킬 수 있다.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를 각형 강관으로 구성해서 그 단부를 겹쳐서 용접함으로써 줄기부(54a)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채널재로 다른쪽의 채널재를 유지함으로써 줄기부(54a)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탑 링크(54)는 그 대부분이 두 갈래부(54b)로 구성되어 있지만 두 갈래부(54b)와 줄기부(54a)의 길이의 비율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지주(13)의 상단부에 제 1 핀(57)이 끼워진 제 1 베어링 통(59)을 용접에 의해 고착하고 있다. 제 1 베어링 통(59)은 리어 지주(13)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 때문에 제 1 핀(57)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5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치(56)는 후향으로 개구된 홈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그 상단부의 측면에 제 2 핀(58)에 의해 탑 링크(54)의 후단이 연결되어 있다. 탑 링크(54)에 있어서의 줄기부(54a)의 후단에는 제 2 베어링 통(60)이 용접되어 있고, 제 2 베어링 통(60)에 제 2 핀(58)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히치(56)를 구성하는 앞면판의 상단부에는 탑 링크(5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상부 오목소(61)가 형성되어 있다. 히치(56)의 배면에는 커버(62)를 장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5로부터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어 링크(55)는 각파이프제의 좌우 사이드 멤버(55a)를 갖고 있고, 좌우 사이드 멤버(55a)는 그 전단에 관통한 좌우로 긴 베어링 제 3 베어링 통(63)과 전후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센터 보강(6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링크(55)는 대략 사다리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 3 베어링 통(63)은 좌우 멤버(55a)의 좌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로어 링크(55)는 제 3 베어링 통(63)을 통해 제 3 핀(65)으로 리어 지주(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링크(55)의 후단부는 좌우로 긴 제 4 핀(66)에 의해 히치(56)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치(56)의 하부에는 제 4 베어링 통(67)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제 4 베어링 통(67)에 제 4 핀(66)이 끼워져 있다. 로어 링크(55)를 구성하는 좌우 사이드 멤버(55a)의 후단에도 제 4 핀(66)이 끼워진 베어링 통을 고착하고 있다.
도 12나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프레임(11)의 좌우 중간부와 로어 링크(55)의 후방측 부근 부위가 승강용 실린더의 일례로서의 승강용 실린더(6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승강용 실린더(68)는 통체(68a)와 피스톤 로드(68b)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69a) 전단부는 리어 프레임(11)에 용접된 브래킷(69)에 좌우로 긴 제 5 핀(7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68b)의 후단부(선단부)는 좌우로 긴 제 6 핀(71)에 의해 로어 링크(55)에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69)은 리어 프레임(11)으로부터 대체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비 장치(22)를 리어 프레임(11)으로 지지하는 것에 있어서 브래킷(69)이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어 링크(55)에 있어서의 좌우 사이드 멤버(55a) 간의 공간에는 제 6 핀(71)을 바로 앞쪽으로부터 둘러싸는 좌우 1쌍의 보강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보강 부재(72)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는 후향으로 개구된 홈형으로 되어 있는 한편,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는 서로의 간격이 뒤로 이동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사다리꼴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8b)의 후단에 판재제(板材製)의 훅(73)이 용접되어 있고, 훅(73)에 제 6 핀(71)을 삽입통과하고 있다.
승강용 실린더(68)가 축소 작동하면 링크 장치(3)는 그 후방부가 상승하도록 회동하고, 그 결과 히치(56)(및 묘 식부 장치(2))는 상승한다. 반대로, 승강용 실린더(68)가 신장 작동하면 링크 장치(3)는 그 후방부가 하강하도록 회동하고, 그 결과 히치(56)(및 묘 식부 장치(2))는 하강한다. 승강용 실린더(68)는 신축하면서 제 5 핀(70)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제 1 핀(57)의 축심과 제 5 핀(70)의 축심은 근접하고 있지만, 제 1 핀(57)은 좌우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제 1 핀(57)과 승강용 실린더(68)가 충돌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치(56)의 하단은 대략 반원상으로 도려내어져 있고, 이 하단부에 전후 개구의 메인 베어링(75)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베어링(75)에 묘 식부 장치(2)의 킹핀(47)이 빠지기 불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승강용 실린더(68)를 신축해서 히치(56)를 승강시키면 묘 식부 장치(2)가 승강한다.
킹핀(47)과 메인 베어링(75)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기체(1)와 묘 식부 장치(2)는 킹핀(47)의 축심 둘레에서 상대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히치(56)의 상부는 도 2나 도 14에 나타내는 롤링 제어 장치(77)를 통해 묘 식부 장치(2)의 보조 서포트(44)에 연결되어 있다. 롤링 제어 장치(77)는 유압 실린더나 전동 모터로 진퇴 동작하는 로드(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로드의 선단이 브래킷(78)을 통해 히치(56)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롤링 제어 장치(77)의 본체부는 묘 식부 장치(2)의 보조 서포트(44)에 브래킷(도시 생략)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묘 식부 장치(2)는 정면으로 보았을 때 수평에 대하여 기운 각도(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경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롤링 제어 장치(77)를 구동함으로써 묘 식부 장치(2)는 주행기체(2)의 롤링 자세에 관계없이 정면으로 보았을 때 거의 수평의 자세로 유지된다.
(4) 주행기체의 보충 설명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9)과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1)으로 본체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지만, 또한 미션 케이스(17) 및 리어 액슬 케이스(25)의 양자는 주행기체(1)의 골조를 구성하는 구조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이 점을 보충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7)와 리어 액슬 케이스(25)가 중공의 조인트 부재(79)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조인트 부재(79) 전단에는 홈형의 프론트 연결 브래킷(80)이 고착되어 있고, 프론트 연결 브래킷(80)이 미션 케이스(17)의 후단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한편, 조인트 부재(79)의 후단에는 평판상의 리어 연결 브래킷(81)이 고착되어 있고, 리어 연결 브래킷(81)이 리어 액슬 케이스(25) 전단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엔진(16)은 조인트 부재(79)와 리어 액슬 케이스(25)로 지지되어 있고, 도 9에서는 엔진(16)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방진 고무(82)와 리어 지지 브래킷(83)이 표시되어 있다. 엔진(16)의 전방부는 방진 고무(도시 생략)와 프론트 지지 브래킷(도시 생략)을 통해 조인트 부재(79)로 지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7)의 좌측면에는 정유압식 무단변속기(HST)(84)가 배치되어 있고, 엔진(16)의 동력은 벨트(19)에 의해 HST(8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 중HST(84)와 반대측 부위에는 유압 펌프(85)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용 실린더(68)는 유압 펌프(85)로부터 토출된 압유로 구동된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7)의 전방부에는 좌우 1쌍의 돌출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7a)에 프론트 액슬 장치(20)가 부착되어 있다. 굳이 말할것 까지도 없지만, 전륜(4)은 프론트 액슬 장치(20)에 부착되어 있다.
도 8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7)의 바로 앞측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87)을 배치하고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87)은 유압 모터(88)나 그 하방에 배치된 기어 박스(89)를 갖고 있고, 이들 유압 모터(88)와 기어 박스(89)는 제 2 프론트 브래킷(91)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프론트 브래킷(91)은 제 1 프론트 브래킷(90)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프론트 브래킷(90)은 프론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89)의 하면에는 제 3 프론트 브래킷(92)이 고정되어 있고, 제 3 프론트 브래킷(92)과 제 2 프론트 브래킷(91)이 미션 케이스(17)의 전단부에 형성된 보스부(17b)에 볼트(도시 생략)로 체결되어 있다. 핸들축(93)은 파워 스티어링 유닛(87)의 유압 모터(88)에 직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87)과 프론트 브래킷(90,91,92)의 군을 통해 미션 케이스(17)와 프론트 프레임(10)이 연결되어 있지만, 파워 스티어링 유닛(87)의 기어 박스(89)는 기어를 부착한다는 기능으로 보아 튼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17)와 프론트 프레임(10)을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션 케이스(17)와 리어 액슬 케이스(25)도 주행기체(1)의 구조재를 겸용하고 있지만, 미션 케이스(17)나 리어 액슬 케이스(25)는 다수의 기어류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으로 보아 튼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이면서 높은 지지 강도(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1)은 둥근 파이프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주로 사이드 프레임(9)과 리어 지주(13)의 부착의 용이성 때문(맞대기의 방향성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당연히 사이드 프레임(9)이나 리어 프레임(11)이나 리어 지주(13)는 다른 단면 형상도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9)에 있어서의 경사부(9a) 전단부에는 정면으로 보았을 때 문형의 센터 프레임(95)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95)과 리어 프레임(11)은 좌우 2개의 어퍼 프레임(96)으로 연결되어 있고, 어퍼 프레임(96)에는 좌우의 가로가 긴 중간 스테이(97)가 고정되어 있다. 좌석(6)은 센터 프레임(9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중량은 어퍼 프레임(96)으로 지지되어 있다. 차체 커버(27)의 어깨부는 센터 프레임(95)이나 어퍼 프레임(96)이나 중간 스테이(97) 등으로 지지되어 있다. 중간 스테이(97)의 양단에는 보조 프레임(15)이 고정되어 있다.
(5) 정리
그런데 엔진(16)을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는 좁은 스페이스에 엔진(16)과 미션 케이스(17)와 조종 기구부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설계가 번거로워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6)은 전륜(4)의 차축과 후륜(5)의 차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16)과 미션 케이스(17)와 조종 기구부를 레이아웃하는 것에 있어서 스페이스의 제약이 적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묘 식부 장치(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실린더(68)는 리어 지주(1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16)의 배치를 저해할 일 없이 승강용 실린더(68)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승강용 실린더(68)에 방해가 되지 않고 엔진(16)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점은 본 실시형태의 이점 중 하나이다.
리어 프레임(11)은 주행기체(1)의 골조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묘 식부 장치(2)를 가능한 한 가벼운 동력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승강용 실린더(68) 전단은 가능한 한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기체(1)의 골조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리어 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묘 식부 장치(2)를 가볍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링크 장치(3)의 강성을 높여서 묘 식부 장치(2)의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탑 링크(54)와 로어 링크(55)의 상하 간격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탑 링크(54) 전단은 가능한 한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탑 링크(54)를 리어 프레임(11)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하면 리어 프레임(11)에 탑 링크(54)를 위한 브래킷을 용접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러면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탑 링크(54)를 리어 지주(13)에 연결하면 리어 지주(13)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제 1 베어링 통(59)을 삽입통과해서 용접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이 사이드 프레임의 후반부를 경사시켜서 그 후단을 리어 지주에 고착하면 사이드 프레임과 리어 지주에 의해 측면으로 보았을 때 산형(山形)의 프레임체가 구성되기 때문에 주행기체는 높은 강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1개의 강재를 굽혀서 좌우의 리어 지주와 리어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굽힘 가공에 큰 설비를 필요로 해서 가공이 번거로운 문제나 리어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차체 커버 등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리어 프레임(11)과 리어 지주(13)를 별체의 구성으로 하면 우선 굽힘 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어 프레임(11)은 리어 지주(13) 및 사이드 프레임(9)의 좌우 외측으로 밀려나올 수 있기 때문에 차체 커버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되고, 이것에 의해 비용 절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9)의 외측에 보조 프레임(15)을 배치하면 주요한 지지 기능은 사이드 프레임(9)에 담당시키면서 차체 커버(27)의 지지와 같은 보조적인 지지 기능을 보조 프레임(15)에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기체(1)의 전체적으로 필요한 지지 기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15)의 지지 수단으로서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을 가로 질러서 연장되는 횡바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9)에 돌출된 외측 방향 막대 프레임(14)에 보조 프레임(15)을 고정하면 주행기체(1)를 경량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5)을 중간 스테이(97)에 고정하면 튼튼한 구조의 중간 스테이(97)로 보조 프레임(15)이 매달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보조 프레임(15)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외측 방향 막대 프레임(14)의 구부러짐 변형은 발생하지 않고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5)에는 사람이 주행기체(1)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얹는 스텝부(15a)를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스텝부(15a)는 중간 스테이(97)에 매달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텝부(15a)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이 하중은 확실히 지지된다. 또한, 스텝부(15a)는 보조 프레임(15)은 별도 부재로 구성하고, 이것을 보조 프레임(15)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강도가 한층 향상된다.
(6)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기본적으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어 있고,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87)의 기어 박스(89)는 박형(薄型)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이 기어 박스(89)가 제 2 프론트 브래킷(91)과 미션 케이스(17)에 고정되어 있다. 주물에 의해 튼튼한 구조의 기어 박스(89)가 미션 케이스(17)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강도가 보다 높아져 있다.
도 18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인트 부재(79)는 각형 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79)의 좌우 측면에 좌우 2개의 사이드 브래킷(98)이 용접으로 고착되어 있고, 좌우의 사이드 브래킷(98)에 방진 고무(82)를 통해 프론트 지지 브래킷(99)이 지지되어 있고, 프론트 지지 브래킷(99)에 엔진(16)의 전방부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브래킷(98)은 각각 위로 갈수록 좌우 외측으로 벗어나고 있고, 이 때문에 좌우의 사이드 브래킷(98)에 대략 V형의 형태가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79)의 후단에 고착된 리어 연결 브래킷(81)에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81a)를 부착하고 있고, 이 돌출부(81a)에 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도 16참조)가 고정되어 있다(주간 조절용 기어 케이스(31)는 리어 액슬 케이스(25)에도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축(28)은 미션 케이스(17) 중 HST(84)의 뒤의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드라이브축(28)은 조인트 부재(79)와 좌우 사이드 브래킷(98)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통해 리어 액슬 케이스(25)로 연장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용 실린더(68)의 선단과 로어 링크(55)를 연결하는 제 6 핀(71)은 보강 부재(72)로 둘러싸여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72)는 좌우로 일련하게 연장되어 있고, 로어 링크(55)의 사이드 멤버(55a)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용 실린더(68)의 훅(73)을 끼우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도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72)는 일체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보다 제 6 핀(71)의 지지 강도가 높다.
(7) 기타
본원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체화할 수 있다. 적용 대상은 승용형 이앙기에는 한하지 않고, 야채의 묘 식부 등 각종 식부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용 실린더로서는 전동 승강용 실린더 등의 유압 이외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이앙기 등의 승용형 식부 작업기에 구체화해서 상기 작업기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주행 기체 2: 식부 장치의 일례로서의 묘 식부 장치
3: 링크 장치 4: 전륜
5: 후륜 6: 좌석
7: 조종 핸들 9: 사이드 프레임
10: 프론트 프레임 11: 리어 프레임
13: 리어 지주 16: 엔진
47: 킹핀 54: 링크 장치를 구성하는 탑 링크
55: 링크 장치를 구성하는 로어 링크
56: 히치 68: 승강용 실린더

Claims (7)

  1. 오퍼레이터가 운전해서 자주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링크 장치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 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주행기체와 상기 링크 장치를 승강용 실린더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용 실린더가 신축하면 상기 링크 장치가 회동해서 작업 장치가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주행기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 좌우로 긴 리어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우 복수개의 리어 지주를 갖고 있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 전단은 상기 리어 프레임 또는 리어 지주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후단은 상기 링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중 후방측의 적정 범위는 뒤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 경사부로 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후단은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맞댄 상태로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지주는 좌우에 떨어져서 2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리어 지주와 상기 리어 프레임은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용접으로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상기 링크 장치는 상하로 나뉘어서 배치된 탑 링크와 로어 링크를 갖고 있고, 이들 탑 링크와 로어 링크는 그 전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상기 리어 지주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승강용 실린더는 그 전단이 상기 리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상기 로어 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크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바로 앞을 향해서 넓어진 두 갈래부를 갖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Y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로어 링크는 전후로 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멤버가 가로로 긴 부재로 연결된 사다리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는 좌우의 전륜과 좌우의 후륜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후륜은 리어 액슬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리어 지주를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대략 하방 부위에 엔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의 뒤에 상기 승강용 실린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농작업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는 벼의 묘 식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KR1020117019352A 2009-03-18 2010-02-26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KR20110129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66160A JP2010213653A (ja) 2009-03-18 2009-03-18 乗用型植付け作業機
JPJP-P-2009-066160 2009-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79A true KR20110129379A (ko) 2011-12-01

Family

ID=4273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352A KR20110129379A (ko) 2009-03-18 2010-02-26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13653A (ko)
KR (1) KR20110129379A (ko)
CN (1) CN102355810B (ko)
WO (1) WO20101068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8184B2 (ja) * 1996-03-01 2002-08-26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の苗植付装置昇降駆動構造
JP3527083B2 (ja) * 1998-01-08 2004-05-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00004611A (ja) * 1998-06-24 2000-01-11 Kubota Corp 水田作業車のステップ支持構造
JP2001211705A (ja) * 2000-02-01 2001-08-07 Iseki & Co Ltd 農作業機
JP4782298B2 (ja) * 2001-03-15 2011-09-28 ヤンマー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3804926B2 (ja) * 2001-11-09 2006-08-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4067310B2 (ja) * 2002-01-17 2008-03-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2004201502A (ja) * 2002-12-20 2004-07-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
JP2004299467A (ja) * 2003-03-28 2004-10-28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4450804B2 (ja) * 2006-03-27 2010-04-14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55810B (zh) 2015-02-25
JP2010213653A (ja) 2010-09-30
WO2010106894A1 (ja) 2010-09-23
CN102355810A (zh)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22290A (ja) 作業車両
JP2009022290A5 (ko)
JP4966217B2 (ja) 乗用水田作業機
JP7072481B2 (ja) 作業機
KR20110129379A (ko)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JP2009000083A (ja) 対地作業装置付きの苗移植機
JP4988792B2 (ja) 田植機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2007053939A5 (ko)
JP2007053939A (ja) 苗移植機
JP5443797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5568269B2 (ja) 乗用型田植機
JP4484755B2 (ja) 田植機の代掻き用回転体
JP4766580B2 (ja) 田植機
JP7072480B2 (ja) 作業機
JP2000116211A (ja) 乗用田植機の植付部連結構成
JP5537053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5411674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3981764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
JP6837405B2 (ja) 作業車
JP3657598B2 (ja) 田植機
JP3163431B2 (ja) 移動農機
JP4737654B2 (ja) 田植機
JP4360042B2 (ja) 奇数条植え苗移植機
JP4605623B2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