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75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754A
KR20110127754A KR1020117024310A KR20117024310A KR20110127754A KR 20110127754 A KR20110127754 A KR 20110127754A KR 1020117024310 A KR1020117024310 A KR 1020117024310A KR 20117024310 A KR20117024310 A KR 20117024310A KR 20110127754 A KR20110127754 A KR 2011012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back sheet
sheet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미 오쿠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6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6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 A61F13/5146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providing stretchability without the use of elast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앞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앞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뒤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뒤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영역과,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앞 허리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둘레 영역을 향하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연신 가공이 실시된 연신부와, 연신 가공이 실시되지 않는 미연신부를 갖는다. 상기 연신부는,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중앙 연신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측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측부 연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팬츠형의 기저귀나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쪽(앞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앞 허리둘레 영역과, 착용자의 등쪽(뒤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뒤 허리둘레 영역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한다.
가랑이 영역에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와, 착용자의 체액이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부가 설치된다. 누설 방지부는, 앞 허리둘레 영역으로부터 뒤 허리둘레 영역을 향하는 전후 방향(소위,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복수 개로 접어개켜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누설 방지부의 내부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의 끈형상체가 신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누설 방지부는, 신장된 끈형상체가 신장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흡수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쪽으로부터 등쪽을 따른 상태로 둥글려져서, 누설 방지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와 흡수체와의 사이에 공간(소위, 포켓)이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체액이 새는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해, 누설 방지부를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복수 개로 접어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 개로 접어개켜진 누설 방지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함으로써,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 위화감을 주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 63-235501호 공보(제 1-2페이지, 도 1 및 도 2)
흡수성 물품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앞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앞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뒤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뒤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을 더 갖는다.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앞 허리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둘레 영역을 향하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연신 가공이 실시된 연신부와, 연신 가공이 실시되지 않는 미연신부를 갖는다. 상기 연신부는,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중앙 연신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측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측부 연신부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단면도(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단면도(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가공 장치(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가공 장치(500)를 도시한 정면도 및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단면도(착용시)이다.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경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C)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 그 밖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적인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단면도(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한 단면도(도 1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오픈형의 기저귀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앞 허리둘레(배쪽)로부터 뒤 허리둘레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한 전후 방향(이하,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향해 세로로 긴 형상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착용자의 앞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앞 허리둘레 영역(S1)과, 착용자의 뒤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뒤 허리둘레 영역(S2)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며, 앞 허리둘레 영역(S1)과 뒤 허리둘레 영역(S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S3)을 갖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폭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해 후술하는 흡수체(30)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C1)과,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해 중앙 영역(C1)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C2)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구비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는, 웨이스트 플랩부(40)와, 사이드 플랩부(50)가 설치된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 설치된다. 표면 시트(10)의 폭방향(W)에서의 양단부는, 흡수체(30)를 감싸고 있다. 표면 시트(10)는, 친수성 부직포나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 소수성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면 시트(20)는, 표면 시트(10)보다 비착용자 측에 설치된다. 이면 시트(20)는, 방수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20A)와, 백 시트(20A)에서의 흡수체(30)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면에 붙여진 부직포 등의 외장 시트(20B)에 의해 형성된다. 이 이면 시트(20)는, 반드시 백 시트(20A)와 외장 시트(20B)에 의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백 시트(20A)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면 시트(20)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흡수체(30)는, 분쇄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혼합분체(30A)와, 혼합분체(30A)를 피복하는 티슈 등의 피복재(30B)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흡수체(30)는, 접착제(예컨대, 핫 멜트)나 열융착 등에 의해 각각이 접합된다.
웨이스트 플랩부(4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대한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설치된다. 웨이스트 플랩부(40)는, 앞 허리둘레 영역(S1)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측 플랩부(40A)와,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측 플랩부(40B)를 갖는다.
전측 플랩부(40A)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사이드 시트(60)가 뻗어나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전측 플랩부(40A)는, 이면 시트(20)의 외장 시트(20B)에 접합되는 사이드 시트(60) 대신, 이면 시트(20)(백 시트(20A) 및 외장 시트(20B))가 뻗어나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후측 플랩부(40B)는, 전측 플랩부(40A)와 마찬가지로,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사이드 시트(60)가 뻗어나옴으로써 형성된다. 후측 플랩부(40B)에서의 흡수체(30)가 설치되는 측의 면에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에 있어서, 앞 허리둘레 영역(S1)에 걸리는 걸림부(41)가 설치된다. 걸림부(41)는, 면 패스너나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41)가 면 패스너(수컷 부재)인 경우, 앞 허리둘레 영역(S1)의 걸림부(41)가 걸리는 영역에 비걸림부(암컷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앞 허리둘레 영역(S1)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앞 허리둘레 영역(S1) 자체가 비걸림부의 역할을 한다.
사이드 플랩부(50)는, 이면 시트(20)(백 시트(20A) 및 외장 시트(20B))가 뻗어나옴으로써 형성된다. 사이드 플랩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한 흡수체(30)의 외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설치된다. 사이드 플랩부(50)에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신축성을 갖는 고무(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의 끈형상체(51)가 설치된다. 끈형상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된다.
끈형상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제1 끈형상체(51A), 제2 끈형상체(51B), 제3 끈형상체(51C) 및 제4 끈형상체(51D)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끈형상체(51A) 및 제2 끈형상체(51B)는, 백 시트(20A)와 외장 시트(20B)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3 끈형상체(51C) 및 제4 끈형상체(51D)는, 백 시트(20A)보다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으로 뻗어나오는 외장 시트(20B)가 접힘으로써, 해당 외장 시트(20B)에 끼여 있다.
다음, 전술한 이면 시트(2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도 4(a)의 A-A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20)(백 시트(20A) 및 외장 시트(20B))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해, 연신 가공이 실시된 연신부(21)와, 연신 가공이 실시되지 않는 미연신부(22)를 갖는다.
연신부(21)는, 연신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미연신부(22)보다 평량(단위 면적 당 질량)이 적은 영역이다. 연신부(21)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량이 큰 성김부(21L)와, 연신량이 작은 조밀부(21T)가 교대로 형성된다.
연신부(21)는, 가랑이 영역(S3) 내의 중앙 영역(C1)에 위치하는 중앙 연신부(21A)와, 가랑이 영역(S3) 내의 측부 영역(C2)에 위치하는 측부 연신부(21B)를 갖는다. 즉,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S3)의 전역에 설치된다. 또한,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중앙 영역(C1)의 전역에 설치된다.
연신부(21)는, 이면 시트(20)에 연신 가공이 실시되기 전의 이면 시트(20)에 대해 2.5배 이하로 연신된다.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은,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크다. 또한,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부터 내부가 투과하는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연신부(22)는, 연신부(21)를 제외한 영역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연신부(22)는,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즉, 미연신부(22)는, 앞 허리둘레 영역(S1)의 한 쌍의 측부 영역(C2)과, 뒤 허리둘레 영역(S2)의 한 쌍의 측부 영역(C2)에 설치된다.
다음, 이면 시트(20)에 연신부(21)를 형성하는 연신 가공 장치(5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가공 장치(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가공 장치(500)를 도시한 정면도(도 5의 A 화살표도)이고,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가공 장치(500)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 가공 장치(500)는, 이면 시트(20)가 연속된 길다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이송 방향(MD)에 직교하는 폭방향(CD)에 대해,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연신 가공 장치(500)는, 예열 롤(510)과, 연신 가공 기구(520)를 구비한다.
예열 롤(510)은, 연신 가공 기구(520)보다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이송 방향(MD) 상류측에 설치된다. 예열 롤(510)은, 연신 가공 기구(520)를 통과하기 전에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가열한다. 예열 롤(510)은, 소정의 온도(예컨대, 100도)를 갖는다.
연신 가공 기구(520)는, 예열 롤(510)을 통과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가열함과 아울러, 예열 롤(510)을 통과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연신 가공 기구(520)는, 소정의 온도(예컨대, 50 내지 80도)를 갖는다. 연신 가공 기구(520)는, 상측 롤(530)과, 하측 롤(540)을 구비한다.
상측 롤(530)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상면측에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측 롤(530)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측 롤 본체(531)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누르는 복수 개의 상측 볼록부(532)를 갖는다.
상측 볼록부(532)는, 상측 롤 본체(5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측 롤 본체(531)의 외주로부터 돌출된다. 상측 볼록부(532)는, 상측 롤 본체(531)의 축심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상측 볼록부(532)는, 상측 롤 본체(531)의 축심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끝이 가는 형상(도면에서는,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측 볼록부(532)는, 복수 개의 중앙 볼록부(532A)와, 복수 개의 측방 볼록부(532B)를 갖는다.
중앙 볼록부(532A)는, 흡수성 물품(1)의 중앙 영역(C1)에 대응하는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중앙 영역(C10)을 누름으로써 중앙 연신부(21A)를 형성한다. 중앙 볼록부(532A)는, 상측 롤 본체(53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측 롤 본체(53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측방 볼록부(532B)는, 흡수성 물품(1)의 측부 영역(C2)에 대응하는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측부 영역(C20)을 누름으로써 측부 연신부(21B)를 형성한다. 측방 볼록부(532B)는, 상측 롤 본체(531)의 외주에 단속적에 설치된다. 또한, 측방 볼록부(532B)의 높이는, 중앙 볼록부(532A)의 높이보다 높다.
하측 롤(540)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사이에 두고 상측 롤(530)의 반대측에 배열되어 설치된다. 하측 롤(540)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측 롤 본체(541)와, 복수 개의 상측 볼록부(53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볼록부(542)를 갖는다.
하측 볼록부(542)는, 하측 롤 본체(541)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하측 롤 본체(541)의 외주로부터 돌출된다. 하측 볼록부(542)는, 하측 롤 본체(541)의 축심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하측 볼록부(542)는, 하측 롤 본체(541)의 축심 방향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끝이 가는 형상(도면에서는, 대략 삼각형형)을 이루고 있다. 하측 볼록부(542)는, 복수 개의 중앙 볼록부(542A)와, 복수 개의 측방 볼록부(542B)를 갖는다.
또한, 중앙 볼록부(542A) 및 측방 볼록부(542B)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측 볼록부(532)(중앙 볼록부(532A) 및 측방 볼록부(532B))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앙 볼록부(542A) 및 측방 볼록부(542B)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예컨대, 하측 볼록부(542)는, 반드시 상측 볼록부(532)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연신 가공 장치(500)에서는, 예컨대, 예열 롤(510)이 100도, 연신 가공 기구(520)가 80도, 상측 볼록부(532)와 하측 볼록부(542)가 끼워져 결합되는 길이(L)가 1.6mm, 복수 개의 상측 볼록부(532)의 간격(p1) 및 복수 개의 하측 볼록부(542)의 간격(p2)이 2.5mm인 조건으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연신 가공 장치(500)는,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부(21)를 형성하고,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 가공을 실시하기 전의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대해 1.3배의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연신 가공 장치(500)에서는, 전술한 제반 조건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연신 배율을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부(21)는, 가랑이 영역(S3) 내의 중앙 영역(C1)에 위치하는 중앙 연신부(21A)와, 가랑이 영역(S3) 내의 측부 영역(C2)에 위치하는 측부 연신부(21B)를 가지며, 미연신부(22)는, 연신부(21)를 제외한 영역(예컨대,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S3)의 전역에 설치된 연신부(21)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해 신장 가능해진다. 즉, 가랑이 영역(S3)은,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과 비교하여,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대해 넓어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에게 장착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랑이와 흡수체(30)와의 사이에 공간(소위, 포켓(P))을 형성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샘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복수 개로 접어 개킴으로써 포켓(P)을 형성하는 누설 방지부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단순히 사이드 플랩부(50)를 설치함으로써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랩부(50)는, 누설 방지부와 비교하여 복수 개로 접어 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누설 방지부보다 유연해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은, 누설 방지부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장착했을 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중앙 영역(C1)의 전역에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원하는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기 위해, 연신부(21)가 중앙 영역(C1)의 전역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이면 시트(20)(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폭이 좁아도 된다. 따라서, 이면 시트(20)를 삭감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20)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중앙 영역(C1)이 유연해져, 착용자에게 적합시키기가 용이해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은,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크다. 이에 따르면, 흡수체(30)와 중첩되는 중앙 연신부(21A)가 과도하게 얇아지지 않아,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이면 시트(20)(백 시트(20A))로부터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부 연신부(21B)가 중앙 연신부(21A)보다 유연해지고, 나아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측부 연신부(21B)가 중앙 연신부(21A)보다 용이하게 연신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와 흡수체(30)와의 사이에 공간(소위, 포켓)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가로 샘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부(21)는, 이면 시트(20)에 연신 가공이 실시되기 전의 이면 시트(20)에 대해 2.5배 이하로 연신된다. 또한, 연신부(21)의 연신 배율이 2.5배보다 크면, 이면 시트(20)가 과도하게 얇아져, 이면 시트(20)의 찢어짐이나 구멍 뚫림 등의 파손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부터 내부가 투과하는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부터 내부가 투과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교환 시기(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변경예)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차이나는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1)
먼저,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20)는, 백 시트(20A)와, 외장 시트(20B)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반해, 변경예 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C1)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0)는, 백 시트(20A)에 의해서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영역(C2)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0)는, 백 시트(20A)와 사이드 시트(60)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시트(60)는, 백 시트(20A)에서의 흡수체(30)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사이드 시트(60)는, 외장 시트(20B)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웨이스트 플랩부(40)나 사이드 플랩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연장된 백 시트(20A) 및 사이드 시트(60)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변경예 1에서는, 중앙 영역(C1)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0)는, 백 시트(20A)에 의해서만 구성됨으로써, 이면 시트(20)가 백 시트(20A)와 외장 시트(20B)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장 시트(20B)를 사용하는 양을 삭감할 수 있다.
(변경예 2)
다음,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20)는, 연신부(21)와 미연신부(22)를 갖는다. 즉, 연신부(21)는, 이면 시트(20)에 형성된다. 이에 반해, 변경예 2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부(21)는, 이면 시트(20)(백 시트(20A) 및 외장 시트(20B)) 이외에, 표면 시트(10)에도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10)의 폭방향(W)에서의 양단부는, 흡수체(30)를 감싸지 않고, 백 시트(20A)에 접합된다. 표면 시트(10)와 백 시트(20A)가 접촉하는 부분에, 전술한 연신부(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신부(21)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첫째, 중앙 영역(C1)에 대응하는 이면 시트(20)가 연속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둘째, 연신 가공이 실시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 상에, 흡수체(30) 및 표면 시트(10)를 순서대로 올려 놓는다. 셋째, 측부 영역(C2)에 대응하는 표면 시트(10)가 연속된 표면 시트의 연속체 및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변경예 2에서는, 연신부(21)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연신부(21)에 흘러나온 경우라 하더라도, 연신 가공이 실시된 표면 시트(10)에 있어서 다시 흡수체(30)로 체액을 유도할 수 있다.
(변경예 3)
다음, 변경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C)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변경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C)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시트(60)는, 이면 시트(20)의 외장 시트(20B)에 접합된다. 이에 반해, 변경예 3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60)는, 이면 시트(20)의 백 시트(20A)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시트(60)는, 백 시트(20A)에서의 흡수체(30)가 설치되는 측의 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사이드 시트(60)는, 이면 시트(20)와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사이드 시트(60)는, 백 시트(20A)와 접합되는 부위에 연신 가공이 실시된다.
사이드 시트(60)의 폭방향(W)에서의 양단부에는, 흡수성 물품(1C)의 길이 방향(L)으로 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의 끈형상체(61)가 설치된다. 끈형상체(61)는, 흡수성 물품(1C)의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C)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된다. 끈형상체(61)는, 사이드 시트(60)의 폭방향(W)에서의 양단부가 접힘으로써, 해당 사이드 시트(60)에 끼여 있다.
변경예 3에서는, 사이드 플랩부(50) 이외에, 끈형상체(61)를 내부에 갖는 사이드 시트(60)가 설치됨으로써,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사이드 시트(60) 및 사이드 플랩부(50)(이중)로 가로 막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차이나는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는, 가랑이 영역(S3) 내의 측부 영역(C2)에 설치된다. 즉,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S3)의 전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연신부(21B)는, 이면 시트(20)의 폭방향(W)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분(20E)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C3)을 제외한 측부 영역(C2)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연신부(21B)는, 반드시 가장자리 영역(C3)을 제외한 측부 영역(C2)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가랑이 영역(S3) 내의 측부 영역(C2)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연신부(21A)는, 가랑이 영역(S3) 내의 중앙 영역(C1)에 설치된다. 즉, 연신부(2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중앙 영역(C1)의 전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연신부(21A)는, 이면 시트(20)의 길이 방향(L)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분(20E)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C4)을 제외한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중앙 연신부(21A)는, 반드시 가장자리 영역(C4)을 제외한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가랑이 영역(S3) 내의 중앙 영역(C1)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는, 가장자리 영역(C3)을 제외한 측부 영역(C2)에 설치된다, 또는, 중앙 연신부(21A)는, 가장자리 영역(C4)을 제외한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에게 장착시의 위화감을 주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체면에 연신 가공이 실시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이송하는 경우에, 해당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젖혀져서 말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주름이 생겨 버려,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불량이 발생하게 될 수가 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가장자리 영역(C3) 또는 가장자리 영역(C4)에 연신 가공이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가장자리 영역(C3) 또는 가장자리 영역(C4)에 연신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장자리 영역(C3) 또는 가장자리 영역(C4)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제조시에 이면 시트(20)의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말림이나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아, 해당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이송이 안정되고,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면 시트(20)와 차이나는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은,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크다. 이에 반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은,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작다. 이 경우, 측방 볼록부(532B)의 높이가 중앙 볼록부(532A)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은,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작다. 이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에게 장착시의 위화감을 주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측부 연신부(21B)의 연신 배율이 중앙 연신부(21A)의 연신 배율보다 큰 경우와 비교하여, 중앙 영역(C1)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제조시에 이면 시트(20)의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에 말림이나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아, 해당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의 이송이 안정되고,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컨대,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1)은, 오픈형의 기저귀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팬츠형의 기저귀나 생리대 등일 수도 있다.
또한, 표면 시트(10)나 이면 시트(20), 흡수체(30)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일 수도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웨이스트 플랩부(40), 사이드 플랩부(50) 등의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목적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즉, 연신부는, 이면 시트(20)에 적어도 설치되어 있으면 되며, 다른 부재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측부 연신부(21B)는, 가랑이 영역(S3) 내의 측부 영역(C2)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해 있으면 되며, 예컨대, 앞 허리둘레 영역(S1) 및 뒤 허리둘레 영역(S2)에 일부가 비어져나오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연신 가공 장치(500)는, 이면 시트(20)에 연신부(21)를 형성하기 위한 일례로서 설명했기 때문에, 그 밖의 구성일 수도 있으며, 이면 시트(20)에 연신부(21)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됨은 물론이다. 즉, 연신 가공 장치(500)는, 반드시 예열 롤(510)과 연신 가공 기구(520)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연신 가공 기구(520)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76909호(2009년 3월 26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착용자의 가랑이와 흡수체와의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장착시의 위화감을 주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가로 샘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앞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앞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뒤 허리둘레에 대응하는 뒤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을 더 가지며,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앞 허리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둘레 영역을 향하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대해, 연신 가공이 실시된 연신부와,
    연신 가공이 실시되지 않는 미연신부
    를 가지며,
    상기 연신부는,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중앙 영역의 일부 또는 전역에 위치하는 중앙 연신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 내의 상기 측부 영역의 일부 또는 전역에 위치하는 측부 연신부
    를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중앙 영역의 전역에 설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연신부의 연신 배율은 상기 중앙 연신부의 연신 배율보다 큰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연신부의 연신 배율은 상기 중앙 연신부의 연신 배율보다 작은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는 상기 이면 시트에 연신 가공이 실시되기 전의 상기 이면 시트에 대해 2.5배 이하로 연신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17024310A 2009-03-26 2010-03-26 흡수성 물품 KR20110127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6909A JP5465906B2 (ja) 2009-03-26 2009-03-26 吸収性物品
JPJP-P-2009-076909 2009-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754A true KR20110127754A (ko) 2011-11-25

Family

ID=4278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10A KR20110127754A (ko) 2009-03-26 2010-03-2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101466A1 (ko)
EP (1) EP2412352A4 (ko)
JP (1) JP5465906B2 (ko)
KR (1) KR20110127754A (ko)
CN (1) CN101897637B (ko)
AR (1) AR075967A1 (ko)
AU (1) AU2010228142A1 (ko)
BR (1) BRPI1006487A2 (ko)
EA (1) EA201101373A1 (ko)
TW (1) TW201105303A (ko)
WO (1) WO2010110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7688B2 (ja) * 2009-12-28 2013-1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421791B2 (ja) * 2010-01-08 2014-0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延伸加工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922970B2 (ja) * 2012-03-30 2016-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977590B2 (ja) * 2012-06-18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88298B2 (ja) * 2013-03-08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80447B1 (ja) * 2015-04-09 2016-08-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の製造方法
CN106264874A (zh) * 2016-08-30 2017-01-04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吸收芯体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73B2 (ja) 1987-03-20 1995-03-22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236430A (en) * 1991-11-21 1993-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training pant having fusion-slit side seams
DE69417057T2 (de) * 1993-11-19 1999-07-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multidirektionalen dehnbaren seitenflügeln
JP3330076B2 (ja) * 1998-04-20 2002-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120632A (en) * 1998-10-29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diaper utilizing a uniform width leg cuff material
JP3819657B2 (ja) * 1999-12-22 2006-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バックシートを備えた生理用ナプキン及び前記バ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US7368027B2 (en) * 2003-09-18 2008-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edge fold having substantially uniform gathers for absorbent article
JP4488817B2 (ja) * 2004-07-16 2010-06-23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6613B2 (ja) * 2005-07-15 2010-09-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バックシート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及び前記バ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JP5013810B2 (ja) * 2005-12-01 2012-08-29 花王株式会社 シートの加工装置及びシートの製造方法
JP4762090B2 (ja) * 2006-09-05 2011-08-3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の製造方法
KR101353343B1 (ko) 2007-09-18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활성 영역 상에서 비트라인 패턴의 일 측부로부터 서로다른 거리들로 각각 이격되는 스토리지 노드들을 가지는반도체 장치들 및 그 형성방법들
JP5117576B2 (ja) * 2007-11-19 2013-01-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ウェブを活性化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5967A1 (es) 2011-05-11
EP2412352A1 (en) 2012-02-01
EA201101373A1 (ru) 2012-05-30
CN101897637A (zh) 2010-12-01
BRPI1006487A2 (pt) 2018-02-27
CN101897637B (zh) 2013-02-06
AU2010228142A1 (en) 2011-11-03
WO2010110421A1 (ja) 2010-09-30
TW201105303A (en) 2011-02-16
JP2010227235A (ja) 2010-10-14
EP2412352A4 (en) 2014-03-05
US20120101466A1 (en) 2012-04-26
JP5465906B2 (ja)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717B (zh) Dispose of items with disposable dessert
JP589782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66057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TWI580410B (zh) Disposable wearing items
KR20110127754A (ko) 흡수성 물품
JP4953730B2 (ja) 吸収性物品
JP6213878B2 (ja) 吸収性物品
CN105455965B (zh) 一次性尿布
JP2016067626A5 (ko)
TW201325570A (zh) 用後即棄式穿著用物品
JP2016067366A5 (ko)
TWI648039B (zh) 用後即棄式穿著用物品
JP5421791B2 (ja) 延伸加工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37688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WO2009104626A1 (ja) 吸収性物品
JP5465927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2016202802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6202803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566612B2 (ja) 吸収性物品
RU2571252C1 (ru) Одноразовое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крепеж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и связанные способы
CN116568247A (zh) 短裤型一次性穿着物品
JP2014068851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20100121652A (ko) 흡수성 물품
JP2010284227A (ja) 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