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336A -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4336A KR20110124336A KR1020117022917A KR20117022917A KR20110124336A KR 20110124336 A KR20110124336 A KR 20110124336A KR 1020117022917 A KR1020117022917 A KR 1020117022917A KR 20117022917 A KR20117022917 A KR 20117022917A KR 20110124336 A KR20110124336 A KR 20110124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b
- side edge
- folding
- extending
- absorbent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08—Folding webs longitudin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5—Folding, un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57—Diaper manufa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폴딩 장치(100)는 흡수성 물품(1)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웹(7)의 한쪽 측 가장자리(10A)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20A)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웹(7)을 그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다. 폴딩 장치(100)는 접는 선으로부터 반대쪽 측 가장자리(20A)까지 연장되는 기준 영역(11)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대직경 롤러(110)와, 접는 선에서 웹(7)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폴딩 가이드 바(130)와, 접는 선으로부터 한쪽 측 가장자리(10A)까지 연장되는 접힌 영역(12)을 기준 영역(11)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140)를 포함한다. 폴딩 가이드 바(130)는 웹(7)을 그 위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131)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131)는 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연속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전방 허리에 대응하는 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에 대응하는 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랑이 부분의 양측에는 착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포위 개구(예컨대, 다리 구멍)가 형성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5-46246호에는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전방 허리선 부분, 후방 허리선 부분, 가랑이 부분 등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웹에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와, 폴딩 장치에 의해,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 폴딩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 장치는 적어도 대직경 롤러와, 폴딩 가이드 바와,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대직경 롤러는 접는 선으로부터 반대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웹의 기준 영역을 누른다. 폴딩 가이드 바는 접는 선에서 웹을 지지한다. 가이드 롤러는 웹의 접힌 영역을 기준 영역을 향해 안내하는데, 이 접힌 영역은 접는 선으로부터 한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본원의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의 폴딩 장치에서는, 폴딩 장치가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웹을 2개로 접을 때에, 폴딩 가이드 바가 가랑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접촉에 의해, 가랑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과 후방 허리선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어, 때때로 가랑이 부분을 형성하기 부분이 비틀어진 상태에서 한쪽 측 가장자리가 반대쪽 측 가장자리 위에 배치되어 웹이 접힌다.
이러한 비틀림은 전방 허리선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에 걸치는 부분과, 후방 허리선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에 걸치는 부분에 악영향을 미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틀림 때문에, 전술한 폴딩 단계가 종료될 때에 전방 허리선 부분과 후방 허리선 부분이 이들의 접합부에서 서로 어긋나버려, 흡수성 물품 전체에 왜곡 및 변형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외관을 현저히 손상시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폴딩 장치가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웹을 2개로 접는 경우에 있어서, 접는 선을 포함하는 가랑이 부분의 비틀림으로 인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이 폴딩 장치는 상기 접는 선으로부터 상기 반대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압박 기구와, 상기 접는 선에서 상기 웹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기구와, 상기 접는 선으로부터 상기 한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2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웹을 그 위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는 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폴딩 장치가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그 웹을 2개로 접는 경우에 있어서, 접는 선을 포함하는 가랑이 부분의 비틀림으로 인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부분적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와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표시한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이 현실의 것과는 다름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의 실제와 다른 치수 관계 및 비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제1 실시형태
먼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구성에 대해, 이 흡수성 물품(1)의 부분적 절단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이 어른용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주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와, 흡수체(4)와, 방수 시트(5)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물품(1)의 착용 대상자(이하,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표면 시트(2)는 부직포나 개구 플라스틱 필름 등의 액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의 바깥쪽(착용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에 제공된다. 이면 시트(3)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제공되며,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흡수체(4)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방수 시트(5)는 이면 시트(3)와 흡수체(4) 사이에 제공되며,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방수 시트(5)는 액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진다.
그렇게 구성된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전방 허리에 대응하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에 대응하는 후방 허리선 부분(20)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부분(30)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또한, 가랑이 부분(30)의 양측에는 착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포위 개구(40)가 형성된다.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은 접합부(50)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허리 개구(60)를 형성한다.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전체 주연부에는 신축 가능한 고무실 등으로 이루어진 허리 개더(6A)가 제공된다.
예컨대,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전방 허리선 부분(10)에서부터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향하는 전후 방향에 수직인 교차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에는 허리 개더(6A)를 제공할 수도 또는 이들 부분 자체가 신축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랑이 부분(30)에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 사이에 제공된다. 가랑이 부분(30)의 양측에는 신축 가능한 고무실로 이루어진 다리 개더(6B)가 제공된다.
예컨대, 가랑이 부분(30)을 흡수성 물품(1)의 다리 포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가랑이 부분(30)에는 다리 개더(6B)가 제공될 수도 또는 가랑이 부분(30) 자체가 신축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허리선 형성 단계 S1과, 흡수체 전사 단계 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과, 폴딩 단계 S4와, 접합 단계 S5와, 절단 단계 S6을 포함한다.
허리선 형성 단계 S1에서는, 웹(7A)과 웹(7B) 사이에 개더[허리 개더(6A) 및/또는 다리 개더(6B)]를 배치함으로써,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해 준비된 웹(7)을 형성한다.
반송중인 웹(7)[(웹(7A, 7B)]은 그 웹(7)의 반송 방향(MD)(머신 방향)에 수직인 교차 방향(CD)(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또한, 웹(7)은 그 웹(7)의 교차 방향(CD)으로 폭을 양분하고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적이다.
흡수체 전사 단계 S2에서는, 허리선 형성 단계 S1 후에, 웹(7)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사이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가랑이 부분 부재(30A)를 전사한다. 여기서, 가랑이 부분 부재(30A)는 이면 시트(3)와 흡수체(4)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에서는, 흡수체 전사 단계 S2 후에, 한 쌍의 컷팅 롤러(200)(도 3 참조)가 웹(7)[웹(7A, 7B)]을 절단함으로써, 다리 포위 개구(40)(소위, 다리 구멍)를 형성한다. 여기서, 다리 포위 개구(40)의 형성은 반드시 웹(7A)과 웹(7B)만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웹(7A) 및 웹(7)과, 가랑이 부분 부재(30A)를 구성하는 이면 시트(3)를 함께 절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흡수체 전사 단계 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은 역순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폴딩 단계 S4에서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 후에, 후술하는 폴딩 장치(100)가 전방 허리선 부분(10)의 한쪽 측 가장자리(제1 측 가장자리)(10A)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제2 측 가장자리)(20A)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웹(7)을 그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다.
이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는 선은 중심선(CL)이다. 그러나, 접는 선이 반드시 중심선(CL)일 필요는 없으며, 중심선(CL)으로부터 제1 측 가장자리(10A)와 제2 측 가장자리(20A) 중 한쪽으로 어긋날 수도 있다.
여기서, 폴딩 단계 S4를 거친 웹(7)은 후술하는 한 쌍의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도 3 및 도 4 참조)에 의해 유지되면서 반송된다.
접합 단계 S5에서는, 폴딩 단계 S4 후에, 초음파 처리나 가열 처리를 통해, 웹(7)의 접힌 부분들을 접합 영역(50A)에서 함께 접합한다. 이 접합 영역(50A)은 웹(7)의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절단 예정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선(SL) 양측에서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된다.
절단 단계 S6에서는, 접합 단계 S5 후에, 접합 영역(50A)에서 접합된 웹(7)을 가상선(SL)을 따라 절단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폴딩 단계 S4에서 사용되는 폴딩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딩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딩 장치(100)는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기 위한 컷팅 롤러(200)와, 폴딩 단계 S4를 거친 후에 반송되는 웹(7)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웹은 제1 반송 롤러(R1)를 통과한 다음에 컷팅 롤러(200)에 공급된다. 컷팅 롤러(200)를 통과한 웹(7)은 제2 반송 롤러(R2)∼제5 반송 롤러(R5)를 통과한 다음에 폴딩 장치(100)에 공급된다. 제1 반송 롤러(R1)∼제4 반송 롤러(R4)는 그 각각의 지지축(도시 생략)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폴딩 장치(100)는 대직경 롤러(110)(압박 기구)와, 벨트 컨베이어(120)와, 폴딩 가이드 바(130)(지지 기구)와, 가이드 기구(140)와, 위치 검출 수단(150)과, 위치 제어 수단(160)을 포함한다.
대직경 롤러(110)은 제5 반송 롤러(R5)와 가이드 기구(140) 사이에 설치되고, 그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대직경 롤러(110)는 웹(7)의 기준 영역(11)(제1 영역)을 벨트 컨베이어(120)쪽으로 눌러 그 기준 영역(11)을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로 유지하면서 웹(7)을 반송한다. 여기서, 기준 영역(11)(도 5)은 접는 선으로부터 제2 측 가장자리(20A)까지 연장된다. 대직경 롤러(110)는 적어도 접는 선으부터 제2 측 가장자리(20A)까지의 폭을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120)는 대직경 롤러(110)와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의 사이에 설치되며, 대직경 롤러(110)에서 웹(7)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벨트 컨베이어(120)는 웹(7)의 기준 영역(11)을 폴딩 장치(100)의 접촉면(101)(도 3)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반송한다.
벨트 컨베이어(120)는 복수의 롤러(121)와, 웹(7)의 기준 영역(11)을 지지하면서 롤러 둘레에 감겨 이동하는 반송 벨트(122)와, 반송 벨트(122)를 롤러(121) 둘레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도시 생략)과, 반송 벨트(122) 상에 위치한 웹(7)의 기준 영역(11)을 흡착하는 흡착 기구(123)를 포함한다.
반송 벨트(122)는 폴딩 장치(100)의 접촉면(10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반송 벨트(122)는 웹(7)의 반송 속도(v2)와 동일한 구동 속도(v1)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벨트(122)는 기준 영역(11)을 흡착하기 위한 복수의 흡착 홀(124)(도 4 및 도 5 참조)을 포함한다. 따라서, 웹(7)은 흡착 기구(123)가 흡착 홀(124)을 통해 반송 벨트(122) 상에 기준 영역(11)을 흡착하여 유지하는 동안 그 반송 벨트(122) 상에서 반송된다.
폴딩 가이드 바(130)는 적어도 제5 반송 롤러(R5)의 근방으로부터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접는 선에서[즉, 중심선(CL) 상에서] 웹(7)을 지지한다. 즉, 폴딩 가이드 바(130)는 웹(7)을 기준 영역(11)과, 접는 선으로부터 제1 측 가장자리(10A)까지 연장되는 접힌 영역(12)(제2 영역)으로 구획한다.
폴딩 가이드 바(130)는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며 반송 벨트(1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폴딩 가이드 바(130)는 반송 벨트(122) 상에 위치한다(도 3 및 도 4 참조).
폴딩 가이드 바(130)는 웹(7)이 미끄럼 이동하며 마찰 계수(μ)가 0.4 이하인 슬라이드부(131)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131)의 마찰 계수(μ)는 0.1과 0.3 사이일 수도 있다. 슬라이드부(131)의 마찰 계수(μ)는 0.2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부(131)는 폴딩 가이드 바(130)의 외표면을 형성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형성된다. 여기서, 마찰 계수의 값은 JIS R 1613-1993에 규정된 볼온디스크(ball-on-disk) 방식에 따라 측정된다.
여기서, 슬라이드부(131)는 반드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초고분자 폴리에틸렌(마찰 계수 0.2)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기구(140)는 제5 반송 롤러(R5)와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의 사이에 설치된다. 가이드 기구(140)는 웹(7)의 제1 측 가장자리(10A)를 제2 측 가장자리(20A)와 일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가이드 기구(140)는 접힌 영역(12)을 기준 영역(11)쪽으로 안내한다.
가이드 기구(14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141)와,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142)와, 제3 가이드 롤러(143)와, 한 쌍의 제4 가이드 롤러(144)와, 제5 가이드 롤러(145)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롤러(141)∼제5 가이드 롤러(145)는 그 각각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가이드 롤러(141)는 폴딩 가이드 바(130)의 지지에 의해 웹(7)의 접힌 영역(12)을 일으켜 세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웹(7)이 제1 가이드 롤러(14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145)를 통과할 때, 기준 영역(11)에 대한 접힌 영역(12)의 경사각(α)[가랑이 부분(30)의 폴딩 각도]가 서서히 감소한다.
위치 검출 수단(150)(도 3)은 제5 가이드 롤러(145)와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웹(7)의 제1 및 제2 측 가장자리(10A, 20A)가 각각 통과하는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검출 수단(150)은 제1 센서(151)와 제2 센서(152)를 포함한다.
제1 센서(151)는 제1 측 가장자리(10A)가 통과하는 위치를 검출하고, 제2 센서(152)는 제2 측 가장자리(20A)가 통과하는 위치를 검출한다. 제1 센서(151) 및 제2 센서(152)는 각각의 검출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위치 제어 수단(160)(도 3)에 각각 보낸다.
위치 제어 수단(160)은 제5 가이드 롤러(145)와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위치 검출 수단(150)으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웹(7)의 교차 방향(CD)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한다.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는 폴딩 장치(100)를 통과한 후에 접혀진 웹(7)을 사이에 유지하면서 반송한다. 유지 벨트 컨베이어(500)는 적어도, 복수의 롤러(R10) 둘레에 감겨 이동하는 제1 유지 벨트(501)와, 복수의 롤러(R20) 둘레에 감겨 이동하는 제2 유지 벨트(502)와, 제1 유지 벨트(501)를 롤러(R10) 둘레로 이동시키고, 제2 유지 벨트(502)를 롤러(R20) 둘레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지 벨트(501, 502)는 그 사이에 접혀진 웹(7)을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드부(131)의 마찰 계수는 0.4 이하이다. 이것은, 폴딩 장치(100)가 제1 측 가장자리(10A)를 제2 측 가장자리(20A)쪽으로 올려놓음으로써 웹(7)을 접을 때에, 접는 선을 포함하며 가랑이 부분(3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웹(7)이 폴딩 가이드 바(130) 상에 더욱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이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1 측 가장자리(10A)가 제2 측 가장자리(20A)와 일치하기가 더욱 쉬워, 가랑이 부분(30)의 비틀림으로 인한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불량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슬라이드부(131)의 마찰 계수가 0.4보다 크면, 폴딩 가이드 바(130)와 접촉할 경우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기 때문에, 비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은 전방 허리선 부분(10)으로부터 가랑이 부분(30)에 걸치는 부분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부터 가랑이 부분(30)에 걸치는 부분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비틀림 때문에, 접합 단계 S5에서, 접합부(50)가 형성되는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50A)에서 제1 허리선 부분(10)과 제2 허리선 부분(20)이 서로 어긋나버려 흡수성 물품 전체에 왜곡과 변형이 생긴다. 이에,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1)의 외관을 현저히 손상시켜,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웹(7)[웹(7A, 7B)]은 웹(7)의 교차 방향(CD)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고, 중심선(CL)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이 때문에, 반송중인 웹(7)의 제1 측 가장자리(10A)와 제2 측 가장자리(20A)를, 웹(7)이 크게 신축될 수 있는 교차 방향(CD)으로 신축시키는 힘이 발생하여,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뒤쳐져 반송될 가능성이 생긴다. 이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31)의 마찰 계수가 0.4 이하로 설정된다. 따라서,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부(131)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부(131)는 비점착 특성을 갖는다. 이에,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구성부분[예컨대, 다리 개더(6B)]의 접합에 사용된 접착제가 다리 포위 개구(40)로부터 누설되거나 배어나온다 할지라도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착 기구(123)가 반송 벨트(122) 상에 위치한 웹(7)의 기준 영역(11)을 흡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웹(7)은 그 기준 영역(11)이 반송 벨트(122) 상에 흡착되어 유지된 상태로 반송 벨트(122) 상에서 반송된다. 이에, 기준 영역(11)이 안정적으로 반송될 수 있기 때문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A)의 구성에 대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130A)의 다양한 구성을 각각 도시하는 도 6의 (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에서는, 폴딩 가이드 바(130)의 슬라이드부(131)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또는 코팅된 튜브로 형성된다. 반면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A)에서는, 폴딩 가이드 바(130A)의 슬라이드부(131A)가 접는 위치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볼 컨베이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31A)는 회전 가능한 볼(133)과, 그 각각의 볼(1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34)(예컨대, 소켓)와, 복수의 지지부(134)가 고정되는 막대 형상의 고정부(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볼(133)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구성의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슬라이드부(131A)가 반드시 볼 컨베이어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브부(131A)는 반송중인 웹(7)의 두께 방향에 설치된 각각의 축(136A)을 갖는 휠(136)과, 그 휠(13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37)를 포함하는 휠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부(131A)가 볼 또는 휠 컨베이어로 형성된다. 이에, 제1 실시형태의 유익한 효과와 같이, 폴딩 장치(100A)가 제1 측 가장자리(10A)를 제2 측 가장자리(20A)쪽으로 올려놓음으로써 웹(7)을 접을 때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B)의 구성에 대해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가이드 바(130B)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표시하며, 주로 전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에서는, 폴딩 가이드 바(130)의 슬라이드부(131)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또는 코팅된 튜브로 형성된다. 반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장치(100B)에서는, 폴딩 가이드 바(130B)가 통형부(138)와 공기 공급부(139)로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통형부(138)는 복수의 홀(138A)을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139)는 통형부(138)에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기 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통형부(138)를 통과한 후에 홀(138A)에서 배출된다.
전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폴딩 가이드 바(130B)가 통형부(138)와 공기 공급부(139)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접는 선을 포함하며 가랑이 부분(30)이 형성되는 부분은 폴딩 가이드 바(130)로부터 공기 배출에 의해 부상한 상태로 반송되어 마찰 저항이 감소한다. 이에, 폴딩 장치(100B)가 제1 측 가장자리(10A)를 제2 측 가장자리(20A)쪽에 올려놓음으로써 웹(7)을 접을 때에, 가랑이 부분(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에 뒤쳐져 반송되는 것이 억제된다.
통형부(138)가 반드시 복수의 홀(138A)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예컨대 통형부(138)는 홀(138A) 대신에 융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부(139)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볼(133)과 달리 그 융기부가 회전하지 않는다는 것 외에는, 도 6의 (a)에 대해 개시한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폴딩 가이드 바(130B)의 융기부가 웹(7)과 접촉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을 용이하게 발상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의 추가 실시형태들이 구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과, 가랑이 부분(30)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1)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단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러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이 이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폴딩 장치(100)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폴딩 장치(100)는 그러한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또는 기타 다른 착용 물품을 비롯한 각종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폴딩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허리선 부분과 가랑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임의의 웹을 접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131) 또는 그 코팅의 재료로서 PTFE를 설명하였지만, PTFE 대신에 임의의 다른 저마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저마찰 재료"는 본 명세서에 개시한 테스팅 기준에 의해 측정될 때 마찰 계수 0.4 이하의 재료이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20)는 기준 영역(11)을 폴딩 장치(100)의 접촉면(101)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유지시킨 채로 웹(7)의 기준면(11)을 반송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벨트 컨베이어(12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 대신에 벨트 컨베이어(120)는 폴딩 장치(100)의 접촉면(101)에 대해 기준 영역(11)을 기울게 한 채로 기준 영역(11)을 반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송 벨트(122)는 폴딩 장치(100)의 접촉면(101)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20)는 흡착 기구(12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벨트 컨베이어(12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벨트 컨베이어(120)는 컨베이어 벨트(122) 상에 기준 영역(11)을 부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흡착 기구(123)의 임의의 대체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폴딩 장치(100)는 대직경 롤러(110)와, 벨트 컨베이어(120)와, 폴딩 가이드 바(130)와, 가이드 기구(140)와, 위치 제어 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폴딩 장치(100)는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딩 장치(100)는 적어도 대직경 롤러(110)와, 폴딩 가이드 바(130)와, 가이드 기구(140)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폴딩 장치(100)는 웹(7)을 반송할 수만 있다면 반드시 벨트 컨베이어(120)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편, 벨트 컨베이어(120)를 대신하여 복수의 롤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반송 롤러[제1 반송 롤러(R1)∼제5 반송 롤러(R5)] 또는 가이드 롤러[제1 가이드 롤러(141)∼제5 가이드 롤러(145)]의 개수로서 임의의 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일 또는 다수의 특징은, 폴딩 장치가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그 웹을 2개로 접는 경우에 있어서, 접는 선을 포함하는 가랑이 부분의 비틀림으로 인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타당한 것으로 간주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을 정의하는 사항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48485호(2009년 3월 2일 출원) 및 제2010-041995호(2010년 2월 26일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 장치가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그 웹을 2개로 접는 경우에 있어서, 접는 위치 선을 포함하는 가랑이 부분의 비틀림으로 인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을 위한 기술을 제품화하는데 유용하다.
1: 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방수 시트 6A: 허리 개더
6B: 다리 개더 7, 7A, 7B: 웹
10: 전방 허리선 부분 10A: 제1 측 가장자리
11: 기준 영역 12: 접힌 영역
20: 후방 허리선 부분 20A: 제2 측 가장자리
30: 가랑이 부분 40: 다리 포위 개구
50: 접합부 50A: 미리 정해진 영역
60: 허리 개구 100, 100A, 100B: 폴딩 장치
101: 접촉면 110: 대직경 롤러(압박 기구)
120: 벨트 컨베이어 121: 롤러
122: 반송 벨트 123: 흡착 기구
124: 흡착 홀 130, 130A: 폴딩 가이드 바(지지 기구)
131, 131A: 슬라이드부 140: 가이드 기구
141∼145: 제1∼제5 가이드 롤러 150: 위치 검출 수단
151: 제1 센서 152: 제2 센서
160: 위치 제어 수단 200: 컷팅 롤러
500: 유지 벨트 컨베이어 501: 제1 유지 벨트
502: 제2 유지 벨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방수 시트 6A: 허리 개더
6B: 다리 개더 7, 7A, 7B: 웹
10: 전방 허리선 부분 10A: 제1 측 가장자리
11: 기준 영역 12: 접힌 영역
20: 후방 허리선 부분 20A: 제2 측 가장자리
30: 가랑이 부분 40: 다리 포위 개구
50: 접합부 50A: 미리 정해진 영역
60: 허리 개구 100, 100A, 100B: 폴딩 장치
101: 접촉면 110: 대직경 롤러(압박 기구)
120: 벨트 컨베이어 121: 롤러
122: 반송 벨트 123: 흡착 기구
124: 흡착 홀 130, 130A: 폴딩 가이드 바(지지 기구)
131, 131A: 슬라이드부 140: 가이드 기구
141∼145: 제1∼제5 가이드 롤러 150: 위치 검출 수단
151: 제1 센서 152: 제2 센서
160: 위치 제어 수단 200: 컷팅 롤러
500: 유지 벨트 컨베이어 501: 제1 유지 벨트
502: 제2 유지 벨트
Claims (8)
- 연속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2개로 접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는 선으로부터 상기 반대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웹의 제1 영역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압박 기구와,
상기 접는 선에서 상기 웹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기구와,
상기 접는 선으로부터 상기 한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웹의 제2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웹을 그 위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것인 폴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형성되는 것인 폴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접는 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 볼 컨베이어로 형성되는 것인 폴딩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기구에서 상기 웹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면서 복수의 롤러 둘레에 감겨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벨트와,
상기 반송 벨트 상에 위치한 상기 제1 영역을 흡착하도록 구성되는 흡착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인 폴딩 장치. -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긴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위치를 따라 2개로 접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는 위치로부터 상기 반대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압박 기구와,
상기 접는 위치에서 상기 웹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기구와,
상기 접는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2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구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인 폴딩 장치. - 착용자의 전방 허리에 대응하는 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에 대응하는 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부분과, 상기 가랑이 부분의 양측에 개구된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긴 웹에 상기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딩 장치에 의해서, 상기 웹의 한쪽 측 가장자리를 그 웹의 반대쪽 측 가장자리를 향해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웹을 그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위치를 따라 2개로 접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장치는,
상기 접는 위치로부터 상기 반대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압박 기구와,
상기 접는 위치에서 상기 웹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기구와,
상기 접는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 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2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
포함하고,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웹을 그 위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그 웹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교차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면서, 상기 웹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그 웹의 교차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48485 | 2009-03-02 | ||
JP2009048485 | 2009-03-02 | ||
JPJP-P-2010-041995 | 2010-02-26 | ||
JP2010041995A JP2010227545A (ja) | 2009-03-02 | 2010-02-26 | 折り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336A true KR20110124336A (ko) | 2011-11-16 |
Family
ID=4231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2917A KR20110124336A (ko) | 2009-03-02 | 2010-03-02 |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79042A1 (ko) |
EP (1) | EP2403458B1 (ko) |
JP (1) | JP2010227545A (ko) |
KR (1) | KR20110124336A (ko) |
CN (1) | CN102341078A (ko) |
AR (1) | AR075708A1 (ko) |
AU (1) | AU2010221065A1 (ko) |
BR (1) | BRPI1006553A2 (ko) |
CA (1) | CA2753296A1 (ko) |
CL (1) | CL2011002144A1 (ko) |
CO (1) | CO6501179A2 (ko) |
MA (1) | MA33149B1 (ko) |
MX (1) | MX2010002486A (ko) |
NZ (1) | NZ595097A (ko) |
RU (1) | RU2010107555A (ko) |
TW (1) | TW201043467A (ko) |
WO (1) | WO2010101283A1 (ko) |
ZA (1) | ZA201106723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9502A (ko) * | 2015-04-24 | 2017-12-1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용의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80025965A (ko) * | 2015-07-23 | 2018-03-0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에 관련된 둘로 접음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66697B2 (ja) | 2009-07-31 | 2013-12-1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ウェブ接合装置及びウェブ接合方法 |
JP5498082B2 (ja) * | 2009-07-31 | 2014-05-2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ウエブ搬送装置 |
JP5443920B2 (ja) | 2009-09-18 | 2014-03-1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5663270B2 (ja) | 2010-11-01 | 2015-02-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折り畳み装置、及び折り畳み方法 |
EP2641573B1 (en) * | 2010-11-18 | 2018-01-03 | Zuiko Corporation |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item of clothing |
IT1403417B1 (it) * | 2010-12-23 | 2013-10-17 | Fameccanica Data Spa |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piegare in due un nastro |
US9918881B2 (en) | 2011-11-22 | 2018-03-2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trough |
US10118754B2 (en) * | 2011-11-22 | 2018-11-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chute |
US11123230B2 (en) | 2011-11-22 | 2021-09-2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folding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in a chute |
US9526662B2 (en) | 2012-02-08 | 2016-12-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olding absorbent articles |
CN103407834A (zh) * | 2013-02-27 | 2013-11-27 | 安庆市恒昌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生产线上的材料折叠装置 |
WO2014210405A1 (en) * | 2013-06-28 | 2014-12-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ow-maintenance system for producing articles formed of web material components |
JP6177926B2 (ja) * | 2013-09-30 | 2017-08-09 | 株式会社瑞光 |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装置及び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
CN106102675B (zh) * | 2014-03-18 | 2020-02-28 | Gdm股份公司 | 用于折叠沿生产吸收制品的设备馈送的至少一幅材的装置 |
JP5923160B1 (ja) * | 2014-12-26 | 2016-05-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折り装置及び折り方法 |
JP6426286B2 (ja) * | 2015-06-24 | 2018-11-21 | 株式会社瑞光 | 連続体の折り装置及び折り方法 |
WO2017161213A1 (en) | 2016-03-18 | 2017-09-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ing and folding an absorbent article |
EP3429533B1 (en) | 2016-03-18 | 2022-04-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pparatus for advancing and folding an absorbent article |
JP6381578B2 (ja) * | 2016-05-02 | 2018-08-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CN106276391A (zh) * | 2016-08-16 | 2017-01-04 | 赵晓旭 | 用于集藏册卡书折页的折纸方法及折纸机 |
CN106276388B (zh) * | 2016-08-31 | 2017-08-15 |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 一种材料包折装置 |
JP7122849B2 (ja) | 2018-04-06 | 2022-08-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衛生用品の製造方法及び衛生用品 |
CN114432041B (zh) * | 2022-02-07 | 2023-05-09 | 黄山富田精工智造股份有限公司 | 一种纸尿裤及其生产加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96517A (en) * | 1956-01-12 | 1959-07-28 | Raymond A Labombarde | Multi-faced folding guide |
US3628654A (en) * | 1969-10-01 | 1971-12-21 | Edward F Haracz | Vacuum belt conveyors |
US3859883A (en) * | 1970-02-16 | 1975-01-14 | Butler Automatic Inc | Web supply apparatus |
IT1008066B (it) * | 1973-11-14 | 1976-11-10 | Modular Spa | Tenda a pannelli scorrevoli di tessuto o simili |
US3926713A (en) * | 1973-08-30 | 1975-12-16 | E Z Machine Corp | Apparatus for producing and assembling tabbed cards |
US4012268A (en) * | 1974-01-15 | 1977-03-15 | Johnsen Edward L | Continuous business form or the like adapted for subsequent processing into original indicia bearing lottery tickets, envelopes or the like |
US4081301A (en) * | 1975-10-30 | 1978-03-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ttaching discrete, stretched elastic strands to predetermined isolated portions of disposable abosrbent products |
GB1559500A (en) * | 1976-07-06 | 1980-01-23 | Hydraroll Ltd |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
AU555408B2 (en) * | 1981-08-27 | 1986-09-25 | Hydraroll Ltd. | Roller conveyor handling apparatus |
JPS58158057U (ja) * | 1982-04-14 | 1983-10-2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印刷機の折機 |
US4706793A (en) * | 1985-07-15 | 1987-11-17 | Camillo Masciarelli | Conveyor system with rollers and plungers |
US4726501A (en) * | 1985-12-12 | 1988-02-23 | Tex-Nology Systems, Inc. | Edge steerage apparatus |
EP0240872A1 (en) * | 1986-04-10 | 1987-10-14 | Vinod Kapoor | Web folding apparatus |
US4991787A (en) * | 1989-03-15 | 1991-02-12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Pivoting guide for web conveying apparatus |
US5085623A (en) * | 1990-02-06 | 1992-02-04 | Union Camp Corporation | Bar scoring apparatus |
EP0582927B1 (de) * | 1992-08-10 | 1997-11-19 | KOENIG & BAUER-ALBERT AKTIENGESELLSCHAFT | Wendestange für Materialbahnen |
JPH0796419B2 (ja) * | 1993-02-19 | 1995-10-18 |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 折畳装置のフォーマー |
US5791483A (en) * | 1994-04-01 | 1998-08-11 | Ranpak Corp. | Cushioning product |
FR2740070B1 (fr) * | 1995-10-24 | 1998-01-09 | Heidelberg Harris Sa | Systeme de barre de retournement a pression differentielle |
JPH11506965A (ja) * | 1996-03-22 | 1999-06-22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折り畳まれた材料を直線状にし保持するために静電荷を使用し折り畳む方法 |
US6067773A (en) * | 1997-07-15 | 2000-05-3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emi-automatic random box sealer |
CH693304A5 (de) * | 1997-08-01 | 2003-05-30 | Roland Man Druckmasch | Wendestange und Wendestangenanordnung für eine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
DE19753665C2 (de) * | 1997-12-03 | 2000-05-18 | Johnson & Johnson Gmbh |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oder medizinische Zweck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
US6120185A (en) * | 1998-06-01 | 2000-09-19 | Masciarelli, Jr.; Camillo | Ball-type anti-friction device |
US6673982B1 (en) * | 1998-10-02 | 2004-01-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
US6516934B2 (en) * | 1998-10-14 | 2003-02-11 | Camillo A. Masciarelli, Jr. | Pneumatic pop-up units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
JP3383239B2 (ja) * | 1999-05-21 | 2003-03-04 | 西研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 新聞紙及び新聞紙製造装置 |
US6089367A (en) * | 1999-06-11 | 2000-07-18 | Pac One, Inc. | Securement of a pad to the inside of a bag |
AT407241B (de) * | 1999-07-14 | 2001-01-25 | Knapp Logistik Automation | Ablenkvorrichtung für eine fördereinrichtung |
EP1088780A3 (de) * | 1999-10-01 | 2002-09-04 |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 Vorrichtung zum wahlweisen Verschleissen von Blasöffnungen in Bedruckstoff führenden Leiteinrichtungen oder Stangen von Rotationsdruckmaschinen |
CA2401501A1 (en) * | 2000-02-28 | 2001-09-07 | Matthew J. Ransil | Roller conveying apparatus |
US6422372B2 (en) * | 2000-02-28 | 2002-07-23 | Morgan Corporation | Roller conveying apparatus |
AU2001251075A1 (en) * | 2000-03-31 | 2001-10-15 | Tvi Corporation | Rapid deploy roller transfer device |
US6554116B2 (en) * | 2000-09-01 | 2003-04-29 | Morgan Corporation | Quick release roller track top plate |
US6705220B2 (en) * | 2001-06-22 | 2004-03-16 |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 Device for guiding a travelling web |
JP3737399B2 (ja) * | 2001-07-24 | 2006-01-18 | 花王株式会社 | 立体ギャザー形成用部材の製造方法 |
US6699166B2 (en) * | 2002-03-12 | 2004-03-02 | Paragon Trade Brands, Inc. | Geometric folding of a web used in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JP4093779B2 (ja) * | 2002-03-22 | 2008-06-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
WO2004085300A1 (ja) * | 2003-03-27 | 2004-10-07 | Zuiko Corporation | 折り装置及び着用物品の製造方法 |
JP2004298164A (ja) * | 2003-03-28 | 2004-10-28 | Yasuo Kiyotomo | 揚げ物の油性分除去方法と揚げ物 |
JP4015081B2 (ja) * | 2003-07-31 | 2007-11-2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連続的に供給されるウエブを二つに折り重ね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
US7252730B2 (en) * | 2003-12-30 | 2007-08-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ember |
US20050150996A1 (en) * | 2004-01-12 | 2005-07-14 | Harald Schmidt-Hebbel | Reel spool shaft for use with cores |
JP2005298164A (ja) * | 2004-04-13 | 2005-10-27 | Tsuchiya Co Ltd | フィルムの貼着装置及びフィルム貼着体の製造方法 |
US7708849B2 (en) * | 2004-04-20 | 2010-05-04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elastic strands between layers of carrier webs |
US7500941B2 (en) * | 2005-09-09 | 2009-03-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olding system and process for a continuous moving web operation |
ITMI20060144A1 (it) * | 2006-01-27 | 2007-07-28 | Paper Converting Machine Co | Dispositivo e metodo di irrigidimento di un nastro destinato ad essere avvolto in log |
DE102006013659A1 (de) * | 2006-03-24 | 2007-09-27 |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 Wendestange für Rotationsdruckmaschinen |
JP4904962B2 (ja) * | 2006-07-21 | 2012-03-28 | 株式会社寺岡精工 | ラベル発行装置 |
JP4794382B2 (ja) * | 2006-07-24 | 2011-10-19 | 株式会社日本紙工機械グループ | ブランクシートの搬送装置 |
JP2009003418A (ja) * | 2007-05-21 | 2009-01-08 | Fujifilm Corp | 感光材方向転換部材及び現像処理装置 |
CA2714114C (en) * | 2008-11-13 | 2013-05-07 | Totani Corporation | Plastic bag making apparatus |
JP5465896B2 (ja) * | 2009-03-02 | 2014-04-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折り畳み方法 |
-
2010
- 2010-02-26 JP JP2010041995A patent/JP2010227545A/ja active Pending
- 2010-03-02 NZ NZ595097A patent/NZ595097A/xx unknown
- 2010-03-02 CN CN2010800101375A patent/CN102341078A/zh active Pending
- 2010-03-02 EP EP10748874.4A patent/EP240345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03-02 BR BRPI1006553A patent/BRPI1006553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3-02 TW TW099105959A patent/TW201043467A/zh unknown
- 2010-03-02 AR ARP100100611A patent/AR075708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3-02 US US12/716,076 patent/US2010017904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3-02 KR KR1020117022917A patent/KR20110124336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3-02 WO PCT/JP2010/053740 patent/WO201010128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3-02 AU AU2010221065A patent/AU201022106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3-02 RU RU2010107555/12A patent/RU2010107555A/ru unknown
- 2010-03-02 MX MX2010002486A patent/MX2010002486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0-03-02 CA CA2753296A patent/CA275329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3-02 MA MA34208A patent/MA33149B1/fr unknown
-
2011
- 2011-09-02 CL CL2011002144A patent/CL2011002144A1/es unknown
- 2011-09-14 ZA ZA2011/06723A patent/ZA201106723B/en unknown
- 2011-09-29 CO CO11127850A patent/CO6501179A2/es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9502A (ko) * | 2015-04-24 | 2017-12-1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용의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80025965A (ko) * | 2015-07-23 | 2018-03-0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에 관련된 둘로 접음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341078A (zh) | 2012-02-01 |
MX2010002486A (es) | 2010-10-05 |
EP2403458A1 (en) | 2012-01-11 |
CO6501179A2 (es) | 2012-08-15 |
CA2753296A1 (en) | 2010-09-10 |
MA33149B1 (fr) | 2012-03-01 |
RU2010107555A (ru) | 2011-09-10 |
AR075708A1 (es) | 2011-04-20 |
ZA201106723B (en) | 2012-08-28 |
TW201043467A (en) | 2010-12-16 |
NZ595097A (en) | 2013-03-28 |
WO2010101283A1 (en) | 2010-09-10 |
EP2403458A4 (en) | 2012-08-01 |
CL2011002144A1 (es) | 2012-02-03 |
US20100179042A1 (en) | 2010-07-15 |
JP2010227545A (ja) | 2010-10-14 |
EP2403458B1 (en) | 2013-10-02 |
AU2010221065A1 (en) | 2011-09-29 |
BRPI1006553A2 (pt) | 201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24336A (ko) | 폴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
JP5498083B2 (ja) | 折り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KR101485881B1 (ko) |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
WO2010016576A1 (ja)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AU2010221064B2 (en) | Convey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
KR101679098B1 (ko) | 웹 반송 장치 및 흡수체 제조 방법 | |
KR20110124794A (ko) | 반송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 |
US9186281B2 (en) | Web joint apparatus and web joint method | |
JP5973699B2 (ja) |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 |
KR101617909B1 (ko) |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 |
WO2016103739A1 (ja) | 折り装置及び折り方法 | |
JP2016123850A (ja) | 折り装置及び折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