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821A -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821A
KR20110122821A KR1020117018600A KR20117018600A KR20110122821A KR 20110122821 A KR20110122821 A KR 20110122821A KR 1020117018600 A KR1020117018600 A KR 1020117018600A KR 20117018600 A KR20117018600 A KR 20117018600A KR 20110122821 A KR20110122821 A KR 2011012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radio wave
receiver
reflecting plat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조 호리사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2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한다. 백 커버(4)의 주연의 4변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부분의 몸체 내부측에, 금속성의 재료로 형성된 반사판(5)이 마련되어 있다. 전파가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경우, 전파가 백 커버(4)에 마련된 반사판(5)에 의해 반사함에 의해, 백 커버(4)를 투과하는 일 없이 몸체 내부측으로 유도된다. 유도된 전파가 몸체 내의 무선 모듈(3)에서 수신된다.

Description

수신장치{RECEP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텔레비전 수상기에 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적절히 칭한다)로서, 종래로부터 적외선 통신방식을 이용한 적외선 리모콘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한 무선 리모콘도 실용화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방송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표시부를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AV(Audio/Video) 데이터를 수신부로부터 표시부에로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방식이 실용화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표시 패널(110)의 주위를 덮도록 하여, 비금속 재료로 형성된 프레임(120)이 마련되어 있다.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는, 예를 들면 송신측인 무선 리모콘과 수신측인 텔레비전 수상기(100) 사이에 차폐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차폐물이 비금속이라면 투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텔레비전 수상기(100)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의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모듈(130)이 프레임(120)의 이측(裏側)이나, 수상기(100)의 하부에 마련된 전원이나 타이머 등의 스태터스을 표시하는 영역의 간극 등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무선 모듈(130)을 배치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한 무선 리모콘에 관한 기술이 일본 특개2002-169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차폐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폐물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도 3은, 무선 모듈을 수상기(100)에서의 스태터스 표시 영역의 간극에 설치한 경우의 일례(一例)의 안테나 게인을 도시한다. 이 그래프에서, 원주 방향의 각도는, 무선 모듈(130)에 마련된 수신용 안테나에 대한 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0°의 위치가 텔레비전 수상기(100)의 정면 방향을 나타내고, 180°의 위치가 배면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원의 반경 방향이 안테나 게인의 크기를 나타내고, 내주측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안테나 게인이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무선 모듈(130)의 정면 방향에 차폐물로서의 표시 패널(11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면 방향의 안테나 게인이 배면 방향이나 측면 방향의 안테나 게인보다도 작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근의 텔레비전 수상기(100')에서는, 박형화와 함께, 디자인성(性)의 관점에서 프레임(120')의 폭을 좁게 하는 협(狹)액자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프레임(120')의 영역이 감소하고, 종래와 같이 무선 모듈(130)을 프레임(120')의 이면이나 스태터스 표시 영역의 간극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120')에 슬릿을 마련하고, 이 슬릿의 위치에 소형의 외부 안테나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소형의 외부 안테나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무선 모듈(130)을 프레임(120')의 단면(端面)에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무선 모듈(130)을 단면에 배치하면, 수신 성능이 저하되게 됨과 함께, 배치하는 위치가 한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 모듈(130)과 텔레비전 수상기(100')의 주요 기판과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이 길어지게 된다. 접속용의 배선을 길게 하면, 비용이 상승함과 함께 배선 자체가 안테나가 되어, 불요복사(不要輻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액자화된 경우라도,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또한 주연부(周緣部)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백 커버와,
백 커버의 전면(前面)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백 커버의 절곡부분의 부근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반사시켜서, 수신부에 유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수신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또한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백 커버와, 백 커버의 전면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백 커버의 절곡부분의 부근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반사시켜, 수신부에 유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부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백 커버의 경사부에 마련된 반사판에서 반사시켜, 수신부에 유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부를 백 커버 내의 어느 위치에나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부와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단축할 수 있고, 비용의 억제나 배선에 의한 불요복사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약선도(略線圖).
도 2는 무선 모듈의 배치 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3은 무선 모듈에서의 안테나 게인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수신장치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6은 백 커버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수신장치(10)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반사판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의 전파의 수신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9는 반사판을 마련한 경우의 전파의 수신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10은 백 커버의 일부에 반사판을 부착한 경우의 수신장치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11은 반사판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의 무선 모듈에서의 안테나 게인의 일례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12는 반사판을 부착한 경우의 무선 모듈에서의 안테나 게인의 일례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13은 스넬의 법칙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14는 스넬의 법칙을 이용한 전파의 수신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15는 반사판을 스탠드부에 마련한 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수신장치에 반사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수신장치로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수신 가능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적용하고, 송신장치로서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수신장치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수신장치(10)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한다. 수신장치(10)는, 표시 패널(1), 프레임(2) 및 백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1)은, 수신한 방송 신호의 전파에 의거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이고, 금속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은,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표시 패널(1)의 주위를 덮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2)의 배면측에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백 커버(4)가 마련되고, 표시 패널(1)의 배면측을 덮도록 되어 있다. 백 커버(4)는, 그 주연(周緣)의 4변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 및 백 커버(4)에 의해 수신장치(10)의 몸체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의 내부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무선 리모콘이라고 적절히 칭한다) 등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모듈(3)이나, 도시하지 않지만, 수신한 방송 신호의 전파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 기판 등이 배치되어 있다. 무선 모듈(3)을 배치하는 위치는, 어느 위치라도 상관없지만, 회로 기판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하면 무선 모듈(3)과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백 커버(4)는, 반드시 표시 패널(1)의 배면측 전체를 덮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무선 모듈(3)이나 회로 기판 등의 부품이 몸체 내에 수납되도록, 표시 패널(1)의 배면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하면 좋다.
백 커버(4)의 절곡부분의 몸체 내부측에는, 금속성의 재료로 형성된 반사판(5)이 마련되어 있다. 반사판(5)은, 예를 들면 판금(板金)이나 도전(導電) 테이프이고, 백 커버(4) 성형 후에, 백 커버(4)의 절곡부분에 부착된다. 또한, 백 커버(4) 성형시에, 인몰드 성형이나 부분 도금 등에 의해 반사판(5)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몸체 내부 측에서 본 백 커버(4)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한다. 백 커버(4)의 주연이 내측으로 절곡됨에 의해, 표시 패널(1)과 수평하게 형성된 배면부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의 각도는, 무선 모듈(3)의 수신 성능이나 수신장치(10)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45°±30°정도로 하면 바람직하다.
반사판(5)의 길이는, 백 커버(4)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선 모듈(3)에 의한 수신 성능의 저하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라면, 백 커버(4)의 길이보다도 짧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반사판(5)의 길이를 전파의 파장 λ의 1/4, 즉 λ/4 정도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무선 리모콘으로부터의 전파를 무선 모듈(3)에서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5)의 폭은, 백 커버(4)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선 모듈(3)에 의한 수신 성능의 저하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라면, 백 커버(4)의 폭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반사판(5)은, 백 커버(4)의 주연부 모두에 마련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무선 모듈(3)에 가장 근접한 1변에만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반사판(5)을 백 커버(4)의 절곡부분의 몸체 내부측에 부착함에 의해,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에서 무선 리모콘이 조작된 때에, 무선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된 전파가 반사판(5)에서 반사하고, 몸체 내로 유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수신장치(10)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다. 수신장치(10)는, 무선 모듈(3), 튜너부(12), 디스크램블러(13), 디멀티플렉서(DeMUX : De-MUltipleXer)부(14), 디코더(15), 영상 처리부(16), 음성 처리부(17), 표시 패널(1), 음성 출력부(18) 및 제어부(19)를 구비한다.
수신장치(10)는, 외부에 접속된 안테나(11)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방송 설비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를 수신하고, 튜너부(12)에 공급한다. 튜너부(12)는, 안테나(11)를 통하여 공급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의 변조신호를 선국(選局)한다. 그리고, 선국된 변조신호에 대해 복조 처리나 오류 정정 처리 등의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시행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을 디스크램블러(13)에 대해 출력한다.
디스크램블러(13)는, 공급된 TS에 대해, 필요에 따라 스크램블을 해제하기 위한 처리를 시행하고, 스크램블이 해제된 TS를 디멀티플렉서(14)에 대해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14)는, 공급된 TS에 관하여, TS 패킷의 헤더부에 격납된, 각각의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PID(Packet IDentification)의 값에 의거하여 필터링을 행한다. 그리고, 다중된 TS 중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 등의 필요한 스트림을 취출하고, 디코더(15)에 공급한다.
디코더(15)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 각각 복호 처리를 시행하고,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복호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영상 처리부(16) 및 음성 처리부(17)에 각각 공급된다.
영상 처리부(16)는, 공급된 영상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나 해상도 변환, 프레임 보간 등의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시행하고, 표시 패널(1)에 공급한다. 표시 패널(1)로서는, 예를 들면, PDP(Plasma Display Panel)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 처리부(17)는, 공급된 음성신호에 대해 소정의 음성 처리를 시행하고, 음성 출력부(18)에 공급하고, 공급된 음성신호가 음성 출력부(18)로부터 출력된다.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에 마련된 조작 키를 유저가 조작함에 의해, 조작에 따른 커맨드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장치(10)에 마련된 무선 모듈(3)에 대해 송신한다.
무선 모듈(3)은, 수신용 안테나(21) 및 수신부(22)를 구비한다. 수신용 안테나(21)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부(22)에 공급한다. 수신부(22)는, 수신용 안테나(21)로부터 공급된 송신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시행하고, 제어부(19)에 공급한다.
제어부(19)는, 도시하지 않은 ROM(Read Only Memory)에 미리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RAM(Random Access Memory)을 워크 메모리로 하여 각 부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는, 수신부(22)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포함되는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행하도록, 각 부분을 제어한다.
[전파의 수신 방법]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백 커버(4)에 마련된 반사판(5)에서 반사시킴에 의해, 무선 모듈(3)에서 전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백 커버(4)에 반사판(5)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백 커버(4)에 반사판(5)이 마련되지 않은 수신장치(10')의 상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전파가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경우, 전파가 비금속성의 재료로 형성된 백 커버(4)를 투과하여 버린다. 그 때문에, 전파가 무선 모듈(3)의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아, 무선 모듈(3)에서 수신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다음에, 백 커버(4)에 반사판(5)을 마련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백 커버(4)에 반사판(5)을 마련한 수신장치(10)의 상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전파가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경우, 전파가 반사판(5)에 의해 반사함에 의해, 백 커버(4)를 투과하는 일없이 몸체 내부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정면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무선 모듈(3)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백 커버(4)의 일부에 반사판(5)을 마련한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반사판(5)으로서의 금속 테이프가 백 커버(4)의 4변 중, 무선 모듈(3)에 가장 근접한 저면측 변의 몸체 내부측에 부착되어 있다. 금속 테이프는, 길이 65㎜ 및 폭 20㎜이고, 무선 모듈(3)의 부근에 부착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금속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의 무선 모듈(3)에서의 안테나 게인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금속 테이프를 부착한 경우의 무선 모듈(3)에서의 안테나 게인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그래프에 있어서, 원주 방향의 각도는, 무선 모듈(3)의 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0°의 위치가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을 나타내고, 180°의 위치가 배면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원의 반경 방향이 안테나 게인의 크기를 나타내고, 내주측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안테나 게인이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테이프를 마련함에 의해, 배면 방향의 안테나 게인이 3dB 정도 향상하고, 통신거리가 약 1.4배가 된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10)가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와의 통신거리가 3m 정도였던 경우에는, 통신거리가 약 4.2m로 향상하기 때문에, 실내 등에서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20)를 조작할 때에는,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백 커버(4)에 반사판(5)을 부착함에 의해, 반사판(5)을 부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부터 전파가 송신된 경우, 전파의 진행 방향과 반사판(5) 사이에 표시 패널(1)이 차폐물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전파를 반사판(5)에서 반사시킬 수가 없어서, 무선 모듈(3)에서 수신할 수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스넬의 법칙에 따른 회절을 이용하여, 경사 방향에서의 전파를 반사시켜, 무선 모듈(3)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반사판(5)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스넬의 법칙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절율이 다른 2개의 물질 A 및 B의 경계면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를 각각 θa 및 θb로 하고, 굴절율을 각각 Na 및 Nb로 한 경우에, 이하의 식 (1)에 표시하는 관계가 성립한다.
sinθa/sinθb=Nb/Na … (1)
또한, 물질 A의 비유전율이 약 1이고, 물질 B의 비유전율이 ε(>1)라고 하면, 물질 A의 굴절율 Na가 1이 되고, 물질 B의 굴절율 Nb가 √ε가 된다. 따라서 물질 B의 굴절율이 1보다도 큰 경우에는, 물질 A에 입사된 전파가 상술한 식 (1)에 의거하여 회절되고, 물질 B를 통과한 때의 각도 θb가 물질 A를 통과한 때의 전파의 각도 θa에 대해 작아진다.
이와 같은 스넬의 법칙에 따른 회절을 이용하여, 전파가 수신장치(10)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관하여 생각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장치(10)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프레임(2)에 입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프레임(2)이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비유전율이 1보다도 크기 때문에, 프레임(2)에 입사된 전파는, 프레임(2) 내를 통과할 때에 스넬의 법칙에 따라서 회절되어, 진행 방향이 변화한다. 진행 방향이 변화한 전파는, 반사판(5)에 의해 반사하고, 몸체 내부에 유도됨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무선 모듈(3)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의 비유전율이 공기의 비유전율과 동일한 경우에는, 전파가 프레임(2) 내를 통과할 때에 회절되지 않고,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반사판(5)에서 반사시킬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백 커버(4)의 몸체 내부측에 반사판(5)을 마련함에 의해, 수신장치(10)의 정면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5)을 백 커버(4)의 몸체 내부측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장치(10)의 외관상의 변화가 없으므로, 디자인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반사판(5)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모듈(3)의 부착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부근에 무선 모듈(3)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과 무선 모듈(3)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억제함과 함께, 배선이 안테나로 되는 것에 의한 불요복사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반사판(5)을 백 커버(4)의 절곡부분에 마련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무선 모듈(3)에 의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다른 부분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5')를 수신장치(10)를 설치할 때의 스탠드부(30)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탠드부(30)에 반사판(5')을 마련함에 의해, 백 커버(4)에 반사판(5)을 마련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선 모듈(3)에서의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무선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10)에 마련된 튜너부(12)를 수신장치(10)로부터 분리한 구성으로 하고, 튜너부(12)와 수신장치(10) 사이에서 AV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1 : 표시 패널 2 : 프레임
3 : 무선 모듈 4 : 백 커버
5, 5' : 반사판 10, 10' : 수신장치
20 :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21 : 수신용 안테나
22 : 수신부 30 : 스탠드부

Claims (7)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또한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백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통신에 의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백 커버의 절곡부분의 부근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파를 반사시켜서, 상기 수신부에 유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비금속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주연부를 덮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이면측에 상기 반사판이 배치되고, 상기 전파가 상기 프레임을 투과할 때에 회절됨에 의해 변화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유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절곡부분은, 상기 주연부의 4변 중 적어도 1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절곡부분은, 상기 수신부에 가장 근접한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절곡부분의 절곡각은, 4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길이는, 상기 전파의 파장 λ에 대해 λ/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백 커버의 절곡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대신하여, 상기 스탠드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KR1020117018600A 2009-02-27 2010-02-04 수신장치 KR20110122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5193A JP5278039B2 (ja) 2009-02-27 2009-02-27 受信装置
JPJP-P-2009-045193 200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821A true KR20110122821A (ko) 2011-11-11

Family

ID=4266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600A KR20110122821A (ko) 2009-02-27 2010-02-04 수신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92941B2 (ko)
EP (1) EP2403240B1 (ko)
JP (1) JP5278039B2 (ko)
KR (1) KR20110122821A (ko)
CN (1) CN102326384B (ko)
BR (1) BRPI1008616A2 (ko)
RU (1) RU2011134845A (ko)
TW (1) TW201127044A (ko)
WO (1) WO2010098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628B1 (ko) 2012-05-2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050657B2 (ja) * 2012-11-12 2016-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
US9538117B2 (en) 2013-01-07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41400A (ko) 2013-05-29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25476B (zh) 2014-05-23 2016-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訊號接收模組與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76U (ja) * 1983-06-22 1985-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の伝達装置
JPS604076A (ja) 1983-06-23 1985-01-10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US5841227A (en) * 1996-01-24 1998-11-24 Terpin; David J. Radiation shield with opaque and transparent portion
WO2001017200A2 (en) * 1999-08-27 2001-03-08 Gentor.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tv channels on web
JP2002016988A (ja) * 2000-06-30 2002-01-18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4247853A (ja) * 2003-02-12 2004-09-02 Mazda Motor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4076958B2 (ja) * 2004-01-26 2008-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波送信装置及び放送波受信システム
KR20060008710A (ko) *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파 분산 기구를 이용한 리모콘 감지 시스템
JP4659712B2 (ja) * 2006-09-20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受光装置
IL179838A0 (en) * 2006-12-05 2007-05-15 Uzi Ezra Havosha Method and device to mount electronic devices vertically
JP2009094865A (ja) * 2007-10-10 2009-04-30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
CN201355859Y (zh) * 2008-12-16 2009-12-02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投电视及其遥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3240B1 (en) 2017-03-22
CN102326384B (zh) 2015-06-24
US20110298989A1 (en) 2011-12-08
RU2011134845A (ru) 2013-02-27
EP2403240A1 (en) 2012-01-04
TW201127044A (en) 2011-08-01
JP5278039B2 (ja) 2013-09-04
EP2403240A4 (en) 2014-02-26
BRPI1008616A2 (pt) 2016-03-15
WO2010098212A1 (ja) 2010-09-02
US8692941B2 (en) 2014-04-08
CN102326384A (zh) 2012-01-18
JP2010200201A (ja)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2389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8252566A (ja) Av機器
EP3352297B1 (en) Antenna device
KR20110122821A (ko) 수신장치
US7619573B2 (en) Wireless antenna module, an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US10868367B2 (en) Antenna apparatus
US20230420825A1 (en) Secondary Antenna for Wireless Microphone
KR10070322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
JP4484060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受信システム
US8159611B2 (en) Television receiver for electromagnetic wave type remote control
KR100610187B1 (ko) 고주파 수신 장치 및 고주파 수신 방법
TWI536656B (zh) 具指向性天線之顯示裝置
US7598920B2 (en) Input device of two orthogonal polarized-wave waveguide type, and radio wave receiving converter and antenna device using the input device
KR101055555B1 (ko) 인-몰드 안테나 일체형 튜너를 내장한 텔레비전
KR101698089B1 (ko) 휴대용 전자기기
JP4600890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91383B1 (ko) 튜너
KR100755609B1 (ko) 모듈 직결 방식의 셋톱 박스
JP2010183225A (ja) テレビ受信機のアンテナ
KR101705549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2006211292A (ja) アンテナ装置
KR20230166658A (ko) 차량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량
JP2010141765A (ja) 電子機器
KR20070064184A (ko)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9170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