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190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190A
KR20110122190A KR1020117021637A KR20117021637A KR20110122190A KR 20110122190 A KR20110122190 A KR 20110122190A KR 1020117021637 A KR1020117021637 A KR 1020117021637A KR 20117021637 A KR20117021637 A KR 20117021637A KR 20110122190 A KR20110122190 A KR 2011012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cylinder
insect
light shield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431B1 (ko
Inventor
아키라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앤 기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앤 기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앤 기가쿠
Publication of KR2011012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2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automatically res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차광성 통체를 이용하는 포충기의 벌레의 유인 포획 효율을 높이고, 포충 기능의 저감이나 고장을 초래하는 차광성 통체의 회전 변동이나 정지를 해소한다.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와 상기 차광성 통체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와 차광성 통체 양단에 플랜지와 블레이드 선단의 회전 궤적과 소정의 간격을 둔 차광성 통체 외부테두리 영역에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을 구비한 만곡면을 마련하고, 차광성 통체가 회전하면 그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블레이드와 플랜지와 만곡면으로 포충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차광성 통체 내에 광원을 마련하고, 차광성 통체에는 적어도 1개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차광성 통체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축위치 센서와 축위치의 어긋남을 검지하면 전동기를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시키는 수단과 그 전동기의 축위치에 어긋남을 생기게 하는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벌레나 이물을 차광성 통체로부터 괴리시키는 부재를 마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차광성 통체(opaque cylinder)가 회전하는 포충기(이하, 종래의 포충기라고 한다)에서는, 차광성 통체의 외부에 벌레 유도 형광등이 마련되어 있다. 벌레는 벌레 유도 형광등을 목표로 해서 비상하여 가고, 그 중의 통체 표면에 우발적으로 착지한 벌레는, 통체가 회전하여 가면, 통체 표면에 마련된 도피 방지 날개와 통체 양단의 플랜지와 통체 외주면과 통체의 일부를 덮는 만곡한 부재에 의해 폐쇄 상태가 되는 공간에 포착된다. 이 공간에 잡혀진 벌레에게, 원적외선이 조사되기 때문에 벌레는 죽는다. 통체가 또한 회전되어지면, 죽은 벌레는 낙하하여 수용상자에 수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24451(도 7 참조)
상기 기술한 종래의 포충기에서는, 많은 벌레의 천성적인 행동인 광을 향하는 정의 주성(이하, 「주광성」이라고 한다)을 자극하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형광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벌레는, 광원이 방사하는 자외선의 조사 범위를 나선형상으로 비상하면서 광원에 근접하여 가기 때문에, 광의 조사 상황에 변동이 없고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있으면, 벌레는 광범위한 조사 범위를 자유롭게 비상할 수가 있고, 벌레가 포충기의 광원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유인 효율이 반드시 좋지는 않다.
벌레는 광원을 목표로 하여 비상하여 가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포충기에 벌레가 포획되는 것은, 벌레가 광원 부근에 비상하여 온 때에, 우발적으로 차광성 통체 표면에 착지하기 때문이며, 포충의 확실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개량의 여지가 있다.
즉 종래의 포충기에서는 광은 변화 없이 조사되고 있기 때문에, 포충기가 설치된 공간의 광의 조사 상황에도 변화가 없다. 변화가 없기 때문에, 광에 대한 벌레의 길들여짐이 생기기 쉽다. 길들여짐이 생긴 결과, 벌레가 자외선을 감수하여도 곧바로 주광성의 행동을 일으키지 않는 일이나, 공간 내의 광이 조사되어 있는 개소에 머무르거나 하여 광원을 향하지 않는 일도 있고, 벌레의 구제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았다.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통체의 일부를 덮는 만곡한 부재의 간극보다 큰 벌레나 이물 등이 통체 외주면에 착지한 경우에는, 이 간극에 벌레나 이물이 끼여서, 통체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 있고, 이용자가 벌레나 이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않되어 작업에는 수고가 든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벌레가 좋아하여 비상하는 광의 조사 상황을 계속적으로 변화시켜, 벌레의 광에 대한 길들여짐을 막고, 벌레에게 통체 외주면 그 자체를 광원이라고 인식시키고, 벌레를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유인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역회전시켜서, 그 때에 이물 제거부재에 의해 소정의 회전을 저해하는 벌레나 이물을 통체로부터 괴리시키고, 회전의 변동이 해소된 후에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외주면을 가지며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와, 그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적어도 1개의 블레이드와, 그 차광성 통체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플랜지와, 그 차광성 통체가 회전할 때의 그 블레이드의 선단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와, 그 피복체에 마련한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 내부에 배치한 벌레유인 광원과, 그 차광성 통체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그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그 블레이드와, 그 플랜지와, 그 피복체의 만곡면에 의해 포충 폐쇄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제 1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를 전제로 하여,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그 차광성 통체를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의 회전의 변동이 해소된 때에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그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그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제 1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를 전제로 하여,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그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그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외주면을 가지며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와, 그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적어도 1개의 블레이드와, 그 차광성 통체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플랜지와, 그 차광성 통체가 회전할 때의 그 블레이드의 선단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와, 그 피복체에 마련한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에 마련한 벌레유인 광원과,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그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그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그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그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그 블레이드와, 그 플랜지와, 그 피복체의 만곡면에 의해 포충 폐쇄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제 1의 발명부터 제 4의 발명에 관한 벌레유인 광원을, 상기 차광성 통체 내부에 마련하는 대신에, 상기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상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의 발명에 관한 포충기는, 제 1의 발명부터 제 5의 발명에 관한 벌레유인 광원의 광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포함하고, 상기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가시광선을 투과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포충기에서는, 벌레는, 차광성 통체에 마련된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을 주광성에 의해 목표로 하여 가는 광원으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벌레가 광원으로서 인식하고 착지하려고 하는 면적을 광원 단체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넓게 한 분만큼 많은 벌레가 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벌레를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원은 차광성 통체 내부에 마련되고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광원이 벌레의 분비물 등으로 더럽혀지는 일이 없다.
차광성 통체에 1개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을 마련하면, 벌레는,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 전체면을 비상하여 목표로 하여 가는 광원으로서 인식한다. 벌레가 광원으로서 인식하는 면 그 자체가, 벌레가 착지하려고 하는 면으로 되고, 또한 포충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일부가 된다. 이 특징에 의해, 벌레는 광원 그 자체를 향하여 주행하고 착지한다. 그리고, 벌레는, 착지한 그 광원의 위에서 포충된다. 광원과 벌레를 포획하는 개소가 제각기 마련되어 있는 종래의 포충기에서는, 착지한 후에 다른 장소에 있는 광원을 향하여 재주행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포충기라면 그와 같은 재주행이 없기 때문에 포충의 효율 및 확실성을 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차광성 통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차광성 통체의 속으로부터 광이 나오는 영역)을 마련하고, 이 차광성 통체를 회전시키면, 어느 장소에 있는 벌레가 광원으로 인식하는 영역과 광원이라고 인식하지 않는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고, 또한 차광성 통체의 내부에 배치된 광원이 발하는 광의 조사 상황이 변화(회전에 수반하는 조사 각도의 변화에 의한 상황 변화 등)하기 때문에, 벌레의 광의 조사 상황에 대한 길들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레의 주광성을 잘 환기시킬 수 있다. 조사 상황에 대한 벌레의 길들여짐을 막는 것은, 효율 좋은 포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차광성 통체가 회전하여 가면, 포획되고 살충 내지 부동화한 벌레는 차광성 통체 외주면으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차광성 통체 외주면이 살충 내지 부동화한 벌레에게 막히는 일이 없다. 일반적인 포충기가 많이 채용하고 있는 점착 테이프와 같이, 벌레를 포획함에 따라 포충 점착면이, 포획한 벌레로 서서히 막혀져서 새로운 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면적이 감소하고 포충 효율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점착 테이프의 교환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수고가 걸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충기는, 전동기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예를 들면, 토오크 센서)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동기로 회전 구동하는 차광성 통체가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주로 부하의 증가)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소정의 범위에서 역회전시키고, 소정의 회전의 변동이 해소된 후에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포충기의 고장이나 손상을 막는다.
차광성 통체의 소정의 회전에 변동을 생기게 하는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벌레나 이물을 차광성 통체 외주면에서 괴리시키는 부재를,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구비하고 있다. 이 특징과 상술한 역회전하는 구성에 의해, 차광성 통체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벌레나 이물이 착지함에 의해 생기는 차광성 통체의 회전 변동이나 정지를 해소할 수 있고, 포충기가 기능을 다하지 않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용자가, 포충기의 가동 상태를 빈번하게 확인하는 수고나, 벌레나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포충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커버의 내부 및 차광성 통체 내부와 측면부를 설명하는 투시도.
도 3은 벌레를 포착하는 폐쇄 공간을 설명하는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4는 조사 범위의 변화를 설명하는 포충기의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도 2, 도 3,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포충기의 개략 구조)
포충기(1)는, 외주면(10a)을 가지며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10)와,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으로부터 원주 방향 등간격을 사이에 두고 기립하는 12개(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의 블레이드(14, …)와, 차광성 통체(10)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플랜지(15, 15)와, 차광성 통체(10)가 회전할 때의 블레이드(14, …)의 선단 궤적(19)(도 3 참조)과 소정 간격을 둔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18)와, 피복체(18)에 마련한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21)과, 차광성 통체(10) 내부에 배치한 벌레유인 광원(13)과, 차광성 통체(10)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포함하여 개략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과, 블레이드(14, …)와, 플랜지(15, 15)와, 피복체(18)의 만곡면에 의해 포충 폐쇄 공간(27)(도 3 참조)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차광 통체의 구조)
차광성 통체(10)의 형상은, 다각형의 차광성 통체라도 그 밖의 형태라도 좋지만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을 선택하였다. 차광성 통체(10)의 중심에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회전축(10b)이 통과하고, 차광성 통체(10)가 회전축(10b)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10b)은, 차광성 통체(10)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이라도 좋고, 그 자체는 회전하지 않고 차광성 통체(10)만이 회전하는 축이라도 좋다. 차광성 통체(10) 전체는 광을 투과하지 않는 차광성의 것이지만, 그 외주면(10a)에는, 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광 투과를 허용하는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복수 마련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는, 투명한 합성 수지의 내벽에 차광재를 도포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리고 차광재를 도포하지 않는 영역(즉,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차광 통체(10)의 외주면(10a)중,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 …) 이외의 영역인 것을,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 …)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은,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 …)과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 …)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여기서는, 차광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역으로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 …)을 기본으로 하여 차광 영역을 차광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각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의 형상에 한정은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성 통체(10)의 길이 방향 거의 전체 길이로 늘어나는 가늘고 길다란 슬릿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의 전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물방울 무늬풍으로 원 또는 타원을 랜덤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벌레유인이 가능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은 슬릿형상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 …)과 그들에 인접하는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이들 서로 다르게 존재하는 2개의 영역은, 차광성 통체(10)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10b)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 내에는, 벌레 유인광을 발하는 광원(벌레유인 광원)(13)을 마련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과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과의 경계의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으로부터는, 전술한 블레이드(14, …)가 기립한다. 각 블레이드(14)는, 차광성 통체(10)의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직선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15도부터 45도까지의 사이에서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3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0도 경사시켜서 마련하고 있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경사시킴에 의해 피복체(18)의 만곡면(20)과의 협동에 의해 폐쇄 공간(27) 내에 벌레를 끌어들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다. 15도부터 45도까지로 한 것은, 15도 미만에서는 블레이드(14)와 외주면(10a) 사이가 너무 넓어서 일단 포충한 벌레가 도망치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이고, 45도를 초과하면 외주면(10a)과의 사이가 너무 좁아 포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각 블레이드(14)는, 기립 방향으로 곧바로라도 좋지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선단이 차광성 통체(10)의 소정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만곡(즉, 벌레를 끌어들이는 방향의 만곡)이 있어도 좋다. 차광성 통체(10)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양 플랜지(15, 15)는 원형이고, 그 원주는, 블레이드(14)의 선단 궤적(19)과 거의 일치한다. 폐쇄 공간(27)을 양사이드에서 폐쇄하기 위해서다.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16은 측면판(16)을 나타내고, 이 측면판(16)은,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축(10a)을 양단에서 지지하도록 배면판(17)에 부착하고 있다. 측면판(16)과 배면판(17)은, 포충기(1)의 몸통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피복체(18)는, 배면판(17)과 차광성 통체(10)의 상부의 간극을 막도록 구성하고 있다. 피복체(18)의 만곡면(20)은, 배면판(17)의 차광성 통체(10)측에 배치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는, 예를 들면 외경 10㎝부터 20㎝가, 벌레가 착지하기 쉽고 범용성이 많지만, 유인 포획하고자 하는 벌레의 크기나 종류나, 포충기를 설치하는 상황등에 맞추어서 임의의 사이즈의 외경이나 통 길이로 할 수 있다. 차광성 통체(10)의 소정의 회전은, 도 1에서 앞쪽부터 상방으로(도 3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 그리고 배면판(17)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은, 느리면 벌레가 도피하기 쉽고, 빠른 경우는 벌레가 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이 움직이는 속도는 매분 6㎝부터 13㎝가 벌레는 착지하기 쉽고 효과적이므로, 이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차광성 통체의 외형의 크기나, 벌레의 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의 넓이나 벌레의 종류 등에 의해, 차광성 통체를 회전시키는 적절한 시간은 변하기 때문에, 상기 속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광성 통체의 소정의 회전은, 간단이 없는 연속적인 회전이라도, 간헐적인 회전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속도 변화나 광도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라도 좋다.
차광성 통체(10)의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은, 광원(13)의 자외선은 차광하고 사람의 가시광선을 투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은 벌레 유인광도 가시광선도 투과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투과 불투과에 관계없이 차광성 통체로부터 가시광선이 나오고 있고,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은 사람이 볼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과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의 사이에 사람에게 있어서 가시광적인 차이는 없다. 차이가 있으면 주어져야 할 광의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차광성 통체(10)는 사람에 느끼게 하지 않는다. 이 점, 광원을, 예를 들면, 셔터에 의해 개폐하여 가시광선 조차도 차단하여 버리도록 구성하면, 사람은 점멸광을 보게 되기 때문에, 강한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 가시광선을 차단하지 않고서 자외선만을 차단하는 것은, 본건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차광성 통체(10)에는, 예를 들면 자외선을 투과하는 메타크릴 수지(아크리라이토#000 : 미쯔비시 레이욘(주)사제)를 이용하고,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에 자외선 컷트 필름을 붙임으로써,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과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수법이나 재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와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수지를 조합시키고 차광성 통체(10)를 구성하여도 좋고,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에 자외선으로 한정하지 않고 광범위한 파장의 광을 투과하기 어려운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벌레유인 광원의 구조)
벌레유인 광원(13)은, 많은 종류의 벌레를 유인하는 파장 400㎚ 이하의 사람의 가시 범위 외의 자외선을 많이 방사하는 광원이 바람직하고, 파장 365㎚을 피크로 하여 자외선을 방사하는 벌레 유도 형광등 등은 범용성이 높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자형의 벌레 유도 형광등을 채용하고 있다. 근래, 해충의 일종인 오오타바코가가, 420㎚, 470㎚, 560㎚ 및 590㎚ 부근의 광에 잘 반응하는 것이 발표되어 있기 때문에, 400㎚ 이하의 자외선을 많이 방사하는 광원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인 포획하고자 하는 벌레가 좋아하는 파장을 발하는 광원이라면, 어떤 광원을 채용하여도 좋다. 유기 전계발광 등에 의한 발광 소자를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으로 하는 개소에 배치하고, 차광성 통체(10) 내에 광원을 배치하지 않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발광 소자의 표면이 차광성 통체(10)의 표면이 되고, 발광 소자의 표면을 투과하고 발광 소자의 광이 차광성 통체(10)의 밖으로 나가게 된다.
만곡면(20)에는, 벌레를 살충 내지 부동화하는 수단으로서 원적외선 조사 부재(21)를 마련하고 있다(도 2, 3 참조). 차광성 통체(10)의 편측에는 광원(13)의 교환용 덮개(22)를 마련하고, 차광성 통체(10)의 또 다른 한쪽의 측에는 차광성 통체(10)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23)를 마련하고 있다. 차광성 통체(10)의 하부에는 선반(24)을 마련하고, 살충 내지 부동화한 벌레를 넣는 착탈 가능한 수용상자(25)를 설치하고 있다. 벌레의 시체를 넣는 수용상자(25)나 본 포충기의 하부 구조가 외부에서 시인된 것을 막는, 개폐 가능한 커버(26)를 마련하고 있다. 벌레를 살충 내지 부동화하는 수단에는, 원적외선을 많이 방사한 면형상의 원적외선 방사 부재나 세라믹이나 카본을 이용하는 히터 등도 이용할 수 있고, 초음파를 발하는 부재나 살충 성분을 방출하는 부재 등이라도 좋고, 벌레를 살충 내지 부동화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도 1의 X―X 단면을 도시하는 도 3으로 설명한다. 광원(13)이 발하는 광을 감지한 벌레는, 차광성 통체(10)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목표로 하여,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투과한 광의 조사 범위를 비상하여 가고, 이어서는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에 착지한다. 차광성 통체(10)가 소정의 방향(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에 따라,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을 상면(床面)으로 하여, 블레이드(14)와 플랜지(15)가 사방을 둘러싸는 벽면이 되어 형성되어 있는 개방 공간은, 서서히 만곡면(20)에 의해 덮혀져 가서 폐쇄 공간(27, …)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에 착지한 벌레는, 폐쇄 공간(27, …)에 잡히여 도피할 수가 없게 되고, 폐쇄 공간(27, …)이 되어 있는 사이에 만곡면(20)에 마련된 원적외선 조사 부재(21)에 의해 원적외선을 조사되고, 살충 내지 부동화된다. 플랜지(15)에 대신하여 측면판(16)에 의해 폐쇄 공간(27)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플랜지(15)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을 상면으로 하고, 블레이드(14)와 측면판(16)이 사방을 둘러싸는 벽면이 되어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 만곡면(20)으로 덮여져서 폐쇄 공간(27)이 형성된다. 폐쇄 공간(27)은,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외주면(10a)이 만곡면(20)의 덮개로부터 개방됨에 의해 개방 공간으로 되돌아온다.
차광성 통체를 구동하는 전동기(23)에는, 제어 회로에 의해 펄스 전력에 동기하여 회전 제어할 수 있는 동기 전동기를 선택하고 있다. 전동기(23)에는, 축위치 센서(2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는, 축위치 센서(28)가 발하는 전동기(23)의 축위치의 어긋남을 고지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전동기(23)를 소정의 회전과는 역으로 회전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동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전동기(23)가 역회전하면 차광성 통체(10)의 회전도 소정의 회전과 역으로 회전한다. 전동기(23)의 역회전은, 차광성 통체(10)의 소정의 회전과는 역으로 회전하는 범위가, 차광성 통체(10)의 피복체(18)로 덮이지 않은 측의 피복체(18)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동기(23)가 소정의 회전과 역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이용자에게 나타내는 모니터 램프나 경고음 발생 장치나 광원(13)의 소등 등의 고지 수단을 시행하면, 이용자에 대한 편익성은 높다. 어느 고지 수단도 필수는 아니고 생략하여도 좋다.
이 동기 전동기(23)의 축위치의 어긋남을 검지하는 센서에 대신하여,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의 변동을 검지할 수 있고, 제어 회로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면, 토오크 센서)를 채용하여도 좋다. 차광성 통체(10)를 회전시키는 수단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제어 가능한 전동기라면 동기 전동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차광성 통체(10)가 소정의 회전과 역으로 회전할는 때에,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에 착지한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벌레나 이물을 차광성 통체(10)로부터 괴리시키는 이물 제거 부재(29)를, 블레이드(14)의 선단 궤적(19)과 소정 간격을 띠여서 피복체(18)로 덮이지 않은 차광성 통체(10)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하고 있다. 이물 제거 부재(29)에는, 선형상이나 봉형상이나 판형상이나 브러시형상의 부재를 채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항균 고무를 도포한 금속봉을 선택하고 있다. 이물 제거 부재(29)의 부재로는 상기 부재로 한정하지 않고,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벌레나 이물을 차광성 통체(10)로부터 괴리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재라면 어느 소재라도 채용할 수 있다.
차광성 통체(10)가 역회전할 때에, 이물 제거 부재(29)를 진동시키거나, 차광성 통체(10)의 회전과 역으로 회전시키거나 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살충 내지 부동화한 벌레가, 차광성 통체(10)로부터 벌레 수용상자(25)를 향하여 낙하되어 가도록 유도하는 유도 사면(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충기(1)의 포충 기능의 저감이나 고장을 초래하는 차광성 통체(10)의 회전 변동이나 정지를 해소하는 것을 설명한다. 전동기(23)의 회전의 변동의 대부분은, 소정의 치수 이상의 벌레나 이물이 차광성 통체(10)의 외주면(10a)에 착지하고 그 후의 회전에 의해 만곡면(20)과 블레이드(14) 상단의 간극에 끼여서,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이 저해됨에 의해 생긴다. 차광성 통체(10)의 회전이 저해되면, 차광성 통체(10)의 소정의 회전이 변동하고 전동기(23)의 축위치에도 어긋남이 생긴다. 전동기(23)에 구비한 축위치 센서(28)는 이 축위치의 어긋남을 검지하고, 축위치의 어긋남을 고지하는 신호를 제어 회로에 발신한다. 제어 회로는, 이 신호를 받으면 전동기(23)를 역회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차광성 통체(10)가 역회전할 때, 차광성 통체(10)가 역회전하는 진행 방향(도 3의 시계 회전 방향)에 대해 블레이드(14)는 뒤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차광성 통체(10)가 역회전하여 가면, 이물 제거 부재(29)는 소정의 치수 이상의 벌레나 이물의 블레이드(14)의 높이를 초과한 개소에 접촉하여 블레이드(14)의 상부로 밀어올려지고, 차광성 통체(10)로부터 괴리시킨다. 전동기(23)는, 프로그램으로 정한 범위를 역회전한 후에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하고, 차광성 통체(10)도 소정의 회전으로 되돌아온다.
한번의 역회전 동작으로 벌레나 이물이 차광성 통체(10)로부터 괴리되지 않아, 재차 전동기(23)의 축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는, 상기한 축위치의 어긋남을 고지하는 신호의 발신부터 차광성 통체(10)가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하기 까지의 동작(이물 제거 프로그램)이, 회전의 어긋남이 해소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물 제거 프로그램을 소정의 회수 반복하여도 회전의 어긋남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는, 본 포충기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하도록 제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복수 마련한 본 발명의 포충기(1)를, 실내의 벽면에 설치한 때의 측면도이다. 조사 범위(31)는, 광원(13)이 발하는 벌레 유인광이 차광성 통체(10)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투과하여 차광성 통체(10)의 외부에 조사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차광 범위(32)는,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에 의해 벌레 유인광의 조사가 차단되어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조사 범위(31) 및 차광 범위(32)는, 벌레 유인광으로서의 자외선의 조사 및 차광을 나타내는 것이고,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12)을 가시광선을 투과하도록 구성한 경우는, 양자 사이에 가시적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을 투과한 벌레 유인광의 조사 범위(31a)는, 차광성 통체(10)가 회전하여 가면 윗방향으로 이행하여 가고, 천장(33)을 향하여 조사되는 범위(31b)로 이행한다. 더욱 차광성 통체(10)가 회전하여 가면, 조사 범위(31b)는, 벽면(34)을 향하여 조사되는 범위(31c)로 이행한다. 벌레가 비상하는 벌레 유인광의 조사 범위는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벌레는 효율적으로 광원을 목표로 하여 비상할 수 있고, 드디어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11)에 착지하고, 폐쇄 공간(27)에 포집된다. 차광성 통체(10)가 회전함에 의해, 이 일련의 동작은 연속하여 반복된다.
10 : 차광성 통체
10a : 외주면
10b : 회전축
11 :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
12 :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
13 : 광원
14 : 블레이드
15 : 플랜지
16 : 측면판
17 : 배면판
18 : 피복체
19 : 선단 궤적
20 : 만곡면
21 : 원적외선 조사 부재
22 : 교환용 덮개
23 : 전동기
24 : 선반
25 : 수용상자
26 : 커버
27 : 폐쇄 공간
28 : 축위치 센서
29 : 이물 제거 부재
30 : 유도 사면
31 : 조사 범위
32 : 차광 범위
33 : 천장
34 : 벽면

Claims (6)

  1. 외주면을 가지며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적어도 1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플랜지와,
    상기 차광성 통체가 회전할 때의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와, 상기 피복체에 마련한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 내부에 배치한 벌레유인 광원과,
    상기 차광성 통체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피복체의 만곡면에 의해 포충 폐쇄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의 회전의 변동이 해소된 때에 소정의 회전으로 복귀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4. 외주면을 가지며 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차광성 통체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적어도 1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양사이드에 마련한 플랜지와,
    상기 차광성 통체가 회전할 때의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만곡면을 갖는 피복체와, 상기 피복체에 마련한 살충 내지 벌레 부동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에 마련한 벌레유인 광원과,
    차광성 통체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광성 통체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으로부터 변동한 것을 검지한 때에 차광성 통체를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는 수단과,
    피복체로 덮이지 않은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부테두리 영역에 상기 차광성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블레이드의 선단 회전 궤적과 소정 간격을 둔 이물 제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차광성 통체 외주면과,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피복체의 만곡면에 의해 포충 폐쇄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레유인 광원을 상기 차광성 통체 내부에 마련하는 대신에, 상기 벌레 유인광 투과 영역상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레유인 광원의 광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포함하고, 상기 벌레 유인광 불투과 영역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가시광선을 투과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KR1020117021637A 2009-02-26 2010-02-25 포충기 KR101622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3939 2009-02-26
JP2009043939 200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190A true KR20110122190A (ko) 2011-11-09
KR101622431B1 KR101622431B1 (ko) 2016-05-18

Family

ID=4266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637A KR101622431B1 (ko) 2009-02-26 2010-02-25 포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68546B2 (ko)
KR (1) KR101622431B1 (ko)
TW (1) TWI478664B (ko)
WO (1) WO2010098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67B1 (ko) * 2012-12-31 2013-04-10 김연우 벽면 설치형 포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3760B2 (ja) * 2013-08-26 2017-02-01 大森 弘一郎 捕虫装置
WO2017200314A1 (ko) * 2016-05-18 2017-11-23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KR20170131148A (ko) 2016-05-18 2017-11-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USD818559S1 (en) 2016-05-20 2018-05-22 Ecolab Usa Inc. Insect trap
GB201619677D0 (en) * 2016-11-21 2017-01-04 Rentokil Initial 1927 Plc An insect light trap
CN107535479B (zh) * 2017-08-28 2020-11-27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杀虫方法与装置
JP6972176B2 (ja) * 2017-12-26 2021-11-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屋内性のマダラメイガ亜科に属する蛾の成虫の捕獲方法、光源装置及び捕獲器
CN108157316B (zh) * 2018-03-23 2021-01-05 海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利用色板诱捕黄曲条跳甲的简易装置
JP2019180243A (ja) * 2018-04-02 2019-10-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寄生虫防除方法および寄生虫防除装置
CN109459447B (zh) * 2018-11-23 2023-09-12 菲特(天津)检测技术有限公司 发光光源结构、圆柱类工件检测装置及检测方法
MX2022002370A (es) * 2019-08-26 2022-03-29 Pestroniks Innovations Pte Ltd Se?uelo o repelente para artropodos, trampa para artropodos y dispositivo de iluminacion.
CN110771585A (zh) * 2019-11-07 2020-02-11 福建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小型昆虫图像自动采集与识别计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6Y2 (ko) * 1987-03-02 1993-01-13
JPH0681280U (ja) * 1993-04-30 1994-11-22 薫 友野 吸引式殺虫器
JP3746430B2 (ja) * 2000-02-17 2006-02-15 榎戸 丈夫 連続捕虫装置
JP2003061543A (ja) 2001-08-24 2003-03-04 Kitamura Tomoko 連続捕虫装置
JP4405231B2 (ja) 2003-10-22 2010-01-27 北村 知子 虫類駆除装置
JP4387874B2 (ja) * 2004-06-07 2009-12-24 エコア株式会社 光学誘引捕虫器
JP2008035847A (ja) * 2006-08-07 2008-02-21 Sunaba Junichi 連続補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67B1 (ko) * 2012-12-31 2013-04-10 김연우 벽면 설치형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6540A (en) 2010-10-16
TWI478664B (zh) 2015-04-01
JPWO2010098377A1 (ja) 2012-09-06
JP5568546B2 (ja) 2014-08-06
WO2010098377A1 (ja) 2010-09-02
KR101622431B1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2190A (ko) 포충기
KR102526536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1649123B1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JP4702158B2 (ja) 害虫防除器具及びその取付構造
JP4912667B2 (ja) 飛翔虫捕獲器
KR102391937B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JP5117922B2 (ja) 捕虫装置
JP2008035847A (ja) 連続補虫装置
JP4701868B2 (ja) 光誘引捕虫システム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KR20190019763A (ko) 포충기
JP4197969B2 (ja) 捕獲殺虫用照明装置
JP6073760B2 (ja) 捕虫装置
WO2020074736A1 (de) Insektenfangvorrichtung, verfahren zum fangen von insekten und verwendung der insektenfangvorrichtung
JP3968717B2 (ja) 照明器具
CN109906031B (zh) 一种用于杀死害虫的装置
KR100426496B1 (ko) 해충 퇴치기
KR200416317Y1 (ko) 곤충 포집기
JP2005058050A (ja) 捕獲殺虫装置
KR20160091603A (ko) 해충 퇴치 모듈
KR101774554B1 (ko) 해충 포획장치
JPH1146657A (ja) 捕虫装置
JP2012055246A (ja) 徘徊性昆虫誘引システム
JP2007312631A (ja) 夜行性害虫抑制装置及び夜行性害虫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