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03A - 해충 퇴치 모듈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1603A KR20160091603A KR1020150011904A KR20150011904A KR20160091603A KR 20160091603 A KR20160091603 A KR 20160091603A KR 1020150011904 A KR1020150011904 A KR 1020150011904A KR 20150011904 A KR20150011904 A KR 20150011904A KR 20160091603 A KR20160091603 A KR 20160091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st
- module
- blocking
- insect
- control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 퇴치 모듈은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일체로 형성되어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한다.
해충 퇴치 모듈은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충이 피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제거하여 해충에 물리는 피해를 예방하며, 해충 퇴치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과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을 다르게 설정하여 목표하는 지역에 대한 해충 방어가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해충 퇴치 모듈은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충이 피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제거하여 해충에 물리는 피해를 예방하며, 해충 퇴치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과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을 다르게 설정하여 목표하는 지역에 대한 해충 방어가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충 퇴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일체로 형성되어 해충의 유인 및 차단을 동시에 수행하여 차단이 적용되는 특정 구역에 해충 안전존을 만들 수 있는 해충 퇴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기 등의 해충은 인류에게 적으로 인지되고 이의 퇴치 기구 및 방법이 오랜 기간 연구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 초음파, 램프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것이 개발되었다.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는 연무, 액무 형태로 살초되는 약제와, 해충이 선호하는 광을 점등 조사하여 일정 장소로 군집하는 해충을 흡입하여 가두는 포집기 등이 실용화되어 있다.
약제 살포 방식은 살충 범위가 넓고 그 효과가 신속한 특징이 있으나 약제에 의한 주변 공기나 물 또는 음식물, 농수산물 등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빛으로 해충을 유인시켜 포집하는 방식은 모기와 같은 해충을 빛을 이용하여 유인한 후,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흡입팬에 의해 해충을 포획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약제 방식에 비해 주위 공기나 물 또는 농작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살충 효과가 떨어지고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낮에 그다지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낮에 장사를 하는 상인들의 경우 빛을 발산하여 해충을 포집하는 장치 이외에 모기향과 같은 약제 살포 수단을 별도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기 퇴치 기술로 살충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모기의 면역력이 빠르게 증가하는 이유로 점점 강한 살충제를 사용해야 하므로 인체 유해성 및 유익한 곤충까지 죽여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빛이나 초음파로 모기를 유입하여 제거하는 방식은 유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100% 완전한 모기 유인이 어려우며 멀리 떨어진 모기나 날벌레 등을 오히려 주변으로 유인하는 부작용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가정에서 약제 살포 수단, 램프 등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모기의 환경 적응력이나 살충 및 유인 효과를 피할 수 있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는 피해를 완전하게 예방하지 못한다.
이 밖에 바퀴벌레, 파리, 소나무재선충, 진딧물, 집먼지진드기, 벼멸구 등과 같은 유해 해충들 또한 다양한 유인제와 살충제들이 개발되어 있음에도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사람과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일체로 형성되어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는 해충 퇴치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구역에 설치하여 안쪽으로 해충 퇴치 모듈이 향하고 바깥쪽에 해충 유인 모듈이 향하도록 하여 안쪽으로 해충 유입을 차단하거나 야외 공간에 단일 또는 복수로 해충 안전존을 설치하여 사람이 활동하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곳으로의 해충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은,
중공의 원통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하며, 외주면 중에서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1 개방부와, 외주면 중에서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2 개방부와,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를 개폐하여 개방폭을 각각 조절하는 면적 조절부재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을 구비한 해충 유인 모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면에는 해충이 싫어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을 구비한 해충 차단 모듈이 형성되어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이 설정되고,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이 설정되는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은,
중공의 원통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하며, 외주면 중에서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1 개방부와, 외주면 중에서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2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을 구비한 해충 유인 모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면에는 해충이 싫어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을 구비한 해충 차단 모듈이 형성되어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이 설정되고,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이 설정되는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충이 피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제거하여 사람이 해충에 물리는 피해와 농작물에 발생하는 해충 피해를 완벽하게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충 퇴치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과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을 다르게 설정하여 목표하는 지역에 대한 해충 방어가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충 퇴치 모듈에서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방제가 가능하고 유인 및 차단을 동시에 구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충의 면역력이 증가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해충 퇴치 모듈로서 생활하는 공간과 농작물에 대해서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여 보건 환경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면적 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모듈에서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100)은 중공의 원통형 구조로서 내부에 해충 유인 모듈(200)과 해충 차단 모듈(300)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외부면 중에서 해충 유인 모듈(200)이 위치한 부분이 일부 개방된 제1 개방부(202)와 하우징(102)의 외부면 중에서 해충 차단 모듈(300)이 위치한 부분이 일부 개방된 제2 개방부(302)를 포함한다.
해충 퇴치 모듈(100)은 중공형 원통형 구조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해충 유인 모듈(200)은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해충 차단 모듈(300)은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장치이다.
제1 개방부(202)와 제2 개방부(302)는 하우징(102)의 외주면의 일부를 개방한 영역을 나타내고, 슬라이드되어 개폐하는 제1 도어(204)와 제2 도어(304)가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102)은 내측에 해충 유인 모듈(200)과 해충 차단 모듈(300)이 별도의 공간에 각각 존재한다.
해충 유인 모듈(200)과 해충 차단 모듈(300)은 면적 조절부재(210, 310)에 의해 제1 도어(204)와 제2 도어(304)를 하우징(102)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개방부(202)와 제2 개방부(302)의 개방폭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부재(210, 310)는 하우징(102)의 제1 도어(204)의 각도를 조절하여 해충 차단존(205)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해충 차단존(205)은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을 나타낸다.
면적 조절부재(210, 310)는 하우징(102)의 내부에 원형의 기둥(211, 311)이 세워지고 기둥(211, 311)의 상측에 롤러(212, 312)를 갖는 롤러브라켓(213, 313)을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하며 롤러(212, 312)에 접촉하여 기둥(211, 31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드럼(214, 314)을 수직 입설한다.
회전드럼(214, 314)은 내주면에 다수개의 롤러(212, 312)가 서로 접촉하여 롤러(212, 312)에 의해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드럼(214, 314)의 외주면에는 수평 방향의 도어연결부재(215, 315)가 하나 이상 연결되며 도어연결부재(215, 315)의 끝단에 원호형의 제1 도어(204)와 제2 도어(304)가 형성된다.
도어연결부재(215, 315)는 제1 도어(204) 및 제2 도어(304)와 결합되어 있으며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도어(204)와 제2 도어(304)에 의해 제1 개방부(202)와 제2 개방부(302)를 슬라이드하여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회전드럼(214, 314)의 상부 선단에는 다수의 연결대(222, 322)에 의해 링상의 스프로킷(220, 320)을 기둥(211, 311)의 둘레에 이격 고정하고, 그 스프로킷(220, 320)을 하우징(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23, 323)와 체인(224, 324)과 연결한다.
제1 도어(204) 및 제2 도어(304)는 구동모터(223, 323)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킷(220, 320)과 회전드럼(214, 314)이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드럼(214, 314)에 연결된 도어연결부재(215, 315)가 소정 각도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되어 제1 개방부(202) 및 제2 개방부(302)를 개폐한다.
제1 도어(204) 및 제2 도어(304)는 제1 개방부(202)와 제2 개방부(302)를 소정 각도로 개폐하여 해충 차단존(205)의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해충 유인 모듈(200)은 하우징(102)의 내측 일측 공간에 형성되어 하우징(102)의 제1 개방부(202)에 제1 철망(203)이 설치되고, 하우징(102)의 내부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점등 가능하게 내설 구비되는 유인램프(230)와, 유인램프(230)의 소켓으로 중공의 기둥체로 해충의 유인이 가능하도록 어두운 원색의 검정색으로 성형된 캡(232)이 형성된다.
해충 유인 모듈(200)은 전기살상부(234), 냄새패드(238), 포집통(240), 유인음파발생기(242) 및 흡입팬(244)을 포함하고, 면적 조절부재(210, 310)에 의해 제1 도어(204)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1 개방부(202)의 개방폭을 조절함으로써 해충 차단존(205)의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유인램프(230)는 다양한 파장의 색상으로 모기를 효과적으로 유인한다.
캡은 검정색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두운 원색이면 곤갈색, 빨강색, 보라색 등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성형될 수도 있다.
유인램프(230)는 해충이 좋아하는 350 내지 420nm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여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외선 LED 장치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mm의 파장의 빛이 해충을 가장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전기살상부(234)는 유인램프(230)로부터 하우징(102)의 내측 방향에 형성되어 제1 개방부(202)로 흡입된 해충을 태우기 위한 것으로 고압전기가 흐르는 다수개의 전기라인(236)으로 이루어진다.
냄새패드(238)는 전기살상부(234)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해충을 냄새로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해충유인제를 포함한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해충유인제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패드이며, 일례로 젖산 및 에탄올을 젤라틴 용액에 첨가하여 겔화시킨다.
해충유인제는 젖산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켜 해충 유인의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는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및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화 방지제 역할을 하는 자몽씨 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포집통(240)은 하우징(10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기살상부(234)에 의해 태워진 해충의 잔해가 포집되는 것으로 하우징(102)의 하단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인음파발생기(242)는 하우징(102) 내측에 설치되어 해충의 종류에 따라 적정 주파수의 음파를 발생하는데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주파수인 300 내지 400Hz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흡입팬(244)은 해충유인제나 유인음파발생기(242), 유인램프(23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제1 개방구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압을 발생하도록 한다.
흡입팬(244)은 제1 개방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며 흡입되는 공기에 해충들이 흡입된다. 흡입팬모터(246)는 흡입팬(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입팬(244)을 구동시킨다.
해충 차단 모듈(300)은 하우징(102)의 내측 일측 공간에 형성되어 하우징(102)의 제2 개방부(302)에 제2 철망(303)이 설치되고, 하우징(102)의 내부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점등 가능하게 내설 구비되는 차단램프(330)와, 해충퇴치패드(340) 및 퇴치음파발생기(342)를 포함한다.
해충 차단 모듈(300)은 면적 조절부재(210, 310)에 의해 제2 도어(304)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2 개방부(302)의 개방폭을 조절함으로써 해충 안전존(305)의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부재(210, 310)는 하우징(102)의 제2 도어(304)의 각도를 조절하여 해충 안전존(305)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해충 안전존(305)은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에 의해 해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전 면적을 나타낸다.
차단램프(330)는 해충이 싫어하는 650 내지 700nm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여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LED 장치이고, 차단램프(330)의 소켓으로 중공의 기둥체로 이루어진 캡(332)을 포함한다.
해충퇴치패드(340)는 차단램프(33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해충을 냄새로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해충퇴치제를 포함한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해충퇴치제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방향 성분을 가지는 약제로서 약제의 향이 외부로 용이하게 전해지도록 송풍팬(344)에 의해 약제의 향을 확산시켜 해충의 접근을 막는다.
해충퇴치제는 사람이나 가축에게 해가 되지 않은 천연재료로서 방향 성분을 포함한 아로마오일을 흡수하여 소정 시간동안 자연 증발시킨 부직포, 면섬유지, 펄프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구성된 패드이다.
아로마오일은 환경친화적으로 식물이나 허브를 사용하게 되는데 허브의 일종인 제라늄 또는 로즈 제라늄이 해충이 싫어하는 향을 내어 해충을 퇴치한다.
해충퇴치제는 허브, 민트 등의 아로마오일을 사용하고 이에 더하여 제라늄, 로즈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을 사용하여 해충이 해충 안전존(305)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극대화한다.
퇴치음파발생기(342)는 하우징(102) 내측에 설치되어 해충이 싫어하는 초음파 대역의 음파를 발생하는데, 특히 해충들이 싫어하는 초음파 대역인 20 내지 65KHz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퇴치음파발생기(342)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내성을 갖는 해충을 감안하여 내측과 외측에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이중발진소자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2가지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이중대역 초음파발생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해충 퇴치 모듈(100)은 유인램프(230), 전기살상부(234), 냄새패드(238)로 이루어진 해충 유인 모듈(200)과, 차단램프(330), 해충퇴치패드(340), 퇴치음파발생기(342)로 이루어진 해충 차단 모듈(300)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다른 모듈을 포함하여 해충 유인 모듈(200)과 해충 차단 모듈(3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110)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도어(204)와 제2 도어(304)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 개방부(202)의 개방폭과 제2 개방부(302)의 개방폭을 다르게 설정하여 해충 차단존(205)과 해충 안전존(305)을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해충 유인 모듈(200)의 유인램프(230), 유인음파발생기(242)를 제어하여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한다.
제어부(110)는 해충 차단 모듈(300)의 차단램프(330), 퇴치음파발생기(342)를 제어하여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이 해충 안전존(305)으로의 유입을 원천 차단한다.
해충의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충 퇴치 모듈(100)의 전원을 온(on) 시키면, 제어부(110)는 흡입팬모터(246)를 구동하여 흡입팬(244)을 작동시키고 유인램프(230), 전기살상부(234) 중 하나의 장치를 동작시키며, 동시에 송풍팬모터(346)를 구동하여 송풍팬(344)을 작동시키며, 차단램프(330), 퇴치음파발생기(342) 중 하나의 장치를 동작시킨다.
해충 퇴치 모듈(100)의 해충 유인 모듈(200)은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되어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제1 개방부(202)로 빨려 들어가 전기살상부(234)에 접촉되는 순간 태워진다. 이렇게 태워진 해충의 잔해는 포집통(240)에 떨어져 포집된다.
해충 퇴치 모듈(100)의 해충 차단 모듈(300)은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 안전존(305)으로의 해충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하나의 해충 퇴치 모듈(100)은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영역인 해충 차단존(205)과, 해충을 퇴치하여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영역인 해충 안전존(305)을 동시에 형성하여 해충의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해충에 물리는 피해와 농작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한다.
해충 퇴치 모듈(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해충 안전존(305)과 해충 차단존(205)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해충 안전존(305)과 해충 차단존(205)을 형성하는 각도를 입력받거나, 해충 유인 모듈(200)의 유인램프(230), 전기살상부(234) 중 하나의 장치 또는 해충 차단 모듈(300)의 차단램프(330), 퇴치음파발생기(342) 중 하나의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된 각도에 대응하는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 개방부(202)의 개방폭과 제2 개방부(302)의 개방폭을 다르게 설정하여 해충 차단존(205)과 해충 안전존(305)을 설정한다.
일례로서, 해충 퇴치 모듈(100)을 방문 앞에 설치하는 경우, 해충 차단 모듈(300)을 방의 내측 방향에 90도 정도로 설정하고, 해충 유인 모듈(200)을 방의 외측 방향에 180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는 등 해충 퇴치 모듈(100)이 설치되는 목적이나 위치에 따라 제1 개방부(202)의 개방폭과 제2 개방부(302)의 개방폭을 다르게 설정하여 해충 차단존(205)과 해충 안전존(305)을 설정한다.
해충 퇴치 모듈(100)을 야외에 설치하는 경우, 2개 이상을 설치하여 해충 차단존(205)과 해충 안전존(305)을 확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해충 퇴치 모듈
102: 하우징
110: 제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해충 유인 모듈
202: 제1 개방부
203: 제1 철망
204: 제1 도어
205: 해충 차단존
210, 310: 면적 조절부재
211, 311: 기둥
212, 312: 롤러
213, 313: 롤러브라켓
214, 314: 회전드럼
215, 315: 도어연결부재
220, 320: 스프로킷
222, 322: 연결대
223, 323: 구동모터
224, 324: 체인
230: 유인램프
232: 캡
234: 전기살상부
236: 전기라인
238: 냄새패드
240: 포집통
242: 유인음파발생기
244: 흡입팬
246: 흡입팬모터
300: 해충 차단 모듈
302: 제2 개방부
303: 제2 철망
304: 제2 도어
305: 해충 안전존
330: 차단램프
332: 캡
340: 해충퇴치패드
342: 퇴치음파발생기
344: 송풍팬
346: 송풍팬모터
102: 하우징
110: 제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해충 유인 모듈
202: 제1 개방부
203: 제1 철망
204: 제1 도어
205: 해충 차단존
210, 310: 면적 조절부재
211, 311: 기둥
212, 312: 롤러
213, 313: 롤러브라켓
214, 314: 회전드럼
215, 315: 도어연결부재
220, 320: 스프로킷
222, 322: 연결대
223, 323: 구동모터
224, 324: 체인
230: 유인램프
232: 캡
234: 전기살상부
236: 전기라인
238: 냄새패드
240: 포집통
242: 유인음파발생기
244: 흡입팬
246: 흡입팬모터
300: 해충 차단 모듈
302: 제2 개방부
303: 제2 철망
304: 제2 도어
305: 해충 안전존
330: 차단램프
332: 캡
340: 해충퇴치패드
342: 퇴치음파발생기
344: 송풍팬
346: 송풍팬모터
Claims (7)
- 중공의 원통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하며, 외주면 중에서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1 개방부와, 외주면 중에서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2 개방부와, 상기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를 개폐하여 개방폭을 각각 조절하는 면적 조절부재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을 구비한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해충이 싫어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을 구비한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이 형성되어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이 설정되고,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이 설정되는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중공의 원통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해충 유인 모듈과 해충을 특정 영역에서 퇴치하는 해충 차단 모듈이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하며, 외주면 중에서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1 개방부와, 외주면 중에서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이 위치한 부분이 개방되는 제2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을 구비한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해충이 싫어하는 빛, 음파,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을 구비한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이 형성되어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는 면적인 해충 차단존이 설정되고,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안전 면적인 해충 안전존이 설정되는 해충의 차단 및 유인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기둥의 상측에 롤러를 갖는 롤러브라켓을 방사상으로 장착하고, 상기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기둥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드럼을 수직 입설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수평 방향의 지지막대가 하나 이상 연결되고 상기 지지막대의 끝단에 원호형의 도어구동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상부 선단에는 다수의 연결대에 의해 링상의 스프로킷을 상기 기둥의 둘레에 이격 고정하고,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모터와 체인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프로킷과 회전드럼이 회전하여 상기 도어구동부재에 결합된 도어에 의해 상기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를 슬라이드하여 개폐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은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유인램프와, 상기 제1 개방부로부터 흡입된 해충을 고압전기로 태우기 위한 다수개의 전기라인이 구비된 전기살상부와, 해충을 냄새로 유인하는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냄새패드와, 해충을 상기 제1 개방구로 흡입하는 흡입암을 발생하는 흡입팬과, 해충을 유인하는 주파수 대역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유인음파발생기 중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성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은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차단램프와, 해충이 싫어하는 냄새로 퇴치하는 해충퇴치패드와, 해충이 싫어하는 초음파 대역의 음파를 발생하는 퇴치음파발생기 중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성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제1 개방부의 개방폭과 상기 제2 개방부의 개방폭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해충 유인 모듈을 제어하여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유인 수단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하고, 상기 해충 차단 모듈을 제어하여 해충이 싫어하는 음파, 빛, 냄새 중 하나 이상의 퇴치 수단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개방부의 개방폭과 상기 제2 개방부의 개방폭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해충 차단존과 상기 해충 안전존을 설정하는 유인 및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해충 퇴치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904A KR101787186B1 (ko) | 2015-01-26 | 2015-01-26 | 해충 퇴치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904A KR101787186B1 (ko) | 2015-01-26 | 2015-01-26 | 해충 퇴치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603A true KR20160091603A (ko) | 2016-08-03 |
KR101787186B1 KR101787186B1 (ko) | 2017-11-15 |
Family
ID=5670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1904A KR101787186B1 (ko) | 2015-01-26 | 2015-01-26 | 해충 퇴치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718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734A (ko) * | 2019-12-19 | 2020-01-0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선충 감지와 제거를 위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 |
KR20230119747A (ko) * | 2022-02-08 | 2023-08-1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찰전기 자가발전 포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7537B1 (ko) * | 2017-11-29 | 2019-09-03 | (주)다나티앤씨 | 큐브형 포충기 |
-
2015
- 2015-01-26 KR KR1020150011904A patent/KR10178718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734A (ko) * | 2019-12-19 | 2020-01-0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선충 감지와 제거를 위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 |
KR20230119747A (ko) * | 2022-02-08 | 2023-08-1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찰전기 자가발전 포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7186B1 (ko) | 2017-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47549B2 (en) |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CN201451113U (zh) | 多功能诱捕器 | |
KR200440653Y1 (ko) | 다기능 해충퇴치기 | |
ZA200309734B (en) | Insect trap. | |
US20200196587A1 (en) |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
KR200394218Y1 (ko) | 해충 박멸기 | |
KR101787186B1 (ko) | 해충 퇴치 모듈 | |
KR100538043B1 (ko) | 전자 포충기 | |
JP2002125563A (ja) | 飛翔性害虫駆除用複合トラップ | |
KR200402319Y1 (ko) | 흡입식 포충기 | |
US20120324781A1 (en) | Bed bug and roach trap | |
KR100884220B1 (ko) |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 |
KR200347665Y1 (ko) | 모기 유인 퇴치기 | |
KR102017537B1 (ko) | 큐브형 포충기 | |
JP2007209266A (ja) | 捕虫装置 | |
KR20120017511A (ko) | 친환경 해충 포집기 | |
AU2011254361B2 (en) | A contact trap | |
CN215582972U (zh) | 一种果蔬种植用防病虫装置 | |
KR101168513B1 (ko) | 끈끈이 해충 포집기 | |
KR20140051647A (ko) |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 |
KR100707929B1 (ko) | 해충유인박멸기 | |
KR200166065Y1 (ko) | 흡입식 포충기 | |
WO2013059424A1 (en) | Stink bug trap system | |
CN105850929A (zh) | 一种农场杀虫方法 | |
KR102706423B1 (ko) | 해충 포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